KR101534324B1 - 방전램프 - Google Patents

방전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324B1
KR101534324B1 KR1020120080398A KR20120080398A KR101534324B1 KR 101534324 B1 KR101534324 B1 KR 101534324B1 KR 1020120080398 A KR1020120080398 A KR 1020120080398A KR 20120080398 A KR20120080398 A KR 20120080398A KR 101534324 B1 KR101534324 B1 KR 10153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ire
housing
discharge tub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446A (ko
Inventor
강성진
강성석
Original Assignee
강성진
강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진, 강성석 filed Critical 강성진
Priority to KR102012008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324B1/ko
Priority to PCT/KR2013/006563 priority patent/WO2014017798A1/ko
Publication of KR2014001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62Connection of wires protruding from the vessel to connectors carried by the separat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제1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되고 각각 선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 중 하나에는 안정기 측 와이어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는 방전관 측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에 양쪽이 각각 끼워져 안정기 측 와이어 및 방전관 측 와이어와 접촉하는 쐐기형 접속단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전관의 전기적 연결을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룰 수 있는 방전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전램프{Discharge Lamp}
본 발명은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전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방전램프에 관한 것이다.
방전램프는 각종 조명설비에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방전램프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 방전관 및 구동을 위한 안정기를 포함하고, 방전관에는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방전가스가 봉입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안정기를 통하여 방전관에 공급되면, 방전관의 내부에서는 방전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방전관의 외부로는 빛이 방출된다.
현재, 여러 형태의 방전램프가 제안되어 있는바, 특히 전구용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전구식 방전램프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전구식 방전램프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도 1의 도면부호 40 참조)이 수용된 안정기 하우징(도 1의 도면부호 20 참조)과 전구용 소켓에 삽입되는 전구용 베이스(도 1의 도면부호 30 참조)를 갖는다. 안정기 하우징은 방전관(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전관에서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는데,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도 1의 도면부호 41 참조)와 방전관 측 와이어(도 1의 도면부호 11 참조)는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속된다. 이 때, 양측(안정기 측과 방전관 측) 와이어의 접속에는 양측 와이어를 꼬아서 하나로 합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 래핑 핀(wrapping pin)을 박고, 래핑 핀에 양측 와이어를 감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전관의 전기적 연결구조는 제조효율이 떨어지는 데다,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에 대한 처리 및 수리에 많은 공정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 면에서 유리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전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갖는 방전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갖는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와; 전극을 갖는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되고, 각각 선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 중 하나에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에 양쪽이 각각 끼워져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와 접촉하는 쐐기식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방전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의 입구에는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각각 가로질러 놓이는 와이어 세팅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 세팅홈에 각각 놓인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를 끼움에 따라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구부러지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의 양쪽 끝에는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결정용 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세팅홈 및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각각 입구가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파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옆이 각각 구부러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판상이면서 파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형 구조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에 안정기 배치공간이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이 구비된 방전관과; 상기 안정기 배치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안정기 배치공간에 대한 삽입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갖는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외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방전관의 전극이 구비된 부분을 수용하여 상기 방전관을 지지하며, 내부에 접속공간이 마련된 방전관 홀더와;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인출되고, 상기 안정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접속공간으로 인입된 안정기 측 와이어와; 상기 방전관에서 상기 접속공간으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접속공간에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관 홀더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중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공간 및 상기 접속공간과 연통된 개구부를 갖는 홀더 본체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 본체에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홀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하면 상기 홀더 커버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커버에 상기 홀더 본체와 홀더 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되고, 각각 선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 중 하나에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에 양쪽이 각각 끼워져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와 접촉하는 쐐기식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방전램프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의 결합간극을 통하여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홀더 본체와 홀더 커버 사이의 결합간극을 통하여 상기 접속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극을 갖는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안정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끼워져서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와 접촉하는 쐐기식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방전램프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 관통되고,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관통된 쐐기형 접속단자의 양측에 각각 삽입구멍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쐐기형 접속단자가 중앙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양측 삽입구멍에 양쪽이 각각 끼워지도록 U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와; 전극을 갖는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가 함께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가 함께 삽입된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방전램프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가 함께 삽입되는 방전램프에서, 상기 쐐기부재는 쐐기식 접속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은 서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쐐기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쐐기부재와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선단에 마련될 수 있다.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나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과제의 해결 수단이 이하에서 추가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방전관의 전기적 연결을 저렴한 비용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불량 발생 시에 그 처리 및 수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도 3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접속단자의 여러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가 도시된 정면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는 U자형 구조를 갖는 방전관(10), 절연성 재질의 안정기 하우징(20), 전구용 소켓에 삽입되는 전구용 베이스(30) 및 안정기 하우징(20)에 수용되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을 포함한다. 전구용 베이스(30)로는 일반적으로 에디슨 베이스라 칭하는 나선형 베이스, 두 개의 전극핀이 돌출된 바이-핀 캡(bi-pin cap)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방전관(10)은 투광성 재질로 된다. 방전관(10)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두 쌍의 전극(12)이 구비된다. 방전관(10)에서 전극(12)들이 장착된 부분은 기밀 유지 가능하도록 실링처리 된다.
안정기 하우징(20)은 제1하우징(21) 및 제1하우징(2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22)을 포함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하측의 제1하우징(21)은 상단 측이 개방된 구조를, 상측의 제2하우징(22)은 하단 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져,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은 상단 측과 하단 측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의 결합 시, 안정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이 배치되는, 외부와 차단된 공간이 마련된다.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제1하우징(21)의 하측에는 방전관(10)이, 제2하우징(22)의 상측에는 전구용 베이스(30)가 각각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전관(10)은 제1하우징(21)의 내부에 전극 장착 측(14)이 수용된다.
안정기 하우징(20)에 수용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은 안정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안정기 회로소자를 포함한다.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은 전구용 베이스(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이 전구용 베이스(30)로부터 받은 전원은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에서 인출된 두 쌍(네 가닥)의 안정기 측 와이어(41), 방전관(10)의 전극(12)에서 인출된 두 쌍의 방전관 측 와이어(11), 양측(안정기 측과 방전관 측) 와이어(11,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접속수단(J1)에 의하여 방전관(10)의 전극(12)에 공급된다.
양측 와이어(11,41)와 와이어 접속수단(J1)에 의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과 방전관(10)의 전기적 연결은 안정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서 이루어진다. 물론, 한 쌍과 다른 한 쌍의 각 안정기 측 와이어(41)는 한 쌍과 다른 한 쌍의 각 방전관 측 와이어(11)와 접속된다.
도 2, 도 3은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인바, 와이어 접속수단(J1)을 나타낸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접속수단(J1)은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 그리고 쐐기식 접속단자(9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60)는 제1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2지지부재(70)는 제2하우징(22)의 내부에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는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의 내벽에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는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의 결합방향(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의 서로 마주 보는 선단에는 와이어 삽입홈(61,71)이 각각 마련되는데, 제1지지부재(60)의 와이어 삽입홈(61)과 제2지지부재(70)의 와이어 삽입홈(71)은 입구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지지부재(60)의 와이어 삽입홈(61)에는 접속할 양측 와이어(11,41) 중 한쪽 와이어 한 가닥(예를 들어, 방전관 측 와이어 한 가닥)이 삽입되고, 제2지지부재(70)의 와이어 삽입홈(71)에는 접속할 양측 와이어(11,41) 중 다른 쪽 와이어 한 가닥(예를 들어, 안정기 측 와이어 한 가닥)이 삽입된다.
접속단자(90)는 기다란 사각형 구조를 갖는 전도성의 금속 플레이트인바, 제1지지부재(60)의 와이어 삽입홈(61)과 제2지지부재(70)의 와이어 삽입홈(71)에 길이방향 양쪽이 각각 끼워져 접속할 양측 와이어(11,41) 두 가닥과 각각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단자(90)는 와이어 삽입홈(61,71)에 끼워진 때 길이방향 양쪽이 양측 와이어(11,41)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와이어 삽입홈(61,71)에 박히는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와이어 접속수단(J1)의 경우에는 네 가닥씩의 안정기 측 와이어(41)와 방전관 측 와이어(1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는 두 개 구비되고, 와이어 삽입홈(61,71)은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에 각각 두 개씩 마련되며, 접속단자(90)는 네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와이어 삽입홈(61,71) 각각의 입구에는 양측 와이어(11,41)가 각각 가로질러 놓이는 와이어 세팅홈(63,73)이 마련된다. 와이어 세팅홈(63,73)은 판상 구조인 접속단자(90)가 끼워지는 와이어 삽입홈(61,71)과 교차한다. 와이어 세팅홈(63,73)의 깊이는 와이어 삽입홈(61,71)에 비하여 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와이어 접속수단(J1)에 의하면, 제1지지부재(60)의 와이어 세팅홈(63)에 방전관 측 와이어(11)를 놓고서 제1지지부재(60)의 와이어 삽입홈(61)에 접속단자(90)의 길이방향 한쪽을 끼운 이후에, 제2지지부재(70)의 와이어 세팅홈(73)에 안정기 측 와이어(41)를 위치시키고 제2지지부재(70)의 와이어 삽입홈(71)에 접속단자(90)의 길이방향 다른 쪽이 끼워지도록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을 결합하면, 접속할 양측 와이어(11,41)가 접속되면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과 방전관(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와이어 세팅홈(63,73)에 놓아 둔 양측 와이어(11,41)는 와이어 삽입홈(61,71)에 접속단자(90)가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자연히 구부러지면서 와이어 삽입홈(61,71)에 삽입되고, 끼워진 접속단자(90)는 양측 와이어(11,41)와 선접촉 된다. 접속단자(90)와 양측 와이어(11,41)의 접촉식 구조는 접촉저항을 낮추어 접촉 부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원활한 통전을 보장한다.
참고로, 와이어 세팅홈(61,73)에의 양측 와이어(11,41) 세팅순서, 와이어 삽입홈(61,71)에의 접속단자(90) 삽입순서 등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과 방전관(10)의 전기적 연결과정은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와이어 세팅홈(63,73)에 양측 와이어(11,41)를 놓고 와이어 삽입홈(61,71)에 접속단자(90)를 끼우는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양측 와이어(11,41)가 접속되고,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을 결합하면 양측 와이어(11,41)에 대한 접속작업이 마감되기 때문에,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과 방전관(10)의 전기적 연결을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쉽고 확실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 발생 시 그 처리나 수리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4 및 도 5에는 편의상 다른 예의 제1지지부재(60A)만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예의 제1지지부재(60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다른 예의 제1지지부재(60A)는 그 와이어 삽입홈(61)의 입구 및 와이어 세팅홈(63)의 입구가 각각 경사면(62,64)에 의하여 점차 확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입구의 확장구조는 와이어 삽입홈(61)에 접속단자(9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하고, 와이어 세팅홈(63)에 방전관 측 와이어(11)(또는, 안정기 측 와이어)가 정확히 놓일 수 있게 유도한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접속단자(90)에 대한 여러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12를 제외하고,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들의 접속단자(90A,90B,90C,90F)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접속단자(90)와 마찬가지로 판상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예의 접속단자(90A)는 길이방향 양쪽 끝 모두에 각각 위치결정용 홈(91)이 마련되는데, 위치결정용 홈(91)은 와이어 삽입홈(61,71)에 접속단자(90A)를 끼울 때 와이어 세팅홈(63,73)에 놓인 양측 와이어(11,41)가 각각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위치결정용 홈(91)에 의하면, 와이어 삽입홈(61,71)에 양측 와이어(11,41)를 삽입하기 위하여 접속단자(90A)를 끼울 때 접속단자(90A)의 길이방향 양쪽 끝에 접촉되는 양측 와이어(11,41)가 접속단자(90A)의 길이방향 양쪽 끝을 따라 미끄러지거나 극단적으로는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예의 접속단자(90B)는 너비방향 양쪽에 각각 일정 각도 구부러진 일체형 절곡부(92)가 마련된다. 절곡부(92)에 의하면, 판상 구조상 다소 두께가 얇은 접속단자(90B)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작업 시에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예의 접속단자(90F)도 파형(물결모양) 구조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작업 시에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8의 접속단자(90F)도 위치결정용 홈(91)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또 다른 예의 접속단자(90C)는 와이어 삽입홈(61,71)에 끼워진 때 와이어 삽입홈(61,7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스프링의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접속단자(90C)는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러진 일체형 탄성부(93)를 마련하여 판 스프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90A)를 수작업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이어붙인 구조로 제작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단자(90A)는 길이방향 양단이 절단부(94)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절단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접속단자(90A)를 한 와이어 삽입홈(61, 또는 71)에 끼운 상태에서, 끼워진 접속단자(90A)와 이웃한 다른 접속단자(90A)를 그 사이의 절단부(94)를 기준으로 구부리면, 끼워진 접속단자(90A)와 이웃한 접속단자(90A)는 절단되면서 분리된다.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절단부(94)로는 V자형 구조를 갖는 절단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또 다른 예의 접속단자(90D)는 판상 구조가 아닌, 봉상 구조를 갖는다. 즉, 봉재를 이용, 와이어 삽입홈(61,7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변형 구조를 갖도록 제작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또 다른 예의 접속단자(90G)는 기다란 일직선의 원형막대 형상을 갖는다. 이는 도 12의 (A)에서와 같이 단순히 원형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속이 빈 원통 형상일 수도 있으며,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단수 또는 복수의 링형 돌기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보아 주름 구조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때, 복수의 링형 돌기 대신, 나선형 돌기를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주름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12의 접속단자(90G)를 적용하는 경우, 와이어 삽입홈(61,71)은 도 12의 접속단자(90G)와 대응하는 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1지지부재(60)의 와이어 삽입홈(61)과 제2지지부재(70)의 와이어 삽입홈(71) 중 하나에 양측 와이어(11,41)를 함께 삽입하고, 양측 와이어(11,41)가 함께 삽입된 한쪽의 와이어 삽입홈에 쐐기식 접속단자(90)를 끼우는 방식으로 양측 와이어(11,41)를 접속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여기에서, 양측 와이어(11,41)를 서로 인위적으로 접촉시키거나 자연히 접촉시킨 상태로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한 경우에는 쐐기식 접속단자(90)가 양측 와이어(11,41)의 접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쐐기식 접속단자(90)로는 일반적인 쐐기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양측 와이어(11,41)의 접촉이 해제되더라도 접속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단자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는 하나의 와이어 삽입홈에 양측 와이어(11,41)가 함께 삽입되므로 제1지지부재(60)와 제2지지부재(70) 중 하나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2지지부재(70)를 삭제한 경우에는 이 제거된 제2지지부재(70) 대신, 제2하우징(도 1의 도면부호 22 참조)의 내부에 쐐기식 접속단자(90)를 직접 장착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즉, 쐐기식 접속단자(90)를 안정기 하우징(도 1의 도면부호 20)에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양측 와이어(11,41) 중 안정기 측 와이어(41)를 구비하지 않고,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에 방전관 측 와이어(11)를 직접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만이 상이하다. 이를 위한 와이어 접속수단(J2)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실시예의 와이어 접속수단(J2)은, 안정기 하우징(도 1의 도면부호 20 참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방전관 측 와이어(11)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갖는 지지부재(80),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에 장착되며 지지부재(80)의 와이어 삽입홈에 끼워져서 방전관 측 와이어(11)와 접촉하는 쐐기식 접속단자(90E)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0)는 제1실시예의 지지부재(60,60A,70)와 비교하여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에 장착된 접속단자(90E)와 결합 가능하도록 배치된 점만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단자(90E)는 솔더페이스트 등에 의하여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에 인쇄된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5,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의 주요 부분이 도시된 구성도 및 사시도로, 도 15,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접속단자(90E)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에 관통된 상태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은 관통된 접속단자(90E)의 양측에 각각 삽입구멍(42)이 각각 마련되며, 지지부재(80A)는 중앙부에 접속단자(90E)가 끼워지면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의 양측 삽입구멍(42)에 중앙부 양측이 각각 끼워지도록 U자형 구조를 갖는 점만이 상이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전램프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와 도 18에서, 도면부호 100은 투광성 재질의 방전관이고, 도면부호 200은 절연성 재질의 안정기 하우징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100)은 전체적으로 나선형 구조를 갖도록 방전램프의 길이방향(Z축방향)을 따라 감기어 중앙에 안정기 하우징(200)을 삽입된 형태로 위치시킬 수 있는 안정기 배치공간(102)이 마련된다. 이에, 제5실시예는 방전관(100)의 Z축방향 크기 및 도 17을 기준으로 안정기 하우징(2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전구용 베이스(300)의 Z축방향 크기에 의하여 전체 길이가 대략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전구용 베이스(30)와 안정기 하우징(20)과 방전관(10)이 순차적으로 일렬로 결합된 방전램프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갖도록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방전관(100)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두 쌍의 전극(120)이 구비된다. 방전관(100)에서 전극(120)들이 장착된 부분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처리가 될 수 있다. 전극(120)은 도 17을 기준으로 방전관(100)의 최상 측에 배치되는데, 이렇게 배치된 한 쌍과 다른 쌍의 전극(120)은 안정기 배치공간(10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안정기 배치공간(102)에 삽입된 안정기 하우징(200)은 Z축방향으로 기다랗도록 형성된다. 안정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전구용 베이스(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극(120)에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이 Z축방향으로 수용된다. 안정기 하우징(200)의 외주에는 방전관(100)의 전극 장착 측(140)을 각각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에서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410)와 전극(1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격리된 접속공간(502)을 제공하는 방전관 홀더(500)가 구비된다. 접속공간(502)은 전극(120)과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열적으로 격리시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 상의 안정기 회로소자가 전극(120) 측으로부터의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안정기 하우징(200)은 안정기 배치공간(102)에 위치한 제1하우징(210), 도 17을 기준으로 안정기 배치공간(10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위치한 제2하우징(220)을 포함한다. 도 17을 기준으로 할 때, 제1하우징(210)은 상단 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하우징(220)은 상단부에 전구용 베이스(300)가 결합되며 하단 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상단 측과 하단 측이 서로 결합되어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결합 시, 안정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격리공간이 마련된다. 제1하우징(210)은 Z축방향 길이가 제2하우징(220)에 비하여 길어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수용공간은 주로 제1하우징(21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7과 같이, 제1하우징(210)의 상단과 제2하우징(220)의 하단 중 어느 한쪽에는 다른 쪽에 끼워지는 삽입부(222)가 둘레방향을 따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마련되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끼움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고, 제1하우징(210)의 상단 측과 제2하우징(220)의 하단 측은 중첩된다.
안정기 측 와이어(41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결합부분에 생기는 결합간극(G1)을 통하여 안정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접속공간(502)에서 전극(120)으로부터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110)와 각각 접속된다. 안정기 측 와이어(41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중첩부분에 압입된다. 그리고, 안정기 측 와이어(410)와 방전관 측 와이어(110)는 접속공간(502)에서 와이어 접속수단(J3)에 의하여 접속된다.
접속공간(502)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방전관 홀더(500)는, 내부에 방전관(100)의 전극 장착 측(140)을 수용하는 방전관 지지공간(504) 및 접속공간(502)이 마련되고 도 17 및 도 18에서 보아 상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홀더 본체(510), 홀더 본체(5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홀더 본체(510)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차폐커버(5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홀더 본체(510)는, 개방된 상측은 방전관 지지공간(504)과 연통하고, 방전관 지지공간(504)은 접속공간(502)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전극 장착 측(140)은 홀더 본체(510)에 관통되어 방전관 지지공간(504)에 수용될 수 있고, 홀더 본체(510)에서 전극 장착 측(140)이 관통된 부분은 실링처리 될 수 있다.
안정기 하우징(30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410)는 홀더 본체(510)와 차폐커버(520)의 결합부분에 생기는 결합간극(G2)을 통하여 접속공간(502)으로 인입된다.
홀더 본체(510)와 차폐커버(520)는 안정기 측 와이어(410)의 인출위치(P)를 사이에 두고 있도록 배치된다. 홀더 본체(510)는 제1하우징(210)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차폐커버(520)는 제2하우징(220)과 일체형이다. 차폐커버(520)는 홀더 본체(510)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커버부분 및 이 커버부분과 제2하우징(220)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을 갖는다. 제1하우징(210) 또는 홀더 본체(510)에는 제1하우징(210)과 홀더 본체(510) 사이에서 차폐커버(520)의 연결부분과 함께 안정기 측 와이어(410)를 덮어서 보호하는 와이어 보호커버(512)가 마련된다.
한편,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홀더 본체(510)가 제1하우징(210)과 일체형이고, 차폐커버(520)가 제2하우징(2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선 보호커버(512)는 제1하우징(210) 또는 홀더 본체(510)와 일체형일 수 있다.
와이어 접속수단(J3)은 제1지지부재(600), 제2지지부재(700) 및 쐐기식 접속단자(90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600)는 홀더 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2지지부재(700)는 차폐커버(520)의 커버부분에 구비된다. 제1지지부재(600)와 제2지지부재(700)는 홀더 본체(510)와 차폐커버(520)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지지부재(600)와 제2지지부재(700)의 대향하는 선단에는 와이어 삽입홈(610,710)이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 접속수단(J3)의 제1지지부재(600), 제2지지부재(700) 그리고 접속단자(900)는 제1실시예의 제1지지부재(60), 제2지지부재(70) 그리고 접속단자(90)와 비교하여 볼 때, 구비되는 위치만이 상이한 뿐, 기타 구성 및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와이어 접속수단(J3)은 제2실시예의 구성을 적용, 하나의 와이어 삽입홈에 안정기 측 와이어(410)와 방전관 측 와이어(110)가 함께 삽입되어서 접속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2실시예의 와이어 접속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5실시예는 방전관(100)의 전극(120)에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방전이 개시 및 유지된다.
제5실시예는 작동 시 두 쌍의 전극(120) 측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안정기 하우징(200)은 그 내부의 공간(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수용공간)이 접속공간(502)과 서로 공간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므로, 방전관(100)의 전극(120) 측으로부터의 열은 안정기 하우징(200)에 수용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으로 전달되기보다는 주로 방전관 홀더(500)의 주변으로 방출된다.
아울러, 안정기 측 와이어(41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결합간극(G1)을 통하여 인출된 후, 홀더 본체(510)와 차폐커버(520)의 결합간극(G2)을 통하여 접속공간(502)으로 인입, 전극(120)과 접속되고, 삽입부(222)에 의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중첩부분으로 인하여 기다란 인출경로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인출 시에 이러한 인출경로의 구조상 자연히 구부러지므로, 안정기 하우징(200)의 내부공간과 접속공간(502) 사이에는 안정기 측 와이어(410)의 인출 및 인입경로 외에, 안정기 하우징(200)의 내부공간과 접속공간(502)을 연통시키는 특별한 연통로가 없어서, 접속공간(502)으로부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 측으로의 열전달은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도 17을 기준으로, 방전관 홀더(500)의 주변으로 방출되는 고온의 열은 대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자연히 상측방향인 전구용 베이스(300) 측으로 이동된다. 방전관 홀더(500)는 안정기 하우징(200)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접속공간(502)에서 방출되는 열은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 측으로 전달되기보다는 주로 그대로 상승된다. 또, 방전관 홀더(500)가 안정기 하우징(200)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안정기 하우징(200)과 방전관 홀더(500) 사이에는 공기층에 의한 단열공간(506)이 형성되므로, 접속공간(502)으로부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 측으로의 열전달은 더욱 억제된다.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안정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소자들이 포함된다. 열에 의한 안정기 회로소자들의 각종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기 회로소자들 중 열에 취약한 것, 예를 들어, 전해콘덴서, 반도체소자 등은 전극(120) 측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된다. 이 때, 전극(120) 측으로부터 가장 먼 곳은 전극(120)을 수용한 접속공간(502)이 상대적으로 전구용 베이스(300) 측에 더 근접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도 17을 기준으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최하 측일 수 있다. 반도체소자는 트랜지스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컨트롤IC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정기 회로소자들 중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한 것들의 온도 상승 및 열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정기의 기대수명 더욱 연장할 수 있다.
반면, 안정기 회로소자들 중 온도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것(상대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것), 예를 들어, 초크트랜스, 저항, 세라믹 콘덴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등은 도 17을 기준으로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최상 측인 전극(120)이나 전구용 베이스(300) 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알루미늄 케이스에 밀봉된 전해액으로 특성이 유지되는 전해콘덴서의 경우에는 온도가 10℃ 상승되면 수명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스위칭소자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컨트롤IC 등의 반도체소자들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면 회로가 오작동을 하거나 파손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나 고온에서의 순간적인 정전 또는 전압의 급격한 변화는 전해콘덴서 또는 스위칭소자의 순간적인 오작동을 야기하여 파손에 이르게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한 실험에 따르면, 주변온도가 25℃인 경우, 종래의 방전램프에 있어서, 1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안정기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가장 낮은 부분의 온도는 60℃, 전극 측의 온도는 80℃를 각각 초과하였다. 그리고, 천창매립형 등기구에 적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안정기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가장 낮은 부분의 온도는 85℃ ~ 90℃, 트랜지스터의 온도는 120℃ ~ 120℃이었고, 전해콘덴서의 온도는 100℃를 초과하였으며, 전극 측의 온도는 125℃를 초과하였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 안정기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수용공간이 접속공간(502)과 열적으로 효과적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온도가 25℃인 경우, 가장 낮은 부분(도 17에서 보았을 때,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최하 부분)의 온도는 40℃ ~ 50℃를 유지하였고, 가장 높은 부분(도 17에서 보았을 때,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최상 부분)의 온도는 60℃를 초과하지 않았다. 또, 천창매립형 등기구에 적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의 안정기 온도 측정결과를 보더라도, 가장 낮은 부분의 온도는 60℃ ~ 70℃, 트랜지스터의 온도는 90℃ ~ 100℃, 전해콘덴서의 온도는 80℃ ~ 90℃를 각각 유지하였다. 참고로, 천창매립형 등기구에 적용 시에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최하 측은 반대쪽인 최상 측(방출되는 열이 상승하여 집중된다.)과 달리, 주변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으므로, 주변온도에 따라서는 안정기에서 가장 낮은 부분의 온도는 더욱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5실시예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수용공간과 접속공간(502)이 열적으로 격리되고, 트랜지스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컨트롤IC 등의 반도체소자와 전해콘덴서가 전극(120) 측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한편, 상대적으로 온도에 덜 민감한 초크트랜스 등이 전극(120)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한 반도체소자와 전해콘덴서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이로 인하여 순간적 정전이나 전압의 급격한 변동에도 별도의 보호회로 없이 회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데다, 안정기의 기대수명을 약 2배 이상 연장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100 : 방전관
11, 110 : 방전관 측 와이어
12, 120 : 전극
20, 200 : 안정기 하우징
40, 400 : 안정기 인쇄회로기판
21, 210 : 제1하우징
22, 220 : 제2하우징
41, 410 : 안정기 측 와이어
J1, J2, J3 : 와이어 접속수단
60, 60A, 70, 80, 80A, 600, 700 : 지지부재
90, 90A, 90B, 90C, 90D, 90E : 접속단자
61, 71, 610, 710 : 와이어 삽입홈
500 : 방전관 홀더
502 : 접속공간(502)
510 : 홀더 본체
520 : 차폐커버

Claims (13)

  1. 서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갖는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와;
    전극을 갖는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되고, 각각 선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 중 하나에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에 양쪽이 각각 끼워져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의 내벽에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각각 밀착시키면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와 접촉하는 쐐기식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방전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의 입구에는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각각 가로질러 놓이는 와이어 세팅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 세팅홈에 각각 놓인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를 끼움에 따라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구부러지면서 삽입되는 방전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의 양쪽 끝에는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 및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각각 삽입되는 위치결정용 홈이 각각 마련된 방전램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세팅홈은 입구가 확장된 구조를 갖는 방전램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입구가 확장된 구조를 갖는 방전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양쪽이 각각 중앙부에 대하여 구부러져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와이어 삽입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방전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양옆이 각각 구부러진 방전램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판상이면서 파형 구조의 단면을 갖는 방전램프.
  9.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극을 갖는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안정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끼워져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내벽에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밀착시키면서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와 접촉하는 쐐기식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방전램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접속단자는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 관통되고,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관통된 쐐기형 접속단자의 양측에 각각 삽입구멍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쐐기형 접속단자가 중앙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양측 삽입구멍에 양쪽이 각각 끼워지도록 U자형 구조를 갖는 방전램프.
  11. 안정기 하우징과;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안정기 회로소자를 갖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안정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인출된 안정기 측 와이어와;
    전극을 갖는 방전관에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출된 방전관 측 와이어와;
    상기 안정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상기 방전관 측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접속수단은,
    상기 안정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가 함께 삽입되어 접촉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가 함께 삽입된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내벽에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를 함께 밀착시키면서 상기 안정기 측 와이어와 방전관 측 와이어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방전램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쐐기식 접속단자인 방전램프.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 하우징은 서로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쐐기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쐐기부재와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선단에 마련된 방전램프.
KR1020120080398A 2012-07-24 2012-07-24 방전램프 KR10153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98A KR101534324B1 (ko) 2012-07-24 2012-07-24 방전램프
PCT/KR2013/006563 WO2014017798A1 (ko) 2012-07-24 2013-07-23 방전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98A KR101534324B1 (ko) 2012-07-24 2012-07-24 방전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446A KR20140014446A (ko) 2014-02-06
KR101534324B1 true KR101534324B1 (ko) 2015-07-07

Family

ID=4999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398A KR101534324B1 (ko) 2012-07-24 2012-07-24 방전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4324B1 (ko)
WO (1) WO2014017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003A (ko) * 2014-06-09 2015-12-17 강성진 와이어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063B1 (ko) * 1998-08-27 2000-12-15 박의숙 통신 케이블의 심선 연결용 1회선용 심선접속자
KR20040023223A (ko) * 2002-09-11 2004-03-18 강성진 컴팩트형 방전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189B2 (ja) * 1994-11-01 2000-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部の形成方法
DE19701162A1 (de) * 1997-01-15 1998-07-1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Kompakte Niederdruckentladungslampe
KR200158831Y1 (ko) * 1997-06-25 1999-10-15 오재부 전선 연결구
HU0700331D0 (en) * 2007-05-10 2007-07-30 Ge Hungary Zrt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063B1 (ko) * 1998-08-27 2000-12-15 박의숙 통신 케이블의 심선 연결용 1회선용 심선접속자
KR20040023223A (ko) * 2002-09-11 2004-03-18 강성진 컴팩트형 방전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446A (ko) 2014-02-06
WO2014017798A1 (ko)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5766A1 (en) Electric connecting member and led lamp using the same
US8434891B1 (en) LED replacement lamp with fluorescent tubes
KR100386750B1 (ko)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JP5678305B2 (ja) 蛍光ランプ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US6492773B2 (en)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KR101534324B1 (ko) 방전램프
KR100485325B1 (ko) 백라이트용 램프홀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JP5251398B2 (ja) フィラメントランプ
JP2007273335A (ja) 蛍光ランプ
US9129793B2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with auxiliary lamp
CN101120205B (zh) 光源装置
JP2000030664A (ja) 蛍光ランプ、この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蛍光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EP3306178B1 (en) Led light bulb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394189B2 (en) Compact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having a circuit board with connection members
JP2005251418A (ja) 電球
WO2013038859A1 (ja) 発光装置
JP4513712B2 (ja)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100021147A1 (en) Filament lamp
KR20150141003A (ko) 와이어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램프
WO2009104298A1 (ja) 放電管、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02298608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WO2018186371A1 (ja) 高圧放電ランプ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65632B1 (ko) 콤팩트 방전램프
JP4534203B2 (ja)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10476221B2 (en) Power supply socket for halogen lamp, and halogen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