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717A -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717A
KR20190133717A KR1020197031401A KR20197031401A KR20190133717A KR 20190133717 A KR20190133717 A KR 20190133717A KR 1020197031401 A KR1020197031401 A KR 1020197031401A KR 20197031401 A KR20197031401 A KR 20197031401A KR 20190133717 A KR20190133717 A KR 2019013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soy sauce
discharg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가타야마
유리 구니타케
나츠유키 만넨
덴미 구와가키
Original Assignee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1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0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opened by tilting of the spout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8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이중 용기에 충전되어 음식품 조성물이며, 당해 용기의 최내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넓게 신규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 특히 액체 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장 등의 액체 조미료를 충전하기 위한 용기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토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내부 용기 및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해당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과, 외부와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캡은, 천장이 있는 통형의 본체통 부재와, 해당 본체통 부재 내에 연통하는 주출통과, 본체통 부재 내 및 주출통 내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하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1280호 공보
출원인이 종래의 토출 용기를 검토한바, 포함되는 내용물(예를 들어, 간장 함유 조미료)에 포함되는 특정한 향기 성분의 농도가 경시적으로 변화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마개 개방 후에 향기 성분의 변화가 적은, 장기간 보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 특히 액체 조미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 용기의 재료에 착안하여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변화를 검토한 결과, 본원의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된 이중 용기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과의 비교로, 특정한 향기 성분을 유지하는 성능(보향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원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적어도 이중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이며, 당해 용기의 최내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품 조성물.
[2] 상기 용기가,
음식품 조성물이 충전됨과 함께 음식품 조성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내부 용기와,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이중 용기 본체와,
해당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음식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
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인, [1]에 기재된 음식품 조성물.
[3] 상기 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산소 흡수제를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음식품 조성물.
[4] 제조로부터 30일간 실온에서 보존한 후의 음식품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수 6 내지 20으로 구성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및/또는 탄소수 10의 테르펜류의 농도가, 제조 0일의 농도와 비교하여 80% 이상인, [3]에 기재된 음식품 조성물.
[5] 액체 조미료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식품 조성물.
[6] 액체 조미료가 간장 또는 간장 가공품인, [5]에 기재된 음식품 조성물.
[7] 음식품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이중 용기 내에 해당 음식품 조성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상기 향기 성분이, 탄소수 6 내지 20으로 구성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및/또는 탄소수 10의 테르펜류인, [7]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적어도 이중으로 하고, 또한 최내층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함으로써, 에틸에스테르류나 테르펜류 등의 특정한 향기 성분의 농도나 색조의 경시 변화가 적고, 나아가서는 제품 전체의 품질이 장기간 유지되는 음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향기 성분에 따라서는, 보관 후의 농도가 유지된다기보다는 오히려 증대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원하는 풍미를 경시적으로 증강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밸브체부의 일부에 유통 허용 홈이 형성된 토출 용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유통 허용 홈 및 그 주변부를 더욱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밸브체부의 일부에 유통 허용 홈이 형성된 토출 용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유통 허용 홈 및 그 주변부를 더욱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토출 용기를 구성하는 연결체 등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토출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전체도이다.
음식품 조성물
본 발명에 관한 적어도 이중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은, 당해 용기의 최내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한, 용기를 구성하는 층은 3중 이상이어도 된다. 음식품 조성물과 접촉하는 최내측에 배치되는 용기(내부 용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내층이라고도 함)의 재질은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지만, 용기에 가스 배리어성이나 산소 흡수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임의로 산소 흡수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내부 용기 이외의 외측의 용기(외부 용기)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부 혹은 전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기타의 수지,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으로 구성해도 된다. 그러나, 용기를 재이용(리사이클)하는 관점에서, 용기 전체의 재질이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용기는, 미장성의 관점에서 종래의 토출 용기(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것)보다 우수하며, 내용물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여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내용물의 보존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산소 흡수제를 갖는다. 산소 흡수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내부 또는 표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161462호 공보(국제 공개 제2005/083003호 공보)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아미드 재료 및 탈산소 재료를 갖는 것(폴리아미드/전이 금속 촉매계의 산소 흡수제라고도 함)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공지의 산소 흡수제, 예를 들어 무기계 산소 흡수제(예를 들어, 환원 철과 아황산나트륨)나, 유기계 산소 흡수제(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류,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전이 금속 촉매계, 시클로헥센 측쇄 함유 폴리머/전이 금속 촉매계)도 사용할 수 있다. 산소 흡수제는 수지 중에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흡수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당업자라면 원하는 배리어 기능 등의 효과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전이 금속 촉매계의 산소 흡수제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 배합해도 된다.
폴리아미드 재료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재료 호모 폴리머 재료 또는 공중합체 아미드 재료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호모 폴리머든 공중합체든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재료의 바람직한 종류는 MX 나일론이다. MX 나일론은 m-크실릴렌디아민 단독, 또는 m-크실릴렌디아민 및 p-크실릴렌디아민을 전체의 30%보다 적은 양으로 함유하여 6 내지 10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ω-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크실릴렌디아민 혼합물에서 얻어지는 구조 유닛을, 적어도 70몰%로 함유하는 폴리머이다.
MX 폴리머의 예에는, 폴리-m-크실릴렌아디파미드, 폴리-m-크실릴렌세바카미드와 같은 호모 폴리머, m-크실릴렌/p-크실릴렌아디파미드 공중합체, m-크실릴렌/p-크실릴렌피페라미드 코폴리머, 및 m-크실릴렌/p-크실릴렌아제라미드 코폴리머 등의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 호모 폴리머 또는 공중합체 성분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지방족 디아민, 피페라진과 같은 환상 디아민, p-비스(2-아미노에틸)벤젠과 같은 방향족 디아민,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ε-카프로락탐, ω-아미노헵탄산과 같은 ω-아미노카르복실산, 및 p-아미노벤조산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카르복실산과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임의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및 나일론11과 같은 폴리머를 MX 폴리머와 병용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메타크실릴렌디아민(H2NCH2-m-C6H4-CH2NH2)과 아디프산(HO2C(CH2)4CO2H)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머이고, 이것은 미쯔비시 가스 가가쿠사가 MXD6라는 표시로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이다. MXD6의 다양한 그레이드, 예를 들어 그레이드 6001, 6007, 6021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지방족 폴리아미드 재료는 나일론66이다. 다른 적절한 폴리아미드에는, GRIVORY(등록 상표)(예를 들어, GRIVORY(등록 상표) G16 및 G21, 이것들은 선상 지방족 유닛 및 환상 방향족 성분을 갖는 코폴리아미드이고, EMS-Chemie Inc.로부터 입수 가능하다)와, VERSAMID(등록 상표)(잉크 수지로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이고, Cogni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가 포함된다.
희석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재료에 더하여, 프리블렌드는 탈산소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탈산소 재료는, 프리블렌드의 중량으로, 약 20ppm 내지 약 2000ppm, 바람직하게는 약 50ppm 내지 약 1500ppm으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블렌드의 중량으로, 프리블렌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100ppm 내지 약 1000ppm으로 탈산소 재료를 함유하고 있다.
탈산소 재료는, 예를 들어 주기율표의 제1, 제2 및 제3 천이 계열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착체 또는 염이어도 된다.
탈산소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금속에는, 철, 코발트, 구리, 망간, 아연, 니켈,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및 백금이 포함된다. 탈산소 재료의 예로서,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늄 카바이드, 염화 알루미늄, 코발트 분말, 산화 코발트, 염화 코발트, 안티몬 분말, 산화 안티몬, 안티몬삼아세트산, 염화 안티몬III, 염화 안티몬V, 철, 전해 철, 산화 철, 백금, 알루미나 위의 백금, 팔라듐, 알루미나 위의 팔라듐, 루테늄, 로듐, 구리, 산화구리, 니켈, 및 혼합 금속의 나노 입자(즉, 코발트 철 옥사이드 나노 입자)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중, 코발트, 철, 니켈, 구리, 또는 망간 화합물은, 바람직한 탈산소 재료이다. 그 중에서도, 코발트 화합물은 가장 바람직한 탈산소 재료인 탈산소 재료는, 금속의 염 또는 착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염의 음이온은 무기 또는 유기일 수 있다. 음이온의 예에는, 할라이드 특히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및 옥토에이트가 포함된다. 다른 탈산소 재료에는, 브롬화 코발트(II) 및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는, 코발트 SICCATOL(등록 상표)로서 입수 가능하다.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는, C8 내지 C10의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이고, 코발트의 농도(금속으로서)는, 그 용액에 대하여 약 10중량%이다. 또한, 자외선 증감제로서 벤조페논 등을 더 블렌드하여 사용해도 된다.
용기의 최내층에 있어서의 탈산소 재료의 배치나 양은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 할 수 있다.
용기에 포함되는 내용물로서의 음식품 조성물은, 제조 시에, 향기 성분으로서 저분자의 에틸에스테르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으로 구성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및/또는 테르펜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의 테르펜류, 즉 모노테르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라면 어떤 음식품이어도 되지만, 그 중에서 에틸에스테르류나 테르펜류가 최종 제품에 특유의 향기 성분이고, 그것들의 유지 또는 증강이 소망이라고 여겨지는 음식품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음식품으로서, 예를 들어 조미액, 바람직하게는 간장이나 기타 간장을 함유하는 간장형 조미료, 예를 들어 다시마 간장, 혹은 기타 조미료, 예를 들어 감귤 초간장, 맑은 장국, 데리야키 소스, 드레싱 등이나, 올리브 오일, 음료, 예를 들어 야채 음료나 청량 음료수 등을 들 수 있다. 음식품은 액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한, 반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여도 된다. 음식품 조성물에는, 간장이나 간장형 조미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간장 가공품, 예를 들어 다시마 간장, 가다랭이 육수 간장, 날달걀 간장)도 포함된다.
음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에스테르류로서는, 탄소수가 6 내지 20인 것, 예를 들어 2-메틸프로판산에틸, 부티르산에틸, 2-메틸부티르산에틸, 3-메틸부티르산에틸, 테트라데칸산에틸, 헥사데칸산에틸, 옥타데칸산에틸, 올레산에틸, 리놀레산에틸, 6,9,12-헥사데카트리엔산에틸, 9,12,15-헥사데카트리엔산에틸, 6,9,12,15-옥타데카트리엔산에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테르펜류로서는, 사비넨, 피넨, 리모넨, 테르피넨, 시멘, 리날로올 등을 들 수 있다.
음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특정한 향기 성분의 농도는, 적어도 이중 용기 속에서 제조로부터 30일간 실온에서 보존한 경우, 제조 0일의 농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로의 충전 직전 또는 직후에 측정한 농도와 비교하여 80%,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으로 유지되거나, 혹은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으로 증대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간장」은, 일본 농림 규격의 간장과 동일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본양조 간장이란, 간장의 일본 농림 규격에 있어서의 본양조 방식에 의한 간장을 말한다. 즉, 본양조 방식에 의한 간장이란, 대두, 또는 대두 및 보리, 쌀 등의 곡류를 증자 기타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누룩곰팡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지는 간장 누룩, 혹은 쌀을 증자, 팽화 또는 누룩곰팡이에 의해 당화하여 해당 간장 누룩에 더한 것에, 식염수 또는 설튀김을 더하여 발효 숙성시켜 얻어지는 청징한 액체 조미료이다. 또한, 본양조 방식에 의한 간장을 화입(가열 살균)하여, 본양조 화입 간장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양조 생간장이란, 일본 농림 규격의 설튀김에 준하여, 간장의 숙성 모로미를 압착하여 얻어지는 본양조 방식으로 제조된 간장이고, 화입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또한, 청징화하기 위해, 압착 후에 정치하여 앙금이나 고형물을 분리 제거하거나, 규조토 여과나 MF막 처리 등에 의해, 잔존하는 앙금이나 미생물을 제거한 것도 생간장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간장형 조미료」란, 일본 농림 규격에 정하는 「간장」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액체 조미료 중, 상기 공정을 거친 본양조 간장(화입 간장 또는 생간장)으로 제조되는 모든 조미료를 의미한다. 또한, 간장은 간장형 조미료에 포함될 수 있다.
간장형 조미료는 기타의 풍미·정미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풍미·정미 성분으로서는, 효모 추출물, 어개 추출물, 축육 추출물, 아미노산, 핵산, 유기산, 단백질 가수분해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간장형 조미료 또는 간장에 풍미를 갖게 할 목적으로는, 특히 아미노산인글루탐산염이나 핵산, 효모 추출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풍미·정미 성분은 단독 또는 복수 조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간장형 조미료는 간장형 조미료의 첨가가 필요한 각종 음식품, 예를 들어 각종 식품 또는 음료, 육류, 어개류, 야채류, 해초류, 버섯류, 과실류, 넛츠류 등 혹은 그것들을 이용한 조리품, 밥류, 면종류, 팬류, 야채, 절인 음식, 튀김, 삶은 달걀, 스낵, 볶음 음식, 육제품, 스프류(컵 스프, 즉석면의 스프 등), 루 등의 가공 식품, 어묵, 원통형 어묵, 채소 어묵, 수산·축육가공 제품 등, 진한 간장 등의 각종 간장, 각종 감염 간장, 각종 맑은 장국, 각종 데리야키 소스, 효모 추출물, 축육 추출물, 어개 추출물, 단백 가수분해물 등의 조미료나, 핵산(이노신산나트륨이나 구아닐산나트륨 등)을 함유하는 조미료에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야채 음료는, 야채 착즙 또는/및 과실 착즙을 포함하지만, 필요에 따라 식품 첨가물을 포함해도 된다. 야채 착즙 및 과실 착즙은, 필요에 따라 야채나 과일을 가열하여, 비가식부를 제거하고, 세단하고, 분쇄하는 등의 공정을 거쳐서, 압착, 원심 분리 등의 공정에 의해, 즙액으로서 얻은 것을 말한다. 다른 공정, 예를 들어 여과, 효소 처리를 거쳐도 된다. 야채 착즙 및 과실 착즙은, 스트레이트여도 되고, 농축된 것이어도 된다. 야채 착즙 및 과실 착즙의 원료로 되는 야채나 과일은, 예를 들어 토마토, 당근(서양 인삼), 사과, 오렌지, 밀감, 자몽, 레몬 등의 감귤류, 포도, 배, 매실, 복숭아, 딸기, 멜론, 수박, 파인애플, 바나나, 망고, 파파야, 패션프루츠, 망고스틴, 드래곤프루츠, 두리안, 노니, 식용 선인장, 알로에, 셀러리, 파슬리, 호박, 박, 오이, 콩나물, 각종 새싹, 우엉, 피망, 고추, 가지, 고구마, 감자, 토란, 야콘 감자, 무, 순무, 케일, 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나바나, 소송채, 배추, 청경채, 타사이, 수채, 래디시, 물냉이, 루콜라(로켓) 등의 유채과의 엽채 근채 꽃봉오리류, 레터스, 쑥, 쑥갓 등의 국화과 엽채류, 시금치, 비트 등의 명아주과 엽채 근채류, 양파, 파, 마늘, 차이브, 부추 등의 백합과 엽채 근채류, 대두, 팥, 녹두, 병아리콩, 렌즈콩, 잠두콩 등의 콩과 두류, 쌀, 보리, 잡곡 등의 벼과 곡류 등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적어도 이중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은 종래와 비교하여 경시 열화를 받기 어렵다. 간장을 예로 설명하면, 보관 조건에 따라서는 향기 성분의 농도뿐만 아니라, 색조가 경시적으로 변화되어, 제조 시와는 다른 종류의 간장의 색번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간장의 색번이 18인 간장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단층 보틀에 있어서 30일간 실온에서 보관하면 6 정도로 감소될 수 있는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보틀에서는 색번을 16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간장의 색번이란, JAS 규격에서 정해진 간장 표준색의 색번(색번은 수치가 작을수록 농색이고, 반대로 클수록 담색임을 나타낸다)을 의미하고, 2번부터 56번까지의 번호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출 용기(10)는 내용물(M)(도 5 참조)이 수용됨과 함께 내용물(M)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내부 용기(11) 및 내부 용기(11)가 내장됨과 함께 탄성 변형 가능한 외부 용기(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3)와,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에 장착되어, 내용물(M)을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된 토출 캡(15)과, 토출 캡(15)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오버 캡(16)을 구비하고 있다(도 1, 도 8 등 참조).
토출 용기(10)의 용기 본체(13)는 개구부(13a)와 동체부(13b)를 갖는다. 동체부(13b)는, 견부(13c), 웨스트부(13d), 하부 동체부(13e), 저부(13f)를 갖고 있다(도 8 등 참조).
용기 본체(13)는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은 천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16)의 피개 상태에 있어서, 이들 용기 본체(13) 및 오버 캡(16)의 각 중심축이 공통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 공통축을 용기축 O라고 하고, 용기축 O방향을 따라 오버 캡(16)측을 상측, 용기 본체(13)의 저부(13f)측을 하측이라고 하고, 또한 용기축 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용기축 O를 중심으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용기 본체(13)는 내부 용기(11)가 외부 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보틀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폐기될 수 밖에 없었던 PP제 등의 종래의 토출 용기와는 달리, 사용 후에 재이용(리사이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내용물(M)의 색을 그대로 명료하게 보여줄 수 있는 미장성을 갖는다. 또한, 토출 캡(15)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가 아닌 경우는, 회수 공정의 어디에선가 필요에 따라 당해 토출 캡(15)이 분리된 상태의 용기 본체(13)가 재이용되게 된다.
또한,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인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하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PP제 등의 종래의 토출 용기에 비해, 내용물의 향기를 유지하는 성능, 즉 보향성이 우수하다.
또한,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로 하면서도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용기(11)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용기(11)의 두께를, 통상의 PET 용기의 두께(사용 목적이나 부위에 따라 PET 보틀(용기)의 두께는 다르지만, 예를 들어 1L 간장 PET 보틀의 경우, 두께는 대개 0.2 내지 0.3㎜ 두께)의 2/3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정도 이하, 수치의 예를 들면 예를 들어 0.03 내지 0.2㎜ 두께,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5㎜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 두께 등으로 하여, 내부 용기(11)가 외부 용기(1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또한 내용물이 충전됨과 함께 해당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가요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이용 가능한 PET제의 토출 용기(PET 디라미네이션 용기)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부 용기(11)의 두께를 통상의 PET 용기의 두께의 2/3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정도 이하, 수치로서 0.03 내지 0.2㎜ 두께,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5㎜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 두께 등 가요성을 갖도록 하면, 당해 내부 용기(11)에 산소 투과성이 발생하여,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기능(산소 배리어 기능)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용기(11)를,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외부 용기(12)를,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내부 용기(11) 대신에 외부 용기(12)를,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할 수 있고,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의 양쪽을,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보다 강력하게 배리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통부(17)와,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 통부(17)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된 하부 통부(18)를 구비하는 2단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통부(17) 중, 외부 용기(12)로 구성된 부분(이하, 외측 상부 통부라고 한다)(1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상부 통부(17a)에 있어서, 수나사부(29)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부 용기(11)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9)에 있어서 흡기 구멍(19)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축 O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상부 통부(17a)의 내주면은 원통면으로 되고, 이 내주면에, 상부 통부(17) 중, 내부 용기(11)로 구성된 부분(이하, 내측 상부 통부라고 한다)(17b)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측 상부 통부(17b)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접혀 외측 상부 통부(17a)의 개구단 위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 캡(15)은,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를 폐색하는 중간 마개 부재(21)와, 해당 중간 마개 부재(21)를 덮음과 함께 토출구(14)가 형성된 천장이 있는 통형의 본체통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마개 부재(21)는 외주연부가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의 개구단 위에 배치된 마개 본체(47)와, 해당 마개 본체(47)로부터 세워 설치된 연통 통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 본체(47)는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 내에, 해당 개구부(13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의 내통부(24)와, 내통부(24)의 상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의 개구단 위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플랜지부(25)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외통부(26)와, 내통부(24)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플랜지부(25)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 내에 액밀하게 끼워 맞추어진 중간 통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내통부(24), 플랜지부(25), 외통부(26) 및 중간 통부(27)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26)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외기류 통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4)의 저벽부에는 상기 연통 통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저벽부에는, 내부 용기(11) 내 및 연통 통부(22) 내의 양쪽에 개구되는 관통 구멍(42)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해당 관통 구멍(42)은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됨과 함께 연통 통부(22)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이고, 관통 구멍(42)의 용기축 O방향을 따른 크기는, 연통 통부(22)의 용기축 O방향을 따른 크기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본체통 부재(23)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된 천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통 부재(23)의 주위벽부(23a)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의 수나사부(29)에 나사 장착된 암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부(23a) 중, 암나사부(30)가 형성된 나사 부분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부 내에는, 용기 본체(13)의 개구부(13a)에 있어서의 하부 통부(18)가 기밀 상태로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나사 부분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 내에는, 중간 마개 부재(21)의 외통부(26)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본체통 부재(23)의 천장 벽부(23b)는 주위벽부(23a)의 상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 설치된 환상 하부 판부(31)와, 하부 판부(31)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하부 판부(31)보다도 상방에 배치된 상부 판부(32)와, 하부 판부(31)의 내주연과 상부 판부(32)의 외주연을 연결하는 연결환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하부 판부(31), 상부 판부(32) 및 연결환부(33)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부 판부(32)에는, 본체통 부재(23) 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34)을 갖는 외기 도입용 돌기(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판부(32)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내경이 중간 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의 내경과 동등한 받침 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판부(32)에는, 내부가 상기 토출구(14)로 된 토출통(36)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해당 토출구(14) 내에는, 오버 캡(16)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내부 시일 통부(시일부)(37)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토출구(14)의 축선 방향은 용기축 O방향과 일치한다.
여기서 중간 마개 부재(21)와 본체통 부재(23) 사이에는, 중간 마개 부재(21)의 연통 통부(22)에 외부 끼움된 통형 부재인 외부 끼움 통부(40)가 배치되어 있다. 해당 외부 끼움 통부(40)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고, 외부 끼움 통부(40)의 하단부는, 연통 통부(22)에 외부 끼움됨과 함께 중간 마개 부재(21)의 내통부(24) 내에 끼워 맞추어지고, 외부 끼움 통부(40)의 상단부는, 본체통 부재(23)의 받침 통부(35) 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외부 끼움 통부(40)의 용기축 O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는,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환상 공기 밸브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밸브부(41)는 받침 통부(35)와 연결환부(33) 사이의 공간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 밸브부(41)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흡기 구멍(19)과 외기 도입 구멍(34)의 연통 및 그 차단을 전환한다.
또한 중간 마개 부재(21)에는, 토출구(14)와 내부 용기(11) 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43)은 연통 통부(22)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어,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축 O방향과, 연통 구멍(43)의 축선 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연통 구멍(43)은 토출구(14)보다도 하측, 즉 용기축 O방향을 따른 내부 용기(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통 구멍(43)의 내용적은 토출구(14)의 내용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 구멍(43) 내에는,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용기축 O방향을 따라 탄성 변위되어 당해 연통 구멍(43)을 개폐하는 밸브체부(4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부(44)는, 용기축 O와 동축으로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주연 상단부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상 플랜지부(44a)로 되어 있고, 밸브체부(44)(플랜지부(44a))가 연통 통부(22)의 상단 개구면 상에 맞닿아, 관통 구멍(42)과 연통 구멍(43)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부(44)의 중앙부에는 내부 시일 통부(37)의 하단부(37a)가 맞닿는 돌출부(44b)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밸브체부(44)의 주연 상단은, 연통 통부(22)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밸브체부(44)의 주연 상단에는, 밸브체부(44)와 외부 끼움 통부(40)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편(45)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도시한 예에서는 셋 마련되어 있고, 각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탄성 연결편(45)의 양단부의 용기축 O방향의 위치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부(44), 외부 끼움 통부(40), 탄성 연결편(45) 및 공기 밸브부(41)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45)은 탄성 변형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것을 허용한다(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탄성 연결편(45)이 탄성 변형되면서 밸브체부(44)가 변위되는 것을 탄성 변위라고 표현하고 있다). 탄성 연결편(45)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셋)인 경우, 이들 탄성 연결편(45)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 연결편(45)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탄성 변위될 때의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악화된 상태)로 되지 않도록 하여 당해 밸브체부(44)의 원활한 변위를 보조할 수 있다(도 7 참조).
밸브체부(44)가 탄성 변위될 때, 탄성 연결편(45)은 일부에 비틀림이 더해져 탄성 변형되면서 전체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된다(도 7 참조). 이때, 탄성 연결편(45) 자체는 일부가 비틀린 상태로 되고, 또한 상태에 따라 전체가 연신된 상태로 되어, 당해 탄성 연결편(45)의 탄성 복원력이, 밸브체부(44)를 변위 전의 위치로 복원 변위(복귀)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탄성 변위 혹은 복원 변위될 때,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도 지장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탄성 연결편(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고, 밸브체부(44)의 초기 상태 또는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내측을 향해 복원 변위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밸브체부(44)와 외부 끼움 통부(40) 사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부(44)의 플랜지부(44a)와 외부 끼움 통부(40)의 내주면 사이)의 좁은 간극에 간결하게 수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처럼 오버 캡(16)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오버 캡(16)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 내용물(M)이 넘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하여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연통 통부(22)의 환상 상단면이, 밸브체부(44)의 주연 상단부에 마련된 환상 플랜지부(44a)와 맞닿아 해당 밸브체부(44)를 받는 밸브 시트(밸브 누르개)(22a)로서 기능한다. 이때, 밸브체부(44)의 저면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아도 되고 맞닿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밸브체부(44) 중 밸브 시트(22a)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는, 내용물(M)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44c)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유통 허용 홈(44c)은, 밸브체부(44)가 밸브 시트(22a)에 착좌한 후, 내측 공간(46)에 잔류한 내용물(M)을 내부 용기(11) 내로 복귀시키고, 또한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해당 내용물(M)이 해당 유통 허용 홈(44c)을 폐색(공기의 유통을 저지)하는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내측 공간(46)에 잔류한 내용물의 일부가, 상기 유통 허용 홈(44c)에 의해 내부 용기로 복귀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유통 허용 홈(44c)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통 허용 홈(44c)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10)에 있어서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형의 평판형의 밸브체부(44)가 채용되어 있다. 이 밸브체부(44) 중 밸브 시트(22a)와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에는, 내용물(M)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 허용 홈(44c)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이 유통 허용 홈(44c)도 또한, 밸브체부(44)가 밸브 시트(22a)에 착좌한 후, 내측 공간(46)에 잔류한 내용물(M)을 내부 용기(11) 내로 복귀시키고, 또한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해당 내용물(M)이 해당 유통 허용 홈(44c)을 폐색(공기의 유통을 저지)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통 허용 홈(44c)은, 밸브체부(44)의 이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외연으로부터 외연까지 직선형으로, 예를 들어 직경과 동등한 길이로 되도록 마련해도 되고, 외연로부터 당해 이면의 중앙 부분의 임의 위치까지의 길이로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토출구에 내용물(M)이 잔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사용할 때나 보관 시에 충격이 가해진 때 등에, 이 잔류된 내용물(M)의 누출이나 비산에 의해, 주위를 오염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오버 캡(16)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 상기 내측 공간(46)에 내용물(M)이 잔류되어 있는 경우에는, 토출구(14)에 인입하여 끼워 맞추려고 하는 내부 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을 압출하는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등에 도시하는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구(14)의 부근이나 내측 공간(46)에 고여 있던 내용물(M)은, 유통 허용 홈(44c)을 유통하여, 관통 구멍(42)을 통해 내부 용기(11)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캡(16)을 폐쇄하여 피개 상태로 할 때, 내용물(M)이 넘쳐서 오버 캡(16)의 내측이나 토출 캡(15)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밸브체부(44)에만 유통 허용 홈(44c)을 마련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냈지만, 그 밖에,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것에 더하여 밸브 시트(22a)에도 유통 허용 홈을 마련할 수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토출 용기(10)로부터 내용물(M)을 토출할 때는, 먼저, 토출 캡(15)으로부터 오버 캡(16)을 벗긴다. 그 후, 토출구(14)가 하방을 향하도록 토출 용기(10)를 기울여 토출 자세로 한 상태에서(도 5 참조), 토출 용기(10)를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키고, 내부 용기(11)를 외부 용기(12)와 함께 변형시켜 용적 축소시킨다.
그러면, 내부 용기(11)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내부 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을 통해 밸브체부(44)를 압박하게 되고, 탄성 연결편(45)이 탄성 변형되고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외측을 향해 탄성 변위되어, 연통 구멍(43)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내부 용기(11) 내의 내용물(M)이, 관통 구멍(42), 연통 구멍(43), 외부 끼움 통부(40) 내 및 토출구(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도 5 참조).
그 후,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하거나 해제하거나 함으로써, 내부 용기(11) 내의 내용물(M)에 의한 밸브체부(44)로의 압박력을 약화시키면, 탄성 연결편(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내측을 향해 복원 변위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부(44)가, 연통 구멍(43) 내에 진입하면, 밸브체부(44)의 외주면이 연통 구멍(43)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연통 구멍(43)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본체통 부재(23)와 중간 마개 부재(21) 사이에, 내부 용기(11)로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잔존하는 내측 공간(46)이 형성된다. 이 내측 공간(46)은 토출구(14)에 연통함과 함께 밸브체부(44)를 획벽의 일부로 하고, 해당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측 공간(46)이 형성된 후, 해당 밸브체부(44)가 복원 변위를 계속하여 연통 구멍(43) 내를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 밸브체부(44)의 복원 변위에 수반하여 내측 공간(46)의 내용적이 증대되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을 내측 공간(46) 내에 인입하는 것이 가능해져,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 A를 흡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3)의 압박을 해제하면, 내부 용기(11)가 용적 축소 변형된 채 외부 용기(12)가 복원 변형되려고 한다. 이때,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흡기 구멍(19)을 통해 공기 밸브부(41)에 작용함으로써, 공기 밸브부(41)가 개방 상태로 된다. 그러면, 외기 도입 구멍(34), 외기류 통과 구멍(28), 연통 홈(20) 및 흡기 구멍(19)을 통해 외부 용기(12)와 내부 용기(11) 사이에 외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외부 용기(12)와 내부 용기(11) 사이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공기 밸브부(41)가 복원 변형되어 흡기 구멍(19)과 외부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에 내부 용기(11)의 용적 축소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밸브체부(44)가 밸브 시트(22a)에 착좌하여 폐색 상태로 된 시점에서 내측 공간(46)에 내용물(M)이 잔류되었다고 해도, 당해 잔류된 내용물(M)은, 유통 허용 홈(44c) 및 밸브체부(44)의 외주면과 연통 통부(22)의 내주면의 간극을 통해 내부 용기(11) 내로 복귀될 수 있다. 나아가, 그 최종 단계에 있어서, 표면 장력에 의해 내용물(M)이 유통 허용 홈(44c)을 폐색하여 공기의 유통을 저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용기 본체(13)의 외부 용기(12)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공기 밸브부(41)는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점에서 외부 용기(12)와 내부 용기(11) 사이의 내압이 정압으로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부 용기(11)가 용적 축소 변형되어, 전술한 작용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된다.
또한, 내용물(M)을 토출한 후, 밸브체부(44)에 의해 연통 구멍(43)이 폐색되기 전에, 토출 용기(10)의 압입을 정지할뿐만 아니라 해제도 한 경우, 내부 용기(11)가 외부 용기(12)에 추종하여 복원 변형되려고 한다. 그러면, 내부 용기(11)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이 밸브체부(44)에 작용함으로써, 밸브체부(44)가, 용기축 O방향을 따라 내부 용기(11)의 내측을 향해 원활하게 복원 변위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인 점에서, 사용 후에 재이용(리사이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토출 용기(10)는, PP제 등의 종래의 토출 용기에 비해, 보향성(내용물의 향기를 유지하는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10)에 의하면, 내용물(M)의 토출 후, 토출구(14) 내의 내용물(M)을 내측 공간(46) 내로 끌어들이고, 토출구(14)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 A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내부 용기(11)로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용물(M)이 토출구(14)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2)이, 연통 구멍(43)보다도 소직경이므로, 밸브체부(44)가, 의도치 않게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내부 용기(11)의 내측으로 변위되려고 해도, 밸브체부(44)가, 마개 본체(47)에 있어서 연통 통부(22)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게 되어, 밸브체부(44)의 전술한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오버 캡(16)에 내부 시일 통부(37)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오버 캡(16)을 폐쇄한 상태에서 토출구(14)로부터 내용물(M)이 갑자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M)의 토출 후, 내부 용기(11)로 복귀되지 않은 내용물(M)이 토출구(14) 내에 잔존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내용물(M)의 토출 후에 오버 캡(16)을 토출 캡(15)에 장착시켜, 내부 시일 통부(37)를 토출구(14) 내에 끼워 맞췄을 때, 내부 시일 통부(37)에 의해 내용물(M)이 토출구(14)부터 외부로 압출되거나, 내부 시일 통부(37)에 내용물(M)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밸브부가 있는 토출 용기(10)를 설명했지만, 공기 밸브부를 구비하지 않은 토출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공기 밸브부가 없고 극히 미세한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의 토출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3)를 구성하는 내부 용기(11) 및 외부 용기(12)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토출 용기(10)는 내용물(M)이, 액상 식품을 비롯한 각종 액상물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액상 식품의 구체예로서는, 간장, 간장 가공품 등의 간장 함유 조미료, 혹은 기타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향기 성분의 감소의 억제 방법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조미료 중에 포함되는 상술한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이중 용기 내에 해당 액체 조미료를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억제 방법에서 사용하는 이중 용기는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중 용기의 구성과 각 측정 조건의 상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의 용기 본체(13)를 시험 제작하여, 이들에 있어서의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의 실제의 두께를 측정했다. 측정은 이하의 기기, 측정 방법 등에 기초하여 실시했다.
기기: OLYMPUS Magna-Mike 8600
측정 금속구: 1/16 IN
측정 방법: 특별히 상세한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견부에는 종방향으로 4개의 리브(돌기)가 있고, 그 연장선 상의 4개소에 대하여, 용기 본체(13)의 저부(13f)로부터 높이 30㎜마다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의 두께를 측정했다. 상기 측정에 의해 얻어진 내부 용기(11)와 외부 용기(12)의 두께는,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또한, 단위는 [㎜]이고, <1> 내지 <4>는 견부 리브의 연장선 상의 4개소의 각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금형의 이음매(「파팅 라인」)가 이 4개 중 2개의 리브 위에 있고, 나머지 리브는 파팅 라인으로부터 90°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일반적으로는 파팅 라인을 안표로 하여 용기의 두께의 측정이 행해진다.
[내부 용기의 두께]
저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1> 0.057, <2> 0.075, <3> 0.078, <4> 0.08
저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1> 0.074, <2> 0.087, <3> 0.099, <4> 0.077
저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1> 0.067, <2> 0.096, <3> 0.116, <4> 0.073
저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1> 0.066, <2> 0.09, <3> 0.115, <4> 0.057
저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1> 0.081, <2> 0.099, <3> 0.123, <4> 0.079
또한, 내부 용기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는 이하와 같이 되었다.
저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73, 표준 편차 0.010536
저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84, 표준 편차 0.011295
저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88, 표준 편차 0.022465
저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82, 표준 편차 0.026038
저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096, 표준 편차 0.020421
[외부 용기의 두께]
저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1> 0.253, <2> 0.246, <3> 0.255, <4> 0.263
저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1> 0.276, <2> 0.256, <3> 0.286, <4> 0.252
저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1> 0.278, <2> 0.261, <3> 0.297, <4> 0.265
저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1> 0.245, <2> 0.246, <3> 0.267, <4> 0.343
저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1> 0.275, <2> 0.27, <3> 0.266, <4> 0.31
또한, 외부 용기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는 이하와 같이 되었다.
저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54, 표준 편차 0.006994
저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68, 표준 편차 0.016197
저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75, 표준 편차 0.016215
저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75, 표준 편차 0.046292
저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평균값 0.280, 표준 편차 0.020172
또한, 상기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진, 내부 용기(11), 외부 용기(12) 각각의 두께 분포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내부 용기의 두께 분포]
저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725
저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8425
저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88
저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82
저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0955
[외부 용기의 두께 분포]
저부로부터의 거리 15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5425
저부로부터의 거리 12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675
저부로부터의 거리 9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7525
저부로부터의 거리 6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7525
저부로부터의 거리 30㎜의 위치에 있어서, 두께 0.280255
상기 이중 용기의 내부 용기에, 일본 특허 제5161462호 공보(위에 게시)에 준하여 조제한 폴리아미드/전이 금속 촉매계 산소 흡수제를 2% 정도로 혼합한 것을 이하에서 사용했다.
실시예의 에틸에스테르류와 내부 표준 물질인 시클로헥산올의 양은, 헤드스페이스 SPME-GC-MS에서 이하의 조건에 따라 측정했다.
· 향기 성분의 분리 농축 방법
SPME 파이버와 휘발성 성분 추출 장치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따라, 고상 마이크로 추출법으로 향기 성분의 분리 농축을 행하였다.
<고상 마이크로 추출 조건>
SPME 파이버; SPME Fiber Assembly 75㎛ CAR/PDMS(SUPELCO사제)
휘발성 성분 추출 장치; AOC-5000(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예비 가온; 40℃, 5min
교반 속도; 250rpm
휘발성 성분 추출; 40℃, 20min
탈착 시간; 20min
· 에틸에스테르류의 측정 방법 및 측정 조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따라, 액상 조미료 중의 에틸에스테르류의 피크 면적 및 내부 표준 물질의 피크 면적을 측정했다. 액체 조미료로서, 화입 간장(예 1), 생간장(예 2), 감귤 초간장(예 4)을 사용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조건>
측정 기기; QP-2010ultra(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칼럼; DB WAX-UI(길이 60m, 구경 0.25㎜, 막 두께 0.25㎛)(Agilent Technologies사제)
온도 조건; 40℃(3min) 유지→110℃까지 5℃/min 승온→240℃까지 10℃/min 승온→5min 유지
캐리어; 고순도 헬륨, 선속도 일정 모드 40㎝/min
스캔 질량 범위; m/z 40.0 내지 250.0
이온화 방식; EI
에틸에스테르류나 내부 표준 물질인 시클로헥산올은, 이하의 m/z를 사용하여 피크 면적값을 구했다.
프로판산에틸 m/z 102
2-메틸프로판산에틸 m/z 71
부티르산에틸 m/z 71
2-메틸부티르산에틸 m/z 102
3-메틸부티르산에틸 m/z 88
시클로헥산올 m/z 82
실시예의 에틸에스테르류와 내부 표준 물질인 2-옥탄올의 양은, 아세트산에틸에 의한 샘플 추출액을 GC-MS에서 분석하고, 이하의 조건에 따라 측정했다.
· 샘플 추출법
샘플인 하기의 음식품 조성물(다시마 간장(예 3)) 5.0g에 대하여, 식염 2.0g, 아세트산에틸 1.0ml, 2-옥탄올 용액(100ppm) 100μL를 첨가하여, 5분간, 격렬하게 교반한 후, 유기 용매층을 추출했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500μL까지 농축하여 향기 농축물을 얻었다. 얻어진 향기 농축물은 하기의 조건에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을 행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조건>
측정 기기; 5977B(Agilent Technologies사제)
칼럼; DB WAX-UI(길이 60m, 구경 0.25㎜, 막 두께 0.25㎛)(Agilent Technologies사제)
온도 조건; 40℃(3min) 유지→250℃까지 6℃/min 승온→15min 유지
캐리어; 고순도 헬륨, 압력 일정 모드 229㎪
스캔 질량 범위; m/z 30.0 내지 250.0
이온화 방식; EI
각각의 에틸에스테르류나 내부 표준 물질인 2-옥탄올은, 이하의 m/z를 사용하여 피크 면적값을 구했다.
테트라데칸산에틸 m/z 88
헥사데칸산에틸 m/z 88
옥타데칸산에틸 m/z 88
올레산에틸 m/z 55
리놀레산에틸 m/z 95
6,9,12-헥사데카트리엔산에틸 m/z 75
9,12,15-헥사데카트리엔산에틸 m/z 75
6,9,12,15-옥타데카트리엔산에틸 m/z 75
2-옥탄올 m/z55
숙련된 패널 2명에 의해, 보존 전의 액을 컨트롤로 하여 다양한 음식품 조성물의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향기·맛의 변화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2: 향기가 매우 향상되었다
1: 향기가 약간 향상되었다
0: 변화가 없다
-1: 향기가 약간 열화되었다
-2: 향기가 매우 열화되었다
예 1: 화입 간장에 있어서의 에틸에스테르류의 변화와 관능 평가
상기 이중 용기 본체에, 화입 간장(기코만사제)을 충전하고, 화입 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화입 간장 중에 포함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측정했다.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특정한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화입 간장의 보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예 2: 생간장에 있어서의 에틸에스테르류의 변화와 관능 평가
용기 본체에, 생간장(기코만사제)을 충전하고, 생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생간장 중에 포함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측정했다.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생간장의 보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예 3: 다시마 간장에 있어서의 에틸에스테르류의 변화와 관능 평가
용기 본체에, 다시마 간장(기코만사제)을 충전하고, 다시마 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다시마 간장 중에 포함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측정했다.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현저한 것에 대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다시마 간장의 보향성이 우수해, 품질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예 4: 감귤 초간장에 있어서의 에틸에스테르류의 변화와 관능 평가
용기 본체에, 감귤 초간장(야마사 간장사제)을 충전하고, 감귤 초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감귤 초간장 중에 포함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측정했다.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에틸에스테르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에스테르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감귤 초간장의 보향성이 우수해, 품질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예 5: 생간장에 있어서의 색도의 변화
용기 본체에, 생간장(기코만사제)을 충전하고, 생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전, 보관 후의 생간장의 색번을 측정했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시험구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단층 보틀(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 모두, 색의 변화가 단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해 작아, 품질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중 용기로 함으로써 색의 변화를 비약적으로 보존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실시예의 테르펜류와 내부 표준 물질인 2-옥타논의 측정 방법은, 헤드스페이스 SPME-GC-MS로 이하의 조건에 따라 측정했다.
· 향기 성분의 분리 농축 방법
SPME 파이버와 휘발성 성분 추출 장치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따라, 고상 마이크로 추출법으로 향기 성분의 분리 농축을 행하였다.
<고상 마이크로 추출 조건>
SPME 파이버; SPME Fiber Assembly 75㎛ CAR/PDMS(SUPELCO사제)
휘발성 성분 추출 장치; AOC-5000(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예비 가온; 40℃, 5min
교반 속도; 250rpm
휘발성 성분 추출; 40℃, 20min
탈착 시간; 20min
· 테르펜류의 측정 방법 및 측정 조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따라, 액상 조미료 및 음료 중의 에틸에스테르류의 피크 면적 및 내부 표준 물질의 피크 면적을 측정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조건>
측정 기기; QP-2010ultra(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칼럼; DB WAX-UI(길이 60m, 구경 0.25㎜, 막 두께 0.25㎛)(Agilent Technologies사제)
온도 조건; 40℃(3min) 유지→110℃까지 5℃/min 승온→240℃까지 10℃/min 승온→5min 유지
캐리어; 고순도 헬륨, 선속도 일정 모드 40㎝/min
스캔 질량 범위; m/z 40.0 내지 250.0
이온화 방식; EI
테르펜류나 내부 표준 물질인 2-옥타논은, 이하의 m/z를 사용하여 피크 면적값을 구했다. 또한, 각각의 테르펜류의 확인 이온으로서 괄호 내의
사비넨 m/z 93
피넨 m/z 93
리모넨 m/z 93
테르피넨 m/z 93
시멘 m/z 119
리날로올 m/z 93
2-옥타논 m/z 58
예 6: 감귤 초간장에 있어서의 테르펜류의 변화
용기 본체에, 감귤 초간장(미트칸사제)을 충전하고, 감귤 초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감귤 초간장 중에 포함되는 테르펜류의 양을 측정했다. 테르펜류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테르펜류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7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감귤 초간장의 보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예 7: 야채·과실 믹스 주스에 있어서의 테르펜류의 변화
용기 본체에, 야채·과실 믹스 주스(야채즙 65%, 이토엔사제)를 충전하고, 생간장이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야채·과실 믹스 주스 중에 포함되는 테르펜류의 농도를 측정했다. 테르펜류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테르펜류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8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야채·과실 믹스 주스의 보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예 8: 청량 음료수에 있어서의 테르펜류의 변화
용기 본체에, 청량 음료수(아쿠아리우스 비타민(코카콜라 커스터머 마케팅사제))를 충전하고, 청량 음료수가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청량 음료수 중에 포함되는 테르펜류의 농도를 측정했다. 테르펜류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테르펜류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09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청량 음료수의 보향성이 우수해, 품질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예 9: 드레싱에 있어서의 테르펜류의 변화
용기 본체에, 드레싱 타입 조미료(푸른 차조기 드레싱(리켄 비타민사제))를 충전하고, 드레싱 타입 조미료가 충전된 용기 본체에 토출 캡을 장착했다. 그 용기 본체를, 실온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보관 후, 드레싱 타입 조미료 중에 포함되는 테르펜류의 농도를 측정했다. 테르펜류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다. 보존 개시 시의 테르펜류의 농도를 100%로 표시하였다.
시험구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수지)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한다)
시험구 2: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산소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ct00010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현저한 데 비해,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테르펜류의 감소가 적었다. 또한,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에 비해, 향, 맛 모두 관능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소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이중 용기는, 드레싱 타입 조미료의 보향성이 우수해, 품질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 개방 후에 향기 성분의 변화가 적은, 장기간 보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 특히 액체 조미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토출 용기
11: 내부 용기
12: 외부 용기
13: 용기 본체
13a: 개구부
14: 토출구
15: 토출 캡
19: 흡기 구멍
34: 외기 도입 구멍
M: 내용물

Claims (8)

  1. 적어도 이중 용기에 충전된 음식품 조성물이며, 당해 용기의 최내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음식품 조성물이 충전됨과 함께 음식품 조성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오므리기 변형되는 내부 용기와,
    해당 내부 용기가 내장됨과 함께 해당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 외부 용기를 갖는 이중 용기 본체와,
    해당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음식품 조성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
    을 구비하는 토출 용기인, 음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산소 흡수제를 갖는, 음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제조로부터 30일간 실온에서 보존한 후의 음식품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탄소수 6 내지 20으로 구성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및/또는 탄소수 10의 테르펜류의 농도가, 제조 0일의 농도와 비교하여 80% 이상인, 음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조미료인, 음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액체 조미료가 간장 또는 간장 가공품인, 음식품 조성물.
  7. 음식품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이중 용기 내에 해당음식품 조성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성분이, 탄소수 6 내지 20으로 구성되는 에틸에스테르류 및/또는 탄소수 10의 테르펜류인, 방법.
KR1020197031401A 2017-04-05 2018-04-02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KR20190133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4427A KR102520008B1 (ko) 2017-04-05 2018-04-02 생간장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5275 2017-04-05
JPJP-P-2017-075275 2017-04-05
PCT/JP2018/014072 WO2018186333A1 (ja) 2017-04-05 2018-04-02 二重容器詰め飲食品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427A Division KR102520008B1 (ko) 2017-04-05 2018-04-02 생간장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717A true KR20190133717A (ko) 2019-12-03

Family

ID=637128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427A KR102520008B1 (ko) 2017-04-05 2018-04-02 생간장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
KR1020197031401A KR20190133717A (ko) 2017-04-05 2018-04-02 이중 용기 포장 음식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427A KR102520008B1 (ko) 2017-04-05 2018-04-02 생간장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62476A1 (ko)
EP (1) EP3608241A4 (ko)
JP (1) JP7219704B2 (ko)
KR (2) KR102520008B1 (ko)
CN (1) CN110709327A (ko)
CA (1) CA3058875C (ko)
WO (1) WO2018186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2371A (zh) * 2017-03-15 2019-10-25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US11155398B2 (en) 2017-04-05 2021-10-26 Kikkoman Corporation Dispensing container
CN112027300A (zh) * 2020-10-12 2020-12-04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双层瓶
CN112849725A (zh) * 2021-03-15 2021-05-28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低成本的双层瓶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280A (ja) 2003-01-31 2004-08-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045A (en) * 1990-12-17 1994-09-06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AU2003200821B2 (en) * 2002-03-11 2007-06-1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oxygen absorb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oxygen absorb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produced by the process
AU2004202264B2 (en) * 2003-05-29 2008-12-1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asterbatch and production method of oxygen-absorbing molded article
JP2005015686A (ja) *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フルーツ様香料組成物
US8192676B2 (en) 2004-02-12 2012-06-05 Valspar Sourcing, Inc.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069574A (zh) * 2006-05-10 2007-11-14 蔡迎春 蛋白质≤0.8%的高密度聚乙烯塑料瓶装蛋白饮料
CN201144037Y (zh) * 2008-01-25 2008-11-05 唐明 一种饮料瓶子
JP5667010B2 (ja) * 2011-06-09 2015-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336702B2 (ja) * 2011-08-05 2018-06-06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CN103841862B (zh) * 2011-09-09 2017-10-20 弗特马斯特有限责任公司 饮料机
JP5938289B2 (ja) * 2012-07-26 2016-06-22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EP2979984B8 (en) * 2013-03-28 2020-02-2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Delamination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BR112015032528B1 (pt) * 2013-06-25 2021-09-08 The Coca-Cola Company Pasteurização em garrafa
KR102136665B1 (ko) * 2013-11-27 2020-07-22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US10669059B2 (en) * 2013-11-27 2020-06-02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KR102402208B1 (ko) * 2013-11-27 2022-05-25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JP6219187B2 (ja) * 2014-01-31 2017-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2015223496A (ja) * 2014-05-26 2015-12-14 有限会社スタジオナウ 密封型しょうゆ差し
JP6407649B2 (ja) * 2014-09-30 2018-10-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6488151B2 (ja) * 2015-02-27 2019-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2016193743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867111B2 (ja) * 2015-05-08 2021-04-2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重構造容器成形用プリフォーム及び二重構造容器
JP2016216124A (ja) * 2015-05-26 2016-1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2017030846A (ja) * 2015-08-06 2017-02-09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カップゴム使用のバックサクション機構、このバックサクション機構を備えた二重容器、およびこの二重容器を備えたスクイーズ操作態様のポンプ式製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280A (ja) 2003-01-31 2004-08-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86333A1 (ja) 2020-02-13
JP7219704B2 (ja) 2023-02-08
CA3058875C (en) 2023-03-07
US20200062476A1 (en) 2020-02-27
CA3058875A1 (en) 2018-10-11
CN110709327A (zh) 2020-01-17
WO2018186333A1 (ja) 2018-10-11
KR20220062421A (ko) 2022-05-16
EP3608241A1 (en) 2020-02-12
EP3608241A4 (en) 2021-01-27
KR102520008B1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008B1 (ko) 생간장 중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감소를 억제하는 방법
Nisperos-Carriedo et al.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fresh and processed orange juices
JP7051985B2 (ja) 高リコピン含有トマトケチャップ
TW201934019A (zh) 含乙酸飲食品及其製造方法、用於含乙酸穀類加工品之調製用飲食品、含乙酸飲食品之品質改善方法
Berlinet et al. Ascorbic acid, aroma compounds and browning of orange juices related to PET packaging materials and pH
JP2006333720A (ja) 高品質トマト処理物及びそれを用いるトマト加工食品の製造法
JP6775411B2 (ja) 飲料
Passy OFF—FLAVORS FROM PACKAGING MATERIALS IN FOOD PRODUCTS SOME CASE STUDIES
Sandhu et al. Oranges and citrus juices
Bartoshuk et al. Saltiness of monosodium glutamate and sodium intake
JP6568741B2 (ja) 柑橘果汁、それを含有する調味料及び飲料
KR101001125B1 (ko) 용기 포장 수중유형 유화식품 및 그 제조법
US2013006495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innamon
López-Gómez et al. 10 Packaging and the Shelf Life of Orange Juice
JP7027590B2 (ja) 容器詰飲料の製造方法
Sablani et al. Food–Packaging Interactions
Chung et al.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aroma-active compounds in Dangyooja (Citrus grandis Osbeck)
JP6405437B2 (ja) 味噌又は味噌含有飲食品の香味改善剤
Seccia et al. Bisphenols and Alkylphenols in Food: From Farm to Table
JP6959385B2 (ja) 容器詰飲料の製造方法
Samusenko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spice-aromatic plant essential oils
JP6952153B2 (ja) 容器詰飲料
EP0259274A1 (en) System for aromatizing foods
Omobuwajo Food ffavourings: principles of applications
López-Gómez et al. 10 Packaging and the 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