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207A -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207A
KR20190133207A KR1020197031482A KR20197031482A KR20190133207A KR 20190133207 A KR20190133207 A KR 20190133207A KR 1020197031482 A KR1020197031482 A KR 1020197031482A KR 20197031482 A KR20197031482 A KR 20197031482A KR 20190133207 A KR20190133207 A KR 2019013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lare
coating composition
layer
antigl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536B1 (ko
Inventor
다카미쓰 와타나베
게이고 기타모토
다케키 호소카와
가즈히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니폰 페인트 오토모티브 코팅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페인트 오토모티브 코팅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페인트 오토모티브 코팅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성 및 번쩍임 방지성이 우수한 방현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제 1, 제 2 및 제 3 성분을 포함하고,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제 1 및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소정의 표면 거칠기를 갖고, 제 1 성분은, 적어도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제 2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 등으로 경화시킬 수 있는,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제 3 성분은 소정의 평균 입경과 굴절률(Rf3)을 갖는다. 또한, Rf3과, 경화 도막의 굴절률 Rfcf는, 0.01≤|Rf3-Rfcf|≤0.23의 관계이고, 제 1 성분의 SP치(SP1), 제 2 성분의 SP치(SP2), 제 3 성분의 SP치(SP3)가 SP1-SP2≥0.7, 또한 (SP3)<(SP2)<(SP1)의 관계이다.

Description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은,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컴퓨터, 텔레비전,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 기기(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기기 및 전자 수첩 등), 그리고, 디지털 미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비게이션, 콘솔 패널, 센터 클러스터 및 히터 컨트롤 패널 등의 차재용 표시 패널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현(AG: Anti Glare)층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방현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의 요철에 의해 외광을 난반사시켜, 디스플레이 표면에 반사한 상의 윤곽을 애매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있어서의 반사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사용 시에 있어서의 반사상의 비쳐듦에 의한 화면 시인성의 장애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고정세화에 수반하여, 영상광과 방현층의 표면 형상이 간섭하는 것에 의해, 미세한 휘도의 격차가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우수한 방현성과, 번쩍임 방지를 양립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1-112964호 공보(특허문헌 1)는, 광투과성 기재 상에 적어도 방현층을 갖고, 상기 방현층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반대측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요철 형상은, 상기 방현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A), 및 상기 방현층에 포함되는 내부 산란 입자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B)로 이루어지고, 또한,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3μm 미만인 광학 적층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 광학 적층체는, 외경(外景)의 비쳐듦, 번쩍임 방지 및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는, 예를 들어, 고정세화된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하면, 번쩍임이 생길 수 있는 등, 방현성과 번쩍임 방지를 양립시키는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공개 2009-75248호 공보(특허문헌 2)는, 기재 필름 상에, (A)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의 경화물, (B) 열가소성 수지 및 (C) 유기 미립자를, 질량비 100:0.3:1∼100:50:50의 비율로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을 갖고, 당해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 상기 (A) 성분과 (B) 성분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내부 헤이즈치가 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은, 예를 들어, 고정세화된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하면, 번쩍임이 생길 수 있는 등, 방현성과 번쩍임 방지를 양립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상 선영성의 합계치가 150 이하로 낮기 때문에 화면 표시에 대한 시인성이 만족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공개 2008-299007호 공보(특허문헌 3)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적어도 1층의 방현 하드 코팅층을 설치한 방현 하드 코팅 필름으로서,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은, 수지 A(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수지 B(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폴리머)와 안료를 포함하고,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 헤이즈는 해당 수지 A와 해당 수지 B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발생시키고, 또한 내부 헤이즈는 상기 수지 A 및/또는 수지 B와 굴절률이 상이한 안료에 의한 내부 산란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 코팅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방현 하드 코팅 필름은, 예를 들어, 고정세화된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하면, 번쩍임이 생길 수 있는 등, 방현성과 번쩍임 방지를 양립시키는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공개 2011-11296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752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9900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 요구되는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태양을 제공한다.
[1]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상기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상기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상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상기 굴절률(Rf3)과,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상기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상기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상기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상기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1)의 관계를 갖는,
(1): (SP3)<(SP2)<(SP1)
방현 코팅 조성물.
[2] 제 1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5000인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제 2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100000인,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인, [1]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
[3] 제 1 성분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
[4] 제 1 성분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 1 성분에 있어서의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질량비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99.5:0.5∼20:80의 범위 내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
[5]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질량비는, 제 1 성분:제 2 성분=99.5:0.5∼60:40의 범위 내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
[6]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막 두께가 1.0∼10.0μm인 경우, 토털 헤이즈치 Ha가 1∼35%이고, 또한 내부 헤이즈치 Hi가 0.5∼25%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
[7] 투명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을 갖는, 광학 적층 부재로서, 방현 하드 코팅층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인, 광학 적층 부재.
[8] 투명 고분자 기재의 한쪽 면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을 갖고, 또한,
투명 고분자 기재의 다른 한쪽 면 상에, 가식층을 갖는, 광학 적층 부재로서,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인, 광학 적층 부재.
[9] 상기 [8]에 기재된 광학 적층 부재를 갖는, 차재 기기용 광학 적층 부재.
[10] 기재 표면에, 방현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미경화의 코팅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경화의 코팅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요철을 갖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방현 코팅 조성물은,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고,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상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굴절률(Rf3)과,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1)의 관계를 갖는,
(1): (SP3)<(SP2)<(SP1)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11]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로서,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굴절률(Rf3)과,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2)의 관계를 갖는,
(2): (SP2)<(SP3)<(SP1) 또한 |SP1-SP3|>|SP2-SP3
방현 코팅 조성물.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현 하드 코팅층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면 관찰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상기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상기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상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상기 굴절률(Rf3)과,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상기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상기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상기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상기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1)의 관계를 갖는,
(1): (SP3)<(SP2)<(SP1)
방현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우수한 방현 성능과 번쩍임 방지 성능을 양립시켜 가져오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고정세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우수한 방현 성능과 번쩍임 방지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 관찰 사진의 일례이다. 제 1 성분, 제 2 성분 및 제 3 성분에 의해, 미세 요철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 오목부(10)는, 바다 구조라고도 칭해지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성분을 주로 포함한다. 또한, 볼록부(20)는, 섬 구조라고도 칭해지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성분 및 제 3 성분을 주로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관찰 사진은, 예에 지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우수한 내찰상 성능을 가져온다. 또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나타내는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흑색의 뚜렷한 감을 유지할 수 있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차재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차재 기기용 광학 적층 부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은, 예를 들어, 차재 기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용 광학 적층 부재에 이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용 광학 적층 부재는,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서, 성형품은 적당한 경도를 갖지 않으면 안 되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은, 차재 용도에 적합하고, 충분한 경도를 갖고 있다.
더욱이, 차재 용도의 경우, 안전의 관점에서, 외광이 표시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면에서 반사 및 난반사하는 것을 막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이면, 차재 기기용 광학 적층 부재에 사용했을 경우,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 요구되는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방을 만족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이면, 차재 용도에 있어서 요구되는 번쩍임 방지성과 화상 선영성 및 흑색의 뚜렷한 감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각종 물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는다.
상기 상분리가 생기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조합으로서, 제 1 성분의 SP치(SP1) 및 제 2 성분의 SP치(SP2)에 있어서, 하기 조건
SP2<SP1
SP1-SP2≥0.7
을 만족시키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을, 예를 들어 기재 상에 도포하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SP치의 차에 기초하여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이 상분리되어,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연속된 랜덤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SP치란, solubility parameter(용해성 파라미터)의 약어이며, 용해성의 척도가 되는 것이다. SP치는 수치가 클수록 극성이 높고, 반대로 수치가 작을수록 극성이 낮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P치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측할 수 있다[참고문헌: SUH, CLARKE, J. P. S. A-1, 5, 1671∼1681(1967)].
측정 온도: 20℃
샘플: 수지 0.5g을 100ml 비커에 칭량하고, 양(良)용매 10ml를, 홀 피펫을 이용하여 가하고, 마그네틱 스터러에 의해 용해한다.
용매:
양용매…다이옥세인, 아세톤 등
빈용매…n-헥세인, 이온 교환수 등
탁점 측정: 50ml 뷰렛을 이용하여 빈(貧)용매를 적하하여, 탁함이 생긴 점을 적하량으로 한다.
수지의 SP치 δ는 다음 식에 의해 주어진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수학식 2]
Figure pct00002
[수학식 3]
Figure pct00003
Vi: 용매의 분자용(容)(ml/mol)
φi: 탁점에 있어서의 각 용매의 체적분율
δi: 용매의 SP치
ml: 저SP 빈용매 혼합계
mh: 고SP 빈용매 혼합계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성분의 SP치(SP1)와 제 2 성분의 SP치(SP2)의 차(SP1-SP2)는 0.7 이상이며,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SP치의 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15 이하이다. 제 1 성분의 SP치와 제 2 성분의 SP치의 차가 0.7 이상인 경우는, 서로의 성분이 상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방현 코팅 조성물의 도포 후에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상분리가 초래된다고 생각된다.
(SP1-SP2)의 값이 0.7 미만인 것에 의해, 방현성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토털 헤이즈치 Ha가 현저하게 작아질 우려가 있어, 표시 장치에서 유래하는 광의 강도에 격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비쳐듦 방지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방현 성능이 불충분해질 수 있다.
한편,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면, 제 1 성분의 SP치(SP1)와 제 2 성분의 SP치(SP2)의 차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성분의 SP치(SP1)와 제 2 성분의 SP치(SP2)가 상기와 같은 관계를 갖고, 방현 코팅 조성물 중에 있어서 제 1 성분의 함유량이 제 2 성분의 함유량보다도 많은 경우, 제 2 성분이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많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성분이, 예를 들어, 복수종의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성분의 SP치는, 각 모노머의 SP치를 이용하여, 제 1 성분 중에 있어서의 고형분 질량비를 바탕으로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제 2 및 제 3 성분의 SP치를 산출할 수 있다.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에 대하여, 그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0∼15.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2.0∼13.5μm이고, 예를 들어 2.0∼10.0μm이다. 방현 하드 코팅층이 이와 같은 범위에 두께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0.05∼2.0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0.05∼1.70μm이고, 예를 들어 0.05∼1.00μm이다.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 이와 같은 범위에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에 의해, 방현 하드 코팅층은 우수한 방현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방현 하드 코팅층은, 그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것에 의해, 층 표면에 있어서 배경이 반사되는 비쳐듦을 막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술과 같이,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는 것에 의해, 종래는 곤란했던 우수한 방현 성능과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표면 거칠기가 2.00μm를 초과하면, 방현 하드 코팅층의 헤이즈가 상승하여,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면 거칠기가 0.05μm 미만이면, 충분한 방현성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표면 거칠기는 산술 평균 높이(Ra)로 표시되고, JIS B0601(2001)에 준거한, 상투적인 산출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은, 층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Sm이 20μm∼2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Sm」이란, JIS B0601;2001에 규정되는, 표면의 요철 형상(거칠기 형상)의 크기·분포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1종이다.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Sm은, 기준 길이에 있어서의 윤곽 곡선(거칠기 곡선) 요소의 길이의 평균을 의미한다.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RSm는, 예를 들어 레이저 현미경(VK-8700 KEYENCE제 등)을 이용하여, JIS B0601;2001 규정에 준거하여 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있다.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는 것에 의해, 내부 산란 기능을 방현 하드 코팅층의 볼록부 및 그 주변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어, 특히, 번쩍임 방지 성능의 발휘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휘도의 격차(번쩍임)는, 예를 들어, 방현 하드 코팅층의 미세 요철이 각각 렌즈 효과를 나타내어, 컬러 필터의 개구부로부터 나온 광에 랜덤한 강약이 생기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다고 추측된다.
한편, 특정의 이론으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볼록부에 있어서 내부 산란 기능이 발휘되는 것에 의해, 광이 집광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감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욱이, 방현 하드 코팅층은, 소정의 표면 요철 형상을 가지므로, 영상광과 방현층의 표면 형상이 간섭하는 것을 저감 또는 억제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휘도의 격차(번쩍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 또는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있으므로, 내부 헤이즈를 부여하면서, 게다가, 휘도의 저하 및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있다」란,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의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방현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3 성분의 대부분이, 미립자가 응집하여 존재하는 상태 및/또는 미립자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제 3 성분이, 형성된 볼록부의 윤곽 내측의 50∼100%의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로, 응집하여 존재하는 상태 및/또는 미립자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있는」 것의 확인은, 예를 들어, 현미경 관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미세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 제 3 성분은, 방현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의 복수의 미세 요철 중, 예를 들어, 복수의 볼록부에 균일하게 존재해도 되고, 특정의 볼록부에 집중하여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는, 볼록부의 양측 하단 부근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있는 태양으로서, 제 3 성분이 1차 입자로서 볼록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응집체로서 편재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이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인 미립자이다. 제 3 성분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2∼5.0μm이고, 예를 들어 0.3∼3.0μ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μm이다.
예를 들어, 제 3 성분이 응집체로서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편재하는 경우, 미립자의 응집체의 평균 응집체경의 상한은, 예를 들어 60μm이다. 평균 응집체경이 60μm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번쩍임 방지성과 화상 선영성 및 흑색의 뚜렷한 감의 양립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립자의 응집체의 평균 응집체경은, 도막을 바로 위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응집체의 직경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상기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상기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상기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1) 또는 (2)의 관계를 갖는다:
(1): (SP3)<(SP2)<(SP1), 또는
(2): (SP2)<(SP3)<(SP1) 또한 |SP1-SP3|>|SP2-SP3|.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예를 들어 기재 상에 도포하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SP치의 차에 기초하여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이 상분리하여, 표면에, 연속한 랜덤한 요철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제 3 성분을 편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형성된 방현 하드 코팅층은, 우수한 방현 성능과 우수한 번쩍임 방지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SP1, SP2 및 SP3은, 식(1)로 표시되는 관계를 갖는다.
(1): (SP3)<(SP2)<(SP1)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SP1-SP2≥0.7의 관계를 갖는다.
이와 같은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우수한 방현 성능과 우수한 번쩍임 방지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미립자의 응집 장소를 제어할 수 있어, 번쩍임 방지 성능이라고 하는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SP1, SP2 및 SP3은, 식(2)로 표시되는 관계를 갖는다.
(2): (SP2)<(SP3)<(SP1) 또한 |SP1-SP3|>|SP2-SP3
이와 같은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우수한 번쩍임 방지 성능이라고 하는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3 성분의 굴절률을 (Rf3)으로 하고,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을 (Rfcf)로 했을 경우, (Rf3)과 (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
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Rf3)과 (Rfcf)는
0.05≤|(Rf3)-(Rfcf)|≤0.20의 관계를 갖는다.
제 3 성분의 굴절률(Rf3)과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이 이와 같은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방현 성능과 번쩍임 방지 성능을 균형 좋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흑색의 뚜렷한 감을 가져올 수 있어,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발현할 수 있다.
한편, (Rf3)과 (Rfcf)의 관계가, 0.01 미만이면, 번쩍임 방지 성능을 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0.23을 초과하면, 흑색의 뚜렷한 감 및 콘트라스트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제 3 성분의 굴절률(Rf3)은, 1.34∼1.75이고, 바람직하게는 1.40∼1.66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8∼1.60이다.
또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은, 예를 들어 1.40∼1.60이고, 바람직하게는 1.45∼1.53이다.
제 3 성분의 굴절률의 측정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제 3 성분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굴절률을 원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은, 제 3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필름(도막)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아베 굴절률계로 직접 측정하는, 분광 반사 스펙트럼 또는 분광 엘립소메트리를 측정하는 등을 하여 정량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막 두께가 1.0∼10.0μm일 때, 토털 헤이즈치 Ha가 1∼35%이고, 또한 내부 헤이즈치 Hi가 0.5∼25%이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는, 토털 헤이즈치 Ha와 내부 헤이즈치 Hi의 차로부터 구해지는 외부 헤이즈치 Hs가 0.5∼34.5%이다.
외부 헤이즈치 Hs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있어서 요구되는 방현 성능이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토털 헤이즈치 Ha가 낮을수록, 보다 양호하게 콘트라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내부 헤이즈치 Hi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번쩍임 방지 성능이 발휘된다.
바람직하게는, 토털 헤이즈치 Ha 3.5∼35%이고, 예를 들어, 5∼30%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헤이즈치 Hi는 3∼25%이고, 예를 들어 3.2∼25%이고, 어느 태양에 있어서는, 3.5∼25%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헤이즈치 Hs는 0.5∼32%이고, 예를 들어 1.5∼26.5%이다.
토털 헤이즈치 Ha와 내부 헤이즈 Hi의 조합, 어느 태양에 있어서는, 토털 헤이즈치 Ha와 내부 헤이즈 Hi와 외부 헤이즈 Hs의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면,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로 토털 헤이즈 Ha와 내부 헤이즈 Hi를 갖고, 및 소망에 따라 이와 같은 범위에 외부 헤이즈 Hs를 갖는 것에 의해,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발휘를 균형 좋게 가져올 수 있고, 또한 흑색의 뚜렷한 감을 가져올 수 있어,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발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털 헤이즈치 Ha」란, 표면의 요철 형상을 포함시킨, 방현 하드 코팅층 전체에 있어서의 헤이즈치이다.
또한 「내부 헤이즈치 Hi」란, 방현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의 표면의 요철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 헤이즈치이며, 층을 구성하는 성분 자체에서 유래하는 헤이즈치이다.
토털 헤이즈치 Ha 및 내부 헤이즈치 Hi는, 헤이즈미터(닛폰 덴쇼쿠제 NDH2000)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따라 방현 하드 코팅층의 헤이즈치 Ha(토털 헤이즈치)를 측정한다.
그 후,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글리세린 0.01ml를 적하하고, 그 다음에 유리 플레이트를 놓는다. 이것에 의해,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요철 형상이 무너져,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이 평탄해진다. 그리고 이 상태로,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따라 헤이즈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내부 헤이즈치 Hi를 구할 수 있다.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 두께(막 두께)는, 예를 들어 1.0∼15.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2.0∼15.0μm이다. 방현 하드 코팅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방현 성능과 번쩍임 방지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화상 선영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화상 선영성의 합계치가 150을 초과한다. 이것에 의해, 화면 표시에 대한 높은 시인성이 제공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한다. 방현 코팅 조성물은, 우수한 경도가 얻어지는 등의 관점에서, 방사선 경화형 방현 코팅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방현 코팅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사선 경화형 방현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은,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수지 성분으로서, 방사선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 경화성 성분은, 방사선(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해 가교되어, 경화시킬 수 있는,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제 1 성분)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제 1 성분의 SP치(SP1)는, 10.7∼13.00의 범위이고, 예를 들어 11.00∼12.80의 범위이다.
제 1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5000인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이상 2000 미만, 예를 들어,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1200인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서는, 경화 후의 가교 밀도를 높게 할 수 있어, 표면 경도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들의 변성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복수종의 상기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를 조합해도 되고, 단독으로 이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는, 방사선 경화성 성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유레테인 구조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하고, 하기하는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느 태양에 있어서, 제 1 성분은, 후술하듯이,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제 1 성분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성분은, 예를 들어,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을 적어도 2종 이상 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작용의 지방족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작용의 방향족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5000 정도인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제 1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5000 정도인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2 또는 그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및 에스터 골격을 갖는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이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방현 하드 코팅층은, 예를 들어, 투명 고분자 기재에 대해서 충분한 밀착성과 도막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기의 수는, 2 또는 그 이상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15이다. 단작용의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이면, 분자량의 크기에 의해, 반응성이 저하되어, 밀착성 및 경도, 또한 내찰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작용기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경화 수축에 의한 밀착성 저하의 염려가 있다.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분자 중에 2개의 수산기와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이하, 성분(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상기 성분(a)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b)(이하, 성분(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와,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c)(이하, 성분(c)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분자 중에 2개의 수산기와 2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란,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1,6-헥세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1,4-뷰테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1,5-펜테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1,7-헵테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1,8-옥테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수첨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아크릴산 부가물, 1,6-헥세인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터의 아크릴산 부가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a)로서는,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b)는, HO-(R-O-C(=O)-O)-R'OH(식 중, R 및 R'는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수 2∼10의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렌기이고, 탄소수는 R 및 R'의 합계의 수이다.)로 표시되는 탄소수 2∼10의 직쇄 및 분기쇄를 갖는 다이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중의 R 또는 R'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뷰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네오펜틸렌기, 노닐렌기, 2-메틸-1,8-옥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1,5-펜테인다이올 및/또는 1,6-헥세인다이올로부터 합성된 폴리카보네이트 다이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b)로서는,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c)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지방족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지환족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방향족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리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세인-2,4(또는 2,6)-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머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아니시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할로젠화 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에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뷰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프로필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옥타데실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5-나프탈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페닐메테인 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나프탈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중합체,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중합체,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중합체, 3-페닐-2-에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큐멘-2,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메톡시-1,3-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에톡시-1,3-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 에터, 5,6-다이메틸-1,3-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 에터, 벤지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9,10-안트라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벤질, 3,3'-다이메틸-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다이페닐메테인, 2,6-다이메틸-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다이페닐, 3,3'-다이메톡시-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다이페닐, 1,4-안트라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6-톨릴렌 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4'-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 에터, 1,4-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사이클로헥실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분(c)로서는,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예로서는, 전술한 (a)∼(c) 성분을 유기 용매(예를 들어, 메틸 에틸 케톤)에 투입하고, 필요에 따라서 승온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의 종료는,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게 된 것에 의해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50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700∼5000이다.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평활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밀착성의 관점에서, 수산기가 0∼20mgKOH/g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산기가 0∼5mgKOH/g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산기가를 낮게 제어함으로써, 습열 시험 후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현 코팅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제 1 성분이,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제 1 성분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 성분에 있어서의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질량비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99.5:0.5∼20:80의 범위 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5:5∼30:70의 범위 내이다.
이와 같은 관계로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는 기재에 대해서, 우수한 밀착력을 갖고, 더욱이, 형성된 방현 하드 코팅층에 원하는 경도를 부여할 수 있다.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유레테인화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분자 내에 2 이상의 아크릴기를 갖는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얻는 데 적합하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 분자의 유연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키기 전에, 공지 범용의 폴리올, 예를 들어, 폴리에터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말단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쇄연장된 유레테인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이 쇄연장된 유레테인 프리폴리머에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생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네오펜틸 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3-메틸-1,5-펜테인다이올 등의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스터 폴리올 및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현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제 1 성분으로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해도 된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 헵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서는, DPHA(다이셀·올넥스사제), PETRA(다이셀·올넥스사제: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PETIA(다이셀·올넥스사제), 아로닉스 M-403(도아 합성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및 헥사아크릴레이트), 아로닉스 M-402(도아 합성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및 헥사아크릴레이트), 아로닉스 M-400(도아 합성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및 헥사아크릴레이트), SR-399(사토머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하이드록시펜타아크릴레이트), KAYARAD DPHA(닛폰 화약사제), KAYARAD DPHA-2C(닛폰 화약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제품은 제품 중에 일부 수산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갖고 있다.
또한,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서, 구체적인 제품명을 들면, 예를 들어, 2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닛폰 화약사제의 「UX-6101」 혹은 「UX-8101」, 교에이샤 화학사제의 「UF-8001」, 「UF-8003」, 다이셀·올넥스사제의 「Ebecryl244」, 「Ebecryl284」, 「Ebecryl2002」, 「Ebecryl4835」, 「Ebecryl4883」, 「Ebecryl8807」, 「Ebecryl6700」), 3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다이셀·올넥스사제의 「Ebecryl254」, 「Ebecryl264」, 「Ebecryl265」), 4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다이셀·올넥스사제의 「Ebecryl8210」), 6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다이셀·올넥스사제의 「Ebecryl1290k」, 「Ebecryl5129」, 「Ebecryl220」, 「KRM8200」, 「Ebecryl1290N」), 9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다이셀·올넥스사제의 「KRM7804」), 10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다이셀·올넥스사제의 「KRM8452」, 「KRM8509」), 15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다이셀·올넥스사제의 「KRM8655」)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예를 들어 아로닉스 M-400, M-450, M-305, M-309, M-310, M-315, M-320, TO-1200, TO-1231, TO-595, TO-756(이상, 도아 합성사제), KAYARD D-310, D-330, DPHA, DPHA-2C(이상, 닛폰 화약사제), 니카락 MX-302(산와 케미컬사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의 시판품에 더하여, 예를 들어, 아로닉스 M211B(도아 합성사제, 비스페놀 AEO 변성 다이아크릴레이트), 아로닉스 M-350(도아 합성사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EO 변성 트라이아크릴레이트), KAYARAD DPCA-60(닛폰 화약사제, 카프로락톤 변성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UV-1700B(닛폰 화약사제,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내광성이 우수하여 장기의 사용에 의한 광열화 등을 수반하지 않는, 성형 가식용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2 성분)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다. 예를 들어, 제 2 성분인,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는, 가열에 의해 또는 활성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반응하는 성질을 갖는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제 2 성분의 SP치(SP2)는, 9.0∼11.00의 범위이고, 예를 들어 9.5∼10.5의 범위이다.
제 2 성분인,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반응시킨 수지,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반응시킨 수지 등에 아크릴산 또는 글라이시딜 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고 또한 다른 작용기를 갖는 성분을 부가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2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어느 태양에 있어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질량비는, 제 1 성분:제 2 성분=99.5:0.5∼60:4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성분:제 2 성분 99.5:0.5∼65:35의 범위 내이며, 예를 들어 99.5:0.5∼70:30의 범위 내이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상기 범위의 질량비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SP치의 차에 기초하여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이 상분리되어,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연속한 랜덤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범위로 배합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표면 요철 형상 및 경도를 갖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얻을 수 있다.
(제 3 성분)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인 미립자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은 0.2∼5.0μm이고, 예를 들어 1.0∼3.0μm이다.
이와 같은 평균 입경을 갖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흑색의 뚜렷한 감을 가져올 수 있어,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보다도 작다.
이와 같은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방현 하드 코팅층의 표면으로부터 미립자의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내마모성 시험에서의 입자의 활락(滑落)에 의한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성분의 평균 입경이 0.1μm 이상 5.0μm 미만인 경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를 1.0∼15.0μm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5.0μm 이상 10.0μm 이하인 경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는 5.0μm 초과 1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면 전자현미경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의 굴절률(Rf3)은, 1.34∼1.75이며, 바람직하게는 1.48∼1.60이다.
미립자의 굴절률(Rf3)이 이와 같은 범위를 갖고, 상기한 바와 같이, (Rf3)과 (Rfcf)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방현 하드 코팅층은, 방현 성능과 번쩍임 방지 성능을 균형 좋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 범위로 함으로써 흑색 및 콘트라스트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제 3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미립자는, 예를 들어, 실리카(SiO2) 입자, 알루미나 입자 등의 무기 산화물 입자, 및 폴리스타이렌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아크릴 입자, 아크릴-스타이렌 입자, 실리콘 입자, 폴리카보네이트 입자, 폴리에틸렌 입자, 폴리프로필렌 입자 등의 유기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제 4 성분)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추가로 제 4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제 4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성분으로 이용한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를 구조에 포함하는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폴리머, 및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폴리머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이다. 또한, 제 2 성분으로 이용하는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의 모노머를 포함해도 된다.
방현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해도 된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대해 전술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현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단작용의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해도 된다.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는,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대해 전술한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자외선 등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방사선 경화성 성분이 양호하게 중합되게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로서, 예를 들어, 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 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타이타노센계 광중합 개시제, 옥심에스터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온일)-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뷰탄온-1,2-(다이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폴린일)페닐]-1-뷰탄온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 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타이타노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비스(η5-2,4-사이클로펜타다이엔-1-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타이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옥심에스터계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1.2-옥테인다이온,1-[4-(페닐싸이오)-,2-(O-벤조일옥심)], 에탄온,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졸-3-일]-,1-(0-아세틸옥심),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터, 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 중,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뷰탄온-1 및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 등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바람직한 양은, 방현 코팅 조성물의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2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질량부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의 광중합 개시제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용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방현 코팅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해도 된다.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성분, 도포되는 기재의 종류 및 조성물의 도포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시 선택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계 용매; 다이에틸 에터, 아이소프로필 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 에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니솔, 페네톨 등의 에터계 용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계 용매;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에틸폼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마이드계 용매; 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뷰틸 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뷰탄올, 아이소뷰틸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등의 할로젠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용매 중, 에스터계 용매,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케톤계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대전 방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표면 조정제, 레벨링제 등의 상용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방현 코팅 조성물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 행해지는 수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인트 셰이커, 믹서 등의 통상 이용되는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방현 하드 코팅층은, 투명 고분자 기재 상에, 상기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방현 코팅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방현 코팅 조성물 및 도포 공정의 상황에 따라 적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커튼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익스트루전 코팅법(미국 특허 2681294호 명세서),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고분자 기재로서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은, 예를 들어, 두께 0.4 mm 미만의 것을 의미하고, 시트는 두께 0.4 mm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필름; 다이아세틸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과 같은, 투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고분자 기재로서는, 폴리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의 스타이렌계 필름;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내지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필름과 같은, 투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도 들 수 있다.
시트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시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시트; 다이아세틸 셀룰로스,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시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시트와 같은, 투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고분자 기재로서는, 폴리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의 스타이렌계 시트;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내지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시트;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시트와 같은, 투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고분자 기재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터 설폰, 폴리에터 에터 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 염화 바이닐리덴, 폴리바이닐 뷰티랄,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옥시메틸렌, 에폭시 수지, 및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과 같은, 투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기재(필름 및/또는 시트) 등도 들 수 있다.
더욱이, 투명 고분자 기재는, 투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기재가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적층체 또는 시트의 적층체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 고분자 기재에는, 이들 투명 고분자 기재 중, 광학적으로 복굴절이 적은 것, 혹은 위상차를 파장(예를 들어 550nm)의 1/4(λ/4) 또는 파장의 1/2(λ/2)로 제어한 것, 나아가 복굴절을 전혀 제어하고 있지 않는 것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투명 고분자 기재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강도 및 취급성 등의 작업성 등의 점에서 10∼5000μm 정도이며, 특히 20∼3000μm가 바람직하고, 30∼30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방현 코팅 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얻어진 도막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방현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 경화는, 필요에 따른 파장의 방사선(활성 에너지선)을 발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조사하는 방사선으로서, 예를 들어, 적산 광량 50∼1500mJ/cm2의 광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사광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36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자외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은,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 부재는, 투명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상기에 있어서 개시한 방현 하드 코팅층을 갖고, 방현 하드 코팅층은, 상기에 있어서 개시한 방현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한 층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 부재는, 예를 들어, 투명 고분자 기재의 한쪽 면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이 적층되어 있다. 더욱이, 투명 고분자 기재의 다른 한쪽 면 상에, 가식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가식층을 갖는 광학 적층 부재는, 예를 들어, 성형 가식용 적층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방현 하드 코팅층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현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상기 가식층은, 성형 가식용 적층 필름에 모양, 문자 또는 금속 광택 등의 가식을 실시하는 층이다. 이와 같은 가식층으로서, 예를 들어 인쇄층 또는 증착층 등을 들 수 있다. 인쇄층 및 증착층은 모두, 가식을 실시하기 위한 층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식층으로서 인쇄층 또는 증착층의 어느 하나만을 설치해도 되고, 혹은 인쇄층 및 증착층의 양방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인쇄층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층이어도 된다. 작업 공정의 용이함 등에서, 상기 가식층은 인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은, 성형체 표면에 모양 및/또는 문자 등의 가식을 실시하는 것이다. 인쇄층으로서, 예를 들어, 나뭇결, 돌결, 천무늬, 모래무늬, 기하학 모양, 문자, 전면 민인쇄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안을 들 수 있다. 인쇄층의 재료로서는, 염화 바이닐/아세트산 바이닐계 공중합체 등의 폴리바이닐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유레테인계 수지, 폴리바이닐 아세탈계 수지, 폴리에스터 유레테인계 수지, 셀룰로스 에스터계 수지, 알키드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적절한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착색제로서 함유하는 착색 잉크를 이용하면 된다. 인쇄층에 이용되는 잉크의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안료로서, 황색 안료로서는 폴리아조 등의 아조계 안료, 아이소인돌리논 등의 유기 안료 또는 타이타늄 니켈 안티모니 산화물 등의 무기 안료, 적색 안료로서는 폴리아조 등의 아조계 안료, 퀴나크리돈 등의 유기 안료 또는 벵갈라 등의 무기 안료, 청색 안료로서는 프탈로사이아닌 블루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코발트 블루 등의 무기 안료, 흑색 안료로서는 아닐린 블랙 등의 유기 안료, 백색 안료로서는 이산화 타이타늄 등의 무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인쇄층에 이용되는 잉크의 염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공지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잉크의 인쇄 방법으로서는, 옵셋 인쇄법, 그라비어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공지의 인쇄법 또는 롤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의 공지의 코팅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본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저분자량의 가교성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머끼리를 가교시키는 구성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표면에 점착성이 없어, 인쇄 시의 트러블이 적고, 보류(步留)가 양호하다.
증착층은, 알루미늄, 니켈, 금, 백금, 크로뮴, 철, 구리, 인듐, 주석, 은, 타이타늄, 납, 아연 등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혹은 화합물을 사용하여, 진공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 이온 도금법, 도금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가식을 위한 인쇄층 또는 증착층은, 원하는 성형체의 표면 외관이 얻어지도록, 성형 시의 신장 정도에 따라서, 통상 이용되는 방법에 의해 적절히 그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 부재는,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로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 부재를 디스플레이부에 배치하는 경우는, 투명 고분자 기재의 한쪽 면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 및 클리어 하드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광학 적층 부재에 있어서, 투명 고분자 기재의 다른 한쪽 면, 또는, 투명 고분자 기재의 다른 한쪽 면 상에 적층된 가식층이, 디스플레이부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 부재는, 예를 들어, 차재 기기용 광학 적층 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재 기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용 광학 적층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 부재이면, 가식층 등을 설치할 수 있어, 극히 높은 의장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예를 들어, 기재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방현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미경화의 코팅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경화의 코팅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요철을 갖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상기의 방현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방현 성능이 우수하고, 번쩍임 방지 성능이 우수한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중, 「부」 및 「%」는, 예고가 없는 한, 중량 기준에 의한다.
조제예 1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제
아이소보로닐 메타크릴레이트 171.6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6부, 메타크릴산 9.2부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했다. 이 혼합액을, 교반 날개,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1000ml 반응 용기 중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110℃로 가온한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330.0부에, 터셔리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8부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80.0부 용액과 동시에 3시간에 걸쳐 등속으로 적하하고, 그 후, 11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터셔리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2부를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17.0부의 용액을 적하하고 테트라뷰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4부와 하이드로퀴논 0.1부를 포함하는 5.0부의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용액을 가하고, 공기 버블링하면서, 4-하이드록시뷰틸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에터 22.4부와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5.0부의 용액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그 후 5시간에 걸쳐 더 반응시켰다. 수 평균 분자량 5,500, 중량 평균 분자량 18,000의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수지는, SP치: 10.0이었다.
실시예 1
방현 코팅 조성물의 조정
톨루엔/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의 비율이 30/70인 용매를 포함하는 반응기에, 제 1 성분으로서 아로닉스 M-402(도아 합성 주식회사제,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및 헥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62.9부, 아로닉스 M-305(도아 합성 주식회사제,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 및 테트라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19.4부, 아로닉스 M-211B(도아 합성 주식회사제, 비스페놀 A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다이아크릴레이트) 14.5부, 제 2 성분으로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3.2부, 제 3 성분으로 스타이렌 입자(평균 입경 2μm, SP치 9.15, 굴절률 1.59) 5.2부,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OMNIRAD 184, IGM Resins사제) 6.5부를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가 40%가 되도록 방현 코팅 조성물을 조정했다. 각 성분의 배합량, 분자량 및 SP치 등의 값을 표 1A1∼표 1B2에 나타낸다.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폴리 메타크릴산 메틸 수지(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로 이루어지는 2층(PMMA/PC) 필름(두께 0.3mm)의, PMMA층에 있어서의 PC층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방현 코팅 조성물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105℃에서 1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휘발시킨 후, 적산 광량 800mJ/cm2의 자외선 조사 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막 두께가 3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을 얻었다.
막 두께의 산출
막 두께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했다.
시험 샘플을 10mm×10mm로 절출하여, 마이크로톰(LEICA RM2265)으로 도막의 단면을 석출시켰다. 석출시킨 단면을 레이저 현미경(VK8700KEYENCE제)으로 관찰하여, 오목부 10점 및 볼록부 10점의 막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막 두께를 구했다.
<평가 방법>
이하의 평가 방법에 의해, 방현 하드 코팅층의 물성 등을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면 거칠기
시험 샘플을 50mm×50mm로 절출하여, 배율 20배의 접안 렌즈 및 배율 50배의 대물 렌즈를 구비한 레이저 현미경(VK8700 KEYENCE제)을 이용하여, JIS B0601;2001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표면 거칠기 Ra(μm)를 계측했다.
평균 입경의 측정
평균 입경의 측정은, 레이저 회절형 입도 분포계로 측정했다. 소정의 용매를 교반하면서 각종 미립자를 첨가하여 분산 용액을 작성한다. 추가로 필요하면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해도 된다. 분산 용액과 용매 및 미립자 고유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평균 입경(중량 중위 입경)을 측정했다.
굴절률의 측정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도막의 굴절률은, JIS K0062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아베 굴절률계에 의해 도막에 관한 굴절률(Rfcf)을 측정했다.
SP치의 산출
미립자에 대해서는 Fedors의 계산 방법으로 추측치를 구하고, 그 값을 미립자의 SP치로 했다. 식 1로 미립자의 합성에 사용한 분자(모노머)의 SP치를 산출했다.
[수학식 4]
Figure pct00004
(식 1)
식 중,
δ(cal/cm3)1/2: 분자(모노머)의 SP치
Ecoh(cal/mol): 원자 및 원자단의 응집 에너지
V(cm3/mol): 원자 및 원자단의 몰분자용(容)
을 나타낸다.
식 1로 산출한 각 모노머의 SP치 및 몰분자용을 이용하여
식 2로 고분자(미립자)의 추정 SP치를 얻었다.
[수학식 5]
Figure pct00005
(식 2)
식 중,
δ3(cal/cm3): 미립자의 SP치
V1(cm3/mol): 모노머-1의 몰분자용
V2(cm3/mol): 모노머-2의 몰분자용
δ1(cal/cm3): 모노머-1의 SP치
δ2(cal/cm3): 모노머-2의 SP치
를 나타낸다.
토털 헤이즈치의 측정
방현 하드 코팅층의 헤이즈치(토털 헤이즈치) Ha를, 헤이즈미터(닛폰 덴쇼쿠제 NDH2000)를 이용하여, JIS 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방현 하드 코팅층의 헤이즈치(토털 헤이즈치) Ha의 측정은, 기재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이 설치된 시험 샘플을, 50mm×50mm로 절출하고, 샘플을 시료실 내에 세팅하여 측정했다.
내부 헤이즈치의 측정
방현 하드 코팅층의 시험 샘플을, 50mm×50mm로 절출했다. 시험 샘플의 도막 요철면에, 글리세린(특급 시약, 기시다 화학 주식회사제) 0.01ml를 적하하고, 그 다음에 유리 플레이트(18mm×18mm, 마쓰나미 글라스 주식회사제)를 놓아, 표면 요철을 무너뜨린 시험편을 작성했다. 상기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JIS 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하드 코팅층의 내부 헤이즈치 Hi를 측정했다.
번쩍임 방지성의 평가
방현 하드 코팅층의 시험 샘플을, 화소 밀도 326ppi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육안에 의해 평가를 실시했다.
◎: 번쩍임이 거의 인식되지 않아 양호했다.
○: 번쩍임이 조금 인식되지만 양호했다.
△: 번쩍임이 인식되어 불량이었다.
×: 번쩍임이 분명히 인식되어 불량이었다.
방현성의 평가
흑색 PMMA판(구라레사제 코모글라스(등록상표), 두께 2mm) 상에, 투명 광학 점착 필름(OCA 필름, 파낙사제, PD-S1)을 개재시켜, 방현 코팅층의 시험 샘플을 첩합하여, 시험편을 제작했다.
시험편을 형광등 아래에 놓고, 형광등의 비쳐듦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비쳐든 형광등의 윤곽이 현저하게 일그러져 있었다.
○: 비쳐든 형광등의 윤곽이 일그러져 있었다.
△: 비쳐든 형광등의 윤곽이 조금 일그러져 있었다.
×: 비쳐든 형광등의 윤곽이 인식되었다.
연필 경도의 측정
JIS K5600에 준거하여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연필 인소(引搔) 도막 경도 시험기(도요세이키 제작소제, 형식P, 가압 하중 100g∼1kg)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미쓰비시유니제 연필 인소치 시험용 연필(닛폰 도료 검사 협회 검사필의 것)을 사용하여, 심의 선단이 평활하고 원형의 단면이 되도록 연마지(3M P-1000)로 조정했다. 시료를 측정대에 설치 후, 인소 각도가 45°가 되도록 연필을 고정하고, 하중 750g의 조건에서 시험을 행했다. 시험마다, 심을 평활하게 하면서, 시험 장소를 비켜 놓아 5회 시험을 반복했다.
도막 표면에 움푹한 곳의 발생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움푹한 곳의 발생이 1개도 없는 경우의 연필 경도를 평가 결과(표 2)에 기재했다.
흑색의 뚜렷한 감의 평가
흑색 PMMA판(구라레사제 코모글라스(등록상표), 두께 2mm) 상에 투명 광학 점착 필름(OCA 필름, 파낙사제, PD-S1)을 개재시켜, 방현 코팅층의 시험 샘플을 첩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흑색의 뚜렷한 감을 육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 백탁감이 거의 인식되지 않아 양호했다.
○: 백탁감이 조금 인식되지만 양호했다.
△: 백탁감이 인식되어 불량이었다.
×: 백탁감이 분명히 인식되어 불량이었다
실시예 2∼23 및 비교예 1∼6
각 성분을, 표 1A1∼표 1B2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고형분 농도가 40%가 되도록 방현 코팅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종 평가를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낸다.
[표 1A1]
Figure pct00006
[표 1A2]
Figure pct00007
[표 1B1]
Figure pct00008
[표 1B2]
Figure pct00009
[표 2A]
Figure pct00010
[표 2B]
Figure pct0001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 요구되는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현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흑색의 뚜렷한 감이 우수한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비교예 1에 의하면, 제 3 성분의 평균 입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면, 번쩍임 방지가 불충분하고, 더욱이, 흑색의 뚜렷한 감도 불충분해진다.
비교예 2에 의하면, 제 3 성분의 굴절률(Rf3)과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Rf3)-(Rfcf)|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것에 의해, 번쩍임 방지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비교예 3에 의하면, |(Rf3)-(Rfcf)|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것에 의해, 흑색의 뚜렷한 감이 불충분해진다.
비교예 4에 의하면, SP1, SP2 및 SP3이, (SP3)<(SP2)<(SP1)의 관계를 갖지 않는 것에 의해, 번쩍임 방지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비교예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방현성을 얻을 수 없어, 도막 표면에서 광의 반사가 생길 수 있다.
더욱이, 비교예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이 (SP3)<(SP2)<(SP1)의 관계를 갖지 않으므로, 도막 전체의 번쩍임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 요구되는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현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방현 성능 및 번쩍임 방지 성능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10 오목부
20 볼록부

Claims (11)

  1.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상기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상기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상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상기 굴절률(Rf3)과,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상기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상기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상기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상기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1)의 관계를 갖는,
    (1): (SP3)<(SP2)<(SP1)
    방현 코팅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5000인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100000인,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인, 방현 코팅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성분에 있어서의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질량비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다작용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99.5:0.5∼20:80의 범위 내인, 방현 코팅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의 질량비는, 제 1 성분:제 2 성분=99.5:0.5∼60:40의 범위 내인, 방현 코팅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막 두께가 1.0∼10.0μm인 경우, 토털 헤이즈치 Ha가 1∼35%이고, 또한 내부 헤이즈치 Hi가 0.5∼25%인, 방현 코팅 조성물.
  7. 투명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을 갖는, 광학 적층 부재로서,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인, 광학 적층 부재.
  8. 투명 고분자 기재의 한쪽 면 상에, 방현 하드 코팅층을 갖고, 또한,
    투명 고분자 기재의 다른 한쪽 면 상에, 가식층을 갖는, 광학 적층 부재로서,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현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인, 광학 적층 부재.
  9. 제 8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 부재를 갖는, 차재 기기용 광학 적층 부재.
  10. 기재 표면에, 방현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미경화의 코팅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경화의 코팅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요철을 갖는 방현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은,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상기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상기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상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상기 굴절률(Rf3)과,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상기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상기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상기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상기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1)의 관계를 갖는,
    (1): (SP3)<(SP2)<(SP1)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11.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과 제 3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방현 코팅 조성물의 경화층인 방현 하드 코팅층은, 상기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성분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미세 요철을 갖고,
    상기 미세 요철의 볼록부에 상기 제 3 성분이 편재하고, 및
    상기 방현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가 1.0∼15.0μm인 경우, 상기 미세 요철의 표면 거칠기는 0.05∼2.00μm인 방현 하드 코팅층이고,
    상기 제 1 성분은, 다작용성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성분은,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인 올리고머 또는 수지이고,
    상기 제 3 성분은, 평균 입경이 0.1∼10.0μm, 또한 굴절률(Rf3)이 1.34∼1.75인 미립자이고,
    상기 굴절률(Rf3)과,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 도막의 굴절률(Rfcf)의 관계는,
    0.01≤|(Rf3)-(Rfcf)|≤0.23이고,
    상기 제 1 성분의 SP치를 (SP1)로 하고, 상기 제 2 성분의 SP치를 (SP2)로 하고, 상기 제 3 성분의 SP치를 (SP3)으로 했을 경우,
    SP1-SP2≥0.7이고, 또한
    상기 SP1, SP2 및 SP3은, 이하의 (2)의 관계를 갖는,
    (2): (SP2)<(SP3)<(SP1) 또한 |SP1-SP3|>|SP2-SP3
    방현 코팅 조성물.
KR1020197031482A 2017-10-06 2018-10-05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KR102279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6189A JP7051357B2 (ja) 2017-10-06 2017-10-06 防眩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部材、及び防眩ハードコート層の形成方法
JPJP-P-2017-196189 2017-10-06
PCT/JP2018/037470 WO2019070074A1 (ja) 2017-10-06 2018-10-05 防眩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部材、及び防眩ハードコート層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207A true KR20190133207A (ko) 2019-12-02
KR102279536B1 KR102279536B1 (ko) 2021-07-20

Family

ID=6599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482A KR102279536B1 (ko) 2017-10-06 2018-10-05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51357B2 (ko)
KR (1) KR102279536B1 (ko)
CN (1) CN110651203B (ko)
WO (1) WO20190700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644B1 (ko) * 2021-01-18 2021-04-20 이윤근 향상된 내마모성 및 우수한 필기감을 갖는 터치스크린패널용 보호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3734B (zh) * 2019-05-16 2020-05-1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防眩膜及具有此防眩膜之偏光板
CN110119004B (zh) * 2019-06-03 2022-05-31 明基材料有限公司 防眩膜及具有此防眩膜的偏光板
JP2021018344A (ja) * 2019-07-22 2021-02-15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22169991A (ja) * 2021-04-28 2022-11-10 株式会社きもと 成型拡散積層フィルム
CN117916279A (zh) 2021-09-29 2024-04-19 富士胶片株式会社 组合物、树脂、膜及光传感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0613A1 (fr) * 2006-08-18 2008-02-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Laminé optique, plaque polarisante, et appareil de présentation d'images
JP2008299007A (ja) 2007-05-30 2008-12-11 Nippon Paper Chemicals Co Ltd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JP2009075248A (ja) 2007-09-19 2009-04-09 Lintec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63535A (ja) * 2009-01-15 2010-07-29 Nippon Paint Co Ltd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1112964A (ja) 2009-11-27 2011-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40001856A (ko) * 2010-09-02 2014-01-07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하드 코팅 필름 및 전면 보호판
JP2015161899A (ja) * 2014-02-28 2015-09-07 ソマール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膜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膜
KR20150125993A (ko) * 2013-04-05 2015-11-10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미세 요철 구조체, 가식 시트 및 가식 수지 성형체, 및 미세 요철 구조체 및 가식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236A (ja) * 2008-09-01 2010-03-18 Nippon Paint Co Ltd 帯電防止性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帯電防止性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8520B2 (ja) * 2008-12-26 2014-11-05 帝人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透明タッチパネル
JP2010191370A (ja) * 2009-02-20 2010-09-02 Nippon Bee Chemical Co Ltd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073079B (zh) * 2009-11-18 2013-10-16 惠和株式会社 光学薄片以及使用它的背光单元
JP6110051B2 (ja) * 2009-11-18 2017-04-05 恵和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089519B2 (ja) * 2012-09-12 2017-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表示装置、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CN105612438B (zh) * 2013-10-02 2018-12-14 3M创新有限公司 包括第一微结构化层和涂层的微结构化漫射体、光学叠堆以及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0613A1 (fr) * 2006-08-18 2008-02-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Laminé optique, plaque polarisante, et appareil de présentation d'images
JP2008299007A (ja) 2007-05-30 2008-12-11 Nippon Paper Chemicals Co Ltd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JP2009075248A (ja) 2007-09-19 2009-04-09 Lintec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63535A (ja) * 2009-01-15 2010-07-29 Nippon Paint Co Ltd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1112964A (ja) 2009-11-27 2011-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40001856A (ko) * 2010-09-02 2014-01-07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하드 코팅 필름 및 전면 보호판
KR20150125993A (ko) * 2013-04-05 2015-11-10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미세 요철 구조체, 가식 시트 및 가식 수지 성형체, 및 미세 요철 구조체 및 가식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
JP2015161899A (ja) * 2014-02-28 2015-09-07 ソマール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膜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644B1 (ko) * 2021-01-18 2021-04-20 이윤근 향상된 내마모성 및 우수한 필기감을 갖는 터치스크린패널용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1203B (zh) 2021-12-14
KR102279536B1 (ko) 2021-07-20
JP2019070714A (ja) 2019-05-09
WO2019070074A1 (ja) 2019-04-11
CN110651203A (zh) 2020-01-03
JP7051357B2 (ja)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536B1 (ko) 방현 코팅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 부재, 및 방현 하드 코팅층의 형성 방법
JP6393384B1 (ja) 防眩ハードコート層の形成方法
JP6491394B2 (ja) 成形加飾用積層フィルム
US9097844B2 (en)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30164541A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lamin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110018252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광 기록 매체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KR102241216B1 (ko) 광학 적층 부재
KR20130130799A (ko) 하드 코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90006000A (ko) 윤활용이성 안티블록킹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기재상에 피복 경화한 안티블록킹성 구조체 및 그 제법
JP2002069333A (ja)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WO2021235493A1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成形体、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EP3402856B1 (en) Optical adhesive article
TW201239050A (en) Coating composition of hard coating for metal substrate and compact
KR102321084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6255860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KR20240043702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및 필름
TW202413450A (zh) 活性能量線硬化性組合物、硬化物及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