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056A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056A
KR20190127056A KR1020180051135A KR20180051135A KR20190127056A KR 20190127056 A KR20190127056 A KR 20190127056A KR 1020180051135 A KR1020180051135 A KR 1020180051135A KR 20180051135 A KR20180051135 A KR 20180051135A KR 20190127056 A KR20190127056 A KR 2019012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cover
battery
battery modul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729B1 (ko
Inventor
진희준
신은규
유재민
문정오
지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5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729B1/ko
Priority to JP2020510534A priority patent/JP7046159B2/ja
Priority to EP19795811.9A priority patent/EP3690979A4/en
Priority to PCT/KR2019/002080 priority patent/WO2019212134A1/ko
Priority to US16/638,876 priority patent/US11296367B2/en
Priority to CN201980004092.1A priority patent/CN111052440B/zh
Publication of KR2019012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배터리 셀 적층체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분해 가이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손상없이 하우징의 분해가 가능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이차 전지는 배터리 셀을 보호할 수 있는 하우징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에서 하우징을 구성하는 측면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배터리 모듈(1)의 하우징(2)은 측면 플레이트(3)와 상부 플레이트(4)가 단부에서 용접으로 결합된다(도 1의 부분 확대도 참조). 그리고, 배터리 모듈(1)의 기대 수명이 완료되면 하우징(2)에 수용된 배터리 셀(5)을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2)을 분해하는데 이때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측면 플레이트(3)와 상부 플레이트(4)의 접합 부분을 절단하면 그라인더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배터리 셀(5)이 손상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셀(5)의 손상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을 분해하기 전, 염수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5)을 방전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배터리 셀(5)을 반드시 염수 처리해야 하므로 비용,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수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든 배터리 셀을 염수 처리하므로,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재사용 가능한 배터리 셀이 있더라도 염수 처리에 의해 배터리 셀(5)의 재사용이 원천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76684호(공개일자:2017년07월04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셀의 손상없이 하우징을 분해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 분해 시 배터리 셀의 손상에 의한 화재 발생이 방지되므로, 배터리 셀의 염수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의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분해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및 측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분해 가이드는 상기 측면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해 가이드는, 상기 측면 커버의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측면 커버의 상측 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는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측면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측면 커버의 옆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커버의 옆면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2 결합부에서의 용접에 의해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측에서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되는 외측부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에 멀어지는 방향측에서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되는 내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에서 용접에 의해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절단 도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에 형성된 분해 가이드를 통해 배터리 셀의 손상없이 하우징을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분해 시 배터리 셀의 손상에 의한 화재 발생이 방지되므로, 배터리 셀의 염수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에서 하우징을 구성하는 측면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상부 커버가 측면 커버에 결합되기 이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분해 가이드를 따라 상부 커버가 절단되는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부 커버의 절단이 완료된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상부 커버가 절단되어 측면 커버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상부 커버가 측면 커버에 결합되기 이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와, 하우징(200)을 포함하며, 하우징(200)에 분해 가이드(221)가 형성된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은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되는 단위 셀(Unit Cell) 또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세퍼레이터-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된 바이 셀(Bi-Cell)을 전지 용량에 맞게 복수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110)에는 전극 리드가 구비될 수 있다. 전극 리드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일종의 단자로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리드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는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가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배터리 셀(110)을 수납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미도시)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배터리 셀(1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된 카트리지 조립체에는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예를 들어, 배터리 셀(110)의 전압 또는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미도시) 등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연결 부품 내지 연결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요소는 배터리 셀(110)에 연결되는 메인 단자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단자 요소는 터미널 볼트가 구비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0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가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상부 커버(210)와, 하부 커버(230)와, 측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커버(210)와, 하부 커버(230)와, 측면 커버(2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터리 셀 적층체(100)가 수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30)와 측면 커버(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부 커버(230)와 측면 커버(220)가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부 커버(210)는 측면 커버(220)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측면 커버(22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한편, 후술하는 분해 가이드(221)는 측면 커버(220) 중 상부 커버(210)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 커버(220) 중 하부 커버(230)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측면 커버(220) 중 상부 커버(210)와 결합되는 위치와, 측면 커버(220) 중 하부 커버(230)와 결합되는 위치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분해 가이드(221)가 측면 커버(220) 중 하부 커버(230)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하부 커버(230)와 측면 커버(220)는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하우징(200)의 측면 커버(220)에는 하우징(200)의 분해를 위한 분해 가이드(221, 도 3 및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분해 가이드(221)는 도 4를 참조하면, 측면 커버(220)의 일측 단부, 예를 들어 측면 커버(220)의 상측 단부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22)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22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그라인더에 구비된 연마용 숫돌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가이드홈(222)을 따라 연마용 숫돌을 이동시키면서 상부 커버(210)를 절단할 수 있다. 다만, 상부 커버(210)의 절단이 반드시 그라인더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절단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부 커버(210)가 그라인더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며, 이러한 한정 설명이 권리범위의 한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하우징(200)의 상부 커버(210)는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측면 커버(220)에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상부 커버(210)의 절곡된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210)는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211)는 도 3을 기준으로 측면 커버(220)의 상측에 결합되고, 제2 결합부(212)는 제1 결합부(211)로부터 절곡되어 도 3을 기준으로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는 제2 결합부(21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23,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커버(210)는 평판 형상의 제1 결합부(211)와, 제1 결합부(211)의 끝부분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212)는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 형성된 안착홈(223)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211)로부터 절곡된 제2 결합부(212)와 측면 커버(220)의 옆면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므로, 상부 커버(210)는 제2 결합부(212)에서의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 커버(210)와 측면 커버(220)가 결합되면 상부 커버(210)의 제2 결합부(212)는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 접합되지만 상부 커버(210)의 제1 결합부(211)는 측면 커버(220)의 상측에 접촉되어 있을 뿐이며 접합되어 있지는 않다.
여기서, 작업자가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측면 커버(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을 따라 상부 커버(210)를 절단하면 제2 결합부(212)는 여전히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 접합되어 있지만, 측면 커버(220)에 접합되지 않은 제1 결합부(211)는 측면 커버(220)로부터 접촉 해제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상부 커버(210)를 측면 커버(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인더는 가이드홈(222)을 따라 이동하므로 도 3을 기준으로 가이드홈(222)의 좌측에 측면 커버(220)의 일부분(도 3 및 4의 a 부분 참조)이 위치하며, 따라서 배터리 셀(110)은 측면 커버(220)의 일부분(도 3 및 4의 a 부분)에 의해 그라인더로부터 보호되므로 하우징(200) 분해 시 배터리 셀(110)의 손상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손상에 의한 화재 발생 역시 방지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단 도입홈(217)은 제1 결합부(211)에 형성될 수 있다. 절단 도입홈(217)은 가이드홈(222)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가이드홈(222)보다 작은 크기로 제1 결합부(211)에 형성될 수 있다. 절단 도입홈(217)은 그라인더에 구비된 연마용 숫돌이 정확한 위치에서 상부 커버(210)의 절단을 시작할 수 있도록, 상부 커버(210) 절단의 시작 부분을 가이드한다.
한편, 상부 커버(210)와 측면 커버(220)의 용접 결합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211)는 외측부(215)와, 내측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215)는 가이드홈(222)을 기준으로 가이드홈(222)으로부터 제2 결합부(212)를 향하는 방향측에서 측면 커버(220)에 접촉되는 부분이고, 내측부(216)는 가이드홈(222)으로부터 제2 결합부(212)에 멀어지는 방향측에서 측면 커버(220)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 결합부(211)는 외측부(215)에서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가 상부 커버(210)의 제2 결합부(212)에서만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 접합되는 경우라면, 본 실시예는 제2 결합부(212)에서의 용접 여부에 관계없이 제1 결합부(211)의 외측부(215)에서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되는 경우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결합부(212)가 측면 커버(220)의 옆면에 용접으로 접합된 후 제1 결합부(211)의 외측부(215)가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결합부(212)는 측면 커버(220)에 접합되지 않고, 제1 결합부(211)의 외측부(215)만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 상부 커버(210)가 절곡되지 않은 평평한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된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210)는 절곡되지 않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부 커버(210)가 제2 결합부(212)없이 제1 결합부(211)만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측면 커버(220)에는 안착홈(223)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 결합부(212)가 없으므로, 상부 커버(210)는 제1 결합부(211)의 외측부(215)에서만 용접에 의해 측면 커버(220)에 접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커버(210)의 절단에 의해 측면 커버(220)로부터 상부 커버(210)가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분해 가이드를 따라 상부 커버가 절단되는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부 커버의 절단이 완료된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상부 커버가 절단되어 측면 커버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그라인더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의 화살표 X 방향으로 그라인더가 이동하면서 상부 커버(210)가 절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라인더에 구비된 연마용 숫돌이 상부 커버(210)의 제1 결합부(211)에 형성된 절단 도입홈(217)에 인입되어 상부 커버(210)의 절단을 시작하며, 측면 커버(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을 따라 도 5의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커버(210)를 절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라인더에 의해 상부 커버(210)가 완전히 절단되며, 상부 커버(210)는 제1 결합부(211)의 외측부(215)와 제2 결합부(212)가 측면 커버(220)에 결합되어 있고, 제1 결합부(211)의 내측부(216)는 측면 커버(220)로부터 접촉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210)가 측면 커버(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에 수용된 배터리 셀 적층체(1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인더에 구비된 연마용 숫돌은 측면 커버(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을 따라 이동하므로 배터리 셀(110)과 연마용 숫돌 사이에는 측면 커버(220)의 일부분(도 3 및 4의 a 부분 참조)이 위치하며 이러한 측면 커버(220)의 일부분(도 3 및 4의 a 부분)에 의해 배터리 셀(110)이 연마용 숫돌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경우 배터리 셀(110)의 손상 방지 및 배터리 셀(110)의 손상에 의한 화재 발생이 방지되므로, 배터리 셀(110)의 염수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1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셀 적층체
110 : 배터리 셀 200 : 하우징
210 : 상부 커버 211 : 제1 결합부
212 : 제2 결합부 215 : 외측부
216 : 내측부 217 : 절단 도입홈
220 : 측면 커버 221 : 분해 가이드
222 : 가이드홈 223 : 안착홈
230 : 하부 커버

Claims (11)

  1.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분해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및 측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분해 가이드는 상기 측면 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가이드는, 상기 측면 커버의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측면 커버의 상측 단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측면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측면 커버의 옆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의 옆면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2 결합부에서의 용접에 의해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측에서 상기 측면 커버에 접촉되는 외측부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에 멀어지는 방향측에서 상기 측면 커버에 접촉되는 내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에서 용접에 의해 상기 측면 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절단 도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80051135A 2018-05-03 2018-05-03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2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5A KR102328729B1 (ko) 2018-05-03 2018-05-03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0510534A JP7046159B2 (ja) 2018-05-03 2019-02-20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19795811.9A EP3690979A4 (en) 2018-05-03 2019-02-2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THE CONTAINER
PCT/KR2019/002080 WO2019212134A1 (ko) 2018-05-03 2019-02-20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6/638,876 US11296367B2 (en) 2018-05-03 2019-02-2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same
CN201980004092.1A CN111052440B (zh) 2018-05-03 2019-02-20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5A KR102328729B1 (ko) 2018-05-03 2018-05-03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56A true KR20190127056A (ko) 2019-11-13
KR102328729B1 KR102328729B1 (ko) 2021-11-17

Family

ID=6838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35A KR102328729B1 (ko) 2018-05-03 2018-05-03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6367B2 (ko)
EP (1) EP3690979A4 (ko)
JP (1) JP7046159B2 (ko)
KR (1) KR102328729B1 (ko)
CN (1) CN111052440B (ko)
WO (1) WO20192121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38B1 (ko) * 2020-02-06 2021-02-03 구승조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5376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4616B (zh) * 2022-07-14 2022-10-04 广东采日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插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894A (ja) * 1998-11-13 2000-05-30 Tookado:Kk 電池ケースの分解構造
JP2003205933A (ja) * 2002-01-16 2003-07-22 Fdk Corp 陳列トレイ兼用乾電池ケース
KR20170076684A (ko) 2014-09-26 2017-07-04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배터리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150A (en) * 1994-03-16 1997-03-1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a battery containing alkali metal
JP2709703B2 (ja) * 1995-06-29 1998-02-0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充電式小型電気機器
JP2000133231A (ja) 1998-10-27 2000-05-12 Tookado:Kk 電池ケースの解体構造
JP3598004B2 (ja) 1998-10-30 2004-12-0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バッテリケース
JP2000149895A (ja) * 1998-11-13 2000-05-30 Tookado:Kk バッテリ・ケースの分解構造
JP2001222984A (ja) 2000-02-08 2001-08-17 Tookado:Kk 電池ケースの分解構造
JP5114830B2 (ja) 2005-07-01 2013-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分解方法
KR101045862B1 (ko) * 2006-09-18 2011-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전지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전지팩
KR100928128B1 (ko) * 2007-03-09 2009-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파우치
KR100917750B1 (ko) 2007-09-17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338203B2 (ja) 2008-08-28 2013-1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収納ケース
JP2010257709A (ja) 2009-04-23 2010-11-11 Toyota Motor Corp 電池
JP2011243404A (ja) * 2010-05-18 2011-12-01 Kawasaki Heavy Ind Ltd アルカ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2031165A2 (pt) 2010-06-09 2016-11-01 Nissan Motor módulo de bateria
KR101395842B1 (ko) * 2010-12-28 2014-05-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JP2015028839A (ja) * 2011-11-25 2015-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14123467A (ja) 2012-12-20 2014-07-03 Tokai Riken Kk 組電池
US9985259B2 (en) * 2013-03-29 2018-05-29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KR20150034946A (ko) * 2013-09-27 2015-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각형 전지 케이스의 제조방법
CN105960719B (zh) * 2014-02-07 2019-07-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模块
JP5829706B2 (ja) * 2014-02-25 2015-12-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ー
CN105501296A (zh) * 2014-10-11 2016-04-20 云南力帆骏马车辆有限公司 一种兼有副车架功能的异形纵梁自卸汽车车架
JP6435163B2 (ja) * 2014-10-31 2018-12-05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接続箱
KR101943489B1 (ko) 2015-04-30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5488B1 (ko) * 2015-06-16 2019-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65104B1 (ko) * 2015-09-10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DE102015218530A1 (de) 2015-09-25 2017-03-30 Elringklinger Ag Gehäuse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s für eine elektrochemische Zelle
KR101674348B1 (ko) 2016-04-11 2016-11-08 김정연 리튬전지의 분리가 용이한 리튬전지 모듈
DE102016107372A1 (de) * 2016-04-21 2017-10-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ehäuse zur Aufnahme von Hochvoltkomponenten
KR102065098B1 (ko) 2016-08-12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DE102016011786A1 (de) * 2016-09-30 2017-04-06 Daimler Ag Batteriegehäuse mit einem Spanfänger zur Vermeidung einer Verschmutzung eines Aufnahmebereichs durch Trennspäne
KR101903678B1 (ko) 2016-11-08 2018-11-07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무인 비행기용 마일즈 시스템
US11612449B2 (en) 2017-01-05 2023-03-28 Maxell, Ltd. Wearable patch, and sheet-type cell
CN207009515U (zh) * 2017-07-12 2018-02-13 深圳市欣旺达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插拔式电池箱
WO2019130936A1 (ja) * 2017-12-25 2019-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894A (ja) * 1998-11-13 2000-05-30 Tookado:Kk 電池ケースの分解構造
JP2003205933A (ja) * 2002-01-16 2003-07-22 Fdk Corp 陳列トレイ兼用乾電池ケース
KR20170076684A (ko) 2014-09-26 2017-07-04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배터리 하우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38B1 (ko) * 2020-02-06 2021-02-03 구승조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9073B1 (ko) * 2020-02-06 2021-07-16 구승조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5376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방법
WO2023054914A1 (ko)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2062A (ja) 2020-11-05
KR102328729B1 (ko) 2021-11-17
CN111052440A (zh) 2020-04-21
EP3690979A4 (en) 2021-03-03
WO2019212134A1 (ko) 2019-11-07
US20200381684A1 (en) 2020-12-03
JP7046159B2 (ja) 2022-04-01
CN111052440B (zh) 2022-09-13
US11296367B2 (en) 2022-04-05
EP3690979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777B (zh) 电池模块和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
EP3010072B1 (en) Battery pack
EP3614453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220324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85343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KR10197937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3255701B1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540817B1 (en) Battery pack
KR10206771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21110B1 (ko) 배터리 팩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JP7046159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01947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808307B1 (ko) 단자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50459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KR101539788B1 (ko)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31727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62316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4413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0227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56605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6023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60054268A (ko) 이차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618035B1 (ko) 배터리 팩
KR20220047057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