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073B1 -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073B1
KR102279073B1 KR1020210013356A KR20210013356A KR102279073B1 KR 102279073 B1 KR102279073 B1 KR 102279073B1 KR 1020210013356 A KR1020210013356 A KR 1020210013356A KR 20210013356 A KR20210013356 A KR 20210013356A KR 102279073 B1 KR102279073 B1 KR 10227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rt
battery
lower plate
side plate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승조
Original Assignee
구승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승조 filed Critical 구승조
Priority to KR102021001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4Seam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용 커버 본체; 및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부 플레이트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가공공정이 단순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A Cover fo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이 개방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용 하우징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은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태를 변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모듈은 내장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은 배터리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소재를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여러 부품으로 분리하여 성형한 후 각 부품을 용접하여 결합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용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용 하우징의 제조방법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커버를 결합시키기 위한 인서트 프레임을 성형하는 인서트 프레임 성형단계; 상기 인서트 프레임을 다이캐스팅 금형에 투입하여 상기 인서트 프레임과 일체로 금속재 커버를 성형하는 인서트 다이캐스팅 성형단계; 상기 커버의 세부 형상 가공 및 절단 가공을 실시하는 CNC 가공단계; 및 알루미늄 소재의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셀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스와 인서트 프레임을 용접하여 상기 케이스의 양단에 커버를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상기 배터리용 커버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용 커버의 제조방법은 가공공정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소재의 특성상 다이캐스팅 제작된 부품의 내부에는 불가피하게 기공이 생성되고, 이러한 기공이 생성되어 있는 다이캐스팅 부품을 용접할 경우 용접에 의한 폭발, 용접불량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0255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공공정이 단순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터리용 커버 본체; 및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부 플레이트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제1영역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부는,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과 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홈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은 제1곡면을 이루고,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1모서리 영역 및 상기 제1모서리 영역과 대각선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서리 영역과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면의 이격에 의한 제1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모서리 영역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이격에 의한 제2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이격 공간에 제1용접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 공간에 제2용접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연결핀부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와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공정이 단순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용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3은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며, 도 4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하부 방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3은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며, 도 4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즉, 도 2 내지 도 4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도시하는 실사진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배터리용 커버를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아닌, 프레스 공정 및 용접 공정을 통해 배터리용 커버를 제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용 커버(이하, "배터리용 커버"라 함)(100)는, 상부 플레이트부(110);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120);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용 커버(1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0)의 내부면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10)의 내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140)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용 커버(100)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은 "
Figure 112021012207605-pat00001
"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0)의 길이방향(X 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121);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0)의 폭방향(Y 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30)는 도 2를 기준으로,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13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131)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132)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용 커버(100)는,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1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30)의 상면(131)과 접하여 배치되는 연결핀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부(150)는 핀삽입홀(15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핀부(150)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하우징이 복수개가 있다고 가정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용 하우징의 각각의 배터리용 커버를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하우징을 차량에서 사용시, 상기 배터리용 하우징을 차량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부(150)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핀부(150)의 사용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핀부(150)는 필수적인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13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132)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36)의 경우, 양단이 개방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용 하우징의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커버를 결합시 가이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가이드 돌출부(136)의 사용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136)는 필수적인 구성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배터리용 커버는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러한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한 배터리용 커버의 제조방법은 가공공정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소재의 특성상 다이캐스팅 제작된 부품의 내부에는 불가피하게 기공이 생성되고, 이러한 기공이 생성되어 있는 다이캐스팅 부품을 용접할 경우 용접에 의한 폭발, 용접불량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배터리용 커버를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아닌, 프레스 공정 및 용접 공정을 통해 배터리용 커버를 제조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하부 방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때,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상술한 도 2 내지 도 4에서의 연결핀부는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의 연결핀부를 제외한 배터리용 커버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연결핀부는 압출법을 통해 제조된 후, 상기 도 5 내지 도 8의 배터리용 커버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 내지 도 8의 연결핀부를 제외한 배터리용 커버를 배터리용 커버 본체로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은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220);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내부면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10)의 내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240)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은 "
Figure 112021012207605-pat00002
"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길이방향(X 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방향(Y 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도 7을 기준으로,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23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의 경우, 양단이 개방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용 하우징의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커버를 결합시 가이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가이드 돌출부(236)의 사용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는 필수적인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홈부(235)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가 돌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위치하며,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구성인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220);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측면 플레이트부(220) 및 하부 플레이트부(23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연결 영역;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타측 단부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가 연결되는 타측 단부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길이방향(X 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방향(Y 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2)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제1영역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 및 상기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2)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제2영역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 제2연결영역(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은 제1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220);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236)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홈부(2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길이방향(X 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방향(Y 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제1영역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은 제1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제조방법은, 원재료 판재를 일정 크기로 가공하여 판상 부품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상기 원재료 판재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소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원재료 판재는 알루미늄 판재 또는 강판재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원재료 판재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재료 판재를 일정 크기로 가공하여 판상 부품을 준비한다 함은, 상기 원재료 판재의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작할 수 있을 정도로의 크기로 가공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판상 부품을 프레스 장치에 투입하여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에 의해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20).
상기 프레스 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판상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다이홀더; 상기 다이홀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운동에 의하여 상기 부품을 프레스 하기 위한 펀칭홀더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홀더는 상기 판상 부품이 배치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다이홀더의 상에 위치하는 다이부 및 상기 다이부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쿠션다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이부의 경우, 가공하고자 하는 판상 부품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다이부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홀더는 상하운동에 의하여 상기 판상 부품을 프레스 하게 되며, 상기 펀칭홀더는, 상기 펀칭홀더 상에 위치하는 펀칭패드부 및 상기 펀칭패드부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펀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프레스 장치를 통해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스 장치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236)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홈부(23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돌출부(236)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 공정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 방향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 방향으로 펀칭부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펀칭부가 접촉하여 가압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경우, 상기 펀칭부에 의하여 가이드 홈부(235)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235) 형성된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가 형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를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 공정에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가 돌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위치하며,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구성인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형성된 영역은 취약한 부분으로 작용하여, 찢김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부(235)를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은 제1곡면을 이루는 것은, 상기 판상 부품을 프레스 장치에 투입하여 프레스 공정에 의해 드로잉 성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곡면(R)이 형성되게 되며, 필요시 추가적인 가공에 의해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을 곡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S120 단계, 즉,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에 의해 배터리용 커버본체를 제조하기 이전에, 프레스 공정에 의한 펀칭 공정에 의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다양한 홀을 가공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홀의 포함여부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프레스 공정에 의한 펀칭 공정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S120 단계를 진행한 이후에, 필요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 및 단조 공정 등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인 공정이므로, 본 발명에서 열처리 공정 및 단조 공정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부(250)는 핀삽입홀(151)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하우징이 복수개가 있다고 가정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용 하우징의 각각의 배터리용 커버를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하우징을 차량에서 사용시, 상기 배터리용 하우징을 차량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부(150)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핀부(250)의 사용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핀부(150)는 필수적인 구성에 해당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핀부(250)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와는 별도의 공정인, 압출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단조 - 소둔 - 가공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핀부의 제조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과 접하여 배치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는, 배터리용 커버 본체; 및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배치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부 플레이트부(210);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220);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23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길이방향(X 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폭방향(Y 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2)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는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231)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2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과 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를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 공정에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출부(236)가 돌출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위치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 홈부(235)가 형성된 영역은 취약한 부분으로 작용하여, 찢김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부(235)를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이드 홈부(235)를 보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부(235)의 상부 영역에 상기 연결핀부(250)를 배치시킨다.
즉,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핀부(250)가,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과 접하여 배치되게 되며, 이때,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가이드 홈부(235)의 상부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핀부(250)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부(235)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22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10)의 제1영역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223)은 제1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연결핀부(250)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은 제1곡면을 이루는 것 및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는 것의 내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는, 배터리용 커버 본체; 및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배치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연결핀부는 압출법 등의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가 이와 같이 크게 2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이유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경우,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커버의 경우, 이를 프레스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조하고, 압출법 등의 별도의 공정을 통해 상기 연결핀부를 제조한 후,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킴에 있어서, 레이저 용접법에 의한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은 제1곡면을 이루고, 또한,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핀부(250)가,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과 접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은 제1곡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핀부(250)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은 제1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핀부(2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은 제2이격 공간을 포함하게 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1모서리 영역 및 상기 제1모서리 영역과 대각선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서리 영역과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면의 이격에 의한 제1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모서리 영역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이격에 의한 제2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핀부(250)가,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과 접하여 배치되게 되며, 이때,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가이드 홈부(235)의 상부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핀부(250)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부(235)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부는,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과 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홈부(235)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레이저 용접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연결핀부(250)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이 이루는 제1이격 공간에 제1용접비드(260a)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연결핀부(2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이 이루는 제2이격 공간에 제2용접비드(260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핀부(250)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200)의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과 접하도록 배치되여 고정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용접공정을 통해,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용접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와 상기 연결핀부의 재질 간의 열변형으로 인해 용접부 불량 또는 치수변형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용접부의 산화스케일 발생으로 인한 도장막 박리현상이 일어나거나, 강도에 취약한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레이저 용접의 경우, 용접부 위의 산화스케일 발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용접부위의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용접공정을 통해,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와 상기 연결핀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고, 또한,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은 제1곡면을 이룸으로써, 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핀부(250)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221)의 외부면은 제1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연결핀부(2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0)의 상면(231)은 제2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다이캐스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커버의 경우, 가공공정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소재의 특성상 다이캐스팅 제작된 부품의 내부에는 불가피하게 기공이 생성되고, 이러한 기공이 생성되어 있는 다이캐스팅 부품을 용접할 경우 용접에 의한 폭발, 용접불량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를 제조하고, 압출법 등의 별도의 공정을 통해 상기 연결핀부를 제조한 후,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커버를 제조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가공공정이 단순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배터리용 케이스에 결합되는 배터리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용 커버는,
    배터리용 커버 본체; 및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부 플레이트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반대면인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하면의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용 커버의 단면 형상은 "
    Figure 112021045702353-pat00014
    "의 형상이고,
    상기 연결핀부는, 상기 가이드 홈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에 배치되는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폭방향에 배치되는 제2방향 측면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단부 연결 영역은,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의 제1영역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을 포함하는 배터리용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부 제1연결영역은 제1곡면을 이루고,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2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부의 본체의 모서리 영역은 제1모서리 영역 및 상기 제1모서리 영역과 대각선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2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서리 영역과 상기 제1방향 측면 플레이트부의 외부면의 이격에 의한 제1이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모서리 영역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 상면의 이격에 의한 제2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 공간에 제1용접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 공간에 제2용접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는 프레스 공정에 의한 드로잉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연결핀부는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와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상기 배터리용 커버 본체에 상기 연결핀부를 레이저 용접법에 의해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버.
KR1020210013356A 2020-02-06 2021-01-29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56A KR102279073B1 (ko) 2020-02-06 2021-01-29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80A KR102212038B1 (ko) 2020-02-06 2020-02-06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0013356A KR102279073B1 (ko) 2020-02-06 2021-01-29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80A Division KR102212038B1 (ko) 2020-02-06 2020-02-06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073B1 true KR102279073B1 (ko) 2021-07-16

Family

ID=74572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80A KR102212038B1 (ko) 2020-02-06 2020-02-06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0013356A KR102279073B1 (ko) 2020-02-06 2021-01-29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80A KR102212038B1 (ko) 2020-02-06 2020-02-06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20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684A (ko) * 2014-09-26 2017-07-04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배터리 하우징
KR102002551B1 (ko) 2017-09-07 2019-10-01 (주)케이에이치바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KR20190127056A (ko) * 2018-05-03 2019-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684A (ko) * 2014-09-26 2017-07-04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배터리 하우징
KR102002551B1 (ko) 2017-09-07 2019-10-01 (주)케이에이치바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KR20190127056A (ko) * 2018-05-03 2019-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038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6281B2 (ja) 組電池及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KR102002551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JP6032336B2 (ja) 組電池及び組電池用セパレータ
US11289773B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using same, bus bar, and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for battery cell using same bus bar
CN111527621B (zh) 电源装置以及具备电源装置的车辆和蓄电装置
JPWO2019031169A1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装備する車両
EP2800163B1 (en) Battery coupling method and battery coupling device
JP2017162703A (ja) 組電池とこの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
KR102279070B1 (ko)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2132B1 (ko) 차재 전지용의 각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80470A (ko) 스틸 타입 적용 배터리 케이스
KR102279073B1 (ko)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686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326B1 (ko) 배터리용 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006839U (zh) 一种锂电池封装压合治具
CN209785996U (zh) 加强件、电池包壳及其下壳体
CN219759902U (zh) 极柱组件、储能装置和用电设备
CN219746633U (zh) 一种极耳预焊装置
CN217655996U (zh) 蓄电池组
KR102440895B1 (ko) 하이브리드 타입 적용 배터리 케이스
US20230134810A1 (en) Cap plate weld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secondary battery
CN218849678U (zh) 一种锂离子电池下箱体
CN113767512B (zh) 电源装置和具有该电源装置的电动车辆以及蓄电装置、电源装置的制造方法
CN218334217U (zh) 电芯转接结构、电池单体及动力电池包
JP2020184405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装備す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