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803A -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803A
KR20190126803A KR1020197026662A KR20197026662A KR20190126803A KR 20190126803 A KR20190126803 A KR 20190126803A KR 1020197026662 A KR1020197026662 A KR 1020197026662A KR 20197026662 A KR20197026662 A KR 20197026662A KR 20190126803 A KR20190126803 A KR 2019012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ircumferential
side wall
region
brea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756B1 (ko
Inventor
사토루 시마다
히로아키 하야시
다카시 스기야마
준 와키시마
고 오오타
유스케 다니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5Vertical or axial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용기의 구경부(106)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용기 덮개(2)에 있어서, 이행 영역(52)에 있어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파단에 이어서, 측벽 분리 영역(54)에 있어서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의 파단을 충분히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게 한다. 그 때문에, 이행 영역(52)에 있어서 측벽(10)에 형성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을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는 형태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본 발명은, 측벽과 함께 이것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더욱 자세하게는 측벽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係止) 수단을 용기의 구경부(口頸部)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턱부에 계합하여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됨에도 불구하고,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충분히 쉽게 이탈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액체 조미료를 위한 용기의 구경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로서, 용기의 구경부의 정상면을 덮는 메인부와, 메인부로부터 늘어뜨리는 원통형상의 측벽과, 측벽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둘레벽을 포함하고, 측벽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계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구경부에 끼워져 상기 계지 수단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턱부에 계합시킴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위쪽에서 봤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 둘레벽 분리 영역, 이행 영역 및 측벽 분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둘레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는, 둘레벽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 개의 파단 가능 접속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을 통해 측벽에 접속되고, 둘레벽 분리 영역의 반시계 방향 상류 끝에 있어서는, 둘레벽에는 하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행 영역에 있어서는, 연직으로 연장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측벽에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보다도 반시계 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는 측벽과 둘레벽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는, 측벽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을 통해 메인부에 접속되어 있다.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 소위 폐기물 분별 회수를 위해서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를 이탈시킬 때는, 맨 처음에 둘레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그 상류 끝에서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복수 개의 파단 가능 접속편 또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을 파단하여 둘레벽을 측벽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이행 영역에 있어서 측벽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파단함과 더불어,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그 상류 끝에서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을 파단하여 측벽을 메인부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하면, 측벽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수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의 구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턱부로부터 격리되고, 따라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 전체를 이탈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4427237호 공보
상기한 것과 같은 용기 덮개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 전체를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이행 영역에 있어서 측벽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파단함과 더불어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의 파단을 시작할 때에, 측벽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파단은 연직 방향인 데 대하여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의 파단은 둘레 방향인 것에 기인하여, 측벽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파단과 동시에 혹은 이것에 이어서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의 파단을 시작하기가 곤란하여, 충분히 용이하게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를 분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남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용기 덮개에 잔류하는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충분히 용이하게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신규이면서 또한 개량된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및 실험을 한 결과, 이행 영역에 있어서 측벽에 형성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는 형태로 하면, 이행 영역에 있어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파단에 이어서,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의 파단을 충분히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용기 덮개를 이탈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용기 덮개로서, 용기의 구경부의 정상면을 덮는 메인부와, 이 메인부로부터 늘어뜨리는 원통형상의 측벽과, 이 측벽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계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구경부에 끼워져 상기 계지 수단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턱부에 계합시킴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덮개 본체를 구비한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위쪽에서 봤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 둘레벽 분리 영역, 이행 영역 및 측벽 분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둘레벽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파단 가능 접속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을 통해 상기 측벽에 접속되며,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의 상기 반시계 방향 상류 끝에 있어서는, 상기 둘레벽에 하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행 영역 및 상기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을 통해 상기 메인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이행 영역에 있어서는 또한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을 향해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보다도 상기 반시계 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과 상기 둘레벽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행 영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이어서 하단까지 상기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 메인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 메인부는 연직에 대하여 10 내지 80도의 경사 각도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은 20 내지 18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상기 이행 영역은 10 내지 45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상기 측벽 분리 영역은 90 내지 27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는 것이 안성맞춤이다. 적합하게는, 상기 측벽 분리 영역과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 사이에는 45 내지 18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는 비분리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하류 측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벽의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가장자리가,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류 측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벽의 상기 반시계 방향 하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측벽에 파단 가능 연접편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행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의 내경을 국부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규정되며 또한 아래쪽을 향해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박육부가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상기 둘레벽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영역은 상기 박육부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상기 박육부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과 상기 둘레벽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규정된다. 상기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측벽을 접속하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은 원통형상 접속부의 외경을 국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규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적합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메인부에는 파단 가능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배출 개구 형성 영역이 규정되어 있고, 그리고 또한 상기 메인부에는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수나사조가 형성된 원통벽이 배치되어 있고, 상부면벽과 이 상부면벽으로부터 늘어뜨리며 또한 내주면에는 암나사조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수하벽(垂下壁)을 갖는 바깥덮개가 상기 암나사조를 상기 수나사조에 나사 결합시킴로써 상기 덮개 본체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용기 덮개에서는, 이행 영역에 있어서 측벽에 형성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행 영역에 있어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파단에 이어서,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의 파단을 충분히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용기 덮개를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의 덮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의 덮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의 덮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의 덮개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의 덮개 본체에 있어서 이행 영역을 정면으로 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A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B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C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D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E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F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G로 나타내는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형성된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도시하는 부분 간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용기 덮개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전체를 번호 2로 나타내는 용기 덮개는, 덮개 본체(4) 및 바깥덮개(6)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 본체(4)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교적 연질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고, 바깥덮개(6)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교적 경질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덮개 본체(4)는, 메인부(8)와, 이 메인부(8)로부터 늘어뜨리는 원통형상의 측벽(10)과, 이 측벽(10)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둘레벽(12)을 포함한다. 메인부(8)는 폐색벽(14)을 구비하고 있고, 폐색벽(14)에는 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비교적 위쪽에 위치하는 원형의 중앙 영역(14a)과, 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비교적 아래쪽에 위치하는 원환형의 외주 영역(14b)이 구획되어 있다. 폐색벽(14)의 중앙 영역(14a)에는 원환형상의 파단 가능 라인(16)에 의해서 규정된 원형 배출 개구 형성 영역(18)이 마련되어 있다. 폐색벽(14)의 상면에는, 외주 영역(14b)의 반경 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벽(20)과, 외주 영역(14b)의 반경 방향 내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상 주출벽(注出壁)(22)과, 중앙 영역(14a)(더욱 자세하게는 배출 개구 형성 영역(18))의 중앙부에 있어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피계지벽(被係止壁)(24)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벽(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조(26)가 형성되어 있다. 주출벽(22)의 상단부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컬(curl)되어 있다. 주출벽(22)의 연장 높이는 원통벽(20) 및 피계지벽(24)의 연장 높이보다도 높다. 피계지벽(24)의 상단에는 실질상 수평인 원형의 벽부(28)가 마련되어 있다. 피계지벽(24)의 외주면의 축선 방향 대략 중간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피계지 돌출부(30)와, 이 제1 피계지 돌출부(30)보다도 얼마간 아래쪽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보조 돌출부(31)가 배치되어 있다. 피계지벽(24)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보조 돌출부(31)의 아래쪽에는,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이 배치되어 있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것과 같이,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을 두고 6개 배치되어 있다.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에 관해서는 후에 언급한다. 피계지벽(24)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33)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되어 있다. 리브(33)는, 덮개 본체(4)에 바깥덮개(6)를 장착할 때에 소정의 지그와 협동하여 바깥덮개(6)에 대한 덮개 본체(4)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폐색벽(14) 하면에 있어서의 외주 영역(14b)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늘어뜨리는 원통형 수하벽(34)과, 반경 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상 시일벽(36)과,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래칫부(38)(특히 도 5를 참조하길 바란다)가 형성되어 있다. 수하벽(34)의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피계지 돌출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수하벽(34)의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명확하게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을 두고 4개 배치되어 있다.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에 관해서는 후에 언급한다. 래칫부(38)는 그 자체가 주지된 구성이며, 덮개 본체(4)에 바깥덮개(6)를 장착할 때에 소정의 지그와 협동하여 바깥덮개(6)에 대한 덮개 본체(4)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일본 특허공개 2008-273531호 공보를 참조하길 바란다). 폐색벽(14) 하면의 중앙 영역(14a)에는, 파단 가능 라인(16)의 반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 폐색벽(14)의 하면에 접속된 기단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연장 단부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파단 가능 라인(16)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는 환상 시일편(44)도 형성되어 있다. 시일편(44)은 비교적 두께가 얇으며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주로 도 3 및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측벽(10)은 그 상단이 메인부(8)의 수하벽(34)의 하단에 원통형상 접속부(4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측벽(10)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소정 영역에는 직사각형의 절결(47)이 형성되어 있다(도 5와 함께 도 10, 도 11 및 도 14도 참조하길 바란다). 측벽(10)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계지 수단(48)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계지 수단(48)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다. 계지 수단(48)은 후술하는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도 5와 함께 도 14도 참조하길 바란다). 원하면, 계지 수단(48)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1개의 돌출부 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 플랩편이라도 좋지만, 어느 경우나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둘레벽(12)과 측벽(10) 사이에는 바닥을 갖지 않는 환상의 공극(49)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12)과 측벽(10)의 접속에 관해서는 후에 언급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덮개에 있어서는, 위쪽에서 봤을 때에 반시계 방향(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순차 둘레벽 분리 영역(50), 이행 영역(52) 및 측벽 분리 영역(5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측벽 분리 영역(54)과 둘레벽 분리 영역(50) 사이에는 비분리 영역(56)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레벽 분리 영역(50)은 20 내지 18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이행 영역(52)은 10 내지 45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측벽 분리 영역은 90 내지 27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비분리 영역(56)은 45 내지 18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는 것이 좋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 분리 영역(50)은 125도, 이행 영역(52)은 15도, 측벽 분리 영역(54)은 130도, 비분리 영역(56)은 90도이다.
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둘레벽 분리 영역(50)에 있어서는, 둘레벽(12)의 상단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파단 가능 접속편(58) 및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59)을 통해 측벽(10)에 접속되어 있다(도 7 내지 9도 참조하길 바란다). 도 9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것과 같이, 둘레벽(12)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접속편(58)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응하여,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서 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리브(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와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둘레벽 분리 영역(50)의 반시계 방향 상류 끝에 있어서는, 둘레벽(12)에 하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슬릿(6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12)에 있어서의 비분리 영역(56)의 반시계 방향 하류 단부는, 그 상단부에 위치하는 잔류부(63)를 제외하고 대략 직사각형으로 절결되어 있고, 잔류부(63)는 아래쪽을 향한 단면 L자형의 박육으로 되어 있다(도 7도 참조하길 바란다). 그리고,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슬릿(62)의 하류 측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가장자리의 상단부가,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슬릿(62)의 상류 측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반시계 방향 하류 가장자의 상단부, 즉 잔류부(63)에 파단 가능 연접편(64)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과 같이, 파단 가능 연접편(64)의 두께는, 박육으로 된 둘레벽(12)의 잔류부(63)의 두께보다도 작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슬릿(62)의 하류 측에는, 둘레벽(12)에 하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보조 슬릿(66)이 형성되어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봤을 때에 슬릿(62)과 보조 슬릿(66) 사이에는 손잡이부(67)가 규정되어 있다(손잡이부(67)에는 접속편(58) 및 리브(60)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원하면, 둘레벽(12)의 상단은 파단 가능 접속편(58) 또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59) 중 어느 것을 통해 측벽(10)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슬릿(62)의 하류 측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가장자리의 상단부는, 측벽(10)에 파단 가능 연접편(64)을 통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잔류부(63)는 축선 방향으로 봤을 때에 둘레벽(1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대신에 둘레벽(12)의 하단부 또는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잔류부(63)가 축선 방향으로 봤을 때에 둘레벽(12)의 하단부 또는 중간부에 형성된 경우에는, 잔류부(63)와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슬릿(62)의 하류 측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의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가장자리를 접속하는 파단 가능 연접편(64)도, 축선 방향으로 봤을 때에 둘레벽(12)의 하단부 또는 중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행 영역(52) 및 측벽 분리 영역(54)에 있어서는, 측벽(10)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을 통해 메인부(8)에 접속되어 있다.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은 원통형상 접속부(46)의 외경을 국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규정된다(도 9와 도 10 내지 도 12를 비교하여 참조하길 바란다).
주로 도 5,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행 영역(52)에 있어서는 또한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이 측벽(10)에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보다도 반시계 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는 측벽(10)과 둘레벽(12)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이행 영역(52)에 있어서, 측벽(10)의 내경을 국부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규정되며 또한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박육부(72)가 측벽(10)에 형성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도 참조하길 바란다). 도 14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과 같이, 박육부(72)는 대략 평행사변형이고, 반시계 방향 상류 끝의 상단은 측벽(10)의 상단과 정합함과 더불어, 반시계 방향 하류 끝의 하단은 측벽(10)의 하단과 정합한다(도 10 및 도 11도 참조하길 바란다). 그리고, 측벽(10)과 둘레벽(12)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영역(74)은 박육부(72)의 일부를 포함하고,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은 박육부(72)에 있어서의 측벽(10)과 둘레벽(12)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도 14에 있어서 옅은 잉크로 나타내는 부분)에 의해서 규정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영역(74)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영역(74)은, 이행 영역(5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상류 끝보다도 약간 하류 측의 위치에 있어서 측벽(10)의 상단에서부터 박육부(72)의 축 방향 대략 중간 위치까지 아래쪽을 향해 연직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 가장자리(74a)와, 이 제1 직선 가장자리(74a)의 하단에 이어서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박육부(7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경사 측가장자리(7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역(74)은, 측벽 분리 영역(54)의 반시계 방향 상류 단부에 있어서, 경사 측가장자리(74b)의 반시계 방향 하류 끝에 이어서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굴곡되게 되며 또한 그 변곡점이 측벽(10)의 하단과 정합하는 U자 가장자리(74c)와, 이 U자 가장자리(74c)의 반시계 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는 상단에 이어서, 축 방향으로 봤을 때에 계지 수단(48)의 상단 위치까지 위쪽을 향하여 연직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 가장자리(74d)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10)의 상기 영역(74)은 측벽(10)의 박육부(72)보다도 강성이 높고, 이에 따라 이행 영역(52)에 있어서 박육부(72)는 영역(74)의 주연부를 따라 파단이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은 박육부(72)에 있어서 제1 직선 가장자리(74a)를 따라 측벽(10)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상단부(70a)와, 이 상단부(70a)에 이어서 경사 가장자리(74b)를 따라 측벽(10)의 하단까지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 메인부(70b)로 구성된다. 경사 메인부(70b)는 연직에 대하여 10 내지 80도의 경사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45도의 경사 각도를 갖고 있다. 원하면, 박육부(72)를, 상기 영역(74)의 일부를 포함하는 평행사변형으로 하는 대신에, 상기 영역(74)을 포함하지 않고서 그 제1 직선 가장자리(74a) 및 경사 가장자리(74b), 그리고 U자 가장자리(74c)의 외주에 따르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지만, 박육부를 이러한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박육부를 형성하는 성형형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이것에 기인하여 제조 공정이 번잡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늘어날 우려가 있다.
비분리 영역(56)에 있어서는, 측벽(10)과 둘레벽(12)은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고, 메인부(8)와 측벽(10)을 접속하는 접속부(46)에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도 12와 도 13을 비교하여 참조하길 바란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바깥덮개(6)는 원형 상부면벽(76)과, 이 상부면벽(76)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는 원통형상 스커트벽(78)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면벽(76)의 내면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는 원통형상 수하벽(80) 및 중앙 영역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는 원통형상 계지벽(8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면벽(76)의 내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봤을 때에 수하벽(80)과 계지벽(82) 사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는 액체 보전편(84) 및 반경 방향으로 봤을 때에 액체 보전편(84)과 계지벽(82) 사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는 통형 보조 시일편(86)도 형성되어 있다. 수하벽(80)의 내주면의 하단부에는 암나사조(88)가 배치되어 있다. 수하벽(80)의 내주면의 상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돌출편(90)이 형성되어 있다(상세한 도면은 생략한다). 돌출편(90)의 각각의 하단에는 실질상 수평인 어깨면(92)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벽(82)의 내주면의 하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반경 방향 내쪽으로 돌출되는 제1 계지 돌출부(94)가 배치되어 있다. 계지벽(82)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제1 계지 돌출부(94)의 아래쪽에는,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96)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을 두고 6개 배치되어 있고,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의 각각은 덮개 본체(6)에 배치된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의 각각과 협동한다. 즉,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바깥덮개(6)에 마련된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은 덮개 본체(4)에 마련된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지만,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바깥덮개(6)에 마련된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은 덮개 본체(4)에 마련된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에 의해서 규제된다.
스커트벽(78)의 하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단 가능 라인(98)이 형성되어 있고, 스커트벽(78)은 파단 가능 라인(98)보다도 위쪽의 메인부(78a)와 파단 가능 라인(98)보다도 아래쪽의 탬퍼 에비던트(tamper-evident) 스커트부(78b)로 구획된다. 축선 방향으로 봤을 때, 파단 가능 라인(98)은, 수하벽(80)의 하단과 동일하거나 혹은 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커트벽(78)에 있어서의 메인부(78a)의 외주면에는 걸리는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knurl)(요철형상)(100)이 형성되어 있다.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78b)의 내주면의 상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반경 방향 내쪽으로 돌출되는 제2 계지 돌출부(102)가 배치되어 있다.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78b)의 내주면의 하단부에는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있고,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의 각각은 덮개 본체(6)에 배치된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의 각각과 협동한다. 즉,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바깥덮개(6)에 마련된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은 덮개 본체(4)에 마련된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지만,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바깥덮개(6)에 마련된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은 덮개 본체(4)에 마련된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에 의해서 규제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덮개 본체(4)와 바깥덮개(6)는, 덮개 본체(4)에 바깥덮개(6)를 끼운 상태에서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를 위쪽에서 봤을 때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덮개 본체(4)의 수나사조(26)에 바깥덮개(6)의 암나사조(88)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조합된다. 이때는, 상술한 대로 덮개 본체(4)의 리브(33) 및 래칫부(38)에 소정의 지그를 작용시켜, 바깥덮개(6)에 대한 덮개 본체(4)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를 상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바깥덮개(6)가 덮개 본체(4)에 대하여 강하할 때는, 상술한 대로, 바깥덮개(6)에 있어서의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은 덮개 본체(4)에 있어서의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음과 더불어, 바깥덮개(6)에 있어서의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도 덮개 본체(4)에 있어서의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는다. 따라서 덮개 본체(4)에 대한 바깥덮개(6)의 회전이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32)과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104)의 협동 및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과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의 협동에 의해서 규제되는 일은 없다. 덮개 본체(4)의 수나사조(26)에 바깥덮개(6)의 암나사조(88)를 나사 결합시켜 덮개 본체(4)와 바깥덮개(6)가 조합될 때는, 또한 바깥덮개(6)의 계지벽(8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계지 돌출부(94)가 덮개 본체(4)의 피계지벽(24)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계지 돌출부(30)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이것의 아래쪽에 계지되고, 또한 바깥덮개(6)의 스커트벽(78)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계지 돌출부(102)가 덮개 본체(4)의 수하벽(34)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계지 돌출부(40)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이것의 아래쪽에 계지된다. 바깥덮개(6)는, 그 수하벽(80)에 형성된 어깨면(92)이 덮개 본체(4)의 원통벽(20)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덮개 본체(4)에 대하여 회전되게 되고, 이리하여 바깥덮개(6)는 덮개 본체(4)에 장착된다. 바깥덮개(6)가 덮개 본체(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바깥덮개(6)의 보조 시일편(86)의 외주면이 덮개 본체(4)의 주출벽(22)의 상단부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조합된 용기 덮개(2)는, 도 1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용기의 구경부(106)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강제적으로 하강하게 됨으로써 용기의 구경부(10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면, 덮개 본체(4)에 있어서의 측벽(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수단(48)이 구경부(10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턱부(108)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 이것에 계지되게 되어, 덮개 본체(4)가 구경부(106)에 고착된다. 또한, 덮개 본체(4)의 시일벽(36)이 구경부(106) 내에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경부(106)가 밀봉된다.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할 때는, 바깥덮개(6)의 스커트벽(78)에 손가락을 걸어, 덮개 본체(4)에 장착되어 있는 바깥덮개(6)를, 위쪽에서 봤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를 상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깥덮개(6)의 수하벽(8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조(88)와 덮개 본체(4)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조(26)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어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가 상승되게 된다. 이때, 바깥덮개(6)의 계지벽(8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계지 돌출부(94)가 덮개 본체(4)의 피계지벽(24)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피계지 돌출부(30)에 계지되어 덮개 본체(4)에 대한 바깥덮개(6)의 상승이 규제됨과 더불어, 바깥덮개(6)의 계지벽(8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이 덮개 본체(4)의 피계지벽(24)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에 계지되어 덮개 본체(4)에 대한 바깥덮개(6)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바깥덮개(6)를 더욱 덮개 본체(4)에 대하여 상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계지 돌출부(94) 및 제1 피계지 돌출부(30)와, 제1 둘레 방향 계지 수단(96) 및 제1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32)을 통해 폐색벽(14)에 마련된 파단 가능 라인(16)에 응력이 전해져 이것에 집중하고, 이러한 힘에 의해서 파단 가능 라인(16)이 파단되어, 배출 개구가 형성된다. 파단 가능 라인(16)이 파단되어 덮개 본체(4)의 폐색벽(14)에 배출 개구가 형성된 후, 바깥덮개(6)를 덮개 본체(4)에 대하여 상기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배출 개구 형성 영역(18)이 폐색벽(14)의 그 밖의 부분에서 분리되어 바깥덮개(6)와 함께 배출 개구 형성 영역(18)이 덮개 본체(4)에 대하여 상승한다. 배출 개구 형성 영역(18)이 폐색벽(14)의 그 밖의 부분에서 제거될 때는 시일편(44)은 탄성적으로 휘어 상기 그 밖의 부분보다 위쪽으로 이동한다.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를 상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가 상승하게 될 때는, 또한 바깥덮개(6)의 스커트벽(78)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계지 돌출부(102)가 덮개 본체(4)의 수하벽(34)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피계지 돌출부(40)에 계지되어 덮개 본체(4)에 대한 바깥덮개(6)의 상승이 규제됨과 더불어, 바깥덮개(6)의 스커트벽(78)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이 덮개 본체(4)의 수하벽(34)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에 계지되어 덮개 본체(4)에 대한 바깥덮개(6)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바깥덮개(6)를 덮개 본체(4)에 대하여 상기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제2 계지 돌출부(102) 및 제2 피계지 돌출부(40)와, 제2 둘레 방향 계지 수단(104) 및 제2 둘레 방향 피계지 수단(42)을 통해 스커트벽(78)에 마련된 파단 가능 라인(98)에 응력이 전해져 이것에 집중하고, 이러한 힘에 의해서 파단 가능 라인(98)이 파단된다. 그러한 후에는,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78b)를 남기고 메인부(78a)는 회전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하여 덮개 본체(4)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덮개 본체(4)의 폐색벽(14)에 생성된 배출 개구가 노출되어, 이러한 배출 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내용물의 필요량의 배출이 종료된 후에는, 바깥덮개(6)를 덮개 본체(4)에 끼우고, 이어서 위쪽에서 봤을 때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바깥덮개(6)의 수하벽(8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조(88)를 덮개 본체(4)의 원통벽(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조(26)에 나사 결합시켜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를 강하시킨다. 바깥덮개(6)를 덮개 본체(4)에 대하여 상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 본체(4)에 대하여 바깥덮개(6)를 강하시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시일편(44)이 폐색벽(14)의 상기 그 밖의 부분의 상면에 맞닿아 배출 개구 형성 영역(18)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됨과 더불어, 폐색벽(14)에 생성된 배출 개구가 닫힌다. 이와 같이 하여, 덮개 본체(4)로부터 이탈된 바깥덮개(6)가 덮개 본체(4)에 재장착된다.
용기의 내용물을 다 소비한 후에는, 소위 폐기물의 분별 회수를 위해서 용기의 구경부(106)로부터 용기 덮개(2) 전체를 이탈시킨다. 이때는, 미리 덮개 본체(4)로부터 바깥덮개(6)의 메인부(78a)를 이탈시킨 상태에서(원하면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탬퍼 에비던트 스커트부(78b)도 덮개 본체(4)로부터 이탈시켜 놓아도 좋다), 둘레벽 분리 영역(50)의 반시계 방향 상류 단부에 있어서 둘레벽(12)에 규정된 손잡이부(67)를 파지하여 이것을 위쪽 또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강제하고, 이렇게 하여 파단 가능 연접편(64)을 파단시킨다. 이어서, 손잡이부(67)를 반경 방향 바깥쪽 또한 반시계 방향을 향해서 강제시킨다. 이때는, 둘레벽 분리 영역(50)에 있어서는, 둘레벽(12)과 측벽(10)을 접속하는 파단 가능 접속편(58) 및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59)을 파단하여, 둘레벽(12)은 측벽(10)으로부터 격리되게 되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이행 영역(52)에 있어서는, 이러한 영역에 있어서 메인부(8)와 측벽(10)을 접속하는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을 파단함과 더불어, 측벽(10)에 형성된 적어도 일부가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을 파단한다.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파단에 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행 영역(52)에 있어서는, 맨 처음 박육부(72)의 반시계 방향 상류 끝에 있어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의 응력이 가해진다. 그렇게 하면, 박육부(72)의 반시계 방향 상류 단부에 측벽(10)과 둘레벽(12)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상기 영역(74)의 제1 직선 가장자리(74a)가 위치하기 때문에, 반시계 방향으로 봤을 때에 제1 직선 가장자리(74a)와 박육부(72)의 반시계 방향 상류 가장자리 사이의 부분(즉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상단부(70a))에 응력이 집중하여, 이러한 부분이 파단된다. 이어서, 영역(74)의 경사 가장자리(74b)를 따라 박육부(72)가 파단(즉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경사 메인부(70b)가 파단)된다. 이때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영역(74)이 강성이 비교적 낮은 박육부(72)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영역(74)과 박육부(72) 사이에 전단력이 양호하게 가해져,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경사 메인부(70b)의 파단이 원활하게 수행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측벽(10)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파단되게 된다. 그리고, 파단 가능 라인(70)보다도 반시계 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는 측벽(10)과 둘레벽(12)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둘레벽(12)과 함께 측벽(10)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측벽 분리 영역(54)에 있어서는, 이행 영역(52)으로부터 연속하여 메인부(8)와 측벽(10)을 접속하는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을 파단하고, 둘레벽(12)과 함께 측벽(10)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용기의 구경부(106)에 형성된 계지 턱부(108)로의 덮개 본체(4)에 형성된 계지 수단(48)의 계지가 점차 해제된다.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의 파단은 비분리 영역(56)에 도달함으로써 정지한다.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의 파단이 완료된 후에는, 계지 수단(48)에 의한 용기의 구경부(106)로의 계지가 충분히 약화되어 있으므로, 비분리 영역(56)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을 축으로 그 밖의 영역에 있어서의 둘레벽(12)을 위쪽으로 강제함으로써 덮개 본체(4) 전체를 용기의 구경부(106)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용기 덮개(2)에 있어서는, 이행 영역(52)에 있어서 측벽(10)에 형성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적어도 일부가 아래쪽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행 영역(52)에 있어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70)의 파단에 이어서, 측벽 분리 영역(54)에 있어서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68)의 파단을 충분히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용기의 구경부(106)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용기 덮개(2)를 이탈시킬 수 있다.
2: 용기 덮개 4: 덮개 본체
6: 바깥덮개 8: 메인부
10: 측벽 12: 둘레벽
50: 둘레벽 분리 영역 52: 이행 영역
54: 측벽 분리 영역 56: 비분리 영역
68: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 70: 파단 가능 라인
70a: 상단부 70b: 경사 메인부
72: 박육부 74: 영역
106: 용기의 구경부 108: 계지 턱부

Claims (10)

  1. 용기의 구경부의 정상면을 덮는 메인부와, 이 메인부로부터 늘어뜨리는 원통형상의 측벽과, 이 측벽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계지(係止)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의 구경부에 끼워져 상기 계지 수단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계지 턱부에 계합시킴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덮개 본체를 갖춘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위쪽에서 봤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 둘레벽 분리 영역, 이행 영역 및 측벽 분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둘레벽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파단 가능 접속편 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접속벽을 통해 상기 측벽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의 상기 반시계 방향 상류 끝에 있어서는, 상기 둘레벽에 하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행 영역 및 상기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의 상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을 통해 상기 메인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이행 영역에 있어서는 또한,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을 향해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보다도 상기 반시계 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과 상기 둘레벽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상기 측벽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상단부와, 이 상단부에 이어서 하단까지 상기 반시계 방향 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 메인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메인부는 연직에 대하여 10 내지 80도의 경사 각도를 갖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은 20 내지 18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상기 이행 영역은 10 내지 45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고, 상기 측벽 분리 영역은 90 내지 27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분리 영역과 상기 둘레벽 분리 영역 사이에는 45 내지 180도의 각도에 걸쳐 존재하는 비분리 영역이 존재하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하류 측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벽의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가장자리가, 상기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류 측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벽의 상기 반시계 방향 하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측벽에 파단 가능 연접편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의 내경을 국부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규정되며 또한 아래쪽을 향해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박육부가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상기 둘레벽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영역은 상기 박육부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상기 박육부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과 상기 둘레벽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규정되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영역 및 상기 측벽 분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측벽을 접속시키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연접벽은, 원통형상 접속부의 외경을 국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규정되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에는 파단 가능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배출 개구 형성 영역이 규정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에는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수나사조가 형성된 원통벽이 배치되어 있고, 상부면벽과 이 상부면벽으로부터 늘어뜨리며 또한 내주면에는 암나사조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수하벽을 갖는 바깥덮개가, 상기 암나사조를 상기 수나사조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덮개 본체에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인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KR1020197026662A 2017-03-13 2018-02-01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KR102542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6982 2017-03-13
JP2017046982A JP6846960B2 (ja) 2017-03-13 2017-03-13 合成樹脂製容器蓋
PCT/JP2018/003433 WO2018168242A1 (ja) 2017-03-13 2018-02-01 合成樹脂製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803A true KR20190126803A (ko) 2019-11-12
KR102542756B1 KR102542756B1 (ko) 2023-06-12

Family

ID=6352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662A KR102542756B1 (ko) 2017-03-13 2018-02-01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80288B2 (ko)
EP (1) EP3597558B1 (ko)
JP (1) JP6846960B2 (ko)
KR (1) KR102542756B1 (ko)
CN (1) CN110573434B (ko)
ES (1) ES2941718T3 (ko)
WO (1) WO2018168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339A1 (ja) * 2018-03-06 2019-09-12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部の構造および包装体
JP7081986B2 (ja) * 2018-06-05 2022-06-07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CN111271662A (zh) * 2020-03-24 2020-06-12 横店集团得邦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光束可调par灯及其实现方法
JP7438639B2 (ja) 2020-11-30 2024-0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008A (en) * 1990-12-03 1992-04-14 Northern Engineering And Plastics Corp. Resealable bottle cap with push-pull closure
JPH11165756A (ja) * 1997-09-30 1999-06-22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0219259A (ja) * 1999-01-29 2000-08-08 Toppan Printing Co Ltd 分別回収用プラスチック製閉蓋用注出口
JP2004090969A (ja) * 2002-08-30 2004-03-25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廃棄性の良好な樹脂キャップ
JP2012214242A (ja) * 2011-03-31 2012-11-08 Yoshino Kogyosho Co Ltd 不正防止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8550A (en) 1966-02-09 1969-10-29 Erhard Langeck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stics Tear-off Closure Caps for Bottles and Bottle Necks adapted to receive the same
US4197960A (en) * 1978-11-01 1980-04-15 The Continental Group, Inc. Pilferproof container
US4874101A (en) * 1987-05-21 1989-10-17 Zalut Gregory J Tamper evident cap
US5588545A (en) * 1991-09-23 1996-12-31 Beeson And Sons Limited Child-resistant and elderly friendly closure for containers
US5507416A (en) * 1994-09-29 1996-04-16 West Penn Plastics Tamper evident push pull resealable cap
US5657906A (en) * 1994-09-29 1997-08-19 West Penn Plastics Tamper evident push pull resealable cap
US5662247A (en) * 1995-09-28 1997-09-02 West Penn Plastics Tamper evident push pull resealable cap
US5975369A (en) * 1997-06-05 1999-11-02 Erie County Plastics Corporation Resealable pushable container closure and cover therefor
FR2768131B1 (fr) * 1997-09-10 1999-10-08 Novembal Sa Bouchon du type tirer-pousser a inviolabilite renforcee
CN1103725C (zh) * 1998-05-22 2003-03-2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合成树脂制的液体注出容器的瓶塞与盖子
EP2548811B1 (en) * 2001-04-13 2017-07-19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resin screw cap
EP1971531B1 (fr) * 2005-11-30 2009-08-19 Biocorp Recherche et Developpement Dispositif de bouchage pour un recipient et recipient equipe d'un tel dispositif
KR20130023374A (ko) * 2006-04-28 2013-03-07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JP4993591B2 (ja) 2007-04-25 2012-08-08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
EP2189387B1 (en) * 2007-08-09 2018-01-24 Kikkoman Corporation 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EP2308772B1 (en) * 2008-07-08 2012-05-09 Japan Crown Cork Co., Ltd. Synthetic resin container closure
JP5202189B2 (ja) * 2008-08-28 2013-06-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合成樹脂製打栓キャップ
US8857638B2 (en) * 2010-12-03 2014-10-14 Bprex Healthcare Packaging Inc. Push-and-turn child-resistant closure, shells, and package
KR102482736B1 (ko) * 2014-07-30 2022-12-30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마개 및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008A (en) * 1990-12-03 1992-04-14 Northern Engineering And Plastics Corp. Resealable bottle cap with push-pull closure
JPH11165756A (ja) * 1997-09-30 1999-06-22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0219259A (ja) * 1999-01-29 2000-08-08 Toppan Printing Co Ltd 分別回収用プラスチック製閉蓋用注出口
JP2004090969A (ja) * 2002-08-30 2004-03-25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廃棄性の良好な樹脂キャップ
JP4427237B2 (ja) 2002-08-30 2010-03-0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の良好な樹脂キャップ
JP2012214242A (ja) * 2011-03-31 2012-11-08 Yoshino Kogyosho Co Ltd 不正防止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6960B2 (ja) 2021-03-24
CN110573434B (zh) 2021-06-29
JP2018150059A (ja) 2018-09-27
US11180288B2 (en) 2021-11-23
US20200385178A1 (en) 2020-12-10
ES2941718T3 (es) 2023-05-25
EP3597558A4 (en) 2020-05-27
EP3597558B1 (en) 2023-03-22
WO2018168242A1 (ja) 2018-09-20
EP3597558A1 (en) 2020-01-22
CN110573434A (zh) 2019-12-13
KR102542756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6803A (ko)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EP3303165B1 (en) Tamper-evident closure
US20150321798A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JP6723021B2 (ja) 容器蓋
JP2019051959A (ja) 容器蓋
JP6322446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WO2018163393A1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5271650B2 (ja) 飲料容器用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10260583A (ja) 強制嵌合式の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19119460A (ja) 封緘部材付きキャップ
JP5973764B2 (ja) 容器蓋
JP6876474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0149886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7081986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918450B1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726695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294723B2 (ja) 容器と容器蓋との組み合わせ
JP7348902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7458728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7037915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740981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4350440B2 (ja) キャップ、および該キャップと容器の組合せ
JP6317153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612883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20192987A (ja) 合成樹脂製中栓及び合成樹脂製外蓋を具備する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