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22A -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622A
KR20190126622A KR1020180050761A KR20180050761A KR20190126622A KR 20190126622 A KR20190126622 A KR 20190126622A KR 1020180050761 A KR1020180050761 A KR 1020180050761A KR 20180050761 A KR20180050761 A KR 20180050761A KR 20190126622 A KR20190126622 A KR 20190126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gister
storage control
signal
data
mask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703B1 (ko
Inventor
이승훈
정원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703B1/ko
Priority to US16/144,298 priority patent/US10636460B2/en
Priority to CN201811215269.6A priority patent/CN110444235B/zh
Publication of KR2019012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5Read-write mode selec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11C7/1009Data masking during input/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18Serial bit line access mode, e.g. using bit line address shift registers, bit line address counters, bit line burst coun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는 데이터로부터 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킹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SEMICONDUCTOR SYSTEM COMPRISING MODE REGISTER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장치는 다양한 동작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모드레지스터를 구비한다. 모드레지스터에는 레이턴시 및 버스트랭쓰(burst length)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반도체장치는 모드레지스터에 저장된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입출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드레지스터 라이트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로부터 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킹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버스 및 커맨드어드레스버스를 통해 데이터 및 커맨드어드레스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마스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반도체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데이터로부터 제1 마스킹신호를 생성하고, 제2 데이터로부터 제2 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킹신호생성회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킹신호를 생성하고, 마스킹신호를 이용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반도체장치들을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에 있어 반도체시스템에 포함된 반도체장치 별로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에 포함된 마스킹신호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에 포함된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가 적용된 반도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에 포함된 마스킹신호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에 포함된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에 포함된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가 적용된 반도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2는 도 6 및 도 11에서 살펴본 반도체시스템들이 적용된 전자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1)는 정보신호추출회로(11), 커맨드디코더(12),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 및 모드레지스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신호추출회로(11)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하는 경우 커맨드어드레스(CA<1:L>)로부터 정보신호(OP<1:M>)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신호추출회로(11)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1:L>)로부터 정보신호(OP<1:M>)를 추출하는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신호추출회로(11)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할 때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일부 비트들을 정보신호(OP<1:M>)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보신호(OP<1:M>)는 데이터입출력동작에 이용되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burst leng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비트 수(L) 및 정보신호(OP<1:M>)에 포함된 비트 수(M)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비트 수(L)는 정보신호(OP<1:M>)에 포함된 비트 수(M)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커맨드디코더(12)는 커맨드어드레스(CA<1:L>)를 디코딩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를 발생시킬 수 있다. 커맨드디코더(12)는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일부 비트들이 기설정된 로직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는 모드레지스터(15)에 정보신호(OP<1:M>)를 저장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는 데이터(DQ) 및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마스킹신호(MASKB)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는 리셋신호(RST)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마스킹신호(MASKB)를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리셋신호(RST)는 초기화동작을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는 데이터(DQ)가 기설정된 로직레벨을 갖는 경우 인에이블되는 마스킹신호(MASKB)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 및 마스킹신호(MASKB)에 응답하여 저장제어펄스(SCNTP)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는 마스킹신호(MASKB)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하는 경우 저장제어펄스(SCNTP)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는 마스킹신호(MASKB)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저장제어펄스(SCNTP)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모드레지스터(15)는 저장제어펄스(SCNTP)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신호(OP<1:M>)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15)에 저장된 정보신호(OP<1:M>)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는 초기화회로(131), 래치회로(132) 및 버퍼회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회로(131)는 NMOS 트랜지스터(N13)를 포함할 수 있다. NMOS 트랜지스터(N13)는 노드(nd131) 및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초기화회로(131)는 초기화동작 시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노드(nd131)를 로직로우레벨로 초기화할 수 있다. 래치회로(132)는 인버터들(IV131, IV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V131)는 노드(nd131)의 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노드(nd132)로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IV132)는 노드(nd132)의 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노드(nd131)로 출력할 수 있다. 래치회로(132)는 노드들(nd131, nd132)의 신호들을 래치할 수 있다. 버퍼회로(133)는 인버터들(IV133, IV134)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회로(133)는 노드(nd132)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마스킹신호(MASKB)로 출력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는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마스킹신호(MASKB)를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셋신호(RST)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리셋신호(RST)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신호(MASKB)는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킹신호(MASKB)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13)는 데이터(DQ)가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마스킹신호(MASKB)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는 낸드게이트(NAND14) 및 인버터(IV14)를 포함할 수 있다. 낸드게이트(NAND14)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 및 마스킹신호(MASKB)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인버터(IV14)는 낸드게이트(NAND14)의 출력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는 마스킹신호(MASKB)가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로직하이레벨로 발생하는 경우 저장제어펄스(SCNTP)를 로직하이레벨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14)는 마스킹신호(MASKB)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저장제어펄스(SCNTP)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되, 마스킹신호(MASKB)에 의해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와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차단되는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맨드어드레스(CA<1:L>)의 로직레벨조합이 'X1'으로 입력되는 경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되고, 정보신호(OP<1:M>)의 로직레벨조합이 'Y1'으로 추출된다. 이때, 데이터(DQ)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마스킹신호(MASKB)가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이므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될 때 저장제어펄스(SCNTP)가 발생되어 정보신호(OP<1:M>)가 모드레지스터(15)에 저장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맨드어드레스(CA<1:L>)의 로직레벨조합이 'X2'으로 입력되는 경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되고, 정보신호(OP<1:M>)의 로직레벨조합이 'Y2'로 추출된다. 이때, 데이터(DQ)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마스킹신호(MASKB)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이므로, 저장제어펄스(SCNTP)의 발생이 차단되어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 수행이 차단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는 반도체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반도체시스템(2)은 컨트롤러(21) 및 반도체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1)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23) 및 데이터 버스(24)를 통해 반도체장치(22)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21)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23)를 통해 커맨드어드레스(CA<1:L>)를 반도체장치(22)에 인가할 수 있다. 컨트롤러(21)는 데이터 버스(24)를 통해 데이터(DQ)를 반도체장치(22)에 인가할 수 있다.
반도체장치(22)는 제1 패드부(25), 제2 패드부(26) 및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25) 및 제2 패드부(26)는 다수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장치(22)는 제1 패드부(25)를 통해 컨트롤러(21)로부터 커맨드어드레스(CA<1:L>)를 인가받을 수 있다. 반도체장치(22)는 제2 패드부(26)를 통해 컨트롤러(21)로부터 데이터(DQ)를 인가받을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27)는 커맨드어드레스(CA<1:L>) 및 데이터(DQ)를 입력받아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27)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도 1 내지 도 5을 통해 살펴보았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는 데이터(DQ)를 이용하여 마스킹신호(MASKB)를 생성하고, 마스킹신호(MASKB)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로부터 저장제어펄스(SCNTP)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저장제어펄스(SCNTP)의 발생이 차단되는 경우 정보신호(OP<1:M>)가 모드레지스터(15)에 저장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될 때 데이터(DQ)에 의해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 여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가 적용된 반도체시스템이 다수의 반도체장치들을 포함하는 경우 반도체장치들 각각의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여부를 데이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반도체장치 별로 최적의 타이밍에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3)는 정보신호추출회로(31), 커맨드디코더(32),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 제1 모드레지스터(36) 및 제2 모드레지스터(37)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신호추출회로(31)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하는 경우 커맨드어드레스(CA<1:L>)로부터 정보신호(OP<1:M>)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신호추출회로(31)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1:L>)로부터 정보신호(OP<1:M>)를 추출하는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신호추출회로(31)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할 때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일부 비트들을 정보신호(OP<1:M>)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보신호(OP<1:M>)는 데이터입출력동작에 이용되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burst leng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비트 수(L) 및 정보신호(OP<1:M>)에 포함된 비트 수(M)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비트 수(L)는 정보신호(OP<1:M>)에 포함된 비트 수(M)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커맨드디코더(32)는 커맨드어드레스(CA<1:L>)를 디코딩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를 발생시킬 수 있다. 커맨드디코더(32)는 커맨드어드레스(CA<1:L>)에 포함된 일부 비트들이 기설정된 로직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는 제1 모드레지스터(36) 및 제2 모드레지스터(37)에 정보신호(OP<1:M>)를 저장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는 제1 데이터(DQ1), 제2 데이터(DQ2) 및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는 리셋신호(RST)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리셋신호(RST)는 초기화동작을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는 제1 데이터(DQ1)가 기설정된 로직레벨을 갖는 경우 인에이블되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는 제2 데이터(DQ2)가 기설정된 로직레벨을 갖는 경우 인에이블되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8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에 응답하여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또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에 응답하여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또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10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제1 모드레지스터(36)는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신호(OP<1:M>)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모드레지스터(36)에 저장된 정보신호(OP<1:M>)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모드레지스터(37)는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신호(OP<1:M>)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모드레지스터(37)에 저장된 정보신호(OP<1:M>)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모드레지스터(37)는 제1 모드레지스터(36)와 상이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는 제1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1) 및 제2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1)는 제1 초기화회로(333), 제1 래치회로(334) 및 제1 버퍼회로(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초기화회로(333)는 NMOS 트랜지스터(N331)를 포함할 수 있다. NMOS 트랜지스터(N331)는 노드(nd331) 및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1 초기화회로(333)는 초기화동작 시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노드(nd331)를 로직로우레벨로 초기화할 수 있다. 제1 래치회로(334)는 인버터들(IV331, IV1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V331)는 노드(nd331)의 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노드(nd332)로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IV332)는 노드(nd332)의 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노드(nd33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래치회로(334)는 노드들(nd331, nd332)의 신호들을 래치할 수 있다. 제1 버퍼회로(335)는 인버터들(IV333, IV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회로(335)는 노드(nd332)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제1 마스킹신호(MASKB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1)는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마스킹신호(MASKB1)를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셋신호(RST)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리셋신호(RST)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마스킹신호(MASKB1)는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마스킹신호(MASKB1)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1)는 제1 데이터(DQ1)가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2)는 제2 초기화회로(336), 제2 래치회로(337) 및 제2 버퍼회로(3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초기화회로(336)는 NMOS 트랜지스터(N332)를 포함할 수 있다. NMOS 트랜지스터(N332)는 노드(nd333) 및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리셋신호(RST)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2 초기화회로(336)는 초기화동작 시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노드(nd333)를 로직로우레벨로 초기화할 수 있다. 제2 래치회로(337)는 인버터들(IV335, IV1336)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IV335)는 노드(nd333)의 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노드(nd334)로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IV336)는 노드(nd334)의 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노드(nd333)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래치회로(337)는 노드들(nd333, nd334)의 신호들을 래치할 수 있다. 제2 버퍼회로(338)는 인버터들(IV337, IV3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퍼회로(338)는 노드(nd334)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제2 마스킹신호(MASKB2)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2)는 리셋신호(RST)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셋신호(RST)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리셋신호(RST)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마스킹신호(MASKB2)는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마스킹신호(MASKB2)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마스킹신호생성회로(332)는 제2 데이터(DQ2)가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는 앤드게이트(AND34)를 포함할 수 있다. 앤드게이트(AND34)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모두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로직하이레벨로 발생하는 경우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를 로직하이레벨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4)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또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는 앤드게이트(AND35)를 포함할 수 있다. 앤드게이트(AND35)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모두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로직하이레벨로 발생하는 경우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를 로직하이레벨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35)는 제1 마스킹신호(MASKB1) 또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앞서, 도 7 내지 도 10에서 살펴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는 반도체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고하면 반도체시스템(4)은 컨트롤러(41) 및 반도체장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1)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43) 및 데이터 버스(44)를 통해 반도체장치(42)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41)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43)를 통해 커맨드어드레스(CA<1:L>)를 반도체장치(42)에 인가할 수 있다. 컨트롤러(41)는 데이터 버스(44)를 통해 제1 데이터(DQ1) 및 제2 데이터(DQ2)를 반도체장치(42)에 인가할 수 있다.
반도체장치(42)는 제1 패드부(45), 제2 패드부(46), 제3 패드부(47) 및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45), 제2 패드부(46) 및 제3 패드부(47)는 다수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장치(42)는 제1 패드부(45)를 통해 컨트롤러(41)로부터 커맨드어드레스(CA<1:L>)를 인가받을 수 있다. 반도체장치(42)는 제2 패드부(46)를 통해 컨트롤러(41)로부터 제1 데이터(DQ1)를 인가받을 수 있다. 반도체장치(42)는 제3 패드부(47)를 통해 컨트롤러(41)로부터 제2 데이터(DQ2)를 인가받을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48)는 커맨드어드레스(CA<1:L>), 제1 데이터(DQ1) 및 제2 데이터(DQ2)를 입력받아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48)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살펴보았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는 제1 데이터(DQ1) 및 제2 데이터(DQ2)를 이용하여 제1 마스킹신호(MASKB1) 및 제2 마스킹신호(MASKB2)를 생성하고, 제1 마스킹신호(MASKB1) 또는 제2 마스킹신호(MASKB2)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로부터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 및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저장제어펄스(SCNTP1) 및 제2 저장제어펄스(SCNTP2)의 발생이 차단되는 경우 정보신호(OP<1:M>)가 제1 모드레지스터(36) 및 제2 모드레지스터(37)에 저장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MRWP)가 발생될 때 제1 데이터(DQ1) 및 제2 데이터(DQ2)에 의해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 여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가 적용된 반도체시스템이 다수의 반도체장치들을 포함하는 경우 반도체장치들 각각의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의 수행여부를 복수의 데이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반도체장치 별로 최적의 타이밍에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도 6에서 살펴본 반도체시스템(2) 및 도 11에서 살펴본 반도체시스템(4)은 메모리시스템, 그래픽시스템, 컴퓨팅시스템 및 모바일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전자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시스템(1000)은 데이터저장부(1001), 메모리컨트롤러(1002), 버퍼메모리(1003) 및 입출력인터페이스(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001)는 메모리컨트롤러(100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컨트롤러(1002)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컨트롤러(1002)에 출력한다. 데이터저장부(1001)는 도 6에 도시된 반도체장치(22) 및 도 11도시된 반도체장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저장부(1001)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잃지 않고 계속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Nor Flash Memory, NAND Flash Memory), 상변환 메모리(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RRAM), 스핀 주입자화반전 메모리(Spin Transfer Torque Random Access Memory; STTRAM), 자기메모리(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컨트롤러(1002)는 입출력인터페이스(1004)를 통해 외부기기(호스트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저장부(1001) 및 버퍼메모리(1003)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12에서는 메모리컨트롤러(1002)가 하나의 블럭으로 표시되었으나, 메모리컨트롤러(1002)는 데이터저장부(100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휘발성 메모리인 버퍼메모리(1003)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컨트롤러(1002)는 도 6에 도시된 컨트롤러(21) 및 도 11도시된 컨트롤러(41)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메모리(1003)는 메모리컨트롤러(1002)에서 처리할 데이터 즉 데이터저장부(1001)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버퍼메모리(1003)는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컨트롤러(1002)에서 인가되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버퍼메모리(1003)는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컨트롤러(1002)에 출력한다. 버퍼메모리(1003)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Moblie D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1004)는 메모리컨트롤러(1002)와 외부기기(호스트) 사이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여 메모리컨트롤러(1002)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입출력인터페이스(1004)는 USB, MMC, PCI-E, SAS, SATA, PATA, SCSI, ESDI, 및 IDE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시스템(1000)은 호스트 장치의 보조 기억장치 또는 외부 저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시스템(1000)은 고상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Memory), 씨큐어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SD), 미니 씨큐어 디지털 카드(mini Secure Digital card; mSD), 마이크로 씨큐어 디지털 카드(micro SD), 고용량 씨큐어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High Capacity; SDHC), 메모리 스틱 카드(Memory Stick Car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SM), 멀티 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MMC), 내장 멀티 미디어 카드(Embedded MMC; eMMC), 컴팩트 플래시 카드(Compact Flash; C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11: 정보신호추출회로
12: 커맨드디코더 13: 마스킹신호생성회로
14: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 15: 모드레지스터
131: 초기화회로 132: 래치회로
133: 버퍼회로 21: 컨트롤러
22: 반도체장치 23: 커맨드어드레스 버스
24: 데이터 버스 25: 제1 패드부
26: 제2 패드부

Claims (20)

  1. 데이터로부터 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킹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신호는 상기 데이터가 기설정된 로직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제어펄스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신호생성회로는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노드를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하는 초기화회로; 및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는 상기 마스킹신호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를 버퍼링하여 상기 저장제어펄스로 출력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는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위해 발생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제어펄스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신호를 저장하는 모드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커맨드어드레스로부터 추출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8. 데이터버스 및 커맨드어드레스버스를 통해 데이터 및 커맨드어드레스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데이터버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마스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반도체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는
    상기 데이터가 인가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커맨드어드레스가 인가되는 제2 패드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는
    상기 데이터가 기설정된 로직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제어펄스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킹신호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신호생성회로는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노드를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하는 초기화회로; 및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는
    상기 마스킹신호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를 버퍼링하여 상기 저장제어펄스로 출력하는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는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위해 발생되는 반도체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는
    상기 저장제어펄스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신호를 저장하는 모드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커맨드어드레스로부터 추출되는 반도체시스템.
  16. 제1 데이터로부터 제1 마스킹신호를 생성하고, 제2 데이터로부터 제2 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마스킹신호생성회로;
    상기 제1 및 제2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 및
    상기 제1 및 제2 마스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로부터 모드레지스터라이트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저장제어펄스를 생성하는 제2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를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신호는 상기 제1 데이터가 기설정된 로직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저장제어펄스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해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 마스킹신호는 상기 제2 데이터가 기설정된 로직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저장제어펄스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제어펄스생성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마스킹신호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모드레지스터라이트펄스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 저장제어펄스로 출력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제어펄스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신호를 저장하는 제1 모드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는 레이턴시 또는 버스트랭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커맨드어드레스로부터 추출되는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
KR1020180050761A 2018-05-02 2018-05-02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KR10253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761A KR102538703B1 (ko) 2018-05-02 2018-05-02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US16/144,298 US10636460B2 (en) 2018-05-02 2018-09-27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mode register control circuit
CN201811215269.6A CN110444235B (zh) 2018-05-02 2018-10-18 包括模式寄存器控制电路的半导体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761A KR102538703B1 (ko) 2018-05-02 2018-05-02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22A true KR20190126622A (ko) 2019-11-12
KR102538703B1 KR102538703B1 (ko) 2023-06-01

Family

ID=6838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761A KR102538703B1 (ko) 2018-05-02 2018-05-02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36460B2 (ko)
KR (1) KR102538703B1 (ko)
CN (1) CN110444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1452A (zh) * 2022-09-08 2024-03-15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模式寄存器设置编码的生成电路、方法及存储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7358A1 (en) * 2008-08-04 2010-02-04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 out mode register information through DQ pads
KR20120027066A (ko) * 2010-09-10 2012-03-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30084369A (ko) * 2012-01-17 201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KR20160076889A (ko) * 2014-12-23 2016-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20170013489A (ko) * 2015-07-27 2017-02-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20170236567A1 (en) * 2016-02-15 2017-08-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dividually configur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sharing a common command access b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183B1 (ko) * 1999-01-16 2001-04-16 윤종용 안정적인 데이터 마스킹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데이터 마스킹 방법
JP4515566B2 (ja) * 1999-11-09 2010-08-0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5011818B2 (ja) * 2006-05-19 2012-08-2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KR101688050B1 (ko) * 2009-12-22 2016-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 수행 방법
KR101090329B1 (ko) * 2010-02-25 2011-12-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장치, 메모리장치의 동작방법 및 제어방법
US8429470B2 (en) * 2010-03-10 2013-04-23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testing systems and methods
KR20130098681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30139633A (ko) * 2012-06-13 2013-12-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및 메모리 장치
KR20150000228A (ko) * 2013-06-24 2015-01-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KR20150042360A (ko) 2013-10-10 2015-04-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2398541B1 (ko) * 2015-09-17 2022-05-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7358A1 (en) * 2008-08-04 2010-02-04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ad out mode register information through DQ pads
KR20120027066A (ko) * 2010-09-10 2012-03-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30084369A (ko) * 2012-01-17 201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KR20160076889A (ko) * 2014-12-23 2016-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20170013489A (ko) * 2015-07-27 2017-02-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20170236567A1 (en) * 2016-02-15 2017-08-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dividually configur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sharing a common command access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41087A1 (en) 2019-11-07
CN110444235A (zh) 2019-11-12
US10636460B2 (en) 2020-04-28
CN110444235B (zh) 2023-01-20
KR102538703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898B1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102662417B1 (ko) 반도체장치
US9659615B1 (en)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ipe latch circuit and auto-precharge signal generation circuit
US9613666B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20180136844A1 (en) Arithmetic circuit and a semiconductor device
US10466931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102576766B1 (ko) 반도체장치
US9672884B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20180106491A (ko) 반도체장치
US9673814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10607673B2 (en) Semiconductor devices for controlling input of a data strobe signal
KR102538703B1 (ko) 모드레지스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US1038106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burst mode
US10269398B2 (en)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logic operators to prevent malfunction
KR20170068718A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10658015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10990522B2 (en) Electronic devices relating to a mode register information signal
US11435815B2 (en) Semiconductor devices providing a power-down mod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power-down mode us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KR102638788B1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20170033593A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20190117078A (ko) 반도체장치
US10861511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11967398B2 (en) Semiconductor device delaying mode control signals
KR102662418B1 (ko) 커맨드펄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반도체장치
CN110297533B (zh) 与执行复位操作相关的半导体封装和半导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