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404A -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404A
KR20190126404A KR1020197030404A KR20197030404A KR20190126404A KR 20190126404 A KR20190126404 A KR 20190126404A KR 1020197030404 A KR1020197030404 A KR 1020197030404A KR 20197030404 A KR20197030404 A KR 20197030404A KR 20190126404 A KR20190126404 A KR 2019012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outer cylinder
gasket
wall surface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600B1 (ko
Inventor
다카시 하시마
Original Assignee
헤이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신 엘티디. filed Critical 헤이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2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is stationary while the other member rotates and orbits
    • F04C2/1075Construction of the stationary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8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 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1C1/1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 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1C1/101Moineau-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03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15/0023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6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orbits or wobbles relative to the other member which rotates around a fix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4C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B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대한 조립 및 분리의 반복에 의한 스테이터의 파손을 억제하여, 비교적 장기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수명이 긴 스테이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결 수단] 스테이터(20)는 외통(30)과, 플랜지형 가스킷부46, 47)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본체(42)를 갖고, 스테이터(20)가 가스킷부(46, 47)와 외통(30)이 고착되는 고착 영역(24, 25)을 구비하고, 외통(30) 및 가스킷부(46, 47)의 양쪽 또는 한쪽에, 축선 방향 X로 침입 혹은 퇴입하고, 상기 외통 및 상기 가스킷부 중 한쪽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쪽에 대하여 끼워 넣은 형상으로 하는 기복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
본 발명은,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동물의 이송을 위해, 일축 편심 나사 펌프가 제공되고 있다. 일축 편심 나사 펌프는,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된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편심 회전하는 수나사형 로터를 갖고 있다. 또한,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스테이터의 대부분은, 금속 등 경질 소재로 구성된 외통과,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로 성형되어,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된 스테이터 본체를 갖고 있다. 외통과 스테이터 본체는, 외통의 내주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열에 의한 압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테이터를 구비한 일축 편심 나사 펌프가,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하기 특허문헌 1로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스테이터(520)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530) 및 스테이터 본체(542)를 갖는다. 스테이터 본체(542)의 양단에는, 가스킷부(546, 547)가 마련되어 있다. 가스킷부(546, 547)는, 시일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외통(530)의 내주면(530a)과 스테이터 본체(542)의 간극에 이송액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외통(530)과 가스킷부(546, 547)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열 등에 의한 압착에 의해 고착된다. 스테이터(520)는, 가스킷부(546, 547)를 엔드 스터드(513)(노즐)와 펌프 케이싱(516) 사이에 끼움 지지시킨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6046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스테이터(5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부착될 때에 엔드 스터드(513)(노즐) 등으로부터 받는 압박력의 영향 등에 의해, 가스킷부(546, 547)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에 의해, 가스킷부(546, 547)와 외통 단부(532, 533)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접착 영역 A의 단부 부근에 있어서 큰 응력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520)를 1축 편심 나사 펌프에 조립할 때, 가스킷부(546, 547)는, 외통 단부(532, 533)와 인접하는 부재(엔드 스터드 등) 사이에 끼워져, 스테이터(520)의 축선 방향 양측으로부터 압박된다. 이때, 가스킷부(546, 547)는, 스테이터(520)의 축선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끼움 지지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스테이터(520)를 펌프로부터 분리하면, 가스킷부(546, 547)는, 스테이터(520)의 축선 방향 양측으로부터의 끼움 지지(2부 협지)력으로부터 개방되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520)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대한 조립 및 분리가 반복되면, 가스킷부(546, 547)와 외통(530)의 접착 영역 A에 있어서, 가스킷부(546, 547)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는 응력의 작용(변화)이 반복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스킷부(546, 547)와 외통(530)의 접착 영역 A의 부하가 축적되어, 결국 접착 영역 A에 박리나 균열 등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접착 영역 A의 일부가 박리되면, 가스킷부(546, 547)(스테이터 본체(542))와 외통(530)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간극에 이송액이 침입하면, 접착 영역 A의 박리나 균열 등에 의한 파손이 펴져, 스테이터(520)의 수명을 단축시켜버릴 수도 있다.
또한, 요즘에는 미소량의 이송액을 이송하기 위한 소형 스테이터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소형 스테이터의 경우에는, 가스킷부와 외통도 자연히 소형화하게 되고, 필연적으로 가스킷부와 외통의 접착 면적이 감소되어 접착력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소형 스테이터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착 영역 A의 박리나 균열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대한 조립 및 분리의 반복에 의한 스테이터의 파손을 억제하여, 비교적 장기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수명이 긴 스테이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을 구비한 스테이터 내에 수나사형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구동원을 통해 상기 로터를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스테이터이며, 엘라스토머에 의해 성형되어,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이 스테이터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테이터 본체와,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통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가, 적어도 한쪽 단부에 플랜지 형상의 가스킷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가스킷부와 상기 외통이 고착되는 고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외통 및 상기 가스킷부의 양쪽 또는 한쪽에,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 혹은 퇴입한 기복부를 갖고, 상기 기복부에 있어서, 상기 외통 및 상기 가스킷부 중 한쪽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쪽에 대하여 끼워 넣어진 형상으로 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상기 기복부 및 상기 고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있어서는, 축선 방향으로 돌출 혹은 퇴입한 기복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기복부에 있어서 가스킷부 및 외통이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있어서는, 기복부에 있어서 형성된 끼워 넣기 구조가, 스테이터 본체의 팽창 수축 등에 수반하여 상정되는 가스킷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기 위하여 유효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킷부와 외통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가스킷부와 외통이 고착된 영역(고착 영역)이 가스킷부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터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복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착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고착 영역이 종래의 스테이터의 접착 영역 A와 같이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스킷부와 외통이 인접(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을 확대시켜서 고착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이, 상기 가스킷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형을 제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있어서는, 가스킷부의 적어도 일부가 스테이터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스테이터가 통형인 경우에는 직경 방향.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스테이터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약칭하기도 함)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벽면을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가스킷부와 외통이 고착된 영역(고착 영역)이 가스킷부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의 윤곽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있어서는,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가스킷부의 윤곽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터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가스킷부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킷부 및 외통이 고착된 영역(고착 영역)이, 가스킷부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마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벽면이, 가스킷부의 외측이며 둘레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가스킷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즉, 가스킷부는, 축선 방향으로부터 압박되었을 경우에 직경 방향 외측의 영역은, 변형이 커져 큰 응력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큰 응력의 발생이 상정되는 가스킷부의 둘레면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가스킷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스테이터에서는,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대략 평탄한 단부면에 대하여,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된 가스킷부를 접합한 영역(접합 영역)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도 17 참조).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스킷부와 외통 사이에 갈고리나 가는 기구 등이 들어가거나 하여, 전술한 접합 영역의 파손(예를 들어, 접착제의 박리 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가스킷부와 외통이 인접하는 부분은, 가는 기구 등의 다른 부재의 침입을 억제 가능하도록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제 등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스킷부의 주위에 벽면이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 갈고리나 가는 기구 등이 가스킷부와 외통 사이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킷부와 외통의 접합 부분에서 박리나 균열 등의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한 경우, 가스킷부의 주위에 벽면이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 가스킷부가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한 경우, 가스킷부의 주위와 벽면을 고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가스킷부와 외통이 고착되는 영역(고착 영역)을 보다 한층 크게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킷부와 외통을 보다 한층 강고히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를 상술한 구성으로 하는 것은, 금형을 사용하여 스테이터 본체를 성형하는 것인 경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을 사용한 스테이터 본체의 성형을 행하는 경우에는, 금형을 이형하는 공정이 행하여진다. 그때, 가스킷부가 금형에 붙은 상태에서 금형을 이형시키려고 하면, 가스킷부가 금형에 견인되어, 고착 영역에 있어서 박리 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킷부의 주위에 벽면이 배치된 부분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가스킷부의 둘레면 중 주위에 벽면이 존재하는 부위의 면적만큼, 가스킷을 이루는 부분과 금형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을 사용하여 스테이터 본체를 성형하는 경우에도, 고착 영역에 있어서 박리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제조 가능한 스테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내측에 구성된 수용 영역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스킷부가 상기 수용 영역에 수용되는 부분과,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스킷 중 수용 영역으로부터 스테이터의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이하, 「돌출부」라고도 칭함)을, 접합 대상물인 다른 부재 사이에 개재시켜, 접합 대상물에 대한 충분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본 발명의 스테이터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가스킷의 돌출부를 접합 대상으로 되는 다른 부재(예를 들어, 엔드 스터드라고 칭해지는 부재 등) 사이에 개재시켜, 시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가스킷부의 주위에 벽면이 배치된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갈고리나 가는 기구 등이 가스킷부와 외통 사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가스킷부와 외통의 접합 부분의 박리 등에 수반하는 예기치 않은 문제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벽면을 마련함으로써, 벽면이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의 가스킷부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을 가스킷부와 외통을 고착시키는 것으로 하면, 가스킷부와 외통의 고착 영역의 확대를 위하여 벽면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킷부와 외통을 보다 한층 강고히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을 사용하여 스테이터 본체를 성형하는 경우에 고품질 스테이터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가스킷부의 주위에 벽면이 배치된 부분이 있고, 그만큼만 가스킷을 이루는 부분과 금형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을 사용하여 스테이터 본체를 성형하는 경우에도, 고착 영역에 있어서 박리 등이 발생되는 일 없이, 고품질 스테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가, 상기 외통 단부에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스킷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을 향하여 오목형으로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형으로 형성된 볼록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복부를 이루는 볼록형 부분이나 오목형 부분에 의해, 가스킷부 및 외통 단부에 끼워 넣음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가스킷부와 상기 외통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압착에 의해 고착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복부에 있어서 가스킷부 및 외통을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은 구조로 함으로써, 가스킷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제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가스킷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등이 발생하는 상황에 있어서도, 가스킷부와 외통의 접착 부분이나 압착 부분에 무리인 힘이 작용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수명의 스테이터를 구비한 일축 편심 나사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대한 조립 및 분리의 반복에 의한 스테이터의 파손을 억제하여, 비교적 장기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수명이 긴 스테이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를 구비한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정면도, (b)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테이터의 외통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a)는 사시도, (b)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테이터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스테이터 성형 과정에 있어서의 이형 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스테이터를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정면도, (b)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테이터의 외통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사시도, (b)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테이터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벽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저면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벽면, (b)는 저면과 둔각을 이루는 벽면, (c)는 저면과 예각을 이루는 벽면의 일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기복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a-1)은 원주 홈의 오목부로 된 기복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의 정면도, (a-2)는 (a-1)의 스테이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b-1)는 환상의 볼록부로 된 기복부를 구비한 스테이터의 정면도, (b-2)는 (b-1)의 스테이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기복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a)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기복부, (b)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는 기복부, (c)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기복부, (d)는 두 벽면이 예각을 이루는 기복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기복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a)는 환상의 일부가 분단된 형상을 갖는 기복부, (b)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기복부, (c)는 타원형의 외통을 갖는 스테이터에 대하여 타원형의 기복부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종래의 스테이터를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테이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스테이터의 성형 과정에 있어서의 이형 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 및 스테이터(2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스테이터(20)에 특징을 갖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테이터(20)의 설명에 앞서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소위 회전 용적식 펌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펌프 케이싱(16) 및 스테이터 케이싱(18)의 내부에, 로터(50), 스테이터(20) 및 동력 전달 기구(60) 등을 수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펌프 케이싱(16)의 내부에 동력 전달 기구(60) 등이 수용되어, 스테이터 케이싱(18)의 내부에 스테이터(20)나 로터(50) 등이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16)은, 금속제이고 통 형상의 부재이고, 긴 변 방향 일단측에 스테이터 설치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케이싱(18)은, 긴 변 방향 일단측에 설치된 엔드 스터드(13)에 제1 개구부(1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펌프 케이싱(16)의 외주 부분에는, 제2 개구부(14b)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개구부(14b)는 펌프 케이싱(16)의 긴 변 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 펌프 케이싱(16)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제1 개구부(14a) 및 제2 개구부(14b)는, 각각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의 토출구 및 흡입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는, 로터(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개구부(14a)를 토출구, 제2 개구부(14b)를 흡입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등을 위하여 로터(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개구부(14a)를 흡입구, 제2 개구부(14b)를 토출구로서 기능시켜, 펌프 케이싱(16)의 내부 공간 등의 세정 등을 행할 수 있다.
스테이터(20)는, 일단이 엔드 스터드(13)에 인접하고, 타단이 펌프 케이싱(16)의 스테이터 설치부(16a)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스테이터 케이싱(18) 내에 수용된다.
스테이터(20)는, 대략 원통형의 외관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스테이터(20)는, 금속제이고 통 형상의 외통(30)과, 고무 등의 탄성체나 수지 등의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 본체(42)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20)는, 외통(30)의 내측에 스테이터 본체(42)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테이터 본체(42)는, 후술하는 통 형상부(44)을 외통(30) 내에 수용하고 있다. 스테이터 본체(42)의 외경은, 외통(3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 본체(42)는, 그 외주면이 외통(30)의 내주면(30a)에 대략 밀착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접착제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 본체(42)에는 삽입 관통 구멍(48)이 형성되고, 내주면(42a)이 n조로 단단 혹은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관통 구멍(48)은 내주면(42a)이 2조로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2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터(50)는, 금속제 축체이고, n-1조로 단단 또는 다단의 수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50)는, 1조로 편심된 수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로터(50)는, 긴 변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되어 있다. 로터(50)는, 상술한 스테이터 본체(42)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되어, 삽입 관통 구멍(48)의 내부에 있어서 자유롭게 편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50)를 스테이터(20)에 대하여 삽입 관통하면, 로터(50)의 외주벽(50a)과 스테이터 본체(42)의 내주면(42a)이 양자의 접선에서 밀접한 상태가 되고, 스테이터 본체(42)의 내주면(42a)과 로터(50)의 외주벽(50a) 사이에 유체 반송로(52)(캐비티)가 형성된다. 유체 반송로(52)는, 스테이터(20)나 로터(50)의 긴 변 방향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뻗어 있다.
유체 반송로(52)는, 로터(50)를 스테이터 본체(42)의 삽입 관통 구멍(48) 내에 있어서 회전시키면, 스테이터 본체(42) 내에서 회전하면서 스테이터(20)의 긴 변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 때문에, 로터(50)를 회전시키면, 스테이터(20)의 일단측으로부터 유체 반송로(52) 내로 유체를 흡입함께 함께, 이 유체를 유체 반송로(52) 내에 가둔 상태에서 스테이터(20)의 타단측을 향하여 이송하여, 스테이터(20)의 타단측에 있어서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동력 전달 기구(60)는, 구동원(58)으로부터 상술한 로터(50)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동력 전달 기구(60)는, 동력 전달부(64)와 편심 회전부(62)를 갖는다. 동력 전달부(64)는, 펌프 케이싱(16)의 긴 변 방향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편심 회전부(62)는, 중간부(54)에 마련되어 있다. 편심 회전부(62)는, 동력 전달부(64)와 로터(50)를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부분이다. 편심 회전부(62)는, 종래 공지된 커플링 로드나, 스크루 로드 등에 의해 구성된 연결 축(63)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편심 회전부(62)는, 구동원(58)을 작동시킴으로써 발생한 회전 동력을 로터(50)에 전달시켜, 로터(50)를 편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테이터(20)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 본 발명의 스테이터(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20)는, 외통(30) 및 스테이터 본체(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스테이터(20)의 축선 방향(긴 변 방향)을 「축선 방향 X」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스테이터(20)를 엔드 스터드(13)측으로부터 축선 방향 X로 시인한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터(20)는, 스테이터 본체(42)의 외측에 외통(30)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테이터(20)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부착시킨 외통(30)에 스테이터 본체(42)의 성형 재료를 주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통(30)과 스테이터 본체(42)를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본체(42)의 성형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는,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스테이터 단부(22, 23)를 갖는다. 스테이터 단부(22, 23)에는, 고착 영역(24, 2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통(30)은,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외통 단부(32, 33)를 갖는다. 스테이터 본체(42)는, 긴 변 방향의 양측에 플랜지 형상의 가스킷부(46, 47)를 갖는다. 스테이터(20)는, 외통 단부(32, 33)와 가스킷부(46, 47)의 접촉 부분에 고착 영역(24, 25)을 갖는다. 스테이터(20)는, 외통 단부(32, 33)와 가스킷부(46, 47)를 고착 영역(24, 25)에 있어서 접착 등에 의해 고착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20)는, 기복부(26, 27)를 갖는다. 기복부(26, 27)는, 외통 단부(32, 33)의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형 부위이다. 스테이터(20)는, 외통 단부(32, 33)에 대하여 가스킷부(46, 47)를 외통 단부(32, 33)에 대하여 축선 방향 X를 향하여 끼워 넣은(혹은 침입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는, 스테이터 단부(22)에, 기복부(26) 및 고착 영역(2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20)는, 스테이터 단부(23)에, 기복부(27) 및 고착 영역(25)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30)은 금속제이고 중공의 통 형상 부재이다. 외통(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 본체(42)의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외통(30)의 재질은, 경질 재료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통(30)의 재료로서, 수지 소재 등의 소재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외통(30)은,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의 통체이다.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30)은 축선 방향 X를 향하여 관통한 관통 구멍(40)을 갖는다. 외통(30)에는, 관통 구멍(40)의 내주면(30a)에 대략 밀착하도록 스테이터 본체(42)가 수용된다.
또한, 외통(30)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관을 갖는 것이지만, 스테이터 본체(42)의 형상을 따른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통(30)은, 대략 긴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도 15의 (c) 참조)이지만,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30)에는, 외통 단부(32, 33)에 기복부(26, 27)(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기복부(26)는 엔드 스터드(13)측의 외통 단부(32)에 마련되고, 기복부(27)는 펌프 케이싱(16)측의 외통 단부(33)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킷부(46, 47)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복부(26, 27)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26, 27)는,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복부(26)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기복부(27)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26)(오목부)는, 외통 단부(32)의 단부면(32a)으로부터 축선 방향 X로 퇴입한 대략 원형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26)는, 정면에서 보아 외통(30)의 외주 전역을 따르는 직경 D1을 갖는 대략 원형의 윤곽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기복부(26)는, 스테이터 본체(42)의 가스킷부(46)를 대략 간극 없이 끼워 넣기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기복부(26)는, 스테이터 본체(42)의 가스킷부(46)를 외통 단부(32)의 단부면(32a)보다도 축선 방향 X의 중앙측을 향하여 돌출(침입)시켜, 가스킷부(46)의 일부가 외통(30)에 끼워 넣어진 형상으로 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26)를 이루는 오목부는, 외통 단부(32)에 있어서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복부(26)는, 단부면(32a)으로부터 축선 방향 X로 거리 L1만큼 퇴입한 저면(34b)을 갖고, 단부면(32a)과 저면(34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26)는, 측면(내주면)을 이루는 벽면(34a)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복부(26)는, 단부면(32a)과 저면(34b) 사이에 축선 방향 X를 따라 퍼지는 벽면(34a)을 갖는다. 벽면(34a)은, 소위 R가공 등에 의해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저면(34b)은, 단부면(32a)과 대략 평행하며, 벽면(34a)에 둘러싸이듯이 형성된 면이다. 기복부(26)는, 벽면(34a)의 내측에 가스킷부(46)를 수용 가능한 수용 영역(36)을 갖는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본체(42)는, 통 형상부(44) 및 가스킷부(46, 47)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스테이터 본체(42)에는, 상술한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48)이 축선 방향 X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본체(42)는, 니트릴 고무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나 불소 고무 등의 고무,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엘라스토머 등, 적당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본체(42)는, 접착제가 부착된 외통(30)에 대하여 성형 재료를 유입하여 성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통(30)에 대하여 고착되어 있다.
통 형상부(44)는, 양단부 근방에 완만하게 직경 확장된 테이퍼형 부분을 갖는다. 가스킷부(46, 47)는, 통 형상부(44)의 양측에 형성되고, 플랜지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킷부(46, 47)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가스킷부(46)와 가스킷부(47)는,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가스킷부(46)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가스킷부(47)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킷부(46)는, 스테이터 본체(42)의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확장된 플랜지형 부분이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킷부(46)는 정면에서 보아 직경 D2를 갖는 대략 원형의 외관으로 되어 있다. 가스킷부(46)의 직경 D2는, 기복부(26)의 직경 D1과 대략 일치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킷부(46)는, 축선 방향 X로 거리 L2의 두께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킷부(46)는 접착면(46a)과, 시일면(46b)과, 둘레면(46c)을 갖는다. 접착면(46a)은, 외통(30)의 단부면(32a)에 접착되는 면이고, 외통(30)의 단부면(32a)에 인접(대향)하고 있다. 또한, 시일면(46b)은 스테이터 본체(42)의 선단에 형성된 면이다. 접착면(46a) 및 시일면(46b)은, 대략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둘레면(46c)은 벽면(34a)의 만곡 형상을 따르듯이 만곡된 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둘레면(46c)은 축선 방향 X의 대략 중앙을 직경 방향으로 팽출시킨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외통(30)에 스테이터 본체(42)를 형성하는 수순의 개요, 및 스테이터 본체(42)의 성형 시에 있어서의 가스킷부(46, 47)의 파손 억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통(30)에 대하여 스테이터 본체(42)를 성형할 때에는, 우선, 외통(30)의 내주면(30a) 및 외통 단부(32, 33)에 접착제를 부착시킨다. 이어서, 외통(30)을 소정의 금형 M에 넣고, 암나사 형상의 코어(도시를 생략)를 외통(30)의 내부에 배치한다. 이어서, 스테이터 본체(42)의 성형 재료로 되는 엘라스토머를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48) 및 가스킷부(46, 47)를 갖는 스테이터 본체(42)가, 외통(30)에 고착된 상태로 성형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공정이 종료된 후에 스테이터(20)로부터 금형 M을 분리하고, 코어(도시를 생략)를 취출한다. 금형 M을 분리시키는 공정 시에, 성형물인 가스킷부(46, 47)에는, 금형 M에 인장되어서 금형 M의 이반 방향으로 견인력(도 5 중의 화살표 참조)이 작용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는, 가스킷부(46)의 일부가 외통(30)의 기복부(26)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도록 성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킷부(46)는 둘레면(46c) 중 축선 방향 X의 일부가 수용 영역(36)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된다. 또한, 가스킷부(46)의 수용 영역(36)에 수용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수용 영역(36)으로부터 축선 방향 X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스테이터 본체(42)의 성형 과정에 있어서, 가스킷부(46)의 둘레면(46c)의 일부는, 벽면(34a)과 마주 보도록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다른 부분은, 금형 M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된다.
추가로 설명하면,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에 있어서는, 축선 방향 X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직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저면(34b)뿐만 아니라, 축선 방향 X로 펼쳐지듯이 형성된 벽면(34a)에 있어서도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하여 가스킷부(46)가 외통(30)에 대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0)는, 종래의 스테이터(520)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면(단부면)에 있어서만 외통(530) 및 스테이터 본체(542)를 고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접착 면적(고착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벽면(34a)은, 금형 M의 이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면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벽면(34a)에 있어서는, 저면(34b)보다도 금형 M의 이형에 따라 작용하는 응력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스테이터(20)에 있어서는, 금형 M의 이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힘(인장력)을, 저면(34b)뿐만 아니라 벽면(34a)에 있어서도 분산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첨가하여, 스테이터(20)에 있어서는, 가스킷부(46)의 둘레면(46c)의 일부가 수용 영역(36)에 수용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면적만큼 성형 시에 금형 M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도 충분하다. 이들 효과에 의해, 스테이터(20)의 성형 시에 금형 M을 이형시킬 때 발생하는 힘의 영향에 의해 예기치 않게 가스킷부(46)가 외통(30)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는, 외통(30)을 수용한 금형 M에 스테이터 본체(42)의 성형 재료를 주입하여 스테이터 본체(42)가 성형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접착제 등의 매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외통(30)에 대하여 엘라스토머 등의 성형 재료 자신이 갖는 접착력을 이용하는 등에 의해, 스테이터 본체(42)를 외통(30)에 대하여 고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30)을 수지제의 경질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열 등의 작용에 의해 외통(30) 및 스테이터 본체(42)를 압착하여 고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미리 성형된 스테이터 본체(42)와 외통(30)을 준비하여, 성형된 스테이터 본체(42)를 외통(30)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가열에 의한 압착에 의해 고착하여 일체적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30) 및 스테이터 본체(42)의 고착 수단을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계속해서, 스테이터(20)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한 조립 및 분리 작업에 있어서의, 가스킷부(46, 47)의 변형 억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를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조립할 때에는, 가스킷부(46, 47)가,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20)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한 조립 시, 가스킷부(46)는 외통 단부(32) 및 엔드 스터드(13)에 끼워져서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된다. 또한, 가스킷부(47)은 외통 단부(33) 및 펌프 케이싱(16)에 끼워져서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된다. 이에 의해, 가스킷부(46, 47)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탄성 변형하려고 한다(도 7 참조).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가스킷부(46)는, 둘레면(46c)의 축선 방향 X의 일부가, 벽면(34a)에 둘러싸인 상태로 성형된다. 즉, 가스킷부(46)의 둘레면(46c)은, 벽면(34a)에 둘러싸인 상태로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면(34a)에 둘러싸인 가스킷부(46)의 부분(수용 영역(36)에 수용된 부분)은, 벽면(34a)과 접촉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제한된다(도 7 중의 화살표 d1 참조). 또한, 가스킷부(47)에 대해서도, 벽면(35a)에 둘러싸인 가스킷부(47)의 부분(수용 영역(37)에 수용된 부분)이, 벽면(35a)과 접촉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제한된다(도시를 생략).
그 때문에, 스테이터(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한 조립 시에 가스킷부(46, 47)에 대하여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적어도 가스킷부(46, 47) 중 수용 영역(36, 37)에 수용된 부분에 대해서는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고착 영역(24, 25)에 있어서 스테이터(20)의 직경 방향으로의 전단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억제된 상태에서 가스킷부(46, 47)가 부착되기 때문에, 스테이터(20)를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로부터 제거할 때에, 가스킷부(46, 47)가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일도 거의 없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한 조립 및 분리 시에 가스킷부(46, 47)에 작용하는 끼움 지지력이 변화해도, 가스킷부(46, 47)의 직경 방향으로의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테이터(20)는, 외통 단부(32, 33)로부터 가스킷부(46, 47)가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에 있어서의, 가스킷부(46, 47)의 시일 부재로서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는 가스킷부(46, 47)의 일부가 수용 영역(36, 37)에 수용되는 한편, 이 이외의 부분(이하,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돌출 부분」이라고도 칭함)이 수용 영역(36, 37)으로부터 축선 방향 X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가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가스킷부(46)의 돌출 부분은, 엔드 스터드(13)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다. 가스킷부(47)의 돌출 부분은, 펌프 케이싱(16)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가스킷부(46, 47)의 수용 영역(36, 37)에 수용된 부분이, 벽면(34a, 35a)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제한되는(도 7 중의 화살표 d1 참조) 한편, 돌출 부분에 대해서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어느 정도 허용된다(도 7 중의 화살표 d2 참조). 그 때문에,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한 스테이터(20)의 조부착에 따라 가스킷부(46, 47)에 대하여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력이 작용하면, 가스킷부(46, 47)의 돌출 부분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 때문에, 엔드 스터드(13)나 펌프 케이싱(16)과 외통(30)의 간극이 가스킷부(46, 47)의 돌출 부분에 의해 매립되어, 액체나 기체의 누설이 억제된다. 즉, 가스킷부(46, 47)의 돌출 부분이, 시일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0)에서는, 가스킷부(46, 47)의 접착면(46a, 47a) 및 외통 단부(32, 33)의 저면(34b, 35b)이, 모두 대략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20)에서는, 벽면(34a, 35a)이, 접착면(46a, 47a)이나 저면(34b, 35b)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둘러싸이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0)의 착탈 작업 등 시에 가는 기구 등이 가스킷부(46, 47)의 근방에서 사용되거나, 가스킷부(46, 47) 근방을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했다고 해도, 벽면(34a, 35a)이 방해가 되어, 전술한 기구나 갈고리 등이 접착면(46a, 47a)이나 저면(34b, 35b) 사이에 침입하는 경우가 없다. 이에 의해, 접착면(46a, 47a) 및 저면(34b, 35b) 사이에 기구 등이 끼어서 고착 영역(24, 25)에 있어서 ?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스테이터(120)의 설명에 있어서, 스테이터(20)와 마찬가지 구성에 대해서는 스테이터(20)의 설명에 있어서 첨부한 부합과 동일한 부합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20)는 외통(130) 및 스테이터 본체(142)를 갖는다. 스테이터 본체(142)에는, 통 형상부(44)의 양측에 플랜지형 가스킷부(146, 14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본체(142)에는,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20)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부착시킨 외통(130)에 스테이터 본체(142)의 성형 재료를 주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통(130)과 스테이터 본체(142)를 일체화하고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20)는, 외통(130)의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스테이터 단부(122, 123)를 갖는다. 스테이터 단부(122, 123)에는, 고착 영역(124, 125)이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터(120)에는, 스테이터 단부(122, 123)에 고착 영역(124, 125)이 구성된다. 또한, 외통(130)은,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외통 단부(132, 133)를 갖는다. 스테이터 본체(142)는, 긴 변 방향의 양측에 플랜지형 가스킷부(146, 147)를 갖는다. 스테이터(120)는, 외통 단부(132, 133)와 가스킷부(146, 147)를 고착 영역(124, 125)에 있어서 접착 등에 의해 고착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120)는, 기복부(126, 127)를 갖는다. 기복부(126, 127)는, 외통 단부(132, 133)에 형성된 볼록형 부위이다. 스테이터(120)는, 가스킷부(146, 147)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하여 외통 단부(132, 133)에 마련된 기복부(126, 127)를 축선 방향 X를 향하여 끼워 넣은(또는 돌출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126)는 외통 단부(132)로부터 엔드 스터드(1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127)는, 외통 단부(133)로부터 펌프 케이싱(16)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126)와 기복부(127)는,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본 실시 형태 설명에 있어서 기복부(126)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복부(127)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외통(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복부(126)(볼록부)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복부(126)는, 외통 단부(132)에 형성된 볼록부로 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126)는, 엔드 스터드(13)를 향하여 축선 방향 X로 돌출되는 단차를, 외통 단부(132)에 형성하고 있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복부(126)는, 외통 단부(132)의 단부면(132a)으로부터 환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126)는 단부면(132a)의 주연(132b)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126)는, 단부면(132a)의 주연(132b)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126)는, 볼록 형상을 형성하는 측면(둘레면)으로서 내주측의 내벽면(134a)과, 외주측의 외벽면(134b)을 갖는다. 내벽면(134a) 및 외벽면(134b)은, 축선 방향 X를 대략 따르는 측면(둘레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126)는, 내벽면(134a)과 외벽면(134b) 사이에 선단면(134c)을 갖는다. 선단면(134c)은, 단부면(132a)과 대략 평행한 면이고, 외통(130)에 있어서 축선 방향 X의 최첨단에 위치하고 있다. 기복부(126)는, 단부면(132a)과 선단면(134c)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20)는, 기복부(126)를 가스킷부(146)에 대하여 끼워 넣은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120)는 가스킷부(146)의 직경 방향 중간에 기복부(126)가 끼워 넣어진 형상으로 되도록, 외통(130)에 대하여 스테이터 본체(142)가 성형된다. 또한, 스테이터(120)에 있어서는, 가스킷부(146)의 둘레면(146c)이, 기복부(126)가 마련된 위치보다도 외통(1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계속해서, 스테이터(120)의 가스킷부(146, 147)의 변형 억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가스킷부(146, 147)는 마찬가지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의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가스킷부(146)에 대하여 설명하고, 가스킷부(147)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와 마찬가지로, 스테이터(1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부착되면, 가스킷부(146)가 외통 단부(132)와 엔드 스터드(13) 사이에 끼워져,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된 상태가 된다. 가스킷부(146)는,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력을 받음으로써, 스테이터(1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려고 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기복부(126)는, 가스킷부(146)의 직경 방향의 중간에 있어서, 앵커와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복부(126)는, 내벽면(134a)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스킷부(146)의 직경 확장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120)는, 가스킷부(146)와 외통 단부(132)가 접착되는 고착 영역(124)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하여, 고착 영역(124)의 접착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1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로부터 분리될 때의 가스킷부(146)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외벽면(134b)에 의해 제한한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1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대한 조립 시 및 분리 시에 상정되는 가스킷부(146)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또한, 스테이터(120)는, 가스킷부(146)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여, 고착 영역(124)의 응력을 저감하고, 외통(130)과 스테이터 본체(142)가 박리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 결과, 스테이터(12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120)는, 단부면(132a) 및 선단면(134c)에 첨가하여, 내벽면(134a) 및 외벽면(134b)의 전역 또는 일부를 고착 영역(124)으로 할 수 있다. 즉, 스테이터(120)는, 기복부(126)의 둘레면(측면)을 구성하는 내벽면(134a) 및 외벽면(134b)이 갖는 면적만큼, 스테이터 본체(142)와 외통 단부(132)의 접착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스테이터(520)와 비교하여 가스킷부(146)와 외통 단부(132)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가스킷부(146)가 외통 단부(132)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스테이터(20)와 마찬가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합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220)는 외통(230) 및 스테이터 본체(242)를 갖는다. 스테이터 본체(242)는, 양단부에 플랜지형 가스킷부(246, 247)를 갖는다. 또한, 스테이터(220)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부착시킨 외통(230)에 스테이터 본체(242)의 성형 재료를 주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통(230)과 스테이터 본체(242)가 일체화되어 있다.
스테이터(220)는,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스테이터 단부(222, 223)를 갖는다. 스테이터 단부(222, 223)에는, 고착 영역(224, 22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통(230)은,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외통 단부(232, 233)(단부)를 갖는다. 스테이터(220)는, 외통 단부(232, 233)와 가스킷부(246, 247)의 접촉 부분에 고착 영역(224, 225)을 갖는다. 스테이터(220)는, 외통 단부(232, 233)와 가스킷부(246, 247)를 고착 영역(224, 225)에 있어서 접착 등에 의해 고착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스테이터(220)는, 축선 방향 X의 양단부에 기복부(226, 227)를 갖는다. 스테이터(220)는, 스테이터 단부(222)에 기복부(226) 및 고착 영역(224)을 갖고, 스테이터 단부(223)에 기복부(227) 및 고착 영역(225)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기복부(227), 외통 단부(233), 가스킷부(247) 및 고착 영역(225)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226)는, 외통 단부(232)에 형성된 오목형 및 볼록형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복부(226)는 외통 단부(232)에 형성된 오목부(236) 및 볼록부(238)를 구비하고 있다. 기복부(226)는, 오목부(235) 및 볼록부(238)의 조합에 의해 외통 단부(232)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236)는, 단부면(232a)으로부터 축선 방향 X로 퇴입한 대략 원형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38)는, 축선 방향 X로 돌출된 환상의 돌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38)는, 오목부(236)의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복부(226)는, 단부면(232a)의 주연(232b)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기복부(226)는, 단부면(232a)의 주연(232b)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220)에 있어서는, 가스킷부(246)가, 오목부(235) 및 볼록부(238)의 형상에 맞춰서 기복된 형상(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킷부(246)는, 오목부(2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 단부(232)를 향하여 축선 방향 X로 돌출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스킷부(246)는, 볼록부(238)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축선 방향 X로 퇴입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20)는 기복부(226)가 마련된 부위에 있어서, 외통 단부(232) 및 가스킷부(246)의 요철 부분(기복 부분)이 축선 방향 X로 서로 끼워 넣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복부(226)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복부(226)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둘레면)을 갖는다. 구체체로는, 기복부(226)는 오목부(236)를 형성하는 내주면으로서 제1 벽면(234a)을 갖는다. 또한, 기복부(226)는, 볼록부(238)를 형성하는 측면(둘레면)으로서 외주측의 제2 벽면(234b)과, 외주측의 제3 벽면(234c)을 갖는다. 제1 벽면(234a) 및 제3 벽면(234c)은, 외통(23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측면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제2 벽면(234b)은, 외통(23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측면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기복부(226)는, 단부면(232a)와 대략 평행한 면으로서, 제1 저면(234d), 천장면(234e) 및 제2 저면(234f)을 갖는다. 제1 저면(234d)은, 제1 벽면(234a)과 제2 벽면(234b) 사이에 형성된다. 천장면(234e)은, 제2 벽면(234b)과 제3 벽면(234c)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저면(234f)은, 제3 벽면(234c)의 내측에 형성된다. 기복부(226)는, 단부면(232a)과 제1 저면(234d) 및 제2 저면(234f)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236)는 제1 벽면(234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36)에는, 수용 영역(240)이 형성된다. 수용 영역(240)은 가스킷부(246)의 축선 방향 X의 일부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통(230)에 대하여 스테이터 본체(242)가 성형된 상태에 있어서, 가스킷부(246)는, 직경 방향의 전역이면서 축선 방향 X의 일부가 수용 영역(240)에 수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볼록부(238)는, 수용 영역(240)에 수용된 가스킷부(246)에 대하여 축선 방향 X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220)는, 외통(230)에 스테이터 본체(242)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외통 단부(232) 및 가스킷부(246)를 서로 끼워 넣은 구조로 된다.
스테이터(220)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에 장착되면, 가스킷부(246)가 외통 단부(232)와 엔드 스터드(13) 사이에 끼워져,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된 상태가 된다. 가스킷부(246)는, 축선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압박력을 받음으로써, 스테이터(2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려고 한다. 스테이터(220)는, 가스킷부(246)의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가스킷부(246)의 둘레면(246c)에 대하여 제1 벽면(234a)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제한한다. 또한, 볼록부(238)는, 수용 영역(240)에 수용된 가스킷부(246)에 대하여, 직경 방향 중간에 있어서 앵커와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20)는, 가스킷부(246)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면서, 가스킷부(246)의 중간에 있어서, 가스킷부(246)의 직경 방향 외측 및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즉, 스테이터(220)는, 가스킷부(246)의 탄성 변형을 이중으로 제한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220)는, 가스킷부(246)의 탄성 변형에 기인하여, 가스킷부(246)가 외통 단부(232)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220)는, 외통(230)에 스테이터 본체(242)를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저면(234d), 천장면(234e) 및 제2 저면(234f)에 추가로, 제1 벽면(234a), 제2 벽면(234b) 및 제3 벽면(234c)을 고착 영역(224)으로 할 수 있다. 즉, 스테이터(220)는, 기복부(226)의 둘레면(측면)을 구성하는 제1 벽면(234a), 제2 벽면(234b) 및 제3 벽면(234c)이 갖는 면적만큼, 가스킷부(246)와 외통 단부(232)의 접착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220)는, 가스킷부(246)와 외통 단부(232)의 접착력을 향상시켜서, 가스킷부(246)가 외통 단부(232)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스테이터(20, 120, 220)의 기복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축선 방향 X로 만곡되는 형상을 갖는 벽면(34a)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 X를 따라 형성되는 내벽면(134a) 및 외벽면(134b)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복부가 갖는 벽면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가 갖는 벽면은, 제1 실시 형태의 만곡면을 갖는 벽면(34a) 대신에, 저면(34b)과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벽면(301)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가 갖는 벽면은, 벽면(34a) 대신에, 축선 방향 X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고 저면(34b)과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벽면(302)으로 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가 갖는 벽면은,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34b)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벽면(303)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가 갖는 벽면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벽면(134a) 및 외벽면(134b)을,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벽면(301)과 같이 저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벽면으로 하여 구성해도 되고, 축선 방향 X에 대하여 만곡되는 벽면으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가 갖는 벽면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벽면(234a), 제2 벽면(234b) 및 제3 벽면(234c)의 벽면을, 축선 방향 X에 대하여 경사진 면 또는 축선 방향 X에 대하여 만곡하는 면으로 해도 된다. 어떻든 간에, 벽면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선택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형의 오목해진 형상으로 된 오목 형상(오목부)을 갖는 기복부(26)를 갖는 스테이터(2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도 13의 (a-1) 및 (a-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환상의 홈으로 된 기복부(312)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외통(130)에 대하여, 도 13의 (b-1) 및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본체(322)를 성형한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기복부(126)(볼록부)의 직경 방향 내측에 가스킷부(324)를 수용시키도록, 스테이터 본체(322)를 외통(130)에 대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있어서의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1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혹은 오목부 및 볼록부의 양쪽을 갖는 기복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스테이터(330)와 같이, 두 볼록부를 구비하는 기복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스테이터(340)와 같이, 하나의 볼록부 및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기복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도 14의 (c)에 도시하는 스테이터(350)와 같이, 두 볼록부를 구비하는 기복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스테이터(360)와 같이, 축선 방향 X에 대하여 경사져서 형성되는 두 벽면을 구비하고, 단차 형상을 형성하지 않는 기복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어떻든 간에, 본 발명의 스테이터 기복부는, 외통 및 스테이터 본체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끼워 넣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외통(30, 130, 230)과, 원형 또는 환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는 기복부(26, 134, 234)를 갖는 스테이터(20, 120, 22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터가 갖는 외통 및 기복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 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부가 분단된 환상의 형상을 갖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된 기복부(372)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 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부에 마련된 환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된 기복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 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된 기복부(374)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 및 스테이터 본체가, 장원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외통 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장원 형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된 기복부(376)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고, 스테이터 본체가 대략 삼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스테이터 본체에 형성된 가스킷부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된 기복부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축선 방향 X의 양측 단부 중 한쪽에 기복부를 마련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축선 방향 X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이한 형상의 기복부를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양측 단부 중 일단측의 기복부를 오목부로 하고, 타단부측의 기복부를 볼록부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외통 및 스테이터 본체의 재질을, 일축 편심 나사 펌프(10)를 사용하여 이송하는 피반송물인 이송물의 종류나 성상 등에 맞게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 또는 이것을 사용한 도포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일축 편심 나사 펌프
20: 스테이터
24, 25: 고착 영역
26, 27: 기복부(오목부)
32, 33: 외통 단부(외통의 단부)
34a, 35a: 벽면
36, 37: 수용 영역
42: 스테이터 본체
42a: 내주면
46, 47: 가스킷부
46c: 둘레면
48: 삽입 관통 구멍
50: 로터
120: 스테이터
122, 123: 스테이터 단부
124, 125: 고착 영역
126, 127: 기복부(볼록부)
132, 133: 외통 단부(외통의 단부)
142: 스테이터 본체
146, 147: 가스킷부
146c: 둘레면
220: 스테이터
224, 225: 고착 영역
226, 227: 기복부(오목부, 볼록부)
230: 외통
232, 233: 외통 단부(외통의 단부)
234a: 제1 벽면(벽면)
234b: 제2 벽면(벽면)
234c: 제3 벽면(벽면)
236: 오목부
238: 볼록부
240: 수용 영역
242: 스테이터 본체
246, 247: 가스킷부
246c: 둘레면
301, 302, 303: 벽면
310: 스테이터
312: 기복부
322: 스테이터 본체
324: 가스킷부
330: 스테이터
340: 스테이터
350: 스테이터
360: 스테이터
372: 기복부
374: 기복부
376: 기복부
X: 축선 방향

Claims (10)

  1.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을 구비한 스테이터 내에 수나사형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구동원을 통해 상기 로터를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스테이터이며,
    엘라스토머에 의해 성형되어,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형 삽입 관통 구멍이 스테이터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테이터 본체와,
    상기 스테이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통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가, 적어도 한쪽 단부에 플랜지형 가스킷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가스킷부와 상기 외통이 고착되는 고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외통 및 상기 가스킷부의 양쪽 또는 한쪽에,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 혹은 퇴입한 기복부를 갖고,
    상기 기복부에 있어서, 상기 외통 및 상기 가스킷부 중 한쪽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쪽에 대하여 끼워 넣어진 형상으로 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 상기 기복부 및 상기 고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이, 상기 가스킷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형을 제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의 윤곽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스테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마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내측에 구성된 수용 영역을 갖고,
    상기 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가스킷부의 둘레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스킷부가 상기 수용 영역에 수용되는 부분과,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가, 상기 외통 단부에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단차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기복부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선 방향을 향하여 오목형으로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형으로 형성된 볼록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부와 상기 외통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압착에 의해 고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
KR1020197030404A 2017-03-20 2018-03-15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 KR102439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3825 2017-03-20
JP2017053825A JP6245717B1 (ja) 2017-03-20 2017-03-20 ステータ及び一軸偏心ねじポンプ
PCT/JP2018/010353 WO2018173937A1 (ja) 2017-03-20 2018-03-15 ステータ及び一軸偏心ねじ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404A true KR20190126404A (ko) 2019-11-11
KR102439600B1 KR102439600B1 (ko) 2022-09-05

Family

ID=6065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404A KR102439600B1 (ko) 2017-03-20 2018-03-15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08420B2 (ko)
JP (1) JP6245717B1 (ko)
KR (1) KR102439600B1 (ko)
CN (1) CN110431308B (ko)
DE (1) DE112018001453T5 (ko)
TW (1) TWI745564B (ko)
WO (1) WO201817393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303U (ko) * 1977-04-27 1978-11-22
JPH0332184U (ko) * 1989-08-08 1991-03-28
JP2004360469A (ja) 2003-06-02 2004-12-24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のジョイン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9389A (en) * 1967-04-19 1970-03-10 Seeberger Kg Worm pump
GB1220848A (en) * 1968-06-05 1971-01-27 Mono Pumps Ltd Rotary pump or motor with an eccentrically rotating rotor
US3838949A (en) * 1973-03-15 1974-10-01 Sumimoto Shipbuilding & Machin Helical gear pump
JPH0332184Y2 (ko) 1985-05-15 1991-07-09
US6460734B1 (en) * 1990-06-06 2002-10-08 Lancer Partnership Dispensing apparatus including a pump package system
DE102004038477B3 (de) * 2004-08-07 2005-10-06 Netzsch-Mohnopumpen Gmbh Exzenterschneckenpumpe
DE102004060222A1 (de) * 2004-12-15 2006-06-29 Netzsch-Mohnopumpen Gmbh Exzenterschneckenpumpe in Kompaktbauweise
JP6349566B2 (ja) * 2014-01-28 2018-07-04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ネジ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303U (ko) * 1977-04-27 1978-11-22
JPH0332184U (ko) * 1989-08-08 1991-03-28
JP2004360469A (ja) 2003-06-02 2004-12-24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のジョイン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0554A1 (en) 2020-03-12
US11408420B2 (en) 2022-08-09
CN110431308B (zh) 2021-03-16
KR102439600B1 (ko) 2022-09-05
WO2018173937A1 (ja) 2018-09-27
JP6245717B1 (ja) 2017-12-13
TWI745564B (zh) 2021-11-11
TW201837315A (zh) 2018-10-16
DE112018001453T5 (de) 2019-12-12
JP2018155205A (ja) 2018-10-04
CN110431308A (zh)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9697B2 (en) Gasket with an annular anchoring heel
JP5113181B2 (ja) 筒状ジョイント
TWI521159B (zh) Sealing material and fittings
RU2351826C2 (ru) Уплотнение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соединение
JPWO2015137491A1 (ja) ガスケット
RU2483238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с трубой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эл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для него
CA2800168C (en) Uniaxial eccentric screw pump
KR101866793B1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190126404A (ko) 스테이터 및 일축 편심 나사 펌프
JPH1074560A (ja) ケース一体コネクタ、及びその成形方法
JP2002529662A (ja) 波形管用の結合および接続部品
JP6747874B2 (ja) 硬質樹脂管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20060157941A1 (en) Seal for assembling fluid-circuit tubular elements
JP2004211831A (ja) 管の継手構造
JP2000213650A (ja) 管継手用パッキンおよび該パッキンを用いた管継手
KR200336025Y1 (ko) 관 연결구
JP3341386B2 (ja) ホース接続構造
CN213236568U (zh) 管道修补器
JP2000146045A (ja) 管接合用治具
KR200244094Y1 (ko) 고압펌프용 실린더 뒷커버의 결합구조
JP2009085275A (ja) ホース接続用コネクタ
JP2006002894A (ja) シールワッシャ
JP6870938B2 (ja) 硬質樹脂管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RO113272B1 (ro) Garnitura de etansare
CN116848348A (zh) 管连接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