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111A -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111A
KR20190124111A KR1020180063678A KR20180063678A KR20190124111A KR 20190124111 A KR20190124111 A KR 20190124111A KR 1020180063678 A KR1020180063678 A KR 1020180063678A KR 20180063678 A KR20180063678 A KR 20180063678A KR 20190124111 A KR20190124111 A KR 2019012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matrix
identification
polymer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422B1 (ko
Inventor
노예솔
노은솔
Original Assignee
노예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예솔 filed Critical 노예솔
Priority to CN201980026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189228B/zh
Priority to EP19791943.4A priority patent/EP3786929A4/en
Priority to JP2020543064A priority patent/JP2021518818A/ja
Priority to US16/967,823 priority patent/US11852589B2/en
Priority to PCT/KR2019/003566 priority patent/WO2019208940A1/ko
Priority to TW108112755A priority patent/TWI699286B/zh
Publication of KR2019012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81Indicatin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1/00Presence of polyether
    • C09J2471/006Presence of polyeth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폴리머와 소수성 폴리머가 가교 결합된 수지를 함유한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에 수성 색소를 함유한 색소층 매트릭스를 포함한 내구성 폴리머 소재의 라벨을 제공하고,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의 변색 안정성, 내습성, 내구성으로 인하여 장기간 제품정보식별이 유효하며, 침수식별이 가능하고,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에 함유된 수성 형광색소로 인해, 식별표시 라벨이 어두운 곳, 깊숙한 부분에 부착되거나 야간일 경우에도 가시적 육안 또는 광학적 검출에 의해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고, 특히, 레이저 광 조사에 변색되는 물질의 함유에 의해 식별표시가 용이해져 변색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점검 및 관리가 요구되는 전기전자, 자동차, 산업기기, 의료기기, 생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각종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POLYMER LABEL FOR INSPECTING AND MANAGING PARTS AND DISCRI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가교 결합된 수지를 함유한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에 수성 색소를 함유한 색소층 매트릭스를 포함한 내구성 폴리머 소재의 라벨로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의 변색 안정성, 내습성, 내구성으로 인하여 장기간 제품정보식별이 유효하고, 침수식별이 가능하고, 식별표시 라벨이 어두운 곳, 깊숙한 부분에 부착되거나 야간일 경우에도 가시적 육안확인 또는 광학적 검출에 의해 육안 인식이 가능한,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제품에는 제품정보이력을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하며 특히, 침수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도 제품정보식별과 더불어 침수식별에 대하여 꾸준히 요구되어 왔다.
종래 핸드폰에 부착되어 단순한 무상수리 여부판단을 초월하여, 장기간 사용하며 점검 및 관리가 요구되는 각종의 전기전자, 자동차, 산업기기, 의료기기, 생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각종 제품의 경우, 침수 전 변색의 안정성과 침수 후에도 제품정보 식별표시는 장기간 보존되어야 한다.
특허문헌 1을 참고하면, 저분자량 친수성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유체 운반 기판으로서, 셀룰로오스계, 예를 들어 종이 타월 및 복사 등급의 종이와 습윤 시 응집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종이 또는 용해성 폴리머로 조성된 침수 라벨의 경우, 고온다습, 침수, 용매, 마찰,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침수 후 장기간 보존되는 식별표시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이 부족하다. 상기 비 내구성으로 인한 훼손의 우려로, 피 부착품의 식별표시가 어렵다.
또한, 상기 조성은 고온다습 또는 저온과 고온이 교차되는 환경에서 생성되는 결로현상의 물방울에 의해, 순식간에 동시다발적으로 흡수, 발색 및 착색되며 변색이 발현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단점은 뜻밖의 변색이 발현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2중 코팅 캡슐 구조를 이용한 침수라벨은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2중 코팅 캡슐에 의해 의도치 않은 변색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특징에 따라, 수용성 염료에 상이한 색상(은폐성)으로 캡슐을 형성하려면, 상기 캡슐의 폴리머 및 용매는 상기 염료와 용해 및 혼합이 되지 않아야 상이한 색상의 캡슐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의 폴리머는 내습성, 흡수팽창 파괴성으로서 잉크 내에서 용해, 겔화 또는 팽윤되지 않고 분산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비정형, 비균일한 염료표면에 균일한 두께 또한 균일한 입도로 은폐성 캡슐을 형성하여 적합한 내습도, 발색도를 구현시켜야 하며, 상기 조건들이 모두 충족되었을 경우 비로소 침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제작에 임할 수 있으나, 상기 캡슐 형성의 어려움, 상기 캡슐과 연계되는 각 폴리머들의 조절이 까다로워 현실적으로 실시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은 전자 기기 케이스에 형성된 확인홀의 내측에 환경 변화(예컨대 물, 습기 및 수분 등)에 따라서 변색되는 침수확인층을 구성한 전자 기기의 침수 라벨이 개시되어 있으나, 주로 핸드폰 등에 부착하여 단순한 무상 수리 여부 판단용으로 사용했을 뿐, 종래 침수라벨들은 피 부착품의 손상에 대한 대비 및 최소화를 위해, 장기간 사용하며 점검할 수 있는 용도로는 교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결과, 식별표시층을 형성하고, 상기 식별표시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종이류의 기판소재를 내구성 폴리머 소재로 대체하는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로서,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가교 결합된 수지를 함유한 변색층 매트릭스, 상기 수지에 수성 색소를 함유한 색소층 매트릭스를 포함한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의 중량비율에 따른 조성에 의해, 특히 장기간의 내구성 및 변색의 안정성을 위한 내구도, 습기 차단도, 흡수량, 흡수속도, 발색도 및 착색도가 용이하게 조절되고, 침수 시에도 탈색이 방지되어 침수식별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에 수성 색소, 바람직하게는 흡착 가교된 수성 일반색소 또는 수성 형광색소를 함유하여, 가시적 육안확인 또는 광학적 검출에 의해 육안으로 정확하게 인식되는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로서, 단순한 무상수리 여부판단용을 초월하여, 장기간 피 부착품을 점검 및 관리하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여 제공한다.
대한민국특허 제2006-7009345호 (수 접촉 지시계) 대한민국특허 제2012-0102611호 (2중 코팅 캡슐 구조를 이용한 침수 라벨) 대한민국특허 제2010-0124189호 (전자 기기의 침수 라벨)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부품점검 및 관리가 가능한,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수 식별이 가능하고, 가시적 육안확인 또는 광학적 검출에 의해 육안인식이 가능한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에 각인 깊이에 따라 변색층 매트릭스 표면을 노출시켜 식별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가 함유된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가 함유된 색소층 매트릭스(30)를 포함한,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표시층(10),
상기 식별표시층(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가 함유된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가 함유된 색소층 매트릭스(30)를 포함한,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는 단일 색상의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20) 또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20)는 변색층 매트릭스(20)로 칭한다.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의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색소층 매트릭스(30)에서 사용된 각 수지는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가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A),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B) 및 폴리부틸렌옥사이드(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으로 조합된 폴리옥사이드계 블록공중합체이며, 상기 소수성 폴리머는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마이드수지, 비닐수지,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및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점토, 규조토, 실리카, 마그네사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흡착성 필러가 더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색소층 매트릭스(30)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및 비닐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분산성 고분자 미립자가 더 함유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착색 및 발색 향상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착색 및 발색 향상제가 친수성의 아라비아고무 및 트라가칸트고무를 포함하는 고무계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사이아노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아미노에틸셀룰로오스 및 아세틸부티릴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덱스트린, 산화전분, 전분과 비닐아세테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 수지,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에테르 수지, 폴리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산 수지, 폴리비닐아민 수지 및 폴리옥사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더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함유된 수성 색소라 함은 통상의 수성 일반색소 또는 수성 형광색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수성 일반색소 또는 수성 형광색소 중 1종 이상이 흡착 가교된 색소를 포함한다.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함유되는 수성 색소로서 상기 수성 형광색소는 침수확인에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에서의 상기 식별표시층(10)은 에폭시계 수지에, 각인성 향상제로서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이 함유될 수 있다.
이상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은,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의 하부에 접착층(40) 및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이형층(5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하부와 상기 접착층(40)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색소층 매트릭스(30) 또는 식별표시층(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에, 레이저 광 조사 후 본래의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물질이 더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변색되는 물질이 구리, 알루미늄, 니켈, 철 또는 티타늄에서 선택된 금속분말 또는 티탄블랙(Ti4O7), 알루미늄산화물, 아연화구리, 산화철 또는 마그네슘산화물에서 선택된 금속산화물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한 표면 변색 또는 각인 깊이 조절 수단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병행에 따라 변색층 매트릭스 표면을 노출시켜 식별표시가 가능하도록 한, 폴리머 라벨의 식별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물로 조성되는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색소층 매트릭스(30) 및 식별표시층(10)에 의해 변색의 안정성과 내구성이 유지되어, 장기간 피 부착품을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하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가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 (21, 22)로 형성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10, 21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소재의 라벨을 제공함에 따라, 종래 핸드폰에 부착되어 단순한 무상수리 여부판단용을 초월하여 장기간 부품 점검 및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장기간 점검 및 관리가 요구되는 전기전자, 자동차, 산업기기, 의료기기, 생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각종 제품군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은, 변색층 매트릭스, 색소층 매트릭스 및 식별표시층의 변색의 안정성, 내습성, 내구성으로 인하여, 장기간 제품정보식별이 유효하고, 침수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은, 종래의 침수 라벨의 경우 어두운 곳, 깊숙한 부분에 부착되거나, 야간 또는 상기 라벨이 어두운 색상일 경우, 피 부착물을 분해하지 않고는 정확한 변색 확인 및 점검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진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진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10)에 각인 위치에 따른 식별표시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중 색소층 매트릭스(30)의 개별 제작 후 침수 조건에서의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10)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 및 색소층 매트릭스(30)를 적층으로 제작 후 침수 조건에서의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10)에, 제품정보 식별표시(12) 및 침수식별이 가능한 윈도우부(11)가 구비된 라벨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의 단면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가 함유된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가 함유된 색소층 매트릭스(30)를 포함한,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을 제공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진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10)의 단면 모식도로서, 도 1의 단일 층(20)에서 단일 색상이 구현된 것이라면, 도 2의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로 변형된 것으로, 사용자들이 변색의 안정성에 가장 바람직한 각인 깊이 및 조절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의 단면 모식도로서, 식별표시가 가능하며 하부의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색소층 매트릭스(30)를 외부의 용매, 마찰,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상부에 식별표시층(10)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은
식별표시층(10),
상기 식별표시층(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가 함유된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가 함유된 색소층 매트릭스(30)를 포함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진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10)의 단면 모식도로서, 도 3의 단일층(20)에서 단일 색상이 구현된 것이라면, 도 4의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로서, 상기 도 2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110, 200, 210)은,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 하부에 접착층(40) 및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이형층(5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40)과 이형층(50)은 접착 및 이형의 각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채용된 공지물질(예를 들어, 감압성 점착제, 핫멜트 접착제, 열 활성화 가능한 접착제 및 이형 코팅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110, 200, 210)은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하부와 상기 접착층(40)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보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코팅물을 채용하거나,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 및 접착층(40) 등의 코팅층 형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PET, PE, PI 등의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층별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변색층 매트릭스(20)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 있어서,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습기는 차단되나 침수 시 흡수되어 착색되도록 한 코팅층이며, 제한된 수팽윤성이면서 내습성 및 장기간 내구성이 요구된다.
상기 물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를 함유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A),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B) 및 폴리부틸렌옥사이드(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으로 조합된 폴리옥사이드계 블록공중합체로서, 이원, 삼원 또는 사원으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A)는 수용성이면서 인장강도, 내약품성, 굴곡성, 내습성이 우수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B) 및 폴리부틸렌옥사이드(C)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A) 대비 높은 소수성과 증가된 탄소결합으로 인해 물리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목표하는 물성에 따라 각 성분의 물성을 고려하여 조성 및 조성비로 조합하여 수팽윤성으로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사용되는 상기 착색성 수지는 A-B-A 트리블록공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B-A-B 트리블록공중합체가 사용되나, 상기 트리블록공중합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사용되는 착색성 수지는 상기의 친수성 폴리머에, 물리적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소수성 폴리머와 가교 결합시킨 폴리옥사이드변성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리옥사이드변성코폴리머를 상용제품(상표명 SCH1705PO(Orbital)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상기 소수성 폴리머는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설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마이드수지, 폴리비닐수지,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및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소수성 폴리머 함유에 의해, 내습성, 내구성을 강화시키며, 적정 이상의 흡수도, 팽윤도 및 분산도를 제어하여 착색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착색성 수지의 결합도를 상승시켜 손상,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사용되는 착색성 수지는, 상기 가교 결합되는 착색성 수지의 수용성, 수팽윤성, 수분산성의 혼합물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중량비율로 최적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사용되는 착색성 수지는, 수팽윤도를 1% 내지 30%로 제한되게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로 제한되게 조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에 의해 다량의 습기나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 시에는 흡습하여 팽윤되며, 상기 팽윤이 포화상태에 도달되면 팽윤이 중지되며 더 이상의 흡습이 차단될 수 있고, 반면에 침수 시에는 지속적으로 다량의 물을 흡수하며 팽윤되고, 상기 팽윤이 포화상태에 도달되면, 더 이상의 팽윤은 중지되나 상기 팽윤된 폴리머가 분산되며 물이 침투되어, 본 발명의 착색이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사용되는 착색성 수지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색 향상제로서 친수성 폴리머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아라비아고무 및 트라가칸트고무를 포함하는 고무계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사이아노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아미노에틸셀룰로오스 및 아세틸부티릴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덱스트린, 산화전분, 전분과 비닐 아세테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수지,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수지, 폴리아미드에폭시수지, 폴리(메타)아크릴에테르수지, 폴리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 폴리비닐산수지, 폴리비닐아민수지 및 폴리옥사이드수지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친수성 폴리머 또는 상기 친수성 폴리머에,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설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비닐수지,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및 아크릴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혼합 폴리머 또는 상기 혼합 폴리머에, 상기 친수성 폴리머 또는 상기 소수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200)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상기의 착색성 수지에 수분산성 공중합체 미립자, 변색층 매트릭스용 흡착성 필러 및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함유한 구성물을 가교하여 조성되며, 상기 조성물을 적절한 두께로 코팅한 변색층 매트릭스(20)로 형성되며, 상기 매트릭스 두께는 20㎛ 내지 6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상기 수용성, 수팽윤성, 수분산성 등의 혼합물성의 조절에 의해 내부까지 생성되는 계면활성으로 수성 색소가 침투되며 착색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조성에 의해 습기 차단도는 물론 흡수량 및 흡수속도의 제어와 조절이 용이하고 안정적이며 탈색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공중합체 미립자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및 비닐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함유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수지 중합체, 스티렌과 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실리콘과 아크릴수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공중합체 미립자 함유로 인해, 수팽윤성은 억제되나 수분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흡수량 및 흡수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립자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5㎛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용 흡착성 필러는 주로 다공성, 흡착성, 착색성, 팽윤성 또는 분산성의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특성 중에 속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황화물 또는 크롬산염, 규산염, 황산염, 탄산염, 탄소,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이 포함되고, 바람직한 일례로서 점토, 규조토, 실리카, 마그네사이트 및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성 필러는 특히 착색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물성에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흡착성 필러 함량의 증감으로 내습도, 흡수량 및 흡수속도를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흡착성 필러의 함량은, 상기 착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25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50 내지 15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70 내지 100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며, 20 중량부 미만이면, 흡수도, 팽윤도, 분산도, 착색도 및 착색소의 보존도가 낮아질 수 있고, 2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층간 부착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흡착성 필러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5㎛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료는 무기 안료 및 유기 안료가 포함되며, 상기 무기 안료는 주로 색상 부여 및 습기제어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함량은 상기 착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4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안료는 주로 상기 선택된 무기 안료를 사용했을 때 선명도가 낮아 함량을 높이면 흡수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어 선명도를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함량은 색상에 따라 상기 착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상기 안료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3㎛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안료는,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황화물, 크롬산염, 규산염, 황산염, 탄산염, 페로시안화물, 인산염, 금속분말, 탄소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리소폰, 산화아연, 검정산화철, 적색산화철, 코발트블루, 황화아연, 군청, 크롬노랑, 에머랄드그린, 코발트바이올렛, 감청, 실버 또는 골드메탈릭, 카본블랙, 티탄블랙을 들 수 있고, 상기 유기 안료는, 아조계, 아진계, 프탈로시아닌계, 퀴노프탈론계, 금속착염계가 포함되며, 상기 안료로 사용할 수 있는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상기 유기 안료는 상표명 MEGHAFAST BLUE BD 909 KN P(Meghmani), PV Fast Yellow HG., PV Fast Red B.(Clariant), Aniline Black(Orient Chemica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물의 가교제는, 주로 상기 착색성 수지의 팽윤도, 분산도 및 내구도의 조절제로 사용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우레아계 수지, 아민계 수지, 아지디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포함되며,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착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3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부이며, 1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고, 2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습도 및 내구도는 향상되나 흡수도 및 착색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10, 210)에 있어서, 도 2 및 도 4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서로 색상이 상이한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는 상기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조성물을 서로 상이한 2종의 색상으로 조성하여, 각각 상기 분할 상부 변색층 매트릭스(21) 또는 분할 하부 변색층 매트릭스(22)에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분할 상부 매트릭스(21)의 조성물은 상기 소수성 폴리머 또는 가교제의 함량을 증량하여 내구도를 증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은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21, 22)의 습기 차단도, 흡수량 및 흡수속도의 조절과 내구성에 의해, 변색의 안정성은 물론 내습성 및 내구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내구성에 의해 장기간 보존되는 식별표시가 가능하다.
2. 색소층 매트릭스(30)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110, 200, 210)에 있어서,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수용성, 수팽윤성 및 수분산성의 혼합물성을 가지며 특히 수팽윤도가 5% 내지 50%로 제한되는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를 함유하며, 습기는 차단되나 침수 시 흡수되어 상기 함유된 수성 색소가 발색되는 코팅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팽윤도는 20% 내지 30%로 제한되는 것이 내구성에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성 수지는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착색성 수지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며, 발색성, 내습성 및 내구성의 물성을 최적화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성 수지는, 상기 수용성, 수팽윤성 및 수분산성의 혼합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리적 강도가 좀 더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옥사이드계 블록공중합체와 소수성 폴리머가 가교 결합된 수지이며, 상기 친수성 폴리옥사이드계 블록공중합체는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친수성 폴리옥사이드계 블록공중합체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물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성 수지는, 상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를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시킨 폴리옥사이드변성코폴리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중량비율은 6:4 내지 4:6이 상기 물성에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침수 시 안정되게 발색되도록 하고, 상부의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리옥사이드변성코폴리머를 상용제품(상표명 SCH2000PO(Orbital))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소수성 폴리머 간의 중량비율에 따라, 내습도, 흡수량, 흡수속도, 발색도, 착색도, 내구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성 수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폴리머는,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소수성 폴리머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며, 상기 소수성 폴리머 함유에 의해, 적정 이상의 흡수도, 팽윤도 및 분산도를 제어하여 발색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발색성 수지의 결합도 상승 및 내구성을 강화시켜 손상,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사용되는 발색성 수지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색 향상제로서 친수성 폴리머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친수성의 아라비아고무 및 트라가칸트고무를 포함하는 고무계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사이아노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아미노에틸셀룰로오스 및 아세틸부티릴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덱스트린, 산화전분, 전분과 비닐아세테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수지,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수지, 폴리아미드에폭시수지, 폴리(메타)아크릴에테르수지, 폴리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 폴리비닐산수지, 폴리비닐아민수지 및 폴리옥사이드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더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 110, 200, 210)에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수성 색소가 함유되며, 침수 시 발색되어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를 착색할 수 있는 모든 색소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색소의 예를 들어 물리적 착색제로는 수성 일반색소, 수성 형광색소가 포함되며, 상기 색소의 일례로는 수성염료, 수용성 안료를 들 수 있고, 화학적(반응) 착색제로는 매염제에 의한 착색제, pH 농도에 의한 착색제가 포함되며, 상기 착색제의 일례로서 천연 안료, 수산화철, 헤마톡실린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성 색소의 종류와 색상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용해물, 슬러리, 분말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수성 색소의 함량은, 상기 발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함유되는 수성 색소는 수성 일반색소 또는 수성 형광색소 중 1종 이상이 흡착 및 가교 결합된 색소(이하 '흡착 가교된 색소'라 칭함)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 가교된 색소는, 상기 수성 색소의 분자 크기에 상응하는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다공의 흡착성 필러 미립자에 상기 색소를 혼합 침투시켜 흡착 및 가교 결합시킨 것으로서, 상기 색소의 탈락을 어렵게 하여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내습도 및 변색속도의 조절에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결합제는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유기과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흡착성 필러 및 결합제의 종류, 흡착 및 가교 결합방법은 특별한 한정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함유되는 수성 색소로서 사용되는 수성 형광색소는 침수확인에 특별하며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형광색소가 사용될 경우, 침수 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착색이 되고, 상기 착색된 수성 형광색소가 가시적 육안확인 또는 광학적 검출(가시광, 특히 자외선광 또는 적외선광에 여기되어 인지가능)에 의해 뚜렷하게 육안으로 인식되는 이점과 상기 일반색소보다 명도, 채도, 선명도, 명시도가 높은 특징도 보유하고 있어서, 가시적 육안확인에 더욱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수성 형광색소를 함유함으로써, 식별표시 라벨이 어두운 곳, 깊숙한 부분에 부착되거나 야간의 환경에서도, 피 부착물을 분해하지 않고, 정확한 변색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며, 사용자들은 상기 형광특성으로 인한 보안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성 형광색소로는 가시적 육안확인과 광학적 검출에 적합한 수성 칼라형광색소 및 광학적 검출에 적합한 수성 백색(무색)형광색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성 백색형광색소는 내구성, 인광(잔광) 및 선명한 특성에 의해 광학적 검출에 유리한 수용성 무기 형광안료(예를 들어 황화바륨, 텅스텐산마그네슘)도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색소 중 수성 일반색소는 상용제품(예를 들어 상표명 Sirius Blue GN, Red F4BL(DySta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성 형광색소 역시 상용제품(예를 들어 상표명 Luminous Yellow FL, Rhodamine M-BN, White C-BYB 03(DySta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가교된 색소로는 수성 일반색소(예를 들어, TexF red 30, TexF blue 65(smartcolor)와 수성 형광색소(예를 들어 FUV-03 Red, FUV-03 Blue, FUV-03 White(smartcolor)도 상용제품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색소의 흡착 및 가교 결합체로 사용되는 상기 흡착성 필러 미립자는, 발색용 흡착성 필러로서, 본 발명의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에 함유되어 발색도 조절제로도 기능을 수행하며, 입자크기는 0.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상기의 발색성 수지, 수성 색소 및 발색용 흡착성 필러를 함유한 구성물을 가교하여 조성되고, 상기 조성물을 적절한 두께로 코팅한 색소층 매트릭스(30)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매트릭스의 두께는 3㎛ 내지 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색용 흡착성 필러는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흡착성 필러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나 발색성을 최적화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한 일례로서, 점토, 규조토, 실리카. 마그네사이트,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성 필러의 함량은 상기 발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1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으며, 20 중량부 미만이면 수성 색소의 흡착도가 낮아지고, 반면에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색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수분산성 고분자 미립자 및 안료가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립자 및 안료는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나, 발색성, 내습성 및 내구성의 물성을 최적화하여 사용한다.
상기 구성물의 가교제는,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가교제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발색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부이며, 10 중량부 미만이면 발색도는 충족되나 내구도가 낮아지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구도는 충족되나 발색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21,22)의 습기 차단도, 흡수량, 흡수속도 및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속도 조절에 의해, 침수 시 흡수, 발색 및 착색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수행에 의해 변색의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상승되어, 순식간에 동시다발적으로 흡수, 발색 및 착색되는 뜻밖의 변색은 결코 발생될 수 없으며, 또한 상기 매트릭스들에 의해 장기간의 내구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흡착 가교된 색소는 장기간의 침수 시에도 지속적으로 발색하며 상부의 변색층 매트릭스(20)에 제공하여 착색되게 한다.
한편,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는 상기 발색도 또는 내구도의 조절을 위해, 전면 코팅 또는 형태의 제한이 없는 부분 코팅(예를 들어 도트,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3. 식별표시층(10)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 210)에 있어서, 식별표시층(10)은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품정보 식별표시가 가능하며 하부의 변색층 매트릭스(20) 및 색소층 매트릭스(30)를 외부의 용매, 마찰,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최근 피 부착품들의 소형화에 따라, 육안판독이 곤란할 정도로 작은 크기의 미세한 문자 등이 일반 라벨에 중요하게 표기되고 있으나, 기존의 잉크 인쇄방법은 한계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미세한 식별표기는 물론 변경 또한 용이한 방법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한 레이저 각인(engraving)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00, 210)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식별표시층(10)은 각인성 및 내구성의 폴리머가 함유되는 코팅층으로서, 상기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폴리에테르,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타크릴산 메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아세탈, 실리콘계, 엘라스토머계, 에틸렌초산비닐공중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노보넨계,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변성 폴리페닐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변성옥사이드,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불소, 요소, 페놀 및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폴리머 및 상기 혼합 코폴리머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인의 효율성과 생산성 측면에서, 경질의 에폭시 수지 및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며, 반면 부서지는 단점도 있다. 그러나, 상기 수지는 고신장율(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에 의해 감소되는 각인성을 보충하기 위한 레이저 광의 과도한 에너지 사용이 방지되며, 또한 황변 현상이 감소되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식별표시층(10)의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에 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200 내지 10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0 내지 60,000인 것을 사용하여 부서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 수지의 분자량이 200 미만이면 고밀도에 의해 각인성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60,000을 초과하면 각인성은 우수하나 각인 시 미세하게 부서지는 거동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보완하고 각인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며 또한 굴곡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폭시 수지에 폴리올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 90중량% 내지 98중량%에, 폴리올 10중량% 내지 2중량%를 혼합한 예폭시계 수지로서, 에폭시변성폴리올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에폭시변성폴리올을 상용제품(상표명 CTC100-S(Orbital))을 사용하며 실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상기 각인성의 향상을 위해, 본 발명자들이 자동차 변속기어 핸들에 실행 중인 각인성을 참조하며 실험하던 중, 종래에는 주로 내구성 향상제로 사용되던 규산마그네슘 수화물(Mg3Si4O10(OH)2)을 첨가한 경우, 100㎛ 이하의 미세하고 가는 선의 각인이 특이하게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상기 각인성 향상의 확인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기술된 기종 및 조건하에서 80㎛의 미세한 선으로 실행하였다.
상기 결과로서, 상기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4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3 내지 2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며, 4 내지 10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2 중량부 미만이면 가는 선 각인성은 우수하나 선의 모서리(edge) 부분이 미세하나 부서짐으로 불량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선의 모서리(edge) 부분은 양호하나 과도한 함량으로 인한 각인성이 저하되어 오히려 식별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결과에 대하여, 상기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의 연질 및 판상의 특성이 물리적으로 폴리머를 결속시켜, 각인 시 선의 모서리(edge) 부분이 부서지거나 떨어져나가는 결함을 방지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별표시층(10)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 100 중량부에, 규산마그네슘 수화물 2 내지 40 중량부, 안료 5 내지 60 중량부 및 가교제 30 내지 170 중량부가 함유된 구성물을 가교하여 조성되고, 상기 조성물을 적절한 두께의 코팅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색상 부여제로서, 상술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안료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나,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해야 구분이 용이하며, 상기 안료의 함량은 표현하려는 색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입자 크기는 0.1㎛ 내지 5㎛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표시층(10)은 내구성 및 내후성의 향상제로 충진용 필러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필러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상기 필러는 상술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착색성 필러에 포함된 종류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의 가교제에 포함된 종류와 동일하며,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에폭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7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별표시층(10)의 두께는 10㎛ 내지 15㎛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상기 식별표시층(10)은, 각인성, 내구성 및 굴곡성이 우수하게 개량된 상기 에폭시계 수지에 적절하게 함유되는 상기 각인성 향상제로 사용된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의 특성에 의해,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미세하고 정교한 식별표시를 용이하게 각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의 특성은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0)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하술되는 식별표시 및 방법에 효과적이다. 상기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의 함량은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착색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110,200,210)에 각인 깊이 조절에 따라 변색층 매트릭스(20, 21, 22) 표면을 노출시켜 침수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폴리머 라벨의 식별표시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머 라벨의 식별표시방법을 설명하면,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110,200,210)의 사용자들은, 상기 라벨의 최상부를 레이저 각인(engraving)하여, 식별표시를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200)의 경우, 사용자들이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20)의 적절한 부위까지 깊이를 조절하여 각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10,210)의 경우, 사용자들이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의 적절한 부위까지 깊이를 조절하여 각인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각인 깊이를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의 경계선(B)까지 육안으로 확인하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경계선(B)은 상술된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 중 특히 분할 하부 매트릭스(22)의 습기 차단도, 흡수량, 흡수속도 및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속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두께로 형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변색의 안정성에 가장 바람직하므로 가장 이상적인 변색이 발현될 것이다.
또는, 도 5 상의 경계선(B)을 기준으로, 약간의(예를 들어 경계선(B) 기준에 대하여, ±1㎛ 내지 5㎛) 상부 위치에 각인될 경우 지연되는 변색으로 발현될 수 있고, 또는 하부 위치에 각인될 경우 조속한 변색으로 발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할 상부 변색층 매트릭스(21)의 최상단(A)에 각인하면, 침수 조건에서도 상술된 변색층 매트릭스(21 및 22)의 최적화 및 두꺼운 두께에 의해, 하부의 색소층 매트릭스(30)에 물이 차단되어 변색이 방지되고,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A) 표면에 표출된 제품정보는 뚜렷하게 식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20)는 경제적 측면 및 숙련자에 유리할 수 있고, 상기 분할 색소층 매트릭스(21, 22)는 미숙련자 또는 매우 정교한 작업에 유리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에 표출되는 변색층 매트릭스(20)는 사용자들의 레이저 파워, 주파수 등의 조작에 의해, 선명한 색상 또는 그을린 색상으로 각인될 수 있다.
이에, 침지 전후의 색상변화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6은 색소층 매트릭스(30)를 단독으로 제조예 4에 따라 흡착 가교된 색소를 사용하여 제작 후, 물방울에 의해 발색되는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상기 조건에서 (a) 10초 후에 극소량 초기 발색되고, (b) 2분 경과 후에도 소량이 발색되고, (c) 5분 경과 후부터 색상이 점진적으로 흐려지며 지속적으로 발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색소층 매트릭스(30)를 단독으로, 미흡착 가교된 색소의 제조예 3에 따라 가교도를 상승시켜 제작 후,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발색되는 색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상기 제조예 4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미도시], 상기 흡착 가교된 색소로 제조된 제조예 4로 실시한 경우 좀 더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00,110,200,210)에, 식별표시층(10) 또는 변색층 매트릭스(20,21,22)의 표면 변색 또는 각인 깊이 조절 수단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병행에 따라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21,22) 표면을 노출시켜 식별표시가 가능하도록 한, 폴리머 라벨의 변색의 안정성에 가장 바람직한 식별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식별표시층(10), 변색층 매트릭스(20,21,22) 또는 색소층 (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에, 레이저 광 조사 후 본래의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는 물질이 더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특성의 물질이라면 반응방법(예를 들어 발포, 응축, 탄화, 산화), 색상(예를 들어 유색에서 무색 또는 무색에서 유색) 또는 형상(예를 들어 액상, 분말, 캡슐)을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나, 산화 또는 발포반응에 의해 백색으로 변색되는 검정색이거나 탄화반응에 의해 검정색으로 변색되는 백색 내지 연한 색의 물질이 서로 최대한 색상대비가 되어 선명성의 구현에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니켈, 철, 티타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분말 또는 티탄블랙(Ti4O7), 알루미늄산화물, 아연화구리, 산화철, 마그네슘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이 포함되며, 상기 물질들은 대부분 본 발명의 색소안료 또는 필러로도 병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산화 또는 탄화반응 후 선명성이 우수하며 경시 변화가 거의 없고, 또한 각인성도 우수하다.
상기의 특성에 의해, 사용자들은 레이저 광의 파워, 주파수 등의 조작을 통하여, 변색되는 색상 또는 적절한 깊이의 각인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변색의 안정성에 가장 바람직한 식별표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물질 상용제품의 예로는 상표명 Tilack D Ako Kasei(산화), Stapa 88 nl Eckart(탄화) 또는 Lazerflair series Merck(산화 또는 탄화)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변색되는 물질의 함량은, 상기 식별표시층(10), 변색층 매트릭스(20, 21, 22) 또는 색소층 매트릭스(30)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상기 물질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5㎛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일예로서, 실시예 2의 폴리머 라벨(110)의 흰색 상부 매트릭스(21)에, 상기 연한 색에서 검정색으로 변색되는 물질이 함유되면, 상기 흰색 상부 매트릭스(21)의 표면에는 상기 변색에 의한 제품정보표기를 하고 침수식별은 각인에 의한 표기를 함으로써, 다량의 제품정보임에도 불구하고 각인에만 의존하여 혹여 발생될 수도 있는 하부 매트릭스(22)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색소층 매트릭스(30)에도 상기 물질이 함유되면, 상기 하부 매트릭스(22)의 과도한 깊이의 각인방지 또는 상기 과도하게 각인된 불량품의 검출에도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라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로 제작된 라벨을 실험예 1에 의한 견본을 제작한 후, 침수 조건에서의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초기 (a) 2분 경과 후 변색의 관찰이 안되었고, (b) 5분 경과 후 매우 미세한 변색으로 구분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c) 10분이 경과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뚜렷하게 변색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표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형색색소는,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 UV 후레쉬 조사에 의한 육안으로, 초기 (a) 2분 경과 후 변색의 관찰이 안되었으나, (b) 5분 경과 후에는 부분적 도트 형상의 발광이긴 하나, 상기 일반색소와는 분명하게 차별되며 변색의 구분이 가능하였고, (c) 10분 경과 후에는 매우 선명하게 발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7 참조].
상기 도 6 도 7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라 제작된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 및 분할 하부 변색층 매트릭스(22)의 변색에 대한 시간 차는, 상기 하부 변색층 매트릭스(22)의 습기 차단도, 흡수량, 흡수속도 및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의 발색속도 조절에 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절의 특징은 침수 시 흡수, 발색 및 착색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작된 본 발명의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210)을, 각인 위치에 따라 침수식별이 가능한 윈도우부(11)와 제품정보 식별표시(12)가 구비된 라벨의 정면도이다.
상술된 장기간 변색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100,110,200,210)은, 피 부착품들의 소형화에 따른, 매우 작은 크기(예를 들어 지름 2mm 원형)로 침수식별 윈도우부(11)가 표기될지라도 정확한 침수식별이 가능하며, 또한 매우 미세한 문자 등의 제품정보 식별표시(12)의 표기도 용이하다.
한편, 상기 식별표시는 사용자들에 의해, 다양한 위치 및 형태(예를 들어 원형, 문양, 도형, 문자)등으로 구현될 것이며, 또한 상술된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 수단인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한 식별표시방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들은 통상의 식별표시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술되는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예 1(흰색)의 변색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을 이형필름(실리콘 코팅된 이형필름, PET 75㎛ 삼일사) 상에 콤마코터(열풍건조 Hantech machinery co.)를 이용하여 도포 및 경화하며 30㎛(건조 후 두께; 이하 생략)의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20)를 형성한 후,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0) 상에 제조예 4의 색소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며 10㎛의 색소층 매트릭스(30)를 형성하여 적층된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20 및 30)을 완성하였다.
별도의 라이너 필름(50, 불소 코팅된 이형필름, PET 50㎛ 동원필름) 상에 제조예 6의 접착층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며 30㎛으로 형성되는 접착층(40) 상에,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30) 상부를 합지시켜, 실시예 1을 완성한 후 기재로 사용된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흰색)의 변색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을 이형필름 이형필름(실리콘 코팅된 이형필름, PET 75㎛ 삼일사) 상에 콤마코터(열풍건조 Hantech machinery co.)를 이용하여 도포 및 경화하며 20㎛의 분할 상부 변색층 매트릭스(21)를 형성하고,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21) 상에 제조예 2(노란색)의 변색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며 30㎛의 분할 하부 변색층 매트릭스(22)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 변색층 매트릭스(22) 상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색소층 매트릭스(30), 접착층(40) 및 이형층(50)을 적층 및 합지하여, 실시예 2를 완성한 후 기재로 사용된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5(검정)의 식별표시층용 조성물을 이형필름(실리콘 코팅된 이형필름, PET 75㎛ 삼일사) 상에 콤마코터(열풍건조 Hantech machinery co.)를 이용하여 도포 및 경화하며 10㎛의 식별표시층(10)을 형성하고, 상기 식별표시층(10) 상에 제조예 1(흰색)의 변색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며 20㎛의 분할 상부 변색층 매트릭스(21)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 변색층 매트릭스(21) 상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분할 하부 변색층 매트릭스(22), 색소층 매트릭스(30), 접착층(40) 및 이형층(50)을 적층하며 합지하여, 실시예 3을 완성한 후 기재로 사용된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였다.
<제조예 1~2> 변색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
Figure pat00001
<제조예 3~4> 색소층 매트릭스 제조용 조성물
Figure pat00002
<제조예 5> 식별표시층 제조용 조성물
Figure pat00003
<제조예 6> 접착층 제조용 조성물
Figure pat00004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을 가로×세로 10mm×10mm로 다이 컷팅(die-cutting)하는 동시에 센터에 원형 5㎜로 침수식별 윈도우부를 레이저(Laser Source Power: 20W, Power; 70%, Frequency; 20 khz, Speed; 900 mm/s, Waveform; 242 ns, 사용 기종; 20W Fiber Laser marking machine, markray co. Korea)를 이용하여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21, 22)의 경계선까지 각인(engraving)하여 변색층 매트릭스 표면을 표출시킨 후, 하기와 조건별로 변색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라벨을 온도 습도 시험기(사용기종; YTH-150, Yuanyao)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 따른 시일 경과 후 가시적 및 어두운 환경에서 자외선 광(사용 기종; UV 후레쉬; ㈜엠비젼)에 의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Figure pat00005
상기 실시예 2의 라벨을 물에 침지시켜, 하기 침수시간에 따른 육안식별결과를 관찰하였다.
Figure pat00006
상기 침수된 라벨을 밝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자외선 광(사용 기종; UV 후레쉬; ㈜엠비젼)을 통해 육안 인식여부를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7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은 주변 고온다습한 환경에 의한 색상의 변화가 없어 변색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표 6 및 표 7의 결과로부터, 침수 후 5분 후부터 변색이 진행됨에 따라 주변의 물방울 등에 의한 급속한 변색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침수식별은 변색층 매트릭스의 습기 차단도, 흡수량, 흡수속도 및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의 발색속도 조절에 의해, 침수 시 변색층 매트릭스를 통하여 스며드는 물이 색소층 매트릭스에 도달하여, 색소층 매트릭스에 흡착 가교된 수성 색소가 발색되며 우선하여 자체에 착색되고, 그 후 포화되는 색소가 상부의 변색층 매트릭스에 제공되어 착색됨으로써, 식별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각층의 조성물들은 수지의 용해물 및 미립자, 안료, 수성 색소, 필러, 용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매는 사용할 수 있는 종류의 제한은 없고, 케톤류, 에테르류, 글리콜에테르류, 에스터류, 알코올류, 물 등이 포함되며, 또는 상기 조성물을 무용제 타입으로 조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들의 안정성, 코팅성 및 기능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소제, 왁스, 접착증진제, 계면활성제, 표면개질제, 매염제, pH 조정제, 수지안정제, 착색 보존제, 항균제, 발수제,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점도조정제, 소광제, 난연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들은 커튼 코팅, 나이프 코팅, 롤 코팅, 콤마 코팅 등 다양한 코팅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방법 외의 방법이나 이용에 제한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110, 200, 210: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0: 식별표시층
20, 21, 22: 변색층 매트릭스
30: 색소층 매트릭스
40: 접착층
50: 이형층
11: 침수식별 윈도우부
12; 제품정보 식별표시

Claims (14)

  1.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가 함유된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가 함유된 색소층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2. 식별표시층,
    상기 식별표시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6:4 내지 2:8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착색성 수지가 함유된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의 하부에 형성되며, 친수성 폴리머 및 소수성 폴리머가 8:2 내지 3:7 중량비율로 가교 결합된 발색성 수지 및 수성 색소가 함유된 색소층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가 단일 색상의 단일 변색층 매트릭스 또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분할 변색층 매트릭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에서 친수성 폴리머가 폴리에틸렌옥사이드(A),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B) 및 폴리부틸렌옥사이드(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으로 조합된 폴리옥사이드계 블록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에서 소수성 폴리머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마이드수지, 비닐수지,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및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가 점토, 규조토, 실리카, 마그네사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흡착성 필러가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가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및 비닐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분산성 고분자 미립자가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및 색소층 매트릭스가 착색 및 발색 향상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착색 및 발색 향상제가 친수성의 고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덱스트린, 산화전분, 전분과 비닐 아세테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 수지,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에테르 수지, 폴리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산 수지, 폴리비닐아민 수지 및 폴리옥사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에서 수성 색소가 수성 일반색소 또는 수성 형광색소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상기 수성 일반색소 또는 수성 형광색소 중 1종 이상이 흡착 가교된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층이 에폭시계 수지에, 규산마그네슘 수화물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층 매트릭스의 하부에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이형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층 매트릭스, 색소층 매트릭스 또는 식별표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에,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이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되는 물질이 구리, 알루미늄, 니켈, 철 또는 티타늄에서 선택되는 금속분말 또는 티탄블랙(Ti4O7), 알루미늄산화물, 아연화구리, 산화철 또는 마그네슘산화물에서 선택되는 금속산화물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14. 제1항 또는 제2항의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에,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한 표면 변색 또는 각인 깊이 조절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병행에 따라 변색층 매트릭스의 표면을 노출시켜 식별표시가 가능하도록 한, 폴리머 라벨의 식별표시방법.
KR1020180063678A 2018-04-25 2018-06-01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KR10204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6727.8A CN112189228B (zh) 2018-04-25 2019-03-27 用于检查及管理部件的识别标示聚合物标签及利用其的识别标示方法
EP19791943.4A EP3786929A4 (en) 2018-04-25 2019-03-27 POLYMER IDENTIFICATION LABEL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PARTS, AND METHOD OF IDENTIFICATION USING IT
JP2020543064A JP2021518818A (ja) 2018-04-25 2019-03-27 部品点検及び管理用識別標識ポリマーラベル及びそれを用いた識別標識方法
US16/967,823 US11852589B2 (en) 2018-04-25 2019-03-27 Polymer label for inspecting and managing parts and discri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9/003566 WO2019208940A1 (ko) 2018-04-25 2019-03-27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TW108112755A TWI699286B (zh) 2018-04-25 2019-04-11 用於零件檢驗及管理的辨識資訊顯示用聚合物標籤及利用該聚合物標籤的辨識資訊顯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011 2018-04-25
KR20180048011 2018-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111A true KR20190124111A (ko) 2019-11-04
KR102048422B1 KR102048422B1 (ko) 2019-11-25

Family

ID=6857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78A KR102048422B1 (ko) 2018-04-25 2018-06-01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52589B2 (ko)
EP (1) EP3786929A4 (ko)
JP (1) JP2021518818A (ko)
KR (1) KR102048422B1 (ko)
CN (1) CN112189228B (ko)
TW (1) TWI69928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675B1 (ko) * 2020-07-23 2020-11-06 (주)동양엘앤피 톨루엔을 함유하지 않는 리텐션 라벨
KR102413265B1 (ko) * 2021-01-14 2022-06-24 조은미 양면 인식이 가능한 2차전지용 전극의 불량부분 식별용 라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6382A1 (en) * 2020-10-09 2022-04-14 University Of Connecticut Method of forming micropatterned surface using irradiation on a moisture responsive multi-layer film and film used in such method
KR102345970B1 (ko) * 2021-05-25 2022-01-03 (주)티에이치엔 변색성 면패드
CN115926593B (zh) * 2022-12-20 2023-08-22 长安大学 酸碱类识别污染水井中lnapl相厚度的膏体及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175A (ja) * 1999-02-17 2000-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性ペン筆記用透明ラベル
JP2007269356A (ja) * 2006-03-31 2007-10-18 Lintec Corp 漏出検知用シート及びその漏出検知用シートを担持した容器
KR20100124189A (ko) 2009-05-18 2010-11-26 권순영 항균 필터를 가진 공기정화기
KR101124073B1 (ko) * 2003-11-14 2012-03-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수 접촉 지시계
KR20120102611A (ko) 2009-10-27 2012-09-18 바스프 에스이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제조된 레이저 소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레이저 소결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물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43039A (en) * 1973-01-29 1978-11-21 Robert D. Lundberg Multiphase block and graft copolymers comprising a hydrophilic continuous phase and hydrophobic domains
US4763931A (en) * 1984-10-01 1988-08-16 Daimatsu Kagaku Kogyo Co., Ltd. Adhesive material for preventing reuse
JPH0676905B2 (ja) * 1986-06-09 1994-09-28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水位表示体
JPH1090244A (ja) * 1996-09-20 1998-04-10 Nof Corp 水分検知ラベル
JP3869243B2 (ja) * 2001-10-16 2007-01-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非接触型リライトサーマルラベル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740756B1 (ko) * 2003-11-14 2007-07-19 기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큐리티 스티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2537A (ko) * 2004-12-23 2006-06-28 (주) 지엠솔루션 침수라벨
WO2007063701A1 (ja) * 2005-12-02 2007-06-07 Sekisui Chemical Co., Ltd. 親水性高分子微粒子、イオン交換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及びイオン交換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の製造方法
EP2102839B1 (en) * 2006-12-15 2012-03-28 Brady Worldwide, Inc. Tamper indicating labels with edge ingress solvent-indicating feature
ES2355017T3 (es) * 2007-06-29 2011-03-22 Merck Patent Gmbh Microesfera que comprende un núcleo polimérico, una cubierta y un absorbente.
TW200944845A (en) * 2008-04-16 2009-11-01 Darwin Optical Co Ltd An optical transitioning object
US8334335B2 (en) * 2011-02-07 2012-12-18 Nulabel Technologies, Inc. Fluid activatable adhesives and fluids for activating same for use with liner-free labels
US8334336B2 (en) * 2011-02-07 2012-12-18 Nulabel Technologies, Inc. Fluid activatable adhesives and fluids for activating same for use with liner-free labels
JP2013001090A (ja) * 2011-06-21 2013-01-07 Nippon Kararingu Kk カード用シート
KR20130031183A (ko) * 2011-09-20 2013-03-28 노예솔 2중 코팅 캡슐 구조를 이용한 침수라벨
US9606098B2 (en) * 2013-03-29 2017-03-28 Weyerhaeuser Nr Company Moisture indicator for wood substrates
US10086592B2 (en) * 2013-10-31 2018-10-02 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label
CN106030766B (zh) * 2014-02-14 2019-05-28 株式会社樱花彩色笔 等离子体处理检测指示器
MX2016015582A (es) * 2014-05-29 2017-05-04 Yupo Corp Etiqueta, metodo de fabricacion de etiqueta, metodo para utilizar la etiqueta, y cuerpo con etiqueta.
CN104849266A (zh) * 2015-04-17 2015-08-19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条件敏感的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JP6520498B2 (ja) * 2015-07-09 2019-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体、表示体封入セルおよび表示体付き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175A (ja) * 1999-02-17 2000-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性ペン筆記用透明ラベル
KR101124073B1 (ko) * 2003-11-14 2012-03-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수 접촉 지시계
JP2007269356A (ja) * 2006-03-31 2007-10-18 Lintec Corp 漏出検知用シート及びその漏出検知用シートを担持した容器
KR20100124189A (ko) 2009-05-18 2010-11-26 권순영 항균 필터를 가진 공기정화기
KR20120102611A (ko) 2009-10-27 2012-09-18 바스프 에스이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제조된 레이저 소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레이저 소결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675B1 (ko) * 2020-07-23 2020-11-06 (주)동양엘앤피 톨루엔을 함유하지 않는 리텐션 라벨
KR102413265B1 (ko) * 2021-01-14 2022-06-24 조은미 양면 인식이 가능한 2차전지용 전극의 불량부분 식별용 라벨 및 그 제조방법
WO2022154359A1 (ko) * 2021-01-14 2022-07-21 조은미 양면 인식이 가능한 2차전지용 전극의 불량부분 식별용 라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89228A (zh) 2021-01-05
CN112189228B (zh) 2022-05-17
TWI699286B (zh) 2020-07-21
KR102048422B1 (ko) 2019-11-25
EP3786929A1 (en) 2021-03-03
US11852589B2 (en) 2023-12-26
TW201945201A (zh) 2019-12-01
US20200386687A1 (en) 2020-12-10
EP3786929A4 (en) 2021-07-21
JP2021518818A (ja)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422B1 (ko)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JP5844904B2 (ja) コーティングカプセル構造を用いた浸水ラベル
US8956720B2 (en) Heat-resistant brittle label
AU2006319474A1 (en) Laser transfer of security features
CN107111969B (zh) 标签打印机用色带
WO2007071546A1 (de) Etikett mit erhöhter fälschungssicherheit
JP4827455B2 (ja) 再帰反射シート
EP2059388B1 (en) Decorative and/or information containing label comprising emblem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5957237B2 (ja) 紫外線照射型標識用粘着シート及び紫外線照射型標識装置
JP4906063B2 (ja) 再帰反射シート
WO2019208940A1 (ko)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CN1208205C (zh) 图象记录介质
WO2007071547A1 (de) Etikett mit erhöhter fälschungssicherheit
KR20180027410A (ko) 인쇄가능한 필름
KR20180028403A (ko) 인쇄가능한 필름
JP3139629U (ja) 転写シート
JP2011126273A (ja) 変色性積層体
JP2007050694A (ja) 可逆変色体及びそれを用いた可逆変色体セット
JP3722471B2 (ja) 水性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3589454B2 (ja) 電飾看板用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材、電飾看板用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板及び電飾看板
JP2022062207A (ja) ひび割れ検知用ラベル
JP2002103800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018608A1 (en) BARRIER COATING FOR ADHESIVE LAB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