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854A -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854A
KR20190122854A KR1020197030044A KR20197030044A KR20190122854A KR 20190122854 A KR20190122854 A KR 20190122854A KR 1020197030044 A KR1020197030044 A KR 1020197030044A KR 20197030044 A KR20197030044 A KR 20197030044A KR 20190122854 A KR20190122854 A KR 20190122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fso
hair
skin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015B1 (ko
Inventor
엘리자베스 레스닉
리오넬 레스닉
아담 레스닉
Original Assignee
미라클 푸르츠 오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클 푸르츠 오일, 엘.엘.씨. filed Critical 미라클 푸르츠 오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12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6Masculine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피부학적 및 관절 병태에 대한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신세팔룸 둘시피쿰(Synsepalum dulcificum) 나무 과일 기원의 추출물의 조성물을 사용한 조성물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또한 시험관내(in vitro) 소염성, 항미생물성 및 살정자성 활성을 함유한다.

Description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본 출원은 2012년 9월 14일자로 출원되고 이의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원용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700,981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미라클 과일(miracle fruit)로서도 공지된, 베리(berry) 식물 신세팔룸 둘시피쿰(Synsepalum dulcificum)의 씨앗, 껍질 또는 펄프(과육) 기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화된 조성물 및 포유동물에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리는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테노이드 및 엽산(folic acid)과 같은 건강에 필수적인 미세영양물을 함유한다. 추가로, 베리는 이들이 예를 들어, 이들의 극명한 적색, 보라색, 자주색 및 청색에 관여하는 플라보노이드인 안토시아닌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식물화학물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추가의 건강 이득을 가질 수 있다(문헌참조: Norshazila S., Syed Zahir I., Mustapha Suleiman K. et al. Antioxidant Levels and Activities of Selected Seeds of Malaysian Tropical Fruits. Mal J Nutr. 2010 16(1): 149-159). 시험관내 연구는 베리에서 안토시아닌 및 다른 폴리페놀이 항산화, 항미생물, 소염 및 항암 효과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잠재적인 건강 촉진 성질을 가짐을 나타낸다(문헌참조: Beattie J., Crozier A. and Duthie GG.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Berries. Current Nutrition & Food Science. 2005 1 : 71-86).
다양한 식물 공급원 기원의 베리 추출물이 다양한 응용에 사용되어 왔다. 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화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576,269호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 피부상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에서 산자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추가로, 미국 특허 제7,964,223호는 염증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한 블랙베리 추출물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추가로, 다양한 베리 씨앗 공급원 기원의 천연 과일 오일은 다양한 국소 적용에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916,573호는 피부상에 국소 적용을 위한 포도씨유를 개시하고 있다. 유사하게, 미국 특허 제6,964,786호는 모모르디카 차란티아 엘(Momordica charantia L) (쓴 멜론) 오일 조성물 및 소염 및 항-관절염성 병태의 치료에서 국소제로서의 이들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베리 식물인 신세팔룸 둘시피쿰(Synsepalum dulcificum)은 서부 열대 아프리카에 고유 서식하고 수세기 동안 이의 감미 유발 성질때문에 공지되어 있었다(문헌참조: Kant R. Sweet proteins-potential replacement for artificial low calorie sweeteners. Nutr J. 2005 Feb 9; 4:5. Review). 이것은 이의 맛 성질을 변형시킴에 의해 혀를 속이는 작은 과일로서 언급되어 왔다. 상기 베리 펄프는 신풍미로부터 단맛을 감지함에 의해 맛 감각을 변형시킬 수 있는 당단백질(미라쿨린(Miraculin)을 함유한다. 상기 과일 베리가 주로 풍미 맛 반응에서 사용되어 왔고, 특정 음식 또는 음료의 맛에서 일시적 변화를 위한 호기심때문에 사용되어 왔지만, 이것은 또한 건강 관리자가 사용하여 암 및 당뇨를 앓는 환자의 식이 습관을 개선시키는데 추천되어 왔다(문헌참조: Wilken MK and Satiroff BA. Pilot study of "miracle fruit" to improve food palatability fo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Clin J Oncol Nurs. 2012 Oct; 16 (5):E 173-7.).
MFB의 껍질 및 펄프(과육) 및 씨앗은 시험관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페놀성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문헌참조: Inglett GE. and Chen D.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Skin, Pulp, and Seeds of Miracle Fruit. Journal of Food Science. 2011 76(3): 479-482.). MFB의 강렬한 적색 껍질은 다수의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놀 색소, 예를 들어, 분리되어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진 시아니딩-3-모노갈락토사이드, 시아니딩-3-모노글루코시드, 시아니딘-3-모노아라비노시드, 델피니딘-3-모노갈락토시드, 및 델피니딘-3-모노아아비노시드를 함유한다. 상기 MFB 펄프는 과일과 관련된 맛 변형 성질을 제공하는 미라쿨린 당단백질을 함유한다.
베리 중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씨앗은 이전에 특성 분석된 지질(씨앗의 대략 10-15%의 무수 중량을 포함하는)을 함유한다(문헌참조: Guney S. and Nawar WW. Seed Lipids of the Miracle Fruit ( Synsepalum dulcificum ).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1 (1977) 173-184). 미라클 과일 베리 씨앗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43중량%), 올레산(32중량%), 및 리놀렌산(18중량%)을 포함한다. 고수준의 포화된 지방산의 결과로서, 미라클 과일 씨앗 오일 (살정)은 실온에서 고체이다. MFSO는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MFSO는 이의 주요 트리테르펜 알콜인 α- 및 β-아미린의 상승된 함량에서 특유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트리테르펜 알콜은 이전에 강력한 소염, 항프로테아제 및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문헌참조: Ching J, Chua TK, Chin LC, Lau AJ, Pang YK, Jaya JM, Tan CH, Koh HL). 아디시아 엘리프티카 턴브(Ardisia elliptica Thunb) 기원의 베타-아미린은 콜라겐-유도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아스피린 보다 더 강력하다(문헌참조: Indian J Exp Biol. 2010 Mar; 48 (3):275-9).
추가로, MFSO는 다른 과일 오일에 존재하는 것으로 공지되지 않은, Δ7 스핀아스테롤로서 동정된 상대적 고함량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다. 피토스테롤은 상처 치유제로서 작용하여 손상된 조직을 복구시키고 또한 콜라겐을 복구시켜 주름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문헌참조: Boller S, Soldi C, Marques MC, Santos EP, Cabrini DA, Pizzolatti MG, Zampronio AR, Otuki MF. Anti-inflammatory effect of crude extract and isolated compounds from Baccharis illinita DC in acute skin inflammation. J Ethnopharmacol. 2010 Jul 20; 130 (2):262-6).
요약
본 발명은 MFB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MFB 추출물은 씨앗, 껍질 또는 펄프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국소 전달 시스템의 임의의 가용하거나 잠재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투여용 조성물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MFSO는 신세팔룸 둘시피쿰(Synsepalum dulcificum)의 과일 씨앗으로부터 추출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껍질 또는 펄프는 과일의 씨앗 없는 부분으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MFB 추출물은 국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경우 소염 및 재생 효과를 부여하는 페놀성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MFB 추출물 각각은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이로운 성질 및 고유 성분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MFSO 추출물 조성물은 팔미트산, 올레산 및 리놀렌산의 특유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MFSO 조성물은 추가의 지방산 및 에스테르, 트리테르펜 알콜 및 피토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MFSO 조성물은 다른 과일 오일과는 구별되고 강력한 소염, 항프로테아제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유리하게 제공하는 이의 주요 트리테르펜 알콜인 일정 수준의 α- 및 β-아미린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로, MFSO는 Δ7 스피나스테롤로서 동정된, 상대적 고함량의 독특한 피토스테롤을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국소적으로 투여되고 화장학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피부, 모발, 손톱 또는 점막의 화장용 케어 또는 치료에서, 및 개체에서 관절 병태의 치료에서 MFB 추출물 기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MFSO의 국소 투여, 또는 MFSO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제제는 관절 움직임, 강도, 안전성, 내구성 및 유연성을 개선시킴에 의해 골격 관절의 수행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성질들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치료 가능한 피부 형태, 예를 들면, 아토피 피부염 또는 건선, 비듬을 포함하는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및 주사비(rosacea)에 대한 소염제로서 또는 항미생물제로 MFB 씨앗,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제제에 대한 용도를 포함한다.
상기 MFB 씨앗,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과도한 건조와 관련된 피부 병태의 개선, 또는 성교 활동을 위한 윤활제, 상처 치유 또는 자극제로부터 피부 보호제로서 피부를 습윤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상처 치유 또는 상처를 최소화하거나 역전시키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장용으로서, 상기 MFB 씨앗,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제제는 노화 방지 제제, 주름 방지 조성물 또는 피부 화이트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MFSO는 또한 유리하게 선스크린의 차양 작용을 개선시키거나 증가시키는데 유용하다. 상기 MFB 씨앗,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모발 케어를 위해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는 윤기를 증가시키고, 모발 컨디셔닝을 증진시키면서 모발 끊김을 차단하고 말단 갈라짐을 감소시키는 모발 연화를 포함할 수 있다.
손톱을 위한 MFB 씨앗,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는 깨지기 쉬운 손톱을 위한 습윤화제 및 윤활제를 포함한다.
골격 관절에 대한 MFSO 또는 상기 MFSO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는 관절 움직임, 강도, 안정성, 내구성, 유연성 및 증진된 윤활제 및 관절 통증의 감소로 인한 움직임 범위의 개선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MFSO는 이의 피부 윤활 성질때문에 사용될 수 있고, 추가로 살정자 활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됨에 따라, MFSO, 또는 MFSO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윤활제, 살정자성 제제(spermicide) 또는 성교 동안에 살정자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FB 기원의 씨앗,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지질 추출물은 신세팔룸 둘시피쿰 식물의 과일 씨앗으로부터 수득된다. 바람직하게, 껍질, 펄프 및 MFSO 추출물은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및/또는 피부 및 관절의 부속물의 케어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 투여되는 조성물로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세팔룸 둘시피쿰의 씨앗으로부터 추출된 MFB 및 MFSO 기원의 껍질 및 펄프를 함유하는 안정한 형태의 국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적합한 화장학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담체와 혼합된, 신세팔쿰 둘시피쿰 씨앗으로부터 추출된 MFB 및 MFSO 기원의 껍질 및 펄프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전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체에서 피부, 모발, 손톱 및 점막에 영향을 주는 피부학적 병태의 화장학적 케어 또는 약리학적 치료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들과 배합된, MFB 및 MFSO 기원의 껍질 및 펄프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여전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체에서 관절 장애 또는 질환을 개선시키거나 관절 움직임, 강도, 안정성, 내구성, 유연성 및 움직임 범위를 증진시키기거나 관절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해 MFSO 단독, 또는 다른 성분들과 배합된 MFSO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전히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그 자체가 영양학적, 화장학적, 개인 케어, 애완동물 케어, 농업 및 약제 또는 건강보호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MFB 기원의 껍질 및 펄프 추출물 및 신규 MFSO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미라클 과일 씨앗 기원의 지질-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약제학적 또는 화장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약 43중량% 내지 약 46중량%의 팔미트산, 약 32중량% 내지 약 34중량%의 올레산 및 약 18중량% 내지 약 21중량%의 리놀렌산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약 5중량% 내지 약 7중량%의 스테아르산 및 약 1중량% 내지 약 2중량%의 미리스트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트리테르펜 알콜, 낮은 MW 알콜 또는 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학적 조성물은 피부, 점막, 모발 또는 손톱에 영향을 주는 병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국소 적용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서 MFB 기원의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미라클 과일 씨앗 기원의 지질-성분 추출물 및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또는 관절(예를 들어, 수근관 증후군)에 영향을 주는 병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국소 적용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서 MFB 기원의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 또는 미라클 과일 씨앗 기원의 지질 성분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염, 항미생물, 재생 및 수행능 증진 활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질을 유리하게 포함한다. 상기 항미생물 성질은 항세균 또는 항바이러스 성질이거나 항진균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의 피부, 점막, 모발 또는 손톱에 영향을 주는 병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병태 또는 장애를 예방하거나, 완화하거나 개선시키거나 역전시키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유효량을 동물에게 국소적으로 적용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치료되거나 예방되거나 완화되는 병태 또는 장애는 모발, 피부, 점막 또는 손톱의 건조 또는 취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모발에 적용하여 상태를 습윤화시키거나 상기 건조로 인한 손상 또는 취성을 감소시키거나 모발의 갈라진 말단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피부에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고 주름 또는 노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용할 수 있거나 기미와 같은 목적하지 않은 착색을 치료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조성물의 적용은 피부 미백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건조 또는 손상된 피부를 습윤화시키기 위해 피부에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제에 의한 자극으로부터 피부롤 보호할 수 있는 윤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염증에 의해 유발되거나 이와 관련된 장애의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MFB 또는 MFSO로부터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병태 또는 장애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거나, 개선시키거나, 역전시키기 위해 치료될 신체 영역에 유효량의 상기 조성물을 적용함을 포함한다.
상기 염증은 신체의 관절에서와 같이 외부이거나 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외부 염증은 아토피 피부염 또는 건선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염증은 세균에 의해 유발되거나 관련된, 예를 들어, 여드름, 주사비, 또는 진균류에 의해 유발되거나 관련된, 예를 들어, 비듬과 함께 지루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지루성 피부염,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거나 관련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상처 치유를 개선시킴에 의한 재생 활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처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개체에서 관절 움직임, 강도, 안정성, 내구성, 유연성 및 일정 범위의 움직임을 개선시키거나 관절 피로를 감소시킴에 의해 골격 관절 활성의 수행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방법은 선스크린 조성물에서 MFSO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을 포함하고 통상적인 선블록의 차양 활성을 증진시키거나 태양 노출에 의해 유발된 UV-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통상의 선블록 성분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윤활 및 살정자 성질때문에 성교 보조제로서 MFSO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상기 용도, 및 당해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다른 용도는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는 기재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는 본원 기재로부터 용이하고 이의 양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MFSO가 시험관내에서 긴머리에 대한 습윤 빗질 힘(combing force)을 감소시킴을 설명하는 그래프이고;
도 2는 MFSO가 시험관내에서 긴머리에 대한 반복적인 빗질 실험 동안에 모발 끊김을 감소시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시험관내에서 모발 섬유에서 갈라진 말단의 형성을 감소시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4 (a-b)는 MFSO가 생체내(in vivo) 피부 습윤화제로서 기능함을 도시하는 그래프를 설명하고;
도 5 (a-b)는 MFSO가 차단벽으로서 기능하고 피부를 생체내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보호함을 도시하는 그래프를 설명하고;
도 6 (a-d)는 MFSO가 생체내에서 상처 치유를 개선시킴을 도시하는 그래프를 설명하고;
도 7은 MFSO가 생체내에서 광(photo)-노화된 피부 및 미세 주름의 외관을 개선시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씨앗(MFSO),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언급되고, 하나 이상의 담체와 연계된 씨앗(MFSO),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을 사용한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이의 존재가 약제학적으로, 화장학적으로 또는 효능적으로 요망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부류의 물질들 뿐만 아니라 유화제, 알콜, 물, 연화제, 습윤제, 건조 촉감 개질제, 항미생물 방부제, 증점제, 소포제, 킬레이트제 및 향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용액", "제제", "에멀젼" 및 "조성물"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션, 크림, 비치 오일, 겔, 스틱, 스프레이, 연고, 향유, 세럼(serum), 페이스트, 무스, 적가제, 포움(foam), 콜로디온, 현탁제, 산제(powders), 에어로졸제, 화장제 및 액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투여하다" 또는 "투여하는"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치료 목적을 위해 또는 수행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체에게 전달되는 과정으로서 정의된다. 국소 투여는 리포좀, 니오좀, 트랜스페로좀 등과 같은 소포체(vesicular) 개념 전달 시스템, 및 경피 패치제, 스트립, 필름 등과 같은 경피 투여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온도입법, 초음파치료, 음파영동, 전기천공, 마이크로-조립된 마이크로-주사 장치(micro-fabricated micro-needle devices) 및 이들의 내용물을 확산, 기계적 또는 가스 구동되는 에너지 등에 의해 내용물을 전달하는 바늘 부재 장치와 같은 국소 전달 시스템 및 장치의 다른 물리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바디상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국소 제형을 전달할 수 있는 직물에 부착된 겔(열경화성 탄성체 겔)과 같은 장치가 또한 포함된다. 이들 장치는 유용성(oil soluble)(미네랄 오일 등) 중간-블록 공중합체 겔(열가소성 탄성체 고무 겔)을 포함하고, 이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ES. (스티렌-에틸렌-스티렌), SE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SI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BS. (스티렌-이소프렌-부틸렌-스티렌), SBS. (스티렌-부틸렌-스티렌). 추가로, 오일 함침된 실리콘 겔(알파 및 베타-겔), 오일 함침된 실라스틱 겔, 하이드로겔 및 단백질성 하이드로겔, 하이드로콜로이드 겔, 유화 겔(emulsification gel)(오일/단백질/물 및 오일/물), 졸-겔, 친액성 졸 겔, 엘라스토-겔, 오르가노겔, 제로겔 및 에어로겔 등이 또한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만성 투여" 또는 "만성 적용"은 수일, 수개월, 수년 이상의 기간동안의 투여를 언급한다. 상기 투여는 하루, 한주, 한달 당 1회 이상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하루 약 2회 내지 약 5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회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하기 중 어느 하나를 언급한다: 특정 병태 또는 장애의 증상의 진행에서의 지연 뿐만 아니라 증상의 경감, 완화, 제거 및/또는 안정화. 따라서, "치료"는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학적 또는 예방적 대책 둘다를 언급한다.
상기 용어 "개체", "대상체" 또는 "환자"는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임의의 척추 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특정 치료의 수용자이어야만 하는 사람을 언급한다. 척추 동물은 조류 또는 파충류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사람, 영장류, 개과, 고양이, 소, 돼지, 말 또는 반추동물을 언급한다.
상기 용어 "허용가능한 국소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둘다를 포함하고, 이는 피부에 접촉하는데 적합한 실질적으로 비-자극의 혼화성 성분들(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상기 용어 "혼화성"은 사용 동안에 조성물의 효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상호작용이 없는 방식으로 씨앗(MFSO),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과 혼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보조제 및 비히클, 및 충전제 또는 본 발명의 활성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캅셀화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담체는 미국 식품 의약국(FDA) 등과 같은 적격의 정부 기관에 의해 동물 또는 사람용으로 승인된다. 이의 예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생리학적 식염수, 물, 및 오일/물 에멀젼과 같은 에멀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의 적합한 혼합물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약 0.0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 약 0.01% 내지 약 90%의 MFB 추출물을 함유하고, 여기에는 약 0% 내지 약 99.99%,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99.99%의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다른 부형제가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한 제형은 약 10% 이하의 MFB 추출물 및 약 90% 이상의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반면, 전형적이고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5%의 MFB 추출물 및 약 95%의 담체 또는 다른 부형제를 함유한다. 제형은 당해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고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다수의 공급원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연화제(emollient)"는 적합한 연화제를 의미한다. 적합한 연화제 부류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탄화수소 오일 및 왁스,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석유, 파라핀,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미세결정 왁스, 폴리에틸렌 및 퍼하이드로스쿠알렌; (2) 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수용성 및 알콜 가용성 실리콘 글리콜 공중합체; (3) 트리글라이세리드 에스테르, 예를 들어, 식물성 및 동물 지방 및 아주까리유, 해바라기유, 면화씨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대구간유, 아몬드유, 아보카도유, 팜유, 참깨유, 및 대두유를 포함하는 오일; (4) 아세토글리세리드 에스테르, 예를 들어, 아세틸화된 모노글라이세리드; (5) 에톡실화된 글라이세리드, 예를 들어, 에톡실화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6)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알킬 에스테르(예를 들어, 다른 유용한 알킬 에스테르의 예는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헥사데실 스테아레이트, 데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헥실 아디페이트, 디헥실데실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및 세틸 락테이트를 포함하고, 이의 지방산의 메틸, 이소프로필 및 부틸 에스테르가 특히 유용하다); (7)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알케닐 에스테르, 예를 들어,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및 올레일 올레에이트; (8)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산, 예를 들어, 페라르곤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시놀레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및 에룩산; (9)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 예를 들어,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헥사데실,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하이드록시스테아릴, 올레일, 리시놀레일, 베헤닐, 에루실 알콜 및 2-옥틸 도데카놀; (10)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의 에톡실화된 지방 알콜을 포함하는 지방 알콜 에테르, 예를 들어,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오엘릴, 및 여기에 1 내지 5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 또는 1 내지 50개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이 부착된 콜레스테롤 알콜; (11) 에테르-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톡실화된 지방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12)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라놀린 오일, 라놀린 왁스, 라놀린 알콜,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레이트, 에톡실화된 라놀린, 에톡실화된 라놀린 알콜, 에톡실화된 콜레스테롤, 프로폭실화된 라놀린 알콜, 아세틸화된 라놀린, 아세틸화된 라놀린 알콜, 라놀린 알콜 리놀레에이트, 라놀린 알콜 리시놀레에이트, 라놀린 알콜 리시놀레에이트의 아세테이트, 에톡실화된 알콜-에스테르의 아세테이트, 라놀린의 수소첨가분해, 에톡실화된 수소화된 라놀린, 에톡실화된 소르비톨 라놀린 및 액체 및 반고체 라놀린 흡수 기재(substance); (13) 다가 알콜 및 폴리에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000 및 4000,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에톡실화된 소르비톨, 하이드록시프로필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6000,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350, 550, 750, 2000 및 5000,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독 중합체(homopolymer)(100,000-5,000,000),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유도체, 헥실렌 글리콜 (2-메틸-2,4-펜탄에디올), 1,3-부틸렌 글리콜, 1,2,6-헥산에트리올, 에토헥사디올 USP (2-에틸-1,3-헥산디올), C15-C18 비시날 글리콜, 및 트리메틸롤프로판의 폴리옥시프로필렌 유도체; (14) 에틸렌 글리콜 모노- 및 디-지방산 에스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및 디-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6000) 모노- 및 디-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및 디-지방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000 모노올레에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000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톡실화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 및 디-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실화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다가 알콜 에스테르; (15) 왁스 에스테르, 예를 들어, 밀랍, 경랍(spermaceti),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및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16) 밀랍 유도체, 예를 들어, 에테르-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다양한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의 에톡실화된 소르비톨과 밀랍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밀랍; (17) 카나우바 및 칸델릴리라 왁스를 포함하는 식물성 왁스; (18) 인지질, 예를 들어, 레시틴 및 유도체; (19) 스테롤,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20) 아미드, 예를 들어, 지방산 아미드, 에톡실화된 지방산 아미드 및 고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특히 피부 컨디셔닝을 제공하는 유용한 연화제는 글리세롤, 헥산트리올, 부탄트리올, 락트산 및 이의 염, 우레아, 피롤리돈 카복실산 및 이의 염, 아미노산, 구아니딘, 디글리세롤 및 트리글리세롤이다. 바람직한 피부 컨디셔닝제는 프로폭실화된 글리세롤 유도체이고,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생성물을 포함한다.
활성제 - MFB 씨앗 (MFSO), 피부 및 펄프 추출물
MFSO
따라서, 본 발명은 신세팔룸 둘시피쿰 (미라클 과일)의 씨앗으로부터 수득된 오일 또는 지질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미라클 과일 씨앗 오일(MFSO)의 대표적인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1. 팔미트산 43-46.0%;
2. 올레산 32-34%;
3. 리놀레산 18-21%;
4. 스테아르산 5-7%;
5. 미리스트산 1-2%; 및
6. 다른 지방산, 탄화수소, 트리테르펜 알콜, 저분자량의 알콜 및 스테롤 6-8%.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피부 병태 또는 관절 병태를 치료하고 관절의 수행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국소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유효량의 MFSO 추출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지질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 공정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정제 공정은 고온 또는 냉 압력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 또는 초임계 CO2에 의한 추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추출 공정의 예는 미세하게 분쇄된(분쇄기를 사용하여) 미라클 과일 씨앗을 하나 이상의 비극성 용매, 예를 들어, 지방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헥산, 식물성 오일 또는 스테아르산 메틸 에스테르와 같은 장쇄 지방산의 지방산 에스테르와 접촉시킴을 포함한다.
신세팔룸 둘시피쿰 베리(MFSO) 씨앗으로부터 수득된 오일 또는 지질 추출물은 진한 담갈색이고 쓴맛을 갖는다.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된 오일은 99.5%의 순도로 수득된다. 상기 오일은 수불혼화성(water immiscible)이다. 그러나, 이것은 벤젠, 석유 에테르, 에틸 에테르, 아세톤 및 헥산과 같은 비극성 용매 중에서 가용성이다. 상기 오일은 또한 에탄올 및 메탄올과 같은 극성 용매 중에서 가용성이다.
신세팔룸 둘시피쿰으로부터 추출된 MFSO가 매우 진하고, 바람직하게 희석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 상기 MFSO는 다른 식물성 오일과 혼합될 수 있다. MFSO와 혼합될 수 있는 오일은 코코넛유, 참깨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팜유 및 땅콩유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오일이 MFSO와 혼합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의 피부의 외부층으로의 침투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MFSO 보다 큰 정도로 증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희석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MFSO는 원료 (조), 정제되거나 방취되거나, 또는 정제되고 방취된 형태의 화장용 또는 치료용 생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MFSO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식물성 오일처럼 MFSO가 국소 윤활제로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이것은 예상치않게도 본 발명자에 의해 또는 본 발명자를 대표하여 수행된 시험관내 연구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소염, 항미생물 및 살정자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다수의 등급이 있는 염증 또는 미생물 활성과 관련된 임의의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또는 관절 병태는 본 발명에 따라, 추출물 또는 MFSO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로 국소적으로 MFSO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MFSO는 개체의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및 관절에 영향을 주는 병태에 대해 다수의 이로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MFSO는 또한 관절에 대해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관절의 수행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MFSO의 국소적 사용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MFSO에는 공지되거나 입증된 부작용이 없다.
껍질 및 펄프 추출물
따라서, 본 발명은 신세팔룸 둘시피쿰 (미라클 과일)의 씨없는 부분으로부터 수득된 껍질 및 펄프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미라클 과일 껍질의 대표적인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놀 색소(예를 들어, 시아니딩-3-모노갈락토시드, 시아니딩-3-모노글루코시드, 시아니딘-3-모노아라비노시드, 델피니딘-3-모노갈락토시드, 및 델피니딘-3-모노아아비노시드)의 혼합물.
미라클 과일 펄프의 대표적인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미라쿨린, 다른 유리된 아미노산(아르기닌, 히스티딘 및 라이신)과 함께 맛에 영향을 주는 MFB의 당단백질 및 비특정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놀 색소.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유효량의 MFB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의 사용이다.
본 발명의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 공정 및 임의의 하나 이상의 정제 과정이 고온 또는 냉압 추출, 단백질에 대한 용매 및 알칼린에 의해 추출 또는 초임계 CO2에 의한 추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추출 공정의 예는 미라클 과일 껍질 및 펄프를 하나 이상의 극성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접촉시킴에 이어서 단백질을 수거하기 위해 결합된 물질의 알칼라인 추출을 포함한다.
신세팔룸 둘시플쿰 베리로부터 수득된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담황갈색의 색상이고 어떠한 맛을 갖지 않는다.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한 추출은 99.8%의 순도로 수득된다. 상기 추출은 수혼화성(water miscible)이다.
신세팔룸 둘시피쿰으로부터 추출된 MFB 껍질 및 펄프는 진한 것으로 밝혀졌고 바람직하게 희석제와 함께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물은 다른 수용성 담체와 혼합될 수 있다.
희석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상기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원료(조)의 세정되거나 탈색(deodorized)되거나 정제되고 탈색된 형태로 화장용 또는 치료용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상치 않게도, 이들 추출물은 본 발명자에 의해 또는 본 발명자를 대표하여 수행된 시험관내 연구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소염 및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다수의 등급이 있는 염증 또는 미생물 활성과 관련된 임의의, 피부, 모발, 손톱, 또는 점막 병태는 본 발명에 따라, 추출물 또는 MFB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로 국소적으로 MFB의 껍질 및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상기 MFB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피부, 모발, 손톱, 또는 점막에 영향을 주는 병태에 대해 다수의 이로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껍질 및 펄프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이들의 국소적 사용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MFB 껍질 및 펄프 조성물에 대해 공지되거나 입증된 부작용이 없다.
국소 투여용 제형 및 담체
MFSO, MFB 기원의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담체에 대한 필요 없이 국소 투여용의 순수한 형태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MFB 추출물 각각은 또한 병태의 치료 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관절 수행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에서 활성 또는 효능에 음성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 없이 담체와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MFB 추출물 각각은 약제학적 또는 화장학적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국소 적용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겔, 크림 또는 연고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당한 조성물로서, 약물을 국소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조성물이 인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활성 성분으로서 MFB 추출물은 요구되는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과 밀접하게 혼합하여 배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국소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적합하다. 상기 담체는 바람직하게 피부에 대해 어떠한 상당한 해로운 효과를 유발하지 않는 적합한 첨가제와 임의로 배합된 침투 증진제 및/또는 적합한 습윤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피부에의 투여를 촉진시킬 수 있고/있거나 목적하는 조성물의 제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MFB 추출물은 또한 상기 추출물이 시간 경과에 따라 조절된 용량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연장된 효과를 제공하는 첨가제와 배합될 수 있다. 추가로 여전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막 표면으로의 직접적인 전달을 위해 점막접착성 중합체 부형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피 패치제, 스트립, 필름 등으로서 또는 나노입자로서, 스팟-온 적용 또는 연고로서 투여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리포좀, 니오좀, 트랜스페로좀 등과 같은 소포체 개념 전달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온도입법, 초음파치료, 음파영동, 전기천공, 마이크로-조립된 마이크로-주사 장치 등과 같은 국소 전달 시스템 및 장치의 다른 물리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바디상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국소 제형을 전달할 수 있는 직물에 부착된 겔(열가소성 탄성체 겔)과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폐색, 열, 냉각, 초음파, 레이져, 방사선주파 및 다른 형태의 전자기 방사선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압력과 같은 물리적 방식이 또한 조성물의 국소 전달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해,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오일, 연고, 세럼, 향유, 페이스트, 스틱, 에멀젼, 무스, 포움, 콜로디온, 현탁제, 겔, 산제, 에어로졸제, 액제, 스프레이, 도찰제, 점막 투여용으로 적합한 적가제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로션, 크림 또는 연고는 액체 또는 반고체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고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오일 또는 반고체 탄화수소(기름이 많이든)의 단순 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고는 또한 물을 흡수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흡수 연고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고 베이스의 예는 무수 라놀린 및 친수성 페트롤라툼을 포함한다. 에멀젼 연고 베이스는 수중유(oil-in-water) 또는 유중수(water-in-oil) 에멀젼일 수 있다. 연고 담체는 또한 수용성일 수 있다. 상기 연고 담체의 예는 글리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를 포함한다. 연고는 또한 약 2% 내지 약 10%의 연화제 및 약 0.1% 내지 약 2%의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증점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셀룰로스 유도체(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합성 고분자량 중합체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콜), 식물 하이드로콜로이드(예를 들어, 카라야 검 및 트라가칸트 검), 점토 증점제(예를 들어, 콜로이드성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벤토나이트), 및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담체 시스템이 에멀젼으로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유용한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는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 2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축합된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콜, 에틸렌 글리콜의 2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 모노- 및 디-지방산 에스테르와 축합된 알킬 쇄에서 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페놀(여기서, 상기 지방산 잔기는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지방산 모노글라이세리드(여기서, 지방산 잔기는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디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200 내지 6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200 내지 3000의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및 친수성 왁스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유화제의 예는 폴리옥시에틸렌 (8)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에톡시 (3) 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0) 모노스테아레이트, 라우릭 디에탄올아미드, 스테아릭 모노에탄올아미드, 수소화된 식물성 글라이세리드, 나트륨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 및 칼슘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유화제(emulsifiers)는 지방산 비누,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비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지방산 잔기는 10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적합한 음이온성 유화제는 알킬 잔기에서 10 내지 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알킬 설페이트, 알킬 아릴설포네이트 및 알킬 에톡시 에테르 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알킬 에톡시 에테르 설포네이트는 1 내지 5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양이온성 유화제는 4차 암모늄, 모르폴리늄 및 피리디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화제의 예는 디알킬(C12-Cl8) 4차 암모늄염,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염; 알킬 디메틸 벤질 암모늄염 및 세틸 피리디늄 염을 포함한다.
수중유 및 유중수 유형의 단일 에멀젼 피부 케어 제제, 예를 들어, 로션 및 크림은 화장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MFB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다중상 에멀젼 조성물, 예를 들어, 수중유중수(water-in-oil-in-water) 유형이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유화제는 MFB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성분들이다. 실리콘중수중유(oil-in-water-in-silicone) 유체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3중 에멀젼 담체 시스템은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하다.
에멀젼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된 2개의 불혼화성 액체의 이원상 불투명 혼합물을 언급한다. 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시스템이고 분산된 소적(droplet)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높은 토크의 기계적 혼합 또는 균질화(homogenization)의 적용을 필요로 한다. 대조적으로,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은 계면활성제 및 일반적으로 보조-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된 2개의 불혼화성 액체의 안정한 이원상 혼합물이다. 마이크로에멀젼은 열학적으로 안정하고 투명하고, 과도한 혼합 없이 자발적으로 형성되고, 허용가능한 크기의 분산된 소적을 갖는다. 마이크로에멀젼 및 에멀젼 둘다는 유중수 또는 수중유 시스템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유중수 시스템에서, 상기 분산된 상은 물이고 연속상은 오일이다. 수중유 시스템에서, 상기 분산된 상은 오일이고 연속상은 물이다. 유중수 또는 수중유 시스템이 형성되고 대체로 계면활성제의 성질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에서 유용한 또 다른 에멀젼 담체 시스템은 마이크로-에멀젼 담체 시스템, 예를 들어, 리포좀 또는 노바좀(NOVASOME)이다. 상기 시스템의 예는 약 9% 내지 약 15%의 스쿠알렌; 약 25% 내지 약 40%의 실리콘 오일; 약 8% 내지 약 20%의 지방 알콜; 약 15% 내지 약 30%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지방산 또는 다른 비이온성 지방산; 및 약 7% 내지 약 20%의 물을 포함한다.
로션 및 크림은 용액 뿐만 아니라 에멀젼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이 겔 또는 화장 스틱으로서 제형화되는 경우, 기재된 바와 같은 적합한 양의 증점제가 크림 또는 로션 제형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연고 또는 페이스트는 외부 적용을 위한 MFB 추출물의 반고체 제형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 유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중에서 적합한 기계적 도움으로 그리스(greasy) 또는 비그리스(non-greasy) 기제(basis)와 함께 세분되거나 분말된 형태로 추출물을 혼합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제는 탄화수소, 예를 들어, 경질, 연질 또는 액체 파라핀, 글리세롤, 밀랍, 금속 비누; 무실라게; 천연 기원의 오일, 예를 들어, 아몬드유, 옥수수유, 땅콩유, 아주까리유 또는 올리브유; 양모 지방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지방산,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거대겔과 같은 알콜과 함께 스테아르산 또는 올레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에는 임의의 적합한 표면 활성제, 예를 들어,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표면 활성제, 예를 들어, 소르비탄 에스테르 또는 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가 혼입될 수 있다. 현탁제, 예를 들어, 천연 검,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무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성 실리카 및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라놀린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가제(drops)는 멸균 수용액 또는 유성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MFB 추출물을 살균 및/또는 살진균 제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부제의 적합한 수용액 및 바람직하게는 표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득된 용액은 여과에 의해 정화하고 멸균시키며 무균 기술에 의해 컨테이너로 옮긴다. 적가제에 포함시키기 위해 적합한 살균 및 살진균제의 예는 페닐머쿠릭 니트레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0.002%),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0.01%) 및 클로르헥시딘 아세테이트(0.01%)이다. 오일 용액의 제조를 위해 적합한 용매는 글리세롤, 희석된 알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제형화된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 및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용매"는 우수한 미학적 성질(예를 들어, 끈적거리는 촉감이 없고 불쾌한 향을 갖지 않는) 뿐만 아니라 허용가능한 안전성(예를 들어, 자극 및 민감화 특성)을 가지며 MFB 추출물이 분산되거나 용해될 수 있는 유기 용매를 언급한다. 상기 용매의 가장 전형적인 예는 이소프로판올이다. 적합한 유기 용매의 다른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600),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425- 2025), 글리세롤, 1,2,4-부탄트리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1,2,6-헥산트리올, 에탄올, 부탄디올, 물 및 이의 혼합물.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이 또한 에어로졸로서 제형화되고 스프레이로서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추진제가 에어로졸 사용을 위해 용액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추진제의 예는 염소화된, 불소화된 및 염소-불소화된 저분자량의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다른 추진제는 저분자량의 탄화수소 혼합물(예를 들어, Phillips Chemical Co., Phillips Petroleum Company의 자회사에 의해 제조된 추진제 A46으로서 상업적으로 공지된 부탄, 이소부탄 및 프로판의 혼합물), 에테르 및 할로탄화수소, 예를 들어, 디메틸 에테르 또는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단독 또는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탄화수소 및 할로탄화수소 추진제 및 산화질소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질소 및 이산화탄소는 또한 추진제 가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방출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은 또한 메이크업 제품,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또는 립스틱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은 전형적으로 적당한 양의 증점제, 색소 및 향제와 함께 용액 또는 로션 기반이다. 립스틱은 필수적으로 색소가 분산된 스틱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빽빽한 오일-왁스 기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은 또한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및 관절상에 착용 제품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열가소성 탄성체(TPE) 겔로 혼입되는 겔로 제형화될 수 있다. 통상적인 열가소성 탄성체 겔은 열에 의해 가소화되고 용융되는 경우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다.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TPEG에 사용되고 이들 중합체들은 미네랄유 연장제 유체내 유리성 스티렌 도메인의 물리적으로 가교결합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스티렌의 Tg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겔은 안정하고 유동하지 않지만 스티렌 Tg 이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 겔의 유동이 유발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성질은 이들 겔의 사용가능한 부분으로 용이한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MFSO는 유용성(미네랄 오일 등) 중간 블록 공중합체 겔(열가소성 탄성체 고무 겔)에 첨가될 수 있고, 이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ES (스티렌-에틸렌-스티렌), SE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SI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BS (스티렌-이소프렌-부틸렌-스티렌), 및 SBS (스티렌-부틸렌-스티렌). 추가로, 오일 함침된 실리콘 겔 (알파 및 베타-겔), 오일 함침된 실라스틱 겔, 하이드로겔 및 단백질성 하이드로겔, 하이드로콜로이드 겔, 유화 겔(오일/단백질/물 및 오일/물), 졸-겔, 친액성 졸 겔, 탄성 겔, 유기겔, 제로겔 및 에어로겔 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동물 또는 사람 신체상에 착용하기 위한 제품에 부착되는 경우, 이들 겔은 사용자가 MFSO를 신체상의 목적하는 영역으로 전달할 수 있게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접촉시 MFSO를 삼출(exuding)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품은 본 발명의 겔 조성물로 피복된, 겔 패드, 패치, 실린더, 튜브, 밴드, 오르피스/신체 윤곽 성형된(contour shaped) 패치/플러그 및 착용가능한 직물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신체 조직 또는 피부, 모발, 손톱 및 점막과 접촉시 착용되는 독립적 독립형 제품으로서 성형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예비 형성된 장갑, 양말, 부츠, 커프, 소매, 밴드, 벨트, 바지, 속옷 또는 조성물의 일부를 피부, 체조직, 모발 또는 손톱으로 전달하도록 특이적으로 디자인된 내부 체강 장치와 함께 혼성 제품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광범위한 의미에서, 신체 제품은 특정 신체 부분을 커버하도록 요구되는 임의의 형태 및 크기로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특정 크기, 형태로 절단되거나 제품 또는 패치로 성형될 수 있는 중합체성 및/또는 유기 기질 필름(organic substrate film), 부직 웹 또는 직물과의 혼성 제품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MFSO에 대해 직접적인 전달 시스템을 형성하여 이들이 적용되는 경우 겔라틴성 조성물이 신체 조직, 피부, 모발 또는 손톱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조성물에 포함된 MFSO의 직접적인 국소적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품은 침투성 막이 겔라틴성 조성물과 신체 조직, 피부, 모발 또는 손톱간에 배치되어 간접적인 전달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겔은 블렌딩, 용융, 침지, 주조, 사출 성형, 압출 및 다른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의류, 직물, 종이 또는 중합체 필름 기질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상기 겔라틴성 물질은 한쪽 측면 및 다른 측면상에 의류 재료에 부착되어 적용되는 경우, 피부, 신체 조직, 모발 또는 손톱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의류 물질은 합성 또는 천연 섬유의 어느 하나 또는 둘다로 구성된 직물일 수 있다. 적합한 합성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나일론, 스팬덱스, 폴리올레핀, 아크릴산 등의 섬유를 포함하고 적합한 천연 섬유는 면화, 캠브릭, 양모, 캐시미어, 레이온, 라텍스, 삼베 및 기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국소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성분 뿐만 아니라 이들의 확립된 당업계에서 국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가의 유용성(oil-soluble) 물질 및/또는 수용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유용성 물질 중에는 비휘발성 실리콘 유체,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 실록산이 있고 이의 점도 범위는 25℃에서 약 10 내지 100,000 센티스토크이다. 이들 실록산은 피부 감촉을 증진시키기 위해 유용하다. 이들 임의의 유용성 물질은 총 조성물의 약 20% 이하를 차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이다.
다양한 수용성 물질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습윤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알콕실화된 글루코스 및 헥산트리올, 에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알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식물성 검 및 점토,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 방부제,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벤조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에스테르, EDTA,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및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및 중화용의 알칼린 제제,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경우에 따라, 존재할 수 있는 지방산의 일부 또는 증점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국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학적 보조제, 예를 들어, 염료, 불투명화제(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색소 및 향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화장학적 조성물은 또한 안전하고 유효량의 침투 증진(또는 감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하고 유효량"이란 MFB 추출물의 피부에의 침투를 증진(또는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이지만 임의의 부작용 또는 피부 반응을 유발할 정도로의 많은 양이 아닌것을 의미한다. 침투 증진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10%의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공지된 경피 피부 침투 증진제를 또한 사용하여 조성물의 전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실례는 다음과 같다: 설폭사이드, 예를 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등; 사이클릭 아미드, 예를 들어, 1-도데실라자사이클로헵탄-2-온(AZONE, 제조원(Nelson Research, Inc.)의 등록된 상표명) 등; 아미드, 예를 들어,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DMA) N,N-디에틸 톨루아미드,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 옥타미드, N,N-디메틸 데카미드 등; 피롤리돈 유도체,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2-피롤리돈-5-카복실산, N-(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돈 또는 이의 지방산 에스테르, 1-라우릴-4-메톡시카보닐-2-피롤리돈, N- 탈로우알킬피롤리돈 등; 폴리올,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헥산트리올 등; 직쇄 및 측쇄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 리놀레산, 라우르산, 발레르산, 헵탄산, 카프로산, 미리스트산, 이소발레르산, 네오펜탄산, 트리메틸 헥사노익산, 이소스테아르산 등;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옥탄올, 올레일, 스테아릴, 리놀레일 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나트륨 라우레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프로폭실화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예를 들어, Poloxamer 231, Poloxamer 182, Poloxamer 184, 등, 에톡실화된 지방산, 예를 들어, Tween 20, Myrj 45 등, 소르비탄 유도체, 예를 들어, Tween 40, Tween 60, Tween 80, Span 60 등, 에톡실화된 알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에테르(Brij 30),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에테르 (Brij 93) 등, 레시틴 및 레시틴 유도체 등; 테르펜, 예를 들어, D-리모넨, 알파-피넨, 베타-카렌, 알파-테르피네올, 카볼(carvol), 카본(carvone), 멘톤, 리모넨 옥사이드, 알파-피넨 옥사이드, 유칼립투스 오일 등. 또한 피부 침투 증진제로서 적합한 것은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레이트, 시트르산, 숙신산 등과 같은 유기산 및 에스테르이다.
다른 통상적인 피부 케어 제품 첨가제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겐, 하이알루론산, 엘라스틴, 수소용해물, 프림로즈 오일, 요요바 오일, 상피 성장 인자, 대두 사포닌, 뮤코폴리사카라이드, 및 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양에서 항산화제인 것으로 공지되지 않은 다양한 비타민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B2, 비오틴, 판토텐산, 비타민 D, 또는 이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국소 전달 비히클을 위해, 조성물의 나머지 성분은 필수적으로 정제된 물, 예를 들어, 탈이온수이다. 상기 전달 비히클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95% 초과 범위의 물을 함유한다. 존재하는 물의 특정 양은 중요하지 않지만 목적하는 점도(일반적으로 약 50cps 내지 약 10,000 cps) 및/또는 다른 성분들의 농도를 수득하기 위해 조정할 수 있다. 국소 전달 비히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30센티포즈의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편리한 전달, 즉, 분산, 붓기, 분무 등을 위해 적합한 컨테이너로 저장되거나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쟈(jar), 유리병, 로션 펌프, 펌프 분무 유리병 및 에어로졸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생성물은 또한 에어브러쉬 또는 생성물을 전달하는 임의의 다른 유닛을 사용하여 분무될 수 있다.
상기 MFB 추출물은 목적하는 바와 같이 완전한 강도로 사용되거나 희석되거나 농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 0.01중량% 정도의 적은 MFB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이 본 발명에 따른 병태를 치료하기 위해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고 약 0.01중량% 내지 100중량%를 함유하는 제형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하고, 당해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다수의 공급원에 기재된 피부 케어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화장학적 및 약제학적 성분들이 있다. 이들 기능성 부류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흡착제, 연마제, 고결 방지제, 소포제, 항산화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벌크제, 킬레이트제, 화학적 첨가제, 착색제, 화장용 수렴제, 화장용 살생제, 변성제, 약물 수렴제, 외부 진통제, 필름 형성제, 방향 성분, 습윤제, 불투명화제, pH 조정제, 가소화제, 방부제, 추진제, 감소제, 피부 화이트닝제, 피부 컨디셔닝제 (연화제, 습윤제, 미셀래니어스(miscellaneous), 및 폐색제), 피부 보호제, 용매, 포움 부스터, 항수성 물질(hydrotrope), 가용화제, 현탁제 (비계면활성제), 선스크린 제제, 자외선 광 흡수제, 방수제, 및 점도 증진제(수성 및 비수성).
MFB 추출물; 씨앗(MFSO), 껍질 및 펄프를 사용하는 방법
본 발명에 도달하는 과정 동안에, MFB 씨앗(MFSO), 피부 및 펄프 추출물의 예상치 않은 이득을 결정하는 연구로부터, 예상치않게도 이들 추출물이 피부과학적 및 관절 병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추가로, 상기 MFSO는 예상치않게도 골격 관절의 수행능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MFB 씨앗(MFSO),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개체의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및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병태에 대해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관절에 적용된 MFSO는 개체의 관절의 수행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추가로, 시험관내 연구에서, 상기 MFB 추출물은 또한 예상치 않게 소염, 항미생물 및 살정자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후술됨에 따라 명백해지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특성 및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피부학적 및 관절 병태를 앓는 개체 기원의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또는 관절을 포함하는 영역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a) MFB 씨앗, 껍질 또는 펄프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이들 신체 영역 중 하나 이상에 영향을 주는 병태를 앓는 개체의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또는 관절 영역에 상기 MFB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손가락 재주 및 유연성을 개선시키고 악력 및 끈기를 증가시키고 손 및 손가락 관절 움직임 및 근육 피로의 감소와 함께 인내를 증가시키기 위해 골격 이동 및 강도의 수행능에서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a) MFSO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신체의 관절 중 하나 이상의 수행능에서 개선이 요망되는 개체의 관절을 덮고 있는 영역에 상기 MFSO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MFB 추출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씨앗(MFSO),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임의의 피부, 모발, 손톱, 점막 또는 질환 발병 기작이 3개의 활성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영향받는 관절 병태에 대한 항미생물성, 소염 및 재생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피부용으로의 사용은 피부 습윤화제로서 MFB 추출물을 사용하여 과도한 건조 피부를 치료하거나, 소염제로서 사용하여 염증과 관련된 병태,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을 치료하거나, 피부 윤활제로서 의학적 과정동안 또는 성교 활동 동안에 사용하거나, 상처 치유에서 및 상처 또는 상처 치유 과정(예를 들어, 켈로이드 형성)에서 피부 보호제로서 자극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노화 방지, 주름 방지, 피부 화이트닝 치료로서 뿐만 아니라 비듬을 갖는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통상적 여드름 포함), 또는 주사비를 치료하거나 피부상의 선스크림의 태양-보호 인자를 개선시키거나 "부스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MFB 추출물 또는 MFB 씨앗(MFSO), 껍질 또는 펄프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 연화, 모발 윤기를 증가시키거나, 모발 끊김을 차단하거나 말단 갈라짐을 감소시킴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손톱 케어를 위한 화장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손톱 및 점막용으로의 사용은 부러지기 쉬운 손톱 및 건조 입술에 대한 습윤화제 또는 윤활제로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MFSO 또는 MFSO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관절 고통 또는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증진된 윤활로 인한 관절의 수행능 개선을 도와주기 위한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관절 수행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표는 가정 또는 작업 환경에서 하루 일상 활동에 보다 능숙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MFSO의 사용은 일을 보다 신속하고 보다 오랫동안 보다 큰 정확성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을 갖는 관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손 및 손가락 재주, 유연성, 안정성, 견실함 및 인내에 있어서의 증진은 타이핑, 텍스팅, 기구를 작동하는 것과 같은 손/손가락 활동의 기술적인 수행능의 개선 및 매일 사용, 작업 및 운동 수행 동안에 목적을 이루기 위한 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기 MFSO는 동물에서 발목의 강도 및 안정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하루 또는 운동 활동 동안에 이동의 속도를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로, MFSO는 살정자 활성을 갖고, 성교 동안에 살정자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의 하기의 실시예에서, 이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고 여기에서 발명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 특이적 양태를 나타낸다. 실시예는 설명을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다른 양태가 사용될 수 있고 구조적 변화는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원에서 모든 퍼센트 및 비율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경우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신세팔룸 둘시피쿰 ( 미라클 과일) 나무의 과일 베리로부터 추출의 공급원 및 방법
실시예 1 - 샘플 및 분리 과정
공급원
상기 미라클 과일 조(crude) 추출물 샘플은 마이애미, 플로리다 또는 아프리카 가나에서 성장한 신세팔룸 둘시피쿰(미라클 과일) 식물의 베리로부터 수득하였다. 이들의 수거 시점에서, 신선한 전체 베리는 주의깊게 제거하고 추출물에 대한 이들의 프로세싱 전 2 내지 3일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상기 베리는 냉장고로부터 제거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컨테이너(container)에 위치시키고, 크기 및 질에 대해 조사하고 무작위로 선택된 대표적으로 많은 100개의 베리는 추출을 위해 선택하였다. 아프리카로부터 운송된 씨앗은 오일에 대한 이들의 프로세싱 전 설비에서 저장하였다.
MFB 피부, 펄프 (과육), 및 씨앗의 통합성 및 분리
조 추출물은 베리의 3개의 별도의 성분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프로세싱하였다. 간략하게, 상기 베리 샘플은 손조작으로 껍질, 펄프 및 씨앗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베리는 레이져 날로 절단 개방하고, 껍질, 펄프 및 씨앗을 서로로부터 주의깊게 제거하였다. 상기 껍질의 내부 면상의 펄프는 껍질의 통합성을 주의깊게 보존시키고자 하면서 말단-편평화된 스패튤라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실시예 2 - 추출 방법
MFB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의 생성
미라클 과일 껍질 및 펄프의 성분들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문헌[참조: Inglett (Inglett GE. and Chen D.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Skin, Pulp, and Seeds of Miracle Fruit. Journal of Food Science. 2011 76(3): 479-482.) and Snoussi (Snoussi, A., Hayet, BHK, Essaidi I., et al. Improvement of the Composition of Tunisian Myrtle Berries Myrtus Communis L. Alcohol Extracts. J. Agric. Food Chem. 2012 60: 608-614.)]에 의해 사용된 과정에 따라 변형시켰다. 상기 추출 방법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에 기재한다:
a) 상기 미라클 과일 껍질 및 펄프를 분리하고 1분 동안 70% 에탄올[1:10, 중량(g)/부피(ml)]로 개별적으로 균잘화시키고 이어서 수일 동안 4℃에서 냉장고에 위치시켰다. 상기 에탄올 용액은 와트만 1번 종이로 여과하거나 15분 동안 1462 x g에서 원심분리하고 이어서 상등액 함유 에탄올은 40℃ 미만의 온도에서 증발기 세트에서 제거하였다. 상기 잔사는 에탄올을 제거하는 즉시 고체로 동결건조(동결 건조된)시켰다. 잔사의 양은 칭량하고 200mg/ml의 농도에서 70% 에탄올로 재구성하였다.
펄프가 상당한 양의 탄수화물 및 단백질을 함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의 일부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질 수 있고 이들 성분들은 여과된 잔사를 20% 에탄올/물 (탄수화물에 대해) 또는 결합된 화합물(단백질에 대해)에 대한 알칼린 추출로 재추출함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중 추출로부터 고체 잔사는 실온에서 암실에서 진탕시키면서 질소하에 1시간 동안 2N 수산화나트륨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상기 알칼린 추출물은 2N 염산에 의해 중화시켰고, 10분 동안 1462 x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이러한 생성물은 추가의 사용 직전에 동결 건조시켰다.
b) 상기 껍질을 블렌더를 사용하여 미세하게 분말화하였다. 100g의 미세 분말은 실온에서 3일 동안 원뿔 플라스크에서 500ml의 75% 에탄올 중에 침지시켰다. 상기 추출물을 모슬린 옷(muslin cloth)을 통해 여과하고 이어서 와트만 1번 종이를 통해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증발 건조시켰다. 일단 에탄올을 제거하고, 상기 물질을 동결 건조시켰다. 상기 반고체 추출물을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4℃에서 유지시켰다.
c) 신선한 펄프를 40℃에서 8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공기 건조시키고 이어서 0.2 내지 0.4mm 분말로 분쇄하였다. 상기 물질은 24시간 동안 100mL의 20% 에탄올로 유리 원뿔 플라스크에서 25℃에서 진탕기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0.45mm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였다. 이어서 상기 잔사를 상기된 바와 같이 100ml의 에탄올로 2회 추출하였다. 상기 배합된 에탄올 추출물을 낮은 압력하에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40℃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동결 건조시키고 이어서 추가로 사용하기 전 4℃에서 호박색 기밀성 컨테이너에 저장하였다.
d) 동결-건조된 고체 함량: 동결된 미라클 과일 성분들의 동결건조는 신선한 미라클 과일의 100g당 건조된 물질 3.6g(껍질) 및 4.2g(펄프)를 수득하였다. 약 14% 및 17%의 동결건조된 고체는 각각 껍질 및 펄프에 의해 기여된 것이다.
MF 씨앗 오일 추출물의 생성
상기 MF 씨앗은 미세 분말로 분쇄하고 상기 오일은 표준 헥산 및/또는 에탄올 용매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회수하였다. 오일 추출의 효율은 으깨진 씨앗의 중량의 추출 당 8 내지 32% 수율 범위였다. 미라클 과일 씨앗을 먼저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세 분말 매쓰로 분쇄하고 소규모 및 대규모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MFSO의 소규모 추출
5kg의 추출, 4회 @ 추출 당 수행 당 4시간. 각각의 수행 시간은 90분 추출 시간 및 150분 건조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추출 공정은 각각의 수행 동안에 진탕, 혼합 및 옮겨 붓는 과정을 포함했다. 10:1의 질량에 대한 용매의 비율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1:1의 석유 에테르 대 디에틸에테르 비율이었다. 오일 수율은 15-18% (수행 당 약 1.5-2 파운드의 오일)이었다.
MFSO의 대규모 추출
20kg의 추출을 질량에 대한 용매(헥산)의 10:1 비율을 사용하여 4시간에 걸쳐 1회 수행하였다. 수행 당 50℃에서 3.5시간 동안 200리터의 헥산을 사용했다. 헥산 용액은 100리터 회전 증발기(rotovap)를 사용하여 농축시켜 70%의 헥산이 회수되도록 하였다. 오일 수율은 약 19% 였다.
대안적으로, 추출용 용매로서 95% 에탄올을 헥산 대신 사용하여 유사한 수율을 수득하였다. 9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용액을 70℃로 가열하고 상기 질량에 대한 용매의 비율은 15 : 1이다.
추출, 분리 및 제조의 추가의 방법은 당업자 기술 수준내에서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MFB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제형
MFB 추출물의 국소 투여를 위한 다양한 제형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고려되었다. 로션, 크림, 점막 점착제 겔, 배니싱 로션, 배니싱 크림 등과 같은 다수의 국소 제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제형 및/또는 장치의 제조는 당업자의 능력 범위내에 있고 상기 제형 및 방법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단독으로 또는 배합적으로 베리의 상이한 부분으로부터의 MFB 추출물은 주지된 바와 같은 제형을 위해 사용하였다: 1) 껍질, 2) 펄프 (과육) 및 3) 씨앗 추출물은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4) 껍질 및 펄프, 5) 껍질 및 씨앗, 6) 펄프 및 씨앗, 및 7) 껍질, 펄프 및 씨앗와 같이 배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MFB 추출물(들)은 국소 전달을 위한 많은 유형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고, 이는 동결건조되거나 비동결건조된 분말, 액체, 겔, 크림, 페이스트, 포움제, 연고, 콜로이돈, 현탁제, 에멀젼, 로션, 분무제, 립밤, 적가제, 동결된 과일 및 건조된 과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언급된 제형의 예는 대표적인 것이고 모두를 포괄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3 -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MFSO를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닝 로션의 조성물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모발 컨디셔닝 로션은 통상적인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하기의 성분들을 배합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모발 컨디셔너 로션의 조성:
이론적 중량 퍼센트(%)
성분들 양 (g)
파트 A-
베헨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세틸 알콜 4.000
글리세린 2.0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00
디메티콘올 1.000
디메티콘 1.000
프로필파라벤 0.100
파트 B-
정제수 82.100
MFSO 2.000
폴리쿠아테르늄 37 4.000
Ceteareth-20 1.000
메틸파라벤 0.300
파트 C-
벤질 알콜 0.500
파트 D-
향제 1.000
총 100g을 만들기에 충분한 정제수 양
파트 A의 성분을 프로펠러 교반기를 장착한 적합한 스테인레스강 주전자에 첨가한다. 균일해 질때까지 77℃ 내지 82℃에서 혼합하였다. 파트 B의 물을 프로펠러 교반기를 장착한 적합한 스테인레스강 주전자에 첨가하고 혼합하기 시작하고 77℃ 내지 82℃로 가열하였다. 파트 B의 남아있는 성분들을 첨가하고 균일해질때까지 혼합한다. 77℃ 내지 82℃에서 온도를 유지한다. 77℃ 내지 82℃에서 단계 1의 배치를 77℃ 내지 82℃의 단계 2의 배치에 첨가하고 부드럽고 균일해질까지 혼합한다. 상기 배치를 서서히 49 내지 54℃로 냉각시킨다. 파트 C의 벤질 알콜을 49 내지 54℃에서 단계 3의 배치에 첨가한다. 균일해질때까지 혼합한다. 배치를 35 내지 41℃로 계속 냉각시킨다.
실시예 4 - 손상된 모발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손상된 모발을 치료하고 갈라진 말단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MFSO 및 MFB 펄프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럼의 조성물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손상된 머리를 치료하기 위한 모발 세럼은 통상적인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하기의 성분들을 배합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모발 세럼의 조성:
성분 중량 %
1. 사이클로메티콘 (및) 디메티콘올 90.0
2.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4.0
3. MFSO 5.0
4. MFB 펄프 추출물 0.5
5. MFB 껍질 추출물 0.5
과정: 중간 속도에서 성분 1을 적당한 전단 혼합기로 혼합한다. 성분 2를 서서히 첨가하고 첨가 완료한 후, 30분 동안 계속 혼합한다. 성분 3을 서서히 첨가한다. 첨가를 완료한 후 30분 동안 계속 혼합한다. 어떠한 가열도 요구되지 않는다.
실시예 5 - 피부 습윤화제 조성물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MFSO를 함유하는 피부 습윤화 겔의 조성물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 피부 습윤화 겔은 하기의 성분들을 통상적인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배합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노화 방지 습윤화 겔의 조성물:
이론적 중량 퍼센트 (%)
성분들 양( g)
파트 A-
나트륨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틸 2.000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소헥사데칸
(및) 폴리소르베이트-80
사이클로메티콘 및 디메티콘 교차중합체 35.000
프로필파라벤 0.200
파트 B-
정제수 19.000
프로필렌 글리콜 37.000
MFSO 5.000
메틸파라벤 0.300
파트 C-
벤질 알콜 0.500
파트 D-
향제 1.000
총 100g을 만들기에 충분한 정제수 양.
파트 A의 성분을 함께 첨가하고 1,000 < rpm에서 혼합한다. 상 B 성분들을 혼합한다. 400 rpm에서 혼합하면서 상 B를 상 A에 첨가한다. 상 C 성분들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400 rpm에서 혼합한다.
실시예 6 - 선스크린 조성물
MFSO 및 선스크린 활성제(옥티노세이트)를 함유하는 크림의 조성물의 예는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선스크린 크림은 하기의 성분들을 통상적인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배합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선스크린의 조성물:
이론적 중량 퍼센트 (%)
성분들 양( g)
파트 A-
라놀린 4.500
코코아 버터 2.00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000
스테아르산 2.000
MFSO 5.000
옥티노세이트 3.000
프로필파라벤 0.100
파트 B-
정제수 72.600
소르비톨 용액 5.000
트리에탄올아민, 99% 1.000
메틸파라벤 0.300
파트 C-
벤질 알콜 0.500
파트 D-
향제 1.000
총 100g을 만들기에 충분한 정제수 양.
파트 A의 성분들을 프로펠러 교반기가 장착된 적합한 스테인레스강 케틀에 첨가한다. 균일해질때까지 77 내지 82℃에서 혼합한다. 파트 B의 물을 프로펠러 교반기가 장착된 적합한 스테인레스강 케틀에 첨가하고 혼합하기 시작하며 77- 82℃로 가열한다. 파트 B의 남아있는 성분들을 첨가하고 균일할때까지 혼합한다. 온도를 77 내지 82℃에서 유지시킨다. 77 내지 82℃에서 단계 1의 배치를 77 내지 82℃에서 단계 2의 배치에 첨가하고 부드럽고 균일해질때까지 혼합한다. 상기 배치를 49 내지 54℃로 서서히 냉각시킨다. 파트 C의 벤질 알콜을 49 내지 54℃에서 단계 3의 배치에 첨가한다. 균일해질때까지 혼합한다. 상기 배치를 35 내지 41℃로 계속 냉각시킨다.
실시예 7 - 항여드름 피부 겔 조성물
항여드름 효과를 갖는 MFB 피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 피부 겔의 조성물의 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항여드름 피부 겔은 하기의 성분들을 통상적인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배합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항여드름 겔의 조성물:
성분 양 (g)
파트 A-
정제된 탈이온수 83.00
카보머 (카바폴 중합체) 0.60
파트 B -
테트라나트륨 EDTA 0.10
프로필렌 글리콜 5.00
파트 C -
정제된 탈이온수 3.00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AMP-95) 0.40
파트 D -
MFB 껍질 추출물 4.00
MFB 펄프 추출물 1.00
폴리소르베이트 20 0.30
PEG-40 수소화된 아주까리유 1.00
프로필렌 글리콜/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디아졸리디닐 우레아(Germaben) 0.60
향제 1.00
과정: 탈이온수의 표면상에 카보폴을 뿌림에 의해 파트 A의 성분들을 함께 첨가하고 상기 중합체를 완전히 습윤화시킨 후, > 1,000 rpm에서 혼합한다. 상 B 성분들을 혼합한다. 균일해질까지 400rpm에서 혼합하면서 상 B를 상 A에 첨가한다. AMP-95®을 탈이온수 중에 용해시킴에 의해 상 C 성분들을 혼합하고 상기 배치에 첨가하고 균일해질때까지 400rpm에서 혼합한다. 파트 D의 성분들을 순서대로 배치에 첨가한다. 각각의 첨가 후 균일해질때까지 혼합한다.
실시예 8 - MF 씨앗 오일을 함유하는 탄성체 겔 오일 삼출 손목밴드
탄성체 겔의 조성물
하기는 MFSO를 함유하는 예시적인 겔 조성물이다. 상기 MFSO는 중간 블록 가소화/가용화 오일(미네랄 또는 합성 오일 등)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제형 중에 함유될 수 있다.
성분 중량 %
1)
미네랄 오일 (식품-등급) 78.00
크라톤(상이한 MW 중합체의 블렌드) 17.00
MFB (씨앗 오일) 5.00
2)
중간쇄 트리글라이세리드 (MCT) 79.00
크라톤 (상이한 MW 중합체의 블렌드) 18.00
MFB (씨앗 오일) 3.00
본 발명의 제형에 도달하는 과정 동안에, 예상치 않게 중간 블록 가소화/가용화 오일,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또는 다른 합성 오일을 사용할 필요 없이 MFSO(및 다른 천연 트리글라이세리드 오일)가 MCT 오일 기반 탄성체 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젤라틴성 탄성체 조성물은 또한 유용한 양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화제, 항산화제, 항-블록킹 제제, 착색제, 향제, 난연제, 소량의 다른 중합체 등을 상기 겔의 목적하는 성질에 영향을 주지않거나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정도로 함유할 수 있다.
탄성체 겔의 제조
MF 씨앗 오일을 함유하는 예시적인 젤라틴성 탄성체 조성물 제형을 하기와 같은 변형과 함께 문헌[참조: Gould (미국 특허 제6,673,05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예비 블렌딩된 미네랄 오일 및 MF 씨앗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 부분들을 150℃ 내지 175℃ 사이에서 가열하였다. 제형의 액체 부분들을, 공기의 최소 포집과 함께 물질들을 균일하게 블렌딩하도록 적당히 장착된 가열된 용기에서 공중합체에 첨가하였다. 모든 성분들을 배합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가열된 용기에서 균일하도록 혼합하였다.
탄성체 겔의 손목밴드의 직물로의 부착
대표적인 예는 탄성체 겔의 손목밴드 직물로의 부착이다. MF 씨앗 오일 첨가제를 함유하는 활성 제형을 포함하는 상기 겔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 직물로 밀접하게 결합시켰다. 예를 들어, 예비 선택된 강성의 용융된 젤라틴성 탄성체 조성물을 의류 직물상으로 직접 주조하여 손목밴드를 형성한다. 상기 젤라틴성 탄성체 조성물은 또한 다이 주조하였고 크기별로 절단하고 직물에 결합하도록 가열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직물은 예비 선택된 강성의 용융된 젤라틴성 탄성체 조성물에 침지시키고 상이한 강성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에 재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된 겔은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직물로 커버할 수 있다.
겔 제형 기원 오일의 표면으로의 삼출
젤라틴성 조성물로부터 오일의 삼출은 문헌[참조: Matteliano (U.S. Pub. No. 2010/0063008 Al)에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하였다. 간략하게, 샘플 여과지 디스크를 37℃에서 일정한 낮은 압력하에 동일한 직경의 겔과 접촉하도록 위치시켰다. 겔에 대한 여과지의 다중 시간 노출은 겔에 대해 2회 연속으로 수행하였다. 탄성체 겔로부터 오일 삼출의 평균 비율은 37℃에서 2.60mg/cm2/시간이었다(연속 삼출의 1시간 경과 후).
상기 예시적인 TPE 겔은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및 TPE 겔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9 - 소염 활성
MFSO 및 MFB 껍질 추출물은 소염 활성을 갖는다. 시험관내 실험을 수행하여 MFSO 및 MFB 껍질 추출물이 마크로파지 기원의 염증 매개인자 LTB4의 유도 및 방출을 억제함에 의해 소염 활성을 갖는지를 입증하였다.
MFSO 및 MFB 껍질 추출물을 DMSO에 용해시키고 이들 시험관내 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스톡 농도에서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LTB4 방출의 억제제로서 기능하는 MFSO의 능력은 마크로파지 세포주(cell line)를 사용함에 이어서 LTB4의 자극을 위해 칼슘 이온단(iontophore)을 첨가하고 이전에 문헌[참조: Garrido G, Gonzalez D, Lemus Y, Garcia D, Lodeiro L, Quintero G, Delporte C, Nunez-Selles AJ, Delgado R. In vivo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angifera indica L. extract (VIMANG). Pharmacol Res. 2004 Aug; 50 (2): 143-9)]에 기재된 바와 같은 LTB4 검출을 위한 방사선면역분석(Amersha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NDGA (25uM)은 LTB4 방출을 억제하는 공지된 양성 대조군 및 어떠한 MFSO 없이 배양 배지에서 DMSO로 이루어진 비히클 대조군이다.
MFSO (n = 3) 및 MFB 껍질 추출물(n = 2)은 효과적이었고 칼슘 이온단으로 자극된 마크로파지로부터의 LTB4 방출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활성을 나타냈다. MFSO 및 MFB 껍질 추출물(10-3%의 농도)은 각각 53% 및 36%로 LTB4 방출을 억제할 수 있었다. 공지된 LTB4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NDGA는 98%의 억제를 나타냈다.
MFSO는 시험관내 세포 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에서 LTB4 방출에 대해 지시된 소염 활성을 갖는다.
실시예 10 -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
MFSO는 통상의 세균 및 진균류 병원체에 대해 소염 활성을 갖는다(표 1). 시험관내 실험을 수행하여 MFSO는 통상의 세균 및 진균류 병원체에 대해 광범위 스펙트럼의 항미생물 활성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MFSO는 이들 시험관내 실험에서 사용하기 위해 배양 배지중 DMSO에 용해시켰다. 항미생물로서 기능하는 MFSO의 능력은 문헌[참조: Leite SP, Vieira JR, de Medeiros PL, Leite RM, de Menezes Lima VL, Xavier HS, de Oliveira Lima E. Antimicrobial Activity of Indigofera suffruticosa.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6 Jun; 3 (2):26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천-고체 분산 방법(Agar-Solid Diffusion Method)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MFSO에 의해 생성된 억제 영역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통상의 표준 항생제에 의해 나타나는 억제 영역과 비교하였다. 배양 배지 중 DMSO 용매는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유기체는 임의대로 민감성 또는 내성으로서 지정하였다. 상기 영역은 항온처리 시간 말기에 측정하였다. 10mm 이상의 억제 영역은 우수한 항미생물 활성을 지적하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표 1은 MFSO로 시험된 유기체의 억제 성장을 요약한다.
세균 및 진균 활성에 대한 MFSO의 MIC 결정에 의한 억제 영역 값(mm)
유기체 MFSO(% 농도) * 유기체 성장 클로람페니콜 케토코나졸 사이프로플록사신
1 5 10 20 항미생물 없이 (30μM) (1mM) (10μM)
스타프 아우레우스(Staph Aureus) 0 6 9 12 + 25 0 25
피. 아크네스(P. Acnes) 7 12 22 23 + 25 0 22
이. 콜리(E. coli) 0 7 9 10 + 0 0 25
씨. 알비칸스(C. Albicans) 0 6 8 10 + 0 25 0
티. 루브럼(T. Rubrum) 0 8 12 16 + 0 25 0
*+= 성장MFSO는 효과적이었고 통상의 세균 및 진균류 유기체에 대해 지시된 상당한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냈다. MFSO는 피. 아크네스 및 티. 루브럼에 대해 이의 가장 강한 항미생물 활성을 제공했고 억제 영역은 10% MFSO에서 10< 이었다. MFSO에 의한 이들 억제 활성은 에스. 아우레우스, 이. 콜리 및 씨. 알비칸스에 대해 나타난 것들과는 상당히 상이(p < 0.05)하였고, 이는 시험된 MFSO의 최고의 농도(20%)에서만 최소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MFSO는 시험관내에서 통상의 세균 및 진균류 유기체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 상기 항미생물 활성은 피. 아크네스 및 티. 루브럼에 대해서 최고이고 이는 여드름 및 백선 감염을 갖는 환자가 이의 사용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냈다.
유사한 연구에서, MFB 껍질 추출물은 효과적이었고 시험관내에서 피. 아크네 유기체에 대해 직접적인 상당한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냈고 억제 영역은 MFB 껍질 추출물의 10% 이상의 농도에서 >10억제였다(데이타는 나타내지 않음).
실시예 11- 항바이러스 활성
MFSO는 통상의 바이러스 병원체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표 2). 시험관내 실험을 수행하여 MFSO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고 통상적으로 접하는 감염성 외피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MFSO는 이들 시험관내 실험에서 사용하기 위해 배양 배지 중 DMSO에서 용해시켰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1형 (HSV-1) 및 인플루엔자-A (INF) 바이러스 종(strain)은 ATCC로부터 수득하였고 베로(Vero) 세포에서 성장시켰다. 바이러스는 96웰 미세역가(microtiter)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함유된 베로 세포로 연속 10배 희석 접종하여 적정하였고 바이러스 역가는 리드 및 무엔치 방법(Reed and Muench method) (문헌참조: Shao L, Sun X, Fang Q. Antibodies against outer-capsid proteins of grass carp_reovirus_expressed in E. coli are capable of neutralizing viral infectivity. Virol J. 2011 Jul 12; 8:347)에 의해 계산하였다. 이들 실험을 위해 사용된 바이러스 스톡의 계산된 역가는 4.5 TCID50이었다.
외피 바이러스에 대해 불활성화제로서 기능하는 MFSO의 능력은 TCID50 불활성화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문헌참조: Thormar H, Isaacs CE, Brown HR, Barshatzky MR, Pessolano T. Inactivation of enveloped viruses and killing of cells by fatty acids and monoglyceride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87 Jan; 31 (1):27-31)). 10-2 내지 10-4 희석물을 베로 세포의 단층내로 접종하였다. DMSO를 갖는 배양 배지에서 단독의 바이러스는 양성 대조군이었고 DMSO를 갖는 배양 배지는 음성 대조군으로서 작용하였다. 대조군 바이러스의 역가(log10) 및 상기 바이러스 + MFSO 혼합물의 역가간의 차이(세포 배양물로 접종하기 전 1분 노출 후)는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척도인 바이러스 역가의 감소로 고려되었다.
표 2는 2개의 외피 바이러스가 상이한 농도의 MFSO에 노출된 후 바이러스 불활성화 수준을 요약한다.
MFSO에 의한 외피 바이러스의 불활성화
MFSO(% 농도) 바이러스 역가 (log10 TCID50)의 감소
HSV-1 인플루엔자-A
1 0 0
5 1.0 1.0
10 ≥3 ≥3
20 ≥3 ≥3
10% 이상의 MFSO 농도는 ≥ 31og10TCID50 바이러스 역가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 역가의 불활성화에 있어서의 차이는 5% 이하의 MFSO 농도(바이러스 역가에서 0-llog10TCID50 감소)와 비교하는 경우 10% MFSO 이상의 농도에 대해 상당하였다(p < 0.05). MFSO는 외피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고 시험관내에서 HSV-1 및 INF-A 바이러스의 상당한 역가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바이러스 역가의 감소는 10% 이상의 MFSO 농도에서 최고였다.
실시예 12 - 살정자 활성
MFSO는 살정자 활성을 갖는다(표 3). 시험관내 실험을 수행하여 MFSO가 살정자 제제로서 작용하는 능력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정상의 사람 정자세포를 사용하여 문헌[참조: Benhong Z., Zhenpeng Q, Gang L, Chun L, Zhang J. Spermicidal and antigonococcal effects of tannins from pomegranate rind.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2012 February; 6 (7); 1334-1339)]에 기재된 바와 같이 MFSO의 살정자 활성(샌더-크레이머 분석)을 평가하였다. 노녹시놀-9를 사용하여 양성의 참조 표준으로서 사용하고 생리학적 식염수에 첨가된 정액을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정액 샘플은 3명의 건강한 생식 남성에 의해 기부되었다. 20초 이내에 100% 정자 고정화를 유발하는 최소 MFSO 농도는 최소 유효 농도(MEC)로 고려되었다.
표 3은 MFSO로 처리된 정자의 살정자 활성을 요약한다.
MFSO에 의한 정자의 불활성화
MFSO(% 농도) * 정자 이동성(작용 시간(초))
20 60
1 + +
5 ± ±
10 - -
20 - -
노녹시놀-9(1%) - -
생리학적 식염수 + +
* + = 이동성, - = 고정성, ± = 90% 이동성 상실 MFSO는 시험관내 10%(MEC) 이상의 농도에서 20초 이내에 정자의 100%를 고정화시키고 사멸시켰다. 흥미로운 것은 5% MFSO 농도에서, 정자가 40초 이내에 고정화되었다는 것이다.
MFSO는 시험관내에서 살정자 활성을 갖는다. 10% 이상의 MFSO에서, 100%의 정자는 노출 20초 이내에 고정되었다.
실시예 13 - 모발을 위한 개선
A) 모발 샘플
모발 제조
숫처녀의 암갈색 및 표백된 모발의 긴머리를 제조원(De Meo Brothers Inc. (NY, USA))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상기 모발 샘플은 길이가 약 8인치이고 무게는 대략 3그램이었다. 상기 긴머리를 세척하고 탈이온수 중에 라우릴 나트륨 설페이트 용액(4.5% w/w)으로 2회 세정하였다. 상기 긴머리는 세척간 30초 동안 및 제2 세척 후 60초 동안 가온(warm running) 수돗물(38℃)로 세정하였다. 과량의 물은 2개의 손가락 사이에서 긴머리를 잡아당겨 긴머리로부터 짜냈다. 상기 긴머리를 폴리프로필렌 빗을 사용하여 빗질하여 모발을 주의깊게 얽힘을 풀고 사용 전에 주변 온도(22℃ 내지 24℃ @ 50-55% 상대 습도)에서 저장하였다.
모발 처리: 0.5 ml의 오일(표준 기제 용매로서 무수 에탄올의 존재 또는 부재)을 각각의 긴머리에 적용하고 이의 위에 1분 동안 맛사지하고 문질렀다. 상기 긴머리는 1갈론/분의 유속에서 가온 수돗물(38℃)로 30초 동안 세정하였다. 습윤 빗질 연구동안, 이어서 상기 긴머리를 측정 전에 30분 동안 주위 조건에서 기후 조절된 영역에 유지시켰다. 반복적인 브러싱 연구를 위해, 상기 긴머리는 주위 조건에서 기후 조절된 영역에 유지시키고 측정 전 조절된 습도 조건하에 완전히 공기 건조시키고 평형화시켰다.
B) 모발 처리
1. MFSO는 모발 긴머리상에 습윤 빗질 힘을 감소시킨다.
연구를 수행하여, 습윤 모발 긴머리에 MFSO의 적용이 습윤 빗질 힘에서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습윤 빗질 힘의 측정은 500mm/분의 속도 및 10N 로드 셀을 사용하여 엔진니어에 의해 개발된 빗 고정된 악세사리와 함께 4301 인스트론 장치(4301 Instron Machine)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문헌참조: Fregonesi A, Scanavez C, Santos L, De Oliveira A, Roesler R, Escudeiro C, Moncayo P, De Sanctis D, Gesztesi JL. BraziIian_oiIs and butters: the effect of different fatty acid chain composition on human hair physiochemical properties. J Cosmet Sci. 2009 Mar-Apr; 60 (2):273-80)). 20cm 길이이고 무게 3g인 표백된 암갈색 모발의 긴머리를 사용하였다. 측정 전에, 상기 긴머리는 얽힘을 풀기 위해 손으로 빗질하였다. 습윤 빗질 실험 결과(빗질 힘의 % 감소로 보고된)는 각각의 처리 (긴머리 당 1회) 당 8개 긴머리 평균으로서 나타냈다. 힘의 측정치는, 6번째 스트로크 전후의 각 스트로크에 대한 빗질 힘이 6번째 스트로크의 빗질 힘과 대략 동일(거의 동일한 중첩된 힘 곡선)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6번째 솔질 스트로크(처음 3회 빗질 스트로크를 사용하여 남아있는 얽힌 머리카락를 풀었음)후에 기록하였다. 표준 조건의 측정(단독의 무수 알콜을 사용하여)은 오일의 긴머리로의 적용 전에 실현하였다. 상기 습윤 빗질은 25 ± 5℃에서 처리 30분 후 긴머리에 대해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을 위해, 상기 긴머리는 50 ± 10% RH 및 25 ± 5℃에서 작은 기후 조절된 방에서 유지시켰다. 통계학적 분석은 95% 신뢰 수준에서 t-시험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도 1은 상이한 농도의 MFSO를 사용한 처리 후 빗질 힘(%)의 습윤 긴머리 감소의 평균 값을 나타낸다. 상기 MFSO-처리된 모발 긴머리는 습윤 빗질 힘에서 농도 의존적 감소를 나타냈다. 순수한 MFSO와 함께 오일 처리는 비처리된 표준 또는 에탄올 베이스(base)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습윤 조건에서 빗질 힘의 약 70 내지 80%를 감소시켰다. 무수 에탄올(베이스)은 그러나 빗질 힘을 증가시키고 빗질 힘 %의 감소에 대해 음성 값을 나타낸다. 에탄올은 모발에 매우 건조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고, 모발 긴머리를 따라 용이하게 분산되지 않아 모발이 빗에 더 뻣뻣하게 한다. 미네랄 오일(대조군)은 또한 습윤 빗질 힘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미네랄 오일과 함께 습윤 빗 힘 감소 수준은 MFSO로 나타낸 것 보다 낮았다.
습윤 모발에서 MFSO의 사용은 표준(비처리된) 또는 에탄올 베이스와 비교하는 경우, 빗질 힘에서 통계학적으로 상당한 % 감소를 나타냈다. 빗질 힘의 감소는 모발 섬유에 대한 오일의 물 습윤화 및 윤활 효과의 조합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2. MFSO는 모발 긴머리에 대해 반복되는 브러싱 실험 동안에 모발 끊어짐을 감소시킨다.
연구를 수행하여 MFSO의 적용이 모발 섬유의 반복적인 브러싱 연구 동안에 모발 끊김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상기 모발 긴머리는 매일 케어 빗질을 자극하는 엔지니어에 의해 개발된 빗질 장비를 사용하는 빗질 사이클에 적용하였다. 상기 장비는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고 속도 50 스트로크/분으로 원형 이동시키는 4회 고정된 빗을 갖는 악세사리를 가졌고 장비 전면 위치에 고정된 긴머리(20cm 및 3g)의 빗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긴머리는 긴머리 하에 수거(collection) 트레이에서 끊어진 직물의 후속적 계수와 함께 주변 조건 및 60% 상대 습도에서 1,000-스트로크 블록으로 빗질하였다(문헌참조: Evans TA, Park K. A statistical analysis of hair breakage. II. Repeated grooming experiments. J Cosmet Sci. 2010 Nov-Dec; 61(6):439-55. Erratum in: J Cosmet Sci. 2011 May-Jun; 62 (3):359).
도 2는 처리에 의해 그룹별로 나눈 1,000회 브러싱 후 끊어진 모발 섬유 수의 평균 값을 보여준다. MFSO-처리된 모발 긴머리를 사용한 처리는 표준(비처리된 대조군) 및 베이스(무수 에탄올)와 비교하여 끊어진 모발 섬유의 수를 감소시켰다. 상기 MFSO-처리된 모발 긴머리는 끊어진 모발 섬유에서 농도 의존적 감소를 나타냈다. 순수한 MFSO로 처리된 긴머리는 끊어진 모발 섬유의 최저수를 가졌고, 이것은 비처리되거나 베이스 에탄올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략 85% 감소를 유도하였다.
MFSO는 비처리되고 기제 대조군과 비교하는 경우 1,000회 브러싱 후 끊어진 모발 섬유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MFSO는 모발 끊어짐을 감소시키는 이의 능력에서 미네랄 오일 보다 우수하게 수행하였다.
3. MFSO는 모발 섬유에서 갈라진 말단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MFSO의 사용이 모발 섬유에서 갈라진 말단의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반복적인 브러싱 장비를 사용하여 빗질 및 건조 사이클(1시간)을 70℃에서 긴머리로부터 5cm 거리로 놓여진 모발 건조기(1800W)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문헌참조: Fregonesi A, Scanavez C, Santos L, De Oliveira A, Roesler R, Escudeiro C, Moncayo P, De Sanctis D, Gesztesi JL. Brazilian oils and butters: the effect of different fatty acid chain composition on human hair physiochemical properties. J Cosmet Sci. 2009 Mar-Apr; 60 (2):273-80). 일정 시간 후, 갈라진말단의 형성은 가시적 계수(모발 그램 당 갈라진 말단의 수)하여 정량하였다.
도 3은 MFSO 처리 적용 후 1시간 동안 고온 건조 동안에 빗질의 광범위한 공정동안에 형성된 모발의 그램 당 갈라진 말단의 수의 평균값을 보여준다. MFSO를 사용한 처리는 표준(비처리된 대조군) 및 베이스(무수 에탄올)과 비교하여 모발 섬유에서 갈라진 말단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증가하는 MFSO 농도를 사용하여 갈라진 말단의 수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순수한 MFSO로 처리된 긴머리는 모발의 그램 당 약 4 내지 9개의 갈라진 말단인, 갈라진 말단의 가장 낮은 형성을 유도하였다. MFSO는 효과적이었고 또한 모발 섬유에서 갈라진 말단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이것의 효과에 있어서 순수한 미네랄 오일 보다 우수하였다.
실리콘으로 제형화된 MFB 펄프 및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세럼을 사용하는 유사한 연구는 대조군과 비교하는 경우 갈라진 말단에서 실질적인 감소를 나타냈다(데이타는 나타내지 않음).
4. MFSO는 긴머리 여성의 임상적 연구에서 모발 끊어짐을 감소시킨다.
MFSO가 긴머리 여성에서 모발 끊어짐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가짐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 모발 케어 처리는 통상적으로 본원에서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정교한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는 실험 세팅에서 이들의 항-모발 끊어짐의 수행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러나, 새롭게 개발된 정량적 모발 끊어짐을 측정하는 장치인 횡단면 모발 측정기(cross-sectional trichometer)의 발명은 임상적 연구에서 모발 끊어짐을 측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신규 방법을 제공한다(문헌참조: Cohen B. The cross-section trichometer: a new device for measuring hair quantity, hair loss, and hair growth. Dermatol Surg. 2008 Jul;34 (7):900-10 및 Mhaskar S, Kalghatgi B, Chavan M, Rout S, Gode V. Hair breakage index: an alternative tool for damage assessment of human hair. J Cosmet Sci. 2011 Mar-Apr; 62 (2):203-7).
임상적 연구의 목적은 MFSO 조성물을 함유하는 모발 케어 컨디셔닝 제품이 이들의 머리상에 물리적 손상 양태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긴머리 여성 대상체에서 횡단면 모발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시 모발 끊김의 예방에 효과적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3자(third-party) 의료 설비(어떠한 이익의 다툼이 없음)에서 의사의 감독하에, 4-개월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발 끊어짐은 횡단면 모발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모발 끊김 지수(HBI)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HBI = (근거리 횡단 면적 - 원거리 횡단 면적) x 100/근거리 횡단 면적
3개월 사용 후, MFSO 오일 조성물을 함유하는 모발 컨디셔너로 처리된 환자들은 횡단면 모발 측정기로 측정시 이들의 선도하는 상업적 모발 케어 컨디셔너 브랜드를 계속 사용하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HBI 측정에서 40% 감소인 상당히 적은 모발 끊김(P < 0.05)을 갖는다.
실시예 14 -피부 습윤화제, 윤활제 및 차단제로서의 용도
A. MFSO는 건조 피부에 대해 효과적인 피부 습윤화제이다.
MFSO 로션이 피부를 효과적으로 습윤화하고 장기간동안 이의 차단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명이 아토피를 갖고, 하지(lower leg)의 후측 면을 포함하는 온건하거나 중증의 건조 피부를 갖는 10명의 환자들(연령 35-75세)을 선별하였다. 부위에 주형으로 표시하고 2mg의 시험 로션(이중 하나는 5% MFSO를 함유하고 다른 하나는 5% 미네랄 오일을 함유한다)은 단지 1회 각각의 처리 부위(다중 복제물)에 평방 센티미터 당으로 적용하였다. 비처리된 부위는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각질층의 상대적 수화 및 경-상피 수분 상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의 피부 차단 기능을 각각 측정하는 Corneometer® (Courage & Khazaka) 및 DermaLab® (Cortex Technology) 장치를 사용하여 피부의 수화 및 차단 기능을 평가하였다. 이들 생물장치 측정을 수행하고 기준선에서 및 하지에 대한 처리 부위의 1회 적용 후 48시간에 걸친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기록하였다.
도 4는 하지의 역학적 건조 피부 연구에서 MFSO 로션의 수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a) Corneometer® 및 b) DermaLab TEWL® 장치의 결과를 보여준다. 상기 도면에서 데이타는 평균 ± SD로서 나타낸다.
상기 피부 수화 연구는 2개의 로션이 기준선과 비교하여 피부 표면 수화에서 상당한 개선(p < 0.05)을 입증하였음을 보여주었다(도 4a). MFSO 로션으로 처리된 부위는 초기 24시간 동안에 미네랄 오일 로션으로 처리된 부위와 비교하는 경우 상당히 높은 전도값(p < 0.05)을 가졌다. 상기 연구는 MFSO 로션의 1회 적용 후 이것이 기준선 값 및 비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24시간 이하 동안 피부의 각질층을 효과적으로 습윤화시킴을 입증하였다.
상기 TEWL 결과는 MFSO 로션이 미네랄 오일 로션으로는 관찰되지 않았던, 피부 차단 기능(1시간)에서 신속하고 상당한 개선을 유발했음을 나타냈다(도 4b). 단지 MFSO 로션만이 기준선(baseline)으로부터 TEWL 값에서 상당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생성물 둘다는 6시간 및 그 이후에서 TEWL 값에서 평균 30% 초과의 개선을 보여주었다(시험 로션간에 TEWL 측정에서의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상기 임상 연구는 상기 MFSO 로션이 미네랄 오일 로션 보다 신속하게 차단 복구를 증진시킴을 입증하였다. 연구된 2명의 환자에서, 상기 MFB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또한 피부 표면 수화를 개선시킬 수 있었다(데이타는 나타내지 않음).
B. MFSO는 성교 활동을 위한 효과적인 피부 윤활제이다.
실리콘 기반 세럼 중에서 제형화된 MFSO가 생식기의 피부 및 점막에 적용되는 경우 성교 사용을 위해 효과적인 피부 윤활제임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5명의 대상체(3명의 남성 및 2명의 여성)는 개방 표지 맹검 연구에 입회하였다. 이들은 이들의 통상적인 성교 활동에 참여하기 몇분전에 MFSO 함유 윤활 세럼 또는 베이스(MFSO가 없는 윤활 세럼)를 적용하도록 지시받았다. 1개월 사용 후, 이들은 2개 제품의 효능을 비교하도록 요구받았다.
모든 5명의 환자들은 주관적으로 이들이 어떠한 MFSO가 없는 윤활제 베이스와 비교하는 경우 MFSO 윤활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보다 잘 수행능이 있음에 동의하였다. 이러한 파일럿 임상 연구는 실리콘 베이스 중에 MFSO가 성교 활동동안에 사용하기 위해 효과적인 윤활제임을 입증하였다.
C. MFSO는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다.
화학적 자극제는 각질층을 손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의 차단 기능을 손상시킨다. MFSO 함유 로션이 화학적 자극제 노출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차단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6명의 환자들(연령 35세 내지 55세)을 선택하였다. 초기 예비 연구는 2% SLS (팔뚝에 3회 반복 노출)가 TEWL 및 홍반 및 부종의 가시적 임상 징후에서 증가를 유도하는 화학적 자극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밝혔다(문헌참조: Farage MA, Ebrahimpour A, Steimle B, Englehart J, Smith D. Evaluation of lotion formulations on irritation using the modified forearm-controlled application test method. Skin Res Technol. 2007 Aug; 13 (3):268-79). 팔뚝 부위는 주형으로 표시하고 2%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SLS) 화학적 자극제의 평방 센티미터 당 2mg의 반복적인 노출을 시험 부위에 적용하였다. SLS의 제3 및 최종 노출 5분전에, 5% MFSO 또는 5% 미네랄 오일 로션을 처리 부위(단지 다중 복사물을 사용한 1회)에 적용하였다. SLS의 적용 30분 후, 상기 부위는 DermaLab TEWL 장치를 사용하여 TEWL에 대해 측정하였다. 비처리된 블랭크 부위는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조사자는 4-점 척도를 사용하여 객관적인 자극 파라미터(홍반 및 부종)를 평가하였고, 여기서, 0 = 부재, 1 = 경미한, 2 = 중간정도의, 및 3 = 중증(절반 점수도 허용하였다).
도 5는 a) TEWL 측정 및 b) 홍반 및 부종의 임상적 징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적 자극(2% SLS) 노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차단벽으로서 작용하는 MFSO 로션의 능력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데이타는 평균 ± SD로서 나타낸다. 피부 상에 SLS 적용 전에 사용된 MFSO 로션은 2% SLS에 노출된 피부 부위와 비교하는 경우 TEWL 수준에서 상당한 감소(p < 0.05)를 나타냈다. 상기 데이타의 분석은 또한 2% SLS로 처리된 부위와 비교하는 경우, MFSO 로션의 사용으로 홍반 및 부종의 임상적 징후에 대해 중증 스코어의 감소에서 유의적인 차이(p < 0.05)를 나타냈다.
상기 피부 자극 연구는 MFSO 로션이 피부 자극제의 적용 전에 피부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 피부 보호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피부 자극제의 사용으로 나타난 TEWL 및 홍반 및 부종의 가시적 임상적 징후에서의 증가는 MFSO 로션의 사전 사용으로 상당히 예방되었다.
실시예 15 - 상처의 치료
A. MFSO는 상처 치유를 개선시킨다.
레이져 상처 모델을 사용하여 MFSO 함유 연고 및 Neosporin® 연고(Poly/Bac/Neo; Johnson & Johnson, New Brunswick, NJ)의 상처 치유 성질을 비교하기 위한 파일럿 임상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면적 진피를 침투하는 3개의 균일하고 원형의 레이져 상처를 3명의 대상체에서 에르븀/이산화탄소 레이져를 사용하여 생성시켰다(문헌참조: Trookman NS, Rizer RL, Weber T. Treatment of minor wounds from dermatologic procedures: a comparison of three topical wound care ointments using a laser wound model. J Am Acad Dermatol. 2011 Mar; 64 (3 Suppl):S8-15). 각각의 상처는 MFSO 함유 연고 또는 Neosporin® 연고(하나의 상처는 비처리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를 사용하여 14일동안 하루 1회 처리하였다. 효능은 발적 및 딱지 형성에 대한 평균 임상적 등급화 스케일, 임상적 평균 상처 외관의 조사자 등급화, 및 TEWL (DermaLab TEWL 장치를 사용한 생기계학적 측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발적 등급화 스케일: 0 = 부재, 1 = 경미한, 2 = 중간정도, 3 = 현저한, 4 = 중증. 딱지 형성 등급화 규모: 0 = 부재, 1 = 약간, 2 = 중간정도, 3 = 광범위한, 4 =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상처 외관 등급화 스케일: 0 = 불량, 1 = 적당한, 2 = 양호한, 3 = 매우 양호한, 4 = 우수한.
도 6은 a) 발적, b) 딱지 형성, 및 c) 일반적인 상처 외관 및 d) TEWL의 생물기구 측정에 대한 평균 임상적 등급화 스케일에 의한 측정시 상처 치유를 개선시키는 MFSO 연고의 능력을 보여준다. 상기 도면에서 데이타는 평균 ± SD로서 나타낸다. Neosporin® 연고와 비교되는 MFSO 함유 연고의 적용으로 관찰되는 딱지 형성(4일 및 7일) 및 일반적 상처 외관(4 내지 14일)(P < 0.05)에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 상기 평균 TEWL 값은 Neosporin® 연고와 비교하여 4일째에 MFSO 연고의 사용으로 상당히 적었다(P < 0.05). 발적의 가시적 징후와 관련하여 어떠한 차이도 없었다.
상기 MFSO 연고는 Neosporin® 연고에 필적할만한 수개의 상처 치유 파라미터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개선을 입증하였다.
B) MFB 껍질 추출물은 상처 치유를 개선시킨다.
길이가 대략 1 내지 2cm이고 깊이가 ¼ cm인 표면적 상처를 갖는 한 남성 대상체를 MFB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연고 제형으로 하루 2회 치료한다. 20일 후, 상기 대상체는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었다.
실시예 16 - 항-흉터 치료
MFSO는 비대성 흉터(켈로이드)를 개선시킨다. 수술 후 환자에서 비대성의 흉터(켈로이드)의 징후 및 증상을 개선시키는 MFSO 함유 겔 패치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한 파일럿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1개월 이상 지속되는 모흐스 수술후 흉터(Mohs post-surgery scars)를 갖는 3명의 환자를 선택하였다. 이들 환자들은 발적, 소양증과 관련되고 길이가 대략 2 내지 3cm이고 깊이가 적어도 1/4cm인 흉터를 가졌다. 모든 3명의 대상체들은 1개월마다 평가하고 3개월동안 하루 12 내지 24시간 동안 흉터를 가리는 MFSO 함유 겔 패치를 적용하도록 지시받았다. 효능은 발적에 대한 평균 임상적 등급화 스케일, 임상적 평균 흉터 외관의 조사자의 등급화, 및 소양증 강도에 대한 대상체 설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발적 등급화 스케일: 0 = 부재, 1 = 경미한, 2 = 중간정도의, 3 = 현저한, 4 = 중증. 흉터 외관 등급화 스케일: 0 = 불량함, 1 = 적당한(fair), 2 = 양호한, 3 = 매우 양호한, 4 = 우수한. 소양증 등급화 스케일: 0 = 부재, 1 = 경미한, 2 = 중간정도의, 3 = 현저한, 4 = 중증.
상기 MFSO 함유 패치는 a) 발적 및 b) 일반 흉터 외관에 대한 평균 임상적 등급화 스케일을 사용하는 조사자의 평가 및 소양증 중증도에서의 개선을 보고하는 대상체의 설문지에 의한 측정시 모든 3명의 대상체에서 흉터 치유를 개선시킬 수 있었다. MFSO 함유 패치의 적용으로 관찰되었던 흉터 발적(2개월 및 3개월), 일반 흉터 외관(3개월) 및 흉터 관련 소양증의 감소(2개월 및 3개월)에 있어서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
실시예 17 - 노화 방지 치료
a) MFSO는 광-노화된 피부의 가시적 징후 및 가는줄 및 주름의 외관을 개선시킨다. 12주 이중 맹검 파일럿(double blind pilot) 임상적 연구는 MFSO를 함유하는 세럼이 얼굴 피부를 포함하는 광 손상을 갖는 대상체에서 노화의 가시적 임상적 징후를 역전시키는 능력을 가졌음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MFSO를 함유하는 세럼은 갈라진 얼굴 12주 파일럿 임상 연구에서 이의 비히클에 대해(피츠파트릭(Fitzpatrick) 피부 유형 I-III를 갖는 12명의 여성들) 시험되었다. 제품은 동일한 컨테이너에 포장하여 조사자 및 대상체가 얼굴의 우측 또는 좌측에 적용될 제품에 대한 표지상의 지정과 함께 블라인딩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제품은 저녁에 얼굴의 지정된 반쪽 측면으로 (얼굴 세정한 후) 하루 1회 적용하였다. 대상체는 구체적으로 눈주위 가는줄(눈주위 주름) 및 얼룩덜룩한 안면 색소형성의 가시적 징후로 이루어진 전체 광-손상때문에 채용되었다. 상기 대상체들은 기준선에서 및 치료 4 및 12주 후 피부학자, 표준화된 디지탈 사진기 및 대상체 자체 평가에 의해 평가되는 광-노화 파라미터에 대한 1 내지 9 스케일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대상체 개선은 연구 말기에 기준선(엔트리)에서 12주까지의 평균 % 변화로서 측정하였다. 생성된 데이타는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도 7은 상기 MFSO 세럼이 평가된 모든 임상적 노화 방지 파라미터; 얼룩덜룩한 색소 형성, 눈주위 가는줄(주름) 및 전체 광 손상에 대해 위약(소포체 대조군)과 비교하는 경우 보다 상당히 우수한(P< 0.05) 수행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MFSO를 함유하는 세럼은 어떠한 피부 자극에 대해서도 매우 내성이 있었고 상당한 임상적 및 자가-인지된 개선 및 노화 방지 이득을 나타냈다.
b) MFB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은 가는줄의 가시적 외관을 개선시킨다.
광 손상된 피부 경력을 갖는 2명의 여성 대상체는 12주 동안 매일 이들의 눈주위의 가는줄에 대해 MFB 껍질 및 펄프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사용했다. 2명의 대상체는 이들의 가는줄이 과거에 사용한 제품과 비교하여 보다 큰 가시적 개선을 나타냄을 주장했다.
실시예 18 - 기미 치료
MFSO는 얼굴상에 피부 과색소형성(기미)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킨다. 개방된 표지 파일럿 임상적 개념 검증 연구를 수행하여 MFSO 함유 크림이 얼굴의 과색소 형성(기미)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킴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5명의 여성 대상체들을 맹검 개방 표지 연구에 입회시켰다. 이들은 기미가 내포된 영역상에 이들의 얼굴 한측면에는 MFSO 크림을 적용하고 얼굴의 다른 측면에는 베이스(MFSO가 없는 크림)를 적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상기 크림(A 및 B로 표지됨)은 매일 밤 얼굴의 동일한 측면에 일관되게 적용하였다. 사용한지 3개월 후, 이들은 2개의 제품의 효능을 비교하도록 요구받았다. 얼굴의 어느 측면이 치료를 받았는지에 대해 알지 못하는 피부학자는 연구동안에 각각의 환자를 조사하고 문헌(참조: Rendon M, Berneburg M, Arellano I, Picardo M. Treatment of Melasma. J Am Acad Dermatol. 2006 May; 54 (5 Suppl 2):S272-8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평균 기미 영역 및 중증도 지수(MASI) 평가를 사용한 평가를 제공했다.
모든 5명의 환자들은 MFSO 크림을 적용한 얼굴 측면상에서 기준선으로부터 개선된 MSAI 스코어로 판정되었고 단지 1명의 대상체만이 단독의 비히클 크림을 적용한 얼굴 측면에 대한 개선을 보여주었다.
*상기 파일럿 연구는 MFSO 크림이 얼굴 피부상에 피부 과색소 형성 또는 기미의 가시적 징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19 -염증 병태의 치료
A. MFSO는 염증 피부 병태 :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및 주사비와 관련된 피부 발진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킨다.
개방 표지 파일럿 임상적 개념 검증 연구는 MFSO 함유 겔이 지루성 피부염(두피 비듬과 함께), 여드름 및 주사비를 갖는 환자에서 나타나는 피부 염증 발진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착수하였다.
활성 염증 피부 발진을 갖는 9명의 대상체들(그룹 당 3명의 대상체; 그룹 1 - 두피 비듬과 함께 지루성 피부염; 그룹 2 - 염증성 여드름; 그룹 3 - 염증성 주사비)은 맹검 개방 표지 연구에 입회하였다. 환자들은 이들이 이전의 개월동안 이들의 병태에 대해 다른 치료요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가입하도록 선택하였다. 대상체는 연구 동안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치료요법 또는 전신 치료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동의해야만 한다. 이들은, 피부 발진을 포함하는 영역을 구체적으로 커버하는, 이들의 얼굴 한쪽 측면(및 이것이 비듬을 함유하는 경우 두피)에 MFSO 겔을 적용하고 얼굴의 다른 측면(요구되는 경우 두피)에 베이스(MFSO가 없는 겔)를 적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상기 겔(A 및 B로 표지됨)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얼굴의 동일한 측면에 일관되게 적용하였다. 지루성 피부염을 갖는 대상체에서, 상기 겔은 샤워하기 전에 5 내지 10분 동안 두피상에 문질렀다. 사용한지 4주 후에 이들은 2개의 제품의 효능을 비교하도록 요구받았다. 얼굴의 어느 측면이 치료를 받았는지에 관해 알지못하는 피부학자는 연구 동안에 각각의 환자를 조사하고 평가를 제공했다.
모든 9명의 환자들은 MFSO 겔이 적용된 얼굴의 측면상에서 기준선으로부터 개선된 것으로서 피부학자에 의해 판정받았고 단지 2명의 대상체들, 즉 지루성 피부염을 갖는 대상체 및 여드름을 갖는 대상체는 단독의 비히클 겔이 적용된 얼굴의 측면상에 개선을 보여주었다. 흥미롭게도, 주사비를 갖는 모든 3명의 대상체들은 MFSO 겔로 처리된 부위가 거의 완전히 깨끗해졌다. 추가로, 2명의 대상체들은 두피 비듬에서 MFSO를 사용한 개선을 보여주었다.
상기 파일럿 연구는 MFSO 겔이 염증 피부 병태, 즉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및 주사비와 관련된 피부 발진의 가시적 징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하였다.
2명의 대상체들, 여드름을 갖는 대상체 및 두피를 포함하는 지루성 피부염을 갖는 다른 대상체는 상기 치료요법에 따라 MFB 피부 추출물 겔을 사용하였다. 2명의 대상체들은 이들의 병태에 대해 상당한 개선을 가졌다.
B. MFSO는 염증성 피부 병태, 건선과 관련된 피부 발진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킨다
개방 표지 파일럿 임상적 개념 검증 연구는 MFSO 함유 연고가 경미하거나 중간정도의 건선을 갖는 환자에서 나타나는 피부 염증 발진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착수하였다.
선별시 적어도 12.0의 건선 영역 중증도 지수(PASI)를 갖는 이들의 10% 초과의 극한 중증을 포함하는 두피 발진을 포함하는 임상적으로 안정한 염증 플라크 건선을 갖는 4명의 환자들은 맹검 개방 표지 연구에 입회하였다. 환자들은 이들이 이전 개월동안 건선에 대해 임의의 다른 치료요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입회하도록 선택하였다. 대상체는 연구 동안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건선 치료요법 또는 전신 치료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동의해야만 한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피부 발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하는, 이들의 중증 상태의 한쪽 측면에 MFSO 함유 연고를 적용하고 다른 중증 상태의 다른 측면에는 베이스(MFSO가 없는 연고)를 적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상기 연고(표지된 A 및 B)는 매일 아침 및 저녁마다 중증 상태의 동일한 측면에 일관되게 적용하였다. 사용한지 4주 후에, 이들은 2개의 제품의 효능을 비교할것을 요구받았다. 중증 상태의 어느 측면이 치료 받았는지를 알지 못하는 피부학자는 연구 동안에 각각의 환자를 조사하고 평가를 제공하였다
모든 4명의 대상체들은 MFSO 연고가 적용된 극한 중증 상태의 측면에 대해 기준선으로부터 개선된 것으로서 피부학자가 판정하였고 단지 1명의 대상체는 단독의 비히클 연고가 적용된 측면에 대해 개선을 나타냈다.
상기 파일럿 연구는 MFSO 연고가 경미하거나 중간정도의 염증 플라크 건선과 관련된 피부 발진의 가시적 징후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20 - 선스크린 SPF-부스터
MFSO는 공지된 UVB 선스크린 활성제와 배합되는 경우 SPF 값을 부스팅한다 (표 4).
단독으로 및 배합된, MFSO 및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옥티노세이트)를 함유하는 제형은 비히클 베이스를 변화시키는 것 없이 제조하였고 UVB SPF 활성에 대해 시험하였다(2명의 대상체).
전체 SPF에 대한 MFSO의 기여를 입증하기 위해, 상기 선스크린 활성제 각각의 단지 하나를 갖는 제형을 먼저 측정하였다. MFSO 자체는 어떠한 SPF 활성을 갖지 않는다. MFSO의 SPF 부스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이의 효율적 흡수를 가능하게 하고, 보다 높은 농도의 선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포화 효과를 회피하는 SPF 값을 부여하는 일정 농도의 옥티노세이트를 선별하였다. 옥티노세이트(3%)의 농도가 3의 SPF를 성취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SPF 값
MFSO(%) Oct(%) SPF
A 1 -- 0
B 5 -- 0
C -- 3 3
A+C 1 3 4
B+C 5 3 5
MFSO와 옥티노세이트(3%)의 배합은 수득한 SPF가 단독의 옥티노세이트를 사용하여 관찰된 3의 SFP 보다 1 내지 2 단위 높기 때문에 부스팅 효과를 보여주는 4의 SPF(MFSO 1%) 및 5의 SPF(MFSO 5%)를 수득하였다. 이들 결과는 MFSO가 공지된 UVB 선스크린 활성제를 함유하는 제형과 배합되는 경우 SPF 활성을 증진시킴에 의해 부스팅 효과를 부여함을 확인시켜 준다.
실시예 21 - 손톱을 위한 치료
MFSO는 취성 손톱의 가시적 징후를 개선시킨다. 개방된 표지 파일럿 임상적 개념 검증 연구는 MFSO는 취성 손톱의 가시적 징후 및 증상을 개선시키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착수하였다.
취성 손톱의 임상적 징후 및 증상을 갖는 5명의 대상체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환자들은 적어도 6개월 동안 어떠한 치료없이 양손을 포함하는 모든 손톱에 대해 손톱 표면 거칠기, 조잡함 및 벗겨짐의 가시적 징후를 가졌다. 상기 대상체들은 16주 동안 하루 2회 이들 오른 손상의 모든 손톱에 MFSO를 함유하는 연고를 적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상기 대상체들은 이들의 정상적인 일상을 계속하고 이들의 왼손상에 새로운 손톱 케어 제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지시받았다. 징후 및 증상은 치료 및 MFSO의 사용을 중단한지 4주 동안에 조사자(담당의 전반적 평가(global assessment) 개선 스코어) 및 참여자(주관적 개선 스코어)에 의해 판정되었다.
5명의 환자 중 4명은 연구 말기에 이들의 담당의의 전반적 평가 스코어에서 상당한 개선을 가졌고 모든 환자들은 주관적으로 오른손상의 이들의 손톱이 이들의 비처리된 왼손과 비교하는 경우 MFSO의 사용으로 전체적 개선을 가졌다는데 동의했다.
상기 파일럿 연구는 MFSO가 취성 손톱을 갖는 대상체에서 취성 손톱의 징후 및 증상을 개선시킴을 입증하였다.
취성 손톱을 갖는 2명의 대상체들은 상기 치료요법에 따라 MFB(5%) 껍질 및 펄프 추출물 겔을 사용하였다. 2명의 대상체들은 이들의 병태의 상당한 개선을 가졌다.
실시예 22 - 관절용 치료
MFSO는 관절 움직임을 개선시키고 관절에서의 통증을 감소시킨다. 개방 표지 파일럿 임상적 연구는 손목에 대해 MFSO의 국소 적용이 손목 관절 통증을 감소킬 수 있고 만성의 경미한 수근관 증후군을 갖는 환자에서 관절 움직임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착수했다.
적어도 1개월 동안 어떠한 치료 없이 지속된 양쪽의 수근관 증후근의 임상적 증상을 갖는 3명의 대상체(여성의 연령 42세 내지 55세)를 선별하였다. 모든 대상체들은 외상 손상으로 인한 것이 아닌 만성의 경미한 손목 관절 통증을 가졌다. 각각의 대상체는 4주 동안 이들의 주요 손목을 덮고 있는 피부 영역에 하루 2회 MFSO를 함유하는 연고를 적용하였다. 비처리된 비-주요 손목은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대상체들은 이들의 정상 활동을 계속하도록 고무되었다. 관절 통증의 임상적 징후 및 증상은 기준선 및 치료 말기에서 조사자(담당의 평가 개선 스코어) 및 참여자(주관적 개선 스코어)에 의해 판정하였다. 손목 관절 움직임은 지시 매뉴얼에 따라 손가락-탭핑 장치(Reitan Neuropsychology Laboratory, Tucson, AZ)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4주 후, 모든 3명의 대상체들은 이들의 주요 손을 포함하는 손목 관절 통증의 이들의 증상에서 개선을 나타냈다. 대조적으로, 비-주요 손목은 어떠한 증상적 개선을 나타내지 않았고 흥미롭게도 3명의 환자들 중 2명은 이들의 손목 관절 통증이 악화되었다. 손가락 탭핑 움직임 연구는 모든 3명의 대상체들이 이들의 주요 손의 이들의 손가락 탭핑 비율에서 개선(평균 17%의 개선)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대조적으로, 모든 3명의 대상체들 중 비-주요 손을 평가하는 경우 집게 손가락 탭핑 비율에서 상당한 개선을 갖지 못했다(3%의 평균 개선).
MFSO는 관절 통증을 감소시키고 만성의 경미한 수근관 증후군의 징후 및 증상을 갖는 환자의 손목 관절 움직임을 개선시켰다.
실시예 23 - 관절 수행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
A) 관절 움직임, 안정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의 개선
탄성체 겔 손목밴드 장치내에 함유된 MFSO는 건강한 지원자에서 손가락 탭핑의 속도 및 미세 손가락 움직임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추가로, 손목밴드의 사용은 손/손가락 관절의 움직임 범위(ROM)에서 개선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손/손가락 관절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관절 문제의 병력이 없고 적어도 6개월 동안 어떠한 의약 치료 또는 보충 치료를 받지 않은 8명의 정상 남성 대상체(오른손 잡이 및 연령 18세 내지 55세)를 연구를 위해 선택하였다. 대상체들은 선별하였고 이들이 손각락 탭핑 (FT) 움직임, 및 이들의 오른손(주요/바람직함) 및 왼손간의 ROM에서 20% 초과의 측정 가능한 차이를 갖는다면 입회시켰다. 손목 관절 움직임(속도)은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보다 오랜 탭핑 지속성(3분)을 가능하게 하는 iPad 장치(Sybu Data, Capetown, South Africa)에 대해 변형된 FT 시험 앱(App)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손가락 탭핑 재주 및 정확성은 Nokia 3210e 전화기상에서 리얼 세계 태스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체들은 어떠한 오류 없이 가능한한 신속하게 후속적으로 3개의 지선(land-line) 전화기 번호(각각 11개 숫자)를 돌리도록 지시받았다. 이의 움직임 (정도로 측정된 MCP 관절 움직임) 동안에 집게 손가락의 움직임 범위는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손가락 감지기 고니어미터 (제조원: Biopac Systems Inc., Goleta, C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손 안정성은 그루브 유형 안정성 시험기(Lafayette Instrument Corp., Lafayette, IN)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모든 시험은 3회 수행하였다.
대상체는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은 MFSO 손목밴드를 착용하였고, 그룹 2는 포도씨유 손목밴드를 착용하였고, 그룹 3은 어떠한 과일 씨앗 오일을 갖지 않는 손목밴드를 착용하였고, 그룹 4는 어떠한 그룹 밴드를 착용하지 않았다. 3개의 치료 그룹에서의 대상체들은 총 4주 동안의 정상 활동 동안에 하루 적어도 4시간 동안 이들의 왼쪽 손목(비-주요 및 비-바람직한 손)에 손목을 착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상기 비처리된 오른쪽 손목(주요/바람직한 손) 및 이들의 왼쪽 손목에 손목밴드를 착용하지 않은 대상체들은 대조군으로서 작용하였다.
사용한지 4주 후, 어느 손에도 손목밴드를 착용하지 않은 대상체 또는 어떠한 과일 오일이 없는 손목 밴드를 착용한 대상체들은 어떠한 개선을 나타내지 않았고(기준선으로부터 10% 미만으로서 정의됨), 과일 오일를 갖는 손목 밴드를 착용한 2개 그룹의 대상체들에서 FT 속도(18%), FT 정확 속도(20%), 손 안정성(21%) 및 집게 손가락(24%)의 MCP 관절의 ROM에 있어서 기준 시보다 개선(수행능에 있어서 % 차이)을 나타냈다. 그러나, FT 속도, 정확도, 안정성 및 ROM에 있어서 개선은 모두 포도씨유를 함유하는 손목밴드를 착용한 대상체 그룹(각각 평균 값 12%, 15%, 14%, 및 18%)를 함유하는 손목 밴드를 착용한 대상체 그룹과 비교하여 MFSO을 사용하는 그룹(각각 평균 값 24%, 25%, 28% 및 30%)을 사용한 그룹에서 모두 최고였다.
B) 관절 강도 및 인내에서의 개선
탄성체 겔 손목밴드 장치에 함유된 MFSO는 건강한 지원자에서 손 움켜쥠의 강도, 손가락 핀칭 강도 및 손/손가락 관절 움직임의 인내를 개선시킬 수 있다.
관절 문제의 병력을 갖지 않고 적어도 6개월 동안 어떠한 의약 치료 및 보충 치료받지 않은 8명의 정상 남성 대상체(오른손 잡이 및 연령 18세 내지 59세)를 연구를 위해 선별하였다. 대상체를 선별하고 이들이 오른손(주로 쓰는 손/쓰기를 좋아하는 손)과 왼손 간에 악력 및 피로 시험 및 집게 손가락 FT 피로 시험(지구력을를 평가하기 위한 5분 동안의 연속 탭핑 후)에서 20%를 초과하는 측정가능한 차이가 있는 경우 등록시켰다. 손(움켜쥠) 및 손가락(핀칭) 강도 및 피로는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손 동력측정기(제조원: Vernier Software and Technology, Beaverton, O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손목/손가락 관절 피로(인내)는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iPad 장치 (제조원; Sybu Data, Capetown, South Africa)에 부착된 키보드상에 5분의 연장된 지속 동안에 손가락 탭핑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된 FT 시험 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변형된 앱은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피로 측정의 추가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5분 시험 지속 동안에 각각 30초 간격에 대한 탭 수를 기록할 수 있다. 모든 시험은 3회 수행하였다.
대상체는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은 MFSO 손목밴드를 착용했고, 그룹 2는 포도씨유 손목밴드를 착용했고, 그룹 3은 어떠한 포도씨유가 없는 손목밴드를 착용했고 그룹 4는 어떠한 손목밴드를 착용하지 않았다. 3개의 치료 그룹에 대상체들은 총 4주 동안 이들의 정상 활동 동안에 하루에 적어도 4시간 동안 이들의 왼쪽 손목(비-주요/비-바람직한 손)상에 손목밴드를 착용하도록 지시받았다. 상기 비처리된 우측 손목(주요/바람직한 손) 및 이들의 왼족 손목상에 손목밴드를 착용하지 않은 대상체들은 대조군으로서 작용하였다.
사용한지 4주 후, 어떠한 개선을 보여주지 않는(기준선으로부터 10% 미만으로서 정의됨) 어느 한 손에 손목 밴드르 착용하지 않거나 어떠한 과일 오일이 없는 손목밴드를 착용한 대상체들과 비교하여, 과일 오일이 있는 손목 밴드를 착용한 2개 그룹의 대상체에서 악력(16%), 핀칭 강도(16%), 손 움켜쥠 인내(18%) 및 손가락 탭핑 인내(22%)에서 기준선으로부터 개선(수행능에 있어서 % 차이)이 있었다. 그러나, 악력, 핀칭 강도, 손 움켜쥠 인내 및 손가락 탭핑 인재에서 개선은 포도씨유를 함유하는 손목밴드를 착용한 대상체 그룹(각각 12%, 10%, 16%, 및 18%의 평균 값)과 비교하여 MFSO를 사용한 그룹 (각각 20%, 22%, 20% 및 24%의 평균 값)에서 모두 최고였다.
이전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모든 문헌들, 조항 또는 정보는 임의로 조합된 상기 문헌, 조항 또는 정보가 당업계의 일반 지식의 일부로서 대중에게 공지되어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거나 선행 기술 시점에서 임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과 관련되어 공지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용된 모든 공보의 기재는 명백하게 각각이 개별적으로 본원에 인용되는 것 처럼 각각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상기 제시된 잇점 및 이전의 기재로부터 자명한 것들은 효율적으로 달성되고 특정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상기 구성에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전의 기재에 포함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모든 사항들은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청구항은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반적 및 특이적 특징들 모두를 커버하고 본 발명의 범위의 모든 진술은 언어의 문제로서 여기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일컬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11)

  1. 조성물 중에 활성 성분으로서 미라클 과일 베리(miracle fruit berry)의 씨앗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윤활제로 사용되는 약제학적 또는 화장학적 국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상기 미라클 과일 베리 씨앗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부형제 또는 담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로션, 겔, 액체, 오일, 포움(foam), 페이스트(paste), 스프레이, 크림, 연고 또는 에멀젼 중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되는, 국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43중량% 내지 46중량%의 팔미트산, 32중량% 내지 34중량%의 올레산 및 18중량% 내지 21중량%의 리놀레산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5중량% 내지 7중량%의 스테아르산 및 1중량% 내지 2중량%의 미리스트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트리테르펜 알콜, 알콜, 또는 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20중량% 내지 98중량%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98중량%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점막, 모발, 네일(nails) 또는 관절에 영향을 주는 상태 또는 장애를 치료, 예방 및/또는 호전시키기 위해 약제학적 또는 화장학적으로 제형화되는, 국소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모발, 피부, 점막 또는 손톱의 건조 또는 취성; 모발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양상으로 인한 모발의 갈라진 말단 또는 모발의 끊김; 피부의 주름 또는 노화; 피부의 바람직하지 않은 색소 형성;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여드름; 주사비(rosacea); 지루성 피부염; 또는 비듬을 갖는 지루성 피부염 중 적어도 하나를 치료하기 위해 제형화되는, 국소 조성물.
KR1020197030044A 2012-09-14 2013-09-12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2175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0981P 2012-09-14 2012-09-14
US61/700,981 2012-09-14
PCT/US2013/059374 WO2014043304A1 (en) 2012-09-14 2013-09-12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646A Division KR20150056820A (ko) 2012-09-14 2013-09-12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854A true KR20190122854A (ko) 2019-10-30
KR102175015B1 KR102175015B1 (ko) 2020-11-05

Family

ID=502747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044A KR102175015B1 (ko) 2012-09-14 2013-09-12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20157009646A KR20150056820A (ko) 2012-09-14 2013-09-12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646A KR20150056820A (ko) 2012-09-14 2013-09-12 국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40079657A1 (ko)
EP (1) EP2895181B1 (ko)
JP (2) JP6271554B2 (ko)
KR (2) KR102175015B1 (ko)
CN (1) CN104812398B (ko)
AU (1) AU2013315536B2 (ko)
BR (1) BR112015005339B1 (ko)
CA (1) CA2883389C (ko)
HK (1) HK1212251A1 (ko)
IL (1) IL237421B (ko)
IN (1) IN2015DN03069A (ko)
MX (1) MX367091B (ko)
SG (2) SG10201913382YA (ko)
WO (1) WO2014043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83389C (en) * 2012-09-14 2020-04-21 Miracle Fruit Oil, L.L.C.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eed of miracle fruit berry and uses thereof
US20160081895A1 (en) * 2014-09-18 2016-03-24 Stiefel Laboratories, Inc. Novel formulations
CN105456140B (zh) * 2015-12-29 2018-05-08 广州栋方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芽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7164934A1 (en) * 2016-03-25 2017-09-28 The Sherwin-Williams Company Non-skid, textured protective coating compositions for vehicle surfaces
JP2019510036A (ja) 2016-03-31 2019-04-11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バイオティクス/プレバイオティクス有効成分を含む清浄剤組成物
AU2017240068B2 (en) 2016-03-31 2022-12-15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EP3463369A4 (en) * 2016-05-26 2019-12-11 Dermal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CNE VULGAIRE
CA3043748A1 (en) 2016-11-23 2018-05-31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JP6628946B2 (ja) * 2017-12-26 2020-01-15 大太朗 福岡 増毛、頭皮若しくは皮膚の改質、創傷治癒、骨形成促進、または毛髪の改質に用いるための医薬組成物
CN108611032A (zh) * 2018-05-16 2018-10-02 爱尔美(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环保水性甲片粘结剂及其制备方法
CN108451894B (zh) * 2018-06-28 2021-01-08 山东师范大学 一种具有温度响应性的姜黄素载体
US20200323935A1 (en) * 2019-04-10 2020-10-15 G.I. Pharmaceuticals, Inc. dba E2BIO CONSULTANTS, INC. Novel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yspepsia, food and medicine intolerance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other functional gastrointestinal conditions
FR3109883B1 (fr) * 2020-05-07 2022-04-15 Oreal Compositions de traitement des cheveu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32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2316937A (ja) * 2001-04-19 2002-10-3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2003183120A (ja) * 2001-12-17 2003-07-03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2006265118A (ja) * 2005-03-22 2006-10-05 Takeda-Kirin Foods Corp アカテツ科植物抽出物を含む抗菌剤および抗菌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0664A1 (de) * 1993-09-10 1995-03-16 Beiersdorf Ag Verwendungen von Pflanzenölen
US20030059489A1 (en) * 2001-09-24 2003-03-27 Canolio Inc. Genital lubricat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2005298667A (ja) * 2004-04-12 2005-10-27 Fuji Latex Kk 潤滑剤および当該潤滑剤が塗布されたコンドーム
US20080199533A1 (en) * 2007-02-21 2008-08-21 Delarosa Dan M Cosmetic and skin care formulation containing pearls, teas and fruits
CN102143841A (zh) * 2008-09-10 2011-08-03 西列坡斯股份有限公司 凝胶状弹性体组合物
CN102743421A (zh) * 2012-07-12 2012-10-24 万福群 神秘果果树枝叶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应用
CA2883389C (en) * 2012-09-14 2020-04-21 Miracle Fruit Oil, L.L.C.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eed of miracle fruit berry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32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2316937A (ja) * 2001-04-19 2002-10-3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2003183120A (ja) * 2001-12-17 2003-07-03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2006265118A (ja) * 2005-03-22 2006-10-05 Takeda-Kirin Foods Corp アカテツ科植物抽出物を含む抗菌剤および抗菌性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1977, 1, pp. 173-18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5181A4 (en) 2016-03-30
BR112015005339A8 (pt) 2019-08-13
AU2013315536A1 (en) 2015-04-16
IL237421B (en) 2020-03-31
MX367091B (es) 2019-08-05
EP2895181B1 (en) 2020-04-22
IN2015DN03069A (ko) 2015-10-02
IL237421A0 (en) 2015-04-30
JP2015535214A (ja) 2015-12-10
KR20150056820A (ko) 2015-05-27
JP6752771B2 (ja) 2020-09-09
WO2014043304A1 (en) 2014-03-20
KR102175015B1 (ko) 2020-11-05
SG10201913382YA (en) 2020-03-30
JP6271554B2 (ja) 2018-01-31
HK1212251A1 (en) 2016-06-10
CA2883389A1 (en) 2014-03-20
MX2015003239A (es) 2015-10-09
EP2895181A1 (en) 2015-07-22
US20140079657A1 (en) 2014-03-20
BR112015005339A2 (pt) 2017-07-04
AU2013315536B2 (en) 2018-08-09
JP2018083826A (ja) 2018-05-31
SG11201501381PA (en) 2015-04-29
BR112015005339B1 (pt) 2021-05-18
CA2883389C (en) 2020-04-21
CN104812398B (zh) 2020-01-21
CN104812398A (zh)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2771B2 (ja) 局所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KR100812596B1 (ko) 천연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US2017024610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KR20110131498A (ko)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EA010927B1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поглотителей свободных радикалов для защиты и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волос, повреждённых вследствие химиотерапии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CN107325157B (zh) 调节皮脂分泌的肽以及包含其的化妆品
US20160361249A1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H11255612A (ja) 抗菌剤及び抗菌性組成物
JP2011529936A (ja) キトサンおよびジカルボン酸を含む、酒さ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KR2005008155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JPH04124138A (ja) 皮膚外用剤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432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3859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1172604A (ja) 皮膚状態改善剤
US20030091650A1 (en) Ratite oil as a topical adjuvant and transdermal carrier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30143023A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6371A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30015340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크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