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661A -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661A
KR20190122661A KR1020197022960A KR20197022960A KR20190122661A KR 20190122661 A KR20190122661 A KR 20190122661A KR 1020197022960 A KR1020197022960 A KR 1020197022960A KR 20197022960 A KR20197022960 A KR 20197022960A KR 20190122661 A KR20190122661 A KR 20190122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iscous material
covering sheet
covering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299B1 (ko
Inventor
켄타 모리
시게유키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ublication of KR2019012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62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 B67D7/64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of piston type
    • B67D7/645Barre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과제]플래턴에 부착할 수 있는 점성재료의 제거 작업이 용이한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및 점성재료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본 발명에 관한 점성재료 공급장치(100)는, 점성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11)이 마련된 탱크(10)와, 탱크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점성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면(22) 및 가압면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탱크 내의 점성재료가 유통하는 흡입 통로(23)가 마련된 피스톤(20)과, 피스톤에서 가압면을 피복하는 피복부(31) 및 흡입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홀(32)을 구비한 피복 시트(30)를 가진다.

Description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본 발명은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용 기계 등 각종 기계에 있어서, 접착제나 실제 등의 점성재료를 도포할 때, 디스펜서의 노즐로부터 일정량의 점성재료를 토출하여, 소정 부위에 도포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점성재료가 수용된 용기에 대하여 상기 용기를 가압하고, 점성재료를 흡인하는 유로를 마련한 플래턴(이하, 피스톤이라고 부른다)을 설치한다. 그리고, 피스톤을 이동시켜서 피스톤에 접속된 유로로부터 점성재료를 압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1)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156282호
상기 도포 장치에서는 용기 내의 점성재료를 전부 압송했을 때에 점성재료를 보충할 필요가 생긴다. 이 때, 피스톤은 용기로부터 일단 분리된다. 용기에 점성재료를 보충할 때에 피스톤에는 이전에 사용한 용기로부터 압송된 점성재료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용기로 교환할 때에는 피스톤에 부착된 점성재료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발명자는 피스톤에 부착할 수 있는 점성재료의 제거 작업의 효율화에 대해서 예의 검토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스톤에 부착할 수 있는 점성재료의 제거 작업이 용이한 점성재료 공급장치 및 점성재료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는, 탱크와, 피스톤과, 피복 시트를 가진다. 탱크는, 점성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을 구비한다. 피스톤은 탱크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피스톤에는 점성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면 및 가압면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탱크 내의 점성재료가 유통하는 흡입 통로가 마련된다. 피복 시트는, 피스톤에서 가압면을 피복하는 피복부 및 흡입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피스톤에서 가압면을 피복하는 피복부 및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한 피복 시트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점성재료 공급방법은, 상기 탱크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복 시트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피복 시트의 피복부가 피스톤의 가압면을 피복하고, 또한 피복 시트의 연통홀이 피스톤의 흡입 통로와 연통하도록 피복 시트를 피스톤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피스톤의 가압면에 의해 점성재료를 가압하고, 흡입 통로에 점성재료를 유통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일 태양은 상기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가압면 및 상기 흡입 통로가 마련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복부 및 상기 연통홀을 구비한 상기 피복 시트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가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을 피복하고, 또한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연통홀이 상기 피스톤의 상기 흡입 통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同)점성재료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피복 시트를 피스톤에 장착할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이어서 피복 시트를 피스톤에 장착할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4에 이어서 피복 시트를 피스톤에 장착할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도 2의 비교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단면도에 있어서 피스톤의 외주 부근이며,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은 도 2의 단면도에 있어서 피스톤의 외주 부근이며,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기재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기술적 범위나 용어의 정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어 있고, 실제의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점성재료 공급장치)
도 1~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100)는, 점성재료를 토출 및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점성재료 공급장치(100)는 자동차, 산업용 기계 등 기계의 제조 공정 및 보수 등에 있어서, 그리스, 접착제, FIPG(현장 형성 가스켓) 등의 액상 가스켓, 실제, 그 외 점성재료를 대상물로서 도포한다.
여기서, 점성재료란 유동성을 가지지만 점도가 비교적 낮고, 관로 및 노즐에 대한 유통 저항이 비교적 작은 점성재료이며, 예를 들면 그리스, 접착제, FIPG 등의 액상 가스켓, 실제 등을 포함한다. 점성재료의 바람직한 점도는, 200Pa·s이하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점성재료의 일 예로서 대기 중에서 축합 반응에 의해 습기 경화하는 실리콘계 가스켓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100)는,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10)와, 피스톤(20)과, 피복 시트(30)와, 실 부재(40)와, 펌프(50)와, 에어 실린더(60)와, 디스펜서(70)와, 관로(80)와, 공기빼기 밸브(90)를 가진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탱크)
탱크(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성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11)을 가진다. 탱크(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의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부재이며, 점성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상부를 개구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탱크(10)는 점성재료를 저류할 수 있으면 형상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고, 형상은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4각 기둥이나 6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탱크(10)는 지면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면, 형상은 원주나 다각 기둥이 아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성재료는 탱크(10)에 자루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
피스톤(20)은 탱크(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스톤(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와, 가압면(22)과, 흡입 통로(23)와, 핀(24)과, 제1 외형부(25)와, 제2 외형부(26)와, 너트(27)를 가진다.
본체부(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21a)와 플레이트 부재(2lb)를 가진다. 플레이트 부재(21a)는 소경의 원통과 대경의 원통을 조합한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부재(2lb)는 치수는 다르지만, 플레이트 부재(21a)와 마찬가지로 소경의 원통과 대경의 원통을 조합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부재(21a) 및 플레이트 부재(2lb)는 핀(24) 및 너트(27)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탱크(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고, 탱크(10)의 내부에 저류된 점성재료를 가압할 수 있으면, 본체부(21)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외형부(2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2lb)에서 소경의 원통 부위이며, 외경(외형)을 제2 외형부(26)보다도 작게 구성하고 있다. 제2 외형부(26)는 플레이트 부재(2lb)에서 대경의 원통 부위이며, 피스톤(20)이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외형부(25)로부터 도 2 아래방향으로 이간되어 제1 외형부(25)보다도 외주를 크게 구성하고 있다. 제1 외형부(25)에는 외주에 원판 형상의 실 부재(40)가 장착된다. 플레이트 부재(21a)에서 대경의 원통 부위와 플레이트 부재(2lb)에서 제2 외형부(26)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을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면(22)은 피스톤(20)에 있어서 점성재료를 가압하는 부위이다. 가압면(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플레이트 부재(2lb)에 있어서 제2 외형부(26)의 축방향에서 단면에 해당한다. 가압면(22)은 방사 방향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2lb)의 제2 외형부(26)의 외주에서 흡입 통로(23)의 외주까지 해당하는 부위이며, 대략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23)는 가압면(22)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탱크(10) 내의 점성재료가 유통하는 부위이다. 흡입 통로(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방사 방향의 내방에 해당하는 축심 부분을 뚫어 형성된다. 흡입 통로(23)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략 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지만, 점성재료를 유통시킬 수 있으면,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스톤(20)에는 관로(80)가 접속되고, 관로(80)는 흡입 통로(23)와 연통한다. 탱크(10)의 저류 공간(11)에 저류된 점성재료는 가압면(22)에 의한 가압에 의해 흡입 통로(23)로 유통하고, 여기서 다시 관로(80)로 유통한다.
핀(2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20)의 축방향에 있어서 가압면(22)과는 반대측의 면에 입설되어,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한다. 핀(24)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스톤(20)의 축방향에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주(周)방향(각도 방향)으로 90도마다 4군데 균등한 각도 간격으로 입설된다. 그러나,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할 수 있으면, 핀(24)의 개수, 장착 개소, 각도 간격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도 방향(주(周)방향)에 균등하게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핀(24)에는 나합 부위가 형성되어, 너트(27)와 나합된다. 그러나, 피스톤(20)에 피복 시트(30)가 장착된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합 부위와 너트(27)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피복 시트)
피복 시트(30)는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부(31)와, 연통홀(32)과, 삽통홀(33)을 가진다.
피복부(31)는 피스톤(20)에서 가압면(22)을 피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복부(31)는 피스톤(20)의 플레이트 부재(2lb)의 제2 외형부(26)의 축방향 단면에 해당하는 가압면(22)을 피복한다. 이것에 의해, 탱크(10)로부터 점성재료를 압송한 후에 피스톤(20)의 가압면(22)에 점성재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스톤(20)으로부터 점성재료를 제거하는 제거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피복 시트(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연통홀(32)은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했을 때에 피스톤(20)의 흡입 통로(23)와 연통한다. 연통홀(32)은 흡입 통로(23)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삽통홀(33)은 피복 시트(30)의 방사 방향에서 비교적 외방에 마련된다. 피복 시트(30)는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면(22)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피복 시트(30)의 외주가 가압면(22)과 반대측으로 접힌다. 삽통홀(33)은 피복 시트(30)가 접힌 부위에 있어서 피스톤(20)의 핀(24)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20)의 흡입 통로(23)와 피복 시트(30)의 연통홀(32)의 축심이 일치한다.
피복 시트(3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지만, 피스톤(20)의 가압면(22)을 피복할 수 있으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외에도 원형상 등일 수도 있다.
(실 부재)
실 부재(40)는 단면이 대략 원판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피스톤(20)의 플레이트 부재(2lb)의 제1 외형부(25)의 외주에 장착된다. 실 부재(40)는 상기 위치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20)과 탱크(10) 사이의 부위를 실링한다. 실 부재(40)의 재료는 피스톤(20)과 탱크(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이나 아크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불소 고무, 폴리우레탄 등이며, 점성재료에 따라 선택된다.
(그 외 구성요소)
펌프(50)는 탱크(10)에서 압출된 점성재료를 디스펜서(70) 등으로 압송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어 펌프, 플런저 펌프, 스크루 펌프, 피스톤 펌프 등을 들 수 있다.
에어 실린더(60)는 기압에 의해 피스톤(20)을 탱크(10)의 개구부로부터 저부를 향해서 구동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디스펜서(70)는 시린지나 시린지 내를 이동 가능한 플런저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로(80)는 피스톤(20)으로부터 펌프(50)를 통해서 디스펜서(70)까지 마련되고, 점성재료가 유통된다. 관로(80)의 단면 형상은 중공(中空)의 대략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빼기 밸브(90)는 피스톤(20)이 탱크(10)의 저류 공간(1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탱크(10)의 저류 공간(11)과 외부의 개폐를 전환한다.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다음으로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30)의 장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방법에 대해서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점성재료 공급방법은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탱크(10), 피스톤(20) 및 피복 시트(30) 등을 준비한다(ST1, 2). 다음으로,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한다(ST3). 다음으로, 피스톤(20)의 가압면(22)에 의해 점성재료를 가압하고, 흡입 통로(23)로 점성재료를 압송한다(ST4). 또한, 피복 시트(30)의 장착방법은 도 6의 ST2, ST3에 있어서, 피스톤(20) 및 피복 시트(30)의 준비와, 피스톤(20)으로의 피복 시트(30)의 장착을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다.
먼저, 점성재료의 공급에 필요한 탱크(10)~공기빼기 밸브(90)까지의 부품을 준비한다(ST1, ST2). 이 때, 탱크(10)에는 점성재료가 미리 충전되어 있다. 다음으로, 피스톤(20)에 실 부재(4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의 가압면(22) 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부(31)에서 내주를 피스톤(20)의 가압면(22)에 맞닿게 하여, 피복 시트(30)의 외주에서 대향하는 부위를 피스톤(20)의 제2 외형부(26)의 외주연부를 기점으로 가압면(22)과 반대측으로 접는다. 그리고, 피복 시트(30)의 삽통홀(33)을 피스톤(20)의 핀(24)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환부(f1, f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피복 시트(30)의 삽통홀(33)을 피스톤(20)의 핀(24)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20)의 흡입 통로(23)와 피복 시트(30)의 연통홀(32)이 연통하고, 축심이 일치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흡입 통로(23)와 연통홀(32)의 "일치"란, 2, 3㎜ 정도의 위치 차이를 허용하는 것이다. 피스톤(20) 및 피복 시트(30)는 이 상태에서 탱크(10)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피복 시트(30)의 반환부(f2)는 실 부재(40)보다도 방사 방향 외방에 위치한다. 다르게 말하면, 실 부재(40)는 피복 시트(30)를 통해서 탱크(10)와 접촉한다.
한편, 피복 시트(30)는 반환부(f1, f2))가 형성된 상태에서 탱크(10)에 장착할 수 있지만, 도 4에 이어서 이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이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시트(30)의 외주에서 아직 접히지 않은 부위를 피스톤(20)의 제2 외형부(26)의 외주연부를 기점으로 가압면(22)과 반대측으로 접는다. 그리고, 도 4에서 끼워 넣지 않은 피복 시트(30)의 삽통홀(33)을 피스톤(20)의 핀(24)에 끼워 넣도록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반환부(f3, f4)가 형성된다.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할 수 있으면, 피스톤(20), 에어 실린더(60), 펌프(50) 및 디스펜서(70)를 접속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60)에 의해 피스톤(20)을 구동시켜, 탱크(10)의 저류 공간(11)의 내부에 밀어 넣고, 펌프(5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점성재료를 흡입 통로(23) 및 관로(80)에 유통시켜서 디스펜서(70)로부터 공급한다(ST4).
여기서, 점성재료가 부족한 경우(ST5:YES), 펌프(50) 및 에어 실린더(60)의 동작을 정지시켜, 점성재료의 공급을 정지시킨다(ST6). 그리고, 탱크(10)로부터 피스톤(20)을 빼낸다(ST7). 그리고, 펌프(50)와 피스톤(20)을 분리하고,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으로부터 분리한다. 피스톤(20)의 흡입 통로(23)에는 점성재료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세정한다(ST8). 피스톤(20)의 가압면(22)은 피복 시트(30)의 피복부(31)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세정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세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탱크(10)를 점성재료가 들어간 새 것과 교환한다(ST9).
피스톤(20)의 세정 및 탱크(10)의 교환이 끝나면, 피복 시트(30)를 새 것으로 교환한다(ST2). 그리고, 피복 시트(30)의 피스톤(20)으로의 장착(ST3), 및 점성재료의 압송(ST4)을 반복한다.
탱크(10)의 저류 공간(11)에 있어서 점성재료가 부족하지 않고(ST5:NO), 또한, 점성재료가 필요량 공급되지 않을 경우(ST10:NO), 점성재료의 공급이 계속된다(ST4).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100)는 탱크(10)와 피스톤(20)과 피복 시트(30)를 가진다. 탱크(10)에는 점성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11)이 마련된다. 피스톤(20)은 탱크(1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점성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면(22) 및 가압면(22)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탱크(10) 내의 점성재료가 유통하는 흡입 통로(23)을 마련하고 있다. 피복 시트(30)는 피스톤(20)에서 가압면(22)을 피복하는 피복부(31) 및 흡입 통로(23)에 연통하는 연통홀(3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방법은, 탱크(10)와 피스톤(20)과 피복 시트(3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피복 시트(30)의 피복부(31)가 피스톤(20)의 가압면(22)을 피복하고, 또한 피복 시트(30)의 연통홀(32)이 피스톤(20)의 흡입 통로(23)와 연통하도록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피스톤(20)의 가압면(22)에 의해 점성재료를 가압하고, 흡입 통로(23)에 점성재료를 유통시킨다. 또한, 피스톤(20)으로의 피복 시트(30)의 장착방법에서는, 피스톤(20)과 피복 시트(30)를 준비한다. 그리고, 피복 시트(30)의 피복부(31)가 피스톤(20)의 가압면(22)을 피복하고, 또한 피복 시트(30)의 연통홀(32)이 피스톤(20)의 흡입 통로(23)와 연통하도록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한다.
따라서, 피스톤(20)의 가압면(22)은 피복 시트(30)의 피복부(31)에 의해 피복되어, 가압면(22)에 점성재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만큼 피스톤(20)의 점성재료의 제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20)에는 가압면(22)과 반대측에 피복 시트(30)를 피스톤(20)에 장착할 핀(24)이 입설된다. 피복 시트(30)는 피복부(31)의 외방을 가압면(22)과 반대측으로 접었을 때에, 접힌 부위에 핀(24)을 끼워 넣는 삽통홀(33)을 구비한다. 피복 시트(30)는 피스톤(20)의 가압면(22) 측에 배치되고, 피복 시트(30)의 내방(내측)을 피스톤(20)의 가압면(22)에 맞닿게 한다. 피복부(31)의 외방(외측)은 피스톤(20)의 가압면(22) 측과 반대측으로 접고, 삽통홀(33)을 피스톤(20)의 핀(24)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삽통홀(33)은 피스톤(20)의 핀(24)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흡입 통로(23)와 피복 시트(30)의 연통홀(32)의 축심이 일치한다.
도 7은 도 2와 동일한 비교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7의 비교예 경우, 피스톤(20)에 핀(24)을 마련하지 않고, 또한, 피복 시트(S)에 삽통홀이 없는 상태에서 흡입 통로와 연통홀의 위치를 조정할 경우, 작업자는 육안에 의해 흡입 통로 축심(CL1)과 연통홀의 축심(CL2)을 위치 조정하여야 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재료 공급장치(100)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입 통로(23)와 연통홀(32)의 위치 조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육안과 비교하여 위치 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피복 시트(30)의 연통홀(32)과 흡입 통로(23)의 축심이 맞지 않을 경우, 흡입 통로(2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 시트(30)에 의해 덮힘으로써 점성재료의 압송을 방해할 수 있어, 탱크(10)의 저류 공간(11)에 점성재료가 잔류할 우려가 있다. 그에 반해, 상기와 같이 핀(24)과 삽통홀(33)에 의해 연통홀(32)로 흡입 통로(23)의 축심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여 저류 공간(11)에 점성재료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20)의 제1 외형부(25)의 외주에는 피스톤(20)과 탱크(10) 사이의 부위를 실링하는 실 부재(40)가 장착된다. 실 부재(40)는 피스톤(20)의 가압면(22)에 의해 점성재료를 흡입 통로(23)로 유통시키는 것 보다도 전에 피스톤(20)의 방사 방향에서 제1 외형부(25)의 외방에 장착된다. 따라서, 피스톤(20)에 의해 탱크(10) 내의 점성재료를 가압할 때에 피스톤(20)의 외주에서 점성재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에서는 피복 시트(30)의 외주가 가압면(22)과는 반대측으로 접히고, 삽통홀(33)이 핀(24)에 끼워진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외에도 피복 시트(30)에서 삽통홀(33)의 가장자리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통홀(33)의 가장자리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보강 부재(34)를 마련할 수도 있다. 보강 부재(34)는 피복 시트(30)와 마주 보는 측(접촉하는 측)에 점착재가 도포되고, 이것에 의해 피복 시트(30)와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복 시트(30)에 있어서 가압면(22)과 그 반대측에서 장력이 작용했을 때에, 삽통홀(33)의 외주연부가 변형되고, 이것에 의해 연통홀(32)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 부재(40)는 상기에 있어서 피복 시트(30)를 통해 탱크(10)와 접촉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 부재(40)는 상기 이외에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면(41)이 제1 외형부(25)에 있어서 피스톤(20)에 장착된 피복 시트(30)보다도 방사 방향(직경 방향)에서 외방에 위치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실 부재(40)를 피스톤(20)에 장착할 때에는 제1 외형부(25)에 있어서 실 부재(40)의 외측면(41)을 피복 시트(30)보다도 방사 방향에서 외방으로 위치시킨다.
피복 시트(30)는 실 부재(40)를 피스톤(20)에 장착하는 것 보다도 전에 피스톤(20)에 장착된다. 즉, 피복 시트(30)는 가압면(22) 측에 배치되고, 피복부(31)의 내주를 가압면(22)에 맞닿게 하여, 피스톤(20)의 제2 외형부(26)의 외주연부를 기점으로 피복부(31)의 외주를 가압면(22)과 반대측으로 접는다. 그리고, 삽통홀(33)을 핀(24)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흡입 통로(23)와 연통홀(32)의 축심이 일치한다. 실 부재(40)는 그 후에 피스톤(2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 부재(40)는 제1 외형부(25)에 있어서 피복 시트(30)보다도 외주에 위치하고, 탱크(10)와 피복 시트(30)를 통하지 않고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0)과 탱크(10) 사이를 보다 강고하게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탱크(10)의 저류 공간(11)에는 점성재료가 직접 충전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외에도 점성재료뿐만 아니라, 점성재료를 수용하는 자루도 함께 탱크(10)의 저류 공간(11)에 수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출원은 2017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037247호에 기초하며, 그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삽입되었다.
10 탱크,
100 점성재료 공급장치,
20 피스톤,
22 가압면,
23 흡입 통로,
24 핀,
25 제1 외형부,
26 제2 외형부,
30 피복 시트,
31 피복부,
32 연통홀,
33 삽통홀,
34 보강 부재,
40 실 부재,
41 외측면,
50 펌프.

Claims (13)

  1. 점성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이 마련된 탱크와,
    상기 탱크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점성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면 및 상기 가압면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탱크 내의 상기 점성재료가 유통하는 흡입 통로가 마련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가압면을 피복하는 피복부 및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한 피복 시트를 가지는, 점성재료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으로 입설되어,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하는 핀을 더욱 가지며,
    상기 피복 시트는, 외주가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으로 접히고, 접힌 부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기 핀에 끼워 넣어지는 삽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통홀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핀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 통로와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연통홀의 축심을 일치시키는, 점성재료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홀에는 상기 삽통홀의 가장자리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보강 부재가 마련되는, 점성재료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탱크 사이를 실링하는 실 부재를 더욱 가지는, 점성재료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 부재가 장착되는 제1 외형부와,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외형부에서 이간되어 상기 제1 외형부보다도 외주가 크게 형성된 제2 외형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실 부재는, 외측면이 적어도 상기 제1 외형부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장착된 상기 피복 시트보다도 방사 방향에서 외방에 위치하는, 점성재료 공급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고,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가압면을 피복하는 피복부 및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한 피복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으로 입설된 핀에 끼워지고, 상기 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 통로와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연통홀의 축심을 일치시키는 삽통홀을 더욱 구비하는, 피복 시트.
  8. 점성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이 마련된 탱크와, 상기 탱크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점성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면 및 상기 가압면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탱크 내의 상기 점성재료가 유통하는 흡입 통로가 마련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가압면을 피복하는 피복부 및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한 피복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가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을 피복하고, 또한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연통홀이 상기 피스톤의 상기 흡입 통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에 의해 상기 점성재료를 가압하고, 상기 흡입 통로에 상기 점성재료를 유통시키는, 점성재료 공급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에는 핀이 입설되는 동시에,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에는 삽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 측에 배치하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에서 내방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의 외방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으로 접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삽통홀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핀에 끼워 넣는, 점성재료 공급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에 의해 상기 점성재료를 상기 흡입 통로에 유통시키는 것 보다도 전에, 상기 피스톤의 방사 방향에서의 외방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탱크 사이를 실링하는 실 부재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하는, 점성재료 공급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실 부재를 장착할 제1 외형부와,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외형부에서 이간되어 상기 제1 외형부보다도 외주가 크게 형성된 제2 외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실 부재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할 때에는, 적어도 상기 제1 외형부에 있어서 상기 실 부재의 외측면을 상기 피복 시트보다도 방사 방향에서 외방에 위치시키는, 점성재료 공급방법.
  12. 제 8 항에 기재된 상기 가압면 및 상기 흡입 통로가 마련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복부 및 상기 연통홀을 구비한 상기 피복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가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을 피복하고, 또한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연통홀이 상기 피스톤의 상기 흡입 통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하는,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에는 핀이 입설되는 동시에,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에는 삽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피복 시트를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 측에 배치하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에서 내방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복부의 외방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가압면과 반대측으로 접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삽통홀을 상기 피스톤의 상기 핀에 끼워 넣는,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KR1020197022960A 2017-02-28 2017-11-30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KR102350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7247 2017-02-28
JPJP-P-2017-037247 2017-02-28
PCT/JP2017/042942 WO2018159043A1 (ja) 2017-02-28 2017-11-30 粘性材料供給装置、粘性材料供給装置に用いられる被覆シート、粘性材料供給方法及び被覆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61A true KR20190122661A (ko) 2019-10-30
KR102350299B1 KR102350299B1 (ko) 2022-01-11

Family

ID=6337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60A KR102350299B1 (ko) 2017-02-28 2017-11-30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0164B2 (ko)
EP (1) EP3590609A4 (ko)
JP (1) JP6974763B2 (ko)
KR (1) KR102350299B1 (ko)
CN (1) CN110267745B (ko)
WO (1) WO2018159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0712A1 (de) * 2017-01-16 2018-07-19 Atlas Copco Ia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viskosem Material
EP3507236B1 (de) 2016-09-05 2020-10-14 Atlas Copco IAS GmbH Fasspumpe mit anpassbarem dichtring der folgeplatte
DE102020127440A1 (de) * 2020-08-06 2022-02-10 Atlas Copco Ias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viskosem Materia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7873U (ko) * 1984-10-06 1986-05-09
KR890005050Y1 (ko) * 1985-10-07 1989-07-31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FR2750961A1 (fr) * 1996-07-15 1998-01-16 Aubert Guy Tete de piston aseptique et interchangeable
JPH11156282A (ja) 1997-11-27 1999-06-15 Nordson Kk 粘性材料の汲み出し輸送方法及び装置
JP2006102655A (ja) * 2004-10-06 2006-04-20 Three Bond Co Ltd 材料圧送装置及び材料圧送方法
JP2014122586A (ja) * 2012-12-21 2014-07-03 Three Bond Co Ltd 粘性材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1652A (en) * 1918-06-21 1920-06-01 Frederick K Lawrence Grease-cup filler
US1689360A (en) * 1926-07-20 1928-10-30 Monnot Robert Grease-gun-filling device
US2768661A (en) * 1953-03-27 1956-10-30 Floyd W Tyler Filling device for grease guns
US2811991A (en) * 1954-06-07 1957-11-05 Switzer Murt Grease gun charging machines
JPH04943Y2 (ko) 1987-08-28 1992-01-13
DE3904606A1 (de) * 1989-02-16 1990-08-30 Knieriem Guenther Dipl Ing Fh Entleervorrichtung
JPH0751173Y2 (ja) 1989-10-11 1995-11-22 ファインコントロール株式会社 プレート
US5117998A (en) * 1991-10-07 1992-06-02 Graco Inc. Universal five gallon wiper plate assembly
JP4243003B2 (ja) 2000-04-26 2009-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湿気硬化型シール剤の充填包装構造
US6644179B1 (en) * 2003-03-22 2003-11-11 Rutherford Kiehm Measured utility kitchen tool
DE102004016006A1 (de) 2004-04-01 2005-09-29 Robert Bosch Gmbh Gebinde und dafür vorgesehenes Gebindeentleerungssystem
DE102005049805B4 (de) 2005-08-19 2007-06-14 Erich Scheugenpflug Entleervorrichtung
US7946454B2 (en) * 2006-12-21 2011-05-24 Paul Scardino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of viscous food product
DE102007003972B4 (de) 2007-01-26 2012-01-19 Viscotec Pumpen- Und Dosiertechnik Gmbh Vorrichtung zur luftfreien Entnahme und verbesserten Entlüftung mit porösen Trennplatten
JP5459068B2 (ja) 2010-05-24 2014-04-02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材料圧送装置
JP6584211B2 (ja) 2015-08-12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7873U (ko) * 1984-10-06 1986-05-09
KR890005050Y1 (ko) * 1985-10-07 1989-07-31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FR2750961A1 (fr) * 1996-07-15 1998-01-16 Aubert Guy Tete de piston aseptique et interchangeable
JPH11156282A (ja) 1997-11-27 1999-06-15 Nordson Kk 粘性材料の汲み出し輸送方法及び装置
JP2006102655A (ja) * 2004-10-06 2006-04-20 Three Bond Co Ltd 材料圧送装置及び材料圧送方法
JP2014122586A (ja) * 2012-12-21 2014-07-03 Three Bond Co Ltd 粘性材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7745A (zh) 2019-09-20
EP3590609A4 (en) 2020-03-04
CN110267745B (zh) 2022-02-15
JP6974763B2 (ja) 2021-12-01
WO2018159043A1 (ja) 2018-09-07
KR102350299B1 (ko) 2022-01-11
US11480164B2 (en) 2022-10-25
US20200018299A1 (en) 2020-01-16
EP3590609A1 (en) 2020-01-08
JPWO2018159043A1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2661A (ko)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US9309042B2 (en) Liquid dispensing syringe and method for reducing piston bounce
KR102306481B1 (ko) 시린지 착탈 기구 및 상기 기구를 구비하는 장치
US8133042B2 (en) Chemical liquid supplying apparatus and pump assembly
WO2014097718A1 (ja) 粘性材料供給装置
EP1132146A2 (en) Anti-float plunger for pneumatically actuated syringe
JP2006347606A (ja) 塗料タンク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13053684A (ja) 流路切換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動性材料の吐出制御装置
US8382451B2 (en) Pump apparatus
JP4872430B2 (ja) 塗布剤の塗布方法とその塗布装置
KR20210027217A (ko) 밸브, 이러한 밸브를 포함하는 커버링 제품의 도포를 위한 시스템 및 전용 장착 및 장착 해제 도구
US6149037A (en) Adapter for replaceable lubricant storage cartridge
JP2014163372A (ja) 液体吐出バルブ
CN114867565B (zh) 材料涂敷装置
JPH10151393A (ja) 材料塗布装置
GB2457083A (en) Lubricating system with oil container
CN111630273B (zh) 旋转隔膜泵
TWI735688B (zh) 潤滑劑用匣容器及具備潤滑劑用匣容器之潤滑劑供給系統
JP7094906B2 (ja) 流動性材料吐出装置
US11905946B2 (en) Backup ring and liquid feeding pump using backup ring
JP3175857U (ja) ディスペンサー装置
JP2007085472A (ja) 潤滑ポンプ装置
CN106981442B (zh) 药液排出装置
CN107061741B (zh) 密封装置及包括该装置的涂敷系统
CN112996606A (zh) 组装体、组装体的使用方法、涂敷装置、涂敷装置的使用方法、补给材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