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812A -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812A
KR20190119812A KR1020180043245A KR20180043245A KR20190119812A KR 20190119812 A KR20190119812 A KR 20190119812A KR 1020180043245 A KR1020180043245 A KR 1020180043245A KR 20180043245 A KR20180043245 A KR 20180043245A KR 20190119812 A KR20190119812 A KR 20190119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epb
vehicle control
input
transmis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4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812A/ko
Priority to CN201910295842.7A priority patent/CN110371097A/zh
Priority to DE102019205366.1A priority patent/DE102019205366A1/de
Priority to US16/382,347 priority patent/US20190315321A1/en
Publication of KR2019011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including control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F16H63/483Circuits for controlling engagement of parking lock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1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20Road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40/00Monitoring, detecting wheel/tire behaviour; counterac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4Vehicle reference speed; Vehicle body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60/00Interaction of vehicle brake system with other systems
    • B60T2260/04Automa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28Whee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60W2550/1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16H2059/446Detecting vehicle stop, i.e. the vehicle is at stand still, e.g. for engaging parking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16H2059/663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23Sensing neutral state of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이면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이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ic Parking Brake) 장치는 운전자 친화적인 자동 브레이크 장치로 시동을 끄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였고, 시동을 켜고 엑셀을 밟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풀려 주차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일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 10-1303757(2013.08.2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정차 시 자동으로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정차 제동력 유지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차량의 정차 제동력 유지 장치 및 그 방법은 구배가 있는 상태에서 EPB 장치의 EPB 자동 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에 한계가 있어 접촉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구배가 있는 상태에서 EPB 장치의 EPB 자동 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접촉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EPB 동작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켜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 정차 유지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하여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 10-1303757(2013.08.29)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접촉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EPB 장치의 EPB 자동 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EPB 동작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켜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 정차 유지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하여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이면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이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설정된 자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설정된 수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목표 차속값과 목표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CB(Conventional Brake) 장치로부터 현재 제동값을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제동값이 설정된 목표 시간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가속 페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이면, EPB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자동 정차 유지 장치로부터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이면, EPB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노면 정보를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노면이 구배가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이면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이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접촉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EPB 장치의 EPB 자동 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EPB 동작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켜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자동 정차 유지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하여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다.
이때,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차속값을 감지하기 위한 차속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고, 현재 휠속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휠 속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는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30)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CAN(Controller Area Network) BUS(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고, CAN BUS(미도시)는 차량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가 있으며, 차량 사양 정보는 변속기 정보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노면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노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노면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고, 현재 노면 정보의 구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종방향 중력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목표 차속값과 목표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104)는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차속값이 설정된 목표 차속값인 "1"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고,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휠속도값이 설정된 목표 휠속도값인 "1"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04)는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부(102)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부(102)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설정된 자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판단부(104)는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부(102)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설정된 수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노면이 구배가 있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받으며,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변속기 정보를 공급받는다.
또한, 제어부(106)는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노면 정보를 더 공급받을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50)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가속 페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가 오프(Off) 동작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가속 페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여기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이 일정 시간 동안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EPB 장치(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50)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200, 300)은 제 2 단계(S206, S208, S306, S308) 및 제 3 단계(S210, S212, S310, S312)와 제 4 단계(S214, S314)를 포함한다.
제 2 단계(S206, S306)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구배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제 2 단계(S208, S308)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2 단계(S208, S308)는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때에,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가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차속값과 목표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인지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210, S310)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도1의 30)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제 3 단계(S212, S312)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3 단계(S212, S312)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자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3 단계(S212, S312)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수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4 단계(S214)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도1의 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EPB 장치(도1의 50)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200, 300)은 제 1 단계(S202, S204, S302, S304)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단계(S202, S204, S302, S304)는 제 2 단계(S206, S208, S306, S308)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제 1 단계(S202, S302)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노면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제 1 단계(S204, S3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노면이 구배가 있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300)은 제 3 단계(S313a, S313c, S313e, S313g)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313a)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제 3 단계(S313c)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가속 페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313e)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입력부(도1의 102)에서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제 3 단계(S313g)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제 4 단계(S314)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EPB 장치(도1의 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EPB 장치(도1의 50)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502)와 판단부(504) 및 제어부(5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의 입력부(502)는 CB(Conventional Brake) 장치(70)로부터 현재 제동값을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504)는 입력부(502)에 입력된 현재 제동값이 설정된 목표 시간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제어부(5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의 200)과 동일하게 제 2 단계(S606, S608) 및 제 3 단계(S610, S612)와 제 4 단계(S6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의 200)과 동일하게 제 1 단계(S602, S604)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의 2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중 제 2 단계(S609a)는 판단부(도5의 504)에서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CB(Conventional Brake) 장치(도1의 70)로부터 현재 제동값을 입력부(도5의 502)에서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또한, 제 2 단계(S609b)는 입력부(도5의 502)에 입력된 현재 제동값이 판단부(도5의 504)에 설정된 목표 시간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5의 5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5의 504)에서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702)와 판단부(704) 및 제어부(7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의 입력부(702)는 자동 정차 유지 장치(90)로부터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704)는 입력부(702)에 입력된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제어부(7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704)는 입력부(702)에 입력된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가 오프 동작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7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자동 정차 유지 장치(9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AVH(Automatic Vehicle Hold) 장치(미도시)일 수가 있고, HSA(Hill Start Assist) 장치(미도시)일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706)는 판단부(704)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EPB 장치(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50)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7의 700)의 차량 제어 방법(8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의 200)과 동일하게 제 2 단계(S806, S808) 및 제 3 단계(S810, S812)와 제 4 단계(S8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7의 700)의 차량 제어 방법(8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의 200)과 동일하게 제 1 단계(S802, S804)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7의 700)의 차량 제어 방법(8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의 2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7의 700)의 차량 제어 방법(800)중 제 3 단계(S813a)는 판단부(도7의 7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정차 유지 장치(도7의 90)로부터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입력부(도7의 702)에서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또한, 제 3 단계(S813b)는 입력부(도7의 702)에 입력된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7의 7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7의 704)에서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제 4 단계(S814)는 판단부(도7의 704)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EPB 장치(도7의 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도7의 706)에서 EPB 장치(도7의 50)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1000, 1100)는 차량 제어 장치(도1과 도5 및 도7의 100, 500, 700)와 동일하게 입력부(902, 1002, 1102)와 판단부(904, 1004, 1104) 및 제어부(906, 1006, 11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1000, 1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과 도5 및 도7의 100, 500, 7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의 제어부(906)는 판단부(9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95)에서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도록 식별 장치(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0)의 제어부(1006)는 판단부(1004)에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95)에서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도록 식별 장치(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100)의 제어부(1106)는 판단부(1104)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95)에서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도록 식별 장치(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100)의 제어부(1106)는 판단부(1104)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95)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음을 식별시키도록 식별 장치(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9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음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 장치(9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음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 내지 도11의 900 내지 1100)의 차량 제어 방법(1200 내지 15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 및 도7의 100, 7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와 도4 및 도8의 200, 300, 800)과 동일하게 제 2 단계(S1206, S1208)(S1406, S1408)(S1506, S1508) 및 제 3 단계(S1210, S1212)(S1313a, S1313c, S1313e, S1313g)(S1410, S1412, S1413a, S1413b)(S1510, S1512, S1513a, S1513b)와 제 4 단계(S1214, S1314, S1414, S15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 내지 도11의 900 내지 1100)의 차량 제어 방법(1200 내지 15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 및 도7의 100, 7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와 도4 및 도8의 200, 300, 800)과 동일하게 제 1 단계(S1202, S1204)(S1402, S1404)(S1502, S1504)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 내지 도11의 900 내지 1100)의 차량 제어 방법(1200 내지 15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 및 도7의 100, 700)의 차량 제어 방법(도2와 도4 및 도8의 200, 300, 8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 내지 도11의 900 내지 1100)의 차량 제어 방법(1200 내지 1500)는 제 1 식별 단계(S1213)와 제 2 식별 단계(S1313i) 및 제 3 식별 단계(S1413c)와 제 4 식별 단계(S1513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 단계(S1213)는 제 3 단계(S1212) 이후와 제 4 단계(S1214)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1 식별 단계(S1213)는 제 4 단계(S1214)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식별 단계(S1213)는 판단부(도9의 904)에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도9의 95)에서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도록 제어부(도9의 906)에서 식별 장치(도9의 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제 2 식별 단계(S1313i)는 제 3 단계(S1313g) 이후와 제 4 단계(S1314)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2 식별 단계(S1313i)는 제 4 단계(S1314)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2 식별 단계(S1313i)는 판단부(도10의 1004)에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도10의 95)에서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도록 제어부(도10의 1006)에서 식별 장치(도10의 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제 3 식별 단계(S1413c)는 제 3 단계(S1413b) 이후와 제 4 단계(S1414)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3 식별 단계(S1413c)는 제 4 단계(S1414)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3 식별 단계(S1413c)는 판단부(도11의 1104)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도11의 95)에서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도록 제어부(도11의 1106)에서 식별 장치(도11의 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제 4 식별 단계(S1513c)는 제 3 단계(S1513b) 이후와 제 4 단계(S1514)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4 식별 단계(S1513c)는 제 4 단계(S1514)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4 식별 단계(S1513c)는 판단부(도11의 1104)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식별 장치(도11의 95)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음을 식별시키도록 제어부(도11의 1106)에서 식별 장치(도11의 95)에 식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500, 700, 900 내지 1100)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입력부(102, 502, 702, 902 내지 1102)와 판단부(104, 504, 704, 904 내지 1104) 및 제어부(106, 506, 706, 906 내지 1106)의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입력부(102, 502, 702, 902 내지 1102)와 판단부(104, 504, 704, 904 내지 1104) 및 제어부(106, 506, 706, 906 내지 1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입력하기 위한 통상적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일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 502, 702, 902 내지 1102)와 판단부(104, 504, 704, 904 내지 1104) 및 제어부(106, 506, 706, 906 내지 1106)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판단 수단 및 입력 수단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500, 700, 900 내지 1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 300, 600, 800)(1200 내지 1500)은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이며,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이면, EPB 장치(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50)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500, 700, 900 내지 1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 300, 600, 800)(1200 내지 1500)은 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접촉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은 CB 장치(70)의 현재 제동값이 설정된 목표 시간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은 운전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EPB 장치(50)의 EPB 자동 체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 및 차량 제어 방법(800)은 자동 정차 유지 장치(90)에서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이면, EPB 장치(50)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EPB 장치(50)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 및 차량 제어 방법(800)은 차량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차량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접촉 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내지 1100) 및 차량 제어 방법(1200 내지 1500)은 현재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음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내지 1100) 및 차량 제어 방법(1200 내지 1500)은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EPB 동작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켜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자동 정차 유지 장치(9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하여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다.

Claims (12)

  1.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이면 상기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이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설정된 자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설정된 수동 변속기 타입의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목표 차속값과 목표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CB(Conventional Brake) 장치로부터 현재 제동값을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제동값이 설정된 목표 시간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가속 페달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가속 페달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종방향 가속도의 변화가 있는 상태이면, EPB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자동 정차 유지 장치로부터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자동 정차 유지 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자동 정차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이면, EPB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더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노면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노면이 구배가 있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현재 차속값과 현재 휠속도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차량이 정차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태이면 변속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변속기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변속기 정보가 중립 상태이면, EPB(Electrical Parking Brake) 장치에서 EPB 자동 체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EPB 장치에 EPB 체결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80043245A 2018-04-13 2018-04-13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190119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45A KR20190119812A (ko) 2018-04-13 2018-04-13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N201910295842.7A CN110371097A (zh) 2018-04-13 2019-04-12 车辆控制装置和车辆控制方法
DE102019205366.1A DE102019205366A1 (de) 2018-04-13 2019-04-12 Fahrzeugsteuervorrichtung und Fahrzeugsteuerverfahren
US16/382,347 US20190315321A1 (en) 2018-04-13 2019-04-12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45A KR20190119812A (ko) 2018-04-13 2018-04-13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467A Division KR20200014402A (ko) 2020-01-31 2020-01-31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12A true KR20190119812A (ko) 2019-10-23

Family

ID=6805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45A KR20190119812A (ko) 2018-04-13 2018-04-13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315321A1 (ko)
KR (1) KR20190119812A (ko)
CN (1) CN110371097A (ko)
DE (1) DE102019205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529A (zh) * 2020-05-18 2020-09-01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纯电动汽车的p挡联动epb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30106755A1 (en) * 2021-10-01 2023-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extend brake life cycle
EP4353549A1 (en) * 2022-10-14 2024-04-17 TuSimple, Inc. Automatic parking brake actuation and failure det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57B1 (ko) 2011-11-01 2013-09-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정차 제동력 유지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590A (ja) * 1998-07-15 2000-01-25 Akebono Brake Ind Co Ltd 駐車ブレーキ安全装置
KR101250739B1 (ko) * 2011-05-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차차량 이동시 차량사고 방지방법
KR101409223B1 (ko) * 2012-12-03 2014-07-02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작동 장치 및 방법
US20160244039A1 (en) * 2015-02-24 2016-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crawl mode deceleration control
CN204641722U (zh) * 2015-03-09 2015-09-16 浙江力邦合信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一种没有esc的汽车驻车液压自动保持系统
CN106032141B (zh) * 2015-03-19 2019-01-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驻车制动控制系统、方法及车辆
US10889889B2 (en) 2015-08-24 2021-01-1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High purity copper sputtering target material
KR102520005B1 (ko) * 2016-03-15 2023-04-10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336700B (zh) * 2016-12-19 2019-05-2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应急驻坡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57B1 (ko) 2011-11-01 2013-09-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정차 제동력 유지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15321A1 (en) 2019-10-17
DE102019205366A1 (de) 2019-10-17
CN110371097A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1308B1 (en) Method and vehicle for activating an autonomous braking maneuver
KR2019011981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5200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15147B2 (en) Brake light control device
CN110194139B (zh) 刹车检验状态确定方法、装置和车辆
KR20170040920A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4241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144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1603262B1 (ko) 차량용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제동 제어 방법
KR102482143B1 (ko) Ecu 및 ecu 동작 방법
KR101982268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2006123853A (ja) 追従走行制御方法及び追従走行制御装置
KR20170105216A (ko) 주행 중 p단 변속 입력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98016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7333B1 (ko)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KR10167331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6274B1 (ko) 전기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879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00261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1853781B1 (ko) 브레이크 페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777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170032714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9180B1 (ko) 브레이크 패드 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위치 제어 방법
KR20170095490A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884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