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644A - 장신구 등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등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644A
KR20190119644A KR1020197028888A KR20197028888A KR20190119644A KR 20190119644 A KR20190119644 A KR 20190119644A KR 1020197028888 A KR1020197028888 A KR 1020197028888A KR 20197028888 A KR20197028888 A KR 20197028888A KR 20190119644 A KR20190119644 A KR 2019011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ocking
pair
faste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393B1 (ko
Inventor
히사지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Publication of KR2019011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36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with an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Adornment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진 고정구에 있어서, 오목부(1)는, 유지 테두리체(12)와 유지 테두리체(12)에 둘러싸인 유지 공간(13)으로 이루어지고, 유지 테두리체(12)의 선단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구부(14)를 구비하며, 또 개구부(14)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15)를 구비하고, 한편, 볼록부(2)는 환상의 걸림 테두리체(22)와 걸림 테두리체(22)에 둘러싸인 공간의 걸림 수용부(25)로 이루어지고, 걸림 테두리체(22)의 선단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걸림부(21)를 구비하며, 또 걸림부(21)의 내측에는 걸림 이탈용의 가이드부(23)를 구비하고, 또 걸림 테두리체(22)의 외주에는 외각체(57)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시는 볼록부(2)의 걸림부(21)의 외측을 오목부(1)의 삽입용의 가이드부(15)에 접촉해서 누름으로써 록킹되고, 해제할 때는 볼록부(2)의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23)에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내측을 접촉해서 삽입시와 반대방향으로 비틀면서 당김으로써 해제된다.

Description

장신구 등의 고정구
본 발명은, 목걸이, 팔찌, 발찌, 열쇠 고리, 가방, 액세서리류, 벨트, 안전 벨트 등에 사용되는 장신구 등의 고정구(FASTENER)이다.
종래 기술의 장신구 고정구로서, 인용문헌 1을 들 수 있다. 인용문헌 1에서는, 볼록부가 통합 이탈 상태에서는 장축(長軸) 방향에 대해서 거의 90도 회전시켜서 결합 이탈을 하는 체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6-221179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장신구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갖고있다. 즉 인용문헌 1은, 상하로 개구하는 운동일뿐이며, 비틀어 개구하는 구조의 고정구는 아니다. 전용의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 또는 오목부의 내측에 결합 이탈구가 없기 때문에, 결합 이탈하려면 볼록부를 장축 방향에 대해서 90도 회전시킨 후 볼록부 전체를 오목부 안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결합 이탈한다. 인용문헌 1은, 두 개의 문제점이 있다. 하나는, 오목부는, 볼록부 전체가 오목부의 유지공간 중에 들어갈 만한 크기와 약간의 간극이 필요하며, 또, 손가락으로 집을 부분도 확보해야 한다. 볼록부는, 볼록부의 선단부의 걸림 수용부와 걸림 테두리체가 오목부의 유지공간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새롭게 손가락으로 집을 부분도 확보해야 한다. 그러므로, 오목부와 볼록부는, 종래 것보다도 2배 정도로 꽤 길어져버린다. 골드 플래티넘 제품은 매우 고가이므로, 커지면 무거워지고 고가의 고정구가 되어버린다. 게다가, 외관을 해친다. 또 다른 하나는, 90도 회전시키는 조작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집는 위치는 볼록부가 원 운동하는 축에 위치한다. 오목부의 개구부와 볼록부의 측면의 접하는 위치는, 축보다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강하게 집고 있지 않으면, 볼록부가 더 회전해서 결합 이탈을 할 수 없다. 목걸이와 같은 쥬얼리의 고정구는, 화장품이나 핸드크림 등을 손에 바를 기회도 많기 때문에 고정구가 미끄러지기 쉽다. 게다가, 목 뒤쪽에서의 결합 이탈 조작은, 90도 회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일이 많다.
즉, 첫째로 최대한 작은 고정구여야 한다. 둘째로 강하게 집지 않아도 장착과 결합 이탈할 수 있는 고정구가 요구된다.
고정구를 간단하게 조작하려면, 오목부와 볼록부가, 가능한한 같은 자세로 오목부와 볼록부를 장축 방향으로 당기거나, 또는, 비틀어서 결합 해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오목부과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연속 또는 불연속 형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걸림 테두리체와, 해당 걸림 테두리체에 둘러싸인 공간의 걸림 수용부와, 상기 걸림 테두리체의 선단의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불연속 형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유지(保持) 테두리체와, 해당 유지 테두리체에 둘러싸인 유지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 해당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걸림 테두리체와 상기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보다 짧고, 또 상기 개구부의 선단, 또는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내측에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유지공간에서 외부로, 결합 이탈하기 위한 결합 이탈구를 구비하며, 해당 결합 이탈구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틀면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어, 결합 이탈이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상기 볼록부의 걸림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걸림부를 구비하며, 해당 한 쌍의 걸림부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한 쌍의 개구부를 가지며, 또 해당 한 쌍의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상기 오목부의 후부(後部)는, 사슬모양(鎖狀)의 단부와 접속되는 부위이며, 또 상기 오목부의 후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단면 형상은, 12시와 6시 방향의 길이 1에 대해서 9시와 3시 방향의 길이는 2이내이다. 또는, 상기 유지 테두리체의 후부의 단면 형상은 9시와 3시 방향의 길이 1에 대해서 12시와 6시 방향의 길이는 2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해당 한 쌍의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또 한쪽의 개구부의 선단의 면은, 다른 한쪽의 개구부의 삽입용의 가이드부에 대향한다. 또는, 상기 오목부의 한쪽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면은, 장축 방향의 중심선 부근에 있고, 장축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과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며,또 상기 오목부의 어느 한쪽의 개구부의 선단은, 다른 한쪽의 개구부의 선단보다 상기 오목부의 안쪽 방향을 향해서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의 상기 한 쌍의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 가이드부가 있고, 또 한쪽의 개구부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이며, 다른 한쪽의 오목부의 개구부의 선단의 면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의 선단, 또는 상기 삽입용의 가이드부에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로서, 상기 볼록부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걸림 테두리체와 해당 걸림 테두리체에 둘러싸인 공간의 걸림 수용부와, 상기 걸림 테두리체의 선단부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해당 걸림부의 선단 또는 해당 걸림부의 선단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구를 구비하고, 또 상기 걸림 테두리체의 후부에는 목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림 수용부의 전방, 또는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목 부분의 외주에는, 연속 또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외각체(外殼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고정구로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은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 해당 개구부는 유지 공간의 중심부를 향해서 돌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결합 유지 상태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걸림 테두리체의 내측에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개구부를 포착하여 상기 유지 테두리체의 개구를 저지하는 역지(逆止)손톱(check claw)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구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테두리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각은 45도 이상 9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7 실시형태의 발명과 같이, 오목부의 개구부의 외측에 삽입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볼록부의 걸림부의 내측에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설치하며, 볼록부의 걸림 테두리체의 외주에 외각체를 구비한 고정구에서는, 록킹시는, 오목부의 삽입용의 가이드부에 볼록부의 걸림부를 접촉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결합되고, 결합 이탈시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비틀면서 당김으로써 결합 이탈이 가능해졌다. 즉, 본 발명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내측에 결합 이탈구, 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비틈으로써 소형화로 할 수 있어 가볍게 집은 상태로 잠금 및 결합 해제가 되는 고정구이다.
도 1은, 참고형태 1의 장신구용 고정구 부위의 설명으로, 볼록부(2)의 걸림 부(21)의 길이(C)는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길이(A)보다 작다.
도 2는, 참고형태 1의 발명전 장신구용 고정구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 또는 볼록부(2)를 비틀어 결합 이탈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선단부에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22)가, 걸려서 결합 이탈할 수 없는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장신구용 고정구 부위의 설명으로, 볼록 부(2)의 걸림부(21)의 길이(B)는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길이(A)보다 길다.
도 4는, 오목부(1)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이며, 볼록부(2)는 제7 실시형태의 장신구용 고정구 부위의 설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장신구용 고정구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와 볼록부(2)의 접속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장신구용 고정구의 조작상황으로, 볼록 부(2)를 비틀어서 결합 이탈을 시작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장신구용 고정구의 조작상황으로,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22)가 오목부(1)의 유지 테두리체(12)를 눌러서 개구부(14)가 개구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장신구용 고정구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 (1)와 볼록부(2)를 떼어 놓은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 부위의 설명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의 가이드부(15)에 볼록부(2)의 걸림부(21)가 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의 가이드부(15)에 볼록부(2)의 걸림부(21)가 접촉해서 개구부(14)를 밀어 넓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와 볼록부(2)가 결합 완료한 곳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의 유지공간의 전방부 또는 개구부(17)와 볼록부(2)의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23)를 접촉시켜 결합 이탈을 시작하려고 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볼록부(2)를 당기면서 비틀어서 볼록부(2)의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 부(23)가 오목부(1)의 유지공간의 전방부 또는 개구부(17)를 따라서, 결합 이탈구(18)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볼록부(2)를 더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부(21)의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23)가 결합 이탈구(18)까지 이동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4와 실시형태 5와 실시형태 8의 조작상황으로, 오목부(1)의 결합 이탈구(18)가 개구되었기 때문에, 걸림부(21)는 유지 공간(13)에서 오목부(1)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해서 볼록부(2)를 바깥으로 잡아당겨 결합 이탈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련한 고정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참고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및 제9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진 고정구이며, 상기 오목부(1)와 볼록부(2)가 결합 수용할 때는, 볼록부(2)의 걸림부(21)의 외측을 오목부(1)의 삽입용의 가이드부(15)에 접촉해서 누르거나 또는 누르면서 비틀어 오목부의 개구부(14)를 넓힘으로써 개구시켜 볼록부(2)의 걸림부(21)를 오목부(1)의 유지공간(13)으로 넣어서 결합한다.
상기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길이(A)를, 상기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보다 짧은 (B)형상으로 함으로써(도 3 참조), 결합 이탈함에 있어서, 비틀면 반드시 오목부(1)의 개구부(14)를 개방할 수 있다. 결합 이탈함에 있어서 아주 적은 힘으로도 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C)가,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도 1의 C는 A보다 짧다)는, 비틀어도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22)가, 오목부(1)의 개구부(14)에 걸려서 오목부(1)은 개방되지 않는다.
그러나,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B)가,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길이(A)보다 긴 경우(도 3의 B는 A보다 길다)는, 비틈으로써 볼록부(2)의 걸림부(21)의 내측은,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내측을 따라서 결합 이탈구(18)로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걸림 테두리체(22)는 유지 테두리체(12)에 접촉한다. 유지 테두리체(12)를 더 비틀어서, 또는 오목부(1)와 볼록부(2)가, 거의 평행한 상태로 비틈으로써, 유지 테두리체(12)는 눌려서 개구부(14)는 개방되고, 그리고 오목부(1) 또는 볼록부(2)를 결합 이탈 방향으로 잡아당겨, 접속상태를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이다.
인용문헌 1의 오목부는, 볼록부를 90도 회전시켜서 오목부 안으로 볼록부 전체가 들어감으로써 결합 이탈하기 때문에, 볼록부의 전체가 들어갈 공간과 틈새만큼 장축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 그리고, 인용문헌 1의 볼록부는 오목부가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장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길이를 줄여야 한다. 또한, 볼록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손잡이 부분을 길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볼록부도 장축의 중심선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은, 오목부(1) 안으로 볼록부(2)의 전체를 넣을 필요는 없기 때문에 인용문헌 1보다 상당히 짧은 형상이 된다. 볼록부(2)도 90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손잡이 부분도 종래의 길이로 충분하다. 즉, 인용문헌 1과 본 발명은, 형상은 비슷하다 하더라도 오목부과 볼록부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과 길이가 크게 다르다. 오목부(1)의 유지 테두리체(12)가 길어지면, 개구부(14)의 폐쇄되는 힘이 약해진다(폐쇄하는 힘과 유지 테두리체의 길이는 반비례한다). 약해지면 빠져 버릴 위험한 상태가 된다. 또는, 보강하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고정구를 작게 하기 위해서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와 오목부(1)의 개구부(14)의 길이를 대비해서 한정했다. 그리고 또한, 결합 이탈 방법도 비트는 것에 한정하고, 결합 이탈구도 오목부(1), 또는 볼록부(2)의 내측으로 한정하였다.
보석 업계에 있어서, 고정구를 작게 하는 요구는 있어도 큰 것은 요구되지 않는다. 또, 개구부(14)의 길이란, 오목부(1)의 장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길이를 말한다. 볼록부(2)의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란, 볼록부(2)의 장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길이 중에서 최대 값 부분을 말한다. 삽입용 가이드부 또는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란, 오목부(1), 또는 볼록부(2)의 장축의 중심선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은 부분이며, 삽입, 또는 결합 이탈을 이끄는 부위를 말한다.
(제2 실시형태)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2)의 걸림부(21) 내측에는 한 쌍의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23)의 선단은, 볼록부(2)의 장축의 중심선 부근에 집합한다.
한쪽의 상기 오목부(1)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한 쌍의 개구부(14)를 구비하며, 개구부(14)의 외측에는 한 쌍의 삽입용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1)의 한 쌍의 개구부(14)보다 긴 볼록부(2)의 한 쌍의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23)를 구비함으로써 우회전 또는 좌회전 어느 쪽으로 비틀어도 원활하게 결합 이탈할 수 있는 고정구(도 14, 도 15, 도 16 참조)이다.
목걸이의 제거는, 목의 뒤쪽에서 조작하므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비트는 행위는 사람에 따라서 우회전이 편한 사람과 좌회전이 편한 사람이 있다.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어느 쪽으로 비틀어도 결합 이탈할 수 있는 고정구는 매우 편리할 것이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한 쌍의 오목 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오목부(1)의 유지 테두리체(12)의 후방의 단면 형상은, 상하의 길이 1에 대해서 좌우의 길이 2이내이다. 또는, 좌우의 길이 1에 대해서 상하의 길이 2이내로 한다. 인용문헌 1의 개구부는, 상하의 개폐 운동뿐이므로 장축의 중심선 부근의 후부는, 상하 방향으로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좌우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비틀면 좌우의 방향으로 금속 피로가 발생한다. 즉, 비튼다는 것은 상하와 좌우의 개구 폭은 같아지므로 강도도 동일한 정도로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두께도 동일한 정도로 필요해진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오목부(1)의 한쪽의 개구부(14)의 선단의 면은, 다른 한쪽의 개구부(14)의 외측의 삽입용 가이드부(15)에 대향하고 있거나 또는 장축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은 구조이다. 부주의로 결합 이탈하는 힘은, 장축방향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작용한다. 결합 이탈구(18)의 면이 평행하지 않으면 마찰 저항이 커져 부주의로 빠지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개구부(14)의 선단부를 예각으로 해서, 부주의한 결합 이탈을 막고 있는데, 골드 플래티넘과 같은 금속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사용 중에 변형되기 쉬워서 불량품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제4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4)의 선단부를 면으로 함으로써,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며, 장축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부주의한 결합 이탈을 없애는 구조이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상기의 오목부(1)의 어느 한쪽의 개구부(14)의 선단은, 다른 한쪽의 개구부(14)의 선단보다 오목부(1)의 안쪽을 향해서 길다. 즉, 오목부(1)의 개구부(14)와 개구부(14)의 선단에 단차가 생긴다. 볼록부(2)의 걸림부(21)가 개구부(14)와 개구부(14) 사이에 머물 기회가 없기 때문에 부주의한 결합 이탈을 하는 힘이 작용해도 빠지는 일은 없는 구조이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상기의 오목부(1)의 한쪽의 개구부 (14)의 내측은, 유지 테두리체(12)와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19)의 내각이 둔각이며, 다른 한쪽의 오목부의 개구부(14)의 내측은, 유지 테두리체(12)와 유지 공간의 전방부 또는 개구부의 내측(17)의 내각이 예각이다. 다른 한쪽의 내각이 예각인 개구부(14)의 선단은, 한쪽의 내각이 둔각의 개구부(14) 선단 또는 외측의 삽입용의 가이드부(15)에 대향하고 있다. 부주의한 결합 이탈하는 힘이 작용해도, 볼록부(2)의 걸림부(21)의 내측은, 내각이 둔각인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따라서 결합 이탈구(19)를 통과해서 내각이 예각인 유지 공간의 전방부 또는 개구부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해서 멈춘다. 결합 이탈구(18)는, 마찰 저항이 적은 통과점이 되어 머물 일이 없기 때문에 부주의한 결합 이탈하는 일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볼록부(2)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걸림 테두리체(22)와 걸림 테두리체(22)에 둘러싸인 공간의 걸림 수용부 (25)와, 걸림 테두리체(22)의 후부의 목 부분(26)으로 이루어지고, 볼록부(2)의 목 부분(26)의 외주에는 연속 또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외각체(57)를 구비하며, 걸림 테두리체(22)의 선단부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걸림부(21)를 구비하고, 걸림부(21)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부주의한, 결합 이탈하는 힘이 작용해도 외각체(57)가 볼록부(2)의 걸림부(21)의 개구를 저지하기 때문에 빠지는 일은 없다. 결합 이탈할 때는, 볼록부(2)의 걸림부(21)의 내측에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2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 수용했을 때와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비틀면, 볼록부의 걸림부(21)를 넓히면서 개방하여 양자를 결합 이탈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속 상태를 해제한다.
(제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역지 손톱(check claw)(14)은, 유지 테두리체(12)와 개구부(14)의 내각이 0 °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것을 말한다.
(제9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에 관해서는, 한 쌍의 오목부(1)와 볼록부(2)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이며, 상기의 오목부(1)의 유지 테두리체(12)와 개구부(14)의 내각은, 45도 이상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 이탈함에 있어서, 45도이하라면 마찰 저항이 크고 원활하게 조작할 수 없다. 고정구가 작아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원활하게 조작할 수 없는 것이 필연적이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구의 형상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상기 요건을 충족하여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장신구용 고정구는,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목걸이의 고정구와 같은 장신구 외에 다른 모든 물건과 물건을 잇는 연결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1; 오목부
12; 유지 테두리체
13; 유지공간
14; 개구부 또는 역지손톱(逆止爪)
15; 삽입용 가이드부
17; 유지공간의 전방부 또는 개구부의 내측
18; 결합 이탈구(係合離脫口)
19; 오목부의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
2; 볼록부
21; 볼록부의 걸림부
22; 걸림 테두리체
23; 볼록부의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
25; 걸림 수용부
26; 목부
56; 볼록부의 한 쌍의 결합 이탈용 가이드부의 집합점
58; 볼록부의 최후부
A; 개구부의 길이
B;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B는 A보다 길다)
C; 걸림 테두리체와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C는 A보다 작다)
D;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장축의 중심선

Claims (9)

  1. 한 쌍의 오목부(凹部)와 볼록부(凸部)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연속 또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걸림(係止) 테두리체와, 해당 걸림 테두리체에 둘러싸인 공간의 걸림 수용부와, 상기 걸림 테두리체의 선단의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유지(保持) 테두리체와, 해당 유지 테두리체에 둘러싸인 유지 공간으로 구성되며, 또 상기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탄성적으로 폐쇄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 해당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또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걸림 테두리체와 상기 걸림 테두리체 사이의 길이보다 짧고, 또 상기 개구부의 선단, 또는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내측에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유지 공간에서 외부로 결합 이탈하기 위한 결합 이탈구를 구비하며, 또 해당 결합 이탈구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틀면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어, 결합 이탈이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걸림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걸림부를 구비하며, 또 해당 한 쌍의 걸림부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 해당 한 쌍의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후부(後部)는 사슬형태(鎖狀)의 단부와 접속되는 부위이며, 또 상기 오목부의 후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단면의 형상은, 12시와 6시 방향의 길이 1에 대해서 9시와 3시 방향의 길이는 2이내이고, 또는 상기 유지 테두리체의 후부의 단면의 형상은, 9시와 3시 방향의 길이 1에 대해서 12시와 6시 방향의 길이는 2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또 해당 한 쌍의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또 한쪽의 개구부의 선단의 면은, 다른 한쪽의 개구부의 삽입용의 가이드부에 대향하고 있고, 또는, 상기 오목부의 한쪽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의 면은 장축 방향의 중심선 부근에 있으며, 또 장축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오목부의 어느 한쪽의 개구부의 선단은, 다른 한쪽의 개구부의 선단보다 상기 오목부의 안쪽을 향해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한 쌍의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오목부의 상기 한 쌍의 개구부의 외측에는 삽입용의 가이드부가 있고, 또 한쪽의 개구부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이며, 다른 한쪽의 오목부의 개구부의 선단의 면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의 선단, 또는 상기 삽입용의 가이드부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환상의 걸림 테두리체와 해당 걸림 테두리체에 둘러싸인 공간의 걸림 수용부와, 상기 걸림 테두리체의 선단부에는 탄성적으로 폐쇄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또 해당 걸림부의 선단 또는 해당 걸림부의 선단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구를 구비하고, 또 상기 걸림 테두리체의 후부에는 목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걸림 수용부의 전방, 또는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는 결합 이탈용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또 상기 목 부분의 외주에는 연속 또는 불연속상으로 형성한 외각체(外殼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과 볼록부로 이루어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은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해당 개구부는 유지 공간의 중심부를 향해서 돌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결합 유지 상태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걸림 테두리체의 내측에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개구부를 포착하여, 상기 유지 테두리체의 개구를 저지하는 역지손톱(逆止爪)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유지 테두리체의 선단에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유지 테두리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각은 45도 이상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KR1020197028888A 2017-09-08 2018-08-30 장신구 등의 고정구 KR102243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7155A JP6413121B1 (ja) 2017-09-08 2017-09-08 装身具などの止め具
JPJP-P-2017-187155 2017-09-08
PCT/JP2018/032039 WO2019049759A1 (ja) 2017-09-08 2018-08-30 装身具などの止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644A true KR20190119644A (ko) 2019-10-22
KR102243393B1 KR102243393B1 (ko) 2021-04-22

Family

ID=6401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888A KR102243393B1 (ko) 2017-09-08 2018-08-30 장신구 등의 고정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96208B2 (ko)
EP (1) EP3607849A4 (ko)
JP (1) JP6413121B1 (ko)
KR (1) KR102243393B1 (ko)
CN (1) CN110573040B (ko)
WO (1) WO2019049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3121B1 (ja) 2017-09-08 2018-10-31 有限会社宝石のエンジェル 装身具などの止め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044U (ja) * 1997-02-28 1997-09-05 有限会社エーワン商会 連結構造
JP2016221179A (ja) 2015-06-04 2016-12-28 夢加 酒井 接続構造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装身具

Family Cites Familie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04A (en) * 1877-03-27 Improvement in cotton-bale ties
US586177A (en) * 1897-07-13 grapes
US362094A (en) * 1887-05-03 Shoe-fastening
US688620A (en) * 1901-06-13 1901-12-10 Dora Floerckey Hook and eye.
US742893A (en) * 1903-06-27 1903-11-03 George W Mcgill Spring-clip.
US763303A (en) * 1903-08-26 1904-06-21 Joseph Alexander Mayers Clip.
US1548274A (en) * 1925-01-02 1925-08-04 Jesse F Mitchell Safety chain clasp
US1590172A (en) * 1925-03-27 1926-06-22 George E Thorberg Token holder
US1728560A (en) * 1928-11-30 1929-09-17 John F Goshorn Snap for fishing tackle
US1992093A (en) * 1931-03-09 1935-02-19 George E Gagnier Spring fastener
US2365520A (en) * 1941-11-29 1944-12-19 Bendix Aviat Corp Fastening device
US2313859A (en) * 1942-08-26 1943-03-16 Eastern Tool & Mfg Co Method of making clasp members for belts and the like
US2822593A (en) * 1953-10-22 1958-02-11 Sponsel Charles Paper clips
US3120041A (en) * 1958-08-11 1964-02-04 Voss Walter Christian Money carrier
US3105278A (en) * 1961-02-27 1963-10-01 Sponsel Charles Clip for sheet material
US3225469A (en) * 1961-08-02 1965-12-28 Chase Marston Paper clip index tab
US3212303A (en) * 1962-12-07 1965-10-19 Kenneth J Haffner Cloth article cleaning tool
US3132391A (en) * 1963-01-08 1964-05-12 Osmund L Steensland Paper clip
US3333307A (en) * 1965-02-24 1967-08-01 Philip T Wheeler Clip
US3408700A (en) * 1967-04-12 1968-11-05 Marston S. Chase Reinforced paper clip
JPS488951Y1 (ko) * 1970-04-10 1973-03-08
US3800365A (en) * 1973-02-22 1974-04-02 P Bruggert Clip for attaching stalks to a wire or other like elongated supported member
JPS5519368Y2 (ko) * 1974-06-05 1980-05-08
US3936914A (en) * 1975-04-07 1976-02-10 Mancini William A Separable fastener
US4234998A (en) * 1978-10-20 1980-11-25 Berkley & Company Wire snap
US4324025A (en) * 1980-02-19 1982-04-13 Apri Edward W Clamp
JPS5747452Y2 (ko) * 1980-11-21 1982-10-19
JPS57141512U (ko) * 1981-02-25 1982-09-04
JPS6025417U (ja) * 1983-07-27 1985-02-21 三栄工業株式会社 接続具
JPS59115980U (ja) * 1983-09-02 1984-08-04 有限会社木村商店 なす環兼用キ−ホルダ−
JPS61116514U (ko) * 1985-01-05 1986-07-23
US4665594A (en) * 1986-02-27 1987-05-19 Wagner Hans R Multi-purpose clip
USD301897S (en) * 1986-04-25 1989-06-27 Wagner Hans R Paper clip or similar article
US4696120A (en) * 1987-02-13 1987-09-29 Schroeder Donald R Fishline snap connector
FI79780C (fi) * 1988-03-31 1990-03-12 Ranta Olavi A Saekerhetslaos.
US5094745A (en) 1990-05-04 1992-03-10 Allied-Signal Inc. Coolant filter with inhibitor pack
JP2568408Y2 (ja) * 1990-10-18 1998-04-15 株式会社 生産日本社 リング付スライダーを備えた袋体
US5210912A (en) * 1992-06-09 1993-05-18 Hoefkes Heiner J Coupling member and cleat
JPH074062U (ja) * 1993-06-15 1995-01-20 竺億有限公司 クリップ
US5553363A (en) * 1995-07-17 1996-09-10 Chen; Kelvin K. Paper clip safety pin
GB9600966D0 (en) * 1996-01-17 1996-03-20 Sharp Kenneth Detachable fixing
US6467135B1 (en) * 1997-11-14 2002-10-22 Acco Brands Inc. Security zipper pull
GB2337291B (en) * 1998-05-14 2002-03-20 Ts Tech Co Ltd Tensioning clip for seat covering
US5979021A (en) * 1998-09-08 1999-11-09 Swift; Kenneth C. Necktie manager
US6226843B1 (en) * 1999-02-25 2001-05-08 Design Standards Corporation Ligating clip
JP2002037582A (ja) * 2000-07-27 2002-02-06 Ito Seisakusho:Kk フック体
US20040064920A1 (en) * 2002-07-21 2004-04-08 Arduini Douglas Paul Multipurpose paper clip and spring clamp
JP2004121759A (ja) * 2002-08-07 2004-04-22 ▲高▼木 哲二 装身具用連結器具
US20050035605A1 (en) * 2003-08-13 2005-02-17 Kathryn Vanderwater-Piercy Security device for luggage
JP4721088B2 (ja) * 2003-11-07 2011-07-13 義正 山岸 装身具接続金具及び専用プレート
JP4643971B2 (ja) * 2004-11-04 2011-03-02 株式会社ロージィブルー 装身具用留め具
TWM274253U (en) * 2004-11-22 2005-09-01 Jen-Jia Jeng Dual connection paper clip
US7448155B2 (en) * 2005-11-10 2008-11-11 Michael Dolas Money clip
US7516523B2 (en) * 2006-03-15 2009-04-14 Nike, Inc. Concealed zipper
US20080022498A1 (en) * 2006-07-27 2008-01-31 Stanley Griffith Clasp Apparatus Having Connector Clasp and Safety Clasp
US20110258813A1 (en) * 2010-04-26 2011-10-27 Kai Chen Lu Paper clip
US8925157B2 (en) * 2010-08-31 2015-01-06 Tod M. O'Daniel Front to back reversible multiple planar paper clip with double clipping effect
USD657282S1 (en) * 2011-02-07 2012-04-10 Dos Santos Villar Filho Lydiberto Heart jewelry
US9970474B2 (en) * 2012-08-20 2018-05-15 Jeffrey D. Jacobson Hook device
US20140090210A1 (en) * 2012-10-03 2014-04-03 Theodore Tillinghast Clamping Device
US9226549B2 (en) * 2012-12-06 2016-01-05 Y-Tex Corporation Tag hanger
CN103892527A (zh) * 2012-12-28 2014-07-02 青岛郑一金属有限公司 一种项链接扣
US10060466B2 (en) * 2013-05-08 2018-08-28 Ykk Corporation Fastening device and hook part
US9341203B1 (en) * 2013-07-03 2016-05-17 Brian K. Disharoon Releasable clip
USD727625S1 (en) * 2013-12-10 2015-04-28 Kelly Eva Ellingson Clip with curled ornament retention ends
US20150176618A1 (en) * 2013-12-23 2015-06-25 Mattson Thomas Thieme Fastener device
USD723970S1 (en) * 2014-05-16 2015-03-10 Jason Tomaselli Jewelry clasp
US20160047084A1 (en) * 2014-08-14 2016-02-18 Jordan Michael Biller Sock Clip
USD744895S1 (en) * 2014-10-09 2015-12-08 Patrick Burns Fishhook heart
US10731728B2 (en) * 2015-07-23 2020-08-04 Gary Anthony Horgan Ligature attachment device
CN205923150U (zh) * 2016-08-04 2017-02-08 秦兵 快取挂扣
CN206101820U (zh) * 2016-09-30 2017-04-19 广州市塞飞洛皮具有限公司 一种可装卸组合扣件
JP6413121B1 (ja) 2017-09-08 2018-10-31 有限会社宝石のエンジェル 装身具などの止め具
WO2019089440A1 (en) * 2017-10-30 2019-05-09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Latching wire clip
USD890013S1 (en) * 2018-05-29 2020-07-14 Virgil Abloh Jewelry item
US10814771B2 (en) * 2018-09-12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abiner with cantilever sp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044U (ja) * 1997-02-28 1997-09-05 有限会社エーワン商会 連結構造
JP2016221179A (ja) 2015-06-04 2016-12-28 夢加 酒井 接続構造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73040B (zh) 2021-09-21
KR102243393B1 (ko) 2021-04-22
JP2019048019A (ja) 2019-03-28
US11596208B2 (en) 2023-03-07
EP3607849A1 (en) 2020-02-12
US20200253338A1 (en) 2020-08-13
WO2019049759A1 (ja) 2019-03-14
CN110573040A (zh) 2019-12-13
EP3607849A4 (en) 2021-01-06
JP6413121B1 (ja)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527B2 (en) Magnetic jewelry clasp
US6481069B1 (en) Bracelet connector
CN109488728A (zh) 绳扣
RU2365529C2 (ru) Вытяжная пломба с двунаправленным запирающи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US5735025A (en) Ergonomic recessed release safety hook
US5577304A (en) Karabiner with dynamic locking feature
JP5052617B2 (ja) 連結具
US4286360A (en) Jewelry clasp
US10104943B2 (en) Pull and release latch
KR101577599B1 (ko) 장신구의 잠금구조
KR20190119644A (ko) 장신구 등의 고정구
GB2140860A (en) Releasable clasp
US20160360839A1 (en) Buckle
US7676894B2 (en) Clasp for jewelry, especially for necklaces and bracelets
JP7108441B2 (ja) 吊架線保護カバー
TWM474533U (zh) 供防墜器使用之連接裝置
KR20180064874A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JPS5944203A (ja) 掛止具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JP3242660U (ja)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の安全掛け金
CN209610083U (zh) 用于配饰的锁定机构
KR101039811B1 (ko)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JP2016221179A (ja) 接続構造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装身具
CN216723411U (zh) 圆绳织带两用固定夹钩扣
KR200358446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