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811B1 -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 Google Patents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811B1
KR101039811B1 KR1020080091140A KR20080091140A KR101039811B1 KR 101039811 B1 KR101039811 B1 KR 101039811B1 KR 1020080091140 A KR1020080091140 A KR 1020080091140A KR 20080091140 A KR20080091140 A KR 20080091140A KR 101039811 B1 KR101039811 B1 KR 10103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detachable
hinge
cas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144A (ko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이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우 filed Critical 이준우
Priority to KR102008009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8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6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c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분증 케이스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임의에 따라서 신분증 케이스가 걸리는 홀더의 힌지 축이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조작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신분증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 있어서, 상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입력된 줄의 양쪽 끝이 맞물려 고정되게 하는 버클 레버가 버클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써 장착되는 한편 버클 바디의 하부에는 양쪽을 향해 탄성 작용하는 탈착 훅이 돌출 형성된 줄 결속용 버클; 탈착 훅이 끼워지는 탈착 구멍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되 탈착 구멍의 하측 양쪽 측면에는 탈착 훅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착용 해제 편이 형성된 탈착 바디; 및 신분증 케이스의 고리가 끼워지거나 빠지게 내측에 탄성 누름판이 하향 형성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에는 힌지 결합공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이 상향 돌출 형성되되 힌지 축의 상단부에는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의 회전방지 헤드가 형성되어 힌지 결합공에 위치되는 힌지 축의 위치가 원기둥 형태의 하부구간 또는 사각 형태의 상부구간으로 임의 선택될 수 있게 형성된 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신분증, 케이스, 목걸이, 줄, 홀더

Description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Device for hanging an ID card case}
본 발명은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분증 케이스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임의에 따라서 신분증 케이스가 걸리는 홀더의 힌지 축이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조작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신분증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 관한 것이다.
신분이 특정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특정 건물이나 구역 내에서는 출입자에 대하여 신분증의 착용이 권유되거나 의무로 되어 있다. 이때,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인데,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는 그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이 투명하게 이루어져 상대방의 신분증 착용자의 신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471687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20-412775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의 문헌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줄에 신분증 케이스가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줄과 신분증 케이스 이외에도 여러 형태로 제공 및 사용되고 있는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가 사용된다.
도 1 은 종래의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에 걸도록 길이가 긴 줄(20)의 양쪽 끝을 잇는 결속구(12) 및 신분증 케이스(30)의 고리(32)가 걸리는 집게 형태로 하부에 위치되는 홀더(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신분증 착용자는 집게 형태의 홀더(14)에 신분증 케이스(30)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32)를 걸어 신분증 케이스(30)가 줄(20)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착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는 신분증 케이스의 상부가 걸리는 홀더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거나 또는 전혀 회전될 수 없게 구성되기 때문에 신분증의 상태를 착용자가 원하는 대로 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는 일정 세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착용자의 목에 걸려 있는 줄로부터 신분증 케이스가 쉽게 분리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착용자 등의 실수로 신분증 케이스가 지하철이나 건물의 자동문 등에 끼이게 될 경우에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신분증 착용자의 임의로 신분증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된 홀더의 축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하거나 회전될 수 없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신분증 케이스의 안정된 착용이 가능하게 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신분증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분증 케이스가 지하철이나 건물 등에 설치된 자동문 등에 걸리게 되었을 경우에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전달되면 신분증 케이스가 사용자의 목에 걸린 줄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 있어서, 상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입력된 줄의 양쪽 끝이 맞물려 고정되게 하는 버클 레버가 버클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써 장착되는 한편 버클 바디의 하부에는 양쪽을 향해 탄성 작용하는 탈착 훅이 돌출 형성된 줄 결속용 버클; 탈착 훅이 끼워지는 탈착 구멍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되 탈착 구멍의 하측 양쪽 측면에는 탈착 훅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착용 해제 편이 형성된 탈착 바디; 및 신분증 케이스의 고리가 끼워지거나 빠지게 내측에 탄성 누름판이 하향 형성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에는 힌지 결합공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이 상향 돌출 형성되되 힌지 축의 상단부에는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의 회전방지 헤드가 형성되어 힌지 결합공에 위치되는 힌지 축의 위치가 원기둥 형태의 하부구간 또는 사각 형태의 상부구간으로 임의 선택될 수 있게 형성된 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서 힌지 축 상단에 마련된 회전방지 헤드는 상부 테두리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 중간 부분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절개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서 줄 결속용 버클의 버클 레버 상단 내면 상에 줄을 가압하게 내향 돌출된 가동 가압돌기의 끝단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버클 레버의 하단 내면 양측 상에는 가동 가압돌기가 줄을 누르는 상태가 유지되게 버클 바디에 대해 조립되는 버클 잠금 훅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서 버클 레버의 잠금 작동시 가동 가압돌기가 위치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의 버클 바디 안쪽 면 상부에는 고정 가압돌기가 일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는 신분증 케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임의로 홀더의 축이 회전되게 하거나 회전되지 않게 할 수 있음에 따라서 신분증 케이스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하철이나 건물 등에 설치된 자동문의 문틈에 신분증 케이스가 끼이게 되는 경 우에 일정 세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목에 걸린 줄로부터 신분증 케이스가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버클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홀더가 잠긴 상태의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가 외부 힘이 전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100)는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신분증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길이가 긴 줄(200)의 양쪽 끝을 이어주는 한편 신분증 케이스(300)의 착용 또는 미착용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줄 결속용 버클(110), 줄 결속용 버클(110)의 하부에 탈착되는 한편 신분증 케이스(300)의 앞뒷면 전환이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수단의 일부가 형성된 탈착 바디(140) 및 신분증 케이스(300)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310)가 직접 걸리는 한편 신분증 케이스(300)의 앞뒷면 전환이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수단의 일부가 형성된 홀더(15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100)의 줄 결속용 버클(110)은 버클 바디(120)와 버클 레버(130)로 분리 형성된 후에 양 부품이 상호 조립되게 하는 조립공정을 통해서 일체화된다. 양 부품의 상호 조립은 버클 바디(120)의 양쪽 측벽에 마련된 핀 공(121)에 버클 레버(13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힌지 핀(132)을 끼우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버클 바디(120)와 버클 레버(130)가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줄(200)의 양쪽 끝이 수용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버클 바디(120)의 양쪽에는 일정 폭을 갖는 측벽(1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버클 바디(120)의 양쪽 측벽(122) 하부 사이에는 측벽(12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하부벽(123)이 형성됨에 따라서 버클 레버(130)가 닫힘 동작하게 된 상태에서는 줄 결속용 버클(110)의 상부를 제외하고 전후좌우 사방과 하부 측은 닫힌 상태가 된다. 줄 결속용 버클(110)의 개방된 상부는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줄(200)이 끼워지는 입구(112)가 된다. 물론, 줄 결속용 버클(110)의 개방된 상부는 줄(200)의 양쪽 끝이 끼워지는 입구가 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줄이 빠지게 되는 출구가 되기도 한다.
한편, 버클 바디(120)의 하부벽(123)에는 소정의 길이로 하향 돌출된 탈착 훅(128)이 일체로 형성된다. 탈착 훅(128)은 줄 결속용 버클(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탈착 바디(140)의 조립 및 분리가 허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탈착 훅(128)은 하부벽(123)으로부터 소정 길이 하향 돌출 형성된 막대 형상의 서포터(128a) 양측에 간격을 두고 탄성 날개편(128b)이 형성된다. 특히, 탄성 날개편(128b)의 하단은 서포터(128a)의 하단에 연결되되 그 상단은 서포터(128a)의 측면과 일정 간격이 떨어져 탄성 날개편(128b)의 하단을 기점으로 그 상단 사이의 간격이 일정 범위 내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버클 바디(120)의 내면 상부에는 버클 레버(130)가 닫힌 상태로 동작하게 되어 줄(200)의 양쪽 끝이 물리게 하는 과정에서 더욱 안정된 줄의 결속을 위한 고정 가압돌기(124)가 일정 높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줄 결속용 버클(110)의 버클 레버(130)의 상단부 내면 상에는 줄이 눌리도록 내향 돌출된 가동 가압돌기(134)가 형성되는데, 이때 가동 가압돌기(134)의 끝단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일반적인 경우, 결속 대상물이 더욱 강하게 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버클 레버에 형성되는 가동 가압돌기는 톱니 형태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 따른 버클 레버(130)의 가동 가압돌기(134)는 유사시에 줄(200)이 줄 결속용 버클(110)로부터 빠질 수 있게 일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버클 바디(120)에 대하여 버클 레버(130)가 닫혀 줄(200)이 눌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버클 레버(130)의 하단 내면 양측 상에는 버클 잠금 훅(136)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버클 잠금 훅(136)과 대응되는 버클 바디(120)의 위치 상에는 버클 잠금 훅(136)이 끼워지는 훅 구멍(126)이 관통 형성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 구멍(126)의 주변에는 버클 바디(120)를 보강하는 보강편(127)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탈착 바디(140)는 전술한 바와 구성된 줄 결속용 버클(1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탈착 훅(128)에 대하여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탈착 바디(140)에는 전술한 탈착 훅(128)이 끼워지는 탈착 구멍(142)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탈착 바디(140)의 하부에는 그 하부 측에 위치되는 홀더(150)의 조립을 위한 힌지 결합공(146)이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탈착 바디(140)의 힌지 결합공(146)은 사각 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탈착 바디(140)의 하부에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146)이 형성되는 이유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홀더(150)의 상부에 마련된 힌지 축(154)의 위치를 변경시켜 힌지 축(154)이 회전되게 하거나 회전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탈착 바디(140)의 양쪽 측면에는 탈착 바디(140)의 탈착 구멍(142)이 줄 결속용 버클(110)의 탈착 훅(128)으로부터 해제되어 줄 결속용 버클(110)로부터 탈착 바디(140)가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착용 해제 편(144)이 상호 대칭된 구조로 형성된다.
전술한 탈착 바디(140)의 하부에 위치되는 홀더(150)는 내측에 탄성 누름판(152)이 하향 형성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신분증 케이스(300)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310)가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홀더(150)의 상부에는 탈착 바디(140)의 하부에 마련된 힌지 결합공(146)에 조립되는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154)이 일정 길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특히, 힌지 축(154)의 상단부에는 힌지 결합공(146)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의 회전방지 헤드(156)가 형성된다.
회전방지 헤드(156)는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154)이 지름보다 약간 큰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갖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탈착 바디(140)에 형성된 힌지 결합공(146)을 통해서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154)은 자연스럽게 통과될 수 있되 사각 형태의 회전방지 헤드(156)는 걸리게 되어 결국은 탈착 바디(140)에 대한 홀더(150)의 회전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힌지 축(154)의 상단부에 회전방지 헤드(156)가 형성됨에 따라서 신분증 케이스(300)를 착용한 착용자는 힌지 결합공(146)에 위치되는 힌지 축(154)의 위치를 원기둥 형태의 하부구간과 사각 형태의 상부 구간 중에서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회전방지 헤드(15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 테두리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탈착 바디(140)와 홀더(150)를 처음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홀더(150)의 힌지 축(154)을 탈착 바디(140)의 힌지 결합공(146)에 강제로 억지 끼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회전방지 헤드(156)의 상부 중간 부분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절개홈(156a)이 형성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 바디(140)의 힌지 결합공(146)으로 강제 조립된 회전방지 헤드(156)에 일정 수준의 탄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줄 결속용 버클(110), 탈착 바디(140) 및 홀더(150)는 상에서 하의 방향으로 차례로 조립된다. 또한, 줄 결속용 버클(110)의 한쪽 측면을 이루는 버클 레버(13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줄(200)의 양쪽 끝을 줄 결속용 버클(110)의 상부에 마련된 입구(112)로 밀어 넣은 후, 버클 레버(130)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줄(200)의 양쪽 끝이 상호 결속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홀더(150)의 탄성 누름판(152)이 눌린 상태에서 신분증 케이스(300)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310)는 홀더(150)의 개방된 구간을 통해서 밀어 넣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줄 결속용 버클(110)과 탈착 바디(140) 사이는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즉, 탈착 바디(140)의 양쪽 측면에 마련된 착용 해제 편(144) 사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착용 해제 편(144)의 작동에 의해서 줄 결속용 버클(110)의 탈착 훅(128)이 오므라들면서 줄 결속용 버클(110)로부터 탈착 바디(14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100)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서 탈착 바디(140)에 대한 홀더(150)의 위치 및 회전가능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우선, 홀더(15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 축(154)의 하부 구간 즉,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154)이 탈착 바디(140)에 마련된 힌지 결합공(146)에 위치되게 하면, 힌지 축(154)은 힌지 결합공(146)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진 상태가 됨에 따라서 홀더(15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분증 케이스(300)에 담긴 신분증의 앞면 또는 뒷면이 수시로 뒤바뀔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탈착 바디(140)에 대하여 홀더(150)를 하측 방향으로 당겨 힌지 축(154)의 상부 구간인 회전방지 헤드(156)가 탈착 바디(140)에 마련된 힌지 결합공(146)에 위치되게 하면, 힌지 축(154)은 힌지 결합공(146)에 대하여 억지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탈착 바디(140)에 대해서 홀더(15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되어 신분증 케이스(300)에 담긴 신분증의 앞면 또는 뒷면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100)는 줄 결속용 버클(110)의 가동 가압돌기(134) 및 고정 가압돌기(124)가 톱니 형태가 아닌 일자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목에 걸린 신분증 케이스(300)가 지하철이나 건물 등의 자동문에 혹시 끼이게 되더라도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목에 줄(200)이 걸린 상태에서 신분증 케이스(300)가 갑작스럽게 당겨져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줄(200)의 끝이 줄 결속용 버클(110)의 입구(112)로부터 빠지게 되면서 착용자는 위험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에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버클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홀더가 잠긴 상태의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가 외부 힘이 전달된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110. 줄 결속용 버클 112. 입구
120. 버클 바디 121. 핀 공
122. 측벽 123. 하부벽
124. 고정 가압돌기 126. 훅 구멍
127. 보강편 128. 탈착 훅
130. 버클 레버 132. 힌지 핀
134. 가동 가압돌기 136. 버클 잠금 훅
140. 탈착 바디 142. 탈착 구멍
144. 착용 해제 편 146. 힌지 결합공
150. 홀더 152. 탄성 누름판
154. 힌지 축 156. 회전방지 헤드
200. 줄 300. 신분증 케이스

Claims (4)

  1.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에 있어서,
    상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입력된 줄의 양쪽 끝이 맞물려 고정되게 하는 버클 레버가 버클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써 장착되는 한편 상기 버클 바디의 하부에는 양쪽을 향해 탄성 작용하는 탈착 훅이 돌출 형성된 줄 결속용 버클;
    상기 탈착 훅이 끼워지는 탈착 구멍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탈착 구멍의 하측 양쪽 측면에는 상기 탈착 훅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착용 해제 편이 형성된 탈착 바디; 및
    신분증 케이스의 고리가 끼워지거나 빠지게 내측에 탄성 누름판이 하향 형성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에는 상기 힌지 결합공에 헐겁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태의 힌지 축이 상향 돌출 형성되되 상기 힌지 축의 상단부에는 상기 사각 형태의 힌지 결합공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의 회전방지 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결합공에 위치되는 힌지 축의 위치가 원기둥 형태의 하부구간 또는 사각 형태의 상부구간으로 임의 선택될 수 있게 형성된 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 상단에 마련된 회전방지 헤드는 상부 테두리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 중간 부분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절개홈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줄 결속용 버클의 버클 레버 상단 내면 상에 줄이 가압되게 내향 돌출된 가동 가압돌기의 끝단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버클 레버의 하단 내면 양측 상에는 상기 가동 가압돌기가 줄을 누르는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버클 바디에 대해 조립되는 버클 잠금 훅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레버의 잠금 작동시 상기 가동 가압돌기가 위치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의 상기 버클 바디 안쪽 면 상부에는 고정 가압돌기가 일자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KR1020080091140A 2008-09-17 2008-09-17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KR10103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140A KR101039811B1 (ko) 2008-09-17 2008-09-17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140A KR101039811B1 (ko) 2008-09-17 2008-09-17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144A KR20100032144A (ko) 2010-03-25
KR101039811B1 true KR101039811B1 (ko) 2011-06-09

Family

ID=4218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140A KR101039811B1 (ko) 2008-09-17 2008-09-17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35B1 (ko) 2018-04-16 2019-06-2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07A (ko) * 2014-07-02 2016-01-12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용 안전 끈 및 이를 갖는 표찰 케이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35A (ko) * 2001-09-18 2003-03-26 한국화학연구원 광변색 나노 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2745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기반 인터넷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24335Y1 (ko) 2003-05-27 2003-08-25 이준우 핀온릴의 회전방지 구조
KR200327457Y1 (ko) 2003-06-18 2003-09-22 김보영 표찰케이스용 목걸이부재
KR20040012775A (ko) * 2001-05-11 2004-02-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 이용한 편성방법과 편성 프로그램
KR20040017687A (ko) * 2002-08-23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KR200412775Y1 (ko) 2006-01-19 2006-03-31 석영복 신분증 목걸이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775A (ko) * 2001-05-11 2004-02-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 이용한 편성방법과 편성 프로그램
KR20030024335A (ko) * 2001-09-18 2003-03-26 한국화학연구원 광변색 나노 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2745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기반 인터넷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7687A (ko) * 2002-08-23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KR200324335Y1 (ko) 2003-05-27 2003-08-25 이준우 핀온릴의 회전방지 구조
KR200327457Y1 (ko) 2003-06-18 2003-09-22 김보영 표찰케이스용 목걸이부재
KR200412775Y1 (ko) 2006-01-19 2006-03-31 석영복 신분증 목걸이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35B1 (ko) 2018-04-16 2019-06-26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144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673A (ko) 모듈러 부착 시스템
US4977647A (en) Double locking snap hook
US6502285B2 (en) Immobilized and aligned closure systems
EP0908112B1 (en) Locking device of a buckle of belt-shaped ornament
CN112089157B (zh) 搭扣
US6185794B1 (en) Buckle, particularly for the heel strap of open heel swim fins
KR101039811B1 (ko)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CN113729368A (zh) 首饰扣
US7407430B1 (en) Adjustable front closure for bra or bikini top
US8051542B2 (en) Detachable lanyard buckle
US20140224190A1 (en) Clasp
ITGE940079A1 (it) Pinna da nuoto munita di fibbia per l'agganciamento del cinghiolo a
ES2741128T3 (es) Sistema de hebilla de cinturón
KR20180045885A (ko) 개목걸이
US5860198A (en) Anchoring device having a rapid release clasp
KR200413079Y1 (ko) 스냅단추
US20200046085A1 (en) Toggle Lever Closure
ES2264495T3 (es) Dispositivo de estrangulacion para partes del cuerpo.
US4632226A (en) Anti-falling device with rapid introduction and withdrawal of the cord in any position of this latter
KR20120006124U (ko)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RU2310357C2 (ru) Пряжка для ремня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JP3242660U (ja)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の安全掛け金
EP2262392A1 (en) A clas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