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135B1 -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 Google Patents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135B1
KR101993135B1 KR1020180044098A KR20180044098A KR101993135B1 KR 101993135 B1 KR101993135 B1 KR 101993135B1 KR 1020180044098 A KR1020180044098 A KR 1020180044098A KR 20180044098 A KR20180044098 A KR 20180044098A KR 101993135 B1 KR101993135 B1 KR 10199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er
fixing
ring
fix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코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4Medals
    • A44C3/008Suspension loop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2Hook or eye fasteners with spring closure of hook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의 다양한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휴대용품에 대한 착용을 위한 홀더로서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착용구조를 다양화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Multipurpose holder for portable article}
본 발명은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의 다양한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휴대용품의 착용을 위한 홀더로서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착용구조를 다양화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분이 특정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특정 건물이나 구역 내에서는 출입자에 대하여 신분증의 착용이 권유되거나 의무로 되어 있다.
이때,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 신분증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인데, 이러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는 그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이 투명하게 이루어져 상대방 신분증 착용자의 신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신분증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2775호 2006.03.23.등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의 문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줄에 신분증 케이스가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줄과 신분증 케이스 이외에도 여러 형태로 제공 및 이용되고 있는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한 홀더로서의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가 사용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한 홀더로 적용되는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한 홀더로 적용되는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10)는 목에 걸도록 길이가 긴 줄(20)의 양쪽 끝이 연결되는 결속구(12) 및 신분증 케이스(30)의 고리(32)가 걸리는 집게 형태로 하부에 위치되는 홀더(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신분증 착용자는 집게 형태의 홀더(14)에 신분증 케이스(30)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32)를 걸어 신분증 케이스(30)가 줄(20)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착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한 홀더는 단순히 신분증 케이스에만 국한되어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이 다양한 휴대용품을 착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호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목걸이 타입으로만 신분증 케이스를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착용구조가 목걸이 타입으로 국한되어 착용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의 다양한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휴대용품에 대한 착용을 위한 홀더로서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착용구조를 다양화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홀더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2775호 2006.03.23.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9811호 2011.06.01.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1-0006571호 2011.06.29.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의 다양한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휴대용품에 대한 착용을 위한 홀더로서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넥 스트랩 조립체의 고정클립을 사용자의 포켓 등에 직접 끼움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넥 스트랩 조립체의 고정클립에 목걸이 끈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걸이 끈 타입 및 클립 타입으로 휴대용품의 착용구조를 다양화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는 후방에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루프 타입의 목걸이 끈의 일단 부분에 대하여 고리 타입으로 걸어 고정하는 역'U'자 형으로 상단이 벤딩 형성된 고정클립이 구비되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상부가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의 전방으로부터 링 타입으로 분리가능토록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며, 하부에는 휴대용품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는 고정클립의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삽입고정되면서 구속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원기둥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하단이 끊긴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한 삽입고정이 되는 구속홈이 전면 상부에 양측으로 대향되는 'L'자 형상의 한 쌍으로 형성되는 후방커버패널과, 후면이 상기 후방커버패널의 전방과 돌기, 홈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커버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고정클립의 역'U'자 형으로 형성된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구속되도록 하며, 전면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상기 후방커버패널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내향 단이 지게 일정길이 돌출되어 결속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기둥의 개방된 전방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3방향으로 설치홈이 함몰형성되는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개방된 전방에 대한 중앙부분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전방커버패널과, 상기 전방커버패널의 둘레부분인 상기 본체패널의 개방된 전방 측으로 밀착 결합되는 전방테두리패널 및 상기 본체패널의 결속기둥으로부터 외향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패널의 설치홈 내에 탄성부재와 함께 일면이 밀착되게 삽입설치되며, 상기 결속기둥으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탄성부재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패널의 내부 측으로 일정길이 탄성을 가지고 유동한 후 가압력이 해지되면 상기 결속기둥의 외부 측인 원위치로 돌출되게 탄성 복귀하는 탄성유동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동블록은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의 상부에 대한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의 전방으로부터 링 타입으로 분리가능토록 선택적으로 결속고정시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 상부에 의한 링 타입 가압시 탄성을 가지고 상기 본체패널 내측을 향하여 유동하여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의 상부가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의 결속기둥 상에 결속고정되도록 하면서 자동으로 원위치로 탄성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패널의 외측과 대응되는 단부 일면에 상기 본체패널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는 역'U'자 형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클립의 후방 측 하단 일정길이에 대하여 '<'타입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는 한 쌍으로 상호 결합고정되어, 상부에 유동홈이 형성되는 링커베이스와, 일 측 하단으로부터 타 측 단부에 이르도록 일정길이에 대하여 개방된 고리 타입으로 형성되는 한편, 일 측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의 상부 일 측에 결합고정되는 링커고정고리와,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의 유동홈에 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유동가능토록 구속되고, 상단이 상기 링커고정고리의 타 측 단부와 밀착되며, 상기 링커베이스와 결합고정된 후의 상기 링커고정고리에 대한 개방된 영역을 링 타입으로 폐쇄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링커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링커고정고리의 타 측으로부터 일 측을 향해 가압시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이동하면서 개방된 후 가압력의 해지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폐쇄하여 링 타입이 되도록 하는 링커유동고리 및 상기 링커베이스의 하부에 상단이 회동가능토록 연결되며, 하 측에 휴대용품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휴대용품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휴대용품 고정부재는 상단이 상기 링커베이스의 하부에 축 결합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토록 연결되며, 중앙에 설치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홀 하부에 상기 설치홀과 연통되어 구속홀이 관통형성되는 회동편과, 휴대용품을 선택적으로 꼬아 고정하도록 'U'자형 상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의 상측 양단을 연결고정하며, 상기 고정끈의 상단부분을 상기 회동편의 설치홀에 고정설치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끈의 상단부분이 상기 회동편과 상기 고정편을 통해 고정된 상태로 구속하도록 상기 구속홀에 구속고정되는 구속편 및 상기 회동편의 하부로부터 상기 회동편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향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과 구속편이 상기 회동편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회동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링커고정고리는 타 측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링커유동고리는 상기 스토퍼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 밀착되도록 상단 외부 일면으로부터 내향 상기 스토퍼돌기와 대응되어 상기 스토퍼돌기가 삽입밀착되면서 상단에 대하여 상기 링커고정고리로부터 외향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는 내향 후크 타입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링커고정고리의 타 측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토퍼홈은 상단 외부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돌기와 대응되는 후크 타입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링커고정고리는 일 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링커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링커유동고리를 향하는 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 부분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 부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링커유동고리는 하단의 상기 링커베이스의 유동홈에 구속되어 상기 링커고정고리를 향하는 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 부분이 삽입고정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 부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의 상기 링커유동고리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의 유동홈을 따라 구속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일정거리 이동, 복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링커베이스의 유동홈은 상부 일 측이 폐쇄되고 타 측이 개방형성되는 한편, 상기 링커유동고리는 하단의 상기 링커베이스의 개방형성된 측과의 경계인 폐쇄된 단부와 일정길이 중첩되도록 하단 일 측으로부터 상기 유동홈의 개방된 길이보다 긴 가이드 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편을 통해 상기 링커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링커고정고리 측으로 일정길이 탄성을 가지고 이동 및 복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의 다양한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휴대용품 착용을 위한 홀더로서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넥 스트랩 조립체의 고정클립을 사용자의 포켓 등에 직접 끼움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넥 스트랩 조립체의 고정클립에 목걸이 끈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걸이 끈 타입 및 클립 타입으로 휴대용품의 착용구조를 다양화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분증을 착용하기 위한 홀더로 적용되는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사용시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넥 스트랩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넥 스트랩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핸드 링커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핸드 링커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핸드 링커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용상태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사용시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넥 스트랩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넥 스트랩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핸드 링커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핸드 링커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핸드 링커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용상태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2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는 후방에 휴대용품(C)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루프 타입의 목걸이 끈(100a)의 일단 부분에 대하여 고리 타입으로 걸어 고정하는 역'U'자 형으로 상단이 벤딩 형성된 고정클립(120)이 구비되는 넥 스트랩 조립체(100) 및 상부가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의 전방으로부터 링 타입으로 분리가능토록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며, 하부에는 휴대용품(C)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휴대용품(C)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신분증 케이스로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휴대용품(C)은 특히, 열쇠, 지갑 및 휴대폰 등의 다양한 휴대를 위한 용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요부인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는 크게 분류하면, 후방커버패널(110)과, 본체패널(130)과, 전방커버패널(140)과, 전방테두리패널(150) 및 탄성유동블록(17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후방커버패널(110)은 고정클립(120)의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삽입고정되면서 구속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원기둥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하단이 끊긴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한 삽입고정이 되는 구속홈(111)이 전면 상부에 양측으로 대향되는 'L'자 형상의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130)은 후면이 상기 후방커버패널(110)의 전방과 돌기, 홈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커버패널과(110)의 사이에 상기 고정클립(120)의 역'U'자 형으로 형성된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구속되도록 하며, 전면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상기 후방커버패널(110)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내향 단이 지게 일정길이 돌출되어 결속기둥(131)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기둥(131)의 개방된 전방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3방향으로 설치홈(132)이 함몰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패널(140)은 상기 본체패널(130)의 개방된 전방에 대한 중앙부분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테두리패널(150)은 상기 전방커버패널(140)의 둘레부분인 상기 본체패널(130)의 개방된 전방 측으로 밀착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테두리패널(150)은 상기 본체패널(130)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전방커버패널(140)은 후방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돌기(미부호)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미부호)가 상기 본체패널(130)의 결속기둥(131)에 대한 개방된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미부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테두리패널(15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전방테두리패널(150)을 통해 상기 본체패널(130)의 결속기둥(131) 전방 측에 결합상태가 유지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유동블록(170)은 상기 본체패널(130)의 결속기둥(131)으로부터 외향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패널(130)의 설치홈(132) 내에 탄성부재(160)와 함께 일면이 밀착되게 삽입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유동블록(170)은 상기 결속기둥(131)으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탄성부재(160)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패널(130)의 내부 측으로 일정길이 탄성을 가지고 유동한 후 가압력이 해지되면 상기 결속기둥(131)의 외부 측인 원위치로 돌출되게 탄성 복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탄성유동블록(170)은 특히,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의 상부에 대한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의 전방으로부터 링 타입으로 분리가능토록 선택적으로 결속고정시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 상부에 의한 링 타입 가압시 탄성을 가지고 상기 본체패널(130) 내측을 향하여 유동하여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의 상부가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의 결속기둥(131) 상에 결속고정되도록 하면서 자동으로 원위치로 탄성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유동블록(170)은 상기 본체패널(130)의 외측과 대응되는 단부 일면에 상기 본체패널(130)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경사면(1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넥 스트랩 조립체(100)는 역'U'자 형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클립(120)의 후방 측 하단 일정길이에 대하여 '<'타입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후방 측 하단 일정길이에 대하여 '<'타입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클립(120)이 적용됨으로써 상기 고정클립(120)을 통해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에 대하여 목걸이 끈(100a)을 적용함이 없이 선택적으로 클립 타입으로 포켓 등에 클립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의 다른 요부인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는 크게 링커베이스(210)와, 링커고정고리(220)와, 링커유동고리(240) 및 휴대용품 고정부재(25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링커베이스(210)는 한 쌍으로 상호 결합고정되어, 상부에 유동홈(2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링커베이스(210)는 한 쌍으로 돌기와 홈 구조로 결합고정되면서, 상부에 상기 유동홈(2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링커베이스(210)는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돌기와 홈 구조로 결합고정되면서 상부에 상기 유동홈(211)이 형성되되, 상호 엇갈리는 돌기와 홈 구조로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는 일 측 하단으로부터 타 측 단부에 이르도록 일정길이에 대하여 개방된 고리 타입으로 형성되는 한편, 일 측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상부 일 측에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에 코일스프링(230)이 개재되어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유동가능토록 구속되고, 상단이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타 측 단부와 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링커유동고리(240)는 특히, 상기 링커베이스(210)와 결합고정된 후의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에 대한 개방된 영역을 링 타입으로 폐쇄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링커베이스(210)를 기준으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타 측으로부터 일 측을 향해 가압시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이동하면서 개방된 후 가압력의 해지시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폐쇄하여 링 타입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품 고정부재(250)는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하부에 상단이 회동가능토록 연결되며, 하 측에 선택적으로 휴대용품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품 고정부재(250)는 크게 회동편(260)과, 고정끈(270)과, 고정편(271)과, 구속편(272) 및 회동커버(28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동편(260)은 상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하부에 축 결합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토록 연결되며, 중앙에 설치홀(26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홀(261) 하부에 상기 설치홀(261)과 연통되어 구속홀(262)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끈(270)은 휴대용품(C)을 선택적으로 꼬여 고정하도록 'U'자형 상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271)은 상기 고정끈(270)의 상측 양단을 연결고정하며, 상기 고정끈(270)의 상단부분을 상기 회동편(260)의 설치홀(261)에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속편(272)은 상기 고정편(271)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끈(270)의 상단부분이 상기 회동편(260)과 상기 고정편(271)을 통해 고정된 상태로 구속하도록 상기 구속홀(262)에 구속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커버(280)는 상기 회동편(260)의 하부로부터 상기 회동편(26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향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271)과 구속편(272)이 상기 회동편(26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핸드 링커 조립체(200)에서의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는 특히, 타 측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스토퍼돌기(2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상기 스토퍼돌기(223)가 선택적으로 삽입 밀착되도록 상단 외부 일면으로부터 내향 상기 스토퍼돌기(223)와 대응되어 상기 스토퍼돌기(223)가 삽입밀착되면서 상단에 대하여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로부터 외향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홈(24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전술한 스토퍼돌기(223)는 내향 후크 타입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타 측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토퍼홈(243)은 상단 외부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돌기(223)와 대응되는 후크 타입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는 일 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링커베이스(210)와 결합되어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를 향하는 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일단 부분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일단 부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2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하단의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에 구속되어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를 향하는 측에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타단 부분이 삽입고정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타단 부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241)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구속돌기(221) 및 상기 링커유동고리(240)의 구속돌기(241)가 적용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230)에 대한 양단 부분이 삽입 구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링커유동고리(240)가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이동 및 탄성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는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의 상기 링커유동고리(240)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을 따라 구속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일정거리 이동, 복귀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은 상부 일 측이 폐쇄되고 타 측이 개방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하단의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개방형성된 측과의 경계인 폐쇄된 단부와 일정길이 중첩되도록 하단 일 측으로부터 상기 유동홈(211)의 개방된 길이보다 긴 가이드 편(245)이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상기 가이드 편(245)을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링커유동고리(240)가 상기 링커베이스(210)를 기준으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 측으로 일정길이 탄성을 가지고 이동 및 복귀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 열쇠, 지갑 및 신분증 케이스 등의 다양한 휴대용품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휴대용품에 대한 착용을 위한 홀더로서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선택적으로 목걸이 끈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갖는 넥 스트랩 조립체 및 넥 스트랩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넥 스트랩 조립체의 고정클립을 사용자의 포켓 등에 직접 끼움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넥 스트랩 조립체의 고정클립에 목걸이 끈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걸이 끈 타입 및 클립 타입으로 휴대용품의 착용구조를 다양화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링커유동고리가 탄성을 가지고 이동 및 복귀되는 구성을 갖는 핸드 링커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고정끈에 휴대용품을 꼬여 고정한 상태에서 링커유동고리를 조작하여 바지의 벨트를 끼우는 고리부분 등에 걸어 사용하는 등의 핸드 링커 조립체만을 휴대용품 홀더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a: 목걸이 끈
100: 넥 스트랩 조립체
110: 후방커버패널 111: 구속홈
120: 고정클립 130: 본체패널
131: 결속기둥 132: 설치홈
140: 전방커버패널 150: 전방테두리패널
160: 탄성부재 170: 탄성유동블록
171: 경사면
200: 핸드 링커 조립체
210: 링커베이스 211: 유동홈
220: 링커고정고리 221: 구속돌기
223: 스토퍼돌기 230: 코일스프링
240: 링커유동고리 241: 구속돌기
243: 스토퍼홈 245: 가이드 편
250: 휴대용품 고정부재 260: 회동편
261: 설치홀 262: 구속홀
260a: 축 270: 고정끈
271: 고정편 272: 구속편
280: 회동커버
C: 휴대용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후방에 휴대용품(C)을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루프 타입의 목걸이 끈(100a)의 일단 부분에 대하여 고리 타입으로 걸어 고정하는 역'U'자 형으로 상단이 벤딩 형성된 고정클립(120)이 구비되는 넥 스트랩 조립체(100) 및
    상부가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의 전방으로부터 링 타입으로 분리가능토록 선택적으로 결속고정되며, 하부에는 휴대용품(C)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핸드 링커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넥 스트랩 조립체(100)는 고정클립(120)의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삽입고정되면서 구속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원기둥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하단이 끊긴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한 삽입고정이 되는 구속홈(111)이 전면 상부에 양측으로 대향되는 'L'자 형상의 한 쌍으로 형성되는 후방커버패널(110)과,
    후면이 상기 후방커버패널(110)의 전방과 돌기, 홈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커버패널과(110)의 사이에 상기 고정클립(120)의 역'U'자 형으로 형성된 전방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구속되도록 하며, 전면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상기 후방커버패널(110)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내향 단이 지게 일정길이 돌출되어 결속기둥(131)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기둥(131)의 개방된 전방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3방향으로 설치홈(132)이 함몰형성되는 본체패널(130)과,
    상기 본체패널(130)의 개방된 전방에 대한 중앙부분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전방커버패널(140)과,
    상기 전방커버패널(140)의 둘레부분인 상기 본체패널(130)의 개방된 전방 측으로 밀착 결합되는 전방테두리패널(150) 및
    상기 본체패널(130)의 결속기둥(131)으로부터 외향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패널(130)의 설치홈(132) 내에 탄성부재(160)와 함께 일면이 밀착되게 삽입설치되며, 상기 결속기둥(131)으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탄성부재(160)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패널(130)의 내부 측으로 일정길이 탄성을 가지고 유동한 후 가압력이 해지되면 상기 결속기둥(131)의 외부 측인 원위치로 돌출되게 탄성 복귀하는 탄성유동블록(170)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는 한 쌍으로 상호 결합고정되어, 상부에 유동홈(211)이 형성되는 링커베이스(210)와,
    일 측 하단으로부터 타 측 단부에 이르도록 일정길이에 대하여 개방된 고리 타입으로 형성되는 한편, 일 측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상부 일 측에 결합고정되는 링커고정고리(220)와,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에 코일스프링(230)이 개재되어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유동가능토록 구속되고, 상단이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타 측 단부와 밀착되며, 상기 링커베이스(210)와 결합고정된 후의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에 대한 개방된 영역을 링 타입으로 폐쇄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링커베이스(210)를 기준으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타 측으로부터 일 측을 향해 가압시 탄성을 가지고 일정길이 이동하면서 개방된 후 가압력의 해지시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폐쇄하여 링 타입이 되도록 하는 링커유동고리(240) 및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하부에 상단이 회동가능토록 연결되며, 하 측에 선택적으로 휴대용품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휴대용품 고정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품 고정부재(250)는 상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하부에 축 결합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토록 연결되며, 중앙에 설치홀(26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홀(261) 하부에 상기 설치홀(261)과 연통되어 구속홀(262)이 관통형성되는 회동편(260)과,
    휴대용품(C)을 선택적으로 꼬여 고정하도록 'U'자형 상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고정끈(270)과,
    상기 고정끈(270)의 상측 양단을 연결고정하며, 상기 고정끈(270)의 상단부분을 상기 회동편(260)의 설치홀(261)에 고정설치하는 고정편(271)과,
    상기 고정편(271)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끈(270)의 상단부분이 상기 회동편(260)과 상기 고정편(271)을 통해 고정된 상태로 구속하도록 상기 구속홀(262)에 구속고정되는 구속편(272) 및
    상기 회동편(260)의 하부로부터 상기 회동편(26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향 결합되며, 상기 고정편(271)과 구속편(272)이 상기 회동편(26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회동커버(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는 타 측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스토퍼돌기(223)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상기 스토퍼돌기(223)가 선택적으로 삽입 밀착되도록 상단 외부 일면으로부터 내향 상기 스토퍼돌기(223)와 대응되어 상기 스토퍼돌기(223)가 삽입밀착되면서 상단에 대하여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로부터 외향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홈(2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223)는 내향 후크 타입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의 타 측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토퍼홈(243)은 상단 외부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돌기(223)와 대응되는 후크 타입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는 일 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링커베이스(210)와 결합되어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를 향하는 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일단 부분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일단 부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2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하단의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에 구속되어 상기 링커고정고리(220)를 향하는 측에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타단 부분이 삽입고정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30)의 타단 부분을 구속하는 구속돌기(24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링커 조립체(200)의 상기 링커유동고리(240) 하단이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을 따라 구속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일정거리 이동, 복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유동홈(211)은 상부 일 측이 폐쇄되고 타 측이 개방형성되는 한편,
    상기 링커유동고리(240)는 하단의 상기 링커베이스(210)의 개방형성된 측과의 경계인 폐쇄된 단부와 일정길이 중첩되도록 하단 일 측으로부터 상기 유동홈(211)의 개방된 길이보다 긴 가이드 편(24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편(245)을 통해 상기 링커베이스(210)를 기준으로 상기 링커고정고리(220) 측으로 일정길이 탄성을 가지고 이동 및 복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KR1020180044098A 2018-04-16 2018-04-16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KR10199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98A KR101993135B1 (ko) 2018-04-16 2018-04-16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98A KR101993135B1 (ko) 2018-04-16 2018-04-16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135B1 true KR101993135B1 (ko) 2019-06-26

Family

ID=6710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98A KR101993135B1 (ko) 2018-04-16 2018-04-16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04B1 (ko) * 2019-08-20 2021-01-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분증용 목걸이 핀온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75B1 (en) 2003-05-22 2004-01-07 Yong Hyun Kim Flash-setting injection device making use of high-speed dividing body
KR200369786Y1 (ko) * 2004-08-12 2004-12-16 이종석 목걸이줄 연결구
KR200412933Y1 (ko) * 2006-01-19 2006-04-05 이준우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KR20110006571A (ko) 2009-07-14 2011-01-20 이대범 젖은모발퍼머시술이 가능한 헤어아이론
KR101039811B1 (ko) 2008-09-17 2011-06-09 이준우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75B1 (en) 2003-05-22 2004-01-07 Yong Hyun Kim Flash-setting injection device making use of high-speed dividing body
KR200369786Y1 (ko) * 2004-08-12 2004-12-16 이종석 목걸이줄 연결구
KR200412933Y1 (ko) * 2006-01-19 2006-04-05 이준우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KR101039811B1 (ko) 2008-09-17 2011-06-09 이준우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KR20110006571A (ko) 2009-07-14 2011-01-20 이대범 젖은모발퍼머시술이 가능한 헤어아이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04B1 (ko) * 2019-08-20 2021-01-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분증용 목걸이 핀온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2744B2 (ja) 回転継手アセンブリ、ならびに、クリップ−フックの組合せおよびこの組合せを採用した宝飾品
US4912814A (en) Bolo clasp
US6618907B2 (en) Safety hat fasteners for eye glasses
US9913513B2 (en) Versatile jewelry
US9474336B2 (en) Rotary joint assembly and combination clip-hook and jewelry piece employing the same
US20070045372A1 (en) Belt supported hammer holder
KR101993135B1 (ko) 다용도 휴대용품 홀더
EP2967199B1 (en) Movable enclosing structure
KR100803518B1 (ko)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CN210120936U (zh) 身上装饰品
US20140331461A1 (en) Safety pin for fastening accessories
EP1988796A1 (en) Detachable receptacle
JP5288940B2 (ja) 名札ホルダ構造
WO2001010260A1 (en) Apparatus for the removable retention of an item of personal property
US6029319A (en) Garment clip recessed in eyeglasses temple
CN209931739U (zh) 一种新型挂绳卡套
US996340A (en) Umbrella-carrier.
KR101939163B1 (ko) 여행자용 허리벨트
KR200233150Y1 (ko) 핸드폰 포켓 클립고정장치
KR102183972B1 (ko) 조립식 가방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가방
WO2009069102A1 (en) A magnetic spectacles holder device
US20170231334A1 (en) Jewelry Clasp
KR101039810B1 (ko) 신분증 착용 목걸이
KR101507279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US608472A (en) Half to charles 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