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124U -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124U
KR20120006124U KR2020110001528U KR20110001528U KR20120006124U KR 20120006124 U KR20120006124 U KR 20120006124U KR 2020110001528 U KR2020110001528 U KR 2020110001528U KR 20110001528 U KR20110001528 U KR 20110001528U KR 20120006124 U KR20120006124 U KR 201200061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ocking
closing rod
r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호
Original Assignee
신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호 filed Critical 신철호
Priority to KR2020110001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124U/ko
Publication of KR20120006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2Hook or eye fasteners with spring closure of hoo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은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고리 어셈블리를 이루는 걸이부의 개구부측이 개폐봉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개폐봉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잠금부재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착용 대상(예; 애완동물)의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개폐봉의 우발적인 열림 슬라이드를 제한하여 걸이부의 분리에 따른 분실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Ling assembly that have locking function}
본 고안은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진하는 개폐봉이 마련되는 걸이부와 원형링 타입의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고리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 걸이부의 개폐봉에 잠금부재를 구성하여, 개폐봉의 열림 슬라이드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고리 어셈블리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단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C자형의 걸이부(2) 및, 상기 몸체(1)의 타단에 형성되는 링 타입의 고리부(3)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2)의 개구부는 상기 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진하는 개폐봉(4)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3)는 상기 몸체(1)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봉(4)이 항상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5)이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이동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봉(4)에는 손잡이(6)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것이며, 이에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6)를 통해 상기 개폐봉(4)을 전후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리부(3)에는 열쇠나 장식용품 등이 결합되는 원형 링 또는 줄 등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걸이부(2)는 개폐봉(4)의 개폐여부에 따라 걸이 상태가 분리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고리 어셈블리는 그 사용범위가 다양하다.
일예로, 고리부(3)에 원형 링을 이용하여 열쇠나 장식용품을 결합시킬 때 걸이부(2)는 바지의 벨트 고정띠로 걸이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애완동물에 링이 결합되는 목줄이나 어깨줄을 착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3)에 일정길이의 리드줄을 결합시킨 후, 상기 걸이부(2)를 상기 목줄이나 어깨줄에 결합되는 링에 걸이 동작시키거나 자유롭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애완동물과 외부 활동(예; 산책)을 할 때 주로 이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고리부(3)에 일정길이의 리드줄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2)를 가방 등에 결합되는 링에 걸이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는 리드줄을 통해 가방을 끌어 편안하게 이동시킬 때 주로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고리 어셈블리에 있어, 걸이부(2)의 개구부측은 스프링(5)에 의해 항상 개폐봉(4)으로 밀폐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개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 개폐봉(4)의 경우에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고리 어셈블리의 과도한 움직임 발생시 개폐봉(4)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6)에 고리(a)가 걸리면서 개폐봉(6)이 밀려 열림의 슬라이드 동작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예로, 몸체(1)의 걸이부(2)를 애완동물의 목줄이나 어깨줄에 마련되는 링 타입의 고리(a)에 걸림시킨 상태에서, 몸체(1)의 고리부(3)에 리드줄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산책 등을 하는 경우, 애완동물이 과도하게 움직일 때 고리(a)가 개폐봉(4)의 손잡이(6)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면서 개폐봉(4)이 순간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걸이부(3)가 목줄이나 어깨줄에 마련되는 링 타입의 고리(a)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에따라 사용자가 리드줄을 통해 애완동물을 통제하지 못하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리 어셈블리가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고리 어셈블리를 이루는 걸이부의 개구부측이 개폐봉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개폐봉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잠금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착용 대상(예; 애완동물)의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개폐봉의 우발적인 열림 슬라이드를 제한하여 걸이부의 분리에 따른 분실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걸이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의 고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의 개구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진하는 손잡이 일체형의 개폐봉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봉을 항상 닫힘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가압동작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걸림턱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폐봉에는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동작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없이는 상기 개폐봉이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개폐봉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에 힌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를 덮고 선단측에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동작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잠금프레임; 상기 개폐봉의 외주면과 상기 잠금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걸림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잠금프레임의 선단측을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봉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봉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 스프링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수직하게 돌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고리 어셈블리를 이루는 걸이부의 개구부측이 개폐봉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개폐봉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잠금부재를 구성한 것으로, 이에따라 착용 대상(예; 애완동물)의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개폐봉의 우발적인 열림 슬라이드를 제한하여 걸이부의 분리에 따른 분실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리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고리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잠금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열림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잠금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열림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는, 몸체(11), 걸이부(12), 고리부(13), 개폐봉(14), 제 1 스프링(15), 잠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일단에는 상기 잠금부재(30)의 걸림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턱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2)는 상기 몸체(11)의 일단에 연장되면서 절곡을 통해 C자형으로서 개구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착용대상(예: 애완동물의 목줄이나 어깨줄 또는 가방 등)에 마련되는 원형 또는 각형(예; 삼각, 사각)의 고리(100)에 걸이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13)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1)의 타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리부(123에는 리드줄(200)이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봉(14)은 상기 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1)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걸이부(12)의 개구부를 밀폐 및 개방시켜 상기 걸이부(12)가 착용대상(예: 애완동물의 목줄이나 어깨줄 또는 가방 등)에 마련되는 원형 또는 각형(예; 삼각, 사각)의 고리(100)에 걸이동작하거나 또는 그 분리될 수 있도록 전후진의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14a)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봉(14)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41)가 수직하게 돌출 구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 1 스프링(15)은 상기 몸체(11)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개폐봉(14)을 항상 닫힘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걸이부(12)의 개구부측이 항상 밀폐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개폐봉(14)이 사용자에 의해 열림 슬라이드 이동 후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때 상기 개폐봉(14)을 다시 밀폐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재(30)는 상기 개폐봉(14)에 힌지부(30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부(21)에 걸림동작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없이는 상기 개폐봉(14)이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며, 잠금프레임(31)와 제 2 스프링(3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프레임(31)은 상기 개폐봉(14)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14a)에 힌지부(30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손잡이(14a)를 덮는 것으로, 상기 힌지부(30a)를 통한 회전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선단측에는 상기 걸림턱부(21)에 걸림동작하는 걸림돌기(31a)가 연장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프링(32)은 상기 개폐봉(14)의 외주면과 상기 잠금프레임(31)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봉(14)에 마련되는 고정돌기(41)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경우 상기 잠금프레임(31)의 선단측을 힌지부(30a)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봉(14)의 방향으로 가압시켜 상기 걸림턱부(21)로부터 상기 걸림돌기(31a)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고리 어셈블리는 이루는 몸체(11)의 고리부(13)에 리드줄(200)을 연결 구성한 후, 사용자가 개폐봉(14)에 힌지부(30a)를 통해 결합되는 잠금부재(30)의 잠금프레임(31)을 힌지부(30a)를 중심으로 고리부(13)측의 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개폐봉(14)과 상기 잠금프레임(31)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스프링(32)은 압축되면서, 상기 잠금프레임(31)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걸림돌기(31a)는 몸체(11)의 일단에 마련되는 걸림턱부(21)로부터 이탈되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잠금프레임(31)과 손잡이(14a)를 통해 개폐봉(14)을 고리부(13)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몸체(11)내에 구성되는 제 1 스프링(15)이 압축되면서 걸이부(12)의 개구부는 개방되고, 따라서 상기 걸이부(12)를 애완동물의 목줄이나 어깨줄 또는 가방에 마련되는 고리(100)에 걸이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힌지부(30a)를 통해 결합되는 잠금프레임(31)과 손잡이(14a)에서 손가락을 이탈시키면, 상기 손잡이(14a)와 일체로 형성되는 개폐봉(14)은 몸체(11)내에 구성되는 압축된 제 1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1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걸이부(12)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걸이부(12)는 상기 애완동물의 목줄이나 어깨줄 또는 가방에 마련되는 고리(10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걸이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부(12)가 걸이된 상태에서, 애완동물이나 가방이 과도하게 움직이더라도, 상기 개폐봉(14)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14a)는 상기 잠금부재(30)에 포함되는 잠금프레임(31)에 의해 덮혀져 있고, 상기 잠금프레임(31)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걸림돌기(31a)는 제 2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11)의 일단에 마련되는 걸림턱부(21)에 걸림동작을 하게 되는 바, 상기 개폐봉(14)은 외부의 줄(예; 어깨줄, 목줄, 리드줄 등)이 걸리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따라 상기 걸이부(12)의 걸이동작은 풀림없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1; 몸체 12; 걸이부
13; 고리부 14; 개폐봉
14a; 손잡이 15; 제 1 스프링
21; 걸림턱부 30; 잠금부재
30a; 힌지부 31; 잠금프레임
31a; 걸림돌기 32; 제 2 스프링
41; 고정돌기 100; 고리
200; 리드줄

Claims (3)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가지는 걸이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의 고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의 개구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진하는 손잡이 일체형의 개폐봉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봉을 항상 닫힘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가압동작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걸림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봉에는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동작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없이는 상기 개폐봉이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개폐봉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에 힌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를 덮고 선단측에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동작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잠금프레임; 및,
    상기 개폐봉의 외주면과 상기 잠금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걸림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잠금프레임의 선단측을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봉의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 2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 스프링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수직하게 돌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KR2020110001528U 2011-02-23 2011-02-23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KR201200061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28U KR20120006124U (ko) 2011-02-23 2011-02-23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28U KR20120006124U (ko) 2011-02-23 2011-02-23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24U true KR20120006124U (ko) 2012-08-31

Family

ID=5368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528U KR20120006124U (ko) 2011-02-23 2011-02-23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12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178A (zh) * 2014-06-27 2014-10-08 长兴明旺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宠物玩具用拉绳锁扣件
CN108522341A (zh) * 2018-06-21 2018-09-14 温州源飞宠物玩具制品有限公司 一种挂扣
KR20190002198U (ko) 2018-02-22 2019-08-30 김현우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CN111853157A (zh) * 2020-07-28 2020-10-30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具有缓拉功能的动物牵引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178A (zh) * 2014-06-27 2014-10-08 长兴明旺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宠物玩具用拉绳锁扣件
KR20190002198U (ko) 2018-02-22 2019-08-30 김현우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CN108522341A (zh) * 2018-06-21 2018-09-14 温州源飞宠物玩具制品有限公司 一种挂扣
CN111853157A (zh) * 2020-07-28 2020-10-30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具有缓拉功能的动物牵引绳
CN111853157B (zh) * 2020-07-28 2021-04-16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具有缓拉功能的动物牵引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5918A1 (en) Carabiner Key Ring
JP3207032U (ja) ネックストラップ構造及びその補助具
JP2015061585A5 (ko)
CN103156340B (zh) 用于表链或皮带的扣钩结构
US20160153487A1 (en) Fastener with improved gate
JP6877967B2 (ja) ストラップおよびストラップを備えたバッグ
KR20120006124U (ko)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어셈블리
US20170079245A1 (en) Dog leash with integrated clip mechanism
US9289084B1 (en) Zipper assist device
KR200479752Y1 (ko) 애완동물 견인줄
US20170095045A1 (en) Adjustable Necklace Extension with Interchangeable Adornments System and Method
CN104955351A (zh) 腰带
US10178900B2 (en) Jewelry clasp
KR102555825B1 (ko) 숄더백의 어깨 벨트 흘러내림 방지 방법 및 숄더백의 어깨 벨트 흘러내림 방지구, 숄더백
KR20140005844U (ko)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용품 홀더
JP3195977U (ja) ストラップ用マルチ金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ストラップ
US20150033446A1 (en) Lower wear with suspender
CN207022898U (zh) 宠物锁扣
JP2009072531A (ja) ランヤード掛具
JP5873522B2 (ja) 動物用連結具
KR20190002198U (ko) 잠금 기능을 가지는 고리
CN210076884U (zh) 一种带木质扣的包
WO2015026231A1 (en) Zip closure system, garment, and method
KR20180001513U (ko) 지퍼 견인구
CN205434869U (zh) 一种用于装羽毛球拍或网球拍的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