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687Y1 -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 Google Patents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687Y1
KR200417687Y1 KR2020060005930U KR20060005930U KR200417687Y1 KR 200417687 Y1 KR200417687 Y1 KR 200417687Y1 KR 2020060005930 U KR2020060005930 U KR 2020060005930U KR 20060005930 U KR20060005930 U KR 20060005930U KR 200417687 Y1 KR200417687 Y1 KR 200417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ase
guide
guide re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김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영 filed Critical 김보영
Priority to KR2020060005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6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1Enclosures enveloping completely the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5/00Means for displaying samples
    • G09F5/02Portable sample 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Separable, striplike plur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로부터 표찰을 매다는 가이드 릴에 있어, 가이드 릴 내부측 권취 휠에 감기는 인출 끈을 납작한 평줄을 사용하고, 이를 인출홈측의 가이드 링으로부터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가이드 링으로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인출끈의 신장, 신축시에도 항상 표찰이 정면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사용에 의한 편리함과 상대방으로부터 소속, 직급 등의 표시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관리운용이 효율적이다.
표찰, 케이스, 가이드 릴, 인출 끈, 가이드 링

Description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GUIDE REEL STRUCTURE FOR A NAME CARD}
도 1은 종래 표찰케이스의 사용상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표찰케이스를 인출하는 가이드 릴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찰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표찰케이스를 인출하는 가이드 릴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릴이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목걸이 2: 표찰
10: 가이드 릴 11: 전면케이스
12: 후면케이스 13: 스파이어럴 스프링
14: 권취 휠 15: 인출 끈
16: 연결구 17: 가이드 링
본 고안은 명찰이나 신분증 같은 표찰을 수납하는 표찰케이스에 있어, 표찰케이스를 매달아 목에 착용하는 목걸이에 설치된 가이드 릴을 개선하여 표찰을 착용한 상태에서 표찰의 정면이 배면과 뒤바뀌지 않도록 한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표찰은 근래 관공서나 학교, 회사 등에서 사원의 신분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표찰은 보통 전면에 투명창이 구비된 표찰케이스에 수납되어, 목걸이의 착용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표찰에는 신분을 나타냄은 물론, 표찰의 해당하는 신분을 가진 자가 출퇴근시, 또는 특정장소 내를 출입확인을 위해 단말기 등의 정보코드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표찰을 매달게 되는 목걸이로부터는 표찰을 일정거리 이상으로 인출시켜 사용함에 있어, 가이드 릴이 적용된다. 이러한 가이드 릴을 통상적으로, 표찰 이외에 기타 장식, 열쇠, 간단한 도구 등을 매달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목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릴(100)의 구조를 살피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외측둘레에 목걸이(1)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부(100a)가 형성되고, 일측으로부터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101a)과 고정턱(101b)이 형성된 전면케이스(101)와, 상기 전면케이스(101)와 대응되어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102a)과 고정턱(102b)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스프링 고정축(102c)이 형성된 후 면케이스(102)와, 상기 스프링 고정축(102c)으로부터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03)과,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103)을 수용하는 내부직경(104a)이 일측으로부터 형성되고, 그 그 중앙에 상기 스프링 고정축(102c)이 관통되기 위한 회전공(104b)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직경(104a)에 스파이어럴 스프링(103)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04c)이 형성되고, 둘레에 형성된 요홈(104d)에 인출 끈(105)이 수회 권선된 권취 휠(104)과, 상기 인출 끈(105)과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인출홈(101a)(102a)구로부터 안내되기 위한 삽입지지편(106a)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링(106-1)으로서 표찰을 연결되기 위한 클립(106-2)이 함께 구비된 연결구(106)와, 상기 전면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2)의 고정턱(101b)(102b)에 고정 설치되어 권취 휠(104)로부터 인출 끈(105)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링(107)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릴 구성에 있어, 인출 끈(105)은 단면적이 원형인 모노필라멘트 소재의 끈이 적용된 것으로, 권취 휠(104)의 요홈(104d) 범위 내에서 위치에 관계없이 감겨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점은 표찰(2) 사용에 있어, 가이드 릴(100)로부터 표찰을 잡아당기면, 클립(106-2), 연결링(106-1), 연결구(106)는 인출 끈(105)과 함께 인출되고, 인출 끈(105)은 가이드 링(107)으로부터 안내되면서 인출된다.
표찰(2)을 사용하고 난 다음 표찰을 놓게 되면, 가압된 스파이어럴 스프링(103)의 복귀동작으로 권취 휠(104)은 인출된 끈(105)을 감아 들임과 동시에 연결구(106)의 삽입지지편(106a) 부분은 케이스측의 인출홈(101a)(102a)에 안내됨과 동 시에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걸려진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가이드 릴(100)의 연결 끈은 가이드 링(107)으로부터 인출이 방향성 없이 자유롭기 때문에 결국, 표찰의 위치는 정면이거나, 배면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위치된다. 가령 배면으로 위치된 상태라면, 표찰(2) 착용의 목적에서 신분이 드러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서로 신분을 알아보는데도 불편함이 있고, 착용상태 불량으로 지적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찰을 수시로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배면으로 위치된 상태를 감안하여 표찰에 신경을 써야 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명찰이나 신분증 같은 표찰을 수납하는 표찰케이스에 있어, 표찰케이스를 매달아 목에 착용하는 목걸이에 설치된 가이드 릴의 구조를 개선하여 표찰을 착용한 상태에서 표찰의 사용 후 표찰이 항상 정면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목걸이로부터 표찰을 연결하여 필요로 하는 길이로 신축시키는 가이드 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릴은 외측둘레에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 및 인출홈내에 고정턱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목걸이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부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안내홈이 형성된 전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와 대응되어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 및 인출홈 내에 고정턱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내부직경 중앙에 스프링 고정축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편이 외측둘레에 형성된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의 스프링 고정축에 중심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고정축으로부터 중앙에 마련된 안내홈에 관통되도록 회전공이 관통 형성되며, 둘레에 요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스파이러럴 스프링의 외곽 일단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편이 형성된 권취 휠과, 전,후면이 구별되는 폭으로 제작되어 상기 권취 휠의 요홈에 맞는 폭으로 평행권취되는 인출 끈과, 상기 인출 끈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후면케이스의 인출홈 내에 안내되는 삽입 지지편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표찰을 연결하기 위한 클립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전면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의 고정턱에 고정 설치되어 권취 휠로부터 인출 끈을 가이드 하는 직사각형의 내경을 갖는 가이드 링으로 구성된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찰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표찰케이스를 인출하는 가이드 릴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릴이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목걸이(1)로부터 표찰(2)을 연결하여 필요로 하는 길이로 신축시키는 가이드 릴(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릴(10)은 전면케이스(11)와 후면케이스(12)의 조립과 그 내측에 설치되는 권취 휠(14) 및 권취 휠(14)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3)과, 상기 권취 휠(14)로부터 설치되어 연결구(16)를 통해 표 찰을 연결하여 신축조정하는 인출 끈(15), 인출 끈 안내하는 가이드 링(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케이스(11)는 외측둘레에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11a) 및 인출홈(11a)내에 고정턱(11b)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목걸이(1)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부(11c)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안내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케이스(12)는 전면케이스(11)와 대응되어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12a) 및 인출홈(12a) 내에 고정턱(12b)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내부직경(12-1) 중앙에 스프링 고정축(12-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부(11c)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편(12c)이 외측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13)는 후면케이스(12)의 스프링 고정축(12c)과 후술하는 권취 휠(14)측의 스프링 고정편(14c)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권취 휠(14)은 스프링 고정축(12-2)으로부터 중앙에 마련된 안내홈(14-1)에 관통되도록 회전공(14a)이 관통 형성되며, 둘레에 요홈(14b)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스파이러럴 스프링(13)의 외곽 일단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편(14c)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 끈(15)은 미세조직의 섬유를 밴드형으로 직조하여서 된 것으로, 플렉시블한 형태의 줄로서 두께에 대한 폭이 넓은 평 줄을 제공하여 권취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출 끈(15)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되는 상기 연결구(16)는 전,후면케이스(11)(12)의 인출홈(11a)(12a) 내에 안내되는 삽입 지지편(16a)이 형성되며, 타측 에는 표찰을 연결하기 위한 클립(16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의 고정턱(11b)(12b)에는 가이드 링(17)이 설치되어 조립되는데, 이는 권취 휠(14)로부터 인출 끈(15)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인출 끈이 그대로 인출되거나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은 직사각형의 내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링(17)의 내부직경은 인출 끈(15)의 두께와 폭으로부터 0.1~0.3mm의 여유간격을 갖도록 하고, 내경의 양측은 인출 끈(15)이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가이드 릴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찰(2)에 형성된 고리부분은 목걸이(1)로부터 설치되는 가이드 릴(10)과 연결시켜 사용한다. 가이드 릴(10)측으로부터 설치된 연결구(16)는 클립(16b)으로서 상기 표찰(2)의 고리부분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사용된다.
통상, 표찰(2)을 착용자는 목걸이(1)를 착용함에 있어서, 목걸이(1)를 목에 거는 방향에 따라 표찰의 정면(사진과 소속이 나타나 있음)과, 배면으로 구분되는데, 표찰의 정면이 앞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착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표찰은 인위적이지 않고서는 항상 정면을 위치하며, 표찰을 이용한 부서 통행시 단말기에 표찰을 갖다 대는 행위에 있어, 이때 인출 끈(15)으로 하여금 신장시켜 사용하고, 손을 떼면 상기 표찰(2)은 정면으로 항상 위치되는 상태로 가이드 릴(10)측에 복귀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가이드 릴(10)의 구성과 연결구(16)의 구성으로서 표찰(2) 의 정면위치가 뒤바뀌지 않게 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전면케이스(11)와 후면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권취 휠(14)의 요홈(14b)에 권취될 인출 끈(15)은 상기 권취 휠(14)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3)에 의해 긴장, 해제되는 상태로서 인출 끈(15)을 신축,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인줄 끈(15)은 일명 낚시줄의 소재인 모노필라멘트 줄로 이루어진 종래기술과 다르게 평줄을 이용한 밴드형으로서 권취 휠(14)의 요홈(14b)에 맞게 감겨진 것으로, 권취 휠(14)에 평행 권취되고, 회전공(14a)을 축으로 풀려지는 형태로서 항상 일방향으로만 권취된다는 점과, 전,후면케이스(11)(12)측의 고정턱(11b)(12b)에 설치된 가이드 링(17)의 안내를 통해 인출되는 이유에서 표찰(2)의 위치는 복귀되는 상태에서 항상 정면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전,후면케이스(11)(12)측의 인출홈(11a)(12a)에는 상기 인출 끈(15)과 연결되어 표찰(2)을 클립(16b)에 의해 매달고 있는 연결구(16)의 삽입 지지편(16a) 부위가 상기 인출홈(11a)(12a) 내에 안내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더욱이 클립(16b)에 의해 연결 지지된 표찰(2)의 방향은 흐트러짐이 없이 정면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표찰(2)을 항상 정면으로 착용할 수 있는 이유에서 상대방의 소속과 직급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표찰로 인해 품행이 단정해지는 바람직한 착용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착용자 또한 표찰이 정면으로 위치됐는지를 신경 슬 일이 없어지고, 항상 정면 상태임을 감안하여 통행시 표찰을 잡고 취하는 인체공학적 구조에서도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점이 따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목걸이로부터 표찰을 매다는 가이드 릴에 있어, 가이드 릴 내부측 권취 휠에 감기는 인출 끈을 납작한 평줄을 사용하고, 이를 인출홈측의 가이드 링으로부터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가이드 링으로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인출끈의 신장, 신축시에도 항상 표찰이 정면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사용에 의한 편리함과 상대방으로부터 소속, 직급 등의 표시를 보여줄 수 있는 이유에서 직원 관리가 효율적인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목걸이(1)로부터 표찰(2)을 연결하여 필요로 하는 길이로 신축시키는 가이드 릴(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릴(10)은 외측둘레에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11a) 및 인출홈(11a)내에 고정턱(11b)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목걸이(1)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부(11c)가 외측둘레에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안내홈(11-1)이 형성된 전면케이스(11)와,
    상기 전면케이스(11)와 대응되어 인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인출홈(12a) 및 인출홈(12a) 내에 고정턱(12b)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내부직경(12-1) 중앙에 스프링 고정축(12-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부(11c)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편(12c)이 외측둘레에 형성된 후면케이스(12)와,
    상기 후면케이스(12)의 스프링 고정축(12c)에 중심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13)과,
    상기 스프링 고정축(12-2)으로부터 중앙에 마련된 안내홈(14-1)에 관통되도록 회전공(14a)이 관통 형성되며, 둘레에 요홈(14b)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스파이러럴 스프링(13)의 외곽 일단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편(14c)이 형성된 권취 휠(14)과,
    전,후면이 구별되는 폭으로 제작되어 상기 권취 휠(14)의 요홈(14b)에 맞는 폭으로 평행권취되는 인출 끈(15)과,
    상기 인출 끈(15)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후면케이스(11)(12)의 인출홈(11a)(12a) 내에 안내되는 삽입 지지편(16a)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표찰을 연결하기 위한 클립(16b)이 형성된 연결구(16)와,
    상기 전면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의 고정턱(11b)(12b)에 고정 설치되어 권취 휠(14)로부터 인출 끈(15)을 가이드 하는 직사각형의 내경을 갖는 가이드 링(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끈(15)은 미세조직의 섬유를 밴드형으로 직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2020060005930U 2006-03-06 2006-03-06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200417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30U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3-06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30U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3-06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687Y1 true KR200417687Y1 (ko) 2006-06-02

Family

ID=4176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930U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3-06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687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50B1 (ko) 2008-04-04 2010-04-02 (주)상일씨앤씨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101039811B1 (ko) 2008-09-17 2011-06-09 이준우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KR101181061B1 (ko)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KR101474069B1 (ko) * 2012-11-15 2014-12-22 김찬수 퍼머용 헤어밴드
WO2015137681A1 (ko) * 2014-03-11 2015-09-17 강효동 권취수단
KR101576577B1 (ko) * 2014-01-22 2015-12-10 (주)상일씨앤씨 와이어 인출 장치
KR101621957B1 (ko) 2014-03-11 2016-05-20 강효동 권취수단
KR20160107019A (ko) * 2015-03-03 2016-09-13 강효동 권취수단
WO2016148386A1 (ko) * 2015-03-13 2016-09-22 (주)상일씨앤씨 와이어 인출 장치
KR200494442Y1 (ko) * 2020-04-02 2021-10-13 최점복 명찰케이스 결착용 핀온릴 체결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50B1 (ko) 2008-04-04 2010-04-02 (주)상일씨앤씨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101039811B1 (ko) 2008-09-17 2011-06-09 이준우 목걸이식 신분증 케이스용 착용도구
KR101181061B1 (ko)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KR101474069B1 (ko) * 2012-11-15 2014-12-22 김찬수 퍼머용 헤어밴드
KR101576577B1 (ko) * 2014-01-22 2015-12-10 (주)상일씨앤씨 와이어 인출 장치
WO2015137681A1 (ko) * 2014-03-11 2015-09-17 강효동 권취수단
KR101621957B1 (ko) 2014-03-11 2016-05-20 강효동 권취수단
KR20160107019A (ko) * 2015-03-03 2016-09-13 강효동 권취수단
KR101701393B1 (ko) 2015-03-03 2017-02-01 강효동 권취수단
WO2016148386A1 (ko) * 2015-03-13 2016-09-22 (주)상일씨앤씨 와이어 인출 장치
KR200494442Y1 (ko) * 2020-04-02 2021-10-13 최점복 명찰케이스 결착용 핀온릴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687Y1 (ko)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US8915409B2 (en) System and mechanisms providing an adjustable perch for a wearer of a holder base with device
US8408513B2 (en) Holder systems for mobile devices
US7690220B2 (en) Personal ornament
EP1980170B1 (en) Personal ornament
KR101181061B1 (ko)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US10502975B2 (en) Eyeglass retainer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KR101404022B1 (ko) 인출입 기능을 갖춘 명찰 케이스장치
US20120079750A1 (en) Name tag, company display, I.D. connector badge
WO2010017645A1 (en) Openable ring for attaching keys or other objects
KR200419306Y1 (ko) 표찰 케이스의 가이드구조
KR20180095908A (ko) 장신구
US5042419A (en) Portable signalling device
JP2009172259A (ja) ロック機構付き付勢巻取りリール装置
KR20020020328A (ko)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US20210076809A1 (en) Retractable Badge Holder Assembly With Automatic Alignment
US11641540B2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GB2312188A (en) A wrist-mounted retractable writing or other instrument
KR200470452Y1 (ko) 명찰케이스용 홀더
KR200469878Y1 (ko) 집게 회전기능을 갖는 핀온릴
JP2001523839A (ja) 眼鏡の紐を収納する装置
CN213934957U (zh) 一种电子标签腕带
CN202774507U (zh) 插扣式钥匙圈
CN218588378U (zh) 一种可增大拉力的拉片及拉链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