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577B1 - 와이어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577B1
KR101576577B1 KR1020140007747A KR20140007747A KR101576577B1 KR 101576577 B1 KR101576577 B1 KR 101576577B1 KR 1020140007747 A KR1020140007747 A KR 1020140007747A KR 20140007747 A KR20140007747 A KR 20140007747A KR 101576577 B1 KR101576577 B1 KR 10157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el
track
housing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594A (ko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주)상일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일씨앤씨 filed Critical (주)상일씨앤씨
Priority to KR102014000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5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와이어 인출 장치는 적어도 2 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와이어 트랙부들이 형성된 와이어 권취 릴;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을 감싸며 와이어 권취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권취 릴에 결합된 탄성 부재;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의 상기 와이어 트랙부들에 각각 분리되어 권취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들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인출 장치{WIRE WITHDRA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인출 장치는 와이어가 권선된 릴을 포함하고, 릴에 감긴 와이어는 외부로 인출된 후 태엽의 복원력에 의하여 릴에 다시 감기게 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는 표찰 케이스, 전선 감는 장치 및 이어폰 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 인출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450호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2010.04.0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 장치는 인출장치와 표찰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줄이 2 가닥으로 구성되며, 연결줄이 서로 일정간격 유지되면서 인출되거나 되감기도록 하여 표찰케이스의 전면이 뒤집힘 없이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 장치는 연결줄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는 2 가닥의 연결줄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2 개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 장치의 연결줄은 고속으로 인출 장치로부터 인출되거나 고속으로 인출장치에 감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연결줄 및 가이드 부재가 심하게 마찰되어 연결줄의 스크래치, 마모, 끊어짐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450호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2010.04.02)
본 발명은 2 줄 또는 2 줄 이상의 와이어들을 인출 또는 되감을 때 연결줄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찰 케이스의 뒤집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줄의 고속으로 인출 또는 되감길 때 마찰에 의하여 스크래치,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 및 와이어의 끊어짐을 방지한 와이어 인출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와이어 인출 장치는 적어도 2 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와이어 트랙부들이 형성된 와이어 권취 릴;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을 감싸며 와이어 권취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권취 릴에 결합된 탄성 부재;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의 상기 와이어 트랙부들에 각각 분리되어 권취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들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된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의 외주면을 따라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릴 측벽 및 상기 릴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3 개가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 트랙부들을 형성하는 트랙벽들을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트랙벽들은 상기 릴 측벽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트랙벽, 상기 릴 측벽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제2 트랙벽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랙벽들 사이에 형성된 제3 트랙벽을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랙벽들 중 상기 릴 측벽에 연결된 일측 단부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랙벽들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단부는 상기 와이어들의 분리 수납을 위해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트랙벽들은 제1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트랙벽은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는 상기 제3 트랙벽을 수용하는 단턱이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귄취 릴을 수납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를 인출하기 위해 일부가 돌출된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부들 중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와이어를 각각 이격 시켜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및 제2 와이어 이격 부재가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이격 부재들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인출장치는 적어도 2 줄의 와이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와이어 권취릴에 적어도 2 개의 와이어 트랙부들을 형성하여 와이어 트랙부들로부터 와이어가 인출되거나 되감길 때 와이어가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찰이 뒤집힌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마찰에 의한 손상 및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권취 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와이어 권취 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와이어 권취 릴 및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권취 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와이어 인출 장치(600)는 와이어 권취 릴(100), 하우징(200), 탄성 부재(300), 와이어(400) 및 연결구(500)를 포함한다.
와이어 권취 릴(100)은 와이어들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적어도 2 개의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이 형성되며,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에는 각각 와이어(400)들이 분리되어 권취된다.
와이어 권취 릴(100)은 베이스 판(110), 릴 측벽(120) 및 트랙벽(16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110)은, 예를 들어,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판(110)은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베이스 판(110)의 회전 중심에는 축공(115)이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판(110)은 합성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베이스 판(110)은 디스크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와이어 권취 릴(100)에 적어도 2 개의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판(110)에는 릴 측벽(120) 및 트랙벽(160)들이 형성된다.
릴 측벽(120)은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릴 측벽(120)은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형 펜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판(110) 및 릴 측벽(120)은 상호 수직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은 릴 측벽(120)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은 릴 측벽(120)의 내측면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릴 측벽(120)은, 예를 들어, 베이스 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릴 측벽(12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트랙벽(160)은 베이스 판(110)과 연결된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트랙벽(160)은, 예를 들어, 2 개의 와이어들을 각각 분리 수납 및 2 개의 와이어들을 상호 소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을 형성한다.
트랙벽(160)은, 예를 들어, 제1 트랙벽(130), 제2 트랙벽(140) 및 제3 트랙벽(150)을 포함한다.
제1 트랙벽(13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트랙벽(130)은, 예를 들어, 릴 측벽(120)의 외측면 하단을 따라 띠 형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트랙벽(13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제1 트랙벽(13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2 트랙벽(14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2 트랙벽(140)은, 예를 들어, 릴 측벽(120)의 외측면 하단과 대향하는 상단을 따라 띠 형상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트랙벽(140)은 제1 트랙벽(130)과 마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트랙벽(14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제2 트랙벽(14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3 트랙벽(150)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2 트랙벽(150)은, 예를 들어, 릴 측벽(120)의 외측면 상단 및 외측면 하단의 중간 부분을 따라 띠 형상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3 트랙벽(150)이 릴 측벽(120)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 2개의 와이어들은 제1 및 제2 트랙벽(130,140)들 사이에 구분 없이 함께 감기게 되며, 와이어들이 인출될 때 와이어들이 이격되지 않아 와이어에 결합되는 표찰이 뒤집힐 수 있다.
반면 제1 및 제2 트랙벽(130,140)들 사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제3 트랙벽(150)이 형성될 경우, 제3 트랙벽(150)에 의하여 제1 및 제3 트랙벽(130,150)들 사이에 제1 와이어 트랙부(101)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와이어가 제1 와이어 트랙부(101)에 감기게 되고, 제2 및 제3 트랙벽(140,150)들 사이에 제2 와이어 트랙부(102)가 형성되어 나머지 하나의 와이어가 제2 와이어 트랙부(102)에 감기게 된다.
즉, 제1 및 제2 트랙벽(130,140)들 사이에 제3 트랙벽(150)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와이어들이 상호 이격되어 제1 및 제2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에 권취됨으로써 와이어들이 제1 및 제2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에 의하여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출됨으로써 표찰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와이어들이 가이드 부재의 통공을 통과하면서 마찰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의 손상 및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트랙벽(130,140,150)들은 각각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트랙벽(130,140,150)들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각각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트랙벽(130,140,150)들이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내지 제3 트랙벽(130,140,150)들은 서로 다른 두께 및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하우징(200)은 와이어 권취 릴(100)을 감싸며, 와이어 권취 릴(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200)이 와이어 권취 릴(100)을 감싸며, 와이어 권취 릴(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250) 및 제2 하우징(29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250) 및 제2 하우징(290)은 요철 구조에 의하여 상호 맞물려 결합 또는 접착제 등을 매개로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50)은 제1 바닥판(210), 제1 측면판(220) 및 제1 와이어 인출부(230)를 포함한다.
제1 바닥판(210)은 와이어 권취 릴(100)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바닥판(210)은 와이어 권취 릴(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일 수 있으나, 제1 바닥판(210)은 원판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측면판(220)은 제1 바닥판(21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1 측면판(220)은, 예를 들어, 원형 펜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닥판(210) 및 제1 측면판(22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제1 바닥판(210) 및 제1 측면판(2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닥판(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고정 돌기(215)가 돌출되며, 고정 돌기(215)는 와이어 권취 릴(100)의 베이스 판(110)의 축공(115)에 삽입되며, 고정 돌기(215)는 와이어 권취 릴(100)의 축으로서 역할한다.
고정 돌기(215)의 상단은 갈라진 틈이 형성되거나 고정 돌기(215)의 상단에는 상호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돌기(217)들이 형성된다. 2개의 돌기(217)들의 사이에는 후술 될 탄성 부재의 일측단이 끼워져 결합된다.
제1 와이어 인출부(230)는 제1 측면판(220) 및 제1 바닥판(210)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제1 와이어 인출부(230)는 후술 될 연결구(5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와이어 인출부(230) 중 와이어(400)들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와이어(400)들을 상호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는 와이어 권취 릴(100)에서 이격된 와이어들이 인출될 때 와이어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 및 와이어 권취 릴(100)을 이용하여 와이어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 또는 와이어 권취 릴(100)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와이어들을 상호 이격시켜도 무방하다.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는 제1 와이어 인출부(23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제1 와이어 인출부(230)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는, 예를 들어, 2 개의 와이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며, 와이어와 접촉되는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는 와이어를 이격시키며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90)은 제1 하우징(250)과 맞물림 결합되어 와이어 권취 릴(100)을 감싼다.
제2 하우징(290)은 제2 바닥판(260), 제2 측면판(270) 및 제2 와이어 인출부(280)를 포함한다.
제2 바닥판(260)은 제1하우징(250)의 제1 바닥판(210)과 마주하게 배치되며,와이어 권취 릴(100)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바닥판(260)은 원판 형상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2 바닥판(260)은 제1 바닥판(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판(270)은 제2 바닥판(26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2 측면판(270)은, 예를 들어, 원형 펜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닥판(260) 및 제2 측면판(27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제2 바닥판(260) 및 제2 측면판(27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인출부(280)는 제1 하우징(250)의 제1 와이어 인출부(2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와이어 인출부(280)는 제1 와이어 인출부(230)와 맞물림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호 접착된다.
제2 하우징(290)의 제2 와이어 인출부(280) 및 제1 하우징(210)의 제1 와이어 인출부(230)는 상호 결합되어 연결구(5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와이어 인출부(280)는 제2 측면판(270) 및 제2 바닥판(260)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제2 와이어 인출부(280)는 후술 될 연결구(5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와이어 인출부(280) 중 와이어(400)들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와이어(400)들을 상호 이격시키기 위한 제2 와이어 이격 부재(285)가 형성된다.
제2 와이어 이격 부재(285)는 제1 와이어 이격 부재(235)와 접촉되며, 제2 와이어 이격 부재(285)는 제2 와이어 인출부(280)의 내측면으로부터 기둥 형상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이격 부재(285)는, 예를 들어, 2 개의 와이어들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되며, 와이어와 접촉되는 제2 와이어 이격 부재(285)는 와이어를 이격시키고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탄성 부재(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00)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0)의 바깥쪽 일측단은 와이어 권취 릴(100)의 일부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300)의 내측 일측단은 제1 하우징(250)의 제1 바닥판(21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 돌기(215)에 형성된 돌기(217)들 사이의 홈에 결합된다.
탄성 부재(300)의 일측단 및 타측단이 와이어 권취 릴(100) 및 고정 돌기(215)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 권취 릴(100)에 권선된 와이어가 당겨져 하우징(200)의 외부로 인출될 경우 탄성 부재(300)에는 복원력이 형성된다.
반대로, 와이어에 가해진 힘이 제거될 경우, 와이어는 탄성 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 권취 릴(100)에 다시 감겨진다.
와이어(400)는 일측단이 와이어 권취 릴(100)에 고정되고, 와이어(400)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은 연결구(500)에 결합된다.
연결구(500)는 하우징(200)의 제1 및 제2 하우징(210,29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부(230,280)에 쉽게 결합되며,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500)는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구(230,280)에 결합된 후에는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구(230,280)에 대하여 회전되기 어려운 각이진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400)는, 예를 들어, 2 줄로 형성되며, 2 줄로 형성된 와이어(400)는 와이어 권취 릴(100)의 제1 및 제2 와이어 트랙부(101,102)에 각각 권취되어 와이어(4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되감길 때 와이어(400)가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되어 표찰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와이어 권취 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는 와이어 권취 릴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와이어 인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권취 릴(100)은 베이스 판(110), 릴 측벽(120) 및 트랙벽(17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110)은, 예를 들어,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판(110)은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베이스 판(110)의 회전 중심에는 축공(115)이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판(110)은 합성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베이스 판(110)은 디스크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와이어 권취 릴(100)에 적어도 2 개의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판(110)에는 릴 측벽(120) 및 트랙벽(170)들이 형성된다.
릴 측벽(120)은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릴 측벽(120)은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판(110) 및 릴 측벽(120)은 상호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릴 측벽(120)은, 예를 들어, 베이스 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릴 측벽(12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트랙벽(170)은 베이스 판(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트랙벽(170)은, 예를 들어, 2 개의 와이어들을 각각 분리 수납 및 2 개의 와이어들을 상호 소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와이어 트랙부(101,102)들을 형성한다.
트랙벽(170)은, 예를 들어, 제1 트랙벽(172), 제2 트랙벽(174) 및 제3 트랙벽(176)을 포함한다.
제1 트랙벽(174)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트랙벽(174)은, 예를 들어, 릴 측벽(120)의 외측면 하단을 따라 띠 형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트랙벽(172)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제1 트랙벽(172) 중 릴 측벽(120)에 연결된 부분은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제1 트랙벽(172) 중 릴 측벽(120)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트랙벽(172)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를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트랙부(102)에 권선되는 와이어가 와이어 트랙부(101) 이외의 부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트랙벽(174)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2 트랙벽(174)은, 예를 들어, 릴 측벽(120)의 외측면 하단과 대향하는 상단을 따라 띠 형상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트랙벽(174)은 제1 트랙벽(172)과 마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트랙벽(174)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제2 트랙벽(174) 중 릴 측벽(120)에 연결된 부분은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제2 트랙벽(174) 중 릴 측벽(120)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트랙벽(174)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를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트랙부(102)에 권선되는 와이어가 와이어 트랙부(102) 이외의 부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트랙벽(176)은 릴 측벽(12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3 트랙벽(176)은, 예를 들어, 릴 측벽(120)의 외측면 상단 및 외측면 하단의 중간 부분을 따라 띠 형상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트랙벽(176) 중 릴 측벽(120)에 연결된 부분은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제3 트랙벽(176) 중 릴 측벽(120)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는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트랙벽(176)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를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트랙부(101,102)에 권선되는 와이어가 와이어 트랙부(101,102) 이외의 부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와이어 권취 릴 및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인출 장치는 와이어 권취릴 및 하우징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와이어 인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와이어 권취 릴(100)은 베이스 판(110), 릴 측벽(120) 및 트랙벽(180)들을 포함한다.
트랙벽(180)은 제1 트랙벽(182), 제2 트랙벽(184) 및 제3 트랙벽(186)을 포함한다.
제1 트랙벽(182) 및 제2 트랙벽(184)은 릴 측벽(1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 및 제2 트랙벽(182,184)들은 띠 형상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트랙벽(182,184)의 높이는 릴 측벽(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제1 높이로 형성된다.
제3 트랙벽(186)은 릴 측벽(120)의 상기 상단 및 상기 하단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제3 트랙벽(186)은 띠 형상 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트랙벽(186)의 높이는 릴 측벽(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트랙벽(186)의 제2 높이를 제1 및 제2 트랙벽(182,184)들의 제1 높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들이 지정된 와이어 트랙부(101,102)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트랙벽(186)이 제1 및 제2 트랙벽(182,184)들로부터 돌출된 제2 높이로 형성될 경우 하우징(200)에 와이어 권취 릴(100)이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하우징(200)의 제1 하우징(250)의 제1 측면판(220)에는 제3 트랙벽(186)을 수납하기 위한 단턱(225)이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3 트랙벽(186)을 수납하는 단턱(225)이 제1하우징(250)의 제1 측면판(220)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단턱은 제2 하우징(290)의 제2 측면판(270)에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하우징(250,290)의 제1 및 제2 측면판(220,27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적어도 2 줄의 와이어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와이어 권취릴에 적어도 2 개의 와이어 트랙부들을 형성하여 와이어 트랙부들로부터 와이어가 인출되거나 되감길 때 와이어가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찰이 뒤집힌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마찰에 의한 손상 및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와이어 권취 릴 200...하우징
300...탄성 부재 400...와이어
500...연결구

Claims (8)

  1. 적어도 2 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와이어 트랙부들이 형성된 와이어 권취 릴;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을 감싸며 와이어 권취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와이어 권취 릴에 결합된 탄성 부재;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의 상기 와이어 트랙부들에 각각 분리되어 권취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들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귄취 릴을 수납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를 인출하기 위해 일부가 돌출된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부들 중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를 각각 이격 시켜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및 제2 와이어 이격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이격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인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이 서로 접촉하며, 상기 와이어들과 접하는 타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연결구로 모이도록 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 릴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 돌기에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된 베이스 판, 상기 베이스 판의 외주면을 따라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릴 측벽 및 상기 릴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 트랙부들을 형성하는 트랙벽을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벽은 상기 릴 측벽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트랙벽, 상기 릴 측벽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제2 트랙벽 및 상기 제1 및 제2 트랙벽들 사이에 형성된 제3 트랙벽을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랙벽들 중 상기 릴 측벽에 연결된 일측 단부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랙벽들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 단부는 상기 와이어들의 분리 수납을 위해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랙벽들은 제1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트랙벽은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는 상기 제3 트랙벽을 수용하는 단턱이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이격 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KR1020140007747A 2014-01-22 2014-01-22 와이어 인출 장치 KR10157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47A KR101576577B1 (ko) 2014-01-22 2014-01-22 와이어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47A KR101576577B1 (ko) 2014-01-22 2014-01-22 와이어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94A KR20150087594A (ko) 2015-07-30
KR101576577B1 true KR101576577B1 (ko) 2015-12-10

Family

ID=5387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747A KR101576577B1 (ko) 2014-01-22 2014-01-22 와이어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2673A (ja) 2000-04-10 2001-10-23 Shimano Inc ピンオンリール
KR200417687Y1 (ko) *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2673A (ja) 2000-04-10 2001-10-23 Shimano Inc ピンオンリール
KR200417687Y1 (ko) *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94A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0026B (zh) 用于光缆的可转动行进引导件
KR101538300B1 (ko) 줄의 자동감김 장치
US20130153701A1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able
US10754099B2 (en) Optical fiber adapter
TW201310834A (zh) 線盤及機櫃
KR101576577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US9303790B2 (en) Cable anchoring device
US20170210591A1 (en) Oblong cable spool
KR101533418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EP3183195B1 (en) Fiber storage device
JP2011057454A (ja) リールの製造方法、及びエンボステープ付きリールの製造方法
JP2017098250A (ja) 自体巻回式組立線状ユニット
CA2916270A1 (en) Cable spool
JP5067615B2 (ja) 梱包ケース
EP3115818B1 (en) Optical fiber terminal box
CN104183872A (zh) 卷针机构
KR20160063654A (ko) 전선 정리기
KR20100033504A (ko) 케이블 정리기
KR101630636B1 (ko)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554131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US6682008B2 (en) Cable storage box
KR101750708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US9928949B1 (en) Cable with magnetic mounting assembly
JP4799458B2 (ja) 光コンセント、及び光コンセントへの光ファイバ収納方法
US8967882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