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131B1 - 와이어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131B1
KR101554131B1 KR1020130142692A KR20130142692A KR101554131B1 KR 101554131 B1 KR101554131 B1 KR 101554131B1 KR 1020130142692 A KR1020130142692 A KR 1020130142692A KR 20130142692 A KR20130142692 A KR 20130142692A KR 101554131 B1 KR101554131 B1 KR 10155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ip
wire
fix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284A (ko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주)상일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일씨앤씨 filed Critical (주)상일씨앤씨
Priority to KR102013014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1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with means for mounting the apparatus on the user body, e.g. arm, wr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와이어 인출 장치는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 릴, 상기 권취 릴을 감싸며 걸림 돌기가 돌출된 하우징, 상기 권취 릴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유닛; 및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된 클립 고정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와 끼워 맞춤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립 고정판 및 상기 클립 고정부에 끼워 맞춤되는 클립을 갖는 하우징 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인출 장치{WIRE WITHDRA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인출 장치는 와이어가 권선된 릴을 포함하고, 릴에 감긴 와이어는 외부로 인출된 후 태엽의 복원력에 의하여 릴에 다시 감기게 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는 표찰 케이스, 전선 감는 장치, 이어폰 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 인출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450호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2010.04.0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 특허는 2 가닥의 와이어에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하는데, 연결구의 상부 연결구(141)는 돌기 형상으로 케이스의 인출구(131)의 내부에 삽입 된다.
그러나,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는 연결구의 상부 연결구가 매우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 케이스의 인출구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는 연결구의 상부 연결구가 매우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작은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는 연결구의 상부 연결구가 매우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연결구의 상부 연결구가 케이스의 인출구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어 표찰 케이스가 뒤집어져 표찰 케이스의 후면이 앞쪽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의 연결구는 다수개의 부품들로 형성되어 부품수가 증가되고,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생산 원가를 증가킨다.
한편 와이어 인출 장치를 옷 등에 클립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와이어 인출 장치의 하우징에는 금속 클립이 매립 설치된다.
그러나, 하우징에 금속 클립을 매립 설치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금속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생산 원가가 상승되며, 금속 클립을 매립하여 설치한 후에는 금속 클립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450호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2010.04.02)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인출된 와이어를 고정하는 연결구 부분을 개선하여 배출구 및 연결구가 쉽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구 및 배출구의 파손 및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연결구 및 배출구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갖는 와이어 인출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와이어 인출 장치는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 릴, 상기 권취 릴을 감싸며 걸림 돌기가 돌출된 하우징, 상기 권취 릴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유닛; 및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된 클립 고정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와 끼워 맞춤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립 고정판 및 상기 클립 고정부에 끼워 맞춤되는 클립을 갖는 하우징 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출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배출구 중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는 제1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상기 제1 확장부와 대응하는 상기 연결구의 상기 측벽들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확장부를 수용하는 제2 확장부가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출구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결구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배출구는 속이 빈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의 측벽들은 상기 배출구가 삽입되는 속이 빈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걸림 돌기는 제1 걸림 돌기부 및 상기 제1 걸림돌기부와 대칭 형상으로 형성 및 배치된 제2 걸림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부들은 각각 하우징 고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 돌기의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클립 고정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클립 고정판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돌기들이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몸체에는 목걸이 줄이 결합되는 한 쌍의 목걸이 줄 결합부들이 형성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클립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제1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 내에 형성된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클립부를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 장치의 상기 하우징 고정부 중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직경을 갖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 중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두께는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는 하우징에 쉽게 결합 및 분리되며, 목걸이 줄이 결합되는 개구 및 분해 조립이 가능한 클립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 하우징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 원가가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으로부터 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연결구가 쉽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구가 연결구에 완전히 삽입되어 연결구 또는 배출구의 파손 및 형상 변형을 방지하며, 배출구 및 연결구가 결합된 후 연결구 또는 배출구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하여 연결구에 결합된 표찰 등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구가 하나의 부품으로 와이어 및 표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원가 증가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인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어 인출 유닛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우징 고정 유닛의 클립 고정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클립 고정판 및 도 7의 클립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와이어 인출 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 인출 장치(900)는 와이어 인출 유닛(500) 및 와이어 인출 유닛(500)에 조립 및 분해되는 하우징 고정 유닛(80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인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와이어 인출 유닛(500)은 권취 릴(100), 하우징(200), 탄성 부재(300) 및 연결구(400)를 포함한다.
권취 릴(100)은 와이어를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 릴(100)은 릴 몸체부(110) 및 트랙부(120)를 포함하며, 릴 몸체부(110) 및 트랙부(120)는 합성 수지 소재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릴 몸체부(110)는, 예를 들어,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릴 몸체(110)의 회전 중심에는 축공(115)이 형성된다.
트랙부(120)는 릴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트랙부(120)는 와이어가 감겨 수납되는 오목한 공간을 제공한다.
트랙부(120)에 감기는 와이어는 1 가닥으로 이루어진 단선 와이어 또는 2 가닥으로 이루어진 복선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트랙부(120)에는 복선 와이어가 감겨진다.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권취 릴(100)을 감싸는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된다.
제1 하우징(210)은 제1 바닥판(212) 및 제1 측면판(214)을 포함한다.
제1 바닥판(212)은, 예를 들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바닥판(212)의 내측면의 중앙에는 권취 릴(100)의 릴 몸체부(110)에 형성된 축공(115)에 결합되는 축(213)이 형성된다. 축(213)의 상단에는 후술 될 탄성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슬릿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권취 릴(100)은 제1 바닥판(212)에 형성된 축(21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바닥판(212)은 원판 형상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 바닥판(212)은 다각판 형상 또는 사각판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바닥판(212)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는 걸림 돌기(218)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218)는 제1 바닥판(212)의 외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걸림 돌기(218)는 제1 바닥판(2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축(213)과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218)는 후술 될 하우징 고정 유닛(800)과 조립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 돌기(218)는 하우징 고정 유닛(800)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 돌기(218)는 제1 걸림 돌기부(216) 및 제2 걸림 돌기부(217)를 포함한다.
제1 걸림 돌기부(216) 및 제2 걸림 돌기부(217)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걸림 돌기부(216,217)들은 상호 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걸림 돌기부(216,217)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및 제2 걸림 돌기부(216,217)들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걸림 돌기부(216,217)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6a,217a) 및 이탈 방지부(216b,217b)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16a,217a)는 후술될 하우징 고정 유닛(800)의 하우징 고정부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부(216a,217a)는, 예를 들어, 반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216b,217b)는 가이드부(216a,217a)의 상단에 형성되며, 이탈 방지부(216b,217b)는 가이드부(216a,217a)의 상단의 평면적보다 큰 평면적으로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216b,217b)는 하우징 고정 유닛(800)의 하우징 고정부가 제1 및 제2 걸림 돌기부(216,21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서 역할한다.
한편,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 중 걸림 돌기(218)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탄성 돌기(219)들이 형성되는데, 각 탄성 돌기(219)들은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을 혀(tongue) 형상으로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에 돌기를 형성하여 형성된다.
탄성 돌기(219)들은 후술될 하우징 고정 유닛(800)의 클립 고정판을 향해 돌출되어 클립 고정판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돌기(219)들은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의 걸림 돌기(218)의 주변에 3 개가 형성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하우징(210)의 제1 측면판(214)은 제1 바닥판(212)의 테두리로부터 펜스 형상으로 돌출되고, 제1 측면판(214)의 일부는 제1 측면판(214)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하우징(210)에는 제1 배출구(215)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220)은 제1 하우징(210)과 결합된다. 제2 하우징(220)은 제2 바닥판(222) 및 제2 측면판(224)을 포함한다.
제2 바닥판(222)은 제1 바닥판(212)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제2 측면판(224)은 제2 바닥판(222)의 테두리로부터 펜스 형상으로 돌출되고 제2 측면판(224)의 일부는 제2 측면판(224)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배출구(225)가 형성되며, 제2 배출구(225)의 위치는 제1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1 배출구(21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측면판(224)은 제1 측면판(214)과 끼워맞춤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제1 하우징(210)의 제1 측면판(214)에 형성된 제1 배출구(215) 및 제2 하우징(220)의 제2 측면판(224)에 형성된 제2 배출구(225)는 상호 결합되어 배출구(227)를 형성한다.
권취 릴(100)에 권취 된 와이어는 배출구(227)를 통해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 또는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우징(200)으로부터 돌출된 배출구(227)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227)는 와이어가 입출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200)에 형성된 배출구(227)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 될 연결구와 배출구(227)가 결합되어 연결구(400)가 배출구(227)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구(227)는 보다 쉽게 연결구(400)와 결합된다.
배출구(227) 중 하우징(200)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확장부(228)가 형성된다.
배출구(227)에 형성된 제1 확장부(228)는 배출구(227) 및 하우징(200)의 외주면을 곡면 형상으로 연결하며, 배출구(227)에 형성된 제1 확장부(228)는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에 의한 배출구(227)의 파손을 방지하며, 배출구(227)가 연결구(400)에 보다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귄취 릴(100)에 감겨진 와이어가 2 가닥으로 이루어진 복선 와이어일 경우, 와이어가 권취 릴(10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권취 릴(100)에 복선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에서 복선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와이어 꼬임 방지판(230)이 형성된다.
와이어 꼬임 방지판(2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꼬임 방지판(230)은, 예를 들어, 배출구(227)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꼬임 방지판(230)에는 2가닥으로 형성된 복선 와이어가 통과하는 2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00)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0)의 바깥쪽 일측단은 권취 릴(100)의 일부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300)의 내측 일측단은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의 중앙에 형성된 축(213)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홈에 결합된다.
탄성 부재(300)의 일측단 및 타측단이 권취 릴(100) 및 축(213)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 릴(100)에 권선된 와이어가 당겨져 하우징(200)의 외부로 인출될 경우 탄성 부재(300)에는 복원력이 형성된다.
반대로, 와이어에 가해진 힘이 제거될 경우, 와이어는 탄성 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하여 권취 릴(100)에 다시 감겨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와이어의 일측단은 권취 릴(100)에 결합되고, 와이어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은 연결구(400)에 결합된다.
연결구(4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배출구(227)에 쉽게 결합되며,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며, 연결구(400)는 배출구(227)와 연결되는 개구로부터 연장 될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400)는 배출구(227)와 결합된 후에는 배출구(227)에 대하여 회전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연결구(400)는 와이어와 결합되는 부분 및 표찰케이스 등과 결합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부품수, 조립 공정수가 감소되며 이로 인해 생산 원가를 감소시킨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구(400)는 측벽(410)들, 와이어 고정 돌기(420, 도 4 참조) 및 클립부(430)를 포함한다.
측벽(410)들은 연결구(4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측벽(410)들에 의하여 하우징(200)으로부터 돌출된 배출구(227)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측벽(410)들은, 예를 들어, 하우징(200)으로부터 돌출된 배출구(22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410)들은 배출구(227)가 측벽(410)들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배출구(227) 보다는 큰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으로부터 돌출된 배출구(227)가 속이 빈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연결구(400)에 형성된 측벽(410)들 역시 속이 빈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구(400)의 측벽(410)들은 배출구(227)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결구(400)의 측벽(410)들에 배출구(227)가 삽입됨에 따라, 배출구(227) 및 하우징(200)이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확장부(228)는 측벽(410)들의 단부와 접촉 및 간섭된다.
연결구(400)의 측벽(410) 및 측벽(41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로 삽입된 배출구(227)의 제1 확장부(228)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결구(400)의 측벽(410)들 중 제1 확장부(228)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확장부(228)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제2 확장부(4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400)의 측벽(410) 중 하우징(20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연결구(400)의 측벽(41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부 중 연결구(400)의 바닥판에는 와이어 고정 돌기(420)가 형성된다. 와이어 고정 돌기(420)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기 형태로 돌출되며, 와이어 고정 돌기(420)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와이어가 고정되는 홈 또는 관통홀 등이 형성된다.
연결구(400) 중 측벽(410)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표찰 케이스 등과 결합되는 클립부(430)가 형성되는데, 클립부(430)는 측벽(4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구(400)의 측벽(410)에는 하우징(200)에 형성된 배출구(227)가 삽입되고, 연결구(400)의 측벽(410)의 단부에는 확장된 제2 확장부(412)가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구(400)는 보다 쉽고 정확하게 배출구(227)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400)는 측벽(410)을 이용하여 배출구(227)와 결합되기 때문에 연결구(400) 및 배출구(227)는 쉽게 파손되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구(400)의 측벽(410)은 배출구(227)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구(400)에 결합되는 표찰 케이스의 회전에 의하여 표찰 케이스의 후면이 전면을 향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구(400)에 측벽(410) 및 표찰 케이스가 결합되는 클립부(43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가 감소되어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하우징 고정 유닛의 클립 고정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클립 고정판 및 도 7의 클립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 고정 유닛(800)은 와이어 인출 유닛(500)과 결합 또는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고정 유닛(800)은 클립이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고정 유닛(800)은 클립 고정판(600) 및 클립(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클립 고정판(600) 및 클립(700)은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고정판(600)은 몸체(610), 클립 고정부(650) 및 하우징 고정부(670)를 포함한다.
몸체(61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 된다. 몸체(610)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합성수재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PE)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몸체(61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몸체(610)의 일측면은 도 6에서 제1 면(601)으로서 정의되고, 제1 면(601)과 대향하는 타측면은 제2 면(602)으로서 정의된다.
몸체(610)의 상부에는 목걸이 줄이 결합되는 개구(60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목걸이 줄 결합부(605)들이 형성된다.
클립 고정부(650)는 몸체(610)에 형성되며, 클립 고정부(650)는 후술 될 클립(7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립 고정부(650)는 결합 홈(652) 및 제1 관통홀(655)을 포함한다.
결합 홈(652)은 몸체(610)의 제1 면(601)으로부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 홈(652)의 깊이는 몸체(610)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며, 결합 홈(652)의 깊이는, 예를 들어, 몸체(610)의 두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결합 홈(652)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655)은 결합 홈(652)에 의하여 형성된 바닥면(653)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2 면(602)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 관통홀(655)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670)는 몸체(610)에 형성되며, 하우징 고정부(670)는 클립 고정부(65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하우징 고정부(670)는 몸체(6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670)는 몸체(610)를 하우징(200)의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에 형성된 걸림 돌기(218)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고정부(670)를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에 형성된 걸림 돌기(2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하우징 고정부(670)는 제2 관통홀(672) 및 걸림턱(675)을 포함한다.
하우징 고정부(670)의 제2 관통홀(672)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장공(obling hole)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관통홀(672)의 양쪽 단부는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관통홀(672)의 양쪽 측면들은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걸림턱(675)은 제2 관통홀(672)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672a)의 일부에 형성된다.
걸림턱(675)은 제2 관통홀(672)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672)으로부터 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걸림턱(675)의 두께는, 예를 들어, 몸체(610)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걸림턱(675)의 두께는 몸체(610)의 두께의 절반 정도일 수 있다.
제2 관통홀(672)은 제1 개구(673) 및 제1 개구(673)와 연결된 제2 개구(674)로 구분되는데, 걸림턱(67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제1 개구(673)이고, 걸림턱(675)이 형성된 부분이 제2 개구(674)이다.
제1 개구(673)는, 예를 들어, 제1 직경(또는 제1 사이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674)는 제1 개구(673)와 연통되며 제2 개구(674)는 제1 개구(673) 보다 작은 제2 직경(또는 제2 사이즈)으로 형성된다.
걸림 돌기(218) 및 걸림턱(675)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서 제1 개구(673)에 하우징(200)의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에 형성된 걸림 돌기(218)를 삽입한 후 몸체(610)를 제2 개구(674)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돌기(218) 및 걸림턱(675)은 상호 결합된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클립(700)은 걸림판(710) 및 클립부(720)를 포함한다.
걸림판(710)은 클립 고정판(600)의 클립 고정부(650)의 결합 홈(652)에 삽입된다.
걸림판(710)의 두께는 결합 홈(652)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걸림판(710)은 클립 고정부(650)의 결합 홈(652)의 내부에 삽입되며, 걸림판(710)의 두께가 결합 홈(65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걸림판(710)의 표면은 몸체(610)의 제1 면(601)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클립부(720)의 일측단은 걸림판(710)에 결합되며, 클립부(720)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은 클립 고정부(650)의 제1 관통홀(655)을 통해 삽입되고, 이로 인해 걸림판(710)은 결합 홈(652) 내부에 고정된다.
클립부(720)는 몸체(610)의 제1 면(601)으로부터 제1 면(601)과 대향하는 제2 면(602)으로 돌출된 후 몸체(610)의 제2 면(602)을 향해 절곡되며 클립부(720)는 전체적으로 보아 옷 등에 끼워지는 클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클립부(720)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상기 타측단은 몸체(610)의 제2 면(602)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클립부(720)와 인접하게 배치된 몸체(610)의 제2 면(602)에는 복수개의 요철부(603)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몸체(610)의 상면에는 목걸이의 줄이 결합되는 목걸이 줄 결합부(605)가 형성되며, 몸체(610)의 클립 고정부(650)에는 착탈이 가능한 분리형 클립(700)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목걸이 줄을 몸체(610)에 결합하여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에 몸체(610)를 결합한 후 목걸이 줄을 목걸이 줄 결합부(605)에 결합하고 분리형 클립(700)을 몸체(610)로부터 분리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분리형 클립(700)을 이용할 경우, 몸체(610)를 하우징(200)의 제1 하우징(210)의 제1 바닥판(212)에 형성된 걸림 돌기(218)로부터 분리한 후 분리형 클립(700)을 클립 고정부(650)에 결합한 후 하우징에 몸체(610)를 결합함으로써 분리형 클립(7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하우징에 쉽게 결합 및 분리되며, 목걸이 줄이 결합되는 개구 및 분해 조립이 가능한 클립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 하우징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 원가가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으로부터 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연결구가 쉽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구가 연결구에 완전히 삽입되어 연결구 또는 배출구의 파손 및 형상 변형을 방지하며, 배출구 및 연결구가 결합된 후 연결구 또는 배출구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하여 연결구에 결합된 표찰 등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구가 하나의 부품으로 와이어 및 표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원가 증가를 방지한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권취 릴 200...하우징
300...탄성 부재 400...연결구
500...와이어 인출 유닛 800...하우징 고정 유닛
900...와이어 인출 장치

Claims (11)

  1. 와이어가 권취된 권취 릴, 상기 권취 릴을 감싸며 걸림 돌기가 돌출된 하우징, 상기 권취 릴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유닛; 및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된 클립 고정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와 끼워 맞춤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립 고정판 및 상기 클립 고정부에 끼워 맞춤되는 클립을 갖는 하우징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제1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 내에 형성된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출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중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는 제1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상기 제1 확장부와 대응하는 상기 연결구의 상기 측벽들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확장부를 수용하는 제2 확장부가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출구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결구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속이 빈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의 측벽들은 상기 배출구가 삽입되는 속이 빈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와이어 인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제1 걸림 돌기부 및 상기 제1 걸림돌기부와 대칭 형상으로 형성 및 배치된 제2 걸림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부들은 각각 하우징 고정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 돌기의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클립 고정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클립 고정판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돌기들이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목걸이 줄이 결합되는 한 쌍의 목걸이 줄 결합부들이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 중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직경을 갖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고정부 중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두께는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와이어 인출 장치.
KR1020130142692A 2013-11-22 2013-11-22 와이어 인출 장치 KR10155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92A KR101554131B1 (ko) 2013-11-22 2013-11-22 와이어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92A KR101554131B1 (ko) 2013-11-22 2013-11-22 와이어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84A KR20150059284A (ko) 2015-06-01
KR101554131B1 true KR101554131B1 (ko) 2015-09-18

Family

ID=5349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92A KR101554131B1 (ko) 2013-11-22 2013-11-22 와이어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1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33Y1 (ko) 2006-01-19 2006-04-05 이준우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JP2012011073A (ja) * 2010-07-02 2012-01-19 Daiichi Seiko Co Ltd ピンオンリール付はさみ
KR200469878Y1 (ko) 2012-08-27 2013-11-11 (주)상일씨앤씨 집게 회전기능을 갖는 핀온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33Y1 (ko) 2006-01-19 2006-04-05 이준우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JP2012011073A (ja) * 2010-07-02 2012-01-19 Daiichi Seiko Co Ltd ピンオンリール付はさみ
KR200469878Y1 (ko) 2012-08-27 2013-11-11 (주)상일씨앤씨 집게 회전기능을 갖는 핀온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84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47804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7555192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optical connectors
US20110095119A1 (en) Cable coiling apparatus
US20100130026A1 (en) Electric plug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7819704B1 (en) Connector plug with movable conducting pole
EP3072748A1 (en) Protector, assembly of wire with prot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2018191378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TW201723550A (zh) 內建連接器的插頭
US20170210591A1 (en) Oblong cable spool
KR101554131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KR101533418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KR20170108145A (ko) 더스트 캡
CN209825417U (zh) 一种可拆卸穿戴设备
JP2011139435A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ステレオヘッドホン用スライダおよ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の折り畳み方法
US5683054A (en) Wire winding wheel
JP2014229376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1965966A (zh) 一种穿戴设备
JP5067615B2 (ja) 梱包ケース
CN102273021A (zh) 线缆组织器
JP2010156878A (ja) 光ファイバートレイ
JP2007192932A (ja) 光ケーブルの保持構造
KR101576577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KR101750708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WO2019062757A1 (zh) 一种移动终端的壳体组件及移动终端
KR200385670Y1 (ko) 이어마이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