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145A - 더스트 캡 - Google Patents

더스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145A
KR20170108145A KR1020177024297A KR20177024297A KR20170108145A KR 20170108145 A KR20170108145 A KR 20170108145A KR 1020177024297 A KR1020177024297 A KR 1020177024297A KR 20177024297 A KR20177024297 A KR 20177024297A KR 20170108145 A KR20170108145 A KR 20170108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cantilever
dust cap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064B1 (ko
Inventor
유이치 코레에다
나오키 카타기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바요넷 로킹식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 비끼워맞춤시의 리셉터클에 부착되는 더스트 캡(30)은 리셉터클의 셸(60)에 회전이 규제되어 삽입되는 삽입부(31)를 선단측에 갖고, 덮개부(32)를 후단측에 구비하고, 삽입부(31)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된 캔틸레버(36)가 삽입부(31)와 덮개부(32) 사이에 설치된 하우징(30)과,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고, 선단측 내주면에 바요넷 로킹용의 돌기(41)를 구비하고, 하우징(30)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후단이 덮개부(32)에 의해 덮인 커플링(40)으로 이루어진다.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는 커플링(40)의 내주면의 홈(42)에 위치하고, 돌기(41)가 셸(60)에 형성되어 있는 바요넷 로킹용의 패임부(61c)에 끼워 넣어진 로킹 상태에서는 캔틸레버(36)는 휘지 않고,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커플링(40)을 회전하면, 캔틸레버(36)는 선단부(36a)가 홈(42)의 내벽(42a)에 의해 밀려서 휜다.

Description

더스트 캡
본 발명은 상대방 커넥터에 끼워맞춤 하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에 부착되는 더스트 캡에 관한 것이다.
도 1a, 1b는 이 종류의 더스트 캡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도 1a, 1b에 도시한 더스트 캡이 커넥터(환형(丸形) 커넥터)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더스트 캡(10)에는 커넥터(15)에 더스트 캡(10)을 조립 고정할 때, 커넥터(15)의 리벳(15a)의 삽입 원활화를 위한 가이드를 하는 리벳 가이드 슬롯(10a)과, 커넥터(15)와 더스트 캡(10)의 고정시에 있어서 리벳(15a)이 고정 가능한 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벳 고정면(10b)이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15)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었을 때 접촉하는 삽입 끝부분(10c)에는 방진을 겸하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방진재(11)가 설치되어 있다.
더스트 캡(10)과 커넥터(15)의 부착은 리벳 가이드 슬롯(10a)을 리벳(15a)의 위치에 맞추어 삽입하고, 더스트 캡(10)을 커넥터(15)에 밀어붙여, 리벳(15a)이 리벳 고정면(10b)을 지나간 위치에서 더스트 캡(10)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더스트 캡(10)은 방진재(11)의 반발력에 의해, 리벳(15a)과 리벳 고정면(10b)으로 고정된다.
일본 실개 평1-104670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더스트 캡(10)의 부착 구조에서는, 더스트 캡(10)의 내측에 설치된 실리콘 고무 등의 방진재(11)가 커넥터(15)의 선단 부분에 눌려짐으로써 방진재(11)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고, 이 반발력에 의해 커넥터(15)에 대한 더스트 캡(10)의 로킹 상태를 얻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더스트 캡(10)의 로킹 상태에서는 방진재(11)에 항상 응력이 걸린 상태로 되어 있어, 응력이 걸린 상태에서 장기에 걸쳐 사용하면 방진재(11)의 실리콘 고무가 열화되고, 즉 단단해져서 탄성이 저하되고, 이것에 의해 로킹력이 저하되어 더스트 캡(10)이 빠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에 걸쳐 사용해도 로킹력이 저하되지 않고, 따라서 빠지기 어려운 더스트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요넷 로킹식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 비끼워맞춤시의 리셉터클에 부착되는 더스트 캡은 리셉터클의 셸에 셸의 둘레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삽입되는 삽입부를 선단측에 갖고, 덮개부를 후단측에 구비하고, 삽입부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된 캔틸레버가 삽입부와 덮개부 사이에 설치된 하우징과,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고, 선단측 내주면에 바요넷 로킹용의 돌기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주위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부착되고 후단이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인 커플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틸레버의 선단부는 커플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가 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요넷 로킹용의 패임부에 끼워 넣어진 로킹 상태에서는 상기 캔틸레버는 휘지 않고,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하우징에 대하여 커플링을 회전하면,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홈의 내벽에 의해 밀려서 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에 대한 더스트 캡의 로킹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캔틸레버에는 로킹 상태에서는 응력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에 걸쳐 사용해도 캔틸레버가 열화되어, 탄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일은 발생하지 않아, 로킹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빠지기 어렵고, 그 점에서 신뢰성이 우수한 더스트 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더스트 캡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 1b에 나타낸 더스트 캡이 커넥터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 캡의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더스트 캡의 우측면도이다. 도 3c는 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a의 E-E선 단면을 도 3b의 우측면도와 전후 방향의 방향을 맞추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3b에 도시한 더스트 캡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c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한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5d는 도 5b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5e는 도 5a에 도시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f는 도 5a에 도시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c에 있어서의 커플링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커플링의 우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한 커플링의 배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한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도 6e는 도 6a에 도시한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c의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c의 G-G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a의 H-H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6b의 J-J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c에 도시한 더스트 캡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리셉터클에의 더스트 캡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더스트 캡이 리셉터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a-3c는 본 발명에 의한 더스트 캡의 1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며, 도 4a-4c는 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더스트 캡(20)은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이루어지는 바요넷 로킹식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 비끼워맞춤시의 리셉터클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우징(30)과 커플링(40)과 O링(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a-5f는 하우징(3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며, 도 6a-6e 및 도 7a-7d는 커플링(4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30)은 리셉터클의 셸에 삽입되는 삽입부(31)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에 갖고, 후단측에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덮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31)는 원통부(31a)와, 원통부(3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편(31b, 31c)으로 이루어진다. 삽입편(31b)은 원통부(31a)의 원주의 거의 3/4을 차지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단면 C자 형상을 이루고, 삽입편(31c)은 원통부(31a)의 원주의 나머지 1/4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면 C자 형상을 이루는 삽입편(31b)의 외주면에는 90° 간격으로 원통면이 절결되어 평면부(31d)가 3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평면부(31d)는 C자의 양단 및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편(31c)의 외면(외주면)에는 오목부(31e)가 삽입편(31c)의 돌출 방향으로 연신(延伸)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평면부(31d) 및 오목부(31e)는 원통부(31a)에 조금 들어가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31a)의 외주면에는 홈(31f)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31a)의 내측에는 보강용의 리브(31g)가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31)와 덮개부(32) 사이에는 삽입부(31)측으로부터 차례로 원판부(33), 각주 형상을 이루는 주상부(34) 및 원판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주상부(34)에는 또한 1쌍의 캔틸레버(36)가 형성되어 있다. 원판부(33, 35)의 외경은 원통부(31a)의 외경보다 크고, 덮개부(32)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주상부(34)는 원판부(33 및 35)의 1직경 위에, 그 직경의 양단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1쌍의 캔틸레버(36)는 주상부(34)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으로부터 서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1쌍의 캔틸레버(36)는 주상부(34)가 위치하는 원판부(33, 35)의 직경과 직교하는 직경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주상부(34)와 1쌍의 캔틸레버(36)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십자 형상을 이룬다. 1쌍의 캔틸레버(36)는 얇은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폭은 선단을 향하여 조금 좁혀져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는 약간 판 두께가 크게 되어 있다.
원판부(35)의 주연에는 주상부(34)가 위치하는 직경 위치에서 상하 2개소에 절결부(37)가 설치되어 있고, 절결부(37)의 둘레 방향의 폭의 중심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상부(34)의 중심선(34a)에 대하여 우회전 방향으로 비켜져 있다. 원판부(33)의 주연의 상하 2개소에도 절결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부(37, 38)의 내부 바닥면은 주상부(34)의 캔틸레버(3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이 연장된 면으로 되어 있다.
원판 형상을 이루는 덮개부(32)의 외면(외측판면)의 중앙에는 손잡이(3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39)에는 구멍(39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40)은, 도 6a-6e 및 도 7a-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고, 선단측의 내주면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는 바요넷 로킹용의 돌기(4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41)가 위치하는 연장상에 위치하여 커플링(40)의 원주면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는 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홈(42)은 커플링(40)의 중심축 방향에서 커플링(40)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중앙까지 연신되어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40)의 후단측 절반부의 내주면에는 2개의 홈(42)과 아울러, 4개의 빠짐방지편(43)과 2개의 돌기부(4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44)는 커플링(40)의 둘레 방향에서 홈(42)과 90°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빠짐방지편(43)은 이들 홈(42) 및 돌기부(44)와 커플링(40)의 둘레 방향에서 45°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편(43)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40)의 후단측이 지지단이 되어 전방(커플링(40)의 선단)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고, 자유단부(43a)는 커플링(4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일으켜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기부(44)는 가늘고 긴 키 형상을 이룬다. 또한, 이들 빠짐방지편(43) 및 돌기부(44)의 후단은 커플링(40)의 후단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되고, 이들 빠짐방지편(43) 및 돌기부(44)의 후단보다 후방의 커플링(40)의 내경은 전방측의 내경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어, 단차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하우징(30) 및 커플링(40)은 이 예에서는 모두 수지제가 된다.
하우징(30)의 홈(31f)에는 O링(50)이 장착되고, 이 하우징(30)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40)의 후단측에서 커플링(40) 내에 삽입하고, 밀어넣음으로써 도 3a-3c 및 도 4a-4c에 도시한 더스트 캡(20)이 완성된다.
하우징(30)을 커플링(40) 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하우징(30)의 원판부(33)는 커플링(40)의 4개의 빠짐방지편(43)의 자유단부(43a)를 외측으로 밀어 펼치며 자유단부(43a)를 지나가고, 밀어 펼쳐진 자유단부(43a)는 탄성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부(33)의 주연부에 빠짐방지편(43)이 걸리는 상태가 된다.
하우징(30)의 덮개부(32)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40)의 후단부에 수용되고, 단차부(45)에 부딪힘으로써, 그 이상의 밀어넣기가 저지된다. 커플링(40)의 후단은 덮개부(32)에 의해 덮인다.
커플링(40)은 빠짐방지편(43)의 자유단부(43a)가 하우징(30)의 원판부(33)에 부딪힘으로써 하우징(30)에 대하여 전방으로 빠짐 방지되고, 한편, 단차부(45)가 덮개부(32)에 부딪힘으로써 하우징(30)에 대하여 후방으로 빠짐 방지되어 하우징(30)의 둘레에 부착된다.
하우징(30)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는, 도 4a,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40)의 홈(42) 내에 각각 위치되고, 커플링(40)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돌기부(44)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절결부(37) 내에 각각 위치된다. 커플링(40)은 돌기부(44)가 절결부(37) 내에서 둘레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만큼, 하우징(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0)의 삽입편(31b, 31c)의 선단측은 커플링(40)의 선단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손잡이(39)는 커플링(40)의 후단측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더스트 캡(20)의 리셉터클에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더스트 캡(20)이 리셉터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부착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1은 더스트 캡(20)이 리셉터클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11에서는 리셉터클은 리셉터클을 구성하는 셸만을 나타내고, 다른 구성요소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리셉터클의 셸(60)은 원통부(61)와, 원통부(61)의 일단에 설치된 플랜지부(62)로 이루어진다. 원통부(61)의 외주면에는 바요넷 로킹용의 안내홈(61a)이 1쌍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1a)의 입구측에서의 일방의 측벽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61b)으로 되어 있고, 경사면(61b)의 안쪽에는 패임부(61c)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안내홈(61a)의 사면(61b) 및 패임부(61c)는 원통부(61)를 180° 회전했을 때,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원통부(61)의 내주면에는 돌출조(61d)가 원통부(61)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평면부(61e)가 90° 간격으로 3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평면부(61e)는 감추어져 1개밖에 보이지 않는다. 더스트 캡(20)의 하우징(30)의 삽입편(31b)의 외주면에 설치한 평면부(31d)는 이들 원통부(61)의 평면부(61e)와 합치하게 된다.
리셉터클에 대한 더스트 캡(20)의 부착은, 예를 들면, 하우징(30)의 손잡이(39)를 쥐고 삽입편(31b, 31c)을 셸(60)의 원통부(61) 내에 삽입하고, 더스트 캡(20)을 밀어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삽입편(31b, 31c)의 삽입 방향으로 연신 형성되어 있는 셸(60)의 돌출조(61d)가 삽입편(31c)의 오목부(31e)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또한 3개의 평면부(31d)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편(31b)의 외주 형상이 3개의 평면부(61e)를 갖는 원통부(61)의 내주 형상에 합치함으로써 삽입편(31b, 31c)은 위치 결정되고, 즉 하우징(30)은 셸(60)의 원통부(61)의 둘레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더스트 캡(20)을 밀어 넣으면, 커플링(40)의 1쌍의 돌기(41)는 셸(60)의 안내홈(61a)의 경사면(61b)에 부딪히고, 경사면(61b)에 유도되어 커플링(40)만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하우징(30)의 1쌍의 캔틸레버(36)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 있지 않고, 즉 커플링(40)의 홈(42) 내에 위치하는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는 홈(42)의 내벽(42a)에 의해 밀리고 있지 않지만, 커플링(4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는 홈(42)의 내벽(42a)에 의해 밀리고, 따라서 커플링(40)의 회전에 따라, 1쌍의 캔틸레버(36)는 휘어져 간다.
또한, 더스트 캡(20)을 밀어넣으면, 커플링(40)의 돌기(41)는 경사면(61b)을 타고 넘는다. 이것에 의해, 휘어 있던 1쌍의 캔틸레버(36)는 탄성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캔틸레버(36)의 복귀에 의해 커플링(40)은 홈(42)의 내벽(42a)이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에 의해 밀려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돌기(41)가 경사면(61b)의 안쪽의 패임부(61c)에 끼워 넣어져, 로킹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리셉터클의 셸(60)에 더스트 캡(20)은 부착되고, 로킹 상태로 되어 셸(60)의 개구부를 덮는다. 로킹 상태에서는 더스트 캡(20)의 1쌍의 캔틸레버(36)는 휘어 있지 않고, 초기 상태로 되어 있지만 캔틸레버(36)의 존재에 의해 로킹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로킹 상태를 해제하여 더스트 캡(20)을 떼어내기 위해, 커플링(40)의 돌기(41)가 셸(60)의 패임부(61c)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커플링(40)을 하우징(30)에 대하여 회전하면, 1쌍의 캔틸레버(36)는 선단부(36a)가 커플링(40)의 홈(42)의 내벽(42a)에 의해 밀려 부착시와 마찬가지로 휘고, 리셉터클로부터 더스트 캡(20)을 떼어낸 상태에서는 캔틸레버(36)는 휨이 없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커플링(40)의 회전시에는, 어느 방향에서도 커플링(40)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돌기부(44)가 하우징(30)의 원판부(35)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37)의 양쪽 측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딪침면(37a, 37b)에 부딪힘으로써 커플링(40)의 과대한 회전이 저지되고, 이것에 의해 캔틸레버(36)가 과대하게 휘어 파손되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더스트 캡(20)에 의하면, 리셉터클에 대한 로킹 상태에서 캔틸레버(36)에는 응력이 걸려 있지 않고, 따라서 장기에 걸쳐 사용해도 로킹력이 저하되지 않아, 그 점에서 빠지기 어려운 더스트 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캡(20)을 셸(60)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캡(20)의 커플링(40)과 하우징(30)의 삽입부(31) 사이에 셸(60)의 원통부(61)가 들어가고, 원통부(61)의 내주면과 하우징(30)에 의해 O링(50)은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O링(50)을 구비함으로써 이 예에서는 우수한 방진구조가 실현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더스트 캡(20)의 하우징(30)은 셸(60)의 원통부(61)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들어가는 삽입편(31b, 31c)을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셸(60)의 원통부(61)에 삽입편(31b, 31c)이 들어가 원통부(61)와 충분히 겹치는 구조로 함으로써, 더스트 캡(20)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예를 들면, 더스트 캡(20)이 횡 방향으로부터 외력을 받아도 빠지기 어렵고, 또한 파손되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커플링(40)은 외형도 원통 형상이지만, 셸(60)의 원통부(61)에 맞춘 내주면을 가지고 있으면, 커플링(40)의 외형은 어떤 형상이어도 좋다.
캔틸레버(36)의 선단부(36a)는 이 예에서는 다소 두께가 크게 되어 있지만, 두께를 크게 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의 캔틸레버(36)로 해도 된다. 또한, 선단부(36a)의 두께를 크게 하면, 선단부(36a)가 수용 위치되는 커플링(40)의 홈(42)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하우징(30)은 상술한 예에서는 수지제로 하고 있지만, 수지에 한하지 않고, 금속제로 해도 된다. 또한, 캔틸레버(36)를 금속제로 하여 캔틸레버(36)를 인서트 성형 또는 압입 등에 의해 부착하고 하우징(30)을 수지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캔틸레버(36)는 이 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지만, 캔틸레버(36)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1개이어도 된다. 캔틸레버(36)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는 그것들의 선단부는 커플링(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대칭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캔틸레버(36)는 상술한 예에서는 주상부(34)에 지지되고, 즉 캔틸레버(36)의 지지단은 하우징(3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캔틸레버(36)는 하우징(30)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뻗어 있지만, 예를 들면, 캔틸레버(36)를 지지하는 지지부(상술한 예에서는 주상부(34))를 하우징(30)의 중앙부로부터 옮겨, 캔틸레버(36)의 지지단이 하우징(30)의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도록 해도 된다. 캔틸레버(36)의 지지단을 이러한 위치로 하면 캔틸레버(36)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캔틸레버(36)는 상술한 예에서는 셸(60)에 대한 삽입부(31)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지만, 반드시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으면 된다.

Claims (6)

  1. 바요넷 로킹식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 비끼워맞춤시의 리셉터클에 부착되는 더스트 캡으로서,
    상기 리셉터클의 셸에 상기 셸의 둘레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삽입되는 삽입부를 선단측에 갖고, 덮개부를 후단측에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된 캔틸레버가 상기 삽입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설치된 하우징; 및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고, 선단측 내주면에 바요넷 로킹용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부착되고 후단이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인 커플링;
    을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의 선단부는 상기 커플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요넷 로킹용의 패임부에 끼워 넣어진 로킹 상태에서는 상기 캔틸레버는 휘지 않고,
    상기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커플링을 회전하면,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홈의 내벽에 의해 밀려서 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를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커플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대칭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신되고 상기 셸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조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가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내주면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부딪힘으로써 상기 커플링의 과대한 회전을 저지하는 부딪침면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는 O링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KR1020177024297A 2015-04-27 2016-01-20 더스트 캡 KR101930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0589 2015-04-27
JP2015090589A JP5925938B1 (ja) 2015-04-27 2015-04-27 ダストキャップ
PCT/JP2016/051534 WO2016174883A1 (ja) 2015-04-27 2016-01-20 ダスト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145A true KR20170108145A (ko) 2017-09-26
KR101930064B1 KR101930064B1 (ko) 2018-12-17

Family

ID=5606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297A KR101930064B1 (ko) 2015-04-27 2016-01-20 더스트 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03154B2 (ko)
JP (1) JP5925938B1 (ko)
KR (1) KR101930064B1 (ko)
WO (1) WO2016174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95923S (ko) * 2017-05-17 2018-01-29
DE102019002346A1 (de) * 2019-03-29 2020-10-0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Universelle Verschlusskappe, Verwendung, Verschlusssystem und Verfahren
DE102019002345A1 (de) * 2019-03-29 2020-10-0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zum Verschließen einer Steckverbinder-Buchse, System bestehend aus einer Steckverbinder-Buchse und einer universellen Verschlusskappe, und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Steckverbinder-Buchse
JP7314012B2 (ja) 2019-10-07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2023072362A (ja) * 2021-11-12 2023-05-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防水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670U (ko) * 1987-12-29 1989-07-14
JPH11126649A (ja) 1997-10-21 1999-05-11 Yazaki Corp キャップ部材のロック構造
US7470858B2 (en) * 2005-06-30 2008-12-30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wall receptacle cap retaining system and method
AU2006319004B2 (en) * 2006-05-11 2010-06-10 Abl Sursum Bayerische Elektrozubehor Gmbh & Co. Kg Rotatable feed
US20090163058A1 (en) * 2007-12-21 2009-06-25 Darrell Wayne Craig Electrical connector with tethered cover
JP2012226864A (ja) * 2011-04-15 2012-11-15 Nec Corp 防水ユニットに対する樹脂製部材の取り付け構造、防水ユニット、及び樹脂製部材の取り付け方法
DE102013107282A1 (de) * 2013-07-10 2015-01-1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schlusskappe für einen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25938B1 (ja) 2016-05-25
US10003154B2 (en) 2018-06-19
US20180123280A1 (en) 2018-05-03
JP2016207572A (ja) 2016-12-08
WO2016174883A1 (ja) 2016-11-03
KR101930064B1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064B1 (ko) 더스트 캡
JP4262740B2 (ja) 光コネクタ
WO2015041248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57191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036728A (ja) カバー開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333831A (ja) 光プラグ
JP7123708B2 (ja) 光コネクタ
JP5233008B2 (ja) カッターナイフ
JP2013234743A (ja) 部材の固定装置
JP5634489B2 (ja) 携帯機
JP7210325B2 (ja) 光コネクタ
JP2013045608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JP200716525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22680B2 (ja) 電子体温計用収納ケース
JP6252068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EP3627217B1 (en) Cap
JP6483050B2 (ja) 物理量測定装置
JP2013128588A (ja) 固定装置
JP202012671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242476A (ja) ロック解除機構付コネクタ
JP6795754B2 (ja) 照明装置及びドアライニング
KR100985933B1 (ko)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JP607475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272266B2 (ja) プラガブル光送受信モジュール
JP2017150205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