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957B1 - 권취수단 - Google Patents

권취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957B1
KR101621957B1 KR1020140097859A KR20140097859A KR101621957B1 KR 101621957 B1 KR101621957 B1 KR 101621957B1 KR 1020140097859 A KR1020140097859 A KR 1020140097859A KR 20140097859 A KR20140097859 A KR 20140097859A KR 101621957 B1 KR101621957 B1 KR 10162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elastic body
lower case
edg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312A (ko
Inventor
강효동
Original Assignee
강효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효동 filed Critical 강효동
Priority to PCT/KR2015/0022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37681A1/ko
Publication of KR2015010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2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oulded
    • B65H2701/5122Plastic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수단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탄성체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권취수단에 관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중심부가 비어 있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중심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권취수단{WINDER}
본 발명은 권취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체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권취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권취수단은 줄이 감긴 보빈(bobbin) 및 그 보빈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종래의 보빈은 그 중심부에 탄성체가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바, 이 안착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탄성체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데, 이 금속판의 폭이 충분히 넓어야 필요한 크기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안착부의 두께로 인해 금속판의 폭을 충분하게 넓히는 것이 어려웠다. 물론, 안착부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폭을 넓힐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권취수단 자체의 폭이 넓어져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빈의 중심부를 완전히 비움으로써 그 중심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권취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은,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홀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지지부의 홈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이 하부 케이스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의 외주면은 제 1 가장자리부 및 제 2 가장자리부와,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한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1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2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이탈방지부들 각각이 인접한 제 2 이탈방지부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줄삽입홀; 상기 보빈의 홀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줄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권취부에 감기는 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줄의 끝단에 연결된 줄고정부; 상기 줄고정부에 연결된 장신구걸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 및 탄성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 및 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 및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됨과 아울러 인식카드가 수납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의 외주면은 제 1 가장자리부 및 제 2 가장자리부와,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한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그로부터 돌출된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그로부터 돌출된 제 2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1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그리고 상기 제 2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의 일부를 관통하는 줄삽입홀; 및 상기 줄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권취부에 감기는 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된 줄의 끝단에 상기 줄삽입홀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매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의 일부에 이 보빈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고정홀의 내벽을 갈고리 형태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은,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홀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 및 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지지부의 홈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이 하부 케이스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의 외주면은 제 1 가장자리부 및 제 2 가장자리부와,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한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1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2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이탈방지부들 각각이 인접한 제 2 이탈방지부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줄삽입홀; 상기 보빈의 홀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줄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권취부에 감기는 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줄의 끝단에 연결된 줄고정부; 및 상기 줄고정부에 연결된 장신구걸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 및 탄성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 및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됨과 아울러 인식카드가 수납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빈의 중심부를 완전히 비움으로써 그 중심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권취수단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탄성체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보빈이 종래의 안착부 대신 가이드홈에 수납되므로, 권취수단의 전체 폭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셋째, 탄성체와 보빈을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이들의 폭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결국 이들이 포함된 권취수단의 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원증 또는 출입증과 같은 인식카드가 수납되는 투명 수납부가 일체로 구성된 권취수단에 상당히 유리하다.
넷째, 탄성체와 보빈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과정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보빈 및 탄성체만을 따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
도 4는 도 1에서의 줄고정부의 단면도와 장신구걸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신구걸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Ⅰ-Ⅰ의 선상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장신구걸이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보빈(130) 및 탄성체(140)만을 따로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의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1), 하부 케이스(102), 보빈(130), 탄성체(140), 줄(150), 줄고정부 (622) 및 장신구걸이(633)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01)는 하부 케이스(102)에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101b)와, 그리고 그 케이스 결합부(101b)의 상측에 형성된 투명 수납부(101a)를 포함한다. 이 투명 수납부(101a)의 일 측면은 개구되어 있는 바, 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사원증 또는 출입증과 같은 인식카드(333)가 그 투명 수납부(101a)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2)는 그 내부에 가이드홈(111)을 구비한다. 이 가이드홈(111)은 다각형 형태를 이루는 바, 이 가이드홈(111)의 형태는 다각형 형태 외에도 원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가이드홈(111)의 바닥면은 하부 케이스(102)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다. 이러한 가이드홈(111)에는 보빈(130) 및 탄성체(140)가 수납된다.
보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그리고 탄성체(140)는 나선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탄성체(140)는 보빈(13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보빈(130)과 탄성체(14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빈(130)과 탄성체(140)는, 예를 들어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한 번에 제조될 수 있다.
보빈(130)의 외주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장자리부(131), 제 2 가장자리부(132) 및 권취부(133)로 구분된다. 제 1 가장자리부(131)의 일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1 이탈방지부(135)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제 2 가장자리부(132)의 일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2 이탈방지부(136)들이 형성된다. 제 1 이탈방지부(135)들 각각은 인접한 제 2 이탈방지부(136)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135, 136)은 권취부(133)에 줄(150)이 감겨질 때 그 줄(150)이 권취부(133)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135, 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이를 관통하는 줄삽입홀(137)이 형성된다. 하나의 예로서, 가이드홈(111)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어느 하나의 제 2 이탈방지부에 줄삽입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13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138)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를 이루는 바, 구체적으로 이 걸림턱(138)은 보빈(130)의 내측면으로부터 탄성체(140)를 향해 돌출된 수평 돌출부(138a)와, 이 수평 돌출부(138a)의 끝단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01)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돌출부(138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 돌출부(138b), 수평 돌출부(138a) 및 내측면(즉, 수직 돌출부(138b)와 마주보는 보빈(130)의 내측면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U자형의 홈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150)은 줄삽입홀(137)을 통과한 후, 보빈(130)과 가이드홈(111)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지나 걸림턱(138)에 걸린다. 이때, 줄(150)은 걸림턱(138)과 보빈(130)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 U자형의 홈에 끼워진다. 즉, 줄(150)은 먼저 U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그 접힌 볼록한 부분이 홀(137)을 통과하여 그 U자형의 홈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줄(150)의 일부가 걸림턱(138)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그 줄(150)이 보빈(130)의 둘레, 즉 권취부(133)에 감긴다. 그리고, 감기고 남은 줄(150)은 하부 케이스(102)의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16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인출구(166)는 그 하부 케이스(102)의 측면을 관통하는 2개의 홀들(이하, 제 1 및 제 2 홀)로 구성되어 있는 바, 줄(150)의 일측 끝단이 제 1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그리고 그 줄(150)의 타측 끝단이 제 2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하부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제 1, 제 2 및 제 3 핀(151, 152, 153)이 형성되는 바, 줄(150)의 일측은 제 1 핀(151)과 제 2 핀(152) 사이를 통과하며, 그리고 줄(150)의 타측은 제 1 핀(151)과 제 3 핀(153)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줄(150)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엉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핀 내지 제 3 핀(151 내지 153)은 가이드홈(111)과 인출구(166) 사이에 위치한, 하부 케이스(102)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때, 이 제 1 내지 제 3 핀들(151 내지 153)은 그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01)를 향해 돌출된다.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은 하부 케이스(102)에 고정되며, 그리고 이 탄성체(140)의 말단부(142)는 보빈(130)의 내측면에 붙어 있다. 여기서,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은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며, 그리고 이 탄성체(140)의 말단부(142)는 그 나선의 꼬리에 해당한다.
가이드홈(111)의 바닥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으로부터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117)가 형성된다. 이 지지부(117)는 중심부가 빈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여기서 그 중심부 공간이 노출될 정도로 이 지지부(117)의 둘레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117)의 비어있는 중심부 공간을 중심홈(117a)으로 정의하고, 그리고 지지부(117)의 일부 둘레가 제거되어 발생된 공간을 측면개구부(117b)로 정의할 때, 제 1 지지벽(117c)이 측면개구부(117b)의 일측으로부터 중심홈(117a)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그리고 제 2 지지벽(117d)이 그 제 1 지지벽(117c)에 수직하도록 중심홈(117a)의 내벽으로부터 그 중심홈(117a)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다.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은 중심홈(117a)내에 삽입되며, 그 중심축(14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선 부분이 그 측면개구부(117b)를 통해 지지부(117)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벽(117c) 및 제 2 지지벽(117d)에 의해 중심축(141)이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이 지지부(117)의 중심홈(117a)에 견고하게 끼워짐으로써 그 탄성체(140)가 하부 케이스(102)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의 줄고정부(622)의 단면도와 장신구걸이(633)를 나타낸 도면이다.
줄고정부(6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갖는다. 이 줄고정부(622)의 내부에는 장신구걸이(633)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장신구걸이(633)는 이 홈을 통해 줄고정부 (622)의 후단으로 접혀질 수 있다.
줄고정부 (622)가 하부 케이스(102)에 결합될 때, 이 줄고정부 (622)는 투명 수납부(101a)의 개구된 부분을 막아 인식카드(333)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신구걸이(63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신구걸이(6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고정부(622)의 아래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 줄고정부(622)에 결합된다. 권취수단(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장신구걸이(633)를 줄고정부(622)의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놓으면 그 장신구걸이(633)가 권취수단(100)의 앞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권취수단의 외관 디자인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걸이(633)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줄(150)이 보빈(130)에 감겨있게 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2)로부터 멀어지도록 장신구걸이(633)가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그 장신구걸이(633)에 연결된 줄고정부(622)가 그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그 줄고정부(622)에 연결된 줄(150)이 그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되고, 그 이 인출 과정에서 보빈(1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탄성체(140)도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지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탄성체(140)가 이의 중심축(141)을 향해 더욱 밀집된 나선 형상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도 6b에서의 과정을 통해 탄성체(140)에 높은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도 6b와 같은 상태에서 장신구걸이(633)가 놓이게 되면, 그 탄성체(130)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탄성체(13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즉, 그 탄성 에너지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이 탄성체(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그 회전에 의해 보빈(14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a와 같이 줄(150)이 보빈(140)에 되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100)에 따르면, 보빈(130)의 중심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탄성체(140)의 폭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탄성체(140)의 탄성이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그 보빈(130)이 종래의 안착부 대신 가이드홈(111)에 수납되므로, 권취수단(100)의 전체 폭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게다가, 보빈(130)과 탄성체(140)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게다가, 이 탄성체(14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금속으로 제조된 종래의 탄성체(140)보다 더 낮은 폭으로도 충분한 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보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Ⅰ-Ⅰ의 선상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1), 보빈(55), 탄성체(32), 줄(31), 줄고정부(51) 및 장신구걸이(6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70)은, 제 1 실시예에서 제시된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는 그 내부에 가이드홈(43)을 구비한다. 이 가이드홈(43)은 원의 형태를 이룬다. 이 가이드홈(43)의 바닥면은 하부 케이스(41)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다. 이러한 가이드홈(43)에는 보빈(55) 및 탄성체(32)가 수납된다.
보빈(55)은,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그리고 탄성체(32)는 나선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탄성체(32)는 보빈(55)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탄성체(32)의 중심축(22)은 하부 케이스(41)에 고정되며, 그리고 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는 보빈(11)과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체(32)의 중심축(22)은 나선의 중심부에 해당하며, 그리고 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는 그 나선의 꼬리에 해당한다.
보빈(55)의 외주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장자리부, 제 2 가장자리부 및 권취부(12)로 구분된다. 제 1 가장자리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 1 이탈방지부(11a)가 형성되며, 그리고 제 2 가장자리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 2 이탈방지부(11b)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이탈방지부(11a)는 제 1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그리고 제 2 이탈방지부(11b)는 제 2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55)의 일부에는 이를 관통하는 줄삽입홀(14)이 형성된다. 줄(31)의 일측은 줄삽입홀(14)을 통과하여 보빈(55)의 중심부로 들어간다. 줄(31)의 일측이 중심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그 줄(31)의 일측 끝단에 매듭이 형성된다. 이때 이 매듭의 부피가 줄삽입홀(14)의 지름보다 더 크기 때문에 매듭이 줄삽입홀(14)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줄(31)의 일측 끝단이 보빈(55)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줄(31)의 나머지 부분이 보빈(55)의 둘레, 즉 권취부(12)에 감긴다.
또한, 보빈(55)의 일부에 이 보빈(55)을 관통하는 고정홀(13)이 형성되는 바, 이 고정홀(13)에 탄성체(32)의 말단부(21)가 끼워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는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 갈고리 형태의 말단부(21)가 고정홀(13)의 내벽을 감싸면서 탄성체(32)가 보빈(55)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홈(43)의 바닥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으로부터 탄성체(32)의 중심축(22)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이 지지부(42)는 2개의 반원기둥들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는 형태를 갖는 바, 이 2개의 반원기둥들 사이의 공간에 그 탄성체의 중심축(22)이 끼워진다.
줄고정부(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갖는다. 이 줄고정부(34)의 내부에는 장신구걸이(6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장신구걸이(61)는 이 홈을 통해 줄고정부(51)의 후단으로 접혀질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의 보빈(55) 및 탄성체(32)는 모두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체(32)는 플라스틱 대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따르면, 보빈(55)의 중심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탄성체(32)의 폭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탄성체의 탄성이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그 보빈(55)이 종래의 안착부 대신 가이드홈(43)에 수납되므로, 권취수단(70)의 전체 폭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 1에 따르면, 인출홈(166)이 하부 케이스(102)의 단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인출홈(166)은 그 하부 케이스(102)의 장변들 중 적어도 한 곳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변 대신 장변에 형성된 인출홈에 줄고정부(622)가 결합될 수 있다.
또 한편, 장신구걸이는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은 장신구걸이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신구걸이(63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홀들(111a, 111b, 111c)을 포함한다. 제 1 홀(111a)은 제 2 홀(111b)과 제 3 홀(111c)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홀(111b)과 제 3 홀(111c)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홀(111a)은 제 2 홀(111b) 또는 제 3 홀(111c)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장신구가 하나의 줄 또는 클립을 포함한 경우, 이 장신구의 줄 또는 클립은 제 1 홀(111a)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한편, 장신구가 2개의 줄을 포함한 경우, 이 장신구의 2개의 줄은 제 2 및 제 3 홀(111b, 111c)에 하나씩 걸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1), 투명 덮개(204), 하부 케이스(102), 보빈(130), 탄성체(140), 줄(150), 줄고정부 (622) 및 장신구걸이(633)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201)는 하부 케이스(102)에 결합된다. 한편, 이 상부 케이스(201)의 상측에는 투명 수납부(201a)가 형성된다. 이 투명 수납부(201a)에는 사원증 또는 출입증과 같은 인식카드(333)가 수납될 수 있다. 이 투명 수납부(201a)는 상부 케이스(201)의 상측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돌출부들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상부 케이스(20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호(arc)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이 홈에 의해 상부 케이스(201)와 하부 케이스(102) 간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투명 덮개(204)는 상부 케이스(201)의 투명 수납부(201a)를 덮는다. 이때 투명 덮개(204)의 가장자리가 투명 수납부(201a)를 정의하는 4개의 돌출부들에 밀착되면서 투명 덮개(204)와 상부 케이스(201)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되었으나 미 설명된 부분들은 전술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권취수단 333: 인식카드
101: 상부 케이스 102: 하부 케이스
101a: 투명 수납부 101b: 케이스 결합부
130: 보빈 135: 제 1 이탈방지부
136: 제 2 이탈방지부 142: 말단부
140: 탄성체 141: 중심축
150: 줄 633: 장신구걸이
622: 줄고정부 111: 가이드홈
151: 제 1 핀 152: 제 2 핀
153: 제 3 핀 166: 인출구
117: 지지부 117a: 중심홈
117b: 측면개구부 117c: 제 1 지지벽
117d: 제 2 지지벽

Claims (27)

  1.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홀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지지부의 홈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이 하부 케이스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면은 제 1 가장자리부 및 제 2 가장자리부와,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한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1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2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이탈방지부들 각각이 인접한 제 2 이탈방지부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줄삽입홀;
    상기 보빈의 홀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줄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권취부에 감기는 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줄의 끝단에 연결된 줄고정부; 및
    상기 줄고정부에 연결된 장신구걸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탄성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됨과 아울러 인식카드가 수납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면은 제 1 가장자리부 및 제 2 가장자리부와,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한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그로부터 돌출된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그로부터 돌출된 제 2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1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그리고
    상기 제 2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2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부를 관통하는 줄삽입홀; 및
    상기 줄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권취부에 감기는 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된 줄의 끝단에 상기 줄삽입홀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매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부에 이 보빈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고정홀의 내벽을 갈고리 형태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8.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홀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 및 탄성체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지지부의 홈에 끼워져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이 하부 케이스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면은 제 1 가장자리부 및 제 2 가장자리부와,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한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1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2 이탈방지부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 1 이탈방지부들 각각이 인접한 제 2 이탈방지부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줄삽입홀;
    상기 보빈의 홀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줄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빈의 홀내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권취부에 감기는 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줄의 끝단에 연결된 줄고정부; 및
    상기 줄고정부에 연결된 장신구걸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탄성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됨과 아울러 인식카드가 수납되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수단.
KR1020140097859A 2014-03-11 2014-07-31 권취수단 KR10162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2270 WO2015137681A1 (ko) 2014-03-11 2015-03-10 권취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9497 2014-03-11
KR1020140029497 201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12A KR20150106312A (ko) 2015-09-21
KR101621957B1 true KR101621957B1 (ko) 2016-05-20

Family

ID=5424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859A KR101621957B1 (ko) 2014-03-11 2014-07-31 권취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9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101181061B1 (ko) *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101181061B1 (ko) *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12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8699B2 (ja) 回転式カラビナを有する巻き尺
US7438010B2 (en) Thread spool and cap
KR101621957B1 (ko) 권취수단
KR101701393B1 (ko) 권취수단
US20150014471A1 (en) Cord reel container
TWM561117U (zh) 具鍊條收納之圍欄柱
JP6147383B2 (ja) 隠蔽型ラインストッパ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US3502281A (en) Thread canister
JP3200461U (ja) シートリール
US20190335870A1 (en) Hair roll attached mirror
JP2009201508A (ja) 糸巻
JP2009240302A (ja) 糸状体ユニット
JP2003164245A (ja) スプール収納ケース及びケース入りのスプール
JP7021771B2 (ja) ホースリール
JP4958297B2 (ja) ミシン用ボビンにおける糸解れ防止用の保持具
JP2019104580A5 (ko)
JP2019104579A5 (ko)
JP4388732B2 (ja) リールケース
JP4338287B2 (ja) ピンオンリール
JP3038493U (ja) ハリスホールダー
JP6133067B2 (ja) スプール連結具及びこれを備えたスプール
JP4546672B2 (ja) 釣竿キャップ
KR200339816Y1 (ko) 목걸이줄 권취기.
JP3034480U (ja) 小物収納容器
JP2019104579A (ja) ホース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