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393B1 - 권취수단 - Google Patents

권취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393B1
KR101701393B1 KR1020150029922A KR20150029922A KR101701393B1 KR 101701393 B1 KR101701393 B1 KR 101701393B1 KR 1020150029922 A KR1020150029922 A KR 1020150029922A KR 20150029922 A KR20150029922 A KR 20150029922A KR 101701393 B1 KR101701393 B1 KR 10170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bobbin
spiral
center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019A (ko
Inventor
강효동
Original Assignee
강효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효동 filed Critical 강효동
Priority to KR102015002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393B1/ko
Priority to PCT/KR2015/002270 priority patent/WO2015137681A1/ko
Publication of KR2016010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3Adaptations of cores or reel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탄성이 높으며 작은 힘으로도 쉽게 감겨질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한 권취수단에 관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중심부가 비어 있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중심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에 근접한 부분과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갖는다.

Description

권취수단{WINDER}
본 발명은 권취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이 높으며 작은 힘으로도 쉽게 감겨질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한 권취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권취수단은 줄이 감긴 보빈(bobbin) 및 그 보빈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종래의 보빈은 그 중심부에 탄성체가 놓이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바, 이 안착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탄성체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데, 이 금속판의 두께가 충분히 커야 필요한 크기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안착부의 두께로 인해 금속판의 두께를 충분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물론, 안착부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금속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권취수단 자체의 두께가 증가하여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빈의 중심부를 완전히 비움으로써 그 중심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권취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은, 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중심부가 비어 있는 보빈; 및 보빈의 중심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탄성체의 중심축이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탄성체의 말단부가 보빈에 고정되며; 탄성체는 탄성체의 중심축에 근접한 부분과 탄성체의 말단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다.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로부터 탄성체의 중심축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다.
탄성체는 말단부와 중심축 사이에 위치한 나선 형태의 나선부를 포함하며; 나선부의 일측 끝단이 말단부에 연결되고, 나선부의 타측 끝단이 중심축에 연결되며; 나선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부분들은 나선부의 타측 끝단에 근접할수록 더 작은 폭을 갖는다.
나선부는 나선부의 일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가장 큰 두께를 가지며, 나선부의 타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가장 작은 두께를 갖는다.
나선부의 일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의 두께가 1.5mm이고, 탄성체의 타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의 두께가 1mm이다.
보빈 및 탄성체는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 아세탈(polyacetal) 및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보빈의 중심부를 완전히 비움으로써 그 중심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권취수단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탄성체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보빈이 종래의 안착부 대신 가이드홈에 수납되므로, 권취수단의 전체 두께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셋째, 탄성체와 보빈을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이들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결국 이들이 포함된 권취수단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원증 또는 출입증과 같은 인식카드가 수납되는 투명 수납부가 일체로 구성된 권취수단에 상당히 유리하다.
넷째, 탄성체와 보빈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과정 및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섯째, 탄성체가 탄성체의 중심축에 근접한 부분과 탄성체의 말단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 작은 힘으로도 탄성체가 쉽게 감겨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보빈 및 탄성체만을 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줄고정부의 단면도와 장신구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신구걸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Ⅰ-Ⅰ의 선상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장신구걸이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보빈 및 탄성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I-I`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보빈(130) 및 탄성체(140)만을 따로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의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1), 하부 케이스(102), 보빈(130), 탄성체(140), 줄(150), 줄고정부 (622) 및 장신구걸이(633)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01)는 하부 케이스(102)에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101b)와, 그리고 그 케이스 결합부(101b)의 상측에 형성된 투명 수납부(101a)를 포함한다. 이 투명 수납부(101a)의 일 측면은 개구되어 있는 바, 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사원증 또는 출입증과 같은 인식카드(333)가 그 투명 수납부(101a)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2)는 그 내부에 가이드홈(111)을 구비한다. 이 가이드홈(111)은 다각형 형태를 이루는 바, 이 가이드홈(111)의 형태는 다각형 형태 외에도 원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가이드홈(111)의 바닥면은 하부 케이스(102)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다. 이러한 가이드홈(111)에는 보빈(130) 및 탄성체(140)가 수납된다.
보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그리고 탄성체(140)는 나선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탄성체(140)는 보빈(13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보빈(130)과 탄성체(14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빈(130)과 탄성체(140)는, 예를 들어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한 번에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보빈(130)과 탄성체(140)는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 아세탈(polyacetal) 및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빈(130)의 외주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장자리부(131), 제 2 가장자리부(132) 및 권취부(133)로 구분된다. 제 1 가장자리부(131)의 일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1 이탈방지부(135)들이 형성되며, 그리고 제 2 가장자리부(132)의 일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제 2 이탈방지부(136)들이 형성된다. 제 1 이탈방지부(135)들 각각은 인접한 제 2 이탈방지부(136)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135, 136)은 권치부(133)에 줄(150)이 감겨질 때 그 줄(150)이 권치부(133)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이탈방지부들(135, 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이를 관통하는 줄삽입홀(137)이 형성된다. 하나의 예로서, 가이드홈(111)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어느 하나의 제 2 이탈방지부에 줄삽입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13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138)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를 이루는 바, 구체적으로 이 걸림턱(138)은 보빈(130)의 내측면으로부터 탄성체(140)를 향해 돌출된 수평 돌출부(138a)와, 이 수평 돌출부(138a)의 끝단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01)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돌출부(138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 돌출부(138b), 수평 돌출부(138a) 및 내측면(즉, 수직 돌출부(138b)와 마주보는 보빈(130)의 내측면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U자형의 홈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150)은 줄삽입홀(137)을 통과한 후, 보빈(130)과 가이드홈(111)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지나 걸림턱(138)에 걸린다. 이때, 줄(150)은 걸림턱(138)과 보빈(130)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 U자형의 홈에 끼워진다. 즉, 줄(150)은 먼저 U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그 접힌 볼록한 부분이 홀(137)을 통과하여 그 U자형의 홈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줄(150)의 일부가 걸림턱(138)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그 줄(150)이 보빈(130)의 둘레, 즉 권치부(133)에 감긴다. 그리고, 감기고 남은 줄(150)은 하부 케이스(102)의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16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인출구(166)는 그 하부 케이스(102)의 측면을 관통하는 2개의 홀들(이하, 제 1 및 제 2 홀)로 구성되어 있는 바, 줄(150)의 일측 끝단이 제 1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그리고 그 줄(150)의 타측 끝단이 제 2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하부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제 1, 제 2 및 제 3 핀(151, 152, 153)이 형성되는 바, 줄(150)의 일측은 제 1 핀(151)과 제 2 핀(152) 사이를 통과하며, 그리고 줄(150)의 타측은 제 1 핀(151)과 제 3 핀(153)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줄(150)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엉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핀 내지 제 3 핀(151 내지 153)은 가이드홈(111)과 인출구(166) 사이에 위치한, 하부 케이스(102)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때, 이 제 1 내지 제 3 핀들(151 내지 153)은 그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01)를 향해 돌출된다.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은 하부 케이스(102)에 고정되며, 그리고 이 탄성체(140)의 말단부(142)는 보빈(130)의 내측면에 붙어 있다. 여기서,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은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며, 그리고 이 탄성체(140)의 말단부(142)는 그 나선의 꼬리에 해당한다.
가이드홈(111)의 바닥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으로부터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117)가 형성된다. 이 지지부(117)는 중심부가 빈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여기서 그 중심부 공간이 노출될 정도로 이 지지부(117)의 둘레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117)의 비어있는 중심부 공간을 중심홈(117a)으로 정의하고, 그리고 지지부(117)의 일부 둘레가 제거되어 발생된 공간을 측면개구부(117b)로 정의할 때, 제 1 지지벽(117c)이 측면개구부(117b)의 일측으로부터 중심홈(117a)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며, 그리고 제 2 지지벽(117d)이 그 제 1 지지벽(117c)에 수직하도록 중심홈(117a)의 내벽으로부터 그 중심홈(117a)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다.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은 중심홈(117a)내에 삽입되며, 그 중심축(14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선 부분이 그 측면개구부(117b)를 통해 지지부(117)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벽(117c) 및 제 2 지지벽(117d)에 의해 중심축(141)이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이 지지부(117)의 중심홈(117a)에 견고하게 끼워짐으로써 그 탄성체(140)가 하부 케이스(102)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의 줄고정부(622)의 단면도와 장신구걸이(633)를 나타낸 도면이다.
줄고정부(6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갖는다. 이 줄고정부(622)의 내부에는 장신구걸이(633)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장신구걸이(633)는 이 홈을 통해 줄고정부 (622)의 후단으로 접혀질 수 있다.
줄고정부 (622)가 하부 케이스(102)에 결합될 때, 이 줄고정부 (622)는 투명 수납부(101a)의 개구된 부분을 막아 인식카드(333)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신구걸이(63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신구걸이(6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고정부(622)의 아래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그 줄고정부(622)에 결합된다. 권취수단(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장신구걸이(633)를 줄고정부(622)의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놓으면 그 장신구걸이(633)가 권취수단(100)의 앞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권취수단의 외관 디자인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수단(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걸이(633)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줄(150)이 보빈(130)에 감겨있게 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2)로부터 멀어지도록 장신구걸이(633)가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그 장신구걸이(633)에 연결된 줄고정부(622)가 그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면, 그 줄고정부(622)에 연결된 줄(150)이 그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되고, 그 이 인출 과정에서 보빈(1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탄성체(140)도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지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탄성체(140)가 이의 중심축(141)을 향해 더욱 밀집된 나선 형상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도 6b에서의 과정을 통해 탄성체(140)에 높은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도 6b와 같은 상태에서 장신구걸이(633)가 놓이게 되면, 그 탄성체(130)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탄성체(13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즉, 그 탄성 에너지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이 탄성체(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그 회전에 의해 보빈(14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a와 같이 줄(150)이 보빈(140)에 되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100)에 따르면, 보빈(130)의 중심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탄성체(140)의 두께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탄성체(140)의 탄성이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그 보빈(130)이 종래의 안착부 대신 가이드홈(111)에 수납되므로, 권취수단(100)의 전체 두께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게다가, 보빈(130)과 탄성체(140)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게다가, 이 탄성체(14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금속으로 제조된 종래의 탄성체(140)보다 더 낮은 두께로도 충분한 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보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Ⅰ-Ⅰ의 선상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1), 보빈(55), 탄성체(32), 줄(31), 줄고정부(51) 및 장신구걸이(6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70)은, 제 1 실시예에서 제시된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1)는 그 내부에 가이드홈(43)을 구비한다. 이 가이드홈(43)은 원의 형태를 이룬다. 이 가이드홈(43)의 바닥면은 하부 케이스(41)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보다 더 낮다. 이러한 가이드홈(43)에는 보빈(55) 및 탄성체(32)가 수납된다.
보빈(55)은,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그리고 탄성체(32)는 나선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탄성체(32)는 보빈(55)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탄성체(32)의 중심축(22)은 하부 케이스(41)에 고정되며, 그리고 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는 보빈(11)과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체(32)의 중심축(22)은 나선의 중심부에 해당하며, 그리고 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는 그 나선의 꼬리에 해당한다.
보빈(55)의 외주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장자리부, 제 2 가장자리부 및 권취부(12)로 구분된다. 제 1 가장자리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 1 이탈방지부(11a)가 형성되며, 그리고 제 2 가장자리부에는 그로부터 돌출된 제 2 이탈방지부(11b)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이탈방지부(11a)는 제 1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그리고 제 2 이탈방지부(11b)는 제 2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55)의 일부에는 이를 관통하는 줄삽입홀(14)이 형성된다. 줄(31)의 일측은 줄삽입홀(14)을 통과하여 보빈(55)의 중심부로 들어간다. 줄(31)의 일측이 중심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그 줄(31)의 일측 끝단에 매듭이 형성된다. 이때 이 매듭의 부피가 줄삽입홀(14)의 지름보다 더 크기 때문에 매듭이 줄삽입홀(14)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줄(31)의 일측 끝단이 보빈(55)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줄(31)의 나머지 부분이 보빈(55)의 둘레, 즉 권취부(12)에 감긴다.
또한, 보빈(55)의 일부에 이 보빈(55)을 관통하는 고정홀(13)이 형성되는 바, 이 고정홀(13)에 탄성체(32)의 말단부(21)가 끼워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는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 갈고리 형태의 말단부(21)가 고정홀(13)의 내벽을 감싸면서 탄성체(32)가 보빈(55)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홈(43)의 바닥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으로부터 탄성체(32)의 중심축(22)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이 지지부(42)는 2개의 반원기둥들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는 형태를 갖는 바, 이 2개의 반원기둥들 사이의 공간에 그 탄성체의 중심축(22)이 끼워진다.
줄고정부(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갖는다. 이 줄고정부(34)의 내부에는 장신구걸이(6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장신구걸이(61)는 이 홈을 통해 줄고정부(51)의 후단으로 접힐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의 보빈(55) 및 탄성체(32)는 모두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55)과 탄성체(32)는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 아세탈(polyacetal) 및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체(32)는 플라스틱 대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에 따르면, 보빈(55)의 중심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탄성체(32)의 두께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탄성체의 탄성이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그 보빈(55)이 종래의 안착부 대신 가이드홈(43)에 수납되므로, 권취수단(70)의 전체 두께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 1에 따르면, 인출홈(166)이 하부 케이스(102)의 단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인출홈(166)은 그 하부 케이스(102)의 장변들 중 적어도 한 곳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변 대신 장변에 형성된 인출홈에 줄고정부(622)가 결합될 수 있다.
또 한편, 장신구걸이는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은 장신구걸이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신구걸이(63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홀들(111a, 111b, 111c)을 포함한다. 제 1 홀(111a)은 제 2 홀(111b)과 제 3 홀(111c)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홀(111b)과 제 3 홀(111c)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홀(111a)은 제 2 홀(111b) 또는 제 3 홀(111c)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장신구가 하나의 줄 또는 클립을 포함한 경우, 이 장신구의 줄 또는 클립은 제 1 홀(111a)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한편, 장신구가 2개의 줄을 포함한 경우, 이 장신구의 2개의 줄은 제 2 및 제 3 홀(111b, 111c)에 하나씩 걸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권취수단(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1), 투명 덮개(204), 하부 케이스(102), 보빈(130), 탄성체(140), 줄(150), 줄고정부 (622) 및 장신구걸이(633)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201)는 하부 케이스(102)에 결합된다. 한편, 이 상부 케이스(201)의 상측에는 투명 수납부(201a)가 형성된다. 이 투명 수납부(201a)에는 사원증 또는 출입증과 같은 인식카드(333)가 수납될 수 있다. 이 투명 수납부(201a)는 상부 케이스(201)의 상측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돌출부들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상부 케이스(20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호(arc)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이 홈에 의해 상부 케이스(201)와 하부 케이스(102) 간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투명 덮개(204)는 상부 케이스(201)의 투명 수납부(201a)를 덮는다. 이때 투명 덮개(204)의 가장자리가 투명 수납부(201a)를 정의하는 4개의 돌출부들에 밀착되면서 투명 덮개(204)와 상부 케이스(201)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되었으나 미 설명된 부분들은 전술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한다.
한편, 도 1에서의 탄성체(140)는 탄성체(140)의 중심축(141)에 근접한 부분과 탄성체(140)의 말단부(142)에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보빈 및 탄성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I-I`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탄성체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의 말단부로부터 탄성체의 중심축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40)는 말단부(142), 중심축(141) 및 말단부(142)와 중심축(141) 사이에 위치한 나선형의 나선부(148)를 포함하는 바, 나선부(148)의 일측 끝단은 말단부(142)에 연결되고, 나선부(148)의 타측 끝단은 중심축(141)에 연결된다. 이때, 나선부(148)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부분들로 구분될 수 있는 바, 이 부분들은 나선부(148)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 사이에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이 복수의 부분들은 나선부(148)의 타측 끝단에 근접할수록 더 작은 폭을 갖는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141)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한 제 1 내지 제 4 부분들(A1, A2, A3, A4)이 있을 경우, 이들 중 중심축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제 4 부분(A4)이 가장 큰 두께(W4)를 가지며, 그 다음으로 중심축(141)에서 멀리 위치한 제 3 부분(A3)이 제 4 부분(A4)보다 더 작은 두께(W3)를 가지며, 그 다음으로 중심축(141)에서 멀리 위치한 제 2 부분(A2)이 제 3 부분(A3)보다 더 작은 두께(W2)를 가지며, 그 다음으로 중심축(141)에서 멀리 위치한 제 1 부분(A1)이 제 2 부분(A2)보다 더 작은 두께(W1)를 갖는다.
나선부(148)의 일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은 가장 큰 폭을 갖는 바, 예를 들어 이 부분은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선부(148)의 타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은 가장 작은 폭을 갖는 바, 예를 들어 이 부분은 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140)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더 작은 힘으로도 탄성체(140)가 쉽게 감겨질 수 있다. 즉, 전술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150)을 당기는 힘이 약하더라도 탄성체(140)가 부드럽게 감겨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의 탄성체(32)도,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 바와 같이, 탄성체(32)의 말단부(21)로부터 탄성체(32)의 중심축(22)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40: 탄성체 141: 중심축
142: 말단부 148: 나선부
130: 보빈 135: 제 1 이탈방지부
136: 제 2 이탈방지부

Claims (6)

  1.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을 관통하는 홀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 형태의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나선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가 상기 보빈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탄성체의 중심축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 권취수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말단부와 중심축 사이에 위치한 나선 형태의 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부의 일측 끝단이 상기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나선부의 타측 끝단이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며;
    상기 나선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부분들은 나선부의 타측 끝단에 근접할수록 더 작은 폭을 갖는 권취수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상기 나선부의 일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가장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나선부의 타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가장 작은 두께를 갖는 권취수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의 일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의 두께가 1.5mm이고, 상기 탄성체의 타측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의 두께가 1mm인 권취수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및 탄성체는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 아세탈(polyacetal) 및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권취수단.
KR1020150029922A 2014-03-11 2015-03-03 권취수단 KR10170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22A KR101701393B1 (ko) 2015-03-03 2015-03-03 권취수단
PCT/KR2015/002270 WO2015137681A1 (ko) 2014-03-11 2015-03-10 권취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922A KR101701393B1 (ko) 2015-03-03 2015-03-03 권취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019A KR20160107019A (ko) 2016-09-13
KR101701393B1 true KR101701393B1 (ko) 2017-02-01

Family

ID=5694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922A KR101701393B1 (ko) 2014-03-11 2015-03-03 권취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3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101181061B1 (ko) *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750B1 (ko) * 2000-09-08 2003-11-07 강정진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KR200460002Y1 (ko) * 2010-01-12 2012-04-26 현대카드 주식회사 목걸이형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87Y1 (ko) 2006-03-06 2006-06-02 김보영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101181061B1 (ko) *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019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582B1 (en) Fishing hook rig and lure container
JP5602033B2 (ja) トノカバー装置
KR101181061B1 (ko)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US7438010B2 (en) Thread spool and cap
KR101677272B1 (ko) 회전식 카라비너를 갖는 줄자
US6328238B1 (en) Cable pay-out tube
KR101701393B1 (ko) 권취수단
KR101621957B1 (ko) 권취수단
JP2003175904A (ja) 鉄筋結束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リール
JP4016785B2 (ja) 鉄筋結束機及びリール
US20150014471A1 (en) Cord reel container
JP6147383B2 (ja) 隠蔽型ラインストッパ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JP3200461U (ja) シートリール
JP5590914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09201508A (ja) 糸巻
JP3837326B2 (ja) スプール収納ケース及びケース入りのスプール
US4723723A (en) Case for surface-type fastener
JP7021771B2 (ja) ホースリール
JP2019104579A5 (ko)
JP3038493U (ja) ハリスホールダー
JP4338287B2 (ja) ピンオンリール
JP2019104580A5 (ko)
JP2007062841A (ja) 梱包用の紐収納容器
KR200335265Y1 (ko) 자동 권취형 롤 페이퍼와 롤 페이퍼가 결합된 오프너
KR101750708B1 (ko) 와이어 인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