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600A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600A
KR20190119600A KR1020197025573A KR20197025573A KR20190119600A KR 20190119600 A KR20190119600 A KR 20190119600A KR 1020197025573 A KR1020197025573 A KR 1020197025573A KR 20197025573 A KR20197025573 A KR 20197025573A KR 20190119600 A KR20190119600 A KR 2019011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ensioner
force
fixed
main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441B1 (ko
Inventor
히데아키 세키
요시오 야마다
다카오 고바야시
가즈히토 히라오카
슈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도고교가부시키가이샤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도고교가부시키가이샤,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도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4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2007/08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having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종래의 태엽을 이용한 메커니컬식 텐셔너는 체인 진동을 감쇠하여 완충하는 기능이 불충분하거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고, 사용 영역이 한정된다. 본 텐셔너(17)는 태엽(21)의 부세력이 플런저(20)에 작용하고, 텐셔너 암(16)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항한다. 플런저(20)가 돌출되는 경우, 태엽은 직경확대하여 풀리지만, 이 때의 판간 마찰력은 작다. 플런저(20)가 압입되는 경우, 태엽(21)은 감기고, 직경 축소에 의한 큰 판간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마찰력의 차에 의해, 체인 진동이 감쇠하여 완충된다.

Description

텐셔너
본 발명은 무단형상의 체인이나 벨트 등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 벨트 등의 두루마리 전동체를 이용한 전동 장치에는 그 느슨함측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셔너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을 캠 샤프트에 전달하는 타이밍 체인 전동 장치에 있어서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의 유압 및 리턴 스프링의 부세력을 플런저에 작용하는 유압식 텐셔너가 흔히 알려져 있지만(특허문헌 1 참조), 태엽을 이용하는 메커니컬식 텐셔너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의 텐셔너는 플런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원주 홈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해당 가이드 홈과 상기 복수개의 원주 홈의 하나에 계합(걸어맞춤)하는 레지스터 클립을 갖고, 상기 유압 또는 리턴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전진한 플런저를, 상기 레지스터 클립이 가이드 홈과 원주 홈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규제한다.
특허문헌 2의 텐셔너는 텐셔너 암(암 슈(arm shoe))에 편심 캠을 축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캠에 태엽의 부세력을 작용하고, 캠에 형성된 티스에 역전 방지 발톱을 계합하여, 텐셔너 암의 후퇴를 저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3670911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8344호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유압식 텐셔너는 하중의 흡수 능력이 높고, 자동차용 엔진에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하중 흡수를 위해 오일을 필요로 하며, 오일을 실린더내에 흡입할 때에 부압을 발생함으로써, 플런저의 돌출이 지연되어 체인 하중의 변동에 동기할 수 없어, 과잉의 체인 흔들림이나 하중 증가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엔진 시동시 등의 급유압이 작을 때에는 유량 부족에 의해 내압을 확보할 수 없어, 플런저가 과잉으로 압입되는 것에 의해 체인에 과잉의 느슨함이 발생하고, 체인 플래핑에 의한 타음(tap tone)이나 티스 스킵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막기 위해, 계지(걸림) 기구를 마련한 유압 텐셔너는 엔진 시동시 등의 급유압이 작을 때에는 계지 기구에 의해 플런저의 압입을 억제하지만, 계지 기구는 하중을 순식간에 받기 때문에, 충격 하중으로서 체인에 높은 장력을 발생시키거나, 텐셔너가 두드려짐으로써 타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메커니컬식 텐셔너는 오토바이 등의 자동 이륜차용 엔진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티스 및 역전 방지 발톱 이외에도, 회전 샤프트와 추진 샤프트(플런저)를 나사결합하여 후퇴를 저지하는 것도 있지만, 어느 경우도, 하중의 흡수성은 낮다. 이 때문에, 충격 하중으로서 체인에 높은 장력을 발생시키거나, 텐셔너가 두드려짐으로써 타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어, 높은 하중을 발생하는 엔진에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태엽을 감거나 풀 때의 판간 마찰력의 차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루마리 전동체(13)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텐션 부재(16)에 대항하도록 힘을 가하는 태엽(21)을 구비하고, 상기 태엽(21)은 상기 텐션 부재(16)로부터 해당 태엽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해당 태엽으로부터 상기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부세력이 큰 경우, 해당 태엽의 판간 마찰력이 작은 상태에서 풀리고, 상기 텐션 부재로부터 해당 태엽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해당 태엽으로부터 상기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부세력이 작은 경우, 해당 태엽의 판간 마찰력이 큰 상태에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에 있다.
예를 들면, 도 1∼도 3, 도 6∼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태엽(21)에 당접하고, 해당 태엽이 감기는 방향의 해당 태엽의 직경 변화에 대향하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켜 해당 태엽을 지지하는 백업 부재(25, 2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2∼도 10,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백업 부재(25)는 상기 태엽(21)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해당 태엽을 직경확대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백업 부재(252)는 기단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50)된 1쌍의 암(51, 52)을 갖고, 상기 1쌍의 암은 상기 태엽(21)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해당 태엽을 직경확대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태엽(21')의 판 사이에, 높은 마찰 계수, 내마모성, 발열 억제 등의 기능을 갖는 재료(21'b)를 개재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2, 도 3을 참조하여, 플런저(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 보디(19)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21)은 그 일단을 상기 플런저(20)에 고정(22)시키고, 타단을 상기 보디에 고정(23)시켜, 해당 보디(19)에 수납되고, 상기 플런저의 일단(20a)은 상기 텐션 부재(16)와 고정 부재 사이에 상기 태엽(21)의 부세력을 작용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6a, 도 6b, 도 7, 도 8a, 도 8b, 도 13을 참조하여, 고정부(19d)와, 해당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19e)를 갖는 보디(192, 193, 198)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21)은 그 일단을 상기 고정부(19d)에 고정(22 또는 23)시키고, 타단을 상기 가동부(19e)에 고정(23 또는 22)시켜 상기 보디(192)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19e)는 상기 텐션 부재(16)와 고정 부재 사이에 상기 태엽(21)의 부세력을 작용시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9a, 도 9b를 참조하여, 고정부(19g)와, 해당 고정부의 일측부에 배치된 피벗부(37)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19h)를 갖는 보디(19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19g) 및 상기 가동부(19h)는 서로 대향하도록 반원호 형상의 수납면(39, 40)을 각각 갖고, 이들 대향하는 수납면에 상기 태엽(21)을 장착하고, 상기 가동부(19h)는 상기 텐션 부재(16)와 고정 부재 사이에 상기 태엽(21)의 부세력을 작용시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보디(19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46)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21)으로부터의 부세력을 제 1 돌출부(20a)를 통해 상기 레버(46)에 작용시키고, 해당 레버에 작용하는 부세력을 해당 레버에 마련된 제 2 돌출부(47)를 통해 상기 텐션 부재(16)에 작용시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1을 참조하여, 크랭크 스프로킷(11a)과 캠 스프로킷(12a) 사이에 감긴 타이밍 체인(13)의 느슨함측에, 상기 텐션 부재(16)를 슬라이딩 접촉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호는 도면과 대조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에 의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에 하등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텐셔너는 체인, 벨트 등의 두루마리 전동체로부터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여 태엽의 부세력을 작용하고, 체인 등의 진동은 태엽의 풀림, 감기에 의해 완충되고, 또한 태엽의 풀림 방향과 감기 방향에서의 판간 마찰력의 차에 의한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여 감쇠할 수 있고, 공진역 등에서도 타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체인 등의 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다.
체인 등이 경년 변화에 의해 늘어난 경우, 또는 엔진 시동시 등에서 체인 등이 느슨해졌을 때, 태엽은 풀림 방향으로 변위되하고, 이 때, 판간 마찰력은 작기 때문에 신속하게 텐션 부재를 이동하여, 체인 등을 적정한 장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체인 등으로부터 텐션 부재에 큰 하중이 작용해도, 태엽은 감기 방향으로 되어 큰 판간 마찰력이 작용하고, 하중을 흡수한다. 체인 등으로부터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큰 하중이 계속되는 경우, 체인 등의 진동에 수반하여 태엽도 서서히 감기고 체인 등의 과긴장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태엽은 풀림 방향 및 감기 방향의 본래의 변형 방향으로 변위하므로, 집중 하중을 적게 하는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높은 내응력 및 내구성을 구비하며, 또한 고하중에의 설계도 용이하게 되어, 넓은 영역에 적용 가능하다.
또, 태엽을 지지하는 백업 부재를 구비하면, 태엽은 감기 방향시에는 그 직경 방향 변위가 백업 부재의 지지력에 의해 제한되고, 더욱 큰 판간 마찰력이 작용하여,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백업 부재에 판 스프링을 이용하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백업 부재를 기단부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1쌍의 암으로 하면, 견뢰한 구조로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태엽의 판 사이에 기능을 갖는 재료를 개재하면, 더욱 큰 마찰력, 내마모성 또는 발열 억제 등의 각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태엽의 부세력을 레버를 통해 두루마리 전동체에 작용시키면, 레버의 레버비에 따라 하중을 변경할 수 있어, 태엽에 의한 부세력과 두루마리 전동체의 장력의 관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루마리 전동체에 대한 태엽의 부세력이 작아지도록 설정하여, 태엽의 판간 마찰력을 작게 하여 텐셔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타이밍 체인 전동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텐셔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플런저의 돌출시(태엽의 풀림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b는 플런저의 압입시(태엽의 감기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태엽의 휨-하중선도이다.
도 5는 태엽의 사이에 기능을 갖는 재료를 개재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b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돌출시(태엽의 풀림시)를 나타낸다.
도 9b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압입시(태엽의 감기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내에 배치되는 타이밍 체인 전동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11)에 고정된 스프로킷(11a)과, 2개의 캠 샤프트(12, 12)에 고정된 스프로킷(12a, 12a)과, 상기 크랭크 스프로킷(11a)과 캠 스프로킷(12a, 12a) 사이에 감겨 있는 타이밍 체인(13)을 갖는다. 두루마리 전동체인 상기 타이밍 체인(13)에는 그 텐션측 2개소에 체인 가이드(14, 15)가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고, 그 느슨함측에 텐션 부재인 텐셔너 암(16)이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다. 체인 가이드(14, 15)는 엔진 블록에 고정되어 있으며, 텐셔너 암(16)은 일단이 지지축(16b)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측에 체인 텐셔너(17)의 플런저가 당접해 있다. 또한, 타이밍 체인(13)은 사일런트 체인, 롤러 체인, 부시 체인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며, 또 텐셔너 암(16)의 지지축(16b)은 체인의 주행 방향 상류측이라도 하류측이라도 좋다.
체인 텐셔너(이하, 텐셔너라고 함)(1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9)를 갖고 있으며, 보디(19)는 엔진 블록 등의 고정 부재에 부착 구멍(19a, 19a) 및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해당 보디(19)는 일측에 관통구멍(19b)을 갖고, 타측에 케이스부(19c)를 갖는다. 관통구멍(19b)에는 플런저(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어 있고, 케이스부(19c)에는 태엽(21)이 수납되어 있다. 태엽(21)은 그 외단이 플런저(20)의 측면(20b)에 병설된 외단 앵커(2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내단이 보디(19)에 고정 설치된 내단 앵커(23)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부(19c)에는 원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 스프링(부재)(25)이 태엽(21)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백업 스프링(25)의 일단(기단)측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가이드 피스(2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태엽(21)의 내단 및 백업 스프링(25)의 기단은 상기 케이스부(19c)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피스(26)에 함께 체결되어 있으며, 태엽(21) 및 백업 스프링(25)의 기단측 내주면은 모두 가이드 피스(26)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피스(26)의 기단부가 상기 내단 앵커(23)로 된다. 태엽(21)은 플런저(20)와 보디(19) 사이에 소정량의 권수로 감겨 배치되어 있으며, 플런저(20)의 일단은 해당 태엽(21)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9b)으로부터 일부 돌출되고, 상기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의 당접부(16a)에 당접하는 돌출부(하중 받이부)(20a)로 된다.
다음에, 상기 텐셔너(17)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태엽(21)은 그 내단이 내단 앵커(23)에 의해 보디(19)에 고정되고, 풀려져 확대되고자 하는 부세력이 플런저(20)에 작용하여, 텐셔너(17)는 텐셔너 암(16)을 통해 타이밍 체인(13)에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한다. 타이밍 체인(13)은 엔진 회전에 수반하는 캠의 부하 변동에 의해 그 장력이 변화하고, 텐셔너 암(16)에 작용하는 하중도 엔진 회전수에 따라 항상 진동하도록 변화한다. 해당 하중이 상기 태엽(21)에 의거하는 하중(부세력)보다 작아지면, 즉 플런저를 통해 상기 태엽의 직경확대를 억제하는 힘이 작아지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는 돌출되고(화살표 a), 따라서 외단 앵커(22)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엽(21)은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이 확대되도록 풀린다. 이 때, 태엽(21)은 직경확대되므로, 그 스프링 판간 마찰력은 작고, 저항 하중이 낮은 상태에서 플런저(20)를 돌출한다.
상기 텐셔너 암(16)으로부터의 하중이 태엽(21)의 부세력보다 커지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는 압입되고(화살표 d), 따라서 외단 앵커(22)가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엽(21)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이 작아지도록 감긴다. 이 때, 태엽(21)은 직경축소하므로 그 스프링 판간 마찰력은 크고, 플런저(20)에는 해당 마찰력에 의한 큰 저항 하중이 작용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셔너(17)는 플런저의 돌출시(화살표 a)와 압입시(화살표 d)에서는 하중이 다르며,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엔진 회전에 수반하는 타이밍 체인(13)의 부하 진동에 수반하는 텐셔너 암(16)의 하중 변동은 텐셔너(17)의 태엽에 의해 완충되고, 또한 상기 돌출시 및 압입시의 마찰력의 상위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의해 감쇠되어, 원활하게 흡수된다.
상기 태엽(21)에 의한 마찰력 상위에서는 감쇠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백업 스프링(백업 부재)(25)이 배치된다. 해당 백업 스프링(25)은 그 기단부에서 가이드 피스(26)에 의해 지지되어, 한번 감아지거나 또는 복수회 감긴 선단측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태엽(2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해당 태엽(21)을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경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의 돌출시에는 태엽(21)은 백업 스프링(25)에 의해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된 상태에서, 동일 방향인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확대하므로, 그 판간 마찰력은 작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20)의 압입시에는 태엽(21)은 백업 스프링(25)에 의한 화살표 g방향의 지지력과, 직경 축소하는 방향 f의 태엽(21)의 변형력 사이에 배치되어 큰 판간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돌출시와 압입시에서의 큰 판간 마찰력의 차를 얻어, 필요로 하는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타이밍 체인(13)이 경년 변화에 의해 늘어난 경우 및 엔진 시동시 등에서 타이밍 체인(13)이 느슨해져 있는 경우, 텐셔너 암(16)으로부터의 하중이 감소하여, 태엽(21)의 부세력에 의해 플런저(20)는 돌출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태엽(21)은 직경확대 방향(화살표 c)의 변형에 의해 판간 마찰력은 작고, 상기 타이밍 체인(13)의 느슨해짐에 신속히 대응하여 플런저(20)를 돌출하고, 타이밍 체인(13)의 적정한 장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해당 플런저(20)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체인(13)의 부하 진동을 원활하게 완충하여 감쇠한다.
또, 텐셔너(17)는 플런저(20)의 압입시에는 큰 판간 마찰 저항력이 있기 때문에, 타이밍 체인(13)의 긴장력을 유지하지만, 텐셔너 암(16)으로부터 과대한 하중이 연속해서 작용하는 경우, 상기 큰 마찰 저항력에 대항하여 플런저(20)는 압입되고, 타이밍 체인(13)이 과긴장 상태인 채 계속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태엽(21)의 외단을 플런저(20)에 고정(22)시키고, 내단을 보디(19)에 고정(23)시켰지만, 내단 앵커(23)을 플런저(20)에 고정시키고, 외단을 보디(19)에 고정시켜도 좋다.
상기 태엽(21)은 장방형 단면의 띠형상의 강제 판 스프링을 서로 접하도록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구성된다. 도 5는 일부 변경한 태엽(21')을 나타낸다. 해당 태엽(21')은 스프링 밴드강(판 스프링)(21'a)의 사이에,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마찰재(고 μ재)(21'b)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해당 태엽(21')은 상기 마찰재(21'b)에 의해 상기 판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등마찰 계수 μ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21'a)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은 마찰재(고 μ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것, 발열을 억제하는 것 등의 다른 기능성 다른 소재(재료)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텐셔너(172)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92)를 갖고 있으며, 보디(192)는 부착 구멍(19a, 19a)에 의해 엔진 블록 등의 고정 부재에 부착되는 고정부(19d) 및 가동부인 케이스부(19e)를 갖는다. 고정부(19d)에는 회전축(30)에 의해 케이스부(가동부)(19e)의 보스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볼트(3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케이스부(19e)에는 태엽(21)이 수납되어 있는 동시에, 가이드 피스(2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26)의 일단부는 백업 스프링(부재)(25)의 기단부 및 태엽(21)의 기단부가 고정되며, 내단 앵커(23)를 구성하고 있다. 원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 스프링(25)은 태엽(21)의 내주면에 당접하여 해당 태엽(21)을 지지하고 있으며, 태엽(21)의 외단은 고정부(19d)에 외단 앵커(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부(19e)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런저에 상당하는 돌출부(하중 받이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돌출부(32)는 상기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당접한다. 태엽(21)은 소정량 감겨 상기 내단 및 외단 앵커(22, 23)의 사이에 장착되고, 따라서 돌출부(32)에 당접하는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대해 소정의 부세력을 작용한다.
본 회전 감기 타입의 텐셔너(172)는 고정부(19d)에 외단 앵커(22)가 고정되어 있는 태엽(21)의 되감기 부세력이 케이스부(19e)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고, 돌출부(32)로부터 텐셔너 암(16)에 작용한다. 해당 태엽(21)에 의한 돌출부(32)에 작용하는 하중이 타이밍 체인에 의한 텐셔너 암으로부터의 하중보다 큰 경우, 태엽(21)은 풀리도록 변형되며, 이 방향의 변형(돌출시)은 태엽(21)이 직경확대되어 판간 마찰력이 작고, 작은 저항으로 원활하게 신속히 하중 받이부(32)를 돌출한다.
타이밍 체인에 의한 텐셔너 암으로부터 돌출부(하중 받이부)(32)에 작용하는 하중 k가 상기 태엽(21)에 의한 부세력보다 큰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19e)는 회전 감기 방향 m으로 회전하고, 태엽(21)은 감기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태엽(21)은 상기 감기는 것에 의한 직경 축소 방향 f의 힘과, 백업 스프링(25)에 의해 내주면을 지지하는 방향 g의 힘에 의해 사이에 배치되어 판간 마찰력이 커지고, 해당 마찰력에 의해 큰 저항력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타이밍 체인의 부하 변동에 수반하는 진동은 본 텐셔너(172)에 완충되고, 또한 상기 마찰력의 상위에 의거하는 특성에 의해 감쇠되어 원활하게 흡수된다.
또, 경년 변화에 의한 타이밍 체인의 신장 또는 엔진 시동시 등에 의한 타이밍 체인의 느슨함은 판간 마찰력이 작은 상기 돌출 방향의 변위와 마찬가지로, 텐셔너 암(텐션 부재)은 신속히 변위되어 타이밍 체인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반대 방향의 움직임(압입 방향)에 대해서는 태엽(21)에 큰 판간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큰 저항이 작용한다.
다음에, 상기 회전 감기 타입의 텐셔너(172)를 일부 변경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텐셔너(173)는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93)를 갖고 있으며, 보디(193)는 원형 형상의 고정부(보스)(19d)와 가동부(19e)를 갖고 있고, 해당 고정부(19d)는 그 중심부를 볼트(31)에 의해 엔진 블록 등의 고정 부재(34)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19e)는 고정부(19d)에 베어링(35)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해당 가동부(19e)에 케이스부(19e')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9d)의 표면측에는 가이드 피스를 겸용하는 내단 앵커(23)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해당 내단 앵커(23)에 소정 권수의 태엽(21)의 내단 및 원호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 스프링(25)이 고정되어 있다. 태엽(21)은 그 내주면에서 백업 스프링(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19e)에 일체의 케이스부(19e')에 수납되고, 그 외단이 외단 앵커(22)에 의해 가동부(19e)에 고정된다. 가동부(19e)의 일측 코너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부(하중 받이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돌출부(32)는 상기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당접한다.
즉, 도 6, 도 7에 나타내는 텐셔너(172)는 고정부(19d)에 고정되는 일단이 태엽(21)의 외단(22)이며, 가동부(19e)에 고정되는 타단이 태엽(21)의 내단(23)인 것에 반해, 본 텐셔너(173)는 고정부(19d)에 고정되는 일단이 태엽(21)의 내단(23)이고, 가동부(19e)에 고정되는 타단이 태엽(21)의 외단(22)인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본 텐셔너(173)는 고정부(19d)에 내단 앵커(2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태엽(21)의 되감기 부세력이 가동부(19e)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며,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다음에, 도 9a, 도 9b를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텐셔너(174)는 원호 형상의 내주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보디(194)를 갖는다. 해당 보디(194)는 엔진 블록 등의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부착 구멍(19a, 19a)을 갖는 고정부(19g)와, 해당 고정부(19g)의 일측부에 핀(피벗부)(37)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19h)를 갖는다. 고정부(19g) 및 가동부(19h)는 각각 대향하도록 대략 반원 형상의 수납면(39, 40)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핀(37)과 반대측의 측면은 가동부(19h)에 돌기부(41)가 제공되고, 고정부(19g)에 홈부(42)가 제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 돌기부(41) 및 홈부(42)는 서로 계합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41) 및 홈부(42)의 위치는 고정부와 가동부에서 반대라도 좋다.
상기 대향하는 양 수납면(39, 40)에는 태엽(21)이 장착된다. 또한, 태엽(21)의 내주면에는 원환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 스프링(25)이 장착된다. 고정부(19g)의 전후 방향의 양 측면에는 어긋남 방지판(43)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태엽(21) 및 백업 스프링(25)이 수납면(39, 4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가동부(19h)의 핀(37)과 반대 측면의 상부에는 돌출부(하중 받이부)(32)로 되는 볼트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상기 태엽(21)의 외단(21u), 내단(21v)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 상태로 되어 있지만, 태엽(21)의 가동부(19h)의 수납면(40)에 접하는 외주면 접촉부 S는 돌출부(45)에 텐셔너 암(16)으로부터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마찰력에 의해 고정 상태로 된다. 백업 스프링(25)은 태엽(21)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외경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며,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태엽(21)의 외단(21u)을 가동부(19h)에 고정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돌출부(32)에 텐셔너 암(16)이 당접하여, 해당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으로부터의 하중에 상당하도록, 태엽(21)은 양 수납면(39, 40)내에 직경축소되어 소정량 감기도록 장착되어 있다.
타이밍 체인(13)에 의거하는 텐셔너 암(16)으로부터의 하중이 태엽(21)에 의거하는 돌출부(32)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작은 상태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엽(21)은 직경확대하여, 가동부(19h)는 핀(3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텐셔너 암(16)에 소정 장력이 작용하도록 돌출부(32)가 돌출 방향으로 변위된다.
텐셔너 암(16)으로부터의 하중이 태엽(21)에 의한 하중보다 큰 경우,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19h)가 핀(37)을 중심으로 화살표 p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압입시). 가동부(19h)의 수납면(40)이 고정부(19g)의 수납면(39)에 근접하고 원호면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태엽(21)은 백업 스프링(25)의 지지력에 대항하여 직경축소되어 감긴다. 이 때, 백업 스프링(25)은 그 양단이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는 동시에, 태엽(21)의 내단(21v)도 감기 방향으로 이동한다. 태엽(21)의 외단(21u)측은 가동부(19h)의 수납면(40)에 마찰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 S가 가동부(19h)의 이동에 수반하여 감긴다.
따라서, 도 9a에 나타내는 태엽의 직경확대시, 도 9b에 나타내는 태엽의 직경축소시에는 태엽의 판간 마찰력이 상위하고, 직경 축소시에는 큰 마찰 저항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텐셔너(174)에 있어서도, 타이밍 체인의 부하 변동에 수반하는 진동은 해당 텐셔너(173)에 의해 완충되고, 또한 감쇠되어 원활하게 흡수된다. 타이밍 체인(13)의 경년 변화에 의한 신장 및 엔진 시동시의 타이밍 체인의 느슨함에 따라, 마찰 저항이 작은 상태에서 태엽(21)이 풀리는 것에 의해 신속히 긴장력을 조정한다. 또, 타이밍 체인의 과긴장이 계속되는 것도 방지된다.
다음에, 또한 변경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셔너의 기본 부분은 도 2, 도 3에 나타낸 텐셔너(17)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텐셔너(175)의 보디(195)는 플런저(20)의 반대측에, 해당 플런저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암(19j)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해당 암(19j)의 선단에는 핀(피벗부)(45)에 의해 레버(46)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당 레버(46)는 선단부가 플런저(20)의 선단 돌출부(제 1 돌출부)(20a)에 당접해 있고, 또 그 중간부에, 위쪽으로 돌출되어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당접하는 볼트(제 2 돌출부)(47)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태엽(21)의 부세력에 의거하는 돌출력은 플런저 선단의 제 1 돌출부(20a)로부터 레버(46)에 작용하고, 또한 레버(46)의 제 2 돌출부(47)로부터 텐셔너 암(16)에 작용한다.
상기 제 1 돌출부(20a)에 작용하는 하중과 상기 제 2 돌출부(47)에 작용하는 하중은 레버(46)의 레버비(b/a)에 따라 변경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태엽(21)에 의한 제 1 돌출부(20a)에 의한 하중은 레버(46)에 의해 제 2 돌출부(47)에 a/b(약 2배)로 변경되어 텐셔너 암(16)에 작용한다. 따라서, 체인으로부터의 장력에 의거하여 텐셔너 암(16)의 하중에 대해, 태엽(21)의 부세력은 b/a(약 1/2)로 대항하고, 그 분만큼 판 사이의 마찰력도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레버가 없는 것에 비해 작은 판간 마찰력에 의해 체인 장력에 대항하여, 태엽의 판간 마찰에 의한 마모의 발생을 감소시켜 텐셔너(17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레버에 의한 레버비에서의 하중 받이부의 하중 변경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17, 175)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텐셔너(172, 173, 174) 등의 다른 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텐셔너(174)에 있어서는 핀(37)의 반대측의 가동부(19h)의 선단부에 돌출부(32)를 배치했지만, 돌출부(32)를 가동부(19h)의 중간부 등의 피벗부(37)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고, 상술한 레버(46)를 이용하지 않아도, 마찬가지로 돌출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텐셔너(172, 173)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도 11을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백업 스프링(부재)의 변경이며, 어느 텐셔너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도 2, 도 3에 나타내는 텐셔너에 적용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므로, 마찬가지의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앞의 실시형태의 백업 스프링(25)은 태엽(21)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직경확대 방향에 부세력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의 표기로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이외의 적용도 가능하므로, 백업 부재(252)로 표기한다.
백업 부재(252)는 보디(196)의 고정부인 케이스부(19c)에 핀(피벗부)(50)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암(51, 52)과, 이들 암(51, 52)의 선단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53)을 갖는다. 상기 핀(50)은 플런저(20)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토션 스프링(53)은 케이스부(19c)의 중심부인 보스(19v)의 주위에 그 코일부(53a)를 감도록 배치되고, 그 양 선단부(53b, 53c)가 각각 암(51, 52)의 선단 계합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한쪽의 암(52)의 선단부는 태엽(21)의 내단이 고정되고, 내단 앵커(23)로 되어 있으며, 해당 태엽(21)의 외단은 플런저(20)에 외단 앵커(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쌍의 암(51, 52)은 각각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서 태엽(21)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토션 스프링(53)에 의해 태엽(21)을 직경확대하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백업 부재는 전술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백업 스프링(부재)과 마찬가지로, 태엽(21)의 감는 방향에 대향하여 태엽(21)을 사이에 두고 판간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1쌍의 암(51, 52)을 직경확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53)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 암(51, 52)의 사이에 축소 마련된 코일 스프링, 양 암이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유압장치 등의 다른 것이어도 좋고, 요는 양 암이 직경확대 방향의 부세가 작용하면 좋다. 또, 양 암(51, 52)은 비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것을 부세 부재(53)로 힘을 가하고 있지만, 암(51, 52) 자체가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암 자체에서 부세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도 12를 따라, 또한 변경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0에 나타낸 레버 비에 따라 하중을 변경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는 텐셔너 암(텐션 부재) 자체를 상기 레버로 변경하는 것이다. 상술한 어느 실시형태에 의한 텐셔너에 적용 가능한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텐셔너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므로, 마찬가지의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텐셔너(177)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에 고정된 보디(197)를 갖고 있으며, 해당 보디(197)에는 플런저(20)와 반대측에, 해당 플런저의 돌출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암(19k)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해당 암(19k)의 선단에는 핀(피벗부)(55)에 의해 상기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해당 보디(197)는 도 10에 나타낸 텐셔너(175)의 보디(195)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암(19k)((19j))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46)가 텐셔너 암(16)인 점이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텐셔너 암(16)은 보디(197)의 암(19k)의 선단에 핀(55)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텐셔너(177)의 태엽(21)의 부세력은 플런저(20)의 선단 돌출부(20a)에서 텐셔너 암(16)에 작용하고, 텐셔너 암(16)의 체인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해, 태엽(21)의 부세력이 상기 플런저 돌출부(20a)로부터, 상기 핀(55)과 돌출부(20a)의 거리 c에 의거하는 링크비에 의해 텐셔너 암(16)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거리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체인으로부터의 텐셔너 암(16)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항력으로서의 태엽(21)의 부세력을 상기 거리 c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또한 변경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는 텐셔너(178)의 가동부가 텐셔너 암(16)에 배치되어 있다. 본 텐셔너(178)의 보디(198)는 도 6a, 도 6b와 마찬가지로, 가동부(19e)와 고정부(19d)를 갖고 있으며, 고정부(19d)는 부착 구멍(19a, 19a)에 의해 고정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가동부(19e)는 텐셔너 암(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텐셔너 암(16)은 그 일단측에 상기 가동부(19e)를 구성하는 케이스부(60) 및 보스부(61)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스부(61)가 상기 고정부(19d)에 마련된 축에 헐겁게 끼워져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볼트(31)에 의해 고정부(19d)에 부착되어 있다(도 6a, 도 6b 참조). 상기 케이스부(60)에는 태엽(21)이 수납되어 있으며, 해당 태엽(21)의 내단이 가이드 피스(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26)에는 상기 태엽(21)의 내단과 백업 스프링(부재)(25)이 함께 고정되고, 내단 앵커(23)를 구성하고 있다. 태엽(21)의 외단은 고정부(19d)에 마련된 외단 앵커(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태엽(21)은 가동부(19e)를 구성하는 텐셔너 암(16)의 케이스부(60)와 고정부(19d) 사이에 소정의 감기력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텐셔너 암(16)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부가한다. 타이밍 체인에 의해 텐셔너 암(16)에 작용하는 하중이 태엽(21)에 의한 부세력보다 작은 경우, 텐셔너 암(16)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태엽(21)은 풀리도록 변형된다. 이 방향의 변형은 태엽(21)이 직경확대되어 판간 마찰력이 작고, 작은 저항으로 원활하게 신속히 회전한다. 체인에 의해 텐셔너 암(16)에 작용하는 하중이 태엽(21)의 부세력보다 큰 경우, 텐셔너 암(1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태엽은 감기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 방향의 변형은 태엽(21)이 직경축소하여 백업 스프링(2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판간 마찰력이 커지고, 상기 텐셔너 암(16)의 시계 방향 회전에 큰 저항을 작용한다.
본 실시형태는 텐셔너(178)의 가동부(19e)가 텐셔너 암(16)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텐셔너(178)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텐셔너(178)의 태엽(21)의 부세력이 직접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작용하므로, 작용이 직접적으로 되어 신속한 응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텐셔너를 텐셔너 암측에 배치하는 것은 도 6a, 도 6b, 도 7에 의거하는 텐셔너(172)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2,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텐셔너(17)에 있어서, 그 보디(19)를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배치하고, 그 플런저(20)의 선단 돌출부(20a)를 고정 부재에 당접시켜도 좋다. 또,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텐셔너(173)에 있어서, 보디(193)를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배치하고, 그 가동부(19e)의 돌출부(32)를 고정 부재에 당접시켜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텐셔너(174)에 있어서, 그 보디(194)를 텐셔너 암(텐션 부재)(16)에 배치하고, 가동부(19h)의 돌출부(32)를 고정 부재에 당접시켜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타이밍 체인의 텐셔너에 적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밸런서, 유압 펌프 등의 엔진으로 구동되는 다른 체인에 적용해도 좋고, 또 보조 구동용의 벨트 등의 벨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벨트 장력용으로서는 본 텐셔너는 장력용 풀리에 적용 가능하며, 모든 두루마리 전동체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셔너에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텐셔너 암(16)은 상술한 체인(13)에 슬라이딩면을 갖는 활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텐션 풀리를 선단에 구비한 텐셔너 암이라도 좋고, 요는 두루마리 전동체를 긴장시키는 어떠한 텐션 부재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텐셔너는 타이밍 체인의 장력 조정용으로서 바람직하며, 자동차 산업에 이용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두루마리 전동체의 장력 조정용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13; 타이밍 체인 11a; 크랭크 스프로킷
12a; 캠 스프로킷 16; 텐션 부재(텐셔너 암)
17, 172, 173, 174, 175, 176; 텐셔너
19,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보디
19d; 고정부 19e, 60; 가동부(케이스부)
19g; 고정부 19h; 가동부
20; 플런저 20a; 돌출부(제 1 돌출부)
21; 태엽 22; (외단) 앵커
23; (내단) 앵커 25; 백업 부재(스프링)
32; 하중 받이부 37; 피벗부(핀)
46; 레버 47; 제 2 하중 받이부
51, 52; 암 53; 부세 부재(토션 스프링)

Claims (10)

  1. 두루마리 전동체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텐션 부재에 대항하도록 힘을 가하는 태엽을 구비하고,
    상기 태엽은 상기 텐션 부재로부터 해당 태엽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해당 태엽으로부터 상기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부세력이 큰 경우, 해당 태엽의 판간 마찰력이 작은 상태에서 풀리고, 상기 텐션 부재로부터 해당 태엽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해당 태엽으로부터 상기 텐션 부재에 작용하는 부세력이 작은 경우, 해당 태엽의 판간 마찰력이 큰 상태에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에 당접하고, 상기 태엽이 감기는 방향의 해당 태엽의 직경 변화에 대향하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켜 해당 태엽을 지지하는 백업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부재는 상기 태엽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태엽을 직경확대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부재는 기단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1쌍의 암을 갖고, 상기 1쌍의 암은 상기 태엽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태엽을 직경확대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의 판 사이에, 높은 마찰 계수, 내마모성, 발열 억제 등의 기능을 갖는 재료를 개재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 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은 그 일단을 상기 플런저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상기 보디에 고정시켜 해당 보디에 수납되고,
    상기 플런저의 일단은 상기 텐션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상기 태엽의 부세력을 작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를 갖는 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은 그 일단을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상기 가동부에 고정시켜 상기 보디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텐션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상기 태엽의 부세력을 작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부에 배치된 피벗부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를 갖는 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반원호 형상의 수납면을 각각 갖고, 이들 대향하는 수납면에 상기 태엽을 장착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텐션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상기 태엽의 부세력을 작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으로부터의 부세력을 제 1 돌출부를 통해 상기 레버에 작용시키고, 상기 레버에 작용하는 부세력을 해당 레버에 마련된 제 2 돌출부를 통해 상기 텐션 부재에 작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프로킷과 캠 스프로킷 사이에 감긴 타이밍 체인의 느슨함측에, 상기 텐션 부재를 슬라이딩 접촉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KR1020197025573A 2017-02-02 2017-02-02 텐셔너 KR102139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3737 WO2018142529A1 (ja) 2017-02-02 2017-02-02 テンショ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600A true KR20190119600A (ko) 2019-10-22
KR102139441B1 KR102139441B1 (ko) 2020-07-30

Family

ID=6304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73A KR102139441B1 (ko) 2017-02-02 2017-02-02 텐셔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4455B2 (ko)
EP (1) EP3578855B1 (ko)
JP (1) JP6600105B2 (ko)
KR (1) KR102139441B1 (ko)
CN (1) CN110249158B (ko)
WO (1) WO2018142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4172B2 (ja) * 2018-08-01 2021-08-25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ナ
JP6948992B2 (ja) * 2018-08-01 2021-10-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619A (ja) * 1992-09-18 1996-02-20 デイコ 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ベルト引張システム、そのためのベルト引張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8344A (ja) 1998-06-29 2000-01-18 Daido Kogyo Co Ltd テンショナーを備えたアームシュー
JP3670911B2 (ja) 1999-11-19 2005-07-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090105022A1 (en) * 2005-07-29 2009-04-23 Dayco Europe S.R.L. Con Unico Socio Shoe Tensioner for a Synchronous Belt Drive for Use With Oi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483A (en) * 1988-11-23 1989-12-12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246404A (en) * 1989-04-28 1993-09-21 Nhk Spring Company Limited Unit tensioner
DE4209914A1 (de) * 1992-03-27 1993-09-30 Schaeffler Waelzlager Kg Spannvorrichtung für Riemen oder Ketten
US7883436B2 (en) * 2004-09-15 2011-02-08 Fenner U.S., Inc. Bi-directional tensioner
CN101107462B (zh) * 2005-01-19 2010-12-01 利滕斯汽车合伙公司 正时皮带张紧器
US8075433B2 (en) * 2005-06-28 2011-12-13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with damping member
CN101263320B (zh) * 2005-07-29 2010-06-02 戴科欧洲科学研究实验室 用于与油一起使用的同步带传动的履带片张紧装置
JP2007120624A (ja) * 2005-10-28 2007-05-17 Mitsuboshi Belting Ltd オートテンショナ
JP4473301B2 (ja) * 2007-10-29 2010-06-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WO2014123204A1 (ja) * 2013-02-07 2014-08-14 日本発條株式会社 荷重付加装置
JP6433712B2 (ja) * 2014-08-08 2018-12-05 日本発條株式会社 荷重付加装置
JP6294845B2 (ja) * 2015-02-27 2018-03-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6444294B2 (ja) * 2015-12-24 2018-12-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6539244B2 (ja) * 2016-09-30 2019-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6978678B2 (ja) * 2018-02-21 2021-12-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619A (ja) * 1992-09-18 1996-02-20 デイコ 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ベルト引張システム、そのためのベルト引張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8344A (ja) 1998-06-29 2000-01-18 Daido Kogyo Co Ltd テンショナーを備えたアームシュー
JP3670911B2 (ja) 1999-11-19 2005-07-1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090105022A1 (en) * 2005-07-29 2009-04-23 Dayco Europe S.R.L. Con Unico Socio Shoe Tensioner for a Synchronous Belt Drive for Use With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42529A1 (ja) 2019-06-27
EP3578855A4 (en) 2020-10-07
EP3578855B1 (en) 2022-07-27
WO2018142529A1 (ja) 2018-08-09
JP6600105B2 (ja) 2019-10-30
CN110249158A (zh) 2019-09-17
US10794455B2 (en) 2020-10-06
EP3578855A1 (en) 2019-12-11
KR102139441B1 (ko) 2020-07-30
CN110249158B (zh) 2020-10-27
US20190353227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917B1 (ko) 비대칭 감쇠 텐셔너 벨트 구동 시스템
JP5162591B2 (ja) ツーウェイダンパーを有するテンショナ
JP2668468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
JP6243361B2 (ja) 荷重付加装置
JP2005507063A (ja) テンショナ
JP3059391B2 (ja) パワー・トランスミッション・ベルトのための調整ストッパ付きテンショナー
AU2006201912A1 (en) Timing belt autotensioner with an anti-tooth skip mechanism
JP4384663B2 (ja) 調整可能なテンショナ
JPH0681915A (ja) テンショナ
JP3497471B2 (ja) 圧縮バネによって作動される減衰シューを備えたテンショナ
JP2008509358A (ja) 複合チェーン駆動ガイド
US8025599B2 (en) Pivot arm tensioner with sliding ratchet mechanism
KR20190119600A (ko) 텐셔너
AU2001269376A1 (en) Timing belt autotensioner with an anti-tooth skip mechanism
JP2011140972A (ja) 巻き掛け伝動装置における巻き掛け伝動部材の張力調整装置
JP2003194163A (ja) チェーン用ブレードテンショナシステム
JP2682801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6197090B1 (ja) 巻掛け伝動体張り装置
JP3724027B2 (ja) 組み付け用ストッパ付オートテンショナ
JPH0542801U (ja) 外部ばねを併用した巻掛伝動装置のテンシヨナ機構
JP4572629B2 (ja) V型内燃機関の伝達体振動抑制装置
JP2549524Y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H04105246U (ja) オートテンシヨナ
JPH02275159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H0571604A (ja) テンシヨ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