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053A -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 Google Patents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053A
KR20190119053A KR1020197024759A KR20197024759A KR20190119053A KR 20190119053 A KR20190119053 A KR 20190119053A KR 1020197024759 A KR1020197024759 A KR 1020197024759A KR 20197024759 A KR20197024759 A KR 20197024759A KR 20190119053 A KR20190119053 A KR 20190119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forming mold
cooling
to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베 뗄리에
띠에리 올리비에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11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03B25/02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discontinuous way
    • C03B25/025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45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top-side transfer or supporting devices, e.g. lifting or conveying using s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시트의 벤딩 및 냉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의 제1 주 면의 연부로부터의 50 mm를 포함하는 주변 지역에 의해서 유리가 중력 장착부 상에 놓여 있는 동안, 중력 장착부 상에서 유리를 중력 벤딩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유리가 560 ℃ 초과인 동안에 유리를 중력 장착부로부터 분리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임계 온도 범위로 지칭되는, 적어도 560 ℃의 상부 균질 온도로 지칭되는 온도와 500 ℃ 이하의 하부 균질 온도로 지칭되는 온도 사이에서, 유리의 제1 주 면이 주변 지역 내에서 완전히 접촉되지 않는 동안 유리를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연부로부터 200 mm 초과의 거리에 위치되는 제1 주 면의 구역은, 주변 구역이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할 때, 주변 구역의 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본 발명은 벤딩된, 특히,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laminated glazing)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감소된 인장 응력 획득의 관점에서 벤딩 후의 유리의 냉각 단계에 대한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력 지지부로 지칭되는 중력 벤딩 지지부 상에서의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벤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도로 차량(자동차, 트럭, 버스)용 윈드실드 또는 지붕 유형의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뿐만 아니라, 항공 및 건축용의 임의의 글레이징의 생산에 관한 것이다.
중력 벤딩 프로세스에서, 유리의 최종 기하형태에 맞춰진 형상을 갖는, "중력 지지부"로 지칭되는 유리를 지지하는 툴링(tooling)이, 모든 성형 페이즈(phase) 중에, 즉 초기 벤딩(rough bending), 벤딩 및 냉각 중에, 유리의 하부 면의 주변부와 접촉된다. 따라서, 각각의 글레이징 설계에서, 상이한 프로세스 단계들의 개수 이상인 개수의 특정의 일련의 중력 지지부를 가질 필요가 있다. 중력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중력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유리와 접촉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내화 섬유질 재료로 덮인다. 유리와 접촉되는 그 접촉 트랙의 폭은 일반적으로, 내화 섬유질 재료를 포함하여, 3 내지 20 mm의 범위이다.
냉각 페이즈를 시작하기 위해서 유리가 벤딩 단계를 빠져 나갈 때, 종래 기술에서, 유리는 그 주변부에서, 특히 유리의 연부로부터 5 내지 10 mm 사이에서, 마지막 중력 지지부와 접촉된다. 유리가 경화되고 냉각될 때, 유리 내의 온도 분포의 응력장으로의 변환에 상응하는 영구적인 응력을 생성하는 물리적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유리의 경화 중에 개시되고, 냉각의 종료에서 균질 온도 분포에 도달할 때 종료된다. 정성적으로, 유리가 먼저 경화되는 부분은 압축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상응하는 반면, 유리가 지연 후에 경화되는 부분은 인장 응력 구역을 집중시킨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연부 응력은, 해당 지점 및 해당 방향에서의 응력장의 평균으로서, 재료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그리고 주어진 방향에 대해서 규정될 수 있는 멤브레인 응력(membrane stress)이고, 그러한 평균은 샘플의 두께 전체를 통해서 계산된다. 샘플 연부에서, 연부에 평행한 멤브레인 응력 성분만이 관련되고; 수직 성분은 0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샘플의 연부를 따른 그리고 두께 전체를 통한 평균 응력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측정 방법이 관련된다. 연부 응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광탄성(photoelastic) 기술을 이용한다. 이하에서 인용된 ASTM 표준에서 설명된 2가지 방법은 연부 응력 값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 바비넷 보정기(Babinet compensator)를 이용하는 방법이 표준 ASTM C1279 - 2009 - 01, procedure B에 설명되어 있고;
- 영국 프레스톤에 소재하는 Sharples Stress Engineers라는 회사에 의해서 판매되는 Sharples S-67과 같은 상업적 장치로 실시되고 소위 세나르몽(Senarmont) 또는 제솝-프리델(Jessop-Friedel) 보상기를 이용하는 측정; 측정 원리는 표준 ASTM F218 - 2005 - 01에서 설명되어 있다.
본원의 맥락에서, 압축 응력 값은 표준 ASTM F218 - 2005 - 01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다. 인장 측정은, 글레이징의 연부에 평행한 그러나 그 지역의 약간 더 내측부를 향해서 위치된 구역에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압축 응력 값은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0.1 내지 2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0.1 내지 1 mm에서 결정된다. 연부 부근에서 그리고 글레이징 내에서 측정이 실시될 때, 연부 인장 응력 구역은 일반적으로 유리의 연부로부터 3 내지 100 mm에 위치된 주변 구역내에서 식별된다.
마지막으로, 인장 응력이 (차량에 장착될 때) 글레이징 내의 유리의 외측부 시트의 멤브레인 응력과 관련된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하고, 그러한 멤브레인 응력은, 영국 프레스톤에 소재하는 Sharples Stress Engineers라는 회사에 의해서 판매되는 상업적인 장치 Sharples model S-69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팅 전의 단독적인 유리의 외측부 시트 상에서 또는 라미네이팅 이후의 유리의 외측부 시트 상에서 측정될 수 있다. 조립 후에 실시되는 측정이 관련되도록, 검은색 또는 금속 페인트를 이용하여 글레이징의 유리의 외측부 시트의 내측부 표면을 착색할 필요가 있다. 차량의 외측부 위치 내의 이러한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벤딩되는 동안 그리고 유리 시트의 적층체(stack)의 경우에 하부 위치 내의 시트에 상응한다.
글레이징 특성에 대한 현재의 사양(specification)은, 장착 및 사용 중에 글레이징의 기계적 강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8 MPa 초과의 적절한 연부 압축 값 및 가능한 한 작은 연부 인장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냉각 중에 유리의 주변부와 중력 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유도되는 온도 분포에 대한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부 압축 레벨이 더 큰 안전 마진과 함께 더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고, 인장 응력 레벨이 감소된다.
EP2532625는 스트레인 지점 미만에서 유리의 표면을 냉각한 후에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교시한다. 유리의 중앙 구역은 연부에 앞서서 스트레인 지점 미만으로 냉각된다. 이러한 기술은 유리의 어닐링에 적용된다. 유리를 그 지지부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도록 유리의 내측부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러한 중앙 구역의 압축을 유발하고, 이는 그 주변부에서 인장 구역에 의해서 상쇄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중앙 구역의 냉각은, 유리를 약하게 할 수 있는 큰 주변 인장 응력을 생성할 위험이 있다. 또한, 어닐링 단계가 충분히 양호하게 제어되지 못하고 유리가 이러한 페이즈 중에 너무 높은 온도에서 너무 오래 유지되는 경우에, 표면 압축 레벨이 불충분할 수 있다.
일련의 중력 지지부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중력 벤딩 방법은 이하의 문제를 생성한다:
1. 냉각률이 퍼니스(furnace)와 연관된 많은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지고; 그러한 매개변수로서 사이클 시간, 글레이징의 질량 및 온보드 냉각(onboard cooling), 퍼니스 내의 압력을 언급할 수 있고; 퍼니스 내의 압력은 제어하기가 어렵고 매개변수 설정 및 온보드 온도 측정에서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2. 냉각률이 양호하게 제어되더라도, 유리가 글레이징의 전체 주변부에 걸쳐 경화될 때 유리의 연부에서 온도 프로파일의 미세 제어를 적용하기 매우 어렵고; 또한, 사양으로부터 벗어나는 응력이 국소적으로 발생될 수 있고; 이어서, 이러한 불일치의 국소적인 교정을 위해서, 직접적으로 툴링 상에서, 인공적인 개입(artifice)이 요구되고, 이는, 응력 레벨이 시간에 걸쳐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테스트 및 유지보수 시간과 관련한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3. 사용 시에 취약성 문제(예를 들어, 자동차 글레이징의 경우에 자갈(gravel)의 충격에 대한 민감성)에 대처하기 위해서, 자동차 제조자는, 잔류 인장 응력이 8 MPa보다 상당히 낮을 것을 요구하고; 단순한 냉각 챔버 내의 중력 지지부 상의 글레이징의 냉각은 모든 둘레에 걸쳐 5 MPa 미만의 값을 달성할 수 없게 하고;
4. 생성된 각각의 설계를 위한 많은 수의 특정 툴이 필요한데, 이는 그러한 툴이 냉각 페이즈를 포함하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유리를 운송하기 때문이고, 이는 많은 투자비, 유지보수 비용 및 에너지 비용에서 반영되고; 각각의 중력 지지부는 프로세스의 모든 온도 사이클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매우 다른 온도들을 통과하며, 이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하의 분석을 실행하였다. 전술한 문제 2 및 3은, 냉각 시에 글레이징이 그 연부에서 중력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된다는 사실, 및 이러한 지지부는 유리의, 특히 연부에서의 균질한 냉각을 방해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사실상, 유리의 연부와 지지부의 접촉은 손상을 가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부가 유리보다 더 서서히 냉각되고 지지부와 유리의 주변부의 접촉이 유리의 냉각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유리와 지지부 사이의 전도에 의한 그리고 지지부가 퍼니스의 베드 판(bed plate)을 마스킹(masking)한 이후의 복사에 의한, 열 전달의 결과로서 발생된다. 이는 큰 인장 응력을 초래한다.
본원에서, 유리는 단일 시트의 형태이거나 더 일반적으로 몇 개의 시트의 적층체, 보다 더 일반적으로 2개의 시트의 적층체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유리"라는 용어는 시트 또는 시트의 적층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단일 시트 또는 복수의 적층된 시트가 관련되든지 간에, 유리는, 여기에서 제1 주 면 및 제2 주 면으로 지칭되는, 2개의 외측부 주 면을 포함하고, 중력 벤딩은, 하향 대면되는 유리의 제1 주 면에서 유리를 지지함으로써, 중력 지지부 상에서 실시된다. 적층체의 경우에, 조립하고자 하는 모든 시트의 동일한 성형을 보장하기 위해서, 시트들이 벤딩 및 냉각 프로세스 전체를 통해서 적층되어 유지된다. 그에 따라, 최종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에서의 유리의 이러한 시트들의 조합이 더 양호한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보다 양호한 품질의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독립적인 방법 청구항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독립적인 장치 청구항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특히, 제1 주 면 및 제2 주 면을 포함하는, 유리로 지칭되는, 유리의 시트 또는 유리 시트의 적층체를 벤딩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벤딩된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방법은 중력 지지부 상에서 유리를 중력 벤딩하는 단계로서, 그러한 중력 벤딩 중에 유리가 그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의 접촉을 통해서 중력 지지부 상에 놓이고, 주변 구역은 제1 주 면의 연부로부터의 50 mm로 구성되는, 단계, 이어서 유리가 560 ℃ 이상의 온도에 있는 동안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어서 제1 주 면이 주변 구역 내에서 어떠한 접촉도 없는 상태에서 유리를, 임계 온도 범위로 지칭되는, 적어도 560 ℃의, 상부 균질 온도로 지칭되는 온도와 500 ℃ 이하의, 하부 균질 온도로 지칭되는 온도 사이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맥락에서,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은 임계 온도 범위에서 접촉되지 않으며, 이는, 이러한 주변 구역이 어떠한 고체와도 접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시 말해서 기체 대기와만 접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력 지지부 상에서의 벤딩 중에, 중력 지지부와의 접촉은 전체적으로 주변 구역 이내에서 이루어지고, 주변 구역을 넘어서는 유리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어서, 중력 지지부가 560 ℃ 초과의 온도에 있을 때 중력 지지부로부터 유리를 분리하는 것이 발생되고, 이때 전체 유리(주변 구역 및 중앙 구역)가 그러한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분리 순간에, 중앙 구역으로 지칭되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50 mm 보다 먼 제1 주 면의 구역은 주변 구역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이다. 유리의 제1 주 면의 중앙 영역, 특히 연부로부터 200 mm 초과의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170 mm 초과의 그리고 보다 더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50 mm 초과의 유리의 제1 주 면의 구역은, 주변 구역이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하는 순간에 그리고 바람직하게 또한 주변 구역이 하부 균질 온도에 도달하는 순간에,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중력 지지부로부터의 분리 순간과, 적어도, 주변 구역이 상부 균질 온도에 그리고 심지어 하부 균질 온도에 도달할 때의 순간 사이에서, 주변 구역의 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이고 일반적으로 그보다 높다.
상부 균질 온도와 하부 균질 온도 사이의 온도 범위는 임계 온도 범위로 지칭되고, 상부 균질 온도로부터 하부 균질 온도까지 진행되는 시간은 임계 냉각 시간으로 지칭된다. 상부 균질 온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575 ℃이다. 하부 균질 온도는 바람직하게 490 ℃ 이하이다.
임계 온도 범위 내의 유리의 냉각 중에, 유리의 제1 주 면은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60 mm 내에서 접촉되지 않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70 mm 내에서 접촉되지 않는다. 임계 온도 범위 내의 유리의 냉각 중에, 유리의 제1 주 면은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200 mm 를 넘어서는 접촉되지 않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170 mm 를 넘어서는 접촉되지 않으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150 mm 를 넘어서는 접촉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유리의 제1 주 면의 "접촉 밴드"를 규정할 수 있고, 그러한 접촉 밴드 내에서, 유리가 임계 온도 범위 내에 있을 때, 유리는 바람직하게 지지되고:
- 밴드의 외부 한계: 유리의 연부로부터 적어도 5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6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mm이고,
- 밴드의 내부 한계: 유리의 연부로부터 20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17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유리의 연부로부터 150 mm 이하이며,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서는 유리가 어떠한 고체와도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밴드의 외부 및 내부 한계는 유리의 연부에 평행하다.
연부로부터 심지어 60 mm 또는 심지어 70 mm 이내에서,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임의의 고체의 접촉이 없는 것은 이러한 구역의 온도의 균질화를 초래한다. 균질 온도는, 이러한 50 mm 주변 구역에 걸쳐 유리의 온도가 5 ℃ 초과 만큼 그리고 바람직하게 1 ℃ 초과 만큼 그리고 바람직하게 0.6 ℃ 초과만큼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유리의 균질 온도는, 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유리의 제1 주 면의 측정에 의해서 검증된다. 이러한 균질성은 유리의 연부에 수직인 섹션의 각각에서 달성되나, 하나의 섹션이 다른 섹션과 상이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은 (상부 균질 온도와 하부 균질 온도 사이의)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 유리의 연부에 수직인 섹션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임의의 라인 상에서 온도가 균질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유리는 소다칼식(sodacalcic glass) 유리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플로트 프로세스(float process)에 의해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자동차 적용예를 위해서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제어는, 유리를 그 마지막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주변 구역의 온도를 균질화하는 것 그리고 온도 균질성을 유지하면서 임계 온도 범위의 끝에서 가능한 한 멀리 유리를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서 개선된다. 유리의 제1 주 면이 특정 내성, 특히 내충격성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그러한 제1 주 면이 차량의 외부에 일반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당업자에 의해서 "면 1"로도 지칭되는 이러한 제1 주 면은 일반적으로 볼록하다(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이 2개의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면 4는 차량 내측의 면이다). 그에 따라, 이러한 면은, 벤딩 동안 그리고 벤딩에 후속되는 임계 냉각 시간 동안, 하부 위치(그리고 적층체의 외부 위치)에 있고 마지막 중력 지지부와 접촉된다.
본원의 맥락에서, "특정 지지부"라는 표현은, 아래쪽으로부터 그러나 하향-대면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해당 제1 주 면의 50 mm 연부 부분) 내에서 유리와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나타낸다. 여러 가지 유형의 특정 지지부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원은 특정 냉각 지지부, 특정 예비 지지부, 특정 하역 지지부를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의 제1 주 면은 상부 균질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마지막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그러한 면의 주변 구역의 온도를 균질화할 수 있다. 주변 구역의 온도 균질성을 유지하면서 유리를 계속 냉각하기 위해서, 유리의 이러한 동일 면이 임계 온도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특정 지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주 면의 온도가 그 주변 구역 내에서 균질해지면, 유리는, 심지어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도, 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해서, 제1 주 면을 포함하는 시트 내의 마감된 유리의 연부 압축 응력이 8 MPa 초과, 또는 심지어 10 MPa 초과가 되고 심지어 20 MPa 까지의 범위일 수 있고, 유리의 주변을 따라 더 균질하다. 또한, 인장 레벨은 5 MPa 미만 그리고 심지어 4 MPa 미만, 또는 심지어 3 MPa 미만까지 상당히 감소된다. 압축 구역으로부터 인장 구역까지의 통과가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1 내지 5 mm의 거리에 위치된다. 최대 인장 응력은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5 내지 40 mm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15 내지 40 mm의 거리에 위치된다.
얻어지는 글레이징의 기계적 강건성은 비커스점(Vickers point)을 이용하여 글레이징의 면 1에 충격을 가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테스트는, 창이 차량에 설치될 때 자갈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창의 내성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유리 균열이 없는 상태에서 압자(indenter)의 충격 에너지가 클수록, 그 강건성이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글레이징은, 그 제조가 그 중력 지지부 상에서 글레이징을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더 강건하다. 이러한 개선된 강건성은 감소된 연부 인장 레벨로 나타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글레이징의 취약성을 결정하는 연부 인장 응력은 멤브레인 응력이고, 이는 유리의 시트의 표면의 모든 지점(M)에서 해당 지점에서의 두께 내의 응력의 평균과 같다. 그에 따라, 이러한 평균은, 지점(M)에서 유리 시트에 수직이고 유리 시트를 완전히 통과하는 단편("S")을 따라 계산된다. 또한, 상이한 응력 프로파일이, 동일 인장 응력 값에 상응하는 단편(S)을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여러 가능 응력 프로파일 중에서, 유리의 제1 주 면이 압축되는 프로파일이 기계적 강도에 있어서 가장 유리하다. 사실상, 압축된 제1 주 면의 외피(skin)는 이어서, 표면 결함의 전파를 차단하고 표면 결함이 유리 시트의 두께 및 유리 시트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 모두를 따른 균열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층과 같이 작용한다. 대조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노력하여야 하는 응력 프로파일은, 유리의 제1 주 면이 인장에 있는 그러한 응력 프로파일이다.
응력 생성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중에, 인장 구역이, 유리가 지연되어 경화된 위치에 상응한다고 설명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중력 지지부와 접촉되는 유리의 냉각은 사실상 유리와 중력 지지부 사이의 접촉 구역의 근접부에 위치된 영역 내의 냉각 지연을 촉진한다고 설명되었다.
그에 따라, 그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냉각은 유리 내측의 그리고 연부의 근접부 내에 위치된 구역을 따른 (유리의 외측부 시트의 두께에서의) 평균 냉각 시간뿐만 아니라, 그러한 동일 주변 구역 내에서, 결과적으로 자체가 인장되는 경향이 있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냉각 지연 모두를 촉진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유리의 개선된 강건성은 또한 전반적으로 더 높은 표면 압축 레벨에 기인한다.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 내의 온도 균질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러한 주변 구역은 바람직하게, 균질화를 위한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이 획득될 수 있도록 임의의 툴과 접촉되지 않는다(다시 말해서, 기체 대기와만 접촉된다). 이러한 온도 균질화 시간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5초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6초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7초이다. 바람직하게, 제1 주 면의 전체가 이러한 온도 균질화 시간 중에 전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균질화는 사실상 주 제2 면 상에서의 흡입에 의해서 유지되는 유리로 그리고 그 제1 주 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에 의해서 획득되는데, 이는, 단순히 상부 형성 몰드로서 지칭되는, 스커트 및 스커트와의 사이에서 공기를 흡인하는 흡입 수단을 갖는 상부 형성 몰드 덕분이고, 스커트에 의한 흡입은 유리를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against) 유지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류의 상부 형성 몰드가 예를 들어 WO2011/144865의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그러한 스커트는 그 요소(39)이다. 스커트에 의해서 흡인되고 유리의 연부 부분 부근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의 온도의 균질화를 촉진한다. 상부 형성 몰드는 바람직하게 프레임의 형태를 취하고, 그러한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유리의 제2 주 면의 표면에 마킹 형성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내화 섬유질 재료로 덮인다. 이러한 프레임은, 섬유 재료를 포함하여, 3 내지 20 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는, 배기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리의 연부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고, 유리와 접촉된다. 외부 연부가 유리의 연부로부터 3 내지 20 mm 범위의 거리에 도달하도록,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권장되지는 않지만,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의 온도 균질성을 보존하는 특정 지지부 상에서 상부 균질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유리를 배치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 지지부가 이용되는 경우에, 상부 균질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유리를 그 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는, 적어도 하부 균질 온도(임계 냉각 시간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고 일반적으로 또한 하부 균질 온도 미만의 더 낮은 온도에서, 특정 지지부(또는 연속적인 복수의 특정 지지부)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유리는 임계 온도 범위에 포함된 온도와 임계 온도 범위 미만의 온도 사이의 연속적인 특정 지지부들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의 벤딩은 고체 벤딩 형성 몰드에 대항하는 상보적인 벤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보적인 벤딩은 중력 지지부 상의 벤딩에 후속된다. 이러한 상보적인 벤딩은, 특히 흡입에 의해서, 흡입 하부 몰드로 지칭되는, 하부 벤딩 몰드 상에서 특히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하부 몰드는 오리피스를 갖는 고체 형성 몰드이고, 그러한 오리피스를 통해서 흡입이 유리의 제1 주 면에 인가된다. 이러한 고체 형성 몰드는 적어도 시트만큼 크고, 그에 따라 그 연부만큼 멀리 연장된다. 이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의 온도의 균질한 또는 불균질한 특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는다. 이러한 종류의 흡입 하부 몰드가 예를 들어 WO2006072721의 도 2에 도시된 유형이다.
상보적인 벤딩이 실행되는 상황에서, 그러한 벤딩은 570 ℃ 초과 그리고 심지어 580 ℃ 초과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상보적인 벤딩 온도는 일반적으로 중력 벤딩의 온도보다 낮다. 이러한 상보적인 벤딩 후에, 유리를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하고,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유리의 하부 면의 주변부의 균질화를 위해서 필요한 시간 동안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을 접촉이 없이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중에, 유리의 제1 주 면은, 일반적으로 하부 위치에서, 중력 지지부와, 그리고 그 후에 가능하게는 흡입 하부 몰드와, 그리고 그 후에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지부와 접촉된다.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부 흡입 몰드까지의 또는 직접적으로 특정 지지부까지의 통과가 흡입 상부 형성 몰드의 이용에 의해서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특정 지지부까지의 통과가 또한 흡입 상부 형성 몰드를 이용하여 유리하게 실행될 수 있다.
상부 형성 몰드는 일반적으로 그 상부 제2 면에 의해서 유리를 취하고(take charge of), 이를 그 아래에 배치되고 아래로부터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흡입 하부 몰드 또는 특정 지지부일 수 있는, 지지부 상으로 방출한다. 상부 형성 몰드의 흡입 수단은, 유리를 취하여야 하는 그리고 유리를 방출할 수 있도록 중단되는 순간에, 트리거링된다.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 유리가 하역 또는 적재되어야 하는 지지부(중력 지지부, 흡입 하부 몰드, 특정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부 형성 몰드 아래를 통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부 형성 몰드와 함께 유리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이러한 지지부 및/또는 상부 형성 몰드는, 이들이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직 상대적 이동으로 구동된다. 서로를 향한 이동 후에,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유지하거나 유리를 이러한 지지부 중 하나 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이 이루어지면, 상부 형성 몰드 및 지지부가 수직으로 멀리 이동되고 (전달의 유형에 따라, 유리가 적재되었든지 또는 그렇지 않든 간에) 지지부가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실행하고자 하는 전달에 따라 유리가 적재된 또는 유리가 없는 다른 지지부가 이어서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흡입 하부 몰드 유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는 경우에,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부와 흡입 하부 몰드를, 적층체 내의 그 사이의 유리의 임의의 다른 시트의 주변부와 함께, 밀봉하기 위해서 흡입 하부 몰드의 흡입이 트리거링되는 시간 동안, 유리는 상부 형성 몰드와 흡입 하부 몰드 사이에서 그 주변부가 약하게 가압된다. 이어서, 흡입 하부 몰드에 의한 흡입은 (연부에서의 누출이 없이) 유리의 하부 면 상에 즉각적으로 작용하고, 적층체의 경우에, 진공이 그 모든 시트에 전달된다. 이러한 가압이 효과적이 되도록, 흡입 하부 몰드 및 유리를 그 위로 방출하는 상부 형성 몰드가 반드시 상보적인 형상들을 가져야 한다.
상부 형성 몰드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에서 유지되는 챔버 내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리의 경로 상에서 상이한 그리고 감소되는 온도들에서 유지되는 복수의 병치 챔버(juxtaposed cha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의 경로 상의 제1 챔버는 분리 챔버로 지칭되고, 마지막 중력 지지부로부터 유리를 분리하는 것 및 유리를 특정 지지부 또는 흡입 하부 몰드 상으로 방출하는 것을 담당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한다. 유리의 경로 상의 마지막 챔버는 냉각 챔버로 지칭되고 일반적으로 어떠한 상부 형성 몰드도 포함하지 않는다. 냉각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유리를 이송하는 특정 지지부가 내부에 진입될 수 있고, 하역 지지부로 지칭되는 지지부에 의해서 유리가 그로부터 하역될 수 있고, 하역 지지부는 유리 아래를 통과하고 유리를 취하기 위해서 그리고 냉각 챔버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서 상승된다. 특히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냉각 특정 지지부에 선행하는 예비 지지부 상으로 유리를 방출하는 상황에서, 장치는 분리 챔버와 냉각 챔버 사이에 위치된 전달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비 지지부는, 냉각 특정 지지부와 상이한 흡입 하부 몰드 또는 특정 지지부일 수 있고, 예비 특정 지지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전달 챔버는 상부 형성 몰드를 구비하고, 그 상부 형성 몰드의 역할은 분리 챔버로부터 오는 예비 지지부로부터 유리를 하역하고 이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적으로 둘 또는 3개의 챔버를 포함하고, 각각의 챔버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에서 유지되나 그러한 챔버들의 온도는 유리의 경로를 따라 감소된다. 2개의 챔버의 경우에, 측방향 이동 가능 냉각 특정 지지부가 2개의 챔버 사이에서 왕복한다. 이는 분리 챔버 내에서 유리를 수용하고, 이어서 냉각 챔버에 진입하며, 냉각 챔버 내에서 이는 유리를 하역하고, 이어서 다음 유리를 수용하기 위해서 분리 챔버 내로 빈 상태로 복귀되고, 기타 등등이 이루어진다. 3개의 챔버의 경우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예비 지지부가, 유리를 수용하는 분리 챔버와 유리를 하역하는 전달 챔버 사이에서 왕복하고, 이어서 다음 유리를 수용하기 위해서 빈 상태로 분리 챔버로 복귀되고, 기타 등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간 동안,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를 수용하는 전달 챔버와 유리를 하역하는 냉각 챔버 사이에서 왕복하고, 이어서 다음 유리를 수용하기 위해서 빈 상태로 전달 챔버로 복귀되고, 기타 등등이 이루어진다. 3개의 챔버를 갖는 시스템에서, 보충 챔버의 존재는 온도 감소가 더 점진적으로 엇갈릴(staggered) 수 있게 한다.
2개의 병치 챔버 사이의 왕복에서, 이들 지지부는, 유리가 받는 전체 열적 사이클을 지지부 자체가 경험하지 않고, 유리를 점진적으로 냉각시키는데 참여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지지부는 항상 고온으로 유지되고, 이는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며, 이들은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챔버로 매우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조 사이클이 매우 빨라질 수 있다. 2개의 챔버 사이에서 왕복하는 이러한 지지부는 생산 작업의 모든 유리를 번갈아가며 이송한다. 그에 따라, 이들은 단지 한차례 제조되고, 이는 또한 비용 절감 작용을 한다.
또한, 벤딩 퍼니스에 진입할 때 중력 지지부의 온도가 더 높을 수 있다. 사실상, 560 ℃ 초과의 온도에서 하역되는 지지부는, 강력한 냉각을 경험하지 않고, 퍼니스의 입구에서 비교적 고온으로, 특히 200 내지 500 ℃의 온도로 복귀될 수 있다. 중력 지지부를 고온에서 유지하는 것은, 이들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상당히 줄이고, 게다가, 이들은 또한 적재되자 마자 유리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중력 지지부가 취하는 경로가 또한 단축된다. 모든 이러한 요소는 비용을 절감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가 각각 적재된 중력 지지부는, 유리의 조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590 내지 750 ℃의 온도에서 중력에 의해서 유리를 벤딩하기 위해, 터널 퍼니스 내에서 트레인(train)과 같이 순환될 수 있다. 퍼니스의 온도가 단부를 향해서 감소되어, 유리가 일반적으로 약 585 ℃의 온도가 될 때까지, 0.4 내지 0.8 ℃/초로, 서냉을 한다. 트레인은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를 통과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하나씩 차례로 중력 지지부의 각각으로부터 유리를 취한다. 중력 지지부로부터의 유리의 분리는 560 ℃ 초과의 온도 그리고 바람직하게 575 ℃ 초과 또는 심지어 590 ℃ 초과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유리의 소성 변형 온도에서 터널 퍼니스 내를 통과하는 것으로 인해서, 유리 자체의 중량 하에서 유리가 처진다(sag). 벤딩된 유리를 이송하는 각각의 지지부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서 정지된다. 분리 상부 형성 몰드 및 그 아래 위치의 중력 지지부의 수직 상대적 이동에 의해서, 흡입이 격발된 후에 유리를 취할 수 있도록, 형성 몰드가 유리를 향해서 충분히 이동된다. 이어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지지부 또는 흡입 하부 몰드 유형의) 지지부가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상부 형성 몰드가 상승된다. 이어서, 이는 그러한 지지부를 향해서 이동되고, 흡입을 중단하는 것에 의해서, 유리를 그 위로 방출한다.
유리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되거나 흡입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유지되어, 임계 온도 범위 전체를 통과하고, 결과적으로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은 고체와 결코 접촉되지 않는다.
사용되는 장치는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유리를 소위 냉각 특정 지지부 상에 놓을 수 있는 분리 및 전달 수단을 포함한다. 분리 및 전달 수단은,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고, 그러한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다. 흡입은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취할 수 있게 하고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시킬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이어서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어서, 유리를 스스로에 대항하여 유지하는 상부 형성 몰드가 다른 지지부 위에 배치되고, 그 후에 흡입이 중단되고, 그에 따라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다른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다른 지지부는 냉각 특정 지지부 자체 또는 냉각 특정 지지부에 선행하는 예비 지지부일 수 있다. 이러한 예비 지지부는, 냉각 특정 지지부와 상이한 흡입 하부 몰드 또는 특정 지지부일 수 있고, 예비 특정 지지부로 지칭될 수 있다.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의 제2 주 면에 의해서 유리를 유지하고, 이는 유리의 제1 주 면이 어떠한 고체와도 임의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게 하며, 이는 유리의 주변 구역 내의 유리의 이러한 제1 주 면의 온도 균질화에 유리하다.
2개의 챔버 및 2개의 챔버 사이에서 왕복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분리 및 전달 수단은,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분리 챔버를 포함한다. 중력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력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며 이어서 유리와 함께 분리 챔버 내로 상승될 때 중력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거나 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가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유리가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순간에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리 챔버 내에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유지되며, 그 후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분리 챔버에 진입 및 진출할 수 있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그 위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간다.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가 분리 챔버 아래를 통과한다. 이어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 및 중력 지지부는 수직 상대적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하고, 이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하고 냉각 특정 지지부를 위한 분리 챔버 내에서 실질적으로 높게 상승시키며, 이어서 유리 아래를 통과할 수 있도록 비워진다. 분리 챔버의 온도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취하는 순간에서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다. 특히, 분리 챔버의 온도는 540 내지 585 ℃일 수 있다. 유리의 제2 주 면에 의해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흡입은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의 온도의 균질화에 기여한다. 그에 따라, 유리는 적어도 5초, 심지어 적어도 6초 또는 심지어 적어도 7초 동안 유지된다. 이어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 및 냉각 특정 지지부가 수직 상대적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며, 그 후에 분리 상부 형성 몰드 및 냉각 특정 지지부가 다시 분리된다. 이어서, 냉각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 이동에 의해서 유리를 냉각 챔버 내로 이송하고, 냉각 챔버의 온도는 분리 챔버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되고, 특히 400 내지 565 ℃일 수 있다. 이어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다음 유리를 취할 수 있다. 이어서, 하역 지지부가 냉각 챔버에 진입하고, 유리 아래를 통과하며, 이어서 유리를 취할 때 상승되며 계속되는 냉각을 위해서 유리를 이러한 챔버로부터 진출시킨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상부 균질 온도 미만의 (하부 면 위치 내의) 유리의 제1 주 면의 통과가 냉각 특정 지지부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유리가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될 때 실시되고, 그 후에 유리는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 냉각 특정 지지부 상에 배치된다. 그러한 지지부 상에서, 유리는, 0.8 내지 2.5 ℃/초의 평균 비율로, 비교적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유리는, 하역 지지부가 특정 지지부 유형의 지지부인 경우에, 그 제1 주 면이 여전히 임계 온도 범위에 있는 동안, 하역 지지부에 의해서 이송되어 냉각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다. 하역 지지부는 유리하게, 유리가 520 내지 540 ℃의 온도에 있을 때, 유리를 취한다.
3개의 챔버 및 2개의 챔버 사이에서 각각 왕복하는 2개의 냉각 특정 지지부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라, 분리 및 전달 수단은
-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분리 챔버,
-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전달 챔버,
-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의 접촉이 없이,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예비 특정 지지부를 포함한다.
중력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력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하고 이어서 이를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며, 예비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도록, 분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예비 특정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예비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이어서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예비 특정 지지부는 유리가 적재된 상태로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고 이어서 전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분리 챔버로부터의 진출 및 전달 챔버의 진입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이동 중에 동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비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며,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전달 챔버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수 있고 그리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거나 그러한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냉각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앞의 상황과 비교하여, 전달 챔버로 지칭되는 보충 챔버가 분리 챔버와 냉각 챔버 사이에 위치되고, 예비 특정 지지부는 냉각 특정 지지부에 선행하고 분리 챔버와 전달 챔버 사이에서 왕복한다.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가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유리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순간에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리 챔버 내에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되며, 그 후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분리 챔버에 진입 및 진출할 수 있는 예비 특정 지지부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그 위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예비 특정 지지부가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가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구비한 전달 챔버에 진입하며, 전달 챔버의 온도는 분리 챔버의 온도보다 낮고, 그 후에, 유리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특정 지지부는, 냉각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특정 지지부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그 위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전달 챔버를 빠져 나간다.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전달 챔버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된 냉각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냉각 챔버는 350 내지 520 ℃의 온도일 수 있다.
프로세스의 개시는 선행하는 상황(선행 상황: 2개의 챔버 및 냉각 특정 지지부)에서와 같이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한 유리의 방출 지점까지 시작되는데, 이는 이를 위해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 및 예비 특정 지지부가 수직 상대적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예비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고, 그 후에 분리 상부 형성 몰드 및 예비 특정 지지부가 다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예비 특정 지지부는 유리를 전달 챔버 내로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다음 유리를 취할 수 있다. 전달 챔버 내에서, 전달 상부 형성 몰드 및 예비 특정 지지부는 수직 상대적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하고, 다음 유리를 수용하기 위해서 빈 예비 특정 지지부가 분리 챔버 내로 다시 진행될 수 있도록 상승된다. 냉각 특정 지지부(이러한 스테이지에서 비어 있다)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냉각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고, 이어서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냉각 챔버에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승된다. 이어서, 하역 지지부가 냉각 챔버에 진입하고, 유리 아래를 통과하며, 이어서 상승되고, 유리를 취하며 계속되는 냉각을 위해서 유리를 이러한 챔버로부터 진출시킨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상부 균질 온도 미만의 (하부 면 위치 내의) 유리의 제1 주 면의 통과는, 분리 챔버 또는 전달 챔버 내에서, 유리가 예비 특정 지지부 상에 있을 때, 또는 유리가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될 때, 발생될 수 있고, 이어서 유리는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 예비 특정 지지부 상에 배치된다. 그러한 지지부뿐만 아니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에서, 유리는, 0.8 내지 2.5 ℃/초의 평균 비율로, 비교적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하부 균질 온도 미만의 주변 구역의 통과가 냉각 챔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유리는 또한, 하역 지지부가 특정 지지부 유형의 지지부인 경우에, 그 제1 주 면이 여전히 임계 온도 범위에 있는 동안, 하역 지지부에 의해서 이송되어 냉각 챔버를 떠날 수 있다. 3개의 챔버의 존재는, 약간 더 점진적으로 온도가 엇갈릴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분리 챔버는 온도 범위 550 내지 590 ℃일 수 있고, 전달 챔버는 온도 범위 500 내지 560 ℃일 수 있고, 냉각 챔버는 온도 범위 350 내지 520 ℃일 수 있으며, 냉각 챔버의 온도가 전달 챔버의 온도보다 낮은 것 그리고 전달 챔버의 온도가 분리 챔버의 온도보다 낮은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분리 챔버의 온도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취하는 순간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다. 중력 지지부로부터의 유리의 분리로부터 그리고 적어도 유리가 냉각 챔버를 빠져나갈 때까지,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은 어떠한 고체와도 접촉되지 않는다.
왕복 흡입 하부 몰드 및 왕복 특정 지지부와 함께 3개의 챔버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비 특정 지지부가 예비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흡입 하부 몰드에 의해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선행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몰드는 비교적 복잡한 형상의 경우에 유리의 벤딩을 종료한다. 챔버의 온도 범위는 선행하는 상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예에서, 상부 균질 온도 미만의 (하부 면 위치 내의) 유리의 제1 주 면의 통과는, 특히 유리가 전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될 때, 흡입 하부 몰드 상의 벤딩 후에 발생된다. 이어서, 유리는 임계 온도 범위 내에서 냉각 특정 지지부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라, 분리 및 전달 수단은
-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분리 챔버,
-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전달 챔버,
- 흡입 하부 몰드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 상의 흡입에 의해서 유리를 벤딩할 수 있는 흡입 벤딩 하부 몰드를 포함한다.
중력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력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하고 이어서 이를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며, 흡입 하부 몰드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도록 분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흡입 하부 몰드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흡입 하부 몰드 상으로 방출하고 가압할 수 있고 이어서 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흡입 하부 몰드는 유리가 적재된 상태로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고 이어서 전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분리 챔버 진출 및 전달 챔버 진입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이동 중에 동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입 하부 몰드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이를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며, 이어서 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전달 챔버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수 있고 그리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거나 그러한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냉각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가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유리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순간에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리 챔버 내에서 그에 대항하여 유지되며, 그 후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분리 챔버에 진입 및 진출할 수 있는, 흡입 하부 몰드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 상의 흡입에 의해서 유리를 벤딩할 수 있는 벤딩 흡입 하부 몰드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그 위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흡입 하부 몰드가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가고 전달 챔버에 진입하며, 전달 챔버의 온도는 분리 챔버의 온도 보다 낮고, 유리는 분리 챔버 및/또는 전달 챔버 내의 흡입 하부 몰드 상에서 벤딩되고, 그 후에 유리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냉각 특정 지지부는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그 위에 방출하고,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는 유리의 계속되는 냉각을 위해서 전달 챔버를 빠져 나간다.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전달 챔버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된 냉각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냉각 챔버는 350 내지 520 ℃의 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임계 온도 범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는, 소위 특정 지지부가 사용된다. 특정 지지부의 상이한 유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지부는, 앞서 규정된 "접촉 밴드" 내에서만 유리와 닿는 복수의 접촉 구역을 통해서 유리의 제1 주 면과 접촉된다. 유리와 접촉되는 특정 지지부의 지지 표면은 그에 따라 불연속적이다.
툴에 의한 고온 유리의 마킹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각각의 접촉 구역은 바람직하게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내화 섬유질 재료를 그 표면에서 갖는다. 이러한 섬유질 재료는, 일반적으로 어닐링 중에 글레이징을 지지하고 개방 직물(open texture)의 장점을 갖는 주변 링을 덮는 역할을 하는, 직조 또는 펠트 또는 편직 재료 그리고 특히 "템퍼링 편직 재료"일 수 있다. 이는 내화 섬유를 포함하고, 단열 특성을 부여하는 큰 개방 다공도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특정 지지부는 4 내지 300개의 접촉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구역의 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구역의 접촉 면적이 더 작아진다. 모든 접촉 구역의 면적의 합계는, 하부 위치 내의 유리 시트의 제1 주 면의 면적의 0.2 내지 5%를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접촉 구역의 접촉 면적은 50 mm2 내지 5500 mm2 그리고 바람직하게 500 mm2 내지 4000 mm2일 수 있다. 특정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각각 비교적 큰 면적의, 즉 각각 500 mm2 내지 4000 mm2의 범위의 면적의 4 내지 20개 또는 심지어 6 내지 20개의 접촉 구역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특정 지지부는, 접촉되어야 하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기하형태에 대해서 완벽하게 상보적인 고정된 기하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지지부는 예를 들어 요철부(crenellated) 지지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특정 지지부는 또한, 유리의 접촉 구역의 배향을 수정하고 및/또는 지지부에 의한 유리의 수용을 댐핑하는, 지지부에 의한 유리 수용의 순간에 유리의 중량에 의해서 구동되는 접촉 구역의 이동성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에 연결된 접촉 구역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 지지 요소는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한 방출 시의 유리 수용을 댐핑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접촉 구역의 이동은 스프링의 축 상에서 안내될 수 있고, 이어서 지지 요소는 댐핑 기능만을 가지나; 스프링은 그 축 상에서 안내될 필요가 없고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접촉 구역은 유리를 보다 양호하게 지지하도록 유리와 접촉되게 자동적으로 배향되고;
- 지지 요소는 접촉 구역에 의해서 각각 종료되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부분은 상호 연결되고 피벗을 중심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부분의 접촉 구역이 유리와의 접촉 이후에 하강될 때, 그에 따라 동일 지지 요소의 다른 부분은, 유리와 접촉될 때까지, 피벗을 중심으로 하는 피벗팅에 의해서 상승되며; 지지 요소의 다양한 접촉 구역은 그에 따라, 유리의 중량을 그 피벗을 중심으로 밸런싱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배향되고; 스프링은 지지 요소의 여러 부분을 위로 미는 그리고 유리의 수용을 댐핑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앞서 규정된 "접촉 밴드"에서만 유리와 닿는 특정 지지부를 이용하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장치의 하나의 특징은, 그러한 특정 지지부 위의 유리에 작용할 수 있는(유리를 취하는 또는 이를 배치하는) 상부 형성 몰드가 냉각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의 외측부를 향해서 30 mm 초과로 돌출되는 유리를 위한 접촉 표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지부는 경사진 주변 트랙이고; 유리는 (그 연부 표면의 하부 연부와 같은) 그 연부 표면의 하부 경계에 의해서 외팔보-방식으로 그리고 유리의 하부 면과 접촉되지 않게 트랙 상에 놓이고; 유리는 그에 따라, 그 하부 면과 주변 구역의 외측이 접촉되지 않고, 아래로부터 지지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지지는 유리와 접촉되는 연속적인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강제된 대류 시스템은, 존재하는 경우에, 냉각 챔버 및/또는 전달 챔버 내의 냉각을 가속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대류 시스템은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거나 이러한 챔버 중 하나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대류 냉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냉각 특정 지지부, 예비 특정 지지부 또는 하역 특정 지지부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대류 냉각 시스템은 전달 챔버 내에, 냉각 챔버 내에 그리고 유리를 냉각 구역으로 이송하는 과제를 갖는 최종 장치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냉각 챔버와 최종 하역 구역 사이의 유리의 경로 결정(routing)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역 구역에서 유리는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되고 저장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경화되고 냉각된다. 특히, 하역 지지부, 특히 로봇에 의해서 작동되는 하역 지지부가 유리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유리를 취하기 위해서 상승될 수 있고, 이어서 유리를 냉각 챔버로부터 진출시킬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이를 컨베이어 상에 배치하고, 컨베이어는 유리를 냉각기 하역 구역으로 보낸다. 이어서, 로봇은, 냉각 챔버 내에서 다음 유리를 취하기 위해서, 동일한 하역 지지부와 함께 복귀된다. 그에 따라, 그러한 방법은 로봇에 연결된 단일 하역 지지부로 제한되고, 이는 지지부와 로봇을 커플링 및 언커플링 시키는 다수의 동작을 방지한다. 하역 지지부가 유리를 취하는 순간에 유리가 하부 균질 온도에 근접하거나 그보다 높은 온도에 있는 것을 고려하면, 하역 지지부는 유리하게, 유리의 제1 주 면의 중앙 구역과의 복수의 접촉 구역을 갖는 ("하역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특정 지지부" 유형이다. 냉각 특정 지지부 및 하역 특정 지지부는 유리하게 유리의 제1 주 면의 중앙 구역과 접촉되는 복수의 구역을 갖는 2가지 모두의 유형이다. 그에 따라, 이들 모두는, "접촉 밴드"로 지칭되고 이미 전술된, 유리의 제1 주 면의 동일 표면 밴드에서만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2개의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이 불연속적이고 그에 따라, 2개의 빗의 빗살과 같이, 냉각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 특정 지지부까지의 유리의 전달의 순간에 교차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사실상, 연부로부터 200 mm 초과 그리고 바람직하게 170 mm 초과 그리고 바람직하게 150 mm 초과의 그 중앙 영역에서 유리와 접촉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유리가 주변부에서보다 중앙 구역에서 더 고온이고 그에 따라 중앙 구역에서 마킹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접촉 밴드"는, 주변 구역의 압궤가 없이, 유리의 곡률이 잘 유지될 수 있게 할 정도로 충분히 주변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하역 지지부 및 냉각 특정 지지부 모두는 접촉 구역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접촉 구역 모두는 외부 한계 및 내부 한계 사이의 접촉 밴드 내에서만 유리와 접촉되고, 밴드의 외부 한계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적어도 5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6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mm이고, 밴드의 내부 한계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20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17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150 mm 이하이고, 하역 지지부의 그리고 냉각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은, 유리를 하역 지지부 상으로 적재하는 순간에, 접촉 밴드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끼워진다(interleave). 냉각 특정 지지부 및 하역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은 그에 따라 모두가 유리와만 접촉되고 유리의 연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러한 접촉 밴드는 150 mm 이하의 폭, 또는 심지어 100 mm 이하의 폭, 또는 심지어 80 mm 이하의 폭이며, 하역 지지부 및 냉각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은, 유리를 하역 지지부 상으로 적재하는 순간에, 접촉 밴드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끼워진다. 특히, 유리의 전달 중에, 바람직하게, 위에서부터 볼 때 그리고 수평 평면 내의 직각 투영에서, 냉각 지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하역 지지부의 인접한 지지 요소의 쌍의 2개의 접촉 구역들의 외부 연부에 접선적인 직선 단편과 교차되고, 그러한 교차는 하역 지지부의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 사이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냉각 지지부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지지 요소, 또는 냉각 지지부의 심지어 적어도 3개, 또는 심지어 적어도 4개, 또는 심지어 적어도 5개, 또는 심지어 적어도 6개의 상이한 지지 요소를 위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특성은, 2개의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이, 유리의 전달 순간에, 유리의 연부에 평행한 좁은 접촉 밴드 내에서 서로 끼워진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교차는 냉각 지지부의 접촉 구역 또는, 냉각 지지부의 샤시와 접촉 구역 사이의, 냉각 지지부의 지지 요소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의 전달 중에, 위로부터 그리고 수평 평면 내의 직각 투영에서 볼 때, 제1 지지부로 지칭되는, 2개의 지지부(냉각 지지부 또는 하역 지지부) 중 하나의 인접한 지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쌍이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접촉 구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단편은 다른 지지부의 지지 요소, 특히 그 접촉 구역과 교차되고, 그러한 교차는 제1 지지부의 (쌍을 형성하는)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들 사이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은 지지부 중 하나의 적어도 2개, 또는 심지어 적어도 3개, 또는 심지어 적어도 4개, 또는 심지어 적어도 5개의 지지 요소의 상이한 쌍을 위해서 발생될 수 있고, 지지 요소가 2개의 상이한 쌍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또한, 2개의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이, 유리의 전달 순간에, 유리의 연부에 평행한 좁은 접촉 밴드 내에서 서로 끼워진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교차는 접촉 구역 또는 다른 지지부의 지지 요소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구역의 중심은, 위로부터 볼 때, 수평 평면 상으로의 접촉 구역의 직각 투영의 무게중심이다. 그러한 무게중심은 또한 구역의 투영의 기하형태적 중심 또는 질량 중심이고, "도심(centroid)" 또는 "기하학적 중심"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무한히 얇은 그리고 균질한 밀도의, 동일 형상의 물체의 무게중심에 상응하는 구역의 투영의 표면 상의 지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유리의 전체적인 냉각률은 일반적으로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하는 것과 이를 냉각 챔버로부터 진출하는 것 사이에서만 발생된다. 분리 챔버에서, 유리의 평균 냉각률은 일반적으로 초당 0.5 내지 1.2 ℃이다. 냉각 챔버에서, 유리의 평균 냉각률은 일반적으로 초당 0.8 내지 2.5 ℃이다. 전달 챔버에서(존재하는 경우), 유리의 평균 냉각률은 일반적으로 초당 0.8 내지 2.5 ℃이다.
챔버(분리, 전달 또는 냉각 챔버) 내의 평균 냉각률은 유리가 챔버에 진입하는 순간과 유리가 챔버를 빠져 나가는 순간 사이의 유리 온도차를 챔버 내의 체류 시간으로 나누는 것으로부터 계산된다.
유리가 냉각 챔버를 일단 빠져 나가면, 적어도 유리가 400 ℃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유리는 일반적으로 초당 2 내지 5 ℃의 비율로 보다 더 신속하게 냉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이클 시간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60초이고, 사이클 시간은 프로세스의 동일 위치에서 그리고 그 동일 스테이지에서 2개의 유리의 통과들 사이에서 경과된 시간이다.
본 발명은 유리의 벤딩된 시트의 제조가, 4 MPa 미만 그리고 심지어 3 MPa 미만인, 최대 인장 응력 그리고 8 MPa 초과인 연부 압축 응력을 가능하게 한다. 압축 구역으로부터 인장 구역까지의 통과가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1 내지 5 밀리미터의 거리에 위치된다. 최대 인장 응력은 일반적으로 연부로부터 5 내지 40 밀리미터 그리고 특히 15 내지 40 밀리미터의 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거친 시트의 적층체 내에서 하부 위치 내에 있는 시트이다. 이러한 적층체 내의 하부 위치(제1 주 면)의, 이러한 시트의 면은 일반적으로 볼록하다. 이러한 시트는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중에 하부 위치에 있었던 면은 글레이징의 면(1)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는 글레이징의 볼록 측면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2개의 유리 시트를 조합하는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의 제조에 관한 것이고, 유리 시트 중 하나의 두께는 1.4 내지 3.15 mm의 범위이고 그 중 다른 하나의 두께는 0.5 내지 3.15 mm의 범위이다. 시트들이 상이한 두께를 갖는 상황에서,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의 면(1)은 더 두꺼운 또는 가장 두꺼운 시트의 면이다.
각각의 유리 시트가, 벤딩 전에, 하나 이상의 에나멜 시트 또는 하나 이상의 얇은 태양광-차단(로-이(low-e)) 유형의 층으로 덮일 수 있고, 전도성 층 또는 다른 층이 일반적으로 자동차 글레이징에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벤딩된 유리는 보다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 또는 지붕 유형의 글레이징, 특히 특히 라미네이팅된 글레이징의 제조와 관련된다. 그 주 표면들 중 하나의 면적은 일반적으로 0.5 m2 초과, 특히 0.5 내지 4 m2 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의 중앙 영역 내에, 적어도 100 mm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200 mm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300 mm의 직경을 갖는 가상의 원이 배치될 수 있고, 그 위의 모든 지점은 유리의 모든 연부로부터 200 mm보다 더 멀리 위치되며, 이는 유리의 특정 크기를 특징으로 한다. 유리는 일반적으로, (밴드로도 지칭되는) 4개의 연부를 가지며, 2개의 대향 연부들 사이의 거리는 500 mm 초과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600 mm 초과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900 mm 초과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서로 앞뒤에서 이동되는 유리의 다양한 처리 스테이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유리는 중력에 의해서만 벤딩된다. 도 1에서, 유리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송되고, 중력에 의한 벤딩을 겪는다. 이러한 장치는, 각각 유리(32)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31)의 트레인(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트레인은, 유리의 소성 변형 온도까지 가열된 터널 퍼니스 내에서, 장치의 하부 레벨(34)에서 순환된다. 유리가 이송됨에 따라, 유리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부 아래의 중력 지지부(31)의 트랙과 최종적으로 만날 때까지, 자체 중량 하에서 처진다. 유리를 이송하는 각각의 지지부는, 상부 레벨(35)로부터 하부 레벨(34)로 그리고 그 반대로 통과될 수 있는 수직 이동 가능 상부 형성 몰드(33) 아래에 도달한다.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33)는 분리 챔버(36) 내에 위치되고, 그 내부의 대기는 540 내지 580 ℃의 온도이다.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33)는 유리의 제2 주 면의 주변부에서만 유리와 접촉된다.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33)의 접촉 트랙은 중력 지지부(31)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상부 형성 몰드(33)는, 주변의 스커트(46)로 인해서 흡입에 의해 하부 레벨(34)에서 유리를 취할 수 있다. 챔버(36) 내의 상부 형성 몰드(33) 아래의 위치와 400 내지 565 ℃의 온도까지 가열된 냉각 챔버(38) 사이에서 왕복하는 측방향 이동 가능 냉각 특정 지지부(37)가 상부 레벨(35)에 위치된다. 체인(47) 시스템은 챔버(36)와 챔버(38) 사이의 냉각 특정 지지부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냉각 특정 지지부를 이송하는 구조물 상에 도어(39)가 있고, 그에 따라 이는 냉각 특정 지지부와 함께 이동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도어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챔버(38) 내에 있을 때, 챔버(36)와 챔버(38) 사이의 구획부를 폐쇄한다. 챔버(36) 내에 있을 때, 이러한 도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6)의 우측 벌크헤드(bulkhead)에 대항하여 위치된다. 지지부(37) 상에 위치되는 대신, 수직 이동 가능 도어가 챔버(36 및 38)를 분리하는 벽 상에 설치되었을 수 있고, 측면 그리고 상승 및 하부 시스템을 구비하여, 챔버들(36 및 38) 사이에서 요구되는 격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는, 로봇(41)의 아암(42)에 의해서 이송되는 하역 지지부(40)에 의해서 특정 지지부(37)로부터 하역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역 지지부(40)는 여전히 특정 지지부(37)에 의해서 이송되는 유리 아래에 결합되고, 상승됨에 따라 유리를 상승시키고 취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챔버(38)를 빠져 나간다. 이어서, 로봇(41)은 유리를 이송하는 하역 지지부(40)를 최종 장치(49)를 향해서 구동하고, 그러한 최종 장치는, 유리의 하역 및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냉각 구역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유리를 취하는 과제를 갖는다. 냉각 특정 지지부(37)는 도 20a의 참조 번호 401의 유형이다. 하역 지지부(40)는 도 20b의 참조 번호 400의 유형이다. 도 1에서, 유리(32)는 상부 형성 몰드(33) 아래에 도달하고, 이어서 트레인이 정지된다. 로봇은 이전에 이미 유리(51)를 최종 장치 상으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4개의 수직 이동 가능 막대(52) 상으로 하역하였다. 컨베이어(53)가 막대들(52) 사이에서 순환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막대(52)가 하강될 때 유리를 수용할 수 있는 지지 요소(54)(예를 들어 흡입기)를 구동한다. 이어서, 유리가 지지 요소(54) 상에 놓이고, 컨베이어(53)에 의해서, 유리가 하역되고 이어서 저장되는 냉각 구역을 향해서 구동된다. 단순한 도시를 위해서, 도 2 내지 도 6 이외에는 장치(49)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도 1의 스테이지 이후의 스테이지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상부 형성 몰드(33)는 유리를 취하기 위해서 유리(32)까지 멀리 하강된다. 이러한 시간 중에, 로봇(41)은 냉각 특정 지지부(37) 아래에서 그 하역 지지부(40)와 결합되고 이어서 선행 유리(29)를 취하기 위해서 상승된다. 형성 몰드(33)는 유리(32)와 함께 상승되고, 그 후에 빈 냉각 특정 지지부(37)가 챔버(38)로부터 챔버(36)로 전달된다. 상부 형성 몰드(33)가 하강되고, 유리(32)를 냉각 특정 지지부(37) 상으로 방출하고, 다시 상승된다(도 3). 동시에, 중력 지지부(31)의 트레인(30)이 좌측으로 한 단계 전진되었고, 그에 따라 다음 유리(45)를 상부 형성 몰드(33)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러한 시간 동안, 선행 유리(29)는 챔버(38)를 빠져 나갔고, 로봇(41)은 그러한 유리를 연속 냉각을 위해서 컨베이어(49) 상에 배치한다. 이어서, 유리(32)를 이송하는 지지부(37)가 챔버(38)에 진입한다. 이와 병렬로, 하부 레벨(34)에서 중력 지지부(30)의 트레인만큼 멀리 하강된 상부 형성 몰드(33)가 다른 유리(45)를 취한다. 도어(44)가 상승되고, 로봇(41)이 냉각 특정 지지부(37) 아래에서 하역 지지부(40)와 결합된다(도 4). 로봇은 하역 지지부(40)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하역 지지부가 유리(32)를 취한다. 이와 병렬로, 상부 형성 몰드(33)는 챔버(36) 내에서 유리(45)와 함께 상승된다(도 5). 이어서, 로봇은 유리(32)를 이송하는 지지부(40)를 챔버(38)로부터 진출시키고, 그 후에 도어(44)가 다시 하강된다. 이와 병렬로, 냉각 특정 지지부(37)가 챔버(38)로부터 챔버(36)까지 전달되었고, 형성 몰드(33)는 유리(45)를 지지부(37) 상으로 방출하기 위해서 하강되었다(도 6). 이어서, 로봇은 유리(32)를 장치(49) 상에 위치시키고, 이는 그러한 것을 최종 냉각 구역을 향해서 구동한다. 이어서, 유리(45)는 유리(32)가 겪는 것과 동일한 처리를 겪는다. 유리가 벤딩 지지부(31)로부터 분리되자 마자,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의 온도 균질화가 시작된다. 이어서,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의 전부가 접촉되지 않는 반면, 유리는 상부 형성 몰드(33)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어서 냉각 특정 지지부(37)에 의해서 그리고 이어서 하역 지지부(40)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7 내지 도 13은 서로 차례로 공급되는 유리의 처리의 여러 스테이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선행 장치와 비교할 때, 유리는 중력 지지부 상에서 중력에 의해서 벤딩되는 것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것 사이의 흡입에 의한 벤딩의 단계를 겪는다. 이러한 변형예의 맥락에서 유리가 겪는 프로세스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장치는, 각각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131)의 트레인(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트레인은, 유리의 소성 변형 온도까지 가열된 터널 퍼니스 내에서, 장치의 하부 레벨(134)에서 순환된다. (도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유리가 이송되는 동안, 유리는, 최종적으로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부 아래의 중력 지지부(131)의 접촉 트랙과 만날 때까지, 그 자체 중량 하에서 처진다. 각각의 지지부는 최종적으로, 상부 레벨(135)로부터 하부 레벨(134)로 그리고 그 반대로 통과될 수 있는 수직 이동 가능 상부 형성 몰드(233) 아래에 도달한다.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233)는, 내부의 대기가 550 내지 590 ℃의 온도인 챔버(236) 내에 있다. 이러한 상부 형성 몰드(233)의 접촉 트랙은 흡입 몰드(200)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상부 형성 몰드(233)는, 주변의 스커트(240)로 인해서 흡입에 의해 하부 레벨(134)에서 유리를 취할 수 있다. 흡입 하부 몰드(200)가 상부 레벨(135)에 위치되고, 유리와 접촉되는 흡입 하부 몰드의 면(201)은 고체이고, 하부 위치에서 유리의 제1 주 면에 진공을 전달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몰드(200)는 챔버(236) 내의 상부 형성 몰드(233) 아래의 위치와 500 내지 560 ℃ 사이의 온도까지 가열되는 병치 챔버(136) 사이에서 왕복된다. 이러한 챔버(136)는, 스커트(241)로 인해서 유리를 취할 수 있는 수직 이동 가능 상부 형성 몰드(133)를 포함한다. 챔버(136) 내의 상부 형성 몰드(133) 아래의 위치와 350 내지 520 ℃의 온도의 냉각 챔버(138) 내의 위치 사이에서 왕복하는 측방향 이동 가능 냉각 특정 지지부(137)가 또한 상부 레벨(135)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냉각 특정 지지부(137)를 이송하는 구조물 상의 도어(139)가 그와 함께 이동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도어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챔버(138) 내에 있을 때, 챔버(136)와 챔버(138) 사이의 벌크헤드를 폐쇄한다. 이는, 냉각 특정 지지부(137)가 챔버(136) 내에 있을 때, 챔버(136)와 챔버(236) 사이의 벌크헤드를 폐쇄한다. 그에 따라, 흡입 하부 몰드(200)를 이송하는 구조물 상의 도어(239)가 그와 함께 이동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도어(239)는, 흡입 하부 몰드(200)가 챔버(136) 내에 있을 때, 챔버(136)와 챔버(236) 사이의 벌크헤드를 폐쇄한다. 지지부(137) 및 몰드(200)는, 서로 체결된 것과 같이 그리고 이들을 분리하는 거리의 변경이 없이, 동시에 병진운동으로 이동된다. 유리는, 로봇(141)의 아암(142)에 의해서 유지되는 하역 지지부(140)에 의해서 냉각 특정 지지부(137)로부터 하역된다. 냉각 특정 지지부(137)는 도 20a의 참조 번호 401의 유형이다. 하역 지지부(140)는 도 20b의 참조 번호 400의 유형이다.
도 7에서, 유리(132)는 상부 형성 몰드(233) 아래에 도달하고, 이어서 트레인(130)이 정지된다. 상부 형성 몰드(233)는 유리를 취하기 위해서 유리(132)까지 멀리 하강된다(도 8). 이러한 형성 몰드는 유리와 함께 상승되고, 그 후에 빈(유리가 없는) 흡입 하부 몰드(200)가 챔버(136)로부터 챔버(236)까지 이동되고, 마찬가지로 냉각 특정 지지부(137)가 챔버(138)로부터 챔버(136)로 비워진다(도 9). 상부 형성 몰드(233)가 유리와 함께 하강되고, 이어서 그 주변부를 가볍게 눌러 유리의 주변부를 한편으로 유리와 몰드(200) 사이에서 그리고 적층체의 여러 시트들 사이에서 밀봉한다. 형성 몰드(233)의 스커트에 의한 흡입은 이러한 누름과 동시에 중단된다. 흡입 하부 몰드의 흡입은 이렇게 가볍게 누르는 것이 이미 시작되었을 때 트리거링된다. 이어서, 유리가 흡입 하부 몰드 상에서 벤딩되고 주변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서 적층체의 모든 시트가 벤딩되며, 진공이 하나의 시트로부터 다른 시트로 전달된다. 형성 몰드(233)가 다시 상승되어, 몰드(200) 상에 유리를 남긴다. 유리(132)를 이송하는 몰드(200)가 상부 형성 몰드(133) 아래에서 챔버(136)에 진입한다. 벤딩이 종료될 때 몰드(200)에 의해서 가해지는 흡입이 중단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상부 형성 몰드(233)가 상승되기 직전에 챔버(236) 내에서 발생된다. 한편으로, 중력 지지부(131)의 트레인(130)이 좌측으로 한 단계 전진되었고, 그에 따라 유리(145)를 상부 형성 몰드(233) 아래에 위치시켰다. 상부 형성 몰드(133)가 유리(132)를 취하기 위해서 하강되고(도 10), 유리와 함께 상승된다. 이와 병렬로, 상부 형성 몰드(233)가 또한 하강되어 다음 유리(145)를 취한다. 지지부(137)는 챔버(138)로부터 챔버(136)로 비워지고, 몰드(200)는 동시에 챔버(136)로부터 챔버(236)로 전달된다. 유리(132)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유리(132)의 처리와 동일한 유리(145)의 처리는 더 설명되지 않는다), 상부 형성 몰드(133)는 유리(132)를 냉각 특정 지지부(137) 상으로 방출하고, 상부 형성 몰드(233)가 하강되어 유리(145)를 몰드(200)에 대항하여 누른다(도 11). 유리(132)를 이송하는 지지부(137)가 챔버(138)에 진입한다. 도어(144)가 상승되고, 로봇(141)이 냉각 특정 지지부(137) 아래에서 하역 지지부(140)와 결합된다(도 12). 이어서, 로봇은 하역 지지부(140)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하역 지지부(40)가 유리(132)를 취한다. 이어서, 로봇은 유리(132)를 이송하는 하역 지지부(140)를 챔버(138)로부터 진출시키고, 도어(144)가 다시 하강된다. 이어서,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로봇은 유리(132)를 도 1 내지 도 6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최종 장치(49) 상에 배치한다(도 13).
도 14는, 흡입 하부 몰드가 예비 특정 지지부(603)에 의해서 교체된 것을 제외하고, 도 7 내지 도 13의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도시한다. 중력 지지부(601)로부터 최종 장치(49)까지의, 이러한 장치의 여러 요소의 이동은 도 7 내지 도 13의 이동과 동일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유리는 분리 챔버(600) 아래의 그 중력 지지부(601) 상에서 그 최종 형상에 도달한다. 도 7 내지 도 13의 시스템과 비교할 때 다른 차이점은, 유리가 형성 몰드(602) 및 예비 특정 지지부(603)에 대항하여 가볍게 눌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유리는 단순히 형성 몰드(602)에 의해서 지지부(603) 상으로 방출된다.
도 15는, a) 종래 기술에 따라 통상적으로 얻어지는 시트에 대한 그리고 b)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시트에 대한, 시트의 연부(2)로부터 중심을 향한 방향을 따른 유리(1)의 시트의 연부에서의 응력의 변화를 도시한다. 연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로축 상에 그리고 유리 내의 응력의 세로축에 표시되었다. 가로축 아래의 응력은 압축 응력이다. 가로축 위의 응력은 인장 응력이다. 종래 기술(a)에 따라, 인장 응력은 일반적으로 5 MPa를 초과하고, 이는 큰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최대 인장 응력은 단지 3 MPa이고, 이는 a)의 경우와 비교할 때 시트의 기계적 강도에 매우 유리하다.
도 16은 유리의 벤딩된 시트의 하부 면을 나타낸다. 쇄선(25)은 시트의 연부로부터 50 mm에 위치되고, 주변 구역의 단부를 표시한다. 라인(28)은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을 위한 접촉 밴드의 외부 한계를 표시한다. 이러한 외부 한계는 라인(25)과 일치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적어도 60 mm 그리고 심지어 70 mm 이내일 수 있다. 라인(26)은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을 위한 접촉 밴드의 내부 한계를 표시한다. 유리의 연부와 라인(25) 사이의 빗금친 구역(27)이 주변 구역이다. 평면(P)은 유리의 연부에 그리고 시트에 수직인 가상 평면이다. 평면(P)과 하부 면의 교차는 단편(S)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온도는 시트의 연부로부터 시작하여 이러한 단편의 50 mm에 걸쳐 균질화된다. 임계 온도 범위 내의 유리와 접촉되는 특정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구역(161) 내에서 유리와 접촉되고 구역(161) 외측의 유리와는 접촉되지 않는다.
도 17은 프레임-형상의 상부 형성 몰드(160), 유리(162), 및 (주변 구역의 내부 한계 내측의) 중앙 구역 내에서 유리와 접촉되는 유형의 특정 지지부(163)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은, 상부 형성 몰드가 초기에 특정 지지부 상에서 유리를 취할 때 또는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때, 발생될 수 있다. 유리는 스커트(164)와 상부 형성 몰드(160) 사이의 흡입의 개시 이후에 취해진다. 상부 형성 몰드(160)가 유리의 제2 주 면과 접촉되고, 결과적으로, 그 외부 연부(164)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3 내지 20 mm 범위의 거리(d1)에 도달한다. 거리(d2)는 주변 구역에 상응한다. 거리(d3)는 특정 지지부(163)의 접촉 구역의 외부 연부와 유리의 연부 사이의 거리이다. 상부 형성 몰드의 외부 연부와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의 외부 연부 사이의 거리는 d3-d1이고, 이는 30 mm보다 크다.
도 18은, 유리의 하향 대면되는 제1 주 면(19)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여기에서, 상하로 놓인 2개의 유리(11 및 12)의 시트의 적층체)를 수용할 수 있는 냉각 특정 지지부(10)를 도시한다. 이러한 지지부는 벤딩을 통해서 받게 되는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유리에 제공한다. 이러한 지지부는 다수의 정렬된 요철부(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요철부의 상부 면(14)은 유리의 중앙 구역 내의 "접촉 밴드" 내에서 유리의 제1 주 면(19)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고온의 유리와 툴의 접촉부를 연화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요철부(13)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내화 섬유 섬유질 재료(15)로 덮인다. (도면에서 빗금친 구역(17)에 의해서 표시된) 요철부의 상부 면에 의해서 형성된 접촉 구역이 유리의 전체 주변부 주위의 유리의 연부(16)로부터 50 mm 초과의 거리(d)에서 유리와 접촉된다. 이러한 지지부(10)는, 아래로부터 유리를 취하는 하역 지지부의 아암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통로(18)를 일 측면에 포함하는 프레임이다.
도 19는 2개의 유리 시트의 적층체를 이송하는 주변 트랙 유형의 냉각 특정 지지부(301)를 나타낸다. 유리(300)는 그 연부 표면의 하부 교차 라인(132)을 통해서 외팔보-방식으로 주변 트랙 상에 놓인다. 그에 따라, 유리는 그 제1 주 면(133)의 주변 구역 내에서 지지부와 접촉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균질화가 이루어지고 보전될 수 있게 한다.
도 20은, 유리가 냉각 특정 지지부(401)에 의해서 이송될 때 하역 지지부가 어떻게 유리를 취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윈드실드를 위해서 의도된 이러한 유리는 4개의 밴드를 포함한다. a)는 지지 요소(411)와 함께 빈 냉각 특정 지지부(401)를 측면으로부터 본 것이다. 그 샤시(410)는, 하역 지지부(400)가 유리[a)에 미도시] 아래의 샤시(410)의 내부에 침투할 수 있게 하는 자유 공간(413)을 제공한다. 도 20b 내지 도 20d는 냉각 특정 지지부(401)로부터 하역 지지부(400)까지의 유리(407)의 통과를 연속적으로 도시한다. b)에서, 빈 하역 지지부(400)가 아암(406)을 작동하는 로봇(미도시)에 의해서 조작된다. 이는 유리(407)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401)에 접근한다. 하역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 요소(403)를 이송하는 샤시(4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요소(403)는 일 단부(404)에 의해서 샤시(402)에 연결되고, 그 타 단부(405)에서 유리와 접촉되는 접촉 구역을 갖는다. 위로부터 볼 때, 지지 요소(403)는 단부(404)로부터 단부(405)까지의 방향으로 샤시(402)의 외부를 향해서 지향된다. b)에서, 냉각 특정 지지부(401)는 복수의 지지 요소(408)에 의해서 유리(407)를 이송한다. 이러한 냉각 특정 지지부(401)는 샤시(410) 및 복수의 지지 요소(408)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요소(408)는 일 단부(409)에 의해서 샤시(410)에 연결되고, 그 타 단부(411)에서 유리와 접촉되는 접촉 구역을 갖는다. 위로부터 볼 때, 지지 요소(408)는 단부(409)로부터 단부(411)까지의 방향으로 샤시(410)의 내부를 향해서 지향된다. 샤시(401)는 지지부를 부동화하지 않고 지지부(400)를 상승[페이즈 c) 참조]시킬 수 있게 하는 통로(412)를 포함한다. c)에서, 하역 지지부(400)는 유리 아래에서 여전히 유리와 닿지 않게 배치되었다. d)에서, 로봇에 의해서 작동되는, 하역 지지부(400)가 상승되었고, 냉각 특정 지지부(401)로부터 하역된 유리(407)를 취하였다. 이는, 하역 지지부(400)의 아암(406)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샤시(401) 내의 통로(412)로 인해서 그리고 위로부터 볼 때 지지 요소(403 및 408)가 오프셋된다는 사실로 인해서 가능해지고, 지지 요소(403)는 외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반면, 지지 요소(408)는 내부를 향해서 연장된다. 따라서, 지지부(400)가 상승될 때, 한편으로 지지 요소(403) 및 다른 한편으로 지지 요소(408)가 2개의 빗의 빗살의 방식으로 교차된다. 따라서, 2개의 지지부(400 및 401)의 접촉 구역 모두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유리의 연부로부터 50, 또는 심지어 60, 또는 심지어 70 mm 또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200 또는 심지어 170 mm 또는 심지어 150 mm 사이의) "접촉 밴드" 내에서 유리와 접촉되고, 이러한 밴드 외측에서는 유리와 접촉되지 않는다. 지지 요소(403 및 408)는 바람직하게, 수용하는 유리의 형상에 맞춰 구성된 그 접촉 구역을 가지며, 다시 말해서 그 접촉 구역은 유리를 향해서 배향되고 그에 따라 수용 유리의 구역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지지 요소는 유리를 취하는 순간에 유리의 수용을 댐핑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e에서, 냉각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 특정 지지부로의 유리(407)의 전달 순간에서의 2개의 지지부가 위쪽으로부터 그리고 수평 평면 내의 수직 투영으로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405 및 411)의 접촉 구역 모두가 라인(26)(연부로부터의 거리(dy)에서의 접촉 밴드의 내부 한계, dy는 200 이하 또는 심지어 170 mm 이하 또는 심지어 150 mm 이하이다)과 라인(28)(연부로부터의 거리(dx)에서의 접촉 밴드의 외부 한계, dx는 50 이하 또는 심지어 60 이하 또는 심지어 70 mm이하이다) 사이의 "접촉 밴드"에 도달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접촉 밴드는 150 mm 이하의 폭(200-50=150) 또는 심지어 100 mm 이하의 폭(170-70=100) 또는 80 mm 이하의 폭(150-70=80)이다. 또한, 하역 지지부의 그리고 냉각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은 접촉 밴드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끼워진다. 하나의 지지부로부터 다른 지지부로의 유리의 전달 순간에, 지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역은, 그에 바로 이웃하는 것을 위해서, 다른 지지부의 2개의 접촉 구역을 갖는다. 유리의 전달 순간에, 하역 지지부의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의 2개의 접촉 구역(415 및 416)의 외부 연부에 접선적인 직선(414)이 냉각 지지부의 지지 요소(417)와 교차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작동은 냉각 지지부의 복수의 지지 요소를 위해서 발생된다. 하역 지지부의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의 접촉 구역(415 및 416)의 중심(418 및 419)을 통과하는 직선 단편이 냉각 지지부의 지지 요소(417)와 교차되는 것이 또한 확인된다. 이러한 상황은 냉각 지지부의 복수의 지지 요소를 위해서 발생된다. 이는, 2개의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이 유리의 연부에 평행한 좁은 밴드 내에서 서로 끼워진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dy가 200 mm일 때, 라인(26)의 내측에 위치되는 렌즈의 중앙 영역(연부로부터 200 mm 보다 먼 유리의 구역)이, 라인(26)과 닿지 않고, 100 mm 직경 그리고 심지어 200 mm 직경 그리고 심지어 그 초과의(예를 들어 500 mm 또는 심지어 1000 mm의 직경) 가상 원을 용이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유리의 주 면의 크기를 반영한다.
도 21은, 하역 특정 지지부(750)가 트랙 유형의 냉각 특정 지지부(751)에 의해서 초기에 지지되는 유리(미도시)를 어떻게 취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트랙은, 위로부터 볼 때, 중단된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이는, 하역 지지부(750)에 연결된 아암(753)이 수직 이동에 의해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통로(752)를 그러한 트랙이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지지부(750)가 아래에 위치되고, 상승되며, 지지부(751)에 의해서 초기에 지지된 유리를 취하고, 유리를 다음 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부(750)는 지지 요소(754)에 의해서 유리를 이송한다.
도 22 및 도 23은, 냉각 특정 지지부 또는 하역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는 지지 요소를 도시한다. 도 22a에서, 지지 요소(500)는, 샤시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오리피스를 구비한 기부(501)를 그 단부 중 하나에서 포함한다. 타 단부는, 유리와 접촉되는 섬유질 재료(508)로 덮인 접촉 구역(502)을 포함한다. 개방 직물 섬유질 재료(508)가 러그(503)에 의해서 요소의 표면 상에서 유지된다. 접촉 구역(502)은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병진운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하향 이동은 스프링(504)의 압축을 동반한다. 그에 따라, 접촉 구역(502)에 의한 유리의 수용이 스프링(504)에 의해서 댐핑된다. 도 22b에서, 스프링(504)뿐만 아니라 기부(501)를 포함하는 부분이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도 22a에서와 동일한 지지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 b)에서, 컵(505)이 스프링(504)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접촉 구역(502)이 관형 안내부(507)의 축에 상응하는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로드(rod)(506)가 관(507) 내에서 안내되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면 c)는, 유리와 접촉되도록 접촉 구역에 편직 유형의 개방 직물 내화 섬유질 재료(508)가 적용된 지지 요소를 도시한다.
도 23은, 접촉 구역의 표면 상에서 천공형 내화 재료(미도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러그(602)에 의해서 둘러싸인 접촉 구역(601)을 구비한 다른 지지 요소를 도시한다. 도 22의 요소와 비교하면, 접촉 구역의 배향 유지를 강제하는 안내부가 없다. 이러한 안내부의 부재는, 스프링(604)의 축에 평행하게 (화살표(603)) 이동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접촉 구역에 수직으로 스프링(604)의 축으로부터 멀리(화살표 605 또는 606)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없는 접촉 구역에 보충적인 자유도를 제공한다. 배향 가능한 이러한 능력은, 표면의 국소적인 배향이 접촉 구역의 배향에 정확하게 상응하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종류의 요소가 유리를 수용할 때 활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유리의 중량으로 인해서, 접촉 구역(601)은 유리의 표면의 배향을 정확하게 취하도록 자동적으로 배향된다. 그러한 거동은, 동일 지지부가 상이한 형상의 유리에 맞춰 적응될 수 있는 더 범용적인 특성을, 그러한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지지부에 제공한다.

Claims (33)

  1. 제1 주 면 및 제2 주 면을 포함하는, 유리로 지칭되는, 유리의 시트 또는 유리 시트의 적층체를 벤딩하고 냉각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중력 지지부 상에서 유리를 중력에 의해서 벤딩하는 단계로서, 그러한 중력 벤딩 중에 유리가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 내에서 중력 지지부 상에 놓이고, 주변 구역은 제1 주 면의 연부로부터의 50 mm로 구성되는, 단계, 이어서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어서 임계 온도 범위로 지칭되는, 적어도 560 ℃의, 상부 균질 온도로 지칭되는 온도와 500 ℃ 이하의, 하부 균질 온도로 지칭되는 온도 사이에서 유리를 냉각하는 단계로서, 냉각 중에 유리의 제1 주 면은 그 주변 구역과의 어떠한 접촉도 없고, 연부로부터 200 mm 초과의 거리에서 제1 주 면의 구역은, 주변 구역이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할 때의 순간에, 주변 구역의 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균질 온도가 적어도 5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 균질 온도가 49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계 온도 범위 내의 유리의 냉각 중에, 유리의 제1 주 면은 연부로부터 60 mm 내에서 어떠한 접촉도 없고 바람직하게 연부로부터 70 mm 내에서 어떠한 접촉도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주 면이, 온도 균질화 시간으로 지칭되는, 적어도 5초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6초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초의 시간 동안 어떠한 접촉도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온도 균질화 시간 중에,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한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되고, 흡입은 유리를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하는 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순간에, 유리의 연부로부터 50 mm 보다 먼 제1 주 면의 구역이 주변 구역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균질 온도에 도달하는 순간에, 유리의 연부로부터 170 mm보다 먼 그리고 심지어 50 mm 보다 먼 제1 주 면의 구역이 주변 구역의 온도와 적어도 동일한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은, 상부 균질 온도와 하부 균질 온도 사이에서 유리의 연부에 수직인 섹션의 교차부의 임의의 라인 상에서 온도가 균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가,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의해서 임계 온도 범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연부로부터 적어도 5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6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mm에서만 유리의 제1 주 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연부로부터 20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17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유리의 연부로부터 150 mm 이하에서만 유리의 제1 주 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특정 지지부는 연부 표면의 하부 경계에 의해서 유리를 지지하는 경사진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가,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유리의 제2 주 면에 의해 임계 온도 범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계 온도 범위 전체를 통해서, 유리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되거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유리의 제2 주 면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가, 유리의 제2 주 면에 의해서 유리가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유리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순간에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리 챔버 내에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유지되며, 그 후에,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챔버에 진입하거나 그로부터 진출할 수 있는, 냉각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특정 지지부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분리 챔버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까지 가열된 냉각 챔버에 진입하고, 냉각 챔버는 특히 400 내지 565 ℃의 온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는,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유리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순간에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리 챔버 내에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되며, 그 후에,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챔버에 진입하거나 그로부터 진출할 수 있는, 예비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지지부 상으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예비 특정 지지부가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가고,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구비하는 전달 챔버에 진입하고, 전달 챔버의 온도는 분리 챔버의 온도보다 낮고, 그 후에 유리가 전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냉각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아래에 배치되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배출하고,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전달 챔버를 빠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를 이송하는 중력 지지부는,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유리는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순간에 중력 지지부 상의 유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리 챔버 내에서 분리 상부 형성 몰드에 대항하여 유지되며, 그 후에,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챔버에 진입하거나 그로부터 진출할 수 있는, 흡입 하부 몰드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 상의 흡입에 의해서 유리를 벤딩할 수 있는 벤딩 흡입 하부 몰드가 유리 아래에 배치되고, 그 후에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벤딩 흡입 하부 몰드 상으로 방출하며,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흡입 하부 몰드가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가고,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구비하는 전달 챔버에 진입하고, 전달 챔버의 온도는 분리 챔버의 온도보다 낮고, 유리는 분리 챔버 및/또는 전달 챔버 내에서 흡입 하부 몰드 상에서 벤딩되고, 그 후에 유리가 전달 상부 형성 몰드에 의해서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냉각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아래에 배치되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배출하고, 그 후에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전달 챔버를 빠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유리의 계속적인 냉각을 위해서, 유리를 이송하는 냉각 특정 지지부가, 전달 챔버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까지 가열된 냉각 챔버에 진입하고, 냉각 챔버는 350 내지 520 ℃의 온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7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냉각 챔버 내의 유리의 평균 냉각률이 0.8 내지 2.5 ℃/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7항 또는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로봇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특히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의 제1 주 면과 접촉될 수 있는 하역 지지부가 냉각 챔버에 진입하고, 유리 아래를 통과하고, 이어서 유리를 취하기 위해서 상승되고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하며, 이어서 유리를 냉각 챔버로부터 진출시키고, 그 후에 유리가 실온까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하역 지지부 및 냉각 특정 지지부 모두는, 모두가 외부 한계와 내부 한계 사이의 접촉 밴드 내에서만 유리와 접촉되는, 접촉 구역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밴드의 외부 한계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적어도 5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6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mm에 위치되고,
    밴드의 내부 한계는 유리의 연부로부터 20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170 mm 이하, 그리고 바람직하게 유리의 연부로부터 150 mm 이하에 위치되며,
    하역 지지부 및 냉각 특정 지지부의 접촉 지역은, 유리를 하역 지지부 상으로 적재하는 순간에, 접촉 밴드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가 각각 적재된 중력 지지부의 트레인이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를 통과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하나씩 차례로 중력 지지부의 각각으로부터 유리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력 지지부 상에서의 벤딩이 590 ℃ 초과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 주 면 및 제2 주 면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시트의 적층체 형태의 유리를 벤딩 및 냉각하기 위한 장치이며, 연부로부터의 제1 주 면의 50 mm로 구성된 주변 구역 내에서 유리를 지지하면서 유리의 소성 변형 온도에서 유리를 벤딩할 수 있는 중력 지지부, 냉각 특정 지지부로 지칭되는, 이러한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는 지지부, 및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분리 및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분리 및 전달 수단은,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형태의, 흡입 수단을 구비한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분리 및 전달 수단이,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분리 챔버를 포함하고, 중력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력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며 이어서 분리 챔버 내에서 유리와 함께 상승됨으로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거나 해당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가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분리 및 전달 수단이
    -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분리 챔버,
    -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전달 챔버,
    - 유리의 주 면의 주변 구역과의 접촉이 없이,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예비 특정 지지부를 포함하고,
    중력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력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며 이어서 중력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예비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도록 분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예비 특정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예비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이어서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유리가 적재된 예비 특정 지지부가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고 전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비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유리를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고 이어서 예비 특정 지지부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냉각 특정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전달 챔버에 진입하거나 그로부터 진출할 수 있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거나 해당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냉각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분리 및 전달 수단이
    - 분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분리 챔버,
    - 유리가 그 제2 주 면에 의해서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특히 스커트 유형의, 흡입 수단을 구비하는 전달 상부 형성 몰드를 포함하는 전달 챔버,
    - 흡입 하부 몰드로 지칭되는, 유리의 제1 주 면 상의 흡입에 의해서 유리를 벤딩할 수 있는 벤딩 흡입 하부 몰드를 포함하고,
    중력 지지부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력 지지부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유리를 중력 지지부로부터 하역할 수 있고,
    흡입 하부 몰드는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되도록 분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흡입 하부 몰드 및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유리를 방출할 수 있고 유리를 흡입 하부 몰드 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어서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유리가 적재된 흡입 하부 몰드가 분리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고 전달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입 하부 몰드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취할 수 있고 유리를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하역할 수 있으며 이어서 흡입 하부 몰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냉각 특정 지지부가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전달 챔버에 진입하거나 그로부터 진출할 수 있고 전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거나 해당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냉각 특정 지지부 및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달 상부 형성 몰드가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 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챔버를 포함하고, 유리가 적재된 냉각 특정 지지부가 냉각 챔버에 진입할 수 있고 유리가 하역되면 냉각 챔버를 빠져 나갈 수 있으며, 특히 유리의 제1 주 면의 주변 구역과 접촉되지 않고,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필요한 경우에 로봇에 의해서 조작되는, 하역 지지부가, 유리를 취하고 이를 냉각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하기 위해서 상승될 수 있고, 유리가 적재되어 냉각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하역 지지부 및 냉각 특정 지지부 모두는, 모두가 유리의 연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접촉 밴드 내에서만 유리와 접촉되는 접촉 구역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접촉 밴드는 150 mm 이하의 폭, 또는 심지어 100 mm 이하의 폭, 또는 심지어 80 mm 이하의 폭이며, 하역 지지부 및 냉각 특정 지지부의 접촉 구역들은, 유리를 냉각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 지지부에 전달하는 순간에, 접촉 밴드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위로부터 그리고 수평 평면 내의 수직 투영에서 볼 때, 냉각 특정 지지부로부터 하역 지지부로의 유리의 전달 순간에, 냉각 지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가 하역 지지부의 인접한 지지 요소의 2개의 접촉 구역의 외부 연부에 접선적인 직선과 교차되고, 이러한 교차는 하역 지지부의 2개의 인접한 지지 요소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가 각각 적재될 수 있는 중력 지지부의 트레인이 분리 상부 형성 몰드 아래에서 순환될 수 있고, 분리 상부 형성 몰드는 하나씩 차례로 중력 지지부의 각각으로부터 유리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97024759A 2017-02-27 2018-02-22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KR20190119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1568A FR3063287B1 (fr) 2017-02-27 2017-02-27 Vitrage a contrainte d'extension reduite
FR1751568 2017-02-27
PCT/FR2018/050430 WO2018154247A1 (fr) 2017-02-27 2018-02-22 Vitrage a contrainte d'extension redu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053A true KR20190119053A (ko) 2019-10-21

Family

ID=5903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759A KR20190119053A (ko) 2017-02-27 2018-02-22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10284565A1 (ko)
EP (1) EP3585740A1 (ko)
JP (1) JP2020508282A (ko)
KR (1) KR20190119053A (ko)
CN (1) CN108811497B (ko)
BR (1) BR112019016558A2 (ko)
CA (1) CA3053947A1 (ko)
FR (1) FR3063287B1 (ko)
MA (1) MA47598A (ko)
MX (1) MX2019010137A (ko)
RU (1) RU2764111C2 (ko)
WO (1) WO2018154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1767250B2 (en) * 2017-11-30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FI20185664A1 (fi) * 2018-07-31 2020-02-01 Taifin Glass Machinery Oy Menetelmä laitteessa lasilevyjen taivuttamiseksi ja laite lasilevyjen taivuttamiseksi
DE102019117756A1 (de) * 2018-12-28 2020-07-02 Füller Glastechnologie Vertriebs-Gmbh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Glas-Vorformlings
FR3093333B1 (fr) * 2019-02-28 2023-01-20 Saint Gobain Fabrication de vitrages a contrainte d’extension reduite
CN112390014A (zh) * 2019-08-19 2021-02-23 张家港爱丽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料整合设备
CN115784580B (zh) * 2022-12-08 2023-11-07 玻璃新材料创新中心(安徽)有限公司 一种平板玻璃热弯炉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56Y2 (ja) * 1990-05-30 1995-03-0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搬送用架台
FI89038C (fi) * 1991-09-27 1993-08-10 Tamglass Oy Foerfarande foer boejning och haerdning av bilars foenster
US5385786A (en) * 1993-02-09 1995-01-31 Glasste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resses in laminated automotive glass
JP2000327352A (ja) * 1999-05-13 2000-11-28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および曲げ成形装置
FR2852951B1 (fr) * 2003-03-26 2007-02-16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pressage et aspiration
DE10314266B3 (de) * 2003-03-29 2004-06-0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FR2880343B1 (fr) * 2004-12-31 2007-06-22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aspiration
DE102005001513B3 (de) * 2005-01-13 2006-06-01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JP5641255B2 (ja) * 2010-02-03 2014-12-1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RU2540725C2 (ru) * 2010-02-03 2015-02-10 Асахи Гласс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га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FR2960232B1 (fr) 2010-05-19 2015-01-02 Saint Gobain Forme de bombage alveolaire
JP2017077973A (ja) * 2014-02-25 2017-04-2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徐冷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11497A (zh) 2018-11-13
JP2020508282A (ja) 2020-03-19
EP3585740A1 (fr) 2020-01-01
US20210284565A1 (en) 2021-09-16
FR3063287B1 (fr) 2021-09-24
FR3063287A1 (fr) 2018-08-31
RU2019129818A3 (ko) 2021-06-28
MX2019010137A (es) 2019-10-09
BR112019016558A2 (pt) 2020-03-31
WO2018154247A1 (fr) 2018-08-30
RU2764111C2 (ru) 2022-01-13
CA3053947A1 (fr) 2018-08-30
RU2019129818A (ru) 2021-03-29
CN108811497B (zh) 2021-11-30
MA47598A (fr)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9053A (ko) 외연 스트레인이 감소된 유리 패널
RU2466106C2 (ru) Способ гибки стекла
EP2532630B1 (en) Glass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EP2532625B1 (en) Method and device for gradually cooling glass plate
KR102128980B1 (ko) 적층된 유리 패널의 제작
RU212198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уклого изгибания стеклянной пластины
KR101631337B1 (ko) 유리판의 풍랭 강화 장치 및 풍랭 강화 방법
KR970006991B1 (ko) 유리시이트 성형 장치 및 방법
CN107001135B (zh) 夹层玻璃的制造方法
MXPA05005130A (es) Aparato y metodo para curvar hojas de vidrio.
US20080127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enching formed glass sheets
CZ247490A3 (cs) Zařízení pro ohýbání skleněných tabulí
EP1550639A1 (en) Method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pparatus therefor
KR100196269B1 (ko) 판 유리의 접촉 뜨임 및 만곡 방법과 장치
JP7463972B2 (ja) ガラス板の成形装置
JPS59232926A (ja) 真空ホルダ
JP7169311B2 (ja) 局所冷却を含むガラス板の曲げ
JP2005206458A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227003B (zh) 玻璃片材的局部冷却工具
JP2005170766A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271127A (ja) ガラス板の熱処理方法
TWI830868B (zh) 玻璃板之成形方法
CN210313995U (zh) 一种重力成型的连续热弯炉
JP3887163B2 (ja) 曲面ミラー用ガラス素材の曲げ成形装置
JP6129592B2 (ja) 繊維含有樹脂体の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