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459A - 산업용 직물 - Google Patents

산업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459A
KR20190116459A KR1020197027251A KR20197027251A KR20190116459A KR 20190116459 A KR20190116459 A KR 20190116459A KR 1020197027251 A KR1020197027251 A KR 1020197027251A KR 20197027251 A KR20197027251 A KR 20197027251A KR 20190116459 A KR20190116459 A KR 2019011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warp
yarn
weft
industrial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065B1 (ko
Inventor
라우노 엔크비스트
유하 파볼라이넨
Original Assignee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9011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10Seam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94Bel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4Endless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10Wire-cloth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2Woven fabric for papermaking drier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방향(MD) 및 교차 방향(CMD)과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산업용 직물(1)에 관한 것으로, 이 산업용 직물(1)은 제 1 가장자리(E1)로부터 제 2 가장자리(E2)까지 교차 방향으로 연장한다. 산업용 직물(1)은 제 1 기계 방향 사(U1, U2)를 포함하는 제 1 날실과 제 2 기계 방향 사(L1, L2)를 포함하는 제 2 날실을 포함하는 이중 날실을 포함한다. 제 1 날실의 실(U1, U2)은 제 2 날실의 실(L1, L2) 위에 배열되고, 제 1 날실의 실은 제 2 날실의 실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offset)된다. 상기 산업용 직물은 교차 기계 방향 사(W1, W2, W3, W4)를 포함하는 씨실을 포함한다. 제 1 날실의 실(U1, U2)과 씨실의 실(W1, W2, W3, W4)은 제 1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하고, 제 2 날실의 실(L1, L2)과 씨실의 실(W1, W2, W3, W4)은 제 2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한다. 제 1의 소정 패턴 및 제 2의 소정 패턴은 산업용 직물(1)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교차 기계 방향 사(W1, W2, W3, W4)를 포함하는 직물 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직물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교차 방향과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산업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이 산업용 직물은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제 2 가장자리까지 교차 방향으로 연장한다.
공지된 산업용 직물은 고압 세척액의 제트(jet)에 수직인 영역을 최대화하여, 상기 제트가 직물 내에 충분하게 침투할 수 없는 그들의 두께 방향으로 한 평면에 씨실(weft yarn)을 갖는다. 그 결과, 세척 결과가 부적절하고 실이 손상된다.
상기 부적절한 세척 결과로 인해 세척 과정 중에 더 높은 압력(500 내지 600bar)이 발생하게 되어 실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킨다. 손상된 실의 원섬유(fibril)는 산업용 직물의 실들 사이의 구조를 채우므로, 상기 직물의 공기 투과성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조업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고압 세척기는 고가이며 취약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극복하는 산업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산업용 직물은 다량의 세척액을 수용하여, 그 세척액이 구조 안으로 쉽게 침투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세척 공정 후에 세척액의 잔류물 및 오물의 수거가 향상된다.
또한, 한 아이디어에 따르면, 산업용 직물의 제 1 표면에는 오물이 그 표면을 쉽게 채우지 않도록 하는 토포그래피(topography)를 갖는다.
또한, 한 아이디어에 따르면, 세척액의 제트와 접촉하고 있는 산업용 직물의 실에 미치는 대미지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산업용 직물은 주로 성형, 프레스 또는 건조 부분 상의 종이, 펄프 또는 카톤보드 기계에 사용되며, 즉 산업용 직물은 성형 직물, 프레스 부분 상의 직물, 또는 건조기 직물일 수 있다. 산업용 직물의 바람직한 용도 중 하나는 컨테이너 보드의 제작에 있다. 또한, 산업용 직물은 액체, 예를 들어, 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와 같은 고도의 능력이 요구되는 다른 공정들 중에 사용 가능하며, 즉 산업용 직물은 필터 직물이다.
산업용 직물은 세로 방향 및 교차 방향, 즉 날실 방향 및 씨실 방향을 각각 갖는다. 산업용 직물은 사용 시에 가공 처리될 물질, 예를 들면, 종이 또는 펄프와 접촉하는 제 1 표면을 갖는다. 산업용 직물의 제 2 표면은 제지기의 롤과 같은 기계 부품을 향한다. 산업용 직물은 산업용 직물의 교차 방향으로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제 2 가장자리까지 연장한다. 사용 시에, 산업용 직물은 무한(endless) 회전 루프를 형성한다.
산업용 직물은 이중 날실을 포함하는데, 즉 2개의 날실 중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다. 제 1 날실은 제 1 기계 방향 사를 포함하고, 제 2 날실은 제 2 기계 방향 사를 포함한다. 제 1 날실의 실은 제 2 날실의 실 위에 배열된다. 제 1 날실의 제 1 기계 방향 사와 제 2 날실의 제 2 기계 방향 사는 편평사(flat yarns)일 수 있다.
제 1 날실의 실은 제 2 날실의 실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offset)되며, 이는 제 1 날실의 실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날실의 실에 대해 측 방향으로 시프트(shift)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 1 날실의 모든 실이 제 2 날실의 실에 대해 상쇄될 수 있다. 각 날실의 날실 커버(warp cover)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이다.
날실들 사이에 슬릿 및 채널이 형성되기 때문에 겹쳐지는 제 1 및 제 2 날실로 인해 산업용 직물의 클리닝이 향상된다. 산업 공정에서 사용되는 동안에 산업용 직물의 제 1 표면 상에 오물이 쉽게 축적되지 않는다. 산업용 직물을 세척할 때, 고압 세척액의 제트가 그 구조 내의 슬릿 및 채널로 인해 산업용 직물의 구조 안으로 침투한다.
겹쳐지는 날실을 포함하는 이중 날실은 상기 직물의 향상된 클리닝 외에도, 상기 직물을 물에 대해 강하고 내성이 있도록 만든다. 날실 하나 위에 다른 하나의 날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됨에 따라 상기 직물은 안정적이다. 상기 직물의 양 단부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솔기(seam)가 형성될 경우, 솔기는 상쇄되는 날실로 인해 더 강하다.
산업용 직물은 교차 기계 방향 사를 포함하는 씨실을 포함한다. 씨실의 교차 기계 방향 사는 둥근 실일 수도 있으며, 즉 그 단면이 원형이거나, 이들은 타원형 실일 수도 있으며, 즉 그 단면이 타원형이다. 교차 기계 방향 사는 통상 모노필라멘트이다.
교차 기계 방향 사, 즉 씨실은 고압 세척액의 제트가 직물을 통해 효율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트는 산업용 직물의 제 1 표면과 만나는 특정 각도를 갖는다. 상기 제트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보드 제조기에서 공지된 고압 클리너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상기 제트가 만나는 표면적은 산업용 직물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에 상기 씨실을 위치시킴으로써 최소화되는데, 즉 산업용 직물은 예정된 회전 방향을 가지며, 씨실의 일부가 고압 세척액의 제트에 대해 다른 씨실 뒤에 있다.
씨실의 위치는 직조(weave)에 의해 조절된다. 제 1 날실의 실과 씨실의 실이 제 1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하고, 제 2 날실의 실과 씨실의 실은 제 2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직물의 제 1면 상에 입상 텍스쳐(granular texture)를 갖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오물이 그러한 표면을 쉽게 채우지 못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산업용 직물의 제 1 표면에는 많은 접촉점이 존재하지만, 접촉면적은 적다. 입상 텍스쳐는 단사 플로트(short yarn floats)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면, 제 1의 소정 패턴은 제 1 날실의 실 및 씨실의 실이 서로 결합하여 제 1 날실의 실이 2개의 씨실 위와 2개의 씨실 아래를 반복해서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 1 날실의 실은 동시에 선택된 날실이 씨실 아래에 있을 때, 동시에 선택된 날실에 인접한 날실이 씨실 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제 1 표면 상에 입상 텍스쳐가 생기며, 즉 상기 직물의 표면이 알갱이로 덮인 것처럼 보인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의 소정 패턴은 제 2 날실의 실과 씨실의 실이 서로 결합하여 제 2 날실의 실이 1개의 씨실 위와 3개의 씨실 아래를 반복해서 지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제 2 날실의 실은 동시에 선택된 날실이 씨실 위에 있을 때 동시에 선택된 날실에 인접하는 날실이 동시에 선택된 날실이 위에 있는 씨실로부터 제 2 날실 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 2 날실의 실이 그 위로 지나는 씨실은 제 1 날실의 실이 위로 지나는 제 2 씨실이다.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산업용 직물의 방향을 설명하는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산업용 직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산업용 직물의 제 1 표면의 윤곽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산업용 직물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은 산업용 직물(1)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산업용 직물(1)의 제 1 표면이 위쪽이다. 산업용 직물(1)은 교차 기계 방향(CMD)과 기계 방향(MD)을 갖는다. 교차 기계 방향(CMD)은 씨실 방향에 대응하고, 기계 방향은 날실 방향, 즉 산업용 직물(1)의 세로 방향에 대응한다. 산업용 직물(1)은 제 1 가장자리(E1)로부터 제 2 가장자리(E2)까지 연장된다.
도 2는 제 1 표면이 위쪽인 산업용 직물(1)의 사시도이다. 산업용 직물(1)은 제 1 날실의 실 U1 및 U2와, 제 2 날실의 실 L1 및 L2를 포함한다. 실 U1 및 L1은 필수적으로 서로 겹치지만, 실 U2와 L2는 상쇄되고, 즉 실 U2는 실 L2에 대해 측방향으로 시프트된다. 그러나 실 U1과 L1이 또한 상쇄될 수 있다. 실 U1, U2, L1 및 L2는 통상 모노필라멘트사이고, 이들은 편평사(flat yarns)일 수도 있다. 각 날실의 날실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이다. 예를 들면, 편평한 날실의 폭은 0.75mm일 수 있고, 100mm당 230개의 날실, 각 날실에 115개의 실이 있을 수 있다. 날실 커버는 0.75mm x 115/100mm=86%이다.
산업용 직물(1)은 또한 씨실의 실 W1, W2, W3 및 W4를 포함한다. 실 W1, W2, W3 및 W4는 통상 모노필라멘트사이고, 이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 실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요소는 산업용 직물(1)에서 반복되므로 결합 방법을 기술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 U1, W1, W2, W3 및 W4는 제 1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실 U1이 실 W3 및 W4 위와, 실 W1 및 W2 아래를 반복해서 지난다. 실 U1에 인접하는 실 U2는 실 W3 및 W4 아래와, 실 W1 및 W2 위를 반복해서 지난다. 결과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표면 상에 입상 텍스쳐가 생성된다. 개개의 입자는 번호 2로 표시된다.
실 L1, W1, W2, W3 및 W4는 제 2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실 L1이 실 W4 위와, 실 W1, W2 및 W3 아래를 반복해서 지난다. 실 L1에 인접한 실 L2는 실 W2 위와, 실 W1, W3 및 W4 아래를 반복해서 지난다.
실 W1 및 W2는 제 1의 소정 패턴에 대해 동일한 쉐드(shed)에 있을 뿐아니라 실 W3 및 W4는 제 1의 소정 패턴에 대해 동일한 쉐드에 있다. 실 L1이 실 W4 위를 통과하고 실 L2가 실 W2 위를 통과함에 따라 실 W2 및 W4가 실 W1 및 W3에 대해 하향으로 강제된다. 씨실 L1을 갖는 씨실 W4 및 씨실 W3은 하부의 제 1 날실 U1을 지지할 뿐 아니라, 날실 L2를 갖는 씨실 W2 및 씨실 W1은 하부의 제 2 날실 U2를 지지한다. 제 1 날실(U1 또는 U2)의 모든 다른 실이 2개의 씨실(W1 및 W2; 또는 W3 및 W4) 위를 지나고, 제 2 날실(L1 또는 L2)의 모든 다른 실이 1개의 씨실(W2 또는 W4) 위를 지남에 따라, 연속적인 능선(ridge) R이 형성된다. 이 능선은 제 1 가장자리(E1)로부터 제 2 가장자리(E2)까지 연장한다.
도 3은 산업용 직물(1)의 제 1 표면의 윤곽을 산업용 직물(1)의 세로 방향으로 나타낸다. 산업용 직물(1)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 T로 표시한다. 제 1 표면의 윤곽은 순차적인 비대칭 능선 R로 형성된다. 상기 윤곽은 평행한 날실 U1 및 U2로 형성된다.
도 4는 세척 과정 중의 도 2의 산업용 직물(1)의 단면도이다. 직조(weave), 즉 실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4에는 세척액의 고압 제트(4)가 산업용 직물(1)을 향하도록 하는 클리닝 헤드(3)가 있다. 산업용 직물(1)은 예정된 회전 방향 T를 갖는다. 상기 제트(4)가 산업용 직물(1)에 닿으면, 세척액이 상쇄되는 날실, 즉 도 2의 실 U2 및 L2로 인해 상기 직물(1)에 형성되는 채널을 통해 직물(1) 안으로 침투한다. 직물(1)의 제 2면 상에 공간 C가 존재한다. 공간 C는 세척액이 직물(1)의 전체 구조를 통해 침투할 수 있게 한다.
씨실 W1, W2, W3 및 W4는 제트(4)에 의해 만나는 직물(1)의 표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위치되어, 산업용 직물(1) 안으로 침투하는 세척액의 양을 최대화한다. 씨실 W1, W2, W3, 및 W4는 직물(1)을 통해 제트(4)를 인도한다.
산업용 직물(1)의 제 1 표면 상에 공간 D가 존재한다. 날실의 주행 경로의 형상 및 씨실의 위치 결정에 기인하여 공간 D에 부압(negative pressure)이 우선한다. 부압은 세척액의 잔류물 및 오물의 제거 및 수거를 향상시킨다. 산업용 직물(1)의 제 1 표면 상의 날실 U1, U2의 비대칭 주행 경로는 날실의 마모 및 피브릴화를 감소시킨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6)

  1. 세로 방향(MD) 및 교차 방향(CMD)과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갖는 산업용 직물(1)로서, 이 산업용 직물(1)은 제 1 가장자리(E1)로부터 제 2 가장자리(E2)까지 교차 방향으로 연장하며,
    - 이중 날실을 포함하고, 이 이중 날실은 제 1 기계 방향 사(U1, U2)를 포함하는 제 1 날실과 제 2 기계 방향 사(L1, L2)를 포함하는 제 2 날실을 포함하되, 제 1 날실의 실(U1, U2)은 제 2 날실의 실(L1, L2) 위에 배열되며, 제 1 날실의 실은 제 2 날실의 실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offset)되고,
    - 교차 기계 방향 사(W1, W2, W3, W4)를 포함하는 씨실을 포함하고,
    - 제 1 날실의 실(U1, U2)과 씨실의 실(W1, W2, W3, W4)은 제 1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하고,
    - 제 2 날실의 실(L1, L2)과 씨실의 실(W1, W2, W3, W4)은 제 2의 소정 패턴에 따라 서로 결합하고,
    - 제 1의 소정 패턴 및 제 2의 소정 패턴은 산업용 직물(1)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레벨의 교차 기계 방향 사(W1, W2, W3, W4)를 포함하는 직물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의 소정 패턴은 다음과 같고: 제 1 날실의 실(U1, U2)과 씨실의 실(W1, W2, W3, W4)은, 제 1 날실의 실(U1, U2)이 2개의 씨실(W1, W2; W3, W4) 위와, 2개의 씨실(W1, W2; W3, W4) 아래를 반복해서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고, 서로 인접하는 제 1 날실의 실은 동시에 선택되는 날실이 씨실 아래에 있을 때, 동시에 선택되는 날실에 인접하는 날실이 씨실 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제 1 표면 상에 입상 텍스쳐(granular texture)가 생성되고;
    제 2의 소정 패턴은, 다음과 같고: 제 2 날실의 실(L1, L2)과 씨실의 실(W1, W2, W3, W4)은, 제 2 날실의 실(L1, L2)이 1개의 씨실(W2, W4) 위와, 3개의 씨실(W1, W3, W4; W1, W2, W3) 아래를 반복해서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고, 서로 인접하는 제 2 날실의 실은 동시에 선택되는 날실이 씨실 위에 있을 때, 동시에 선택되는 날실에 인접하는 날실이 동시에 선택되는 날실이 위에 있는 씨실로부터 제 2 씨실 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제 2 날실의 실(L1, L2)이 위로 통과하는 씨실(W2, W4)이, 제 1 날실의 실(U1, U2)이 위로 통과하는 제 2 씨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날실의 실(U1, U2)이 위로 통과하는 제 1 씨실(W1, W3)이, 제 2 씨실(W2, W4)에 비해 더 큰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실의 날실 커버(cover)가 7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실의 제 1 기계 방향 사(U1, U2)가 편평사(flat yar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실의 제 2 기계 방향 사(L1, L2)가 편평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의 교차 기계 방향 사(W1, W2, W3, W4)가 원형 또는 타원형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
KR1020197027251A 2017-03-24 2018-03-21 산업용 직물 KR102285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75281 2017-03-24
FI20175281A FI128025B (en) 2017-03-24 2017-03-24 industrial Textiles
PCT/FI2018/050211 WO2018172615A1 (en) 2017-03-24 2018-03-21 An industrial text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459A true KR20190116459A (ko) 2019-10-14
KR102285065B1 KR102285065B1 (ko) 2021-08-05

Family

ID=6186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251A KR102285065B1 (ko) 2017-03-24 2018-03-21 산업용 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82356B2 (ko)
EP (1) EP3601665B1 (ko)
JP (1) JP6875528B2 (ko)
KR (1) KR102285065B1 (ko)
CN (1) CN110023562B (ko)
ES (1) ES2858333T3 (ko)
FI (1) FI128025B (ko)
WO (1) WO2018172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95843A1 (en) * 2019-10-03 2021-04-04 Valmet Technologies Oy Drying cloth
FI130870B1 (fi) * 2020-06-04 2024-04-30 Valmet Technologies Oy Teollinen tekstiili kuiturainan valmistamista varten
FI20216031A1 (en) 2021-10-06 2023-04-07 Valmet Technologies Inc Industrial textil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5703U (ko) * 1976-02-17 1977-09-02
JPS61125200U (ko) * 1985-01-21 1986-08-06
JPH0665499U (ja) * 1993-02-22 1994-09-16 敷島紡績株式会社 抄紙用ドライヤーカンバスの継手
JP2000256984A (ja) * 1999-03-11 2000-09-19 Geschmay Corp ピントルで継ぎ合わせたプレスフェルト
KR20070006817A (ko) * 2006-09-29 2007-01-11 아스텐존슨 인코포레이티드 드라이어 직물 이음부
KR20070035426A (ko) * 2005-09-27 2007-03-30 웨벡스 코포레이션 기계측 너클을 형성하는 기계방향 접결사를 가진 제지기용성형 직물
KR20090042786A (ko) * 2006-07-25 2009-04-30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건조기 직물
KR20120093453A (ko) * 2004-11-11 2012-08-22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성형 직물
KR20180100635A (ko) * 2016-02-26 2018-09-11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산업용 직물 및 그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3478A1 (de) * 1972-09-05 1974-03-28 Muehlen Sohn Fa Spezialgurt fuer wellpappenmaschinen
ZA907421B (en) * 1989-09-19 1991-08-28 Jwi Ltd Press section dewatering fabric
US5199467A (en) * 1990-06-06 1993-04-06 Asten Group, Inc. Papermakers fabric with stacked machine direction yarns
US5167261A (en) * 1990-06-06 1992-12-01 Asten Group, Inc. Papermakers fabric with stacked machine direction yarns of a high warp fill
US5103874A (en) * 1990-06-06 1992-04-14 Asten Group, Inc. Papermakers fabric with stacked machine direction yarns
US5343896A (en) * 1990-06-06 1994-09-06 Asten Group, Inc. Papermakers fabric having stacked machine direction yarns
US5230371A (en) * 1990-06-06 1993-07-27 Asten Group, Inc. Papermakers fabric having diverse flat machine direction yarn surfaces
US5799708A (en) 1996-10-11 1998-09-01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fabric having paired identical machine-direction yarns weaving as one
US5713398A (en) 1996-12-02 1998-02-03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fabric having paired different machine-direction yarns weaving as one
CA2247716C (en) * 1997-09-19 2006-01-17 Nippon Filcon Co., Ltd. Industrial fabric
USH1974H1 (en) * 1998-08-11 2001-07-03 Astenjohnson, Inc. Woven loop press base fabric having high density top layer
US6318413B1 (en) * 1998-08-31 2001-11-20 Astenjohnson, Inc. Papermaking fabric seam with additional threads in the seam area
WO2000062345A1 (fr) 1999-04-09 2000-10-19 Shindengen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Dispositif a semi-conducteur haute tension
FI107550B (fi) * 2000-05-18 2001-08-31 Tamfelt Oyj Abp Kuivatusviira
FI110131B (fi) 2001-02-22 2002-11-29 Tamfelt Oyj Abp Paperikonekudos
US7121306B2 (en) * 2001-07-05 2006-10-17 Astenjohnson, Inc. Industrial fabric including yarn assemblies
FI113070B (fi) 2003-02-26 2004-02-27 Tamfelt Oyj Abp Kuivatusviira
GB0318220D0 (en) 2003-08-04 2003-09-03 Astenjohnson Inc Triple layer industrial fabric for through-air drying process
US6978809B2 (en) * 2003-09-29 2005-12-27 Voith Fabrics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JP4762513B2 (ja) * 2004-08-23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400925B2 (ja) * 2004-08-23 2010-01-20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762529B2 (ja) * 2004-11-17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762530B2 (ja) * 2004-11-30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GB2424227A (en) 2005-03-16 2006-09-20 James Harrison Woven papermaking fabric
NO338649B1 (no) * 2005-05-19 2016-09-26 Nippon Filcon Kk Industriell tolagsstruktur
JP4563260B2 (ja) * 2005-06-14 2010-10-1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219701B2 (en) * 2005-09-27 2007-05-22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machine direction stitching yarns that form machine side knuckles
JP4739903B2 (ja) * 2005-10-17 2011-08-0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DE102006001388A1 (de) 2006-01-11 2007-07-12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Papiermaschinensieb
US8205644B2 (en) * 2007-10-05 2012-06-26 Nippon Filcon Co., Ltd. Industrial two-layer fabric
CA2698925C (en) * 2007-10-05 2014-08-26 Nippon Filcon Co., Ltd. Industrial two-layer fabric
JP5143709B2 (ja) * 2008-11-28 2013-02-1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GB2473039A (en) 2009-08-28 2011-03-02 Ian Gerald Lang Seam for a woven industrial fabric
JP5275190B2 (ja) 2009-09-25 2013-08-28 シキボウ株式会社 抄紙用ドライヤーカンバス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4223972A1 (de) 2014-11-25 2016-05-25 Voith Patent Gmbh Doppelschlaufennaht in Bespannung
FI20155205A (fi) 2015-03-24 2016-09-25 Valmet Technologies Oy Kuivatusviira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5703U (ko) * 1976-02-17 1977-09-02
JPS61125200U (ko) * 1985-01-21 1986-08-06
JPH0665499U (ja) * 1993-02-22 1994-09-16 敷島紡績株式会社 抄紙用ドライヤーカンバスの継手
JP2000256984A (ja) * 1999-03-11 2000-09-19 Geschmay Corp ピントルで継ぎ合わせたプレスフェルト
KR20120093453A (ko) * 2004-11-11 2012-08-22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성형 직물
KR20070035426A (ko) * 2005-09-27 2007-03-30 웨벡스 코포레이션 기계측 너클을 형성하는 기계방향 접결사를 가진 제지기용성형 직물
KR20090042786A (ko) * 2006-07-25 2009-04-30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건조기 직물
KR20070006817A (ko) * 2006-09-29 2007-01-11 아스텐존슨 인코포레이티드 드라이어 직물 이음부
KR20180100635A (ko) * 2016-02-26 2018-09-11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산업용 직물 및 그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8025B (en) 2019-08-15
CN110023562B (zh) 2020-09-18
WO2018172615A1 (en) 2018-09-27
US20190382928A1 (en) 2019-12-19
FI20175281L (fi) 2018-09-25
ES2858333T3 (es) 2021-09-30
CN110023562A (zh) 2019-07-16
KR102285065B1 (ko) 2021-08-05
JP6875528B2 (ja) 2021-05-26
US10982356B2 (en) 2021-04-20
JP2020502387A (ja) 2020-01-23
EP3601665B1 (en) 2020-12-23
EP3601665A1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663A (en) Cloth particularly for paper-manufacture machine
US4776373A (en) Fabric for the sheet forming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KR100767882B1 (ko) 초지기 패브릭
JP3942397B2 (ja) 自動縫継ぎ可能な3層製紙機械用ウェブ形成布
US5458693A (en) Fabric for papermaking machines and the like
KR102285065B1 (ko) 산업용 직물
KR20140025372A (ko) 제지기 직물
JPH0219587A (ja) 抄紙機のシート形成部用の二重層張布
JP5281877B2 (ja) 工業用二層織物
JP5192021B2 (ja) 抄紙機用織布
CN108603338B (zh) 工业纺织品及其用途
KR100705135B1 (ko) 제지기 직물
KR101108882B1 (ko) 제지기 직물
JP6192945B2 (ja)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
JP3883275B2 (ja) 上層織物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工業用2層織物
CA2971457C (en) Industrial fabric
CN201221040Y (zh) 干燥部织物和干燥部织物的接缝区
JP4630818B2 (ja) 段ボール接着機械用織りベルト
JP7015746B2 (ja) 工業用織物
NO127411B (ko)
KR20230110819A (ko) 제지 기계용 연속 직조 건조 직물
JP3027415B2 (ja) 製紙機等のための織成織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37400U (ja) 抄紙用ドライヤーキャンバ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