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786A - 건조기 직물 - Google Patents

건조기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786A
KR20090042786A KR1020097002758A KR20097002758A KR20090042786A KR 20090042786 A KR20090042786 A KR 20090042786A KR 1020097002758 A KR1020097002758 A KR 1020097002758A KR 20097002758 A KR20097002758 A KR 20097002758A KR 20090042786 A KR20090042786 A KR 2009004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direction
yarns
fabric
yarn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888B1 (ko
Inventor
존 딩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4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54Seam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4Endless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Abstract

제지기 직물은 복수의 교차기계방향(CD)사로 구성되는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과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은 서로 수직적으로 열을 이루는 관계인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과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을 포함한다.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은 대체로 유사한 방향비를 가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계방향(MD)사를 가지는 쉐드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에 기계방향(MD)사의 방향비는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에 기계방향(MD)사의 방향비보다 더 크다.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과 제2보조시스템에 모든 원사들은 반복되는 직조 패턴에서 교차기계방향(CD)사 시스템의 교차기계방향(CD)사를 가지고 직조된다. 마직막으로, 시밍 루프는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으로부터 오직 기계방향(MD)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직물, 기계방향(MD), 교차기계방향(CD), 직조 패턴, 시밍 루프, 쉐드

Description

건조기 직물{Dryer fabric}
본 발명은 제지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단일 경로(single-run)의 건조기 구간과 같은 종이 기계장치의 건조기 구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지기 섬유 또는 건조기 섬유에 관한 것이다.
제지과정에서, 셀룰로오직 섬유 웹(cellulosic fibrous web)은 섬유성 슬러리(fibrous slurry)를 증착함으로써, 즉 제지기의 성형 구간에서 이동하는 성형 직물 위로 셀룰로오스 섬유들의 수성 분산이 이루어져 형성된다. 많은 양의 물이 상기 슬러리로부터 성형 직물을 통해 배수되어, 상기 성형 직물의 표면상에는 셀룰로오직 섬유 웹이 남게 된다.
새롭게 제조된 셀룰로오직 섬유 웹은 성형 구간으로부터 프레스 닙(press nips)이 열을 이루고 있는 프레스 구간으로 진행된다. 셀룰로오직 섬유 웹은 프레스 직물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스 닙을 통과하거나, 또는 흔히 두 개의 프레스 직물들 사이를 통과한다. 프레스 닙에서, 셀룰로오직 섬유 웹은 물을 짜내는 가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셀룰로오직 섬유 웹이 종이 시트로 만들어지도록 상기 웹의 셀룰 로오직 섬유는 서로 응집된다. 상기 배수되는 물은 상기 프레스 직물 또는 직물들에 의하여 수용되어 실질적으로 종이 시트로 복귀되지 않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종이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면서 스팀에 의하여 내부 가열되는 적어도 1열 이상의 회전형 건조기 드럼 또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건조기 구간으로 진행된다. 이때, 새롭게 제조된 종이 시트는 드럼의 표면에 종이 시트를 밀폐 고정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조기 직물에 의해 열을 이루고 있는 각 드럼 주위에 구불구불한 경로를 연속적으로 향하게 된다. 가열된 상태의 상기 드럼은 증발 작용에 의거 원하는 수준까지 상기 종이 시트의 수분함유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성형, 프레스 및 건조기 직물은 종이 제조기계에서 폐구간 형태를 취하게 되며, 컨베이어 방식의 기능을 하게 된다. 종이 제조는 상당한 속도로 진행되는 연속적인 공정이다. 다시말해서, 섬유성 슬러리가 성형구간에서 성형 직물상에 연속적으로 증착되어, 새롭게 제조된 종이 시트가 건조기 구간으로부터 배출되어 롤에 연속적으로 감기게 된다.
본 발명은 제지기의 건조 구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건조기 직물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 구간에서, 건조기 실린더는 위 아래에서 열(row) 또는 층(tier)으로 배열된다. 아래 층에 배열되는 건조기 실린더는 윗 층에 배열되는 것들과 서로 엇갈리게 되어 완전히 수직한 관계를 이루게 된다. 마치 상기 시트는 건조기 구간을 통해 진행되면서, 두 층 중에 하나의 건조기 실린더 주위를 먼저 통과하고 다른 층에 건조기 실린더 주위를 통과하면서 건조기 구간을 통해 연속적으로 위 아래 층 사이 를 번갈아 통과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구간에서 윗 층(94)과 아래 층(96)에 건조기 실린더는 분리된 건조기 직물(99)을 각각 부여받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조되는 종이 시트(98)는 다른 층상에서 각 건조기 실린더와 다른 건조기 실린더 사이 공간, 또는 "포켓",을 가로질러 지탱되지 않은 채로 통과된다.
건조기 구간의 한 개 층에서, 다수의 회전용 실린더 또는 롤로 이루어지는 한 열의 실린더가 사용된다. 상기 회전용 롤은 중공형 또는 비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층의 건조기 구간에서, 종이 시트(198)는 위 아래 층에서 건조기 실린더(200)에 대해 구불구불한 통로를 연속적으로 따라가는 하나의 건조기 직물(199)의 사용에 의해 이송된다.
구성비를 증가하고 시트에서 혼란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단일 경로의 건조기 구간이 고속으로 건조되는 상기 시트를 운반한다. 단일 경로의 건조기 구간에서, 개별 건조기 직물은 위 아래 층에서 건조기 실린더에 대해 구불구불한 통로를 연속적으로 따라간다.
단일 경로의 건조기 구간에서, 상기 건조기 직물은 통상 위 층인 두 층 중 한 층에 건조기 실린더에서 직접 건조되는 상기 종이 시트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아래 층에서 건조기 실린더 주위로 운반한다. 상기 직물 복귀 동작은 상부(위쪽) 건조기 실린더 위에서 이루어진다. 반면, 단일 경로의 어떤 건조기 구간은 상기 건조기 직물이 아래 층 건조기 실린더에서 종이 시트를 직접 고정하게 되는 반대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부 실린더 주위로 운반한다. 이러한 경우, 직물 복귀 동작은 실린더의 아래 층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다른 경우, 압축 웨지(wedge)는 이 동하는 건조기 직물이 건조기 실린더에 접근하게 되는 제한 공간에서 이동하는 건조기 직물의 뒤쪽 표면을 따라 운반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건조기 직물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흐르도록 야기하는 압축 웨지에서 공기 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드롭 오프(drop off)"로써 알려진 현상으로서 건조기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종이시트를 차례로 밀어낸다. "드롭 오프"는 테두리 부서짐(cracks)을 초래하며 제조되어 종이 생산물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고, 또한 기계 효율을 감소시키는 시트 끊임(breaks)을 야기할 수 있다.
많은 종이 제조기는 하부 층에 건조기 실린더상에 기계용 홈이나 또는 건조기 실린더에서 진공 소스(source)를 추가함에 의해 이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록 둘 다 비용이 비싸지만, 이러한 수단은 건조기 직물을 통해 통과하지 않고 압축 웨지로 제거되는 반면에 공기를 허가한다. 게다가, 건조기 실린더 표면에서 비시트(non-sheet) 제조와 시트 연결은 저항력과 안정성을 갖는 조건이 필요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성형, 프레스, 건조기 직물은 종이 기계상에서 폐구간 형태를 취하게 되며, 컨베이어 방식의 기능을 하게 된다. 솔기, 예를 들면 제지기상에 설치되는 동안 끝이없는 형상으로 직물을 연결하는 솔기로서, 직물의 일정 구조에서 불연속점을 나타낸다. 솔기의 사용은 건조 공정 동안 셀룰로오직 섬유 웹이 구분되는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솔기는 통상 이어 맞춘 직물의 중대한 부분이 된다. 왜냐하면 솔기는 종이 질을 균등하게 하고, 표가 적게 나며, 우수한 직조성(runnability)을 위해 두께, 구조, 강도, 투수성 등의 특성에 대하여 직물의 여분이 되도록 유사 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어떤 실행가능한 기계상에서 솔기잇기가능한 직물(on-machine-seamable fabric)의 솔기 영역은 직물의 본체와 유사하게 움직이고, 제조되는 종이 생성물의 솔기부분에 의한 간헐적인 마킹(marking)을 예방하기 위하여 직물의 여분(rest)으로써 공기와 수증기로 유사한 투과성을 가진다.
이러한 필요조건들에 의해서 상당한 기술적 장애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직물이 제지기에 보다 쉽고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상에서 솔기잇기가능한 직물(on-machine-seamable fabric)의 개발이 매우 바람직하다. 더군다나, 건조기 구간에서 직물은 설치를 허가하기 위해 재봉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장애는 직물의 두 단부들의 십자형 테두리들 상에 시밍 루프(seaming loop)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 솔기들을 갖는 직물들의 개발로 극복되었다. 시밍 루프들은 직물의 기계방향(MD)사들에 의해 형성된다. 직물의 두 단부들을 함께 도입하고, 직물의 두 단부에서 시밍 루프를 일체화하고, 직물의 두 단부를 함께 로크(lock)시키도록 일체화된 시밍 루프에 의해 한정된 통로를 통해 소위 핀, 또는 핀틀(pintle)을 통과시킴으로써 솔기가 형성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제지기 상에 무한 직물을 설치하는 것보다 기계상에서 솔기잇기가능한 직물을 설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 않는다.
제지기 상에서 그러한 솔기와 결합될 수 있는 직물을 만드는 한가지 방법은 직물을 평평하게 직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날실들은 직물의 기계방향(MD)사가 된다. 시밍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서, 직물의 단부에 날실들은 뒤로 이동하여 날실들에 대하여 병렬(parallel) 방향으로 직물 본체 내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가서 직조된다.
다른 경우로는, 예를 들어 직물의 각 단부에서 핀이나 또는 다른 교차기계방향(CD) 본체 원사(body yarn)를 거쳐 시밍 루프와 함께 나선형 시밍 코일의 각각의 방향전환(turns)을 일체화하는 것과 직물의 단부에 나선형 시밍 코일을 결합하기 위한 일체화된 원사와 시밍 루프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핀틀 방향을 돌리는 것에 의해 나선형 시밍 코일(seaming coils)은 직물의 단부에서 시밍 루프로 부속된다. 그 다음, 직물의 각 단부에서 시밍 코일의 개개의 방향전환을 일체화하는 것과, 직물의 두 개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일체화된 시밍 코일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다른 핀틀로 방향을 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직물은 무한 루프의 형상으로 결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산업용 직물들은 어떤 기술로 설치되는 동안 무한 형상으로 결속되도록 디자인된다.
건조기 직물과 비교하여, 골판지제조기 벨트, 펄프 형성 직물과 침전물 배수 벨트와 같은 다른 산업용 직물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봉합되거나 혹은 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들에서, 기계방향(MD)사는 구부린 실(bending a yarn)로 잘 알려진 솔기(seam) 루프가 된다. 특히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작은 반경 주위에 하나의 단섬유는 루프 범위에서 실을 압박하여 약화시킨다. 통상 모든 솔기는 메인 직물 본체보다 더 약화된다. 솔기 루프는 방위(bearing)가 로드되고 사용하는 동안 여러 차례 구부려지며(어떤 경우에서는 압축되고), 어떤 기계 고장은 너무 이른(PREMATURE) 봉합(seam) 실패와 직물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제지기상에서 직물을 솔기잇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점은 직물의 전역에 걸쳐 걸리는 균일한 인장이 갖춰지는 것이다. 만약 균일한 인장이 획득되지 않고 직물의 어떤 구간이 다른 구간보다 당겨지게 되면, 상기 직물은 그 폭을 가로질러 올록볼록하게 돌출될(bubble or ridge) 수 있다.
직물을 솔기잇기하는데 있어서 다른 관점은 직물 본체에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설치하는 동안 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불균일한 인장, 무게와 압력이 솔기에서 방지되어야 한다. 직물의 솔기잇기에 있어서, 특히 매우 긴 것(ones)은 기계에서 직물 본체를 완전하게 정렬하여 상기 직물이 기계방향에서 정확하게 안내하고 변동하지(oscillate) 않거나 또는 기계의 일측으로 가지(track) 않게 된다. 만약 직물이 불완전하게 안내하거나 나아가면 틀을 지탱하는 종이 기계장치와 접촉하게 하고 직물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지기상에서 기존 건조기 직물을 솔기잇기하는 것은 어렵고 장황한 과정이다. 따라서,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건조기 직물이 요구된다. 현 건조기 직물은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추가하여, 내구력이 생기고 직물 본체와 솔기 부분에서 부드러운 시트 접촉 표면을 제공하며, 흠집을 덜 남기게 되며 그 위에 제조되는 종이시트의 더 우수한 질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제지기상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건조기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력이 있으며 종래 기술보다 더 우수한 시트 접촉 표면을 가지는 건조기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솔기를 가지면서 그 위에 형성되는 종이 생성물에 표시를 남기지 않고 기계상에서 솔기잇기가능한 건조기 직물(on-machine-seamable dryer fabric)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이 거친(coarse) 후방 표면과 더 우수한 시트 접촉측(contacting side) 표면을 가지는 건조기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이점들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구현에 따라, 본 발명은 보다 명확히 말하면 건조기 직물에서, 제지기 직물과 제지기 직물을 만드는 방법이 제시된다. 제지기 직물은 다수의 교차기계방향(CD)사를 포함하는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과,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은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과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계방향(MD)사는 세로로 열을 이루게 된다.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계방향(MD)사에서 구성되는 쉐드(sheds)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방향(MD)사는 충분히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방향비(aspect ratios)를 갖는다.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에서 기계방향(MD)사의 방향비는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에서 기계방향(MD)사의 방향비보다 더 크다. 기계방향(MD)사의 제1과 제2보조시스템에서 모든 실들은 반복되는 직조 패턴에서 교차기계방향(CD)사 시스템으로부터 교차기계방향(CD)사와 섞여서 직조된다. 마지막으로, 시밍 루프들은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로부터 오직 기계방향(MD)사만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을 특징짖는 신제품(novelty)의 다양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지적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으로 작성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작동 이점과 명확한 목적이 주어지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첨부된 도면으로 도시되어 기술된 내용으로 설명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은 그에 따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
도 1a는 제지기의 두 층을 이룬 건조기 구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는 제지기의 단층 건조기 구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직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직물의 직조 패턴에 대한 뒤쪽 혹은 기계측용 직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직물의 직조 패턴에 대한 오직 한 쌍의 시트 접촉측 날실용 직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조 패턴의 교차기계방향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시트 접촉측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뒤쪽 혹은 기계측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용 솔기의 직조 패턴의 교차기계방향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직조 패턴을 가지는 제지기 직물을 위한 솔기의 기계측 표면을 나타낸 표면사진이다.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직조 패턴을 가지는 제지기 직물을 위한 솔기 영역의 뒤쪽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직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직물의 직조 패턴에 대한 뒤쪽 혹은 기계측 날실용 직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직물의 직조 패턴에 대한 한 쌍의 시트 접촉측 날실용 직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솔기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많은 다른 형상으로 구현되더라도 아래에서 첨부되는 구현예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명세서는 면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첨부된 구현예들이 제공되며, 이렇게 숙련된 기술에서 본 발명의 범위가 충분히 전달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제지기의 건조기 구간에서 사용하는 무한 제지 직물이 솔기잇기되는 충분한 너비와 충분한 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은 날실 혹은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과 슈트사(shute yarns) 혹은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날실의 시스템에서 모든 날실은 비원형(non-round)이거나 혹은 대체로 직사각의 (평평한) 단면을 가진다. 슈트사나 교차기계방향(CD)사는 원과 거의 직사각의 형상을 가지거나 혹은 다른 어떤 단면 형상을 가진다. 만약 상기 슈트사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면, 통상 0.70㎜에서 0.80㎜까지 직경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이한 직경의 슈트사는 동일한 직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을 구성하는 실들은 제지기 의류(clothing)를 위한 그러한 원사의 생산물에 사용되는 어떤 합성수지의 단섬사가 된다.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는 그러한 물질의 두 가지 예가 된다. 그러나, 그러한 물질의 부가적 예들은 폴리페닐린 황화물(polyphenylene sulfide, PPS)과 같은 다른 중합체가 되며, 통상 리톤(RYTON®)이라는 이름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미합중국 특허 제5,169,499호에서 발표된 조절된 열, 가수분해와 다양한 내오염성(contaminant resistant) 폴리에스테르 내용은 참조에 의해 통합되고, THERMONETICS®라는 상표 하에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에 의해 판매되는 건조기 직물로 사용된다.
게다가, 폴리(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isophthalate)(PCTA), polyetheretherketone(PEEK)와 같은 물질들과 다른 물질들도 사용된다. 기계방향(MD)사와 교차기계방향(CD)사는 둘 다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물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용어 상부층(upper layer), 상부층 날실, 파이너(finer) 날실, 시트 접촉측 또는 표면측 날실과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은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여기서, 용어 하부층(lower layer), 하부층 날실, 거친 날실, 뒤쪽, 롤 측 혹은 기계측 혹은 뒤쪽 표면 날실과 날실의 제2시스템은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여기서, 용어 기계방향(MD)사와 날실은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용어 교차기계방향(CD)사, 씨실, 슈트 혹은 슈트사와 필링사(filling yarns)는 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첨부 기호는 도면에서 가리키는 기호 도는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현재 직물은 평평하게 직조되며, 따라서 날실은 날줄의 원사 혹은 기계방향(MD)사가 되고, 슈트사 혹은 씨실은 교차기계방향(CD)사가 된다. 게다가 날실이나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은 날실이나 기계방향(MD)사의 두 개의 보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은 상부층 또는 시트 접촉측 날실을 포함하고, 날실의 제2보조시스템은 하부층 혹은 뒤쪽 또는 기계측 날실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측 날실은 개개의 날실로 이루어지는 직조용 쉐드 패턴(shed patterns)을 포함하고, 시트 접촉측 날실은 나란히 위치하는 날실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직종용 쉐드 패턴을 포함한다. 직물 직조에 따라, 날실의 제1 및 제2보조시스 템은 수직하게 적층되어(one on top of the other) 열을 이룬다.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이나 상부층에서 각각의 날실의 폭은 날실의 제2보조시스템에서 날실의 폭보다 더 적합하거나(finerr) 더 좁다. 각 쉐드(shed)에서 상부층 날실의 결합된 폭은 각 단일 기계측 또는 바닥층(bottom layer) 날실의 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상부층 날실은 더 적합하거나 더 좁은 실이며 바닥층 날실은 더 거칠거나 더 넓은 실이 된다. 따라서,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에서 각각의 실들은 날실의 제2보조시스템에서 각각의 원사의 방향비(aspect ratio)에 비하여 상이한 방향비(각각의 실의 높이와 폭 비율)를 가진다. 예를 들면, 더 적합한 상부층 날실의 직경은 높이 0.31㎜ 너비 0.58㎜가 되고, 거친 바닥층 날실의 직경은 높이 0.28㎜ 너비 1.16㎜가 된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도 2a는 본 발명의 일구현에 따른 제지기 직물을 위한 직조 패턴이나 디자인을 묘사한다. 기계방향과 교차기계방향은 도면에서 가리키는 바와 같이 직조 패턴의 톱(top)을 따라 동일시되는(identified) 기계방향(MD)사와 직조 패턴의 좌측을 따라 동일시되는 슈트사 또는 교차기계방향(CD)사로 인해 생긴다. 검토의 용도를 위해,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에 각 쉐드는 나란히 있는 한 쌍의 날실을 포함하며, 상기 나란히 있는 한 쌍의 날실은 날실의 제2보조시스템에 날실 폭과 본질적으로 동등한 결합된 폭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도 2a는 제지기 직물의 직조 패턴의 어떤 반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날실의 상부층의 쉐드에서 한 쌍의 파이너(finer) 날실 중 하나인 날실(1)이 슈트사(40) 아래와 슈트사(10,20,30) 위로 직조한다. 날실의 상부층의 쉐드에서 파이너 날실 이 되는 날실(2)는 날실(1)에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슈트사(40) 위, 슈트사(30) 아래와 슈트사(10,20) 위로 직조한다. 하부층 거친 날실(3)은 슈트사(20,30,40) 위와 슈트사(10) 아래에서 직조한다. 날실의 상부층에서 인접한 쌍의 파이너 날실의 하나의 쌍이 되는 날실(4)은 슈트사(20,30,40) 위와 슈트사(10) 아래에서 직물의 시트 접측측 상에 직조한다. 날실의 상부층에 파이너 원사가 되는 날실(5)는 날실(4)에 인접하여 상을 이루고, 슈트사(30,40) 위, 슈트사(20) 아래와 슈트사(10) 위에서 직조한다. 마지막으로, 반복하여, 하부층 거친 날실(6)은 슈트사(40) 위, 슈트사(30) 아래, 그리고 슈트사(10,20) 위에서 직조한다. 또한, 상기 직물은 부가적 하니스(HARNESS) 반복 배열을 이용하여 직조된다. 예를 들면 4 또는 6 하니스 반복과 같다. 모든 경우에서, 한 쌍의 시트측 기계방향(MD)사는 하나의 더 큰(a single larger) 뒤쪽 기계방향(MD)사 위에서 세로로 열을 이룬다. 본 구현예에서 한 쌍의 상부 날실이나 기계방향(MD)사는 "스태걸드(staggered)" 된다. 즉, 한 쌍의 상부 날실이나 기계방향(MD)사는 교차기계방향(CD)사 위 아래에서 동일 패턴으로 함께 직조되지 않는다. 대신,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에서 각 날실은 상이한 교차기계방향(CD)사 아래에서 직조한다.
도 2a에 도시된 직조 구조에 따라 직조된 직물은 직물의 기계측 상에 거친 날실때문에 보다 내구력 있게 되고 매우 부드러운 직물 또는 시트 접촉 표면을 가짐으로 부가적인 이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직물의 이런 형태는 예를 들어 30gsm과 같은 종이 등급(grade)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혹은 그 후 즉시 형성된 시트를 표시하지 못한다면 상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기 직물의 기계측과 시트 접촉측 상에 상대적인 워프 필(warp fill)을 보여주기 위하여 직물의 시트 접촉측과 기계측을 위한 직조 디자인은 도 2b와 도 2c와 같이 구별되게 도시된다. 예를 들어, 기계측 거친 날실의 폭은 대략 각 파이너 시트 접촉측 날실 폭의 두 배와 같거나, 혹은 최소한 각 쌍의 시트 접촉측 날실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b는 날실의 하부층에서 독립된 쉐드가 되는 거친 실(3,6)을 보여준다. 반명에 도 2c는 날실의 상부층에서 두 개의 쉐드를 보여준다. 하나의 쉐드는 상부 날실(1,2)로 구성되고, 다른 쉐드는 상부 날실(4,5)로 구성된다.
도 2a, 도 2b와 도 2c에 도시된 직조 패턴은 상부 날실이 하부 거친 날실과 접하게 되는 직물의 뒤쪽상에 솔기잇기(봉합) 영역의 일부를 제외하고 직물 구조의 표면측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시밍 루프를 형성하는 솔기잇기 영역에서 직물 구조는 차후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세로로 열을 이루는 날실 시스템, 쌍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직조패턴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어떤 적용에서, 상부층 날실이 기계방향(MD)사 또는 날실 표면을 4개 이상의 교차기계방향(CD)사나 씨실 위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물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바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직물용 직조패턴의 교차기계방향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은 두 개 층의 기계방향(MD)사 또는 날실을 포함한다. 왜냐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은 평평하게 직조되고 솔기 를 가지고 무한 형상으로 결합되며, 교차기계방향(CD)사는 날실 또는 필링사가 되고, 기계방향(MD)사는 날실이 되기 때문이다. 기계방향(MD)사, 상부층 또는 시트 접촉측 날실의 첫번째 세트(set)는 파이너 기계방향(MD)사 또는 날실(1,2,4,5)을 포함하는 반면에, 기계방향(MD)사, 기계측 날실의 두번째 세트는 거친 기계방향(MD)사 또는 날실(3,6)을 포함한다. 도 2a, 도 2b, 도 2c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두 세트에서 날실은 수직한 관계로 적층되어 열을 이룬다. 게다가, 도3에서와 같이, 교차기계방향(CD)사는 구조물(10,20,30,40)에 의해 묘사된다.
도 2a, 도 2b, 도 2c를 다시 보면, 날실(1-6)은 대체로 직사각의 교차 구간을 가지는 평평한 단섬사가 된다. 평평하고 대체로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파이너 시트 접촉측 날실은 도 4에서 보여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라 구성되는 직물(50)의 시트 접촉 날실을 묘사한다. 또한,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파이너사(the finer), 대체로 직사각형인 시트 접촉측 날실은 두 그룹으로 정리되고, 그 그룹에서 두 개의 상부 날실은 쌍을 이루며 교차기계방향(CD)사를 가지고 직조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층 씨실은 기계방향(MD)에서 "스태걸드(staggered)" 된다. 즉, 한 쌍의 상부층 씨실은 각 교차기계방향(CD)사 위 아래에서 동일패턴으로 함께 직조되지 않는다. 대신, 그 쌍에서 각 원사는 기계 방향에서 다음에 인접한 교차기계방향(CD)사 아래에서 직조한다. 따라서, 상부층에서 쌍으로 된 날실은 기계 방향에서 스태걸드(staggered) 패턴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라 직조된 직물(50)의 기계측 날실을 묘사한 도면으로서, 원형의 씨실(54)과 함께 직조되는 기계측 거친 날실(52)을 보여준다. 도 5로부터, 상기 직물(50)이 그 뒤쪽 혹은 기계측 상에서 100% 워프 필(warp fill)을 가지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비율의 warp fill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획득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구성되는 직물은 시트 접촉측이나 직물의 기계측 상에서 기계방향에 "그루브(grooves)"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는 함몰된 유사 워프 러너(quasi warp runner)의 구조 또는 직물 상에 공기 방향 영향(air channel effect)으로 인해 생긴다. 이러한 홈들은 대체로 직물의 동일측면(same side)상에 상이한 두께나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의 원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신, 직물의 기계측 표면상에 거친 날실은 가지각색의 두께나 높이를 가지는 교체용(alternating) 원사로 구성되고, 직물은 개선된 공기 핸들링(handling)을 위해 그 기계측상에 함몰된 표면을 가진다. 직물 솔기의 테두리상에서 그루브나 리브(ribs)는 보다 바람직하게 솔기잇기된 직물의 맞은편 테두리상에 그루브나 리브를 가지고 정렬된다. 게다가, 개별적으로 일정한 간격이 구비되거나 인접한 기계방향(MD)사와 비접촉하는 하부층 기계방향(MD)사와 마찬가지로, 기계방향(MD)사 쌍은 서로로부터 "함몰된 표면(grooved surface)"을 형성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직물을 솔기잇기하기 위한 시밍 구조의 일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직물(50)의 시트 접촉측상에서 파이너 상부층 날실이 직물의 테두리에서 직물 단부가 함께 접합되고 무한 루프 안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시밍 루프 를 형성한다. 시트 접촉하는 날실의 쌍에서 혹은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에 쉐드로부터 날실의 하나가 시밍 루프를 형성하는 것은 날실의 상부 쌍 밑에 있는 슈트사 혹은 씨실의 이동으로 인해 직물의 단부를 지나서 확장된다. 날실의 상부 쌍을 기초로 하는 각각의 거친 뒤쪽 혹은 기계측 날실은 직물 단부로부터 요구된 간격이 조절된다. 직물의 테두리를 지나서 확장하는 상부층 날실은 복귀되고 밑에 있는 거친 뒤쪽 날실에 의해 비워진 간격에서 직물의 뒤쪽 표면으로 재직조된다. 상부 파이너 날실이 하부 거친 날실에 의해 사전에 점유된(occupied) 공간에서 직조될 때, 크림프(crimp)와 직조 패턴은 발생한 시밍 루프를 짜맞추는(locking) 하부 거친 날실의 패턴을 매치시킨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상부 날실에 또는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에 쉐드로부터 남은 상부 날실은, 시밍 루프가 정돈된 거친 뒤쪽 날실에 의해 사전에 점유된 공간에서 직물의 뒤쪽이나 기계측에서 직조되는 형상에 익숙해져 있지 않다. 이러한 상부 날실은 시밍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익숙해져 있지 않으므로, 직물의 기계측 표면에서 적어도 직물 단부에 남은 씨실 또는 교차기계방향(CD)사 주위에서 타이트하게 직조된다. 이것은 상호 얽힌 시밍 루프를 통해 핀틀의 삽입(insertion)을 거쳐 직물을 솔기잇기하기 위하여 비루프(non-loop) 형성용 상부 날실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서 서로 얽히거나 맞물리는 직물의 맞은편 단부상에 형성되는 루프를 수용한다.
직물의 뒷면상에 직물 본체에서 상부층 날실 뒤쪽을 직조하기 전에, 동일한 쉐드로부터 상부 날실이 서로 "쌍을 이루게(twinned)" 되고(그들이 하나의 실로써 함께 직조될 수 있도록 서로 쌍을 이루게 되고), 정리된 거친 뒷면 날실에 의해 비워진 공간에서 직물의 뒤쪽 표면으로 직조된다. 동일한 쉐드로부터 상부 파이너 날실의 쌍을 이루고 하나의 실로서 쌍을 직조하는 것은 직물 본체에서 거친 뒤쪽 날실의 직조 패턴을 매치시키는 솔기 부분에 직조 패턴을 수용한다.
도 6은 이러한 구현예에 따라 형성된 솔기의 예를 묘사한 것으로, 교차하는 상부층 파이너 날실들(2,5)은 직물 단부에서 시밍 루프를 만들어내고, 이에 따라 무한 루프에서 함께 결합되는 직물 단부가 가능하도록 한다. 시밍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층 파이너 날실들(1,2,4,5)은 쌍을 이룬 상부 날실(1,2와 4,5)의 아래에 있는 교차기계방향(CD)사나 씨실의 이동으로 인해 직물 단부를 지나서 확장된다. 각각의 기계측 거친 원사들(yarns)(3,6)은 상부층 파이너 날실들(1,2,4,5)을 위한 직조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직물 단부로부터 요구된 간격이 다시(back) 정돈된다. 그럼, 상부층 파이너 날실들(1,2,4,5)은 자체로 돌아와 서로 쌍을 이루며 정리된 거친 뒤쪽 날실(3,6)에 의해 비워진 공간에서 하나의 원사로서 직물의 뒤쪽 표면으로 되돌아와서 직조된다. 쌍을 이룬 상부층 또는 시트 접촉 날실들(1,2,4,5)은 거친 기계측 날실(3,6)에 의해 사전에 점유된 공간으로 되돌아와서 직조될 때, 그들의 크림프와 직조 패턴은 거친 기계측 날실(3,6)의 패턴을 매치(match)시킨다. 예를 들면, 상부층 날실(1,2)의 크림프는 거친 기계측 날실(3)을 매치하고, 상부층 날실(4,5)의 크림프는 거친 기계측 날실(6)을 매치한다. 이에 따라 그 상황에서 발생된 성형 루프를 짜맞추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린 상부층 날실(1,4)은 직물의 기계측 표면에서 적어도 직물의 테두리에 남은 씨실이나 교차기계방향(CD)사 주위로 되돌아와서 타이트하게 직조되고, 상호 짜여진 시밍 루프를 통해 핀틀의 삽입에 걸쳐 직물을 솔기잇기하기 위해 파이너 상부층 날실을 성형하는 비루프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서 상호 짜여지는 직물의 맞은편 단부상에 성형된 루프를 수용한다. 도 7a에서 직물의 시트 접촉측 표면상에 솔기 영역에서 발생한 직물 구조가 보여진다. 도 7b는 솔기 영역(60)에서 직물(50)의 뒤쪽 표면사진이다. 솔기 영역(60)은 파이너 표면측 날실(56)이 시밍 루프를 형성하고 서로 쌍을 이룸에 따라서 거친 뒤쪽 날실(52)과 "접촉함(abutting)" 으로 보여지고, 크림프와 직조 패턴을 가지는 직물(50)의 뒤쪽상에 직물 본체로 되돌아와서 직조된다. 상기 직조 패턴은 거친 뒤쪽 날실(52)의 패턴을 매치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이너 표면측 날실은 도 7b에서 사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룬 표면 날실(56)이 "스태걸드(staggered)" 된다. 쌍을 이룬 표면 날실(56)은 동일한 직조 패턴을 가지고 거친 뒤쪽 날실(52)의 직조 패턴과 유사한 직물에 되돌아와서 직조된다.
상부층이나 시트 접촉측 파이너 날실과 거친 기계측 날실이 수직적인 관계에서 적층되게(one on top of the other) 열을 이루기 때문에, 즉, 날실의 각 보조시스템에서 쉐드가 수직적으로 적층되게 열을 이루고, 결과적으로 발생한 시밍 루프는 직물 표면의 평면(plane)에서 직교하게 되고 어떤 꼬임(twist)도 가지지 않는다. 기존 직조 기술에서, 루프 한정 원사는 원사 자체에 인접한 공간에 직물로 때때로 되돌아와서 직조된다. 그러한 기존 루프 형상은 시밍 루프에 꼬임 및/또는 토크(torque)를 본질적으로 전하고, 이러한 꼬임은 직물의 맞은편 단부상에 시밍 루프의 상호 짜맞춤을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그리하여 솔기잇기 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부가적으로, 시밍 루프는 파이너 상부층 날실로부터 형성되므로, 직물의 시트 접촉면상에 매우 적합한(섬세한) 솔기 표면이 형성된다. 이는 감소된 시트 마킹(marking)으로 인해 고품질의 종이 생성물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직물은 종이 등급 25에서 30gsm을 제조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직물을 위한 직조 패턴을 묘사한다. 직물(50)를 위한 첫번째 구현예와 유사하게, 직물(100)은 씨실이나 슈트사의 하나의 시스템과 날실의 두 개의 보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날실의 보조시스템은 둘다 평평하고, 사실상 직사각형인 원사들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어떤 중합체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슈트사들은 평평하거나(사실상 직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어떤 중합체 수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시트 접촉측 날실이나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의 날실은 파이너 원사와 기계측 날실이 되거나 혹은 날실의 제2보조시스템의 날실은 거칠거나 더 넓은 날실이 된다. 즉,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에 사실상 직사각형의 날실은 날실의 제2보조시스템에 사실상 직사각형의 더 거친 날실보다 더 좁다. 날실의 제1보조시스템에 사실상 직사각형의 날실은 다른 방향비를 가지는 각 보조시스템의 날실에서 결과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파이너 상부층 날실의 직경은 높이 0.31㎜ 폭 0.58㎜가 되고 더 거친 기계측 날실의 직경은 높이 0.28㎜ 폭 1.16㎜가 된다. 첫번째 구현예에서 나 타난 바와 같이, 시트 접촉측 날실은 각 쉐드에서 나란하게 쌍을 이루고 기계측 날실의 쉐드에서 하나의 거친 원사를 가지고 수직적인 관계로 열을 이룬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구성된 직물(100)을 위한 직조 패턴을 나타낸다. 기계방향과 교차기계방향은 도 8a에서 가리키는 바와 같다. 도 8a는 직물(100)의 직조 패턴의 어떤 반복을 보여준다. 상부층 날실(1,2)은 더 정교하며(finer), 직물의 시트 접촉 표면상에 사실상 직사각의 원사는 슈트사(40,30,20) 위와 슈트사(10) 아래에서 직조된다. 사실상 직사각의 기계측 날실(3)은 슈트사(40,30,20) 위와 슈트사(10) 아래에서 직조된다. 상부 날실(4,5)는 슈트사(40) 위, 슈트사(30) 아래 그리고 슈트사(20,10) 위로 직조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반복에서, 기계측 날실(6)은 슈트사(40) 위, 슈트사(30) 아래, 그리고 슈트사(20,10) 위로 직조한다. 직물(50)의 첫번째 구현예와 다르게, 이 구현예에서 한 쌍의 상부 날실이나 기계방향(MD)사는 "스태걸드(staggered)"하지 않는다. 대신 상부 날실은 쌍을 가지는 동일한 직조패턴에서 각 원사에 발생하는 하나의 원사로서 함께 직조된다. 상기 직물(100)는 6 하니스(harness) 반복 배열로 직조된다. 또한 직물(100)은 교대로 다른 하니스 반복 배열로 직조된다. 예를 들면 4 하니스 반복 정렬과 같다.
직물의 시트 접촉측과 기계측상에서 상대적인 워프 필을 보여주기 위하여, 직물의 시트 접촉측과 기계측을 위한 직조 디자인은 도 8b와 도 8c에서 각각 묘사된다. 예를 들면, 대체로 직사각의 바닥층 거친 날실의 폭은 상부층에 대체로 직사각의 파이너(finerr) 날실 폭의 두배와 거의 동일하다. 도 8a에서 묘사된 직조 패턴은 상부 날실이 하부 거친 날실과 경계를 접하게 되는 직물의 뒤쪽상에 솔기잇기 영역에서 일부를 제외하면 직물 구조의 표면측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직물(100)에서 핀 솔기는 직물(50)에서 핀 솔기의 구조가 상기에서 설명되는 순서에 따라 형성된다. 양자택일로, 직물(50,100)은 배경기술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나선형의 솔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쌍으로 열을 이루는 현재(instant) 발명의 직조 구성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직조 패턴은 본(present) 발명의 범위 안에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어떤 적용에서 기계방향(MD)사 표면이 4개 이상의 교차기계방향(CD)사 위에 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직물은 쉽사리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구성된다.
도 9와 도 10에 묘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접촉측 표면과 솔기 측면은 직물(50)의 그것(측면 혹은 표면)과 유사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 표면으로 되돌아가서 직조하는 파이너 기계측 날실은 직조하기 전에 서로 쌍을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너 기계측 날실의 직조 패턴은 거친 뒤쪽 원사의 직조 패턴과 유사하다.
직물(50,100)은 싱글 런(single run) 혹은 싱글 티어(single tier) 건조기 구간에서 사용된다. 양자택일로, 직물(50) 및/또는 직물(1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 구간의 다른 타입으로 사용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상황에서, 직물(99)는 직물(50) 또는 직물(100)로 대체된다.
게다가, 기계방향(MD)사와 교차기계방향(CD)사는 MD 원사와 CD 원사 너클(lnuckles)이 동일한 면에 놓이도록 직조된다. 그러한 배열은 비교적 부드러운 표면을 제공한다. 양자택일로, 기계방향(MD)사와 교차기계방향(CD)사는 CD 원사 너클이 MD 원사 너클보다 더 높은(혹은 표면에 가까운) 면에 놓이도록 직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직조 패턴은 단일평면(monoplane), 차별적인 평면, 워프 러너(warp runner) 혹은 슈트 러너(shute runner) 구조 또는 이러한 구조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워프 러너 구조는 뒷면상에 더 긴 워프 너클을 가지게 되고 슈트 러너 구조는 직물의 뒤쪽상에 더 긴 CD 플로트(floats)와 함께 워트 너클이 된다. 게다가, 표면측 기계방향(MD)사는 도4, 도7, 도 9와 도 10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연속될(contiguous) 수 있고 또는 한 쌍의 원사나 모든 원사들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다. 그럼에도(yet) 기계측 원사 위에 수직적으로 열을 이룬 시트측 원사 쌍을 유지한다.
상기한 것에 대한 변형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직물50와 직물100는 평평하게 직조되고 종기 기계의 건조기 구간에서 사용을 위한 무한 형상으로 결합된다. 또한 직물(50) 및/또는 직물(100)은 무한 직조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계방향(MD)사는 직조 공정 동안 씨실 또는 슈트사가 되고 교차기계방향(CD)사는 날실이 된다. 이에 따른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상황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Claims (32)

  1. 복수의 교차기계방향(CD)사를 포함하는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과;
    서로 수직적으로 열을 이루는 관계가 되는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과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과;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계방향(MD)사를 가지는 쉐드(sheds)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의 쉐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계방향(MD)사는 대체로 유사한 방향비(aspect ratios)를 가지며;
    상기 제2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상기 제1보조시스템에 기계방향(MD)사보다 더 큰 방향비를 가지고;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과 제2보조시스템은 반복되는 직조 패턴에 교차기계방향의 시스템에서 상기 교차기계방향(CD)사와 함께 직조되고;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시밍 루프(seaming loops)를 형성하는 제지기(papermaker) 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상기 반복되는 패턴에서 직조될 때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속적인 교차기계방향(CD)사 위에 나타나는 제지기 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과 교차기계방향(CD)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원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원사, 폴리페닐린 황화물(polyphenylene sulfide) 원사, 조절된 열, 가수분해(hydrolysis) 그리고 내오염성(contaminant resistant) 폴리에스테르 원사, 폴리(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isophthalate) 원사, 그리고 polyetheretherketone 원사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지기 직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교차기계방향(CD)사의 일부는 원형의 교차 구간 형상 혹은 대체로 직사각의 교차 구간 형상 중에 하나를 가지는 단섬유인 제지기 직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건조기 직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은 직물의 뒤쪽 혹은 기계측상에 배열되는 제지기 직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은 직물의 시트 접촉측상에 배열되는 제지기 직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각 쉐드에서 나란하게 한 쌍이 되는 제지기 직물.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사와 교차기계방향(CD)사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지기 직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상이한 직조 패턴을 가지는 제지기 직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게(staggered) 되는 제지기 직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동일한 직조 패턴으로 일제히 직조되는 제지기 직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조 패턴은 단일평면, 워프 러너(warp runner) 그리고 슈트 러너(shute runner) 구조 중에 하나로 형성하는 제지기 직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시스템에 어떤 기계방향(MD)사는 동일한 폭을 가지지만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지기 직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기는 핀 솔기 혹은 나선형 솔기 둘 중에 하나인 제지기 직물.
  16. 복수의 교차기계방향(CD)사를 포함하는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서로 수직적으로 열을 이루는 관계가 되는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과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방향(MD)사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반복되는 직조 패턴에서 교차기계방향(CD)의 시스템과 함께 기계방향(MD)사 의 제1보조시스템과 제2보조시스템을 섞어짜는 단계;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로부터 시밍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계방향(MD)사를 가지는 쉐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1보조시스템의 쉐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계방향(MD)사는 대체로 유사한 방향비(aspect ratios)를 가지며;
    상기 제2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상기 제1보조시스템에 기계방향(MD)사보다 더 큰 방향비를 가지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상기 반복되는 패턴에서 직조될 때 교차기계방향(CD)사의 시스템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속적인 교차기계방향(CD)사 위에 나타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과 교차기계방향(CD)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원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원사, 폴리페닐린 황화물(polyphenylene sulfide) 원사, 조절된 열, 가수분해(hydrolysis) 그리고 내오염성(contaminant resistant) 폴리에스테르 원사, 폴리(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isophthalate) 원사, 그리고 polyetheretherketone 원사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교차기계방향(CD)사의 일부는 원형의 교차 구간 형상 혹은 대체로 직사각의 교차 구간 형상 중에 하나를 가지는 단섬유인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건조기 직물이 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은 직물의 뒤쪽 혹은 기계측상에 배열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서로에 대하여 엇갈리게(staggered) 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는 각 쉐드에서 나란하게 한 쌍이 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기계방향(MD)사와 교차기계방향(CD)사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상이한 직조 패턴으로 직조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엇갈리게 된(staggered) 관계를 가지도록 직조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7.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 쌍에서 각 원사는 동일한 직조 패턴으로 일제히 직조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직조 패턴은 단일평면, 워프 러너(warp runner) 그리고 슈트 러너(shute runner) 구조 중에 하나로 형성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2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시스템에 어떤 기계방향(MD)사는 동일한 폭을 가지지만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3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솔기는 핀 솔기 혹은 나선형 솔기 둘 중에 하나인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31.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한 쌍의 기계방향(MD)사는 직물의 뒤쪽 표면으로 돌아가서(back) 직조되기 전에 서로 쌍을 이루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시스템의 한 쌍의 기계방향(MD)사는 기계방향(MD)사의 제2보조시스템의 기계방향(MD)사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직조 패턴을 가지는 직물의 뒤쪽 표면으로 돌아가서 직조되는 제지기 직물 형성 방법.
KR1020097002758A 2006-07-25 2007-07-10 건조기 직물 KR101526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92,529 2006-07-25
US11/492,529 US7617846B2 (en) 2006-07-25 2006-07-25 Industrial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PCT/US2007/015287 WO2008013653A1 (en) 2006-07-25 2007-07-10 Dryer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86A true KR20090042786A (ko) 2009-04-30
KR101526888B1 KR101526888B1 (ko) 2015-06-09

Family

ID=3860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758A KR101526888B1 (ko) 2006-07-25 2007-07-10 건조기 직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617846B2 (ko)
EP (1) EP2052110B1 (ko)
JP (1) JP5115557B2 (ko)
KR (1) KR101526888B1 (ko)
CN (1) CN101495697B (ko)
AU (1) AU2007277352A1 (ko)
BR (1) BRPI0714682B1 (ko)
CA (1) CA2658967C (ko)
MX (1) MX2009000877A (ko)
NO (1) NO20090823L (ko)
RU (1) RU2461673C2 (ko)
TW (1) TWI406996B (ko)
WO (1) WO20080136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459A (ko) * 2017-03-24 2019-10-14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산업용 직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1189A (zh) * 2015-01-28 2015-05-20 安徽华宇网业有限公司 三经线扁丝干网
CN108286204A (zh) * 2017-12-27 2018-07-17 安徽普惠织物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经线扁丝干网的编织工艺
FI20195843A1 (en) * 2019-10-03 2021-04-04 Valmet Technologies Oy Drying cloth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123A (en) * 1934-06-22 1935-05-28 Eastwood Nealley Corp Woven wire belt for paper making machines
US2864409A (en) * 1956-07-06 1958-12-16 Russell Mfg Co Woven belting
US4340091A (en) * 1975-05-07 1982-07-20 Albany International Corp. Elastomeric sheet materials for heart valve and other prosthetic implants
US4297749A (en) * 1977-04-25 1981-11-03 Albany International Corp. Heart valve prosthesis
US4290209A (en) 1978-05-17 1981-09-22 Jwi Ltd. Dryer fabric
US4438788A (en) 1980-09-30 1984-03-27 Scapa Inc. Papermakers belt formed from warp yarns of non-circular cross section
US4403632A (en) * 1981-03-19 1983-09-13 Albany International Corp. Corrugator belt with high air permeability
US4438789A (en) 1981-06-04 1984-03-27 Jwi Ltd. Woven pin seam in fabric and method
FR2560242B1 (fr) 1984-02-29 1986-07-04 Asten Fabriques Feutres Papete Toile destinee en particulier aux machines a papier,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4755420A (en) 1984-05-01 1988-07-05 Jwi Ltd. Dryer fabric having warp strands made of melt-extrudable polyphenylene sulphide
US5066532A (en) 1985-08-05 1991-11-19 Hermann Wangner Gmbh & Co. Woven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 having increased stability and permeability and method
US5114777B2 (en) 1985-08-05 1997-11-18 Wangner Systems Corp Woven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 having increased stability and permeability and method
WO1990012918A1 (en) * 1989-04-24 1990-11-01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 machine felts
EP0612881B1 (en) * 1990-06-06 1997-06-11 v.ASTEN S.C. Papermakers fabric with flat machine direction yarns
US5713396A (en) 1990-06-06 1998-02-03 Asten, Inc. Papermakers fabric with stacked machine and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DE4302031C1 (de) 1993-01-26 1993-12-16 Heimbach Gmbh Thomas Josef Trockensieb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BR9404656A (pt) 1993-03-19 1999-06-15 Jwi Ltd Costura por agulha com alta densidade de laçada
US5503196A (en) 1994-12-07 1996-04-02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fabric having a system of machine-direction yarns residing interior of the fabric surfaces
GB9609761D0 (en) 1996-05-10 1996-07-17 Jwi Ltd Low air permeability papermaking fabric including flattened secondary weft yarns and pin seam
US5799708A (en) * 1996-10-11 1998-09-01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fabric having paired identical machine-direction yarns weaving as one
US5713398A (en) * 1996-12-02 1998-02-03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fabric having paired different machine-direction yarns weaving as one
US5769131A (en) 1997-05-16 1998-06-23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design for a dryer fabric
GB9807704D0 (en) 1998-04-09 1998-06-10 Scapa Group Plc Fabric and seam construction
US6329051B1 (en) * 1999-04-27 2001-12-11 Albany International Corp. Blowable insulation clusters
CA2451370C (en) * 2001-07-05 2007-09-25 Astenjohnson, Inc. Industrial fabric including yarn assemblies
US6706152B2 (en) * 2001-11-02 2004-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DE50203497D1 (de) * 2002-04-25 2005-08-04 Heimbach Gmbh Thomas Josef Trockensieb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6837275B2 (en) * 2002-11-07 2005-01-04 Albany International Corp. Air channel dryer fabric
US6837276B2 (en) * 2002-11-07 2005-01-04 Albany International Corp. Air channel dryer fabric
US6883556B2 (en) * 2002-12-30 2005-04-26 Albany International Corp. Double cross parallel binder fabric
US6905574B2 (en) * 2003-04-18 2005-06-14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two warp systems bound together with a triplet of binder yarns
US6902652B2 (en) * 2003-05-09 2005-06-07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papermaker's fabrics with packing yarns
US7032625B2 (en) * 2003-06-24 2006-04-25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s having a single or double layer weave over the seam
US7300554B2 (en) * 2003-09-11 2007-11-27 Albany International Corp. Textured surface of a tissue forming fabric to generate bulk, cross directional tensile, absorbency, and softness in a sheet of paper
BRPI0418666A (pt) * 2004-03-19 2007-06-05 Astenjohnson Inc emenda de tecido secan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459A (ko) * 2017-03-24 2019-10-14 발메트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산업용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110A1 (en) 2009-04-29
KR101526888B1 (ko) 2015-06-09
CN101495697B (zh) 2013-10-09
CA2658967A1 (en) 2008-01-31
US7617846B2 (en) 2009-11-17
JP5115557B2 (ja) 2013-01-09
CN101495697A (zh) 2009-07-29
RU2461673C2 (ru) 2012-09-20
NO20090823L (no) 2009-04-24
JP2009544864A (ja) 2009-12-17
CA2658967C (en) 2014-10-28
BRPI0714682A2 (pt) 2013-03-12
RU2009103635A (ru) 2010-08-27
US20080023096A1 (en) 2008-01-31
BRPI0714682B1 (pt) 2017-10-10
MX2009000877A (es) 2009-02-04
TWI406996B (zh) 2013-09-01
WO2008013653A1 (en) 2008-01-31
AU2007277352A1 (en) 2008-01-31
EP2052110B1 (en) 2015-09-16
TW200819589A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4684B2 (en) Paired warp triple layer forming fabrics with optimum sheet building characteristics
CA2575414C (en) Paired warp triple layer forming fabrics with optimum sheet building characteristics
US6379506B1 (en) Auto-joinable trip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8196613B2 (en) Multi-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paired MD binding yarns
US6920902B2 (en) Multi-layer fabric
US6905574B2 (en)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two warp systems bound together with a triplet of binder yarns
KR100865773B1 (ko) 비균일 상부 cmd 플로트를 구비하는 제지용 삼중층성형직물
US7766053B2 (en) Multi-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alternating paired and single top CMD yarns
JP2006528737A (ja) パッキング糸付きの多層形成布
US20040149342A1 (e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6837276B2 (en) Air channel dryer fabric
KR101526888B1 (ko) 건조기 직물
US6837275B2 (en) Air channel dryer fabric
US7878224B2 (en) Forming fabric having binding warp yarns
US7198067B2 (en) Warp-runner triple layer fabric with paired intrinsic warp bin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