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762A -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762A
KR20190114762A KR1020190029134A KR20190029134A KR20190114762A KR 20190114762 A KR20190114762 A KR 20190114762A KR 1020190029134 A KR1020190029134 A KR 1020190029134A KR 20190029134 A KR20190029134 A KR 20190029134A KR 20190114762 A KR20190114762 A KR 2019011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dhesive
adhesive tape
shaped member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899B1 (ko
Inventor
가즈야 기구치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2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6Illumination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형(離型) 테이프(22)에 점착 테이프(21)가 접착된 테이프형 부재(2)를 공급하는 공급부(12)와, 접착 대상물에 대해, 점착 테이프의 이형 테이프와는 반대측의 접착면을 접착하는 접착부(11)와, 테이프형 부재를 공급부로부터 접착부로 이송하는 반송부(14)와, 테이프형 부재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측에 배치되고, 광축이, 접착부에 대해 설정된 접착 기준 위치(10)로 향해지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면의 수선(垂線) 방향에 대해, 미리 설정한 각도로 사교(斜交)하여 설치되어 있는 조명부(17)와, 광축을 접착 기준 위치에 맞추고, 테이프형 부재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측에 배치되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된 테이프형 부재를 촬상하는 촬상부(18)와,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의 화상에 기초하여,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절단 부분(20)의 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9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APPARATUS FOR ADHERING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는, 접착 대상물인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할 필요가 있다. 이 실장은, 예컨대, 기판의 주연(周緣) 상면에 설치된 단자부에, 점착 테이프를 통해 전자 부품을 가압착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본압착함으로써 행한다.
접착되는 전자 부품은, 예컨대, IC칩, TCP(Tape Carrier Package)나 COF(Chip On Film) 등이다. TCP는, 박막형의 필름 상에 IC 등의 칩을 탑재한 패키지이다. 점착 테이프는, 예컨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소재로 하고, 폭이 수 밀리, 두께가 수10 미크론 정도의 테이프이다. ACF는, 금속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제의 이방 도전성을 갖는 필름이다.
이와 같이 가느다란 점착 테이프는, 이형(離型) 테이프에 첩부(貼付)된 테이프형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형 부재는, 릴로부터 송출되고, 점착 테이프가 기판에 압착된 후, 이형 테이프만이 박리되어 배출된다.
테이프형 부재는, 접착 작업에 의해 점착 테이프가 없어지면, 수동에 의해 새로운 테이프형 부재로 교환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동작을 오퍼레이터가 행하고 있었다. 먼저, 점착 테이프가 없어진 릴을 미사용의 릴로 갈아 끼운다. 갈아 끼운 미사용의 릴로부터 새로운 테이프형 부재를 인출한다. 인출한 테이프형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분의 점착 테이프를 벗겨내어, 접착 장치에 세팅한다. 이와 같이 선단 부분의 점착 테이프를 벗겨내는 것은, 접착 작업 위치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테이프형 부재(이형 테이프)를 양면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반송 롤러 등에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는 등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가 반송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86387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형 부재가 교환되면, 기판에의 접착 정밀도를 담보하기 위해서, 점착 테이프의 절단 부분인 선두 부분(이하, 간단히 「선단」이라고도 함)을 소정 위치에 맞추는, 헤드 도출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이 종래의 헤드 도출 작업은, 오퍼레이터가 눈으로 보아 테이프형 부재를 이송하면서 소정 위치, 예컨대, 접착 작업 위치에 위치 맞춤시키는 작업이고, 장치의 구성상, 테이프형 부재를 점착 테이프측으로부터 시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테이프형 부재의 지나친 이송 등, 소정 위치에 위치 맞춤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는, 이형 테이프에 점착 테이프가 접착된 테이프형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접착 대상물에 대해,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이형 테이프와는 반대측의 접착면을 접착하는 접착부와,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접착부로 이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테이프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테이프측에 배치되고, 광축이, 상기 접착부에 대해 설정된 접착 기준 위치로 향해지며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접착면의 수선(垂線) 방향에 대해, 미리 설정한 각도로 사교(斜交)하여 설치되어 있는 조명부와, 광축을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맞추고, 상기 테이프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테이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된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테이프형 부재의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절단 부분의 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 설치된 커터를 갖고, 상기 테이프형 부재의 상기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여 상기 절단 부분이 되는 하프 커트 라인을 형성하는 절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부는,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오도록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이송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촬상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을 검지하고,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의 절단면의 형상의 양부를 판정해도 좋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지한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를 포함하는 허용 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상기 하프 커트 라인과 상기 접착 기준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반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반송부는, 상기 반송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이송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하프 커트 라인보다 하류측의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접착부에 의한 접착 후의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촬영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착 기준 위치의 전후에,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정한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유무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의 양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하여, 상기 절단 부분을 검지해도 좋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광축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접착면의 수선 방향에 대해 60°∼85°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조명부는, 백색광 또는 녹색광을 조사해도 좋다.
상기 점착 테이프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장치의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a)는 테이프형 부재의 이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b)는 점착 테이프의 선두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는 하프 커트 라인의 형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d)는 하프 커트 라인의 위치의 양부 판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e)는 점착 테이프의 스로 어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1)은 접착 기준 위치보다 하류측에 점착 테이프 있음이라고 판정되어, 불량이라고 판정되는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2)는 접착 기준 위치보다 상류측에 점착 테이프 없음이라고 판정되어, 불량이라고 판정되는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g)는 접착 기준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점착 테이프가 없고, 접착 기준 위치보다 상류측에서 점착 테이프 있음이라고 판정되어, 양호라고 판정되는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a)는 비교예의 접착 장치에 있어서의 테이프형 부재의 촬영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b)는 비교예의 접착 장치로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의 화상이다.
도 6은 (a)는 실시형태의 접착 장치에 있어서의 테이프형 부재의 촬영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b)는 실시형태의 접착 장치로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의 화상이다.
도 7은 조명부의 광축의 테이프형 부재의 수선에 대한 경사 각도(θ)와, 상기 각도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의 절단 부분의 검지 결과를 도시한다.
도 8은 (a)는 하프 커트 라인이 접착 기준 위치의 바로 앞으로 어긋난 경우의 테이프형 부재의 이송 보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b)는 하프 커트 라인이 접착 기준 위치를 넘어 어긋난 경우의 테이프형 부재의 이송 보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접착 장치의, 기판에 대한 점착 테이프의 접착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장치의 접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이 완료되고, 기판이 세트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b)는 하프 커트된 상태를 도시한다. (c)는 테이프형 부재가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다. (d)는 점착 테이프가 기판에 접착되고, 이형 테이프가 박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장치의 조명부의 배치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부름)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테이프형 부재(2)는, 예컨대, 점착 테이프(21)가 이형 테이프(22)에 접착된 것이다. 점착 테이프(21)는, 예컨대, 이방성 도전 필름(ACF)이다. 이형 테이프(22)는, 점착 테이프(21)로부터 박리 가능한 테이프이고, 예컨대,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이프형 부재(2)의 폭은, 0.5 ㎜∼3.5 ㎜ 정도이다.
[구성]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접착 장치(1)는, 테이프형 부재(2)의 점착 테이프(21)를 접착 대상물에 접착하는 장치이다. 접착 대상물은, 예컨대, 후술하는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 또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로서의 기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장치(1)는, 접착부(11), 공급부(12), 회수부(13), 반송부(14), 박리부(15), 절단부(16), 조명부(17), 촬상부(18), 및 제어부(19)를 구비한다.
[접착부]
접착부(11)는, 접착 대상물에 대해,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를 접착한다. 접착부(11)는, 가압 헤드(110), 스테이지 부재(111)를 갖는다.
가압 헤드(110)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접착 대상물에 대해 테이프형 부재(2)의 가열, 가압을 행한다. 그 때문에, 가압 헤드(110)에는, 도시하지 않은 히터가 설치되고, 테이프형 부재(2)와의 접촉면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다. 또한, 가압 헤드(110)에 있어서의 테이프형 부재(2)와의 접촉면에는, 완충 부재(11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완충 부재(110a)는, 예컨대,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시트이고, 가열에 의해 연화된 점착 테이프(21)가 가압 헤드(11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21)의 이형 테이프(22)와는 반대측의 면이 접착 대상물과의 접착면이 된다.
스테이지 부재(111)는, 가압 헤드(110)에 의해 접착 대상물에 테이프형 부재(2)가 가열 가압될 때, 접착 대상물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부재이다. 스테이지 부재(111)는, 그 상면에, 접착 대상물을 지지하는 평탄면인 지지면(111a)을 갖는다.
스테이지 부재(111)에 배치되는 접착 대상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나 제품이 되는 기판이다. 예컨대,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는, 점착 테이프(21)의 선두의 불필요한 부분이 접착된다. 이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는, 예컨대, 금속판이고, 기판과 동등한 크기를 이루며, 스테이지 부재(111)의 지지면(111a) 상에 배치된다. 한편,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는, 금속판을 대신하여 천 테이프나 플라스틱판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는,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 상에 천 테이프나 플라스틱판 등을 접착 등에 의해 교환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접착부(11)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21)의 접착이 행해지는 접착 작업 위치에 대해 테이프형 부재(2)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 상에는, 접착 기준 위치(10)가 설정되어 있다. 접착 기준 위치(10)는,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이 위치 맞춤되는 기준 위치이고, 여기서는, 테이프형 부재(2)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가압 헤드(110)의 상류측 단부의 위치이다.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은, 예컨대,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 절단부(16)에 의해 형성된 후술하는 하프 커트 라인(20b)이다.
[공급부]
공급부(12)는, 접착부(11)에 테이프형 부재(2)를 공급한다. 공급부(12)는, 공급 릴(120), 텐션 기구(121), 경로 롤러(122)를 갖는다. 공급 릴(120)은, 테이프형 부재(2)를 감아 장착하고, 회동(回動)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송출하는 릴이다.
텐션 기구(121)는, 테이프형 부재(2)에 장력을 부여한다. 텐션 기구(121)는, 공급 릴(120)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형 부재(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하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롤러이다. 한쪽의 롤러는 상하 이동하지 않는 고정 롤러(121a)이고, 다른쪽의 롤러가 상하 이동 가능한 가동 롤러(121b)이다. 가동 롤러(121b)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즉, 도면 중, 검게 칠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경로 롤러(122)는, 텐션 기구(121)로부터의 테이프형 부재(2)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절단부(16)를 향해 송출하는 롤러이다.
[회수부]
회수부(13)는, 접착부(11)에 있어서, 접착 대상물에 접착된 점착 테이프(21)로부터 박리된 이형 테이프(22)를 회수한다. 회수부(13)는, 회수 릴(130), 경로 롤러(131)를 갖는다.
회수 릴(130)은, 이형 테이프(22)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릴이다. 경로 롤러(131)는, 접착부(11)측으로부터의 이형 테이프(22)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회수 릴(130)을 향해 송출하는 롤러이다.
[반송부]
반송부(14)는, 접착부(11)와 회수부(13) 사이에 배치되고, 테이프형 부재(2)를 공급부(12)로부터 접착부(11)를 통해 회수부(13)로 이송한다. 반송부(14)는, 한 쌍의 이송 롤러(140), 도시하지 않은 이송용 모터를 갖는다. 한 쌍의 이송 롤러(140)는, 이형 테이프(22)를 사이에 끼우고, 롤러의 회동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공급 릴(120)측으로부터 회수 릴(13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송용 모터는, 이송 롤러(140)를 회동시키는 구동원이다. 이송용 모터는, 그 회전축이 이송 롤러(1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이 상기 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이송 롤러(140)를 회전축 주위로 회동시킨다.
한편, 공급 릴(120)로부터 송출된 테이프형 부재(2)가 텐션 기구(121)의 2개의 롤러(121a, 121b), 경로 롤러(122), 경로 롤러(131)를 경유하여 회수 릴(130)에 이르는 경로가, 테이프형 부재(2)의 반송 경로이다. 또한, 각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공급부(12)측을 테이프형 부재(2)의 상류측이라고 하고, 회수부(13)측을 테이프형 부재(2)의 하류측이라고도 한다. 또한, 접착 기준 위치(10)에 대해 테이프형 부재(2)의 하류측을 앞, 테이프형 부재(2)의 상류측을 뒤라고도 한다.
[박리부]
박리부(15)는, 접착 대상물에 접착된 점착 테이프(21)로부터 이형 테이프(22)를 박리한다. 박리부(15)는, 박리봉(剝離棒; 150, 151)을 갖는다. 박리봉(150, 151)은, 예컨대 둥근 막대이고, 이형 테이프(22)와 접하는 부재이다. 박리봉(150)은, 이형 테이프(22)의 표면, 즉, 점착 테이프(21)측의 면과 접하고, 박리봉(151)은, 이형 테이프(22)의 이면과 접한다. 박리봉(150, 151)은,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테이프(22)가 접한 상태에서 접착부(11)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도 1,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접착 대상물에 압착된 점착 테이프(21)로부터 이형 테이프(22)를 박리한다.
[절단부]
절단부(16)는,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를 절단한다. 이 절단부(16)는, 또한 이형 테이프(22)를 절단하지 않을 정도로 이형 테이프(22)에 절입을 넣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21)를 절단하는 것을, 이하, 하프 커트라고 부르고, 절단부(16)에 의해 점착 테이프(21)에 형성된 라인을, 하프 커트 라인(20b)이라고 부른다.
절단부(16)는, 공급부(12)와 접착부(11) 사이에 설치되고, 커터(160), 백업 부재(161)를 갖는다. 커터(160)는, 점착 테이프(21)에 접하여 절단하는 부재이고, 공급부(12)와 접착부(1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커터(160)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그 선단의 날이 백업 부재(161)에 대해 접촉 및 분리된다. 커터(160)의 선단의 날은,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백업 부재(161)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이다. 이 백업 부재(161)는, 블록의 하면에, 커터(160)와의 사이에서 테이프형 부재(2)를 끼우고, 수평 방향으로 이형 테이프(22)에 접하는 평탄면(161a)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터(160)와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거리가, 기판에 접착되는 점착 테이프(21)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절단부(16)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조명부]
조명부(17)는, 접착 기준 위치(10)의 근방에 있어서,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부(17)는, 테이프형 부재(2)의 하방에 배치되어, 점착 테이프(21)측으로부터 테이프형 부재(2)를 비춘다.
조명부(17)는, 그 광축이, 접착 기준 위치(10)로 향해지고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대해 사교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수선은, 테이프형 부재(2)의 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되어 있는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21)의 전술한 접착면에 대해 직교하는 직선이다. 테이프형 부재(2)가 접착 기준 위치(10)에 대해 수평으로 반송되는 경우, 수선은, 수평 방향에 대한 수직선으로 해도 좋다. 조명부(17)의 광축은,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21)의 접착면의 수선 방향에 대해 60°∼85°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7)는, 테이프형 부재(2)의 상류측에 설치해도 좋고, 테이프형 부재(2)의 하류측에 설치해도 좋다. 조명부(17)로서는, 예컨대, 가시광을 조사하는 LED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백색광 또는 녹색광의 LED를 이용하면 좋다. 한편, 조명부(17)의 광축이 접착 기준 위치(10)로 향해진다는 것은, 조명부(17)가 접착 기준 위치(10)를 향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어서 광축이 접착 기준 위치(10)와 완전히 교차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촬상부]
촬상부(18)는, 접착 기준 위치(10)에 있어서 테이프형 부재(2)를 촬상한다. 촬상부(18)는, 예컨대, 카메라이다. 촬상부(18)는, 광축을 접착 기준 위치(10)에 맞추고,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명부(17)에 의해 점착 테이프(21)측으로부터 테이프형 부재(2)가 비춰진 상태에서, 테이프형 부재(2)를 촬상한다. 촬상부(18)는, 구체적으로는, 테이프형 부재(2)의 하방이며, 접착 기준 위치(10)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에 대해 직교한다. 즉, 촬상부(18)의 촬상 범위에 접착 기준 위치(10)가 포함되어 있고,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에 의해 상기 촬상 범위에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이 들어가면, 촬상부(18)는, 절단 부분(20)을 포함하여 테이프형 부재(2)를 촬상한다. 한편, 촬상부(18)의 광축은 테이프형 부재(2)에 대해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촬상부(18)의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의 반송 방향에서 보아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대해 15° 정도 사교하고 있어도 좋다. 한편, 촬상부(18)에 있어서도 광축이 접착 기준 위치(10)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된 테이프형 부재(2)의 소망의 부분이 촬상 범위에 들어가면 된다.
[제어부]
제어부(19)는, 접착 장치(1)의 각부의 제어를 통괄하는 제어 장치이다. 제어부(19)는, 예컨대, 전용의 전자 회로 혹은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동작하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즉, 접착부(11), 텐션 기구(121), 반송부(14), 박리부(15), 절단부(16), 조명부(17), 촬상부(18)의 제어 등에 대해서는, 그 제어 내용이 프로그램되어 있고, PLC나 CPU 등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다.
도 2는 제어부(19)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는, 접착 제어부(190), 텐션 기구 제어부(191), 박리 제어부(192), 절단 제어부(193), 조명 제어부(194), 촬상 제어부(195), 판정부(196), 반송 제어부(197)를 갖는다.
접착 제어부(190)는, 접착부(11)에 설치된 히터 및 승강 장치를 제어하여, 히터에 가압 헤드(110)를 가열시키고, 승강 장치에 가열한 가압 헤드(110)를 승강시킨다. 텐션 기구 제어부(191)는, 텐션 기구(121)에 설치된 승강 기구를 제어하여, 가동 롤러(121b)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테이프형 부재(2)에 장력을 부여한다.
박리 제어부(192)는, 박리부(15)에 설치된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박리봉(150, 151)을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에 압착된 점착 테이프(21)를 이형 테이프(22)로부터 박리한다. 절단 제어부(193)는, 절단부(16)에 설치된 승강 기구를 제어하여, 커터(160)를 승강시킨다.
조명 제어부(194)는, 조명부(17)의 점등, 소등을 제어한다. 촬상 제어부(195)는, 촬상부(18)의 촬상을 제어한다.
판정부(196)는, 촬상부(18)에 의해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에 기초하여,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의 위치의 양부나 절단면의 양부 등의 상태의 양부를 판정한다. 판정부(196)는,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하여,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의 위치를 검지한다. 그리고, 판정부(196)는, 검지된 절단 부분(20)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절단 부분(20)이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양호라고 판정하고, 절단 부분(20)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에는 불량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그레이 스케일화란, 예컨대, 화상의 밝기를 상기 밝기에 따른 다단계의 화소값으로의 변환을 말하고, 전형적으로는, 화소값 0(흑색)∼화소값 255(백색)의 256 계조를 이용한 변환이다.
판정부(196)는, 촬상부(18)에 의해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에 기초하여, 절단 부분(20)으로서의 하프 커트 라인(20b)을 검지하고, 그 절단면의 형상의 양부를 판정한다. 하프 커트 라인(20b)의 절단면의 형상은, 테이프형 부재(2)를 점착 테이프(21)측에서 보았을 때의 커터(160)에 의해 형성된 절입의 형상이다. 하프 커트 라인(20b)은, 예컨대,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화소값이 큰(밝은) 일직선형으로 검출된 경우에 양호라고 판정하고, 화소값이 큰 부분이 일직선형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경우나, 사행(蛇行)이나 이지러짐 등의 요철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량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196)는, 접착 기준 위치(10)의 전후의 영역의 점착 테이프(21)의 유무에 기초하여,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의 양부를 판정한다.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이란, 새로운 공급 릴(120)이 세트되고, 제품이 되는 기판에 접착 가능한 선두의 점착 테이프(21)의 선단에 형성된 하프 커트 라인(20b)을, 접착 기준 위치(10)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 내에 위치 맞춤시키는 것을 말하며, 상기 소정 범위는,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 맞춤되어 있다고 하여 허용되는 범위이다. 판정부(196)는, 점착 테이프(21)의 유무를, 접착 기준 위치(10)의 전후의 각 영역을, 더욱 복수의 소영역으로 나누어 판정해도 좋다.
반송 제어부(197)는, 판정부(196)에 의해 절단 부분(20)의 위치가 불량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과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거리(어긋남)를 산출한다. 즉, 절단 부분(20)의 위치가 불량인 경우, 절단 부분(20)의 위치가 접착 기준 위치(10)에 대해 허용 범위 이상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절단 부분(20)의 위치가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테이프형 부재(2)의 위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반송 제어부(197)는, 촬상부(18)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접착 기준 위치(10)와 절단 부분(20)의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거리에 기초하여 이송용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이 제어 신호는, 산출한 거리분,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오도록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하기 위한 신호이고, 이송용 모터에 출력된다.
[동작]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21)의 접착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 동작]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장치(1)의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한편, 전제로서, 새로운 공급 릴(120)이 공급부(12)에 세트되고, 테이프형 부재(2)가 공급 릴(120)로부터 인출되며, 텐션 기구(121), 경로 롤러(122), 박리부(15), 경로 롤러(131), 및 이송 롤러(140)를 통해 회수 릴(130)에 감겨지고 있다. 또한, 이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는, 감겨지기 전에 하류측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박리되어 있고,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인 선두 부분(20a)이 촬상부(18), 즉 접착 기준 위치(1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선두 부분(20a)보다 하류측에서는 점착 테이프(21)가 박리되어, 이형 테이프(22)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20a)의 형상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박리되기 때문에, 임의의 형상이다. 예컨대,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과 평행한 라인인 경우도 있고,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라인이거나,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에 대해 산곡(山谷) 형상의 사행한 라인이거나 요철의 라인이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테이지 부재(111)의 지지면(111a) 상에는,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가 미리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부(194)에 의해 조명부(17)를 점등하고, 접착 기준 위치(10)를 포함하여 테이프형 부재(2)를 비춘다(단계 S01).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부(14)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소정 피치씩 이송하고(단계 S02), 촬상부(18) 및 판정부(196)에 의해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20a)[절단 부분(20)]의 위치의 양부를 판정한다(단계 S03). 즉, 촬상부(18)는, 반송부(14)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가 이송되면, 접착 기준 위치(10)를 포함하는 촬상 범위에서 테이프형 부재(2)를 촬영하고, 판정부(196)는 촬상부(18)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농담차로부터 접착 기준 위치(10)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R1) 내에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20a)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점착 테이프(21)가 있는 부분은 어둡고, 점착 테이프(21)가 없는 부분은 밝아지며, 명암의 경계가 선두 부분(20a)이 된다. 소정 범위(R1)는, 예컨대, 촬상 범위 내에 설정된 검사 영역이다.
반송부(14)의 이송의 피치는, 소정 범위(R1)의 테이프형 부재(2)의 반송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은 간격이다. 판정부(196)에 의해 선두 부분(20a)이 검지되지 않으면(단계 S03의 NO), 단계 S02로 되돌아가고, 선두 부분(20a)이 검지될 때까지 단계 S02 및 S03을 반복한다.
판정부(196)에 의해 선두 부분(20a)이 검지되면(단계 S03의 YES), 테이프형 부재(2)를 선두 부분(20a)이 검지된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절단 제어부(193)에 의해 커터(160)를 상승시켜, 테이프형 부재(2)를 하프 커트하고(단계 S04),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21)를 절단하여 절단 부분(20)으로서의 하프 커트 라인(20b)을 형성한다. 그리고, 반송부(14)에 의해 절단부(16)[커터(160)]와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거리분,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한다(단계 S05). 계속해서, 촬상부(18)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촬영하고, 판정부(196)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20b)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06). 하프 커트 라인(20b)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단계 S06의 NO)에는, 단계 S04로 되돌아간다.
하프 커트 라인(20b)을 검지한 경우(단계 S06의 YES)에는, 판정부(196)에 의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된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를 포함하는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 하프 커트 라인(20b)이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는(단계 S07의 NO),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 보정을 행한다. 즉, 반송 제어부(197)는, 소정 범위(R1) 내에 있어서 인식된 하프 커트 라인(20b)의 위치와 접착 기준 위치(10)의 위치에 기초하여, 하프 커트 라인(20b)과 접착 기준 위치(1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단계 S08), 반송부(14)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오도록, 산출된 거리분,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하며(단계 S09), 단계 S07로 되돌아간다.
하프 커트 라인(20b)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단계 S07의 YES),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20a)으로부터 하프 커트 라인(20b)까지의 부분이 가압 헤드(110)와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미리 가열한 가압 헤드(110)로 테이프형 부재(2)를 밀어내려, 하프 커트 라인(20b)보다 하류측의 불필요한 점착 테이프(21)를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에 스로 어웨이한다[단계 S10, 도 4의 (e) 참조]. 즉, 접착 제어부(190)에 의해, 미리 가열된 가압 헤드(110)를 하강시켜, 선두 부분(20a)으로부터 하프 커트 라인(20b)까지의 불필요한 점착 테이프(21)를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에 접착하고, 가압 헤드(110)를 상승시킨다. 그 후, 박리 제어부(192)에 의해, 박리봉(150, 151)을 접착부(11)측으로 수평 이동시켜,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에 압착된 점착 테이프(21)로부터 이형 테이프(22)를 박리시킨다(단계 S11).
이형 테이프(22)가 박리되면, 촬상부(18)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촬영한다(단계 S12). 한편, 이때, 테이프형 부재(2)는 이송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접착 기준 위치(10)의 상류측에 남은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의 위치는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한 채로 변하지 않는다. 판정부(196)는, 촬상부(18)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하고, 도 4의 (f1), (f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전후에 각각 3개소씩 설정된 합계 6개소의 검사 영역으로서의 소영역(R11∼R16)에 있어서, 각각 점착 테이프(21)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13). 전후의 3개소의 소영역(R11, R12, R13 및 R14, R15, R16)은,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점착 테이프(21)의 유무의 판정은, 예컨대, 각 소영역(R11∼R16) 내에 있어서, 소정의 화소값 이상이 되는 픽셀의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경우, 환언하면 소정의 화소값 미만이 되는 픽셀의 비율이 소정 비율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영역(R11∼R16) 내에 점착 테이프(21)가 없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화소값 이상이 되는 픽셀의 비율이 소정 비율 미만이 되는 경우, 환언하면 소정의 화소값 미만이 되는 픽셀의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영역(R11∼R16) 내에 점착 테이프(21)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 판정부(196)는, 불필요한 점착 테이프(21)가 박리된 후에 상류측에 남은 점착 테이프(21)의 선단[하프 커트 라인(20b)]의 상태(형상)의 양부를 판단함으로써 헤드 도출의 양부를 판정한다.
판정부(196)는, 도 4의 (f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앞(하류측)에 있는 소영역(R14∼R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점착 테이프(21)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4의 NO), 헤드 도출 불량으로서 단계 S04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 경우, 불필요한 점착 테이프(21)의 박리 시에 점착 테이프(21)의 일부가 박리되지 않고 이형 테이프(22)에 남아, 박리 불량이 되고 있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도 4의 (f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앞(하류측)에 있는 소영역(R14∼R16)의 어느 곳에 있어서도 점착 테이프(21)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이며(단계 S14의 YES), 접착 기준 위치(10)의 뒤(상류측)에 있는 소영역(R1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점착 테이프(21)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5의 NO), 헤드 도출 불량으로서 단계 S04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불필요한 점착 테이프(21)의 박리 시에, 선두의 점착 테이프(21)인 상류측의 점착 테이프(21)의 선단의 일부가 함께 박리되어 버린 것이 고려된다. 이 원인으로서는, 커터(160)에 의한 하프 커트가 불량으로, 하프 커트 라인(20b)에 있어서 불필요한 점착 테이프(21)와 선두의 점착 테이프(21)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 4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앞(하류측)에 있는 소영역(R14∼R16)의 어느 곳에 있어서도 점착 테이프(21)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이며(단계 S14의 YES), 접착 기준 위치(10)의 뒤(상류측)에 있는 각 소영역(R11∼13)의 어느 곳에 있어서도 점착 테이프(21)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5의 YES), 헤드 도출이 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종료한다.
한편, 단계 S06, 단계 S14, 또는 단계 S15의 NO 판정으로 단계 S04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단계 S06, 단계 S14, 또는 단계 S15에서 재차 NO 판정이 되는 것이 반복되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 반복 횟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단계 S06 또는 단계 S14보다 앞에 설정해 두고, 설정 횟수의 반복이 행해진 경우, 에러로서 헤드 도출 동작을 중단하며, 알람 등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이상을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커터(160)에 의한 하프 커트 불량이 원인의 하나로서 고려된다. 그래서, 제어부(19)가, 알람에 의해, 커터(160)를 청소하거나 교환하거나 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의 실행을 촉구하도록 해도 좋다.
[작용]
실시형태의 접착 장치(1)의 작용을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비교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조명부의 경사)
도 5의 (a)는 비교예의 접착 장치에 있어서의 테이프형 부재(2)의 촬영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b)는 비교예의 접착 장치로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이다. 단, 상기 화상의 각 위치에 대한 화소값의 그래프를 화상에 겹쳐 기재하고 있다. 화소값은, 흑색을 0으로 하고, 255를 백색으로 하는 256 계조로 나타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18)의 내부에는 하프 미러(M)가 설치되어 있고, 조명(L)은, 그 광축이 하프 미러(M)로 향해지며, 조명(L)의 광이 하프 미러(M)에서 반사되어, 조명(L)의 광은, 촬상부(18)의 광축과 평행한 동축 광으로서, 테이프형 부재(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입사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21)와 이형 테이프(22)의 화소값에 거의 차이가 얻어지지 않았다. 그 때문에,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의 검지가 곤란해졌다.
이와 같이, 단순히 조명(L)을 설치한 것만으로는,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의 검지가 곤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a)는 실시형태의 접착 장치(1)에 있어서의 테이프형 부재(2)의 촬영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의 (b)는 실시형태의 접착 장치(1)로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이다. 단, 상기 화상의 각 위치에 대한 화소값의 그래프를 화상에 겹쳐 기재하고 있다. 화소값은, 흑색을 0으로 하고, 255를 백색으로 하는 256 계조로 나타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7)의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대해 사교하고, 촬상부(18)의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21)와 이형 테이프(22)의 화소값에 큰 차이가 생겨, 점착 테이프(21)가 있는 개소와 없는 개소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해졌다. 이것은, 이형 테이프(22)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의 형상과, 점착 테이프(21)에 함유하는 미세한 금속 미립자의 형상에 기인한다고 추측된다. 즉, 점착 테이프(21)의 금속 입자는 거의 구(球)형이고, 조명부(17)로부터의 입사광이 동축이든 사교하고 있든 촬상부(18)에 들어가는 확산광의 양이 크게 변하는 일이 없다. 이에 대해, 이형 테이프(22)의 표면의 요철은 랜덤이고, 그 때문에, 조명부(17)로부터의 입사광을 사교시킴으로써 촬상부(18)에 들어가는 확산광의 양이 증대한 것으로 추측된다. 예컨대, 도 6은 조명부(17)의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사교하는 각도를 75°로 설정한 것이지만, 점착 테이프(21)가 있는 개소의 화소값이 97 정도가 되고, 점착 테이프(21)가 없는 개소의 화소값이 157 정도가 되었다. 이와 같이 농담차가 50 이상이 되어,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을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조명부(17)의 광축의 각도와 촬상부(18)에 들어가는 광의 양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도 7은 조명부(17)의 광축의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대한 경사 각도(θ)와, 상기 각도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의 검지 결과를 도시한다. 한편, 검지 결과는, 조명부(17)로서, 세이와 고가쿠 세이사쿠쇼 제조의 백색의 LED(형식: SBR-15-50W)를 이용하고, 촬상부(18)로서, 오므론사 제조의 카메라(형식: FZ-S)를 이용하며, 테이프형 부재(2)와 촬상부(18)와의 거리를 100 ㎜로 하여 얻어진 결과이다. 또한, 촬영 대상으로 한 테이프형 부재(2)는,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이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각도(θ)를 30°, 45°, 60°, 75°, 85°, 90°로 변경하여 절단 부분(20)의 검지를 시도하였다. 이 결과, 30°, 45°, 90°의 경우, 절단 부분(20)의 양호한 검지를 할 수 없었다. 한편, 경사 각도(θ)가 60°, 75°, 85°일 때에는, 절단 부분(20)의 양호한 검지를 할 수 있었다. 즉, 점착 테이프(21)가 있는 개소와, 점착 테이프(21)가 없는 개소의 화소값의 차가 50 이상이 되어 커서, 점착 테이프(21)의 유무의 검지의 판정 정밀도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경사 각도(θ)는, 60°∼85°로 함으로써,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의 검지, 점착 테이프(21)에 형성된 하프 커트 라인(20b)의 검지, 및 접착 기준 위치(10)의 전후의 점착 테이프(21)의 유무의 검지에서도 공통적으로 점착 테이프(21)의 유무의 판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테이프형 부재의 이송 보정)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 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부(16)와 접착 기준 위치(10)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져 있고, 하프 커트 라인(20b)을 형성한 후, 반송부(14) 및 반송 제어부(197)에 의해 상기 거리의 분,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함으로써,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온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송용 모터 혹은 이송 롤러(140)의 회전 오차 또는 테이프형 부재(2)의 신축 등의 발생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량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형 부재(2)의 신축은, 테이프형 부재(2)의 폭이 가늘어질수록, 일정한 장력이어도 신장하기 쉽고, 또한, 각 롤러 등에서의 걸림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테이프형 부재(2)는, 품종마다 고유의 신장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량에 오차가 발생하면, 점착 테이프(21)의 이송 방향의 첩부(貼付) 오차가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18) 및 판정부(196)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있고, 하프 커트 라인(20b)이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반송 제어부(197)에 의해, 점착 테이프(21)의 하프 커트 라인(20b)과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거리분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오도록 반송부(14)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하는 보정량을 설정한다. 후술하는 접착 동작 시에는, 상기 보정량을 더한 이송량으로 테이프형 부재(2)를 접착 기준 위치(10)로 이송한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바로 앞으로 어긋난 경우, 어긋난 거리(D1)분, 테이프형 부재(2)를 접착부(11)측으로 이송한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를 넘어 어긋난 경우, 어긋난 거리(D2)분, 테이프형 부재(2)를 절단부(16)측으로 복귀시키도록 이송한다.
이와 같이, 하프 커트 라인(20b)과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어긋남을 검지하고, 상기 어긋남을 해소하도록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을 보정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을 정확히 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접착부(11)에 설치한 기판에 대해, 정확히 점착 테이프(21)를 접착할 수 있다.
[접착 동작]
도 9는 접착 장치(1)의, 기판에 대한 점착 테이프(21)의 접착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접착 장치(1)의 접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제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하고 있어,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이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커터(160)는 헤드 도출 동작의 과정에서 검사가 완료되어 있고, 절단 부분(20)이 되는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절단부(16)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 부분(20)보다 하류측에는 점착 테이프(21)가 잔존하고 있지 않고, 이송 롤러(140) 등의 테이프형 부재(2)와 접하는 부재에 점착 테이프(21)가 부착되지 않아, 테이프형 부재(2)가 반송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 부재(111)의 지지면(111a) 상에는,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를 대신하여, 예컨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로서의 제품용의 기판(300)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기판(300)에는, 소망의 길이로 점착 테이프(21)가 접착된다. 여기서는, 편의상, 기판(300)의 반송 방향 전체에 점착 테이프(21)를 접착하는 것으로 하고, 절단부(16)와 접착 기준 위치(10) 사이의 거리가, 기판(300)의 길이 및 가압 헤드(111)의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절단부(16)에 의해, 테이프형 부재(2)를 하프 커트한다(단계 S21). 그리고,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부(14)에 의해, 커터(160)와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거리분,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한다(단계 S22). 이 이송에 의해, 단계 S21에서 형성한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합치한다. 그 후, 스테이지 부재(111)를 이동시켜 기판(300)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가 접착되는 가장자리부를 테이프형 부재(2) 아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미리 가열된 가압 헤드(110)를 강하시켜, 가압 헤드(110)와 스테이지 부재(111)로 기판(300)과 테이프형 부재(2)를 끼워 넣어 압착하여, 테이프형 부재(2)의 점착 테이프(21)를 기판(300) 상에 접착한다(단계 S23). 그 후, 가압 헤드(110)를 상승시키고, 박리부(15)를 접착부(11)측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0)에 접착한 점착 테이프(21)로부터 이형 테이프(22)를 박리하고(단계 S24), 박리부(1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 후, 점착 테이프(21)가 미접착의 기판(300)에 점착 테이프(21)를 접착하는 경우에는(단계 S25의 YES), 스테이지 부재(111) 상의 접착이 완료된 기판을, 점착 테이프(21)가 미접착의 새로운 기판(300)으로 교환하고, 단계 S21로 되돌아간다.
한편, 점착 테이프(21)가 미접착의 기판(300)에 점착 테이프(21)를 접착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25의 NO), 종료한다. 한편,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하는 단계 S22에서, 전술한 단계 S06∼S09와 동일한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 보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효과]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21)의 접착 장치(1)는, 이형 테이프(22)에 점착 테이프(21)가 접착된 테이프형 부재(2)를 공급하는 공급부(12)와, 접착 대상물에 대해, 점착 테이프(21)의 이형 테이프(22)와는 반대측의 접착면을 접착하는 접착부(11)와, 테이프형 부재(2)를 공급부(12)로부터 접착부(11)로 이송하는 반송부(14)와,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측에 배치되고, 광축이, 접착부(11)에 대해 설정된 접착 기준 위치(10)로 향해지며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21)의 접착면의 수선 방향에 대해, 미리 설정한 각도로 사교하여 설치되어 있는 조명부(17)와, 광축을 접착 기준 위치(10)에 맞추고, 테이프형 부재(2)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21)측에 배치되며,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된 테이프형 부재(2)를 촬상하는 촬상부(18)와, 촬상부(18)에 의해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에 기초하여,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절단 부분(20)의 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96)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을 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비교예와 같이 조명부(L)를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에 대해 직교하도록 설치한 것에서는,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이 선명하지 않게 되어, 절단 부분(20)의 검지가 곤란하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의 예의 연구에 의해, 조명부(17)를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대해 사교하여 설치함으로써,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해지는 지견을 얻었다. 이 지견에 기초하는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공급부(12)와 접착부(11) 사이에 설치된 커터(160)를 갖고, 테이프형 부재(2)의 점착 테이프(21)를 절단하여 절단 부분(20)이 되는 하프 커트 라인(20b)을 형성하는 절단부(16)를 구비하며, 반송부(14)는,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오도록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하고, 촬상부(18)는, 하프 커트 라인(20b)을 포함하여 테이프형 부재(2)를 촬상하며, 판정부(196)는, 촬상부(18)에 의해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하프 커트 라인(20b)을 검지하고, 하프 커트 라인(20b)의 절단면의 형상의 양부를 판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커터(160)의 소모를 관리할 수 있다. 즉, 하프 커트 라인(20b)이 불량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커터(160)의 날이 소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예컨대, 제어부(19)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나 스피커 등의 통지 수단을 접속해 두고, 화면상 또는 음성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커터(160)의 교환을 촉구할 수 있다.
판정부(196)는, 검지한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의 허용 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의 접착 기준 위치(10)에 대한 위치 맞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프 커트 라인(20b)과 접착 기준 위치(10)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반송 제어부(197)를 구비하고, 판정부(196)에 의해 하프 커트 라인(20b)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반송부(14)는, 반송 제어부(197)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접착 기준 위치(10)에 위치하도록 테이프형 부재(2)를 이송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테이프형 부재(2)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접착 대상물이 되는 기판에의 점착 테이프(21)의 접착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부(11)는, 하프 커트 라인(20b)보다 하류측의 점착 테이프(21)를 접착 대상물, 구체적으로는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112)에 접착하고, 촬상부(18)는, 접착부(11)에 의한 접착 후의 테이프형 부재(2)를 촬영하며, 판정부(196)는, 접착 기준 위치(10)의 전후에, 점착 테이프(21)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정한 영역 내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21)의 유무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의 양부를 판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접착 기준 위치(10)의 앞에서 점착 테이프(21)가 잔존하지 않고, 접착 기준 위치(10)의 뒤에서 점착 테이프(21)가 있는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을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반송부(14) 등의 롤러에 이형 테이프(22)에 잔존한 점착 테이프(21)가 말려 들어가는 것에 의한 테이프형 부재(2)의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판정부(196)는,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하여, 절단 부분(20)을 검지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절단 부분(20)의 유무뿐만이 아니라, 절단 부분(20)의 양부에 대해서도 정확히 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절단 부분(20)이 하프 커트 라인(20b)인 경우, 하프 커트 라인(20b)이, 커터(160)의 날끝의 오염이나 날의 이 빠짐 등에 의해 실제로는 점착 테이프(21)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고 점착 테이프(21)가 원래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부분적으로 남아 점선형으로 보이는 것이 고려된다. 이 화상을 2치화 처리하면 하프 커트 라인(20b)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오검지하는 경우가 있다. 즉, 남은 점착 테이프(21)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이 점착 테이프(21) 부분의 화소값이 2치화 임계값에 대해 점착 테이프(21) 없음측인 경우, 하프 커트 라인(20b)이 양호하다고 검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함으로써, 하프 커트 라인(20b) 상의 점착 테이프(21)가 화상 중으로부터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어, 하프 커트 라인(20b)이 불량이라고 검지할 수 있다.
조명부(17)는, 광축이 테이프형 부재(2)의 수선에 대해 60°∼85° 경사져서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촬상부(18) 및 판정부(196)에 의해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고, 정확히 절단 부분(20)을 검지할 수 있다.
조명부(17)는, 백색광 또는 녹색광을 조사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촬상부(18) 및 판정부(196)에 의해 얻어진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명료하게 할 수 있고, 정확히 절단 부분(20)을 검지할 수 있다. 특히, 백색광 또는 녹색광의 조명부(17)와 점착 테이프(21)가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경우에, 콘트라스트가 보다 명료해지고, 절단 부분(20)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헤드 도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하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전부 또는 어느 하나를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를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이나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고, 그 변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명부(17)는, 접착 기준 위치(10)에 대해 테이프형 부재(2)의 상류측에 설치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형 부재(2)의 하류측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21)의 스로 어웨이 후, 점착 테이프(21)의 절단 부분(20b)의 단면이 조명부(17)측에 노출됨으로써, 그 단면이 직접 비춰져, 테이프형 부재(2)의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해진다. 이하의 메커니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단 부분(20b)의 단부면이나 점착 테이프(21) 내의 금속 입자에서 반사된 광이, 절단 부분(20b)보다 하류측의 이형 테이프(22)에서도 반사되어 촬상부(18)에 입광(入光)하여, 절단 부분(20b) 부근에서 반사된 수광량이 증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형 부재(2)의 이송량의 보정을 반송부(14)에 의해 행하였으나, 접착부(11)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접착부(11)를 이동시킴으로써, 접착 기준 위치(10)를 하프 커트 라인(20b)에 위치 맞춤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착 기준 위치(10)를, 가압 헤드(110)의 상류측의 단부와 일치하는 위치로 설정하였으나, 다른 위치, 예컨대, 가압 헤드(110)의 상류측의 단부보다 상류측의 위치에 설정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새로운 테이프형 부재(2)를 접착 장치(1)에 세팅한 시점에서, 점착 테이프(21)의 선두 부분이 되는 절단 부분(20)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형상으로 하였으나, 세팅 시점에서 절단 부분(20)이 테이프형 부재(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21)의 헤드 도출 동작은, 상기한 단계 S01∼S03으로 충분하다.
1: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10: 접착 기준 위치
11: 접착부 110: 가압 헤드
111: 스테이지 부재 111a: 지지면
112: 스로 어웨이 플레이트 12: 공급부
120: 공급 릴 121: 텐션 기구
121a: 고정 롤러 121b: 가동 롤러
122: 경로 롤러 13: 회수부
130: 회수 릴 131: 경로 롤러
14: 반송부 140: 이송 롤러
15: 박리부 150, 151: 박리봉
16: 절단부 160: 커터
161: 백업 부재 161a: 평탄면
17: 조명부 18: 촬상부
19: 제어부 190: 접착 제어부
191: 텐션 기구 제어부 192: 박리 제어부
193: 절단 제어부 194: 조명 제어부
195: 촬상 제어부 196: 판정부
197: 반송 제어부 2: 테이프형 부재
20: 점착 테이프의 절단 부분 20a: 점착 테이프의 선두 부분
20b: 하프 커트 라인 21: 점착 테이프
22: 이형 테이프 300: 기판

Claims (9)

  1. 이형(離型) 테이프에 점착 테이프가 접착된 테이프형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접착 대상물에 대해, 상기 점착 테이프의 상기 이형 테이프와는 반대측의 접착면을 접착하는 접착부와,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접착부로 이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테이프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테이프측에 배치되고, 광축이, 상기 접착부에 대해 설정된 접착 기준 위치로 향해지며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접착면의 수선(垂線) 방향에 대해, 미리 설정한 각도로 사교(斜交)하여 설치되어 있는 조명부와,
    광축을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맞추고, 상기 테이프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테이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된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테이프형 부재의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절단 부분의 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 설치된 커터를 갖고, 상기 테이프형 부재의 상기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여 상기 절단 부분이 되는 하프 커트 라인을 형성하는 절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부는,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오도록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이송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촬상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을 검지하고,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의 절단면의 형상의 양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지한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를 포함하는 허용 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커트 라인과 상기 접착 기준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반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이 상기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반송부는, 상기 반송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트 라인을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하프 커트 라인보다 하류측의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접착 대상물에 접착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접착부에 의한 접착 후의 상기 테이프형 부재를 촬영하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착 기준 위치의 전후에,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정한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유무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의 헤드 도출의 양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화상을 그레이 스케일화하여, 상기 절단 부분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광축이 상기 접착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접착면의 수선 방향에 대해 60°~ 85°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백색광 또는 녹색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KR1020190029134A 2018-03-29 2019-03-14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KR102214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3716A JP7131938B2 (ja) 2018-03-29 2018-03-29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
JPJP-P-2018-063716 2018-03-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270A Division KR20210016009A (ko) 2018-03-29 2021-02-03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762A true KR20190114762A (ko) 2019-10-10
KR102214899B1 KR102214899B1 (ko) 2021-02-10

Family

ID=6811282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134A KR102214899B1 (ko) 2018-03-29 2019-03-14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KR1020210015270A KR20210016009A (ko) 2018-03-29 2021-02-03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KR1020210145558A KR102365982B1 (ko) 2018-03-29 2021-10-28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270A KR20210016009A (ko) 2018-03-29 2021-02-03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KR1020210145558A KR102365982B1 (ko) 2018-03-29 2021-10-28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7131938B2 (ko)
KR (3) KR102214899B1 (ko)
CN (2) CN113511547B (ko)
TW (2) TWI804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1049B (zh) * 2021-07-19 2023-06-02 武义聚创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贴胶机
CN113996599B (zh) * 2021-09-30 2023-07-11 歌尔股份有限公司 脏污粘结清理机构、产品脏污清理及检测装置
CN116062536A (zh) * 2023-02-07 2023-05-05 珠海芯烨电子科技有限公司 双面胶贴装组件、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394A (ja) * 2001-06-08 2002-12-20 Canon Inc 異方性導電膜と回路基板の位置合わせ装置、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異方性導電膜の供給装置
JP2004186387A (ja) 2002-12-03 2004-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方性導電材の貼付け装置および貼付け方法
JP2006210592A (ja) * 2005-01-27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貼付方法
JP2007030085A (ja) * 2005-07-25 2007-02-08 Pioneer Electronic Corp 粘着フィルム切出装置、配線接続装置、粘着フィルム切出方法、配線接続方法及び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0422A (ja) * 1997-03-21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方性導電材の貼付け装置および貼付け方法
KR100292057B1 (ko) * 1998-09-30 2001-11-30 전주범 이방성전도필름의가압착장치및그이방성전도필름의절단장치
JP2000221140A (ja) 1999-02-02 2000-08-11 Canon Inc Acfテープ貼り付け検査方法
JP2001021333A (ja) 1999-07-08 2001-01-26 Seiko Epson Corp 異方性導電シートの貼り付け品質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4508084B2 (ja) * 2005-11-10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着テープ貼付検査方法
JP2008213150A (ja) * 2007-02-28 2008-09-18 Fujifilm Corp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514829B2 (ja) * 2007-03-30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作業装置、粘着テープ貼付装置およびテープ部材の追加方法
JP5010493B2 (ja) * 2008-02-05 2012-08-29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の転着方法
JP5190024B2 (ja) * 2009-05-27 2013-04-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Acf貼付装置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
JP2011007695A (ja) 2009-06-26 2011-01-1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貼付状態検出装置
JP4769341B2 (ja) * 2009-07-03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貼り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貼り付け方法
CN102192909A (zh) * 2010-03-12 2011-09-21 深圳市先阳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的激光切割质量检测系统
JP6040417B2 (ja) 2012-05-31 2016-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cf貼着装置及びacf貼着方法
JP6122311B2 (ja) * 2013-02-28 2017-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切断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片切断装置
KR101879378B1 (ko) * 2016-03-30 2018-07-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JP6792366B2 (ja) * 2016-07-22 2020-11-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394A (ja) * 2001-06-08 2002-12-20 Canon Inc 異方性導電膜と回路基板の位置合わせ装置、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異方性導電膜の供給装置
JP2004186387A (ja) 2002-12-03 2004-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方性導電材の貼付け装置および貼付け方法
JP2006210592A (ja) * 2005-01-27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貼付方法
JP2007030085A (ja) * 2005-07-25 2007-02-08 Pioneer Electronic Corp 粘着フィルム切出装置、配線接続装置、粘着フィルム切出方法、配線接続方法及び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72327A (ja) 2019-10-10
KR20210016009A (ko) 2021-02-10
TWI804023B (zh) 2023-06-01
JP7427055B2 (ja) 2024-02-02
CN110316604A (zh) 2019-10-11
KR20210134273A (ko) 2021-11-09
TWI746954B (zh) 2021-11-21
JP2022176189A (ja) 2022-11-25
KR102365982B1 (ko) 2022-02-23
TW202208267A (zh) 2022-03-01
CN113511547B (zh) 2023-10-20
CN113511547A (zh) 2021-10-19
JP2024036396A (ja) 2024-03-15
JP7131938B2 (ja) 2022-09-06
TW201942992A (zh) 2019-11-01
KR102214899B1 (ko) 2021-02-10
CN110316604B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982B1 (ko)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JP4809481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11010805B (zh) 一种led灯珠固定方法、led灯带及移动终端
JP2011199056A (ja) Fpd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
JP4273683B2 (ja) Acf貼着有無検出方法
JP200402105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を液晶パネルに圧着する方法及び装置
JP5022507B1 (ja) 製品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検出システム及び検出方法
JP4254085B2 (ja) 液晶パネル基板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5021394B2 (ja) Acf貼付け装置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
JP3939159B2 (ja) テープ部材の貼着状態検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ープ部材貼着装置
JP5424976B2 (ja) Fpd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
JP7175647B2 (ja)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粘着テープの貼着方法
KR20040107440A (ko)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의 검사장치 및검사방법
JP2020107739A (ja) シート状粘着材の貼付け方法およびシート状粘着材の貼付け装置
JP2006210592A (ja) テープ貼付方法
JP5325669B2 (ja) Acf貼着装置
JP2012227194A (ja) Fpdモジュール組立装置及び時間認識方法
JP4660178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CN111383985A (zh) 片状粘合材料的切断方法和片状粘合材料的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