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94A -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894A
KR20190107894A KR1020180029201A KR20180029201A KR20190107894A KR 20190107894 A KR20190107894 A KR 20190107894A KR 1020180029201 A KR1020180029201 A KR 1020180029201A KR 20180029201 A KR20180029201 A KR 20180029201A KR 20190107894 A KR20190107894 A KR 2019010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nopausal symptoms
symptoms
female
female menopau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335B1 (ko
Inventor
장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8002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3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2Antioestrog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효과, 골밀도 증가 효과 등으로 확인된 여성갱년기 증상의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는 식품 기반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건강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woman climacterium symptoms comprising Glycine soja seed}
본 발명은 돌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폐경 후 에스트로겐의 급속한 감소로 인하여 여러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맞게 되는데, 이를 여성갱년기라 한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자궁, 질, 골격근 및 심혈관계에서 이화작용 및 활성작용과 같은 필수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므로(Couse and Korach, 1999; Korach et al., 1995), 적절한 배란, 난자의 수정, 임신뿐 아니라, 뼈 구조와 콜레스테롤 조절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난소의 기능 평가에도 작용한다. 따라서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여성 갱년기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주요 여성 갱년기의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빈맥, 발한 또는 두통과 같은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 빈뇨 또는 요실금, 자궁과 질의 위축과 같은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 시력감퇴 및 피부와 모발의 변화와 같은 일반적인 증상들이 알려져 있다.
현재 여성 갱년기 증상에 대해서는 에스트로겐 단독 또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복합제의 투여가 거의 유일한 치료법인데, 이를 호르몬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이라고 한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을 사용한 대체요법의 경우 체내에 인위적인 호르몬 투여로 인한 거부반응과 자궁출혈, 뇌졸중, 심장발작, 유방암 및 자궁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waran L., et al., Obstetrics & Gynecology, 91, 678-684, 1998). 호르몬 대신 비스테로이드계 약물을 이용한 약물요법의 경우도 대부분 두통,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여성호르몬과 유사하면서도 여성호르몬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의 발생 위험이 낮은 후보물질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돌콩(Glycine soja Siebold & Zucc.)은 콩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길이는 2m이며 전체에 갈색의 거친 털이 난다. 잎은 호생이고 잎자루는 길며 3출엽이다. 열매는 2~3cm로 털이 많고 콩꼬투리와 비슷하며,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신장형 비슷하며 약간 편평하다(이영노. 원색한국식물도감,(주)교학사, 403p, 1998). 돌콩은 이명으로 갱미두, 녹곽으로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야대두등(野大豆藤), 야료두(野料豆)로 불리운다(안덕균,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728p, 2000). 돌콩은 콩(Glycine max)의 기원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현재 식용 가능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실제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자연계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강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어 콩의 유전적 개량 연구 등을 위해 일부 재배되기도 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27728호에서는, 저농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콩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이 혈액순환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비만상태를 개선시키며, 당뇨, 고지혈증 등의 예방, 증상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선등록 특허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400368호에서는, 돌콩 증자분말 또는 추출물을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혈당강하 소재로 이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2556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8334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9483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2651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5821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8612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06477호
본 발명은 돌콩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돌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돌콩 추출물은 돌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갱년기 증상은, 바람직하게는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고지혈증, 골다공증, 정맥혈전증,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위축성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및 골다공증 중 어느 하나의 증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돌콩을 사용한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골 밀도 증가 등으로 확인된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는 식품 기반의, 효과가 우수한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건강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를 사용하여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에 미치는 돌콩 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를 사용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골다공증에 대한 돌콩 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돌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돌콩"은 학명 'Glycine soja Siebold & Zucc.'로, 콩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이며, 이명으로 갱미두, 녹곽 등으로 불리고, 생약명으로 야대두등(野大豆藤), 야료두(野料豆)로 불리는 식물로 정의된다. 돌콩 열매는 2~3cm로 털이 많고 콩꼬투리와 비슷하다. 돌콩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신장형 비슷하며 약간 편평한데, 본 발명에서 "돌콩"은 바로 이 돌콩 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돌콩은 자연계에서 자생하는 것이나 재배된 것 모두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여성갱년기 증상'은 여성의 폐경기에 나타나는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증상으로 정의된다.
상기 돌콩 추출물은 돌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에는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추출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돌콩을 분말화 한 후 70% 에탄올을 가하고 70~90℃에서 2~5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여 돌콩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온도와 추출시간은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는 물론 상기 범위 밖으로도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여성갱년기 증상은 바람직하게는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고지혈증, 골다공증, 정맥혈전증,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위축성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및 골다공증 중 어느 하나의 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혈중 에스트로겐을 증가시키고 골밀도 증가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정상 랫트에 비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에서는 에스트라디올의 혈청내 농도가 감소되었으나, 돌콩 추출물을 투여하면 감소된 에스트라디올의 혈청내 농도가 다시 증가되었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에서는 정상 랫트에 비하여 골 밀도 증가비율이 저하되었으나, 돌콩 추출물을 투여하면 다시 골 밀도 증가율이 개선되었다. .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골 밀도 증가 등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여성 갱년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여성 호르몬 저하 상태를 개선시키므로, 여성 갱년기 증상을 예방, 개선,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식품 기반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건강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는 약제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공지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관련 법률의 정의에 국한되지 않고 소비자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건강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은, 약제나 식품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 또는 음료 등에 첨가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분말음료, 고형물, 츄잉검, 차, 비타민 복합제, 식품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에 따른 투여량 조절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용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체중 60kg인 성인을 기준으로 1일 1∼2,000m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성갱년기 증상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1일 5∼5,000m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돌콩추출물의 제조
사용한 돌콩은 경북 문경시 우지동에서 자생하는 돌콩을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돌콩 1kg을 분말화 한 후 70% 에탄올 10 L를 가하였다.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회전증발 농축기로 감압 건조하여 돌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실험
SD (Sprague-Dawley)계 7주령의 암컷 랫트를 (주)샘타코바이오코리아로부터 구입하여 2주 동안 사육장과 조제사료에 순화기간을 거쳐 건강한 동물만을 골라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택된 9주령의 암컷 SD 랫트의 복부 아래쪽 가운데 구역에 1-2cm 정도 피부 절개 후 포셉(forcep)을 이용하여 난소(ovary)와 난관(oviduct) 등을 견인하여 절제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작된 모델 랫트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돌콩 추출물을 일일 200 mg/kg 또는 400 mg/kg 용량으로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4주 후, 정상군 암컷 SD 랫트,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 또는 상기 돌콩 추출물을 투여한 랫트를 대상으로 채혈한 다음, 채혈된 혈청내 에스트라디올(에스트로겐의 일종)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은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를 이용하여, 여성 호르몬 저하에 대한 돌콩 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정상 랫트에 비하여,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에서는 에스트라디올의 혈청내 농도가 감소되었고, 상기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에 돌콩 추출물을 투여하면 감소된 에스트라디올의 혈청내 농도가 다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돌콩 추출물은 여성 갱년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여성 호르몬 저하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골밀도 증가율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된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와 상기 모델 랫트에 실시예 1에서 얻은 돌콩 추출물을 200 mg/kg 및 4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랫트를 대상으로 골 밀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상기 각 랫트로부터 대퇴골을 분리하여 주변 근육을 제거하였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μCT 분석을 통해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대퇴골 원위부 골단에서 골의 전체 면적(TV)에 대한 해면골의 부피(BV)를 산출하여 골 부피 밀도(Bone volume density, BV/TV (%))를 산출하고, 이의 상대적 비율(골 밀도 증가비율)을 계산하여 골다공증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정상 랫트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듯이,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폐경기 유발군)의 경우에는 정상 랫트에 비하여, 골 밀도 증가비율이 저하되었으나, 돌콩 추출물을 투여한 랫트에서는 여성 갱년기 질환 모델 랫트에 비하여, 골 밀도 증가비율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돌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콩 추출물은 돌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갱년기 증상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안면홍조, 발한, 피부건조, 고지혈증, 골다공증, 정맥혈전증, 질건조증, 질위축, 하부 요도 위축, 위축성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및 골다공증 중 어느 하나의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80029201A 2018-03-13 2018-03-13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65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01A KR102652335B1 (ko) 2018-03-13 2018-03-13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01A KR102652335B1 (ko) 2018-03-13 2018-03-13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94A true KR20190107894A (ko) 2019-09-23
KR102652335B1 KR102652335B1 (ko) 2024-03-28

Family

ID=6806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01A KR102652335B1 (ko) 2018-03-13 2018-03-13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3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702A (ko) * 2006-04-06 2006-04-26 김윤규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과 이의조성물
KR101225566B1 (ko) 2011-08-11 2013-01-23 유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50026517A (ko) 2013-09-03 2015-03-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58212A (ko) 2014-10-31 2016-05-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683344B1 (ko) 2014-10-27 2016-12-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카르노식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6120A (ko) 2014-11-28 2017-07-25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성호르몬 밸런스의 붕괴에 기인하는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제
KR101794836B1 (ko) 2016-04-12 2017-11-07 유한회사한풍제약 당귀, 천궁 및 육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06477A (ko) 2018-01-08 2018-01-17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702A (ko) * 2006-04-06 2006-04-26 김윤규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과 이의조성물
KR101225566B1 (ko) 2011-08-11 2013-01-23 유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50026517A (ko) 2013-09-03 2015-03-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83344B1 (ko) 2014-10-27 2016-12-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카르노식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8212A (ko) 2014-10-31 2016-05-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70086120A (ko) 2014-11-28 2017-07-25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성호르몬 밸런스의 붕괴에 기인하는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제
KR101794836B1 (ko) 2016-04-12 2017-11-07 유한회사한풍제약 당귀, 천궁 및 육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06477A (ko) 2018-01-08 2018-01-17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CBS한방으로 풀어보는 건강법-갱년기장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335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CN104351573A (zh) 一种治疗奶牛缺乳症的配合饲料及制备方法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579845B1 (ko) 남성호르몬 증가, 지구력 및 근력 증가, 체지방 및 혈중지질 감소,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 증가를 통해 남성갱년기 증상인 무기력증과 활력저하, 근력저하, 체지방량 증가, 피로감 및 스트레스 증가를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 호로파 또는 호로파를 함유하는 복합조성물
KR102065934B1 (ko) 쥐눈이콩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515915B1 (ko) 갱년기 장애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물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CN104398991A (zh) 一种治疗奶牛缺乳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043886A (ko) 괴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1600751B1 (ko) 녹용을 함유하는 여성 불임증 치료용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JP6655189B2 (ja) ブドウ種子抽出物、バレリアン抽出物及びベニバナ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女性更年期症状予防及び改善用食品組成物
JP4993817B2 (ja) 骨代謝改善剤及び骨粗鬆症の予防又は治療用飲食物
KR102391691B1 (ko)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KR102652335B1 (ko)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7208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AU2007205284A1 (en) Herbal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climacteric symptoms and use thereof
CN106617038B (zh) 一种改善男性尿频、尿失禁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657439C2 (ru) Экстракт семян со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я экстракта семян сои,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пролиферации нейронов,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и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варианты)
KR20190098080A (ko) 복합 발효 하수오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020033452A (ko) 항비만 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41649B1 (ko) 엉겅퀴, 우슬, 칡, 아로니아, 석류, 하수오 및 생강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