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42A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42A
KR20190106242A KR1020180027434A KR20180027434A KR20190106242A KR 20190106242 A KR20190106242 A KR 20190106242A KR 1020180027434 A KR1020180027434 A KR 1020180027434A KR 20180027434 A KR20180027434 A KR 20180027434A KR 20190106242 A KR20190106242 A KR 2019010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ing element
turned
sensing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564B1 (ko
Inventor
최상복
김성욱
박경배
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564B1/ko
Priority to PCT/KR2019/001340 priority patent/WO2019172532A1/ko
Priority to CN202210356346.XA priority patent/CN114704994B/zh
Priority to AU2019232055A priority patent/AU2019232055B2/en
Priority to EP19763443.9A priority patent/EP3764033A4/en
Priority to CN201980016711.9A priority patent/CN111801539B/zh
Publication of KR2019010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42A/ko
Priority to US17/012,993 priority patent/US202100550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공기의 유량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는 센서의 발열 소자가 일정 시간 온된 후 오프되는 단계;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제1감지온도(Ht1)와,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제2감지온도(Ht2)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본 명세서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가 다시 상기 저장실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수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될 때, 수분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결되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성에가 생성된다.
상기 성에는 공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되는 성에의 양이 많을 수록 성에가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어,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고 소비 전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수단을 더 포함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0-0004806에는 제상주기 가변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서는, 압축기의 누적 운전 시간과 외기 온도를 이용하여 제상주기를 조절한다.
그런데, 선행문헌과 같이 단지 압축기의 누적 운전 시간과 외기 온도를 이용하여 제상주기를 결정하는 경우, 실제 증발기의 성에의 양(이하 "착상량" 이라함)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제상이 필요한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냉장고 사용패턴, 공기가 수분을 머금은 정도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서, 증발기의 착상량이 많거나 적을 수 있는데, 선행문헌의 경우, 이러한 다양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제상주기를 결정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선행문헌의 경우, 증발기의 국부적 착상량을 감지할 뿐, 증발기 전체의 착상 정도를 감지할 수 없어, 정확한 제상 시점을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착상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상이 시작되지 않아 냉방 성능이 저하되거나, 착상량이 적음에도 제상이 시작되어 불필요한 제상에 따른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라 달라지는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제상 운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출력 값이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른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의 정밀도가 낮아도 제상 시점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감지 로직이 적절한 시기에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의 일 제어방법은, 공기의 유량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는 센서의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감지된 발열 소자의 제1감지온도(Ht1)와,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된 발열 소자의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직후, 상기 센서의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이고,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직후, 상기 센서의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시간 동안의 최저 온도값이고,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후 최고 온도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이 냉각되는 동안 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송풍팬이 구동되는 동안 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소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될 경우,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2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2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2기준 차이값 미만인 경우, 적산된 저장실의 냉각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의 일 제어방법은, 발열 소자의 감지 온도들 중, 최저값인 제1감지온도(Ht1)와, 최고값인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이 냉각되는 동안 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송풍팬이 구동되는 동안 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는, 발열 소자와,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센서 및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발열 소자의 제1감지온도(Ht1)와,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발열 소자의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바이패스 유로에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상 필요 시점을 결정하므로,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의 정밀도가 낮아도 제상 시점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단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감지 로직이 적절한 시점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감소하고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 변화(예: 고내 부하)가 고려되므로,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
도 3은 냉기 덕트에서 유로 커버 및 센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의 열교환 공간과 바이패스 유로에서의 공기 유동을 주는 도면.
도 5는 바이패스 유로 내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센서 주변의 열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 필요 시점을 판단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의 발열 소자의 온/오프에 따른 발열소자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소자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냉기 덕트에서 유로 커버 및 센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은 냉장실 및 냉장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의 후측 공간에는 상기 저장실(11)로 공급된 냉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기 덕트(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측벽(13) 사이에는 증발기(30)가 배치된다. 즉,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후측벽(13)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30)가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222)이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는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측벽(13) 사이의 열교환 공간(222)으로 유동하여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되고, 상기 냉기 덕트(20)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저장실(11)로 공급된다.
상기 냉기 덕트(2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1덕트(210)와 ,상기 제1덕트(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덕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210)의 전면은 상기 저장실(11)을 바라보는 면이고, 상기 제1덕트(220)의 후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측벽(13)을 바라보는 면이다.
상기 제1덕트(210)와 상기 제2덕트(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덕트(210)와 상기 제2덕트(220) 사이에는 냉기 유로(2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덕트(220)에는 냉기 유입홀(2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덕트(210)에는 냉기 토출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212)에는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면, 상기 증발기(13)를 지난 공기가 상기 냉기 유입홀(221)을 통해 상기 냉기 유로(212)로 유입되고, 상기 냉기 토출홀(211)을 통해 상기 저장실(11)로 토출된다.
상기 냉기 덕트(20)와 상기 후측벽(13) 사이에 상기 증발기(30)가 위치되되,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냉기 유입홀(22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11)의 공기는 상승하면서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된 후에 상기 냉기 유입홀(221)로 유입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증가되면,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감소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서 변화되는 패러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30)의 제상 필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기 덕트(20)에는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기 위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바이패스되도록 하고, 공기의 유량에 따라 출력이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제상 필요 시점을 결정하는 착상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상 감지 장치는,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는 적어도 일부가 바이패스 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230)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상에 위치되는 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제1덕트(210)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가 상기 제2덕트(2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제1덕트(210) 또는 상기 제2덕트(220)의 일부가 상기 증발기(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냉기 덕트(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공간(222)의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바이패스 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는 상기 증발기(30)의 좌우 폭 범위 내에서 상기 증발기(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착상 감지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가 상기 열교환 공간(222)과 구획되도록 하기 위한 유로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260)는 상기 냉기 덕트(20)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바이패스 유로(2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커버(260)는, 커버 플레이트(261),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262)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261)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리어(2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의 열교환 공간과 바이패스 유로에서의 공기 유동을 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착상 전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고, 도 4의 (b)는 착상 후의 공기 유동을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가 착상 전의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에 성에가 존재하지 않거나 착상량이 현저히 적은 경우에는 공기의 대부분이 상기 열교환 공간(222)에서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한다(화살표 A 참조). 반면,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할 수 있다(화살표 B 참조).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제상이 필요한 경우임), 상기 증발기(30)의 성에가 유로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들고(화살표 C 참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증가된다(화살표 D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또는 유속)이 달라진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 변화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지고, 이러한 출력값 변화에 기초하여 제상 필요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270)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바이패스 유로 내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에 따른 센서 주변의 열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내의 일 지점에 상기 센서(27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량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여 출력값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입구(231)와 출구(232) 각각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270)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270)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 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센서(270)는 상기 증발기(30)의 좌우 폭 범위 내에서 상기 증발기(30)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센서(270)는 일 예로 발열 온도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270)는, 센서 피씨비(271)와, 상기 센서 피씨비(271)에 설치되는 발열 소자(273)와, 상기 센서 피씨비(271)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소자(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73)는, 전류를 인가하면 발열하는 저항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소자(274)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으면, 공기에 의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적어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높다.
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증가되므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낮게 된다.
상기 센서 피씨비(271)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피씨비(271)는 발열 소자(273)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일 예로 최대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다. 이 경우, 상기 발열 소자(273)의 열의 유동이 거의 없고,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는 양이 적다.
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다. 그러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열의 유동이 많고 냉각량이 많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에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에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 보다 작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가 기준 온도차 이하인 경우, 제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270)는, 착상량에 따라 유량이 가변되는 공기에 의해서 가변되는 발열 소자(273)의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므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가 직접 상기 센서 피씨비(271), 발열 소자(273) 및 상기 온도 센서(274)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270)는 센서 하우징(2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하우징(272)은 일측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피씨비(271)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고, 그 이후에 개구된 부분이 커버부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하우징(271)은 상기 센서 피씨비(271), 발열 소자(273) 및 상기 온도 센서(274)를 둘러쌀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앞서 설명된 센서(270)와, 상기 증발기(30)의 제상을 위하여 작동하는 제상 장치(50)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60)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70), 및 상기 센서(270), 제상 장치(50), 압축기(60) 및 송풍팬(7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상 장치(50)는 일 예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가 온되면 상기 히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증발기(30)로 전달되어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가 녹게 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증발기(3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증발기(30)와 인접한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0)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과포화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6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과포화 기상 냉매는, 응축기(미도시)로 유입되어 고온 고압의 포화 액상 냉매로 응축되고, 응축된 고온 고압의 포화 액상 냉매는, 팽창기(미도시)로 유입되어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된다.
그리고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는,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로 증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30)를 흐르는 냉매는 외부 공기, 즉 상기 열교환 공간(222)을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70)은 상기 냉기 유로(212)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70)이 회전되면, 상기 증발기(30)를 지난 공기가 상기 냉기 유입홀(221)을 통해 상기 냉기 유로(212)로 유입되고, 상기 냉기 토출홀(211)을 통해 상기 저장실(11)로 토출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일정 주기로 상기 센서(270)의 발열 소자(273)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을 위하여, 상기 발열 소자(273)가 일정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에는 상기 발열 소자(274)가 오프되고, 상기 감지 소자(274)는 오프된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씨비(263)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의 최대값이 상기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의 최대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 경우가 제상 필요한 경우로 판단되고, 상기 제어부(40)에 의해서 상기 제상 장치(50)가 온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센서 피씨비(263)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 상태의 온도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상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피씨비(263)와 상기 제어부(4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열 소자(273)를 이용하여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실(11), 일례로 냉동실이 냉각 운전되는 상태에서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상기 발열 소자(27)가 온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는 저장실(11)(예: 냉동실)의 냉각 운전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온될 수 있다.
여기서, 냉동실의 냉각 운전이 수행되는 상태란, 상기 압축기(60) 및 상기 송풍팬(70)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공기의 유량 변화가 커지게 되면, 상기 센서(260)에서의 감지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공기의 유량 변화가 크면, 상기 센서(27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량이 크게 되어 상기 제상 필요 시점의 판단이 정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 상태, 즉 상기 송풍팬(70)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을 감지하여야만 센서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 단계 S13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3)는 일정 시간 동안 온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감지 소자(273)에 의해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Ht1)가 감지된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되고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는 점점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는 점점 증가하다가 최고 온도점으로 수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증가된다. 그러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고 온도점이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어지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감소된다. 그러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고 온도점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시점에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이후 발열 소자(273)의 최저 온도값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15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 된다.
일례로, 상기 발열 소자(273)는 3분 동안 온된 후, 오프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가 급감하게 된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되고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는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는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특정 시점부터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다음, 단계 S17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가 감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시점에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이후 발열 소자(273)의 최고 온도값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19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된 온도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30)의 착상량를 판단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증가된다. 그러면, 감지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고 온도값은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저 온도값과, 최고 온도값의 온도 차이값은 커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어지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감소된다. 그러면, 감지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고 온도값은 높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저 온도값과, 최고 온도값의 온도 차이값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시 최저 온도값과, 최고 온도값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저 온도값과, 최고 온도값의 온도 차이값이 기준값 이하일 경우가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세부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 필요 시점을 판단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의 발열 소자의 온/오프에 따른 발열소자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증발기(30)의 착상 전의 냉동실의 온도 변화와 발열 소자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고, 도 11의 (b)는 증발기(30)의 착상 후의 냉동실의 온도 변화와 발열 소자의 변화를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상 운전이 완료된 후가 착상 전의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 상기 발열 소자(27)가 온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3)는 저장실(11)(예: 냉동실)의 냉각 운전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1과 같이, 상기 발열 소자(273)는 상기 송풍팬(70)이 구동되고 있는 시간 중 어느 시점(S1)에 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70)은 냉동실의 냉각을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60)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70)이 구동하면 상기 냉동실의 온도(Ft)는 낮아지게 된다.
반면에,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되면,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 즉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Ht)는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다음, 단계 S22에서, 상기 송풍팬(70)이 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70)는 증발기(30)의 착상량에 따라 유량이 가변되는 공기에 의해서 가변되는 발열 소자(273)의 온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센서(270)가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송풍팬(70)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단계 S23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1)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소자(273)는 일정 시간 동안 온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감지 소자(273)에 의해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1)가 감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시점에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Ht1)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직후의 온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감지 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의 최저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최초로 감지된 온도를 "제1감지온도(Ht1)"라 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24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 상태로 제1기준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 상태로 계속 유지되면, 상기 감지 소자(274)에서 감지되는 온도, 즉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Ht1)가 계속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는 점점 증가하다가 최고 온도점으로 수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 상태로 유지되는 제1기준시간(T1)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3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단계 S25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다.
도 11과 같이, 상기 발열 소자(273)는 제1기준시간(T1) 동안 온된 후, 오프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되면, 상기 발열 소자(273)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급속히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도(Ht)는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다만,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오프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는 점점 감소하다가 감소폭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다음, 단계 S26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2)를 감지한다.
즉,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어느 시점(S2)에서, 상기 감지 소자(273)에 의해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2)가 감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시점에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2)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직후의 온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발열 소자의 감지 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최고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두 번째로 감지된 온도를 "제2감지온도(Ht2)"라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되는 시점(S1)에 최초로 감지되고, 이후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되는 시점(S2)에 추가로 감지된다. 이때, 최초로 감지되는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의 최저 온도가 되고, 추가로 감지되는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최고 온도가 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27에서, 온도 안정화 상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온도 안정화 상태란, 고내 부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 즉 저장실의 냉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온도 안정화 상태가 되었다는 것은, 일례로 냉장고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저장실 냉각을 위한 부품(예: 압축기, 증발기 등) 또는 센서(270)에 결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온도 안정화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센서(270)가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안정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냉동실 온도의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르게, 온도 안정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증발기(30) 온도의 변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냉동실 온도 또는 증발기(30) 온도의 변화량이 1.5도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를 온도 안정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직후에는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가 급감하고, 이후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는 서서히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가 급감한 이후 정상적으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온도 안정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안정화 상태가 이루어지면, 단계 S28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감지된 온도(Ht1)와,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된 온도(Ht2)의 온도 차이값(△Ht)을 계산한다.
그리고 단계 S29에서, 상기 온도 차이값(△Ht)이 제1기준 온도값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230)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발열 소자(273)의 냉각량이 증가된다. 냉각량이 증가되면,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직후 감지된 발열 소자의 온도(Ht2)는,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적을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결국,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을 경우, 상기 온도 차이값(△Ht)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온도 차이값(△Ht)을 통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준 온도값은 일례로 32도가 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온도 차이값(△Ht)이 제1기준 온도값 미만이면, 단계 S30에서, 제상 운전을 수행한다.
제상 운전이 수행되면, 상기 제상 장치(50)가 구동되고 히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증발기(30)로 전달되어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가 녹게 된다.
한편, 단계 S27에서, 온도 안정화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단계 S29에서, 상기 온도 차이값(△Ht)이 제1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제상 운전을 수행하지 않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차이값(△Ht)을 착상 감지를 위한 "로직 온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로직 온도는, 냉장고의 제상 운전 시점을 결정하는 온도로 이용될 수 있고, 후술되는 발열 소자(273)의 온 시점을 결정하는 온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소자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0에서 발열 소자(373)가 온되는 시점(단계 S21)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방법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단계 S31에서, 상기 발열 소자(27)가 오프된다. 여기서, 단계 S31은 앞서 설명된 도 10의 단계 S25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단계 S25 이후의 제어방법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7)가 오프되면, 단계 S32에서, 상기 로직 온도(△Ht)가 제2기준 온도값 미만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상기 로직 온도(△Ht)가 제2기준 온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상기 제2기준 온도값은 35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1기준 온도값이 32도인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때, 상기 제2기준 온도값은 상기 제1기준 온도값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상 운전이 완료되더라도,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이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을 다시 감지한다.
상기 로직 온도(△Ht)가 제2기준 온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33에서, 적산된 냉동실의 운전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2기준시간은 일례로 1시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로직 온도(△Ht)가 제2기준 온도값 미만이면, 단계 S34에서, 송풍팬(70)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송풍팬(70)이 구동되는 경우, 단계 S35에서 온도 안정화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온도 안정화 상태가 이루어지면, 단계 S36에서, 발열 소자(273)를 온한다.
여기서, 온도 안정화 상태란, 고내 부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 또는 저장실의 냉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온도 안정화 상태가 되었다는 것은, 일례로 냉장고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저장실 냉각을 위한 부품(예: 압축기, 증발기 등) 또는 센서(270)에 결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안정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 소자(273)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할 수 있다. 일례로, 온도 안정화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열 소자(273)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도 안정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온/오프되는 시점은, 상기 송풍팬(70)이 온되는 시점(S0)일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70)이 온되는 직후, 상기 발열 소자(273)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70)이 구동되면, 상기 발열 소자(273)는 10초마다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 냉동실 온도(Ft) 및 발열 소자 온도(Ht)의 온도 변화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냉동실 온도(Ft) 및 발열 소자 온도(Ht)의 온도 변화량이 제3기준 온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제3기준 온도값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0.5도일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상기 송풍팬(70)은 구동 중이므로, 상기 냉동실 온도(Ft)는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Ht)는, 상기 발열 소자(273)의 온/오프에 의해서 일정량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된 냉동실 온도(Ft) 변화량 및 발열 소자의 온도(Ht) 변화량이 제3기준 온도값 미만인 경우를 온도 안정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2에서, 로직 온도가 제2기준 온도값 이상이거나, 단계 S33에서, 적산된 운전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31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단계 S34에서, 송풍팬이 구동되지 않거나, 단계 35에서, 온도 안정화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단계 S31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감지된 제1감지온도(Ht1)와,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된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가 감지되되, 상기 발열 소자의 감지 온도들 중, 최저값인 제1감지온도(Ht1)와, 최고값인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오프된 상태에서 발열 소자의 온도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발열 소자(273)가 온된 상태에서의 감지 온도(Ht1,Ht2)를 통해, 상기 증발기(30)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바이패스 유로에 증발기의 착상량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상 필요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착상량이 많을 경우 신속한 제상 운전이 가능해지고, 착상량이 적을 경우 제상이 시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 냉장고 11: 저장실
12: 인너 케이스 20: 냉기 덕트
30: 증발기 40: 제어부
50: 제상 장치 60: 압축기
70: 송풍팬 270: 센서
273: 발열 소자 274: 감지 소자

Claims (20)

  1. 공기의 유량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는 센서의 발열 소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되는 단계;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제1감지온도(Ht1)와,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제2감지온도(Ht2)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직후, 상기 센서의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직후, 상기 센서의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시간 동안의 최저 온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후 최고 온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이 냉각되는 동안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송풍팬이 구동되는 동안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될 경우,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2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2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2기준 차이값 미만인 경우, 적산된 저장실의 냉각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가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 오프될 경우, 적산된 저장실의 냉각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공기의 유량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는 센서의 발열 소자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는 단계;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발열 소자의 감지 온도들 중, 최저값인 제1감지온도(Ht1)와, 최고값인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온도(Ht1)와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이 제1기준 차이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이 냉각되는 동안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송풍팬이 구동되는 동안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 내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냉기 덕트;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는 증발기;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바이패스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는 발열 소자와, 상기 발열 소자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센서; 및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발열 소자의 제1감지온도(Ht1)와,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발열 소자의 제2감지온도(Ht2)의 온도 차이값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착상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직후, 상기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직후, 상기 감지 소자에서 감지되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온도(Ht1)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온된 시간 동안의 최저 온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온도(Ht2)는, 상기 발열 소자가 오프된 후 최고 온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027434A 2018-03-08 2018-03-08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14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34A KR102614564B1 (ko) 2018-03-08 2018-03-08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01340 WO2019172532A1 (ko) 2018-03-08 2019-01-31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202210356346.XA CN114704994B (zh) 2018-03-08 2019-01-31 冰箱
AU2019232055A AU2019232055B2 (en) 2018-03-08 2019-01-31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763443.9A EP3764033A4 (en) 2018-03-08 2019-01-31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PROCESS
CN201980016711.9A CN111801539B (zh) 2018-03-08 2019-01-31 冰箱及其控制方法
US17/012,993 US20210055034A1 (en) 2018-03-08 2020-09-04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34A KR102614564B1 (ko) 2018-03-08 2018-03-08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42A true KR20190106242A (ko) 2019-09-18
KR102614564B1 KR102614564B1 (ko) 2023-12-18

Family

ID=6784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34A KR102614564B1 (ko) 2018-03-08 2018-03-08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55034A1 (ko)
EP (1) EP3764033A4 (ko)
KR (1) KR102614564B1 (ko)
CN (2) CN114704994B (ko)
AU (1) AU2019232055B2 (ko)
WO (1) WO2019172532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10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07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06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09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WO2022030808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76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82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81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77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0231A (ko)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0232A (ko)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78B1 (ko) * 2018-03-26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04129B1 (ko) * 2018-03-26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65398B1 (ko) * 2019-01-10 202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30194B1 (ko) 2019-01-10 202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904A (en) * 1966-01-21 1967-12-05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uid velocity sensing
JPS59185968A (ja) * 1983-04-08 198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霜詰り検知装置
JPS60226688A (ja) * 1984-04-26 1985-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除霜制御装置
JPS6152578A (ja) * 1984-08-22 1986-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霜詰り検知方式
JPH01312378A (ja) * 1988-06-10 1989-12-18 Toshiba Corp 熱交換器の霜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457A (en) * 1970-11-20 1972-0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Frost detector for refrigeration system
SE7710529L (sv) * 1977-01-03 1978-07-04 Electric Power Res Inst Avfrostningsanordning for vermepumpar
JPS59180265A (ja) * 1983-03-30 1984-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霜詰り検知装置
DE3444171A1 (de) * 1984-12-04 1986-06-05 Fritz Eichenauer GmbH & Co KG, 6744 Kandel Fuehlereinrichtung zum erkennen von reifniederschlaegen
JPH07110183A (ja) * 1993-10-15 1995-04-2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制御装置
IL109278A (en) * 1994-04-11 1996-08-04 Meitav Contr & Regulation Circ Defrost control system
JPH08303932A (ja) * 1995-05-08 1996-11-22 Fuji Electric Co Ltd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装置
WO1997029332A1 (fr) * 1996-02-06 1997-08-14 Ishizuka Electronics Corporation Detecteur de formation de givre
TW446106U (en) * 1998-02-20 2001-07-11 Matsushita Refrigeration Co Lt Refrigerator having a cooler mounted in each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KR100292187B1 (ko) 1998-06-30 2001-11-26 전주범 제상주기가변방법
KR100547421B1 (ko) * 1998-09-04 2006-04-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결빙감지장치
JP2000205737A (ja) * 1999-01-19 2000-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US6467282B1 (en) * 2000-09-27 2002-10-22 Patrick D. French Frost sensor for use in defrost controls for refrigeration
KR100487155B1 (ko) * 2002-01-14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E10315523A1 (de) * 2003-04-04 2004-10-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adaptiver Abtauautomatik und Abtauverfahren dafür
KR20090103233A (ko) * 2008-03-28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JP5093263B2 (ja) * 2010-02-24 2012-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120022315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시스템 및 그의 제상 제어 방법
JP5327363B2 (ja) * 2012-06-21 2013-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9557091B1 (en) * 2013-01-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Split air pathway
WO2014137060A1 (ko) * 2013-03-04 2014-09-12 주식회사 두텍 바이패스 공기 흐름 측정에 의한 증발열교환기의 제상시점 검출장치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20160027761A (ko) * 2014-09-02 2016-03-1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냉장고 제상시기 검출을 위한 성에 감지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상장치 및 방법
KR20160118748A (ko) * 2015-04-03 2016-10-12 유한회사 세계로냉동상사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에 의한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상시스템
KR101536284B1 (ko) * 2015-04-15 2015-07-14 주식회사 대일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기 제상작업용 적상감지센서
WO2017131426A1 (ko) * 2016-01-29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904A (en) * 1966-01-21 1967-12-05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uid velocity sensing
JPS59185968A (ja) * 1983-04-08 198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霜詰り検知装置
JPS60226688A (ja) * 1984-04-26 1985-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除霜制御装置
JPS6152578A (ja) * 1984-08-22 1986-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霜詰り検知方式
JPH01312378A (ja) * 1988-06-10 1989-12-18 Toshiba Corp 熱交換器の霜センサ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10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07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06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09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WO2022030808A1 (ko)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80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76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82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81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79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77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18178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20220018175A (ko)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0231A (ko)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00232A (ko) 2021-06-2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04994B (zh) 2023-12-29
AU2019232055A1 (en) 2020-10-15
CN111801539B (zh) 2022-04-26
KR102614564B1 (ko) 2023-12-18
US20210055034A1 (en) 2021-02-25
AU2019232055B2 (en) 2022-08-25
EP3764033A4 (en) 2021-12-01
CN114704994A (zh) 2022-07-05
WO2019172532A1 (ko) 2019-09-12
EP3764033A1 (en) 2021-01-13
CN111801539A (zh)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56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0412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210010738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2014619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003064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071520A (ja) 冷却貯蔵庫及びその圧縮機の制御方法
AU201931405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AU2015410544B2 (en) Refrigerator
US1187968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US20240011697A1 (en) Refrigerator
KR102126890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