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7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79A
KR20220018179A KR1020200098363A KR20200098363A KR20220018179A KR 20220018179 A KR20220018179 A KR 20220018179A KR 1020200098363 A KR1020200098363 A KR 1020200098363A KR 20200098363 A KR20200098363 A KR 20200098363A KR 20220018179 A KR20220018179 A KR 2022001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ation
fan
flow path
cold ai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배
최상복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179A/ko
Priority to PCT/KR2021/009253 priority patent/WO2022030807A1/ko
Priority to EP21853621.7A priority patent/EP4194777A4/en
Priority to US18/019,764 priority patent/US20230288124A1/en
Publication of KR2022001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상 감지를 위해 제공되는 착상 감지장치의 유체 출구가 냉각팬 주변의 압력 분포도를 고려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착상 감지장치에 대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착상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기열원의 착상 감지를 위한 유체 출구 위치의 최적 배치 지점을 제공함으로써 냉장고의 모델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착상 감지장치에 대한 용이한 설계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보관 대상물을 장시간 혹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이 구비되면서 상기 냉기를 생성 및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내 공기(고내를 순환하는 냉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고내 공기를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증발기는 상기 고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도중 고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나 습기 혹은, 증발기 주변에 존재하는 습기로 인해 그의 표면에 성에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냉장고의 운전이 시작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성에의 제거를 위한 제상 운전이 수행되었다.
즉, 종래에는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성에의 양(착상량)을 직접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 시간을 토대로 한 간접적인 추정을 통해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상 운전이 수행됨에 따른 소비 효율의 저하나, 착상이 과도하게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제상 운전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한 제상 운전은 히터를 발열시켜 증발기 주변 온도를 높임으로써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고, 이렇게 제상 운전이 수행된 이후에는 고내가 빠르게 설정 온도에 이르도록 큰 부하로 운전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클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제상 운전을 위한 시간 혹은, 제상 운전 주기를 단축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증발기 표면의 착상량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증발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대한 온도차이 혹은, 압력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9-0101669호, 공개특허 제10-2019-0106201호, 공개특허 제10-2019-0106242호, 공개특허 제10-2019-0112482호, 공개특허 제10-2019-0112464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전술된 기술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과는 별개의 유동을 갖도록 이루어진 바이패스 유로를 냉기 덕트에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차이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 차이를 측정하여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는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및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는 충분히 제공받으면서도 냉동실측 송풍팬의 구동에 따른 유동의 영향은 적게 받는 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술된 각 종래 기술들 중 공개특허 제10-2019-0101669호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가 송풍팬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한 영역(D3)의 외측 영역에 위치됨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제한 영역(D3)은 상기 송풍팬 직경(D2)의 1.5배 이상임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제한 영역(D3)은 압력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지정된 영역이기 때문에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 위치를 설계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 기술은 제한 영역이 송풍팬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영역으로 설정되었지만 실제 압력 분포는 비원형을 이룸과 더불어 압력분포의 중심 역시 상기 송풍팬의 중심과는 일치되지 않는 부위이다.
이를 고려한다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제한 영역을 기준으로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를 설계한다면 해당 출구의 위치가 극히 제한적으로 설계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송풍팬은 증발기의 직상방에 위치됨을 고려할 때 상기 송풍팬의 직하방측으로는 흡입 압력이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크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은 상기한 압력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유속의 영향만 고려된 설계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출구 위치의 결정에 미치는 제약이 많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팬덕트 조립체에는 단순히 하나의 송풍팬만 제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어에 제빙실이 위치되는 구조의 냉장고는 상기 팬덕트 조립체에 상기 제빙실로의 냉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송풍팬이 추가로 구비될 수가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의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한 영역은 사실상 상기 별도의 송풍팬에 따른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은 한정된 모델 혹은, 형태의 팬덕트 어셈블리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다는 설계상의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101669호 공개특허 제10-2019-0106201호 공개특허 제10-2019-0106242호 공개특허 제10-2019-0112482호 공개특허 제10-2019-011246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모델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착상 감지장치에 대한 용이한 설계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 위치를 최적화하여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아래의 각종 해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가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허용 최저 압력 영역(A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의 영향을 과도하게 받지 않게 되어 측정된 물성치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가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허용 최고 압력 영역(B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와 유체 입구 간의 압력 차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1덕트와 냉기열원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덕트로 유입되어 냉기열원으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로도 일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2덕트와 저장실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유로를 통과한 유체는 제2덕트를 통해 저장실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물성치는 온도,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확인센서가 센서 및 감지 유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 유도체가 물성치의 측정시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감지 유도체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포함될 수 있고,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센서는 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의 유동량에 따른 온도 차이값(로직 온도)(ΔHt)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기열원이 열전모듈이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열전모듈이 열전소자 및 싱크(sink)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기열원이 증발기 및 냉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가 72mm≤L≤3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의 압력 차이가 존재하면서도 제2증발기의 착상 유무에 따른 유속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72mm≤L≤2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착상의 발생시 유속이 빨라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72mm≤L≤115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착상의 발생시 유속이 더욱 빨라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더욱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115mm≤L≤3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착상이 미미할 경우의 유속이 느려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115mm≤L≤2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착상이 미미할 경우의 유속이 더욱 느려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더욱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제1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1유체유입구와 제2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입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출구가 제1팬의 구동에 따른 압력의 영향과 제2팬의 구동에 따른 압력의 영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유체 출구는 제1팬과 제2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출구는 제1팬의 반경(D1)*1.5배의 외측과 제2팬의 반경(D2)*1.5배의 외측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1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1)는 제1팬의 중심으로부터 제1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과도 음압 영역(A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되면서도 제1팬의 중심으로부터 제1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양압 영역(B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가깝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제2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과도 음압 영역(A2)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되면서도 제2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양압 영역(B2)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가깝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A1은 상기 A2에 비해 작고, 상기 B1은 상기 B2에 비해 작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1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1유체유입구는 상기 제2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입구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팬을 통해 제2저장실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제2팬을 통해 제3저장실로 송풍되는 공기량에 비해 더욱 많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1팬의 반경과 제2팬의 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팬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92mm≤L2≤3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높은 변별력을 가지는 물성치(유량차 혹은, 온도차)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92mm≤L2≤2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2증발기에 착상이 발생될 경우 유속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92mm≤L2≤135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2증발기에 착상이 발생될 경우 유속 차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135mm≤L2≤3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2증발기의 착상이 미미할 경우에도 최소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유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135mm≤L2≤2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2증발기의 착상이 미미할 경우에도 더욱 우수한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유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증발기의 양 측 끝단을 벗어나지 않은 부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의 착상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증발기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의 착상을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배치되는 지점의 압력(P0)은 허용 최저 압력(P1) 영역에 비해서는 높거나 같은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의 영향을 과도하게 받지 않게 되어 측정된 물성치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배치되는 지점의 압력(P0)은 허용 최고 압력(P2) 영역에 비해서는 낮거나 같은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의 영향을 과도하게 받지 않게 되어 측정된 물성치의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0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유로 내로의 과도한 공기 흡입력의 제공으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착상 감지유로 내로 공기가 흡입되지 않아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출구가 유체 입구에 비해 더욱 낮은 음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예기치 못한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유체 출구로 최소한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2.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출구가 유체 입구에 비해 더욱 낮은 음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예기치 못한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유체 출구로 충분한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1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출구가 과도하게 낮지 않은 음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예기치 못한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유체 출구로 최소한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0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출구가 양압 영역에 위치되더라도 과도하게 높지 않은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유체 출구로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0.6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출구가 양압 영역에 위치되더라도 과도하게 높지 않은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유체 출구로 최소한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형성된 부위가 그의 양 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편을 향해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체 출구가 냉각팬의 동작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제공받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혹은, 팬덕트 조립체)의 모델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최적의 유체 출구 위치를 결정하거나 혹은, 여타 구성요소를 고려한 유체 출구 위치의 결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2냉각팬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분포의 영향뿐 아니라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와 유체 입구 간의 압력 차이도 함께 고려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 위치에 대한 설계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출구의 설치 위치로 제공되는 영역이 착상 감지를 위한 최소한의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에 착상 감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각 저장실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운전 기준값에 따라 수행되는 운전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 및 증발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 내의 제2저장실 후방측 공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팬덕트 조립체의 후방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팬덕트 조립체에서 유로커버 및 센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팬덕트 조립체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팬덕트 조립체의 전방측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제2냉각팬의 동작시 압력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착상 확인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된 직후의 발열체 온/오프 및 각 냉각팬의 온/오프에 따른 착상 감지유로 내의 온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0은 도 19의 “A”부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운전시 제어부에 의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에 대한 착상이 진행되는 상태에서의 발열체 온/오프 및 각 냉각팬의 온/오프에 따른 착상 감지유로 내의 온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및 회수를 위한 안내덕트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유로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에 대한 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유로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착상 감지를 위해 제공되는 착상 감지장치의 유체 출구가 냉각팬 주변의 압력 분포도를 고려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착상 감지장치에 대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착상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냉각팬이 설치되는 유체유입구의 위치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이 유체유입구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압력 분포도를 고려하여 착상 감지유로를 이루는 유체 출구의 최적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이러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구조의 실시예 및 운전 제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케이스(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는 냉장고(1)의 고내 벽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inner-case)(11a) 및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outter case)(11b)가 포함되며, 이러한 케이스(11)에 의해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이 서로 다른 온도 영역으로 저장물을 저장하는 두 개의 저장실이 포함됨을 그 예로 한다.
이러한 저장실은 제1설정 기준온도로 유지되는 제1저장실(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저장물이 결빙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서도 냉장고(1)의 외부 온도(실내 온도)에 비해서는 낮은 온도 범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32℃ 이하 0℃ 초과의 고내온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실내온도 혹은,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32℃에 비해 더욱 높거나 혹은, 0℃에 비해 같거나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저장실(12)의 고내온도가 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지정된 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로 사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저장실(12)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1운전 기준값으로 운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운전 기준값은 제1하한온도(NT-DIFF1)과 제1상한온도(NT+DIFF1)가 포함되는 온도 범위값이다.
즉, 제1저장실(12) 내의 고내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제1하한온도(NT-DIFF1)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중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고내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제1상한온도(NT+DIFF1)에 이르기 전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제1저장실(12) 내부는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1저장실에 대한 제1운전 기준값을 고려하여 냉기가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된다.
이러한 설정 기준온도(NT)와 운전 기준값(DIFF)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제2설정 기준온도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1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규정된 온도가 사용된다.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저장물을 결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0℃ 이하 -24℃ 이상의 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실내 온도 혹은,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0℃에 비해 더욱 높거나 혹은, -24℃에 비해 같거나 더욱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저장실(13)의 고내온도가 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지정된 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저장실(13)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2운전 기준값으로 운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운전 기준값은 제2하한온도(NT-DIFF2)과 제2상한온도(NT+DIFF2)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저장실(13) 내의 고내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제2하한온도(NT-DIFF2)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중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내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제2상한온도(NT+DIFF2)에 이르기 전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제2저장실(13) 내부는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2저장실에 대한 제1운전 기준값을 고려하여 냉기가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된다.
특히, 상기 제1운전 기준값은 제2운전 기준값에 비해 상한온도와 하한온도 간의 범위가 더욱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운전 기준값의 제1하한온도(NT-DIFF1)와 제1상한온도(NT+DIFF1)는 ±2.0℃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운전 기준값의 제2하한온도(NT-DIFF2)와 제2상한온도(NT+DIFF2)는 ±1.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저장실에는 유체가 순환되면서 각 저장실(12,13) 내의 고내온도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는 공기가 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도 상기 저장실을 순환하는 유체가 공기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유체는 공기 이외의 기체가 될 수도 있다.
저장실 외부의 온도(실내온도)는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온도센서(1a)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상기 고내온도는 제2온도센서(1b)(첨부된 도 9 참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1a)와 제2온도센서(1b)는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실내온도와 고내온도는 동일한 하나의 온도센서로 측정되거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온도센서가 협력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2,13)에는 도어(12b,1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b,13b)는 저장실(12,13)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식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랍식의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2b,13b)는 하나 혹은, 그 이상 복수로 제공 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기열원이 포함된다.
상기 냉기열원은 냉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실에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냉기열원의 냉기를 생성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기열원은 열전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23)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흡열면(231)과 발열면(232)을 포함하는 열전소자(23a)와, 상기 흡열면(231)이나 발열면(23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싱크(sink)(23b)를 포함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열원의 냉기를 생성하는 구조가 증발기(21,22) 및 압축기(60)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상기 증발기(21,22)는 압축기(60)(첨부된 도 5 참조)와 응축기(도시는 생략됨) 및 팽창기(도시는 생략됨)와 함께 냉동시스템을 이루며, 해당 증발기를 지나는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상기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실이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을 포함할 경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저장실(1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증발기(21)와 상기 제2저장실(13)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증발기(2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증발기(21)는 상기 이너케이스(11a) 내부 중 상기 제1저장실(12) 내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증발기(22)는 상기 제2저정실(13) 내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저장실(12) 혹은, 제2저장실(13) 중 적어도 어느 한 저장실 내에만 증발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증발기가 두 개로 제공되더라도 해당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60)는 하나만 제공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60)는 제1냉매통로(61)를 통해 제1증발기(21)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제2냉매통로(62)를 통해 제2증발기(22)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냉매통로(61,62)는 냉매밸브(63)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냉기열원의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로는 냉각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은 냉기열원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12,13)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팬은 제1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제1저장실(12)에 공급하는 제1냉각팬(31)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냉각팬은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제2저장실(13)에 공급하는 제2냉각팬(41)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1덕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는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이다. 이러한 제1덕트는 후술될 제2덕트에 구비되는 흡입덕트(42a)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덕트(42a)의 안내에 의해 제2저장실(13)을 유동한 유체가 제2증발기(22)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덕트는 이너케이스(11a)의 바닥면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11a)의 바닥면 일부는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부위로부터 제2증발기(22)가 장착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이다.
이로써,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흡입덕트(42a)로부터 제2증발기(22)를 향해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2덕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는 상기 냉기열원을 이루는 제2증발기(22) 주변의 유체가 상기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이다.
이러한 제2덕트는 증발기(21,22)의 전방에 위치되는 팬덕트 조립체(30,40)가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팬덕트 조립체(30,40)는 제1저장실(12) 내에 냉기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팬덕트 조립체(30) 및 제2저장실(13) 내에 냉기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팬덕트 조립체(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21,22)가 위치되는 이너케이스(11a) 내의 팬덕트 조립체(30,40)와 이너케이스(11a)의 후벽면 사이 공간은 공기가 상기 증발기(21,22)와 열교환되는 열교환 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증발기(21,22)가 어느 한 저장실에만 제공되더라도 상기 팬덕트 조립체(30,40)는 각 저장실(12,13) 모두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21,22)가 두 저장실(12,13) 모두에 제공되더라도 상기 팬덕트 조립체(30,40)는 하나만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냉기열원의 냉기를 생성하는 구조가 제2증발기(22)이고, 냉기열원의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는 제2냉각팬(41)이며, 상기 제1덕트는 제2팬덕트 조립체(40)에 형성되는 흡입덕트(42a)이고, 제2덕트는 제2팬덕트 조립체(40)임을 예로 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팬덕트 조립체(40)에는 그릴팬(4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릴팬(42)에는 제2저장실(13)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42a)는 상기 그릴팬(42)의 하측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기계실로 인해 이너케이스(11a) 내의 바닥면과 후벽면 사이의 경사진 모서리 부위를 타고 흐르는 공기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42a)는 전술된 제1덕트의 일부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덕트(42a)에 의해 제2저장실(13)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제2증발기)(22)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팬덕트 조립체(40)에는 쉬라우드(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43)는 상기 그릴팬(42)의 후면에 결합되며, 이러한 쉬라우드(43)와 그릴팬(42) 사이에 제2저장실(13)로의 냉기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쉬라우드(43)에는 유체유입구(43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증발기(22)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유체유입구(43a)를 통해 그릴팬(42)과 쉬라우드(43) 사이의 냉기 유동을 위한 유로에 유입된 후 상기 유로의 안내를 받아 상기 그릴팬(42)의 각 냉기토출구(42b)를 통과하여 제2저장실(22) 내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냉기토출구(42b)는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팬(42)의 상측 부위와 중간측 부위 및 하측 부위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22)는 상기 유체유입구(43a)에 비해서는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첨부된 도 9 참조)된다.
한편, 상기 그릴팬(42)과 쉬라우드(43) 사이의 유로에는 상기 냉기열원을 구성하는 제2냉각팬(41)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냉각팬(41)은 쉬라우드(43)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43a)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제2저장실(22) 내의 공기는 흡입덕트(42a) 및 제2증발기(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유체유입구(43a)를 통해 상기 유로에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착상 감지장치(7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상 감지장치(70)는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 및 증발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 제2팬덕트 조립체에 착상 감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는 제2팬덕트 조립체(40)에 안내되는 유체의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면서 제2증발기(22)의 착상을 감지하는 장치임을 그 예로 설명한다.
상기 착상 감지장치(70)는 유체의 물성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2증발기(22)의 착상 정도를 인지하고, 이렇게 인지된 착상 정도를 토대로 제상 운전의 실행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성치는 온도,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상 감지장치(70)에는 착상 감지유로(7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는 제2증발기(22)의 착상을 확인하기 위한 착상 확인센서(730)가 구비되면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유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증발기(22)를 지나는 공기 유동 및 제2팬덕트 조립체(40) 내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과는 구획된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저장실(22)과 흡입덕트(42a)와 제2증발기(22) 및 제2팬덕트 조립체(40)를 순환하는 냉기의 유동 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덕트(흡입덕트)와 냉기열원(제2증발기)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는 제2팬덕트 조립체(40)를 이루는 그릴팬(42) 중 상기 제2증발기(22)와의 대향면에 함몰 형성되면서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팬(4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는 상기 그릴팬(42)과는 별개의 관체로 제조된 후 상기 그릴팬(42)에 고정(부착 혹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쉬라우드(43)에 형성 혹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는 제2증발기(22)에 대향되는 후방측 부위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렇게 개방된 후방측 부위 중 유체 입구(711) 및 유체 출구(71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유로커버(720)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입구(711)는 상기 흡입덕트(42a)와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흡입덕트(42a)를 통해 제2증발기(41)의 공기 유입측으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덕트(제2팬덕트 조립체)와 제2저장실(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상기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출측과 제2저장실(13)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상기 쉬라우드(43)의 유체유입구(43a)와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출측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한 공기는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출측과 쉬라우드(43)의 유체유입구(43a) 사이로 곧장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증가되어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이 점차 막힐수록 상기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에 대한 압력 차이가 점차 커지고, 이러한 압력 차이에 의해 착상 감지유로(710)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점차 많아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많을수록 후술될 착상 확인센서(730)를 이루는 발열체(731)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고, 해당 발열체(731)의 온/오프시 온도 차이값(ΔHt)(이하, “로직 온도”라 함)은 작아진다.
이를 고려할 때 착상 확인센서(730)에 의해 확인된 착상 감지유로(710) 내부의 로직 온도(ΔHt)가 낮을수록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22)에 성에가 존재하지 않거나 착상량이 현저히 적은 경우에는 공기의 대부분이 열교환 공간에서 제2증발기(22)를 통과한다. 반면,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 내로 유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증발기(22)에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흡입덕트(42a)를 통과하여 흡입된 공기 중 대략 98%의 공기는 상기 제2증발기(22)를 통과하고 나머지 2%의 공기만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증발기(22) 및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량은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에 따라 점차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2증발기(22)에 성에가 착상될 경우 상기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는 공기량은 줄어드는 반면,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량은 증가되는 것이다.
즉, 제2증발기(22)의 착상전 착상 감지유로(710)로 통과되는 공기량에 비해 제2증발기(22)의 착상시 착상 감지유로(710)로 통과되는 공기량은 급격히 많아지는 것이다.
특히,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에 따른 공기량의 변화는 적어도 2배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착상 감지유로(710)를 구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공기량을 이용한 착상량의 판단을 위해서는 상기 공기량이 적어도 2배 이상 발생되어야만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감지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상 운전이 필요할 정도로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 상기 제2증발기(22)의 성에가 유로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해당 증발기(22)의 열교환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들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은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에 따라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제2냉각팬(41)의 중심(혹은, 유체유입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는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제2냉각팬(41)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압력 영역 중 허용 최저 압력 영역(A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크면서도 상기 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냉각팬(41)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압력 영역 중 허용 최고 압력 영역(B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작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용 최저 압력 영역의 위치까지의 거리(A1)는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72mm 이상 115m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허용 최고 압력 영역의 위치까지의 거리(B1)는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200mm 이상 300m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72mm≤L≤3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가 300mm를 초과할 경우 유체 입구(711)와 유체 출구(712)의 압력 차이가 미미하게 되고, 상기 거리(L)가 72mm보다 가까울 경우 제2냉각팬(41)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의 영향으로 제2증발기(22)의 착상 유무에 따른 유속 차이가 미미하게 된다.
즉, 유체 출구(712)가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정해진 기준값 이상 이격된 곳에 위치해야만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에 상기 제2냉각팬(41)이 주는 영향(유속, 유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영향의 감소를 통해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입구(711) 및 유체 출구(712)의 압력차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고, 이러한 압력차가 커짐으로써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입구(711) 및 유체 출구(712)의 유속 및 유량차가 커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70)의 센싱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는 72mm≤L≤2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착상의 발생시 유속이 빨라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는 72mm≤L≤115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착상의 발생시 유속이 더욱 빨라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더욱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는 115mm≤L≤3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착상이 미미할 경우의 유속이 느려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는 115mm≤L≤2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착상이 미미할 경우의 유속이 더욱 느려질 수 있어서 유속 차이를 더욱 증가시켜 착상 감지의 변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은 유체 출구(712)가 위치되는 부위의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적을 때에는 상기 유체 출구(712)와 유체 입구(711)의 압력 차이가 미미한 반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을 때에는 상기 유체 출구(712)와 유체 입구(711)의 압력 차이가 커져야만 착상 감지의 변별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제2냉각팬(41)의 동작시 허용 최저 압력(P1) 영역에 비해서는 높거나 같으면서도 최고 압력(P2) 영역에 비해서는 낮거나 같은 압력(P0) 분포를 이루는 영역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최저 압력(P1)은 음압(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의 압력 범위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최고 압력(P2)은 상기 최저 압력(P1)에 비해서는 높은 압력 범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0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는 음압의 영역에 위치되면서도 -2.6Pa 이상의 압력 범위를 이루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출구(712)가 -2.6Pa보다 낮은 압력 영역에 위치된다면 제2증발기(22)에 착상이 미미하거나 적게 이루어지더라도 과도한 공기 흡입력을 제공함에 따라 착상 여부에 따른 온도 차이가 작게 이루어져 착상 감지의 변별력이 떨어진다.
물론,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더욱 낮은 음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예기치 못한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유체 출구(712)로 최소한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2.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더욱 낮은 음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예기치 못한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유체 출구(712)로 충분한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1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과도하게 낮지 않은 음압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예기치 못한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유체 출구(712)로 최소한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1Pa≤P0<0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유체 출구(712)가 제2냉각팬(41)에 의한 공기 흡입력을 과도하게 적용받지 않으면서도 음압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2증발기(41)의 비착상 상태에서도 최소량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특히, 회피해야할 -2.6Pa 미만의 압력 영역은 상기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해당 제2냉각팬(41)의 상측 외주면을 정점으로 하여 제2냉각팬(41)의 저부측 부위에 집중되는 형태를 띈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고려한다면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712)는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유체유입구(43a) 직경의 1.5배 이내더라도 상기 제2냉각팬(41)의 측부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유체유입구(43a) 직경의 1.5배 이외더라도 제2냉각팬(41)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에 비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양압을 이루는 영역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0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양압 영역에 위치되더라도 과도하게 높지 않은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유체 출구(712)로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0.6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양압 영역에 위치되더라도 과도하게 높지 않은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여 유체 출구(712)로 최소한의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착상 감지유로(710)가 제공하는 유체 출구(712)는 단순히 제2냉각팬(41)의 외경(반경)만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냉각팬(41)이 위치된 부위의 실질적인 압력 분포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착상 감지유로(710)가 제공하는 유체 출구(712) 위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다양한 위치로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배치 가능한 위치를 고려한 여타의 구성요소(혹은, 형상)들에 대한 설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유체 출구(712)의 위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2냉각팬(41)의 중심으로부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만 고려하여 설계될 수도 있고,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가 위치되는 부위의 압력(P0)만 고려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거리(L)와 상기 압력(P0)을 동시에 고려하여 상기 유체 출구(712)의 위치를 설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상 감지장치(70)에는 착상 확인센서(7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는 착상 감지유로(710)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때, 상기 물성치는 온도나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착상 확인센서(730)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유체)의 물성치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에 의해 확인된 출력값의 차이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계산하여 제상 운전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가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량에 따른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확인되도록 제공되는 센서임을 그 예로 한다.
즉,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유체가 유동되는 부위에 착상 확인센서(730)가 구비되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유체 유동량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값을 토대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출력값은 상기한 온도 차이뿐 아니라 압력 차이나 여타의 특성 차이 등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는 감지 유도체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유도체는 센서가 물성치(혹은, 출력값)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유도체가 발열체(7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상기 발열체(731)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소자이다.
첨부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는 온도센서(732)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732)는 발열체(731)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 소자이다.
즉,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면서 발열체(731)를 지나는 공기량에 따라 발열체(731) 주변의 온도가 변화됨을 고려할 때 이러한 온도 변화를 온도센서(732)가 측정한 후 이 온도 변화를 토대로 제2증발기(22)의 착상 정도를 계산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확인센서(730)는 센서 피씨비(733)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피씨비(733)는 상기 발열체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732)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발열체(731)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732)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센서 피씨비(733)는 로직 온도(ΔHt)가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 착상 감지유로(710)를 유동하는 공기 유량은 적고, 이의 경우 발열체(731)의 온(ON)에 따라 발생된 열은 상기 유동 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게 냉각된다.
이로써, 온도센서(732)가 감지하는 온도는 높아지며, 로직 온도(ΔHt) 역시 높아진다.
반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 착상 감지유로(710) 내를 유동하는 공기 유량은 많아지고, 이의 경우 발열체(731)의 온(ON)에 따라 발생된 열은 상기 유동 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이 냉각된다.
이로써, 온도센서(732)가 감지하는 온도는 낮아지며, 로직 온도(ΔHt) 역시 낮아진다.
결국, 상기 로직 온도(ΔHt)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이렇게 판단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토대로 정확한 시점에 제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로직 온도(ΔHt)가 높으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적음으로 판단하고, 로직 온도(ΔHt)가 낮으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음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준 온도 차이값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기준 온도 차이값에 비해 상기 로직 온도(ΔHt)가 낮을 경우 상기 제2증발기(22)의 제상 운전이 필요함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내부에 공기가 통과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의 표면과 착상 감지유로(710)의 내면은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착상 확인센서(730)와 착상 감지유로(710) 사이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틈새의 이격 거리는 물이 착상 확인센서(730)의 표면과 착상 감지유로(710)의 내면 사이에 고이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발열체(731) 및 온도센서(732)는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의 어느 한 표면에 함께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체(731) 및 온도센서(732)를 동일 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발열체(731)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를 상기 온도센서(732)가 더욱 정확히 센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는 착상 감지유로(710)의 내부 중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입구(711)와 유체 출구(7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입구(711)와 유체 출구(712)로부터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중간 지점에 착상 확인센서(730)가 배치될 수도 있고,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유체 출구(712)에 비해 유체 입구(71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위에 착상 확인센서(730)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유체 입구(711)에 비해 유체 출구(71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위에 착상 확인센서(730)가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상 확인센서(730)는 센서 하우징(73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하우징(734)은 착상 감지유로(710) 내를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발열체나 온도센서(732) 혹은, 센서 피씨비(733)에 닿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 하우징(734)은 양 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센서 피씨비(733)로부터 전원선(혹은, 신호선)의 인출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상장치(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상장치(50)는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의 제거를 위해 열원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상장치(50)는 제1히터(51)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51)의 발열에 의해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제1히터(51)는 상기 제2증발기(22)의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증발기(22)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상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히터(51)는 제2증발기(22)의 측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증발기(22)의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제2증발기(22)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증발기(22)에 접촉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히터(51)는 시스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시스히터의 복사열 및 대류열을 이용하여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상장치(50)에는 제2히터(5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52)는 상기 제1히터(51)에 비해서는 낮은 출력으로 발열하면서 제2증발기(22)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히터(52)는 상기 제2증발기(22)에 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히터(52)는 상기 제2증발기(22)에 직접 맞닿은 상태로 열전도를 통해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2히터(52)는 엘 코드(L-cord)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엘 코드 히터의 전도열에 의해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히터(52)는 제2증발기(22)의 각 층에 위치된 열교환핀에 순차적으로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상장치(50)에 포함되는 히터는 제1히터(51)와 제2히터(52)가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51)만 포함되거나 혹은, 제2히터(52)만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상장치(50)는 증발기용 온도센서(도시는 생략됨)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용 온도센서는 제상장치(5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며, 이렇게 감지되는 온도값은 상기 각 히터(51,52)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인자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히터(51,52)가 온 된 후, 상기 증발기용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특정 온도(제상 종료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각 히터(51,52)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종료 온도는 초기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증발기(22)에 잔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상 종료 온도는 일정 온도만큼 증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제어부(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80)는 각 저장실(12,13) 내의 고내온도가 해당 저장실을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초로 구분되는 불만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해당 저장실 내의 고내온도가 하강할 수 있도록 냉기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 내의 고내온도가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초로 구분되는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냉기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착상 감지장치(70)가 착상 감지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착상 감지운전을 미리 설정된 착상 감지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상 감지시간은 제1온도센서(1a)에 의해 측정된 실내온도의 온도값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온도에 따라 가변되게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온도가 높을 수록 혹은, 설정 온도가 낮을 수록 더 잦은 냉기운전의 수행으로 인해 착상 감지시간은 짧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실내온도가 낮을 수록 혹은, 설정 온도가 높을 수록 냉기운전이 더욱 적게 수행되기 때문에 착상 감지시간은 충분히 길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일정 주기로 착상 확인센서(73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착상 확인센서(730)의 발열체(731)가 일정 시간동안 발열되고, 착상 확인센서(730)의 온도센서(732)는 발열체(731)가 온(ON)된 직후의 온도를 감지함과 더불어 발열체(731)가 오프(OFF)된 직후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발열체(731)가 온(ON)된 후 최저 온도와 최대 온도가 확인될 수 있고, 이러한 최저 온도와 최대 온도의 온도 차이값은 최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착상 감지를 위한 변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발열체(731)의 온/오프 시 온도 차이값(로직 온도)(ΔHt)을 확인하고, 이 로직 온도(ΔHt)의 최대값이 제1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준 차이값은 제상 운전을 실시하지 않아도 될 정도임으로 설정된 값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로직 온도(ΔHt)의 확인 및 제1기준 차이값과의 비교는 착상 확인센서(730)를 이루는 센서 피씨비(733)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센서 피씨비(733)로부터 수행된 로직 온도(ΔHt)의 확인 및 제1기준 차이값과의 비교 결과값을 제공받아 발열체(731)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2증발기(22)에 대한 착상량을 감지하기 위한 착상 감지운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 필요 시점을 판단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9과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후 착상 확인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9에는 제2증발기(22)의 착상 전 제2저장실(13)의 온도 변화와 발열체(의 온도 변화가 도시되고 있고, 도 22에는 제2증발기의 착상 후(착상이 허용치를 초과하여 이루어졌을 경우) 제2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발열체의 온도 변화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제상 운전이 완료(S1)된 이후에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제1설정 기준온도 및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한 각 저장실(12,13)의 냉기 운전이 수행(S110)된다.
이때, 상기한 냉기 운전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지정된 제1운전 기준값에 따라 제1증발기(21) 및 제1냉각팬(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제어를 통해 운전되고,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지정된 제2운전 기준값에 따라 제2증발기(22) 및 제2냉각팬(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제어를 통해 운전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80)는 제1저장실(12)의 고내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구분되는 불만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냉각팬(31)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내온도가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1냉각팬(31)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냉매밸브(63)를 제어하여 각 냉매통로(61,6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에 대한 냉기 운전을 수행한다.
또한, 제2저장실(13)에 대한 냉기 운전은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제2증발기(22)를 통과한 공기(냉기)가 제2저장실(13)로 제공되고, 상기 제2저장실(13) 내를 순환한 냉기는 제2팬덕트 어셈블리(40)를 이루는 흡입덕트(42a)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으로 유동된 후 다시금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는 유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42a)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으로 유동된 공기의 대부분(예컨대, 대략 98% 정도)은 상기 제2증발기(22)를 통과하지만, 일부(예컨대, 대략 2% 정도)의 공기는 상기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에 위치된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입구(711)를 통해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 내로 유입된다.
특히,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상기 유체 입구(711)와의 압력 차이를 고려한 위치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의 영향까지도 고려한 위치(제2냉각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고려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2냉각팬(41)에 의한 압력의 영향은 덜 받으면서도 상기 유체 출구(712)와 유체 입구(711)의 압력 차이에 의해 비착상시에도 불구하고 일부가 강제적으로 유동되며, 이로써 착상 감지를 위한 최소한의 변별력(착상 전후의 온도 차이)은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된 일반적인 냉기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착상 감지운전을 위한 주기에 도달됨을 지속적으로 확인(S120)한다.
이때, 상기 착상 감지운전의 수행 주기는 시간의 주기가 될 수도 있고, 특정한 구성요소나 운전 싸이클과 같은 동일한 동작이 반복 실행되는 주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기가 제2냉각팬(41)이 동작되는 주기가 될 수 있다.
즉, 착상 감지장치(70)는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에 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값(로직 온도)(ΔHt)을 근거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확인하도록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로직 온도(ΔHt)가 클 수록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한 감지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냉각팬(41)이 동작될 때에만 가장 큰 로직 온도(ΔHt)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주기는 매번의 제2냉각팬(41)의 동작시가 될 수도 있고, 교번의 제2냉각팬(41)의 동작시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제상 운전이 완료된 직후에는 잦은 착상 감지운전이 수행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예컨대, 3번의 제2냉각팬(41) 동작시 마다 착상 감지운전이 수행되도록 그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팬덕트 조립체(40)의 제2냉각팬(41)은 제1팬덕트 조립체(30)의 제1냉각팬(31)이 정지된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제2냉각팬(41)은 제1냉각팬(31)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에 변화에 따른 온도값의 차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의 유량이 많아야 된다. 즉, 신뢰성이 확보될 수 없는 공기의 유량 변화는 사실상 의미없거나 혹은, 판단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사실상 유효한 공기의 유량 변화가 존재하는 제2냉각팬(41)이 동작될 때 착상 확인센서(730)가 동작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제2냉각팬(41)이 구동되는 도중 착상 확인센서(730)의 발열체(731)가 발열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발열체(731)는 상기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발열되거나, 상기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된 직후 혹은, 상기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할 때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일정한 발열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발열체(731)가 발열되도록 제어됨을 예로 한다.
즉, 착상 감지운전을 위한 주기가 도래되면 발열체(731)의 발열조건을 확인(S130)한 후 이 발열조건에 만족해야만 발열체(731)가 발열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열조건은 첨부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냉각팬(41)으로의 전원 공급시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온도 상승이 멈추는 조건과, 제2냉각팬(41)으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다가 하락 반전되는 조건, 제2저장실(13) 내의 온도를 센싱하는 별도의 제2온도센서(1b)에 의해 확인된 온도가 제2냉각팬(41)의 전원 공급에도 불구하고 제2저장실(13) 내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이상 하락되는 조건, 제2저장실(13) 내부의 온도가 멈추거나 혹은, 하락되는 조건, 제2냉각팬(41)의 잔여 구동 시간에 비해 발열체(731)의 발열 시간이 더 짧은 조건, 제2냉각팬(41)이 중속 이상으로 유지되는 조건, 제2냉각팬(41)의 회전 속도가 변경없이 유지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열조건에는 제2냉각팬(41)의 구동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발열체가 자동으로 발열되도록 제어되는 조건, 제2냉각팬(41)의 구동 전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온도(온도센서에서 확인된 온도)가 점차 하락하는 조건, 제2냉각팬(41)이 동작 중인 조건, 제2저장실(13)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본적인 조건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발열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면 제어부(80)의 제어(혹은, 센서 피씨비의 제어)에 의해 발열체(731)가 발열(S140)된다.
또한, 상기한 발열체(731)의 발열이 이루어지면 온도센서(732)는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물성치 즉, 온도(Ht1)를 감지(S150)한다.
상기 온도센서(732)는 상기 발열체(731)의 발열과 동시에 상기 온도(Ht1)를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발열체(731)의 발열이 수행된 직후에 상기 온도(Ht1)를 감지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732)가 감지하는 온도(Ht1)는 상기 발열체(731)의 온(ON) 이후 확인되는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최저 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Ht1)는 제어부(혹은, 센서 피씨비)(8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731)는 설정된 발열시간 동안 발열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착상 감지유로(710) 내부의 온도 변화에 대한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발열시간 동안 발열체(731)가 발열되었을 때의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예측된 혹은, 예측되지 않은 여타 요인에 의한 로직 온도(ΔHt)를 제외하고도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설정된 발열시간은 특정된 시간일 수도 있지만, 주위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시간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제1저장실(12)의 냉기 운전을 위한 제1냉각팬(31)의 동작 주기가 그 이전의 동작 주기에 비해 짧게 변동될 때 이렇게 변동되는 주기에 소요되는 시간에서 전술된 발열조건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에 비해서는 짧은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제2저장실(13)의 냉기 운전을 위한 제2냉각팬(41)의 동작 시간이 그 이전의 동작 시간에 비해 짧게 변동될 때 이렇게 변동되는 시간에서 전술된 발열조건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에 비해서는 짧은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최대 부하로 제2저장실(13)이 운전될 때의 제2냉각팬(41)의 동작 시간에 비해 짧은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제2저장실(13) 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제2냉각팬(41)이 동작되는 시간에서 전술된 발열조건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에 비해서는 짧은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2저장실(13) 내의 지정 온도에 따라 변경되는 제2냉각팬(41)의 동작 시간에서 전술된 발열조건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에 비해서는 짧은 시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이 경과되면 발열체(73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서 발열이 중단(S160)될 수 있다.
물론, 발열시간이 경과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발열체(73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센서(732)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값(예컨대, 70℃)을 초과할 경우 발열체(73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제2저장실(13)의 도어가 개방될 경우 발열체(73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제1저장실(12)의 예기치 못한 운전(제1냉각팬의 동작)이 발생될 경우 발열체(73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제2냉각팬(41)이 오프될 경우 발열체(73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발열체(731)의 발열이 중단되면 온도센서(732)에 의한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물성치 즉, 온도(Ht2)가 감지(S170)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732)의 온도 감지는 상기 발열체(731)의 발열이 중단됨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발열체(731)의 발열이 중단된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732)가 감지하는 온도(Ht2)는 상기 발열체(731)의 오프 전후 시점에 확인되는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최대 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Ht2)는 제어부(혹은, 센서 피씨비)(8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혹은, 센서 피씨비)(80)는 각 감지 온도(Ht1, Ht2)를 토대로 서로의 로직 온도(ΔHt)를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로직 온도(ΔHt)를 토대로 냉기열원(제2증발기)(22)에 대한 제상 운전의 수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즉, 발열체(731)의 발열시 온도(Ht1)와 발열체(731)의 발열 종료시 온도(Ht2)의 차이값(ΔHt)을 계산(S180) 및 저장한 후 이 로직 온도(ΔHt)로 제상 운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차이값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공기 유량이 적고, 이로써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제상 운전을 수행할 정도에 비해서는 작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작으면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가 낮아서 착상 감지유로(710)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로직 온도(ΔHt)는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이다.
반면, 상기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차이값에 비해 낮을 경우에는 착상 감지유로(710) 내의 공기 유량이 많고, 이로써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제상 운전을 수행할 정도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으면 제2증발기(22)의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가 높아서 이 압력 차이에 의해 착상 감지유로(710)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로직 온도(ΔHt)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기준 차이값은 제상 운전을 실시해야 될 정도임으로 설정된 값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기준 차이값과 제2기준 차이값은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상기 제1기준 차이값에 비해 제2기준 차이값이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준 차이값 및 제2기준 차이값은 특정한 어느 하나의 값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범위의 값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기준 차이값은 24℃가 될 수 있고, 상기 제1기준 차이값은 상기 24℃ 내지 30℃ 사이의 온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확인된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차이값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설정된 착상량에 비해 미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제2냉각팬(41)이 정지된 후 다음 주기의 동작시까지 착상 감지는 중단될 수 있다.
이후, 다음 주기의 제2냉각팬(41) 동작이 이루어지면 전술된 착상 감지를 위한 발열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확인된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차이값에 비해 낮을 경우에는 제2증발기(22)가 설정된 착상량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상 운전이 수행(S2)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상 운전의 수행시 저장되어 있던 각 착상 감지 주기별 로직 온도(ΔHt)는 리셋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2증발기(22)에 대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과정(S2)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발열체(731)가 오프된 후 제어부(80)의 판단에 의해 제상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운전의 수행시 제상장치(50)를 이루는 제1히터(51)가 발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51)의 발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로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히터(51)가 시스히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히터(51)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복사 및 대류를 통해 제2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상 운전의 수행시 제상장치(50)를 이루는 제2히터(52)가 발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히터(52)의 발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로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히터(52)가 엘 코드 히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히터(52)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열교환핀으로 전도되면서 해당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1히터(51)와 제2히터(52)는 동시에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제1히터(51)가 우선적으로 발열된 후 제2히터(52)가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제2히터(52)가 우선적으로 발열된 후 제1히터(51)가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히터(51) 혹은, 제2히터(52)의 발열이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51) 혹은, 제2히터(52)의 발열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제1히터(51)와 제2히터(52)가 함께 제공되더라도 발열의 중단은 두 히터(51,52)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어느 한 히터가 우선적으로 발열 중단된 후 다른 한 히터가 뒤따라 발열 중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각 히터(51,52)의 발열을 위한 설정된 시간은 특정된 시간(예컨대, 1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성에의 착상량에 따라 가변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51) 혹은, 제2히터(52)는 최대 부하로 동작될 수도 있고, 제상량에 따라 가변되는 부하로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상장치(50)의 동작에 따른 제상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착상 확인센서(730)를 이루는 발열체(731)도 함께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상 운전시에는 성에가 녹음으로 인해 발생된 물이 착상 감지유로(710) 내로도 흘러 내릴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렇게 흘러 내리는 물이 착상 감지유로(710) 내에서 결빙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체(731)도 함께 발열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 운전은 시간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온도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임의의 시간 동안 제상 운전이 수행되었을 경우 제상 운전이 종료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제2증발기(2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제상 운전이 종료되도록 제어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상장치(50)의 동작이 완료되면 최대 부하로 제1냉각팬(31)을 동작시켜 제1저장실(12)을 설정된 온도 범위에 이르도록 한 후 최대 부하로 제2냉각팬(41)을 동작시켜 제2저장실(12)을 설정된 온도 범위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냉각팬(31)의 동작시에는 압축기(60)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1증발기(21)로 제공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2냉각팬(41)의 동작시에는 압축기(60)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2증발기(22)로 제공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의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한 제2증발기(22)의 착상 감지를 위한 전술된 제어가 다시금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상장치(50)의 동작이 완료된 직후에는 잔빙을 감지하여 추가적인 제상 운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잔빙이 확인되면 제상 운전 시기에 도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잔빙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상 운전은 상기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만 수행되지는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부주의로 어느 한 저장실의 도어가 장시간 개방(미세 개방 등)된 상태에 있을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도어의 개방 감지를 수행하는 센서를 통해 인지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착상 감지장치(70)를 동작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시 강제적인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잦은 도어의 개폐에 의해 착상 감지 운전이 주기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면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도어의 잦은 개폐를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에 강제적인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상 운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전술된 냉기 운전이 수행(S110)되며, 계속해서 착상 감지를 위한 착상 감지 운전이 다시금 수행된다.
결국,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가 착상 감지를 위한 최소한의 변별력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냉기열원(제2증발기)의 착상 여부에 상관없이 최소한의 물성치 차이는 제공할 수 있어서, 정확한 착상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정확한 시점에 제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냉장고(1)를 이루는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에 대한 위치 설계는 저장실이 하나만 제공되는 구조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도 있고, 증발기가 하나만 제공되는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냉장고는 하나의 팬덕트 조립체에 복수의 냉각팬이 제공되는 종류의 냉장고에도 적용 가능하다.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저장실(12)의 개폐를 위한 도어(12b)에 제3저장실(14)이 위치되는 구조의 냉장고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저장실(14)이라 함은 상기 제1저장실(12)과는 구획되게 제공되는 별도의 저장실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도어(12b)의 외측에는 얼음 정수기(15)가 구비(첨부된 도 23 참조)되고 상기 도어(12b)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3저장실(첨부된 도 24 및 도 26 참조)(14)은 상기 얼음 정수기(15)로 얼음을 제공하는 제빙실이 될 수 있다.
도 24의 미설명 부호 16a, 16b는 제2팬덕트 조립체(40)로부터 제3저장실로 냉기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제1저장실(12) 내의 벽면에 형성되는 냉기공급공(16a) 및 냉기회수공(16b)이고, 미설명 부호 17a, 17b는 도어(12b)가 닫힐 경우 상기 냉기공급공(16a) 및 냉기회수공(16b)에 일치되면서 냉기를 제3저장실(14)로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각각의 안내공이다.
도 25의 미설명 부호 18a, 18b는 제2팬덕트 조립체(40)로부터 상기 냉기공급공(16a) 및 냉기회수공(16b)로 냉기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안내덕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3저장실(14)이 포함되는 냉장고(1)의 경우 제2팬덕트 조립체(40)에는 첨부된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44)과 제2팬(45)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팬(44)은 제2저장실(예컨대, 냉동실)(13)로 냉기를 강제 송풍하는 냉각팬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팬(45)은 제1저장실(12)의 도어(예컨대, 냉장실 도어)(12b)에 구비되는 제3저장실(예컨대, 제빙실)(12c)로 냉기를 강제 송풍하는 냉각팬이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팬(44)은 상기 제2팬덕트 조립체(40)를 이루는 쉬라우드(혹은, 그릴팬)(43)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팬(45)은 상기 제1팬(44)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팬(44)과 제2팬(45)은 서로 동일한 종류 혹은, 크기의 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 혹은, 크기의 팬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팬(44)과 제2팬(45)이 동일 종류(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팬)로 이루어질 경우 해당 팬이 설치되는 각각의 유체유입구(44a,45a)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가 있다. 예컨대, 제1팬(44)을 위해 제2팬덕트 조립체(40)에 형성되는 제1유체유입구(44a)는 제2팬(45)을 위해 제2팬덕트 조립체(40)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입구(45a)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제2증발기(냉기열원)(22)의 양 측 끝단을 벗어나지 않은 부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시 발생되는 압력 저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부위(도 28을 기준으로 볼 때 22a, 22b, 22c 부위)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가 상기 제2증발기(22)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28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한다면 제2증발기(22)를 좌우 너비 방향으로 3등분 하였을 때 중앙측 등분(22a)의 부위에 상기 유체 출구(712)가 위치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2팬덕트 조립체(40)에 제1팬(44) 및 제2팬(45)이 구비되는 경우, 착상 감지장치(70)를 이루는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상기 제1팬(44)이 설치되는 제1유체유입구(44a)와 상기 제2팬(45)이 설치되는 제2유체유입구(45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가 제1팬(44)의 반경(D1) 외측과 상기 제2팬(45)의 반경(D2) 외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를 제1팬(44)을 기준으로 제2팬(45)이 위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제2팬(45)에 의해 제2증발기(22)에서 발생되는 현상(착상)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체 출구(712)가 제1팬(44)과 제2팬(4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제1팬(44)의 구동에 따른 압력의 영향과 제2팬(45)의 구동에 따른 압력의 영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제2증발기(22)의 각 부위 중 제1팬(44)과 제2팬(45)에 인접된 부위의 착상을 더욱 정확히 센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는 제1팬(44)의 반경(D1)*1.5배의 외측과 제2팬(45)의 반경(D2)*1.5배의 외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에도 제1유체유입구(44a)와 제2유체유입구(45a) 주변에 생성되는 압력분포를 고려한 위치에 상기 유체 출구(712)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두 팬(44,45) 사이에 유체 출구(712)가 위치되는 구조에서 상기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1)는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제1팬(44)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압력 영역 중 허용 최저 압력 영역(A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되면서도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제1팬(44)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압력 영역 중 허용 최고 압력 영역(B1)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짧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는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제2팬(45)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압력 영역 중 허용 최저 압력 영역(A2)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되면서도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제2팬(45)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압력 영역 중 허용 최고 압력 영역(B2)까지의 거리에 비해서는 짧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1은 상기 A2에 비해 작고, 상기 B1은 상기 B2에 비해 작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1은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72mm 이상 115m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B1은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200mm 이상 300m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A2는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92mm 이상 135m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B2는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220mm 이상 320mm 이하의 거리에 존재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1)는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에 비해 더욱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는 제2팬(45)의 경우 제1팬(44)에 비해 더욱 먼 위치(제1저장실용 도어)에 이르기까지 냉기를 압송하기 때문에 제1팬(44)에 비해 더욱 빠른 회전 속도로 회전되거나 혹은, 제1팬(44)에 비해 더욱 작은 유체유입구(45a)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제1팬(44)에 비해 더욱 큰 흡입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는 92mm≤L2≤3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증발기(22)에 착상이 발생될 경우 유속 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는 92mm≤L2≤2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이 발생될 경우 유속 차이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는 92mm≤L2≤135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이 미미할 경우에도 최소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유속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는 135mm≤L2≤3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이 미미할 경우에도 더욱 우수한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유속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2팬(4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감지덕트(710)의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2)는 135mm≤L2≤2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조건들은 제1팬(44)의 중심으로부터 유체 출구(712)까지의 거리(L1)가 72mm≤L1≤300mm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거나 혹은,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의 압력(P0)이 -2.6Pa≤P0≤1Pa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더욱 높은 변별력을 가지는 물성치(유량차 혹은, 온도차)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유로에 대한 설치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710)를 이루는 유체 출구(712)가 형성된 부위는 그의 양 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편을 향해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가 해당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입구(711)로부터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 입구(711)와 유체 출구(712)의 압력 차이에 의해 착상 감지유로(710) 내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유체 출구(712)가 형성된 부위의 구조에 의해 상기 착상 감지유로(710)가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제공받는 현상이 방지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 위치는 각 팬(제1냉각팬, 제2냉각팬, 제1팬, 제2팬)의 동작시 발생되는 실제의 압력분포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즉, 실제 압력분포는 각 팬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당 팬의 직하방에 집중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첨부된 도 14 및 도 15 참조)을 고려할 때 이러한 압력분포를 고려한 유체 출구(712)의 위치 결정을 통해 다양한 구조로의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장고(혹은, 팬덕트 조립체)의 모델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최적의 유체 출구 위치를 결정하거나 혹은, 여타 구성요소를 고려한 유체 출구 위치의 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분포의 영향뿐 아니라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와 유체 입구(711) 간의 압력 차이도 함께 고려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착상 감지유로(710)의 유체 출구(712) 위치에 대한 설계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유로(710)를 이루는 유체 출구(712)의 설치 위치로 제공되는 영역이 착상 감지를 위한 최소한의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에 착상 감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1. 냉장고 1a. 제1온도센서
1b. 제2온도센서 11. 케이스
11a. 이너케이스 11b. 아웃케이스
12. 제1저장실 12b. 도어
13. 제2저장실 13b. 도어
14. 제3저장실 15. 얼음 정수기
16a. 냉기공급공 16b. 냉기회수공
17a,17b. 안내공 18a,18b. 안내덕트
21. 제1증발기 22. 제2증발기
23. 열전모듈 231. 흡열면
232. 발열면 23a. 열전소자
23b. 싱크 30. 제1팬덕트조립체
31. 제1냉각팬 40. 제2팬덕트조립체
41. 제2냉각팬 42. 그릴팬
42a. 흡입덕트 42b. 냉기토출구
43. 쉬라우드 43a. 유체유입구
50. 제상장치 51. 제1히터
52. 제2히터 60. 압축기
61. 제1냉매통로 62. 제2냉매통로
63. 냉매밸브 70. 착상 감지장치
710. 착상 감지유로 711. 유체 입구
712. 유체 출구 720. 유로커버
730. 착상 확인센서 731. 발열체
732. 온도센서 733. 센서피씨비
734. 센서하우징 80. 제어부

Claims (39)

  1.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순환되게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유로 및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입구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냉각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허용 최저 압력 영역까지의 거리(A1)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냉각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허용 최고 압력 영역까지의 거리(B11)에 비해서는 가깝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A1은 72mm 이상 115mm 이하의 거리이고,
    상기 B1은 200mm 이상 300mm 이하의 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덕트와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덕트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치는 온도,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확인센서는 센서 및 감지 유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도체는 상기 센서가 물성치를 측정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도체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열전모듈이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흡열면과 발열면을 포함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흡열면과 상기 발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싱크(sink)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72mm≤L≤3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72mm≤L≤2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72mm≤L≤115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115mm≤L≤3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는
    115mm≤L≤20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형성된 부위는 그의 양 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편을 향해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순환되게 하는 제1팬 및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동시키는 제2팬을 포함하며,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유로 및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입구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상기 제1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1유체유입구의 외측과 상기 제2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입구의 외측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상기 제1팬의 반경(D1) 외측과 상기 제2팬의 반경(D2) 외측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상기 제1팬의 반경(D1)*1.5배의 외측과 상기 제2팬의 반경(D2)*1.5배의 외측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순환되게 하는 제1팬 및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동시키는 제2팬을 포함하며,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유로 및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입구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1)는 제1팬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제1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과도 음압 영역까지의 거리(A1)에 비해서는 크면서도 제1팬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제1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양압 영역까지의 거리(B1)에 비해서는 작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제2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과도 음압 영역까지의 거리(A2)에 비해서는 멀게 형성되면서도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해당 제2팬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양압 영역까지의 거리(B2)에 비해서는 가깝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A1은 상기 A2에 비해 작고, 상기 B1은 상기 B2에 비해 작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1유체유입구는 상기 제2팬을 위해 제2덕트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입구에 비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의 반경과 제2팬의 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92mm≤L2≤3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92mm≤L2≤2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92mm≤L2≤135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135mm≤L2≤3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까지의 거리(L2)는
    135mm≤L2≤220mm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상기 증발기의 양 측 끝단을 벗어나지 않은 부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상기 증발기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형성된 부위는 그의 양 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편을 향해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순환되게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유로 및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착상 감지유로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유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입구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배치되는 지점의 압력(P0)은 허용 최저 압력(P1) 영역에 비해서는 높거나 같음과 더불어 허용 최고 압력(P2) 영역에 비해서는 낮거나 같은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0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6Pa≤P0≤-2.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2.1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0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제 32 항에 잇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는 해당 위치의 압력(P0)이
    0.6Pa≤P0≤1Pa의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유로의 유체 출구가 형성된 부위는 그의 양 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편을 향해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098363A 2020-08-06 2020-08-06 냉장고 KR20220018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63A KR20220018179A (ko) 2020-08-06 2020-08-06 냉장고
PCT/KR2021/009253 WO2022030807A1 (ko) 2020-08-06 2021-07-19 냉장고
EP21853621.7A EP4194777A4 (en) 2020-08-06 2021-07-19 FRIDGE
US18/019,764 US20230288124A1 (en) 2020-08-06 2021-07-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63A KR20220018179A (ko) 2020-08-06 2020-08-0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79A true KR20220018179A (ko) 2022-02-15

Family

ID=8011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363A KR20220018179A (ko) 2020-08-06 2020-08-0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8124A1 (ko)
EP (1) EP4194777A4 (ko)
KR (1) KR20220018179A (ko)
WO (1) WO2022030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175A (ko) * 2020-08-06 202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69A (ko) 2018-02-23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01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42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2482A (ko)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2464A (ko)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904A (en) * 1966-01-21 1967-12-05 Texas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fluid velocity sensing
US5934088A (en) * 1997-09-02 1999-08-10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Error monitoring apparatus in refrigerator
KR100591335B1 (ko) * 2004-06-16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송풍기
KR20090046298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6251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127875B2 (en) * 2011-02-07 2015-09-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power defrost heater
JP6145684B2 (ja) * 2012-03-06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9557091B1 (en) * 2013-01-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Split air pathway
KR102273607B1 (ko) * 2015-02-09 202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132631A (ko) *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용 덕트 어셈블리
KR102679302B1 (ko) * 2019-01-10 202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69A (ko) 2018-02-23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01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42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2482A (ko)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2464A (ko)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807A1 (ko) 2022-02-10
EP4194777A4 (en) 2024-07-31
EP4194777A1 (en) 2023-06-14
US20230288124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904B1 (ko) 냉장고
KR101095554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253637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3779334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8005228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80114682A (ko) 냉장고
KR2018005228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4194777A1 (en) Refrigerator
CN109906348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257245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9923357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US20240263868A1 (en) Refrigerator
EP4194779A1 (en) Refrigerator
KR20220018178A (ko)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EP4194778A1 (en) Refrigerator
EP4194776A1 (en) Refrigerator
KR20220018181A (ko) 냉장고
KR101481489B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018177A (ko) 냉장고
KR20220018176A (ko) 냉장고
KR1021664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압축기 제어 방법
EP4194784A1 (en) Refrigerator
KR20230000232A (ko) 냉장고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2019009198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