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587A - 편직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 Google Patents

편직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587A
KR20190105587A KR1020197020725A KR20197020725A KR20190105587A KR 20190105587 A KR20190105587 A KR 20190105587A KR 1020197020725 A KR1020197020725 A KR 1020197020725A KR 20197020725 A KR20197020725 A KR 20197020725A KR 20190105587 A KR20190105587 A KR 2019010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ultilayer sheet
layer
workpiece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684B1 (ko
Inventor
미켈 보케제
Original Assignee
마일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일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마일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9010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Abstract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은
- 제1 실(14)로 만들어진 적어도 제1 층(12) 및 제2 실(24)로 만들어진 적어도 제2 층(2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 직물 시트(8)를 제직하는 단계,
- 소정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층 직물 시트(8)를 성형하는 단계,
- 제2 열 수축 실(24)의 소정의 수축 및 상기 시트의 치수 안정화를 얻기 위해 다층 시트(8)에 열 처리를 가하는 단계에 의해 다층 직물 시트(8)를 치수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단계,
- 치수적으로 안정화된 시트의 가장자리를 스티칭 및/또는 접착함으로써 요구된 가공품(4)을 형성하기 위해 이미 치수적으로 안정화된 다층 시트(8)를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 제1 층(12)은 동물 및/또는 식물 및/또는 합성 및/또는 인공 기원의 제1 편물실(14)을 포함하며,
- 상기 제2 층(22)은 제2 열 수축 실(24)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및 제2 층(12, 22)은 제직 작업 중에 각각의 편물 스티치(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제2 실(24)은 다층 시트(8)의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편직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본 발명은 열 수축 실(heat-shrinking yarn) 및 그 의류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가공품, 특히 가방과 같은 의류 액세서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텍스타일 가공품 및 특히 의류 액세서리의 분야에서, 설계자는 항상 다르고 대중에게 어필하는 대상을 만들 필요가 있다.
심미적인 관점에서, 편물기(knitting machines)로 얻어진 직물은 다양한 가능성 및 심미적 변형을 제공한다. 문제는 편직물(knitted fabrics)이 가방과 같은, 자유롭게 서 있는(free-standing) 의류 요소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성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편직물 부분을 구비한 가방의 생산은 특히 널리 퍼지지 않았거나 많은 경우 그 안에 적용된 편직물의 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 구조(bearing structure)를 필요로 하는 해결책을 야기했다.
그러나, 지지 층의 제공이 최종 가공품의 두께, 중량 및 비용을 증가시킴은 명백하다. 또한, 지지 층은 촉감이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가시적인 것이 가공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마무리 및/또는 코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인용된 결점 및 제한을 해결할 필요성이 인지된다.
이 요구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의류 액세서리의 실현 방법에 의해 충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그 바람직하고 비 제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과 같은 의류 액세서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확대 세부 사항 II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부 사항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표시된 세부 사항 II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확대 세부 사항II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세부 사항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표시된 세부 사항 II에 대응하는, 도 5-6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에 표시된 확대 세부 사항 II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세부 사항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에 표시된 세부 사항 II에 대응하는, 도 8-9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의 2개의 정면 및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재킷, 소파, 신발과 같은 가공품의 전체 개략도는 집합적으로 4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가공품은 넓은 의미로 고려되어야 하고, 가방, 소파, 재킷 및 신발(도면에 도시됨)의 예로 제한되지 않음이 명시되어야 한다.
이는 이후에 가방을 언급하더라도, 본 발명은 임의의 유형의 가공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knitted)되어 있다.
이는 이후에 더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공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 또한 완전히 편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가공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시트의 일부 및 예를 들어, 피혁(leather), 가죽(hide), 합성 재료(synthetic materials)로 만들어진 다른 재료의 일부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이러한 피혁, 가죽, 합성 재료의 일부는 편직물의 일부에 지엽적으로 적용되고 및/또는 그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실현 방법은 처음에 제1 실(14)로 만든 적어도 제1 층(12) 및 제2 실(24)로 만들어진 적어도 제2 층(2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 직물 시트(8)를 제직하는(weaving)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층(12)은 동물 및/또는 식물 및/또는 합성 및/또는 인공 기원의 제1 편물실(knitting yarn)(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실은 면, 양모 및/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실일 수 있다.
제2 층(22)은 제2 실(24)로써 열 수축 실을 포함한다.
열 수축 실은 한번 어느 정도의 열을 받으면, 비가역적으로 수축 또는 단축되는 재료의 실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층(12, 22)은 제직 작업 중에 각각의 편물 스티치(knitting stitches)(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섞어 짜인다(interwoven).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편물 스티치의 유형은 무관하다. 그러나, 상기 층들(12, 22)은 복수의 편물 스티치(28)에 동일한 제직 작업에 의해 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층(12)은 가공품(4)의 직선 면(straight side)(29) 상에 배열되고, 즉, 외부에서 가시적이고, 제2 층(22)은 외부에서 가시적이지 않도록 동일한 가공품(4)의 후면(30) 상에 배열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5-7).
제2 층(22)은 가공품(4)의 직선 면(29) 상에 배열되고, 즉, 외부에서 가시적이고, 제1 층(12)은 외부에서 가시적이지 않도록 동일한 가공품(4)의 후면(30) 상에 배열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도 2-4).
제2 열 수축 실(24)은 사용된 편물 스티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가시적이거나 가시적이지 않을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실(24)은 편직 다층 시트(8)의 전면 도는 후면 상에서 가시적일 수 있다. 후면 상에서 가시적일 때, 다층 시트의 하중 지지 구조를 실현하는 제2 층(22)은 또한 3D 효과, 광택 및 불투명 효과 또는 색상 대비를 생성하는 편물 스티치로써 작용한다. 후면 상에서 가시적이면, 외부 부분이 부드러운 반면에 제2 층(22)이 그 뒤에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도 8-10), 다층 직물 시트(8)를 제직하는 단계는 동물 및/또는 식물 및/또는 합성 및/또는 인공 기원의 제3 편물실(34)로 만들어진 제3 층(32)을 제직하는 것을 포함하며, 열 수축 실(24)을 갖는 제2 층(22)은 상기 제1 및 제3 층(12, 22)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편물 스티치(28)에서 이들과 섞어 짜인다.
다층 시트(8)는 그것이 포함하는 층의 수에 상관없이, 이 단계에서 층들(12, 22, 32)이 복수의 편물 스티치(28)로 서로 상호 연결되고 특히 제2 층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제1 층(12), 제3 층(32) 또는 둘 모두)에 묶인다는 사실이 특징이며, 이후에 더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열 처리 단계에 따라 기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다층 시트(8)의 전체 층 수에 상관없이, 시트(8) 내부의 열 수축 실(24)의 백분율은 35% 내지 66% 사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 시트(8) 내부의 열 수축 실의 백분율은 55%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수축 실(24)의 중량 백분율은 다층 시트(8)의 총 중량의 2/3미만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시트(8)에 대한 제2 실(24)의 전체 백분율은 얻어질 기계적 연성(softness)/강성 특성에 의존한다. 제2 실(24)의 백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큰 강성의 다층 시트가 얻어지지만, 의류 요소의 경우, 촉감의 부드러움 및 또한 가공품을 실현하기 위한 성형성(formability) 및 착용자에 대한 가공품의 적응성(adaptability) 또한 해친다는 것이 명백하다. 반대로, 제2 실(24)의 백분율의 감소는 다층 직물(8)의 강성을 감소시키고 그것의 조립 및 그것의 내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다층 시트(8)를 얻은 후, 소정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층 시트(8)의 성형(shaping)을 진행한다.
소정의 형상은 만들어질 가공품의 유형에 의해 지시되며,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다층 시트(8)를 안정화하는 단계는 열 수축 실의 예정된 수축 및 시트 자체의 치수 안정화를 얻기 위해 시트(8)에 열 처리를 가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 시트(8)의 치수 안정화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다층 시트(8)의 크기의 30% 내지 40% 감소를 얻기 위해 다층 시트(8)에 수증기의 흐름을 가하는 단계,
- 주변 윤곽을 고정시키고 치수 관점에서 시트를 안정화시키도록 다층 시트(8)를 다림질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열 처리는 수증기의 흐름을 다층 시트(8) 상으로 보내고 동시에 60초 이상의 시간 동안 누르는 것을 포함하는 수증기 열 처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처리는 70° 내지 95° C 범위의 온도에서 수증기의 흐름을 다층 시트(8) 상으로 보내는 것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가열 단계 다음에, 제2 열 수축 실(22)은 원래 길이의 40% 내지 60% 수축한다. 이 제2 실(22)이 편물 스티치(28)에서 다른 층들(12, 32)과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상당한 수축은 편물 스티치(28)에서 편물을 조임으로써 수축하는 다층 시트(8)를 상당히 강화시킨다.
바꿔 말하면, 한번 열 수축되면, 열 수축 실(24)을 포함하는 제2 층(22)은 다층 시트(8)의 실제 지지 구조가 얻어질 때까지 단단해진다. 상기 지지 구조는 편물 스티치(2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른 층 또는 층들(12, 32)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층(22)은 다층 시트(8)의 다른 층들에 본질적으로 고정된 하중 지지 구조를 실현한다.
이러한 점에서 다층 시트(8)의 형상 및 크기를 확실하게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층 시트(8)의 치수 안정화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다림질 후 여전히 따뜻한 동안 다층 시트(8)를 성형하고, 가장자리를 정의 및/또는 마무리하는 단계,
- 형상 및 크기를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수증기를 제거함으로써 다층 시트(8)를 냉각시키는 단계.
특히, 가열 후, 다층 시트(8)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강제 환기(ventilation) 또는 흡인 공기(suction air)의 흐름에 의해 발생한다.
냉각 단계 후, 다층 시트(8)는 안정성, 일관성 및 강성의 원하는 특성들을 획득하고 조립될 수 있다.
다층 시트(8)의 치수 안정화 단계를 마무리한 후, 치수적으로 안정화된 시트의 가장자리를 스티칭 및/또는 본딩함으로써 요구된 가공품(4)을 형성하기 위해 이미 치수적으로 안정화된 다층 시트(8) 조립 단계를 사실상 진행한다. 소정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층 시트(8)의 성형(shaping)을 계속한다.
예를 들어, 가방의 경우에, 접히고 봉합된 및/또는 접착된 상기 다층 시트(8)로부터 폐쇄된 몸체가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편물기로 수행되는 생산을 제공하며, 이는 상이한 편물실로부터 생성되는 편물 스티치를 갖는 열 수축 실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열 수축 실은 선택된 편물 스티치에 따라 변하는 지지 구조를 생성한다. 이 편물실의 결합된 공정은, 열 수축 실과 함께, 종래의 편직물보다 훨씬 강하게 만들면서 직물이 맞물리게 하고, 다른 지지 재료에 의지하지 않고 가방과 같은 액세서리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피혁의 액세서리를 위한 특정 지지 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공지된 해결책의 결점이 해결된다.
열 수축 실은 사용된 편물 스티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가시적이거나 가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제1 경우에 구조는 편직물의 전면 또는 후면 상에서 가시적일 수 있다. 전면이 가시적일 때, 지지 구조는 또한 3D 효과, 광택 및 불투명 효과 또는 색상 대비를 생성하는 편물 스티치로써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타일리스트 또는 디자이너가 공지된 해결책에 존재하지 않는 심미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된다.
지지 구조가 후면 상에서 가시적이면, 외부 부분이 부드러운 반면에 단단한 부분이 그 뒤에서 보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지지 구조가 내부에 남아있을 때, 다른 실들에 의해 완전히 덮이기 때문에 전방 또는 후방에서 가시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에 3개의 상이한 층들이 있다. 외부 및 내부 상에는 편물실이 있는 반면에, 내부 상에는 열 수축 실이 있다.
따라서,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가공품은 내부 지지 층을 사용할 필요 없이 자유롭게 서 있도록, 즉 자체 지지되도록, 필요한 강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공품의 실현 방법은 심미적 측면 및 안락함의 이유 모두를 위해 지지층의 특정 코팅에 의지할 필요성을 피하고, 구성 요소의 수 및 가공품의 총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단순화된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가방 또는 일반적인 액세서리는, 후자가 그 안에 포함된 열 수축 실의 강화 공정을 거친 후, 측면 상에 단일 시트를 접고 스티칭함으로써 간단히 만들어진다.
추가로, 제직 공정은 동일한 시트에서 상이한 편물 스티치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조각들을 봉합하지 않고 생산의 변경을 허용한다. 이는 완성된 제품을 실현하는 시간 및 비용의 면에서 다른 이점을 수반한다.
제직은 또한 임의의 지점에서 시트를 절단하지 않고 부분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특정 스티치로 성형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단지 2개의 측면 이음새만을 갖는 가방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우발적인 및 특정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목적으로, 당업자는 전술한 실현의 방법 및 가공품에 대한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을 만들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5)

  1. - 제1 실(14)로 만들어진 적어도 제1 층(12) 및 제2 실(24)로 만들어진 적어도 제2 층(2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 직물 시트(8)를 제직하는 단계,
    - 소정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층 직물 시트(8)를 성형하는 단계,
    - 제2 열 수축 실(24)의 소정의 수축 및 상기 시트의 치수 안정화를 얻기 위해 다층 시트(8)에 열 처리를 가하는 단계에 의해 다층 직물 시트(8)를 치수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단계,
    - 치수적으로 안정화된 시트의 가장자리를 스티칭 및/또는 접착함으로써 요구된 가공품(4)을 형성하도록 이미 치수적으로 안정화된 다층 시트(8)를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 제1 층(12)은 동물 및/또는 식물 및/또는 합성 및/또는 인공 기원의 제1 편물실(14)을 포함하며,
    - 상기 제2 층(22)은 제2 열 수축 실(24)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및 제2 층(12, 22)은 제직 작업 중에 각각의 편물 스티치(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제2 실(24)은 다층 시트(8)의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층 시트(8) 내의 제2 열 수축 실(24)의 백분율은 40% 내지 60% 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층 시트(8) 내의 제2 열 수축 실(24)의 백분율은 55% 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열 수축 실(24)의 중량 백분율은 다층 시트(8)의 총 중량의 2/3 미만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시트(8)의 치수 안정화는,
    - 제2 열 수축 실(24)의 크기의 30% 내지 40% 감소를 얻기 위해 다층 시트(8)에 수증기의 흐름을 가하는 단계,
    - 주변 윤곽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층 시트(8)를 다림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다층 시트(8)의 치수 안정화는,
    - 다림질 후 여전히 따뜻한 동안 다층 시트(8)를 성형하고, 가장자리를 정의 및/또는 마무리하는 단계,
    - 형상 및 크기를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수증기를 제거함으로써 다층 시트(8)를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처리는 다층 시트(8) 상으로 수증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증기 열 처리인,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동시 가압은 60초 초과의 시간 동안 제공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처리는 70° 내지 95° C 온도에서 다층 시트(8) 상으로 수증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을 열 처리하는 단계는, 가열 후, 강제 환기 또는 흡인 공기의 흐름에 의해 다층 시트(8)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제공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의 다층 시트(8)를 제직하는 단계는,
    동물 및/또는 식물 및/또는 합성 및/또는 인공 기원의 제3 편물실로 만들어진 제3 층(32)을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열 수축 실(24)을 갖는 제2 층(22)은 상기 제1 및 제3 층들(12, 32)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편물 스티치(28)에서 이들과 섞어 짜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만들어진,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직된 가공품(4).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4)은 소파, 재킷, 의류, 신발 등을 포함하는, 가공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4)은 가방인, 가공품.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시트(8)에 의해 얻어진 폐쇄된 몸체를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8)는 상기 폐쇄된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접히고 봉합 및/또는 접착되는, 가방.
KR1020197020725A 2017-01-17 2018-01-17 편성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KR102541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04581 2017-01-17
IT102017000004581A IT201700004581A1 (it) 2017-01-17 2017-01-17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 manufatto tessile, in particolare un accessorio di abbigliamento, contenente filato termoretraibile e relativo accessorio di abbigliamento
PCT/IB2018/050283 WO2018134743A1 (en) 2017-01-17 2018-01-17 Artefact with knitted structure and method of realis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87A true KR20190105587A (ko) 2019-09-17
KR102541684B1 KR102541684B1 (ko) 2023-06-12

Family

ID=5870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725A KR102541684B1 (ko) 2017-01-17 2018-01-17 편성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43759B2 (ko)
EP (1) EP3488036A1 (ko)
JP (1) JP7207738B2 (ko)
KR (1) KR102541684B1 (ko)
CN (1) CN109963971B (ko)
IT (1) IT201700004581A1 (ko)
RU (1) RU2757188C2 (ko)
WO (1) WO2018134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408A (zh) * 2019-05-14 2019-07-23 斓帛针织科技(嘉兴)有限公司 横编针织包及其制作方法
CN112060403A (zh) * 2020-07-15 2020-12-11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材料预制体的制作方法
EP4005437A1 (en) 2020-11-30 2022-06-01 DV8 ID S.r.l. Knitted artefact with heat-shrinking yarns hooked "in englis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757A (ko) * 1973-10-23 1975-06-09
JPH0359153A (ja) * 1989-07-21 1991-03-14 Hoechst Ag 成形可能な織編物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網状材料
US5855124A (en) * 1997-06-26 1999-01-05 Guilford Mills, Inc. Moldable warp knitted fabric and method of forming a seamless molded fabric portion therefrom
KR100291356B1 (ko) * 1993-01-25 2001-06-01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정형 외과용으로 유용한 직물성 지지 재료
JP2016198495A (ja) * 2015-04-09 2016-12-01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編成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8078A (en) * 1950-01-04 1952-08-26 Munsingwear Inc Foundation garment and element therefor
US4196534A (en) * 1977-10-27 1980-04-08 Toshitsune Shibamoto Plastic net bag and label
ES2034580T5 (es) * 1988-04-06 1998-11-01 Rhodia Filtec Ag Procedimiento para comprimir tejidos lisos, tejidos lisos fabricados con este procedimiento y su aplicacion.
CA2061688C (en) 1991-02-28 1998-10-20 Lear Corporation Fabric
WO2000022215A1 (fr) * 1998-10-14 2000-04-20 Asahi Doken Kabushiki Kaisha Filet a structure tridimensionnelle, et materiau structurel composite utilisant ledit filet
US6685535B2 (en) * 2002-03-07 2004-02-03 Sara Lee Corporation Graduated cup and method of making same
BE1014784A3 (nl) * 2002-04-18 2004-04-06 Viktor G Bv Met Beperkte Aansp Doek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oek met minstens een permanente vouw.
JP4761018B2 (ja) * 2004-06-09 2011-08-31 日清紡テキスタイル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混用緯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4336307B2 (ja) * 2004-12-28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二重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US7614256B2 (en) * 2005-04-08 2009-11-10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ack supporting brassiere and undergarments with reinforced zo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05034798A1 (de) 2005-05-15 2006-11-23 Phi-Ton Holding Bv Distanzgewirke
CN101736478A (zh) * 2008-11-10 2010-06-16 丁晨妍 一种复合纤维生成的织物及制法
US9150986B2 (en) * 2011-05-04 2015-10-06 Nike, Inc. Knit component bonding
CN106087218B (zh) * 2016-07-06 2019-04-16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蓄热发热包芯双层结构纱线保暖针织面料的生产方法
CN109844199B (zh) * 2016-11-08 2021-10-2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整合地针织的可热处理纱线的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757A (ko) * 1973-10-23 1975-06-09
JPH0359153A (ja) * 1989-07-21 1991-03-14 Hoechst Ag 成形可能な織編物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網状材料
KR100291356B1 (ko) * 1993-01-25 2001-06-01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정형 외과용으로 유용한 직물성 지지 재료
US5855124A (en) * 1997-06-26 1999-01-05 Guilford Mills, Inc. Moldable warp knitted fabric and method of forming a seamless molded fabric portion therefrom
JP2016198495A (ja) * 2015-04-09 2016-12-01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編成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5972A (ja) 2020-02-27
IT201700004581A1 (it) 2018-07-17
KR102541684B1 (ko) 2023-06-12
RU2757188C2 (ru) 2021-10-11
CN109963971A (zh) 2019-07-02
EP3488036A1 (en) 2019-05-29
WO2018134743A1 (en) 2018-07-26
US11643759B2 (en) 2023-05-09
CN109963971B (zh) 2022-07-12
RU2019125710A (ru) 2021-02-19
US20200018000A1 (en) 2020-01-16
RU2019125710A3 (ko) 2021-04-02
JP7207738B2 (ja)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684B1 (ko) 편성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MXPA96005987A (en) Garment clothing integrally for the bottom of the cue
JP2620463B2 (ja) 外被に剛性を付与するための心地及びその用途
US20160174642A1 (en) Garment and long pants with integrated shaper
KR850001660B1 (ko) 직물을 이용한 삼차원형상의 성형방법 및 그 제품
KR101855559B1 (ko) 입체 뱀프 직물, 그 제조 방법 및 신발 조립체
Čuden Recent developments in knitting technology
US20160219954A1 (en) Curved pleat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pleated product
JP2000199104A (ja) 装身用成形体
TWM559082U (zh) 3d立體針織鞋面之結構
CN220236240U (zh) 具有织物布料的包类产品
WO2018212650A2 (en) Pillow case, pill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llow case
IT202100008042A1 (it) Tessuto lavorato a maglia imbottito e processo per la fabbricazione di tale tessuto
JP7289430B2 (ja) 下着用複層生地及び下着の製造方法
CN111247285B (zh) 服装打褶
KR101047864B1 (ko) 원단의 연결부 및 연결방법
JP3190844U (ja) 帽子構造
CN116326899A (zh) 具有织物布料的包类产品
JPH06278236A (ja) 積層布帛、衣料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60121898A (ko)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CN105815834A (zh) 具有一体化塑身衣的衣服和长裤
US9057149B1 (en) Embroidery and method thereof
KR200392706Y1 (ko) 자수직물을 이용한 넥타이
TW201406312A (zh) 一體成型之夾腳拖鞋織帶及其製作方法
CN111757682A (zh) 衬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