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503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503A
KR20190105503A KR1020190022157A KR20190022157A KR20190105503A KR 20190105503 A KR20190105503 A KR 20190105503A KR 1020190022157 A KR1020190022157 A KR 1020190022157A KR 20190022157 A KR20190022157 A KR 20190022157A KR 20190105503 A KR20190105503 A KR 2019010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ting
lock
horizontal direction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703B1 (ko
Inventor
오사무 하시구치
겐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록부와 피록부의 록력을 확보하면서, 록스프링부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커넥터(100)는, 단자(200)와, 지지부재(300)와, 제1부재(400)와, 제2부재(5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부재(400)는,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제1부재(400)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제한부(470)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532)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감합(嵌合)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에 관한 것이다.
도36부터 도38까지를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는, 상하방향(Z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950)와 감합하는 커넥터(900)가 개시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950)는, 상대측 단자(960)와, 피록부(被lock部)(97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900)는, 단자(910)와, 지지부재(920)와, 록부재(lock部材)(93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920)는, 단자(910)와, 록부재(930)를 지지하고 있다. 단자(910)는, 커넥터(900)가 상대측 커넥터(950)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대측 단자(960)와 접속되는 것이다. 록부재(930)는, 피부착부(被附着部)(932)와, 록스프링부(lock spring部)(934)와, 록부(lock部)(936)를 갖고 있다. 피부착부(932)는 지지부재(920)에 부착되어 있다. 록스프링부(934)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Z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록부(936)는 록스프링부(934)에 지지되어 있다. 록부(936)는, 커넥터(900)가 상대측 커넥터(950)와 감합하였을 때에 피록부(970)와 함께 커넥터(900)와 상대측 커넥터(950)가 감합된 감합상태를 록하는 것이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55306호 공보
특허문헌1의 커넥터(900)에 있어서는, 록스프링부(934)가 상대측 커넥터(950)를 빼내는 방향인 상방(+Z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900)와 상대측 커넥터(950)가 감합된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950)에 대하여 빼내는 방향(+Z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록스프링부(934)가 Y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록부(936)와 피록부(970)의 록이 해제되기 쉽다.
한편 특허문헌1의 커넥터(900)에 있어서, 록스프링부(934)가 상대측 커넥터(950)의 삽입방향인 하방(-Z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한 경우에, 커넥터(900)와 상대측 커넥터(950)가 감합된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950)에 대하여 빼내는 방향(+Z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록스프링부(934)가 Y방향 내측으로 변형되어, 록부(934)와 피록부(970)의 록이 더 강고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대측 커넥터(950)에 대하여 가해지는 빼내는 방향(+Z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증대되면, 록스프링부(934)가 소성변형하여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록부와 피록부의 록력을 확보하면서, 록스프링부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단자와 피록부를 구비한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단자와, 지지부재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단자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제1측벽과, 제2측벽을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상대측 단자와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제1부재는, 제1피부착부와, 록스프링부와, 록부와, 피제한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피부착부는, 상기 제1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제1피부착부로부터 상기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피록부와 함께 그 감합상태를 록하는 것이고,
상기 록부 및 상기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기 록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상기 록스프링부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록부 및 상기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상기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제2피부착부와, 변형방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피부착부는, 상기 제2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피부착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변형방지부에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한부의 상기 이동의 범위는, 상기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제1피부착부로부터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상기 록스프링부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록부 및 상기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로서,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로서, 제1커넥터부터 제3커넥터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단자를 겸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로서, 제1커넥터부터 제4커넥터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피제한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제한부의 상기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상기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로서, 제5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피제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로서, 제1커넥터부터 제4커넥터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피제한부는,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피제한부의 상기 이동의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범위는, 상기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커넥터로서, 제7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피제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에 인접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커넥터부터 제8커넥터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부재에는 록스프링부에 지지된 록부 및 피제한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재에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부재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가 탄성변형되어, 록부 및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제한부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제1부재의 록부와 상대측 커넥터의 피록부의 록력을 확보하면서, 록스프링부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부재의 제1피부착부가 부착되어 있는 제1측벽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제2부재의 제2피부착부가 부착되어 있는 제2측벽은 상하방향 및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한부에 의한 피제한부의 이동범위의 제한을 더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커넥터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커넥터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2는, 도9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1의 커넥터를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2의 커넥터를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7은, 도1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8은, 도1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1은, 도15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1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3은, 도21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4는, 도21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25는, 도15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5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7은, 도25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8은, 도25의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0은, 도29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1은, 도29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2는, 도29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4는, 도33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5는, 도33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6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7은, 도36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록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8은, 특허문헌1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
도1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는, 커넥터(connector)(100)와,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700)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700)와 감합(嵌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리셉터클(receptacle)이고,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는 플러그(plug)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여기에서 상방을 +Z방향, 하방을 -Z방향으로 한다.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는, 상대측 지지부재(750)와, 4개의 상대측 단자(710)와, 2개의 록부재(lock部材)(715)를 구비하고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지지부재(750)는,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대측 지지부재(750)는, 제1수평방향으로 면(面)한 2개의 외측면과, 제2수평방향으로 면한 2개의 외측면과,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면한 끝면(端面)(752)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수평방향은 Y방향이고, 제2수평방향은 X방향이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단자(710)의 각각은, 접촉부(711)와, 피고정부(被固定部)(7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부(711)는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접촉부(711)는, 상대측 지지부재(750)에 있어서 제2수평방향으로 면한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고정부(712)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피고정부(712)는, 접촉부(711)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부재(715)는, 상대측 지지부재(750)의 제1수평방향으로 면한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록부재(715)의 각각은 돌기(718)를 갖고 있다. 돌기(718)는, 제1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피록부(被lock部)(720)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피록부(720)는 돌기(718)의 상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는, 상대측 단자(710)와, 피록부(720)를 구비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지지부재(支持部材)(300)와, 4개의 단자(200)와, 2개의 제1부재(400)와, 4개의 제2부재(500)를 구비하고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2개의 제1측벽(第1側壁)(310)과, 2개의 제2측벽(320)과, 저면(底面)(325)과, 2개의 제1구획부(第1區劃部)(327)과, 2개의 제2구획부(330)를 갖고 있다. 2개의 제1측벽(310)과 2개의 제2측벽(320)으로 구성되는 구조체는,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대략 B자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재(300)는, 제1측벽(310)과, 제2측벽(320)을 적어도 갖고 있으면 좋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310)은, 지지부재(300)의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310)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측벽(310)의 각각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측벽(310)은 제1피압입부(第1被壓入部)(312)를 갖고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320)은, 지지부재(300)의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320)은, 상하방향 및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2측벽(320)의 각각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측벽(320)은 제2피압입부(322)를 갖고 있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저면(325)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저면(325)은, 제1측벽(310)의 하단(下端) 및 제2측벽(320)의 하단과 접속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구획부(327)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저면(32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구획부(327)는, 제1측벽(310)으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구획부(330)는 저면(32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1을 참조하여, 제2구획부(330)는, 제2측벽(320)으로부터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4부터 도6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에는, 4개의 수용부(收容部)(305)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05)의 각각은 저면(32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는, 지지부재(300)의 2개의 제1측벽(310)과 2개의 제2측벽(320)으로 구성되는 구조체의 네 모퉁이 부근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는 제1구획부(327)의 제2수평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는 제2구획부(330)의 제1수평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1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는, 단자(200)와, 제1부재(400)와, 제2부재(500)를 지지하고 있다. 제1부재(400)는 지지부재(300)의 제1측벽(31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단자(200) 및 제2부재(500)는 지지부재(300)의 제2측벽(320)에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2개의 단자(200) 및 2개의 제2부재(500)는 지지부재(300)의 제2측벽(320) 중 1개에 지지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단자(200) 및 나머지 2개의 제2부재(500)는 지지부재(300)의 제2측벽(320) 중 나머지 1개에 지지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단자(200)는,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부재(5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는 단자(200)를 겸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200)는 제2부재(500)와 별체(別體)이더라도 좋다. 도1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단자(200)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700)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대측 단자(710)와 접속되는 것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피부착부(第1被附着部)(410)와, 록스프링부(lock spring部)(430)와, 돌기(440)와, 록부(lock部)(450)와, 2개의 연장부(460)와, 2개의 피제한부(470)와, 피고정부(420)를 갖고 있다.
도1부터 도4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피부착부(410)는, 피고정부(42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피부착부(410)는, 제2수평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압입부(4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피부착부(410)는 지지부재(300)의 제1측벽(310)에 부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부재(400)의 제1피부착부(410)의 제1압입부(412)는, 대응하는 제1측벽(310)의 제1피압입부(312)에 압입되어 있다.
도1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스프링부(430)는, 제1피부착부(410)로부터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록스프링부(430)는, 제1피부착부(410)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1 및 도4부터 도6까지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돌기(440)는 록스프링부(430)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440)는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돌기(440)는 록부(450)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록부(450)는 돌기(440)의 하면이다. 즉 록부(450)는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도6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록부(450)는,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700)와 감합하였을 때에 피록부(720)와 함께 그 감합상태를 록하는 것이다.
도1 및 도4부터 도6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는,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는, 록스프링부(430)의 하단으로서 제2수평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수평방향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즉 연장부(460)의 각각은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연장부(46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저면(32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장부(460)는 지지부재(300)의 수용부(305)에 수용되어 있다. 연장부(460)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2구획부(3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장부(460)는,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1구획부(32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1 및 도4부터 도6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의 각각에는, 피제한부(470)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피제한부(470)는 연장부(460)의 상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4개의 피제한부(470)를 갖고 있다. 피제한부(470)는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피제한부(470)는 지지부재(300)의 수용부(305)에 수용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300)에는 피제한부(470)를 수용하는 수용부(305)가 형성되어 있다. 피제한부(470)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2구획부(3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피제한부(470)는,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1구획부(32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1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는, 제1부재(400)와는 별체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부재(400)와 제2부재(5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피부착부(510)와, 변형방지부(530)를 갖고 있다.
도1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피부착부(5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피부착부(510)는, 제1수평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압입부(512)를 갖고 있다. 제2피부착부(510)는 제2측벽(320)에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부재(500)의 제2피부착부(510)의 제2압입부(512)는, 제2측벽(320)의 제2피압입부(322)에 압입되어 있다.
도1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는, 제2피부착부(51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에는 제한부(532)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제한부(532)는 변형방지부(530)의 하단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4개의 제한부(532)를 갖고 있다. 지지부재(300)의 수용부(305)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부재(400)의 피제한부(47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의 변형방지부(530)의 제한부(532)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 4개의 피제한부(470)는 4개의 제한부(532)와 각각 대응하고 있고,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한부(53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부(532)는,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1구획부(32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부(532)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2구획부(3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부(53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의 제2구획부(33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도6,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우선 처음에, 커넥터(100)의 지지부재(300)의 저면(325)과 상대측 커넥터(700)의 상대측 지지부재(750)의 끝면(752)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또한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의 돌기(44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록부재(715)의 돌기(718)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하도록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를 위치결정한다. 이때에 상대측 커넥터(700)의 상대측 단자(710)는, 커넥터(100)의 단자(200)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7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의 돌기(440)는, 상대측 커넥터(700)에 있어서의 록부재(715)의 돌기(718)와 접촉한다.
그 후에 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700)를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는 제1수평방향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돌기(440)는 제1수평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70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커넥터(100)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부재(400)의 돌기(440)의 록부(450)는, 상대측 커넥터(700)가 대응하는 록부재(715)의 돌기(718)의 피록부(72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에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돌기(440)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원래의 위치로 귀환한다. 여기에서 커넥터(100)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부재(400)의 돌기(440)의 록부(450)는, 상대측 커넥터(700)가 대응하는 록부재(715)의 돌기(718)의 피록부(72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즉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는 감합상태가 된다. 또 이때에 커넥터(100)의 단자(200)는, 상대측 커넥터(700)의 상대측 단자(710)의 접촉부(711)와 접촉하고 있다. 즉 커넥터(100)의 단자(200)는, 상대측 커넥터(700)의 상대측 단자(71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100)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5부터 도8까지를 참조하여,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의 제1부재(400)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의 피제한부(470)는 제2부재(500)의 변형방지부(530)의 제한부(532)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의 변형방지부(530)의 제한부(532)는 제1부재(400)의 피제한부(470)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는,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의 피제한부(47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의 변형방지부(530)의 제한부(532)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의 변형방지부(530)의 제한부(532)는 제1부재(400)의 피제한부(47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가 제한부(532)에 부딪쳐서(치고), 제한부(532)는 피제한부(470)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532)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에 부딪쳐서, 제한부(532)는 피제한부(47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의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제한부(532)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제1부재(400)의 제1피부착부(410)가 부착되어 있는 제1측벽(310)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고, 제2부재(500)의 제2피부착부(510)가 부착되어 있는 제2측벽(320)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측벽(310)과 제2측벽(320)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하였을 경우에 피제한부(470)와 제한부(532)가 부딪치는 부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된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제1부재(400)의 록스프링부(430)가 변형되는 방향의 앞에 제2부재(500)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
도7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를 구비하고 있다.
도7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와 감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는 리셉터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는, 제1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위 및 방향은, 제1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표현을 이하에서 사용한다. 또한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는, 지지부재(300A)와, 4개의 단자(200)와, 2개의 제1부재(400A)와, 4개의 제2부재(50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단자(200)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A)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2개의 제1측벽(310)과, 2개의 제2측벽(320)과, 저면(325)과, 2개의 제2구획부(330A)를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제1측벽(310)과 제2측벽(320)과 저면(325)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구획부(330A)는 저면(32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9를 참조하여, 제2구획부(330A)는 제2측벽(320)으로부터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9 및 도12부터 도14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A)에는, 4개의 수용부(305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05A)의 각각은 저면(32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A)는, 지지부재(300A)의 2개의 제1측벽(310)과 2개의 제2측벽(320)으로 구성되는 구조체의 네 모퉁이 부근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A)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2구획부(33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A)는, 단자(200)와, 제1부재(400A)와, 제2부재(500A)를 지지하고 있다. 제1부재(400A)는 지지부재(300A)의 제1측벽(31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단자(200) 및 제2부재(500A)는 지지부재(300A)의 제2측벽(320)에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2개의 단자(200) 및 2개의 제2부재(500A)는 지지부재(300A)의 제2측벽(320) 중 1개에 지지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단자(200) 및 나머지 2개의 제2부재(500A)는 지지부재(300A)의 제2측벽(320) 중 나머지 1개에 지지되어 있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A)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피부착부(410)와, 록스프링부(430)와, 돌기(440)와, 록부(450)와, 2개의 연장부(460A)와, 2개의 피제한부(470A)와, 피고정부(42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1피부착부(410)와 록스프링부(430)와 돌기(440)와 록부(450)와 피고정부(420)는,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 도12 및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A)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A)는, 록스프링부(430)의 제2수평방향 양단으로부터 제2수평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60A)의 각각은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연장부(460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의 저면(32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장부(460A)는 지지부재(300A)의 수용부(305A)에 수용되어 있다. 연장부(460A)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의 제2구획부(33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9, 도12 및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A)의 각각에는, 피제한부(470A)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피제한부(470A)는 연장부(460A)의 상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는 4개의 피제한부(470A)를 갖고 있다. 피제한부(470A)는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피제한부(470A)는 지지부재(300A)의 수용부(305A)에 수용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300A)에는, 피제한부(470A)를 수용하는 수용부(305A)가 형성되어 있다. 피제한부(470A)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의 제2구획부(33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9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A)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피부착부(510)와, 변형방지부(530A)를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제2피부착부(51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 및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A)는, 제2피부착부(51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변형방지부(530A)는 외측부(531)를 갖고 있다. 외측부(531)는 변형방지부(530A)의 제1수평방향 외단(外端)을 규정하고 있다. 외측부(531)는 제한부(532A)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한부(532A)는 외측부(531)의 하단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A)에는 제한부(532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는 4개의 제한부(532A)를 갖고 있다. 지지부재(300A)의 수용부(305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A)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부재(400A)의 피제한부(470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A)의 변형방지부(530A)의 외측부(531)의 제한부(532A)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에 있어서, 4개의 피제한부(470A)는 4개의 제한부(532A)와 각각 대응하고 있고, 피제한부(470A)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한부(532A)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부(532A)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의 제2구획부(330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한부(532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A)의 제2구획부(330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100A)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부터 도9 및 도14를 참조하여,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A)의 제1부재(400A)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A)의 제1부재(400A)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A)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A)의 제1부재(400A)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A)의 제1부재(400A)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A)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A)는,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A)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A)의 피제한부(470A)는 제2부재(500A)의 변형방지부(530A)의 외측부(531)의 제한부(532A)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A)의 변형방지부(530A)의 외측부(531)의 제한부(532A)는 제1부재(400A)의 피제한부(470A)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는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A)의 피제한부(470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A)의 변형방지부(530A)의 외측부(531)의 제한부(532A)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A)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A)의 변형방지부(530A)의 외측부(531)의 제한부(532A)는 제1부재(400A)의 피제한부(470A)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A)가 제한부(532A)에 부딪쳐서, 제한부(532A)는 피제한부(470A)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A)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532A)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A)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A)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A)에 부딪쳐서, 제한부(532A)는 피제한부(470A)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A)의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제한부(532A)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와 마찬가지로, 제1부재(400A)의 제1피부착부(410)가 부착되어 있는 제1측벽(310)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고, 제2부재(500A)의 제2피부착부(510)가 부착되어 있는 제2측벽(320)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측벽(310)과 제2측벽(320)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하였을 경우에 피제한부(470A)와 제한부(532A)가 부딪치는 부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0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00A)와 상대측 커넥터(700)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A)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A)에 있어서도, 상대측 커넥터(700)를 커넥터(100A)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제1부재(400A)의 록스프링부(430)가 변형되는 방향의 앞에 제2부재(500A)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A)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
도15 및 도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를 구비하고 있다.
도15 및 도18부터 도20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B)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700B)와 감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B)는 리셉터클이고,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B)는 플러그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위 및 방향은, 제1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표현을 이하에서 사용한다.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B)는, 상대측 지지부재(750B)와, 2개의 상대측 단자(710B)와, 2개의 록부재(715)를 구비하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지지부재(750B)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면한 끝면(752B)을 갖고 있다. 또한 상대측 지지부재(750B)는, 2개의 록부재 지지부(754)와, 상대측 단자지지부(756)를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부재 지지부(754)는 대략 입방체 형상을 갖고 있다. 록부재 지지부(754)는 상대측 단자지지부(756)의 제1수평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록부재 지지부(754)는 제1수평방향으로 면한 외측면을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단자지지부(756)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2개의 록부재 지지부(754)를 연결하고 있다. 상대측 단자지지부(756)는, 제2수평방향으로 면한 2개의 외측면을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단자(710B)의 각각은, 접촉부(711B)와, 피고정부(712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부(711B)는,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접촉부(711B)는, 상대측 지지부재(750B)의 상대측 단자지지부(756)의 제2수평방향으로 면한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고정부(712B)는, 상대측 지지부재(750B)의 상대측 단자지지부(756)로부터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부재(715)는, 상대측 지지부재(750B)의 록부재 지지부(754)의 제1수평방향으로 면한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록부재(715)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700)의 록부재(715)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B)는, 지지부재(300B)와, 2개의 단자(200B)와, 2개의 제1부재(400B)와, 4개의 제2부재(500B)를 구비하고 있다.
도1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B)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2개의 제1측벽(310B)과, 4개의 제2측벽(320B)과, 2개의 제3측벽(340)과, 저면(325B)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재(300B)는 제1측벽(310B)과 제2측벽(320B)을 적어도 갖고 있으면 좋다.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310B)은, 지지부재(300B)의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310B)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측벽(310B)의 각각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320B)은, 지지부재(300B)의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320B)은, 상하방향 및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2측벽(320B)의 각각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제2측벽(320B)은, 제1측벽(310B)의 제2수평방향 외단으로부터 제1수평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측벽(310B)의 제2수평방향 외단은, 제2측벽(320B)의 제1수평방향 외단과 접속되어 있다.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측벽(320B)은, 제2부재(500B)의 제2피부착부(510)의 제2압입부(512)가 압입되는 제2피압입부(322B)를 갖고 있다.
도15 및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3측벽(340)은 제2측벽(320B)과 접속되어 있다. 즉 제3측벽(340)의 제1수평방향 외단은, 제2측벽(320B)의 제1수평방향 내단(內端)과 접속되어 있다.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저면(325B)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저면(325B)은, 제1측벽(310B)의 하단, 제2측벽(320B)의 하단 및 제3측벽(340)의 하단과 접속되어 있다.
도15 및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B)에는 4개의 수용부(305B)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05B)의 각각은 저면(325B)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B)는 제1측벽(310B)과 제2측벽(320B)의 접속부분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5 및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B)는, 단자(200B)와, 제1부재(400B)와, 제2부재(500B)를 지지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단자(200B)는 지지부재(300B)의 제3측벽(340)에 지지되어 있다. 제1부재(400B)는 지지부재(300B)의 제1측벽(310B)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제2부재(500B)는 지지부재(300B)의 제2측벽(320B)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1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단자(200B)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부재(500B)와 별체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B)는 단자(200B)를 겸하지 않는다. 도15 및 도1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단자(200B)는, 커넥터(100B)가 상대측 커넥터(700B)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대측 단자(710B)와 접속되는 것이다.
도15부터 도18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B)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피부착부(410)와, 록스프링부(430)와, 돌기(440)와, 록부(450)와, 2개의 연장부(460)와, 2개의 피제한부(470)와, 피고정부(420)와, 연결부(480)를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연결부(48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5부터 도1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480)는, 제1부재(400B)의 제2수평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480)는 제1부재(400B)와 제2부재(500B)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재(400B)와 제2부재(500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15 및 도1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B)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피부착부(510)와 변형방지부(530B)를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제2피부착부(510)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B)는, 단자(200B)를 겸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5 및 도18부터 도20까지를 참조하여, 우선 처음에, 커넥터(100B)의 지지부재(300B)의 저면(325B)과 상대측 커넥터(700B)의 상대측 지지부재(750B)의 끝면(752B)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또한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의 돌기(440)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록부재(715)의 돌기(718)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하도록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를 위치결정한다. 이때에 상대측 커넥터(700B)의 상대측 단자(710B)는 커넥터(100B)의 단자(200B)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커넥터(100B)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700B)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의 돌기(440)는 상대측 커넥터(700B)의 록부재(715)의 돌기(718)와 접촉한다.
그 후에, 커넥터(100B)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700B)를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는 제1수평방향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돌기(440)는 제1수평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700B)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커넥터(100B)의 각각의 제1부재(400B)의 돌기(440)의 록부(450)는, 상대측 커넥터(700B)가 대응하는 록부재(715)의 돌기(718)의 피록부(72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에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돌기(440)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원래의 위치로 귀환한다. 여기에서 커넥터(100B)의 각각의 제1부재(400B)의 돌기(440)의 록부(450)는, 상대측 커넥터(700B)가 대응하는 록부재(715)의 돌기(718)의 피록부(72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즉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는 감합상태가 된다. 또 이때에 커넥터(100B)의 단자(200B)는 상대측 커넥터(700B)의 상대측 단자(710B)의 접촉부(711B)와 접촉하고 있다. 즉 커넥터(100B)의 단자(200B)는 상대측 커넥터(700B)의 상대측 단자(710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100B)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5 및 도18부터 도20까지를 참조하여,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B)는,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B)의 피제한부(470)는 제2부재(500B)의 변형방지부(530B)의 제한부(532)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B)의 변형방지부(530B)의 제한부(532)는 제1부재(400B)의 피제한부(470)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는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B)의 피제한부(47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B)의 변형방지부(530B)의 제한부(532)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B)의 변형방지부(530B)의 제한부(532)는 제1부재(400B)의 피제한부(47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가 제한부(532)에 부딪쳐서, 제한부(532)는 피제한부(470)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532)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에 부딪쳐서, 제한부(532)는 피제한부(47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의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제한부(532)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B)에 있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와 마찬가지로, 제1부재(400B)의 제1피부착부(410)가 부착되어 있는 제1측벽(310B)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고, 제2부재(500B)의 제2피부착부(510)가 부착되어 있는 제2측벽(320B)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측벽(310B)과 제2측벽(320B)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하였을 경우에 피제한부(470)와 제한부(532)가 부딪치는 부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B)에 있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B)에 있어서도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100B)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제1부재(400B)의 록스프링부(430)가 변형되는 방향의 앞에 제2부재(500B)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B)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100B)의 제1부재(400B) 및 제2부재(500B)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도21부터 도24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의한 제1부재(400C)는, 제1피부착부(410)와, 록스프링부(430)와, 돌기(440)와, 록부(450)와, 2개의 연장부(460C)와, 2개의 피제한부(470C)와, 2개의 연결부(48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연장부(460C)와 피제한부(470C)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3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3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부재(400C)와 지지부재(300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연장부(460C)는,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다. 연장부(460C)는, 록스프링부(430)의 제2수평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수평방향 내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60C)는, 지지부재(300B)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05B)에 수용되어 있다.
도21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의 연장부(460C)의 각각에는 피제한부(470C)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피제한부(470C)는 연장부(460C)의 상면이다. 피제한부(470C)는, 지지부재(300B)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05B)에 수용되어 있다.
도21부터 도24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의한 제2부재(500C)는, 제2피부착부(510)와, 변형방지부(530C)를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제2피부착부(51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부재(500C)와 지지부재(300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변형방지부(530C)는, 제2피부착부(51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변형방지부(530C)는 외측부(531C)를 갖고 있다. 외측부(531C)는 변형방지부(530C)의 제1수평방향 외단을 규정하고 있다. 외측부(531C)는 제한부(532C)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한부(532C)는 외측부(531C)의 하단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C)에는 제한부(53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400C)의 피제한부(470C)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C)의 변형방지부(530C)의 외측부(531C)의 제한부(532C)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부재(400C) 및 제2부재(500C)를 구비한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부재(400C) 및 제2부재(500C)를 구비한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상대측 커넥터(700B)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5부터 도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의한 제1부재(400D)는, 제1피부착부(410)와, 록스프링부(430)와, 돌기(440)와, 록부(450)와, 2개의 연장부(460D)와, 2개의 피제한부(470D)와, 연결부(48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연장부(460D)와 피제한부(470D)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3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3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부재(400D)와 지지부재(300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5부터 도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연장부(460D)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D)는, 록스프링부(430)의 제2수평방향 양단으로부터 제2수평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60D)의 각각은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연장부(460D)는, 지지부재(300B)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05B)에 수용되어 있다.
도25부터 도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D)의 각각에는 피제한부(470D)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피제한부(470D)는, 연장부(460D)의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면이다. 피제한부(470D)는 록스프링부(430)에 지지되어 있다. 피제한부(470D)는, 지지부재(300B)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05B)에 수용되어 있다.
도25부터 도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의한 제2부재(500D)는, 제2피부착부(510)와, 변형방지부(530D)를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제2피부착부(51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부재(500D)와 지지부재(300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한부(532D)를 제외하고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5부터 도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변형방지부(530D)는, 제2피부착부(51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변형방지부(530D)에는 제한부(532D)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변형예의 제한부(532D)는, 변형방지부(530D)의 제1수평방향 외단면의 일부이다. 제한부(532D)는 변형방지부(530D)의 하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1부재(400D)의 피제한부(470D)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D)의 제한부(532D)와 대향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부재(400D)의 피제한부(470D)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D)의 제한부(532D)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재(300B)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05B)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D)의 변형방지부(530D)의 제한부(532D)에 인접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수용부(305B)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D)의 변형방지부(530D)의 제한부(532D)의 외측에 인접하고 있다.
제1부재(400D) 및 제2부재(500D)를 구비한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부재(400D) 및 제2부재(500D)를 구비한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상대측 커넥터(700B)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5부터 도28까지를 참조하여, 제1부재(400D) 및 제2부재(500D)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의 제1부재(400D)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의 제1부재(400D)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D)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의 제1부재(400D)의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의 제1부재(400D)의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D)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D)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430)가 탄성변형되어, 록부(450) 및 피제한부(470D)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D)의 피제한부(470D)는 제2부재(500D)의 변형방지부(530D)의 제한부(532D)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D)의 변형방지부(530D)의 제한부(532D)는 제1부재(400D)의 피제한부(470D)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는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D)의 피제한부(470D)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D)의 변형방지부(530D)의 제한부(532D)의 외측으로부터 제한부(532D)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D)의 변형방지부(530D)의 제한부(532D)는 제1부재(400D)의 피제한부(470D)의 제1수평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제1부재(400D) 및 제2부재(500D)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D)가 제한부(532D)에 부딪쳐서, 제한부(532D)는 피제한부(470D)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D)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532D)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0B)를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D)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D)에 부딪쳐서, 제한부(532D)는 피제한부(470D)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D)의 이동의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범위는 제한부(532D)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제4실시형태)
도29 및 도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다.
도29 및 도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E)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감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는 리셉터클이고,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는 플러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여기에서 상방을 +Z방향, 하방을 ―Z방향으로 한다.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록부 및 피록부의 개수 및 배치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제3실시형태의 커넥터(100B)와 상대측 커넥터(700B)의 감합방법과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는, 지지부재(300E)와, 2개의 단자(200B)와, 4개의 제1부재(400E)와, 2개의 제2부재(500E)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자(200B)는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E)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4개의 제1측벽(310E)과, 2개의 제2측벽(320E)과, 2개의 제3측벽(340E)과, 저면(325E)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재(300E)는, 제1측벽(310E)과, 제2측벽(320E)을 적어도 갖고 있으면 좋다.
도31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310E)은, 지지부재(300E)의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310E)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측벽(310E)의 각각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제1측벽(310E)은, 제2측벽(320E)의 제1수평방향 외단으로부터 제2수평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측벽(310E)의 제2수평방향 외단은 제2측벽(320E)의 제1수평방향 외단과 접속되어 있다.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측벽(310E)은 제1피압입부(312E)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수평방향은 X방향이고, 제2수평방향은 Y방향이다.
도30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320E)은, 지지부재(300E)의 제2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320E)은, 상하방향 및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2측벽(320E)의 각각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제2측벽(320E)은, 제1측벽(310E)의 제2수평방향 외단으로부터 제1수평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3측벽(340E)은 제1측벽(310E)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3측벽(340E)의 제2수평방향 외단은 제1측벽(310E)의 제2수평방향 내단과 접속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저면(325E)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저면(325E)은, 제1측벽(310E)의 하단, 제2측벽(320E)의 하단 및 제3측벽(340E)의 하단과 접속되어 있다.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E)에는 4개의 수용부(305E)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05E)의 각각은 저면(325E)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용부(305E)는 제1측벽(310E)과 제2측벽(320E)의 접속부분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300E)는, 단자(200B)와, 제1부재(400E)와, 제2부재(500E)를 지지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단자(200B)는 지지부재(300E)의 제3측벽(340E)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제1부재(400E)는 지지부재(300E)의 제1측벽(310E)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제2부재(500E)는 지지부재(300E)의 제2측벽(320E)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29부터 도32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E)는, 제1피부착부(410E)와, 록스프링부(430E)와, 돌기(440E)와, 록부(450E)와, 연장부(460E)와, 피제한부(470E)와, 연결부(480E)를 갖고 있다.
도29 및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피부착부(410E)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피부착부(410E)는, 제2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압입부(412E)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피부착부(410E)는 지지부재(300E)의 제1측벽(310E)에 부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부재(400E)의 제1피부착부(410E)의 제1압입부(412E)는, 대응하는 제1측벽(310E)의 제1피압입부(312E)에 압입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스프링부(430E)는, 제1피부착부(410E)로부터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록스프링부(430E)는, 제1피부착부(410E)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돌기(440E)는, 록스프링부(430E)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돌기(440E)는 록스프링부(430E)에 지지되어 있다. 돌기(440E)는 록부(450E)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록부(450E)는 돌기(440E)의 하면이다.
도29부터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부(450E)는 록스프링부(430E)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록부(450E)는, 커넥터(100E)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감합하였을 때에 록부재의 피록부와 함께 그 감합상태를 록하는 것이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E)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E)는, 록스프링부(430E)의 제2수평방향 외단으로부터 제2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60E)는 록스프링부(430E)에 지지되어 있다. 연장부(460E)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300E)의 저면(325E)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장부(460E)는 지지부재(300E)의 수용부(305E)에 수용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460E)의 각각에는 피제한부(470E)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피제한부(470E)는 연장부(460E)의 상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는 4개의 피제한부(470E)를 갖고 있다. 피제한부(470E)는 록스프링부(430E)에 지지되어 있다. 피제한부(470E)는 지지부재(300E)의 수용부(305E)에 수용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300E)에는, 피제한부(470E)를 수용하는 수용부(305E)가 형성되어 있다.
도29부터 도32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480E)는, 제2부재(500E)의 제1수평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480E)는 제1부재(400E)와 제2부재(500E)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부재(400E)와 제2부재(500E)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500E)는, 제2피부착부(510E)와, 변형방지부(530E)를 갖고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피부착부(510E)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피부착부(510E)는 지지부재(300E)의 제2측벽(320E)에 부착되어 있다.
도29 및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E)는, 제2피부착부(510E)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변형방지부(530E)는 외측부(531E)를 갖고 있다. 외측부(531E)는 변형방지부(530E)의 제1수평방향 외단을 규정하고 있다. 외측부(531E)는 제한부(532E)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한부(532E)는 외측부(531E)의 하단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530E)에는 제한부(532E)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는 4개의 제한부(532E)를 갖고 있다. 지지부재(300E)의 수용부(305E)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E)의 변형방지부(530E)의 외측부(531E)의 제한부(532E)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부재(400E)의 피제한부(470E)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E)의 변형방지부(530E)의 외측부(531E)의 제한부(532E)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의 커넥터(100E)에 있어서, 4개의 피제한부(470E)는 4개의 제한부(532E)와 각각 대응하고 있고, 피제한부(470E)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한부(532E)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100E)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9 및 도32를 참조하여,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E)의 제1부재(400E)의 록스프링부(430E)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E)의 제1부재(400E)의 록부(450E) 및 피제한부(470E)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커넥터(100E)의 제1부재(400E)의 록스프링부(430E)가 탄성변형되어, 커넥터(100E)의 제1부재(400E)의 록부(450E) 및 피제한부(470E)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400E)는,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430E)가 탄성변형되어, 록부(450E) 및 피제한부(470E)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록스프링부(430E)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E)의 피제한부(470E)는 제2부재(500E)의 변형방지부(530E)의 외측부(531E)의 제한부(532E)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E)의 변형방지부(530E)의 외측부(531E)의 제한부(532E)는 제1부재(400E)의 피제한부(470E)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는 록스프링부(430E)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400E)의 피제한부(470E)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500E)의 변형방지부(530E)의 외측부(531E)의 제한부(532E)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E)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500E)의 변형방지부(530E)의 외측부(531E)의 제한부(532E)는 제1부재(400E)의 피제한부(470E)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E)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E)가 제한부(532E)에 부딪쳐서, 제한부(532E)는 피제한부(470E)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E)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532E)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E)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470E)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532E)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532E)에 부딪쳐서, 제한부(532E)는 피제한부(470E)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470E)의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제한부(532E)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에 있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 100B)와 마찬가지로, 제1부재(400E)의 제1피부착부(410E)가 부착되어 있는 제1측벽(310E)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고, 제2부재(500E)의 제2피부착부(510E)가 부착되어 있는 제2측벽(320E)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측벽(310E)과 제2측벽(320E)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430E)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하였을 경우에 피제한부(470E)와 제한부(532E)가 부딪치는 부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에 있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커넥터(100, 100A, 100B)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00E)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부(450E) 및 피제한부(470E)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E)에 있어서도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E)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제1부재(400E)의 록스프링부(430E)가 변형되는 방향의 앞에 제2부재(500E)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E)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제5실시예)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700F)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감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700F)는 플러그이고,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는 리셉터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여기에서 상방을 ―Z방향, 하방을 +Z방향으로 한다.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는, 상면을 갖는 상대측 지지부재와, 상대측 단자와, 록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록부재는 돌기를 갖고 있다. 돌기는, 제1수평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피록부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피록부는 돌기의 상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단자와, 피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수평방향은 Y방향이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700F)는, 지지부재(750F)와, 단자(710F)와, 제1부재(716)와, 제2부재(738)를 구비하고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750F)는, 단자(710F)와, 제1부재(716)와, 제2부재(738)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750F)는, 2개의 제1측벽(757)과, 2개의 제2측벽(758)과, 끝면(752F)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재(750F)는, 제1측벽(757)과, 제2측벽(758)을 적어도 갖고 있으면 좋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측벽(757)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측벽(757)의 각각은 제1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측벽(758)은, 상하방향 및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2측벽(758)의 각각은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수평방향은 X방향이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끝면(752F)은 커넥터(700F)의 상단면(上端面)이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자(710F)는,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감합된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단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접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단자(710F)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접촉부(711F)와, 피고정부(712F)를 갖고 있다. 접촉부(711F)는 제2수평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접촉부(711F)는 지지부재(750F)의 제2측벽(758)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고정부(712F)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피고정부(712F)는 지지부재(750F)의 제2측벽(758)으로부터 제2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716)의 각각은, 제1피부착부(719)와, 록스프링부(717)와, 돌기(718F)와, 록부(720F)와, 연장부(730)와, 피제한부(732)를 갖고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피부착부(719)는, 지지부재(750F)의 제1측벽(757)에 부착되어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록스프링부(717)는, 제1피부착부(719)로부터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록스프링부(717)는, 제1피부착부(719)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돌기(718F)는 록스프링부(717)로부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돌기(718F)는 록스프링부(717)에 지지되어 있다. 돌기(718F)는 록부(720F)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록부(720F)는 돌기(718F)의 하면이다.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록부(720F)는 록스프링부(717)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록부(720F)는, 커넥터(700F)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피록부와 함께 그 감합상태를 록하는 것이다.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730)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730)는, 록스프링부(717)의 하단으로서 제2수평방향 양단으로부터 제2수평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730)의 각각은 록스프링부(717)에 지지되어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730)의 각각에는 피제한부(732)가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피제한부(732)는 연장부(730)의 상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700F)는 4개의 피제한부(732)를 갖고 있다. 피제한부(732)는 록스프링부(717)에 지지되어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부재(738)는, 제2피부착부(741)와, 변형방지부(739)를 갖고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피부착부(741)는, 지지부재(750F)의 제2측벽(758)에 부착되어 있다.
도33부터 도35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방지부(739)는, 제2피부착부(741)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변형방지부(739)에는 제한부(740)가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한부(740)는 변형방지부(739)의 하면이다.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우선 처음에, 커넥터(700F)의 지지부재(750F)의 끝면(752F)과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지지부재의 상면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또한 커넥터(700F)의 제1부재(716)의 록스프링부(717)의 돌기(718F)와 상대측 커넥터의 록부재의 돌기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하도록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를 위치결정한다. 이때에 커넥터(700F)의 단자(710F)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단자의 하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커넥터(700F)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700F)의 제1부재(716)의 록스프링부(717)의 돌기(718F)는 상대측 커넥터의 록부재의 돌기와 접촉한다.
그 후에 커넥터(700F)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를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넥터(700F)의 제1부재(716)의 록스프링부(717)는 제1수평방향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돌기(718F)는 제1수평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커넥터(700F)의 각각의 제1부재(716)의 돌기(718F)의 록부(720F)는, 상대측 커넥터가 대응하는 록부재의 돌기의 피록부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에 커넥터(700F)의 제1부재(716)의 록스프링부(717)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돌기(718F)는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원래의 위치로 귀환한다. 여기에서 커넥터(700F)의 각각의 제1부재(716)의 돌기(718F)의 록부(720F)는, 상대측 커넥터가 대응하는 록부재의 돌기의 피록부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즉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와는 감합상태가 된다. 또 이때에 커넥터(700F)의 단자(710F)의 접촉부(711F)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하고 있다. 즉 커넥터(700F)의 단자(710F)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700F)로부터 빼내려고 할 때의 커넥터(700F)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3부터 도35까지를 참조하여,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700F)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717)가 탄성변형되어, 록부(720F) 및 피제한부(732)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과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700F)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717)가 탄성변형되어, 록부(720F) 및 피제한부(732)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부재(716)는,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700F)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록스프링부(717)가 탄성변형되어, 록부(720F) 및 피제한부(732)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록스프링부(717)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716)의 피제한부(732)는 제2부재(738)의 변형방지부(739)의 제한부(740)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738)의 변형방지부(739)의 제한부(740)는 제1부재(716)의 피제한부(732)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는 록스프링부(717)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제1부재(716)의 피제한부(73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부재(738)의 변형방지부(739)의 제한부(740)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740)에 부딪치고, 이에 따라 제2부재(738)의 변형방지부(739)의 제한부(740)는 제1부재(716)의 피제한부(732)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700F)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717)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732)가 제한부(740)에 부딪쳐서, 제한부(740)는 피제한부(732)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732)의 이동의 범위는 제한부(740)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700F)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700F)로부터 빼내려고 하였을 때에 록스프링부(717)가 과대하게 변형되려고 한 경우에는, 피제한부(73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한부(740)의 하측으로부터 제한부(740)에 부딪쳐서, 제한부(740)는 피제한부(73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제한부(732)의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제한부(740)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록부(450 ,450E, 720F)는 돌기(440, 440E, 718F)의 하면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록부(450 ,450E, 720F)는 오목부이더라도 좋고, 록스프링부(430, 430E, 717)를 관통하는 구멍이더라도 좋다.
100, 100A, 100B, 100E : 커넥터
200, 200B : 단자
300, 300A, 300B, 300E : 지지부재
305, 305A, 305B, 305E : 수용부
310, 310B, 310E : 제1측벽
312, 312E : 제1피압입부
320, 320B, 320E : 제2측벽
322, 322B : 제2피압입부
325, 325B, 325E : 저면
327 : 제1구획부
330, 330A : 제2구획부
340, 340E : 제3측벽
400, 400A, 400B, 400C, 400D, 400E : 제1부재
410, 410E : 제1피부착부
412, 412E : 제1압입부
420 : 피고정부
430, 430E : 록스프링부
440, 440E : 돌기
450, 450E : 록부
460, 460A, 460C, 460D, 460E : 연장부
470, 470A, 470C, 470D, 470E : 피제한부
480, 480E : 연결부
500, 500A, 500B, 500C, 500D, 500E : 제2부재
510, 510E : 제2피부착부
512 : 제2압입부
530, 530A, 530B, 530C, 530D, 530E : 변형방지부
531, 531C, 531E : 외측부
532, 532A, 532C, 532D, 532E : 제한부
700, 700B : 상대측 커넥터
700F : 커넥터
710, 710B : 상대측 단자
710F : 단자
711, 711B, 711F : 접촉부
712, 712B, 712F : 피고정부
715 : 록부재
716 : 제1부재
717 : 록스프링부
718, 718F : 돌기
719 : 제1피부착부
720 : 피록부
720F : 록부
730 : 연장부
732 : 피제한부
738 : 제2부재
739 : 변형방지부
740 : 제한부
741 : 제2피부착부
750, 750B : 상대측 지지부재
750F : 지지부재
752, 752B, 752F : 끝면
754 : 록부재 지지부
756 : 상대측 단자지지부
757 : 제1측벽
758 : 제2측벽

Claims (9)

  1.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단자와 피록부(被lock部)를 구비한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감합(嵌合)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단자와, 지지부재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단자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제1측벽(第1側壁)과, 제2측벽을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제1수평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수평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상대측 단자와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제1부재는, 제1피부착부(第1被附着部)와, 록스프링부(lock spring部)와, 록부(lock部)와, 피제한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피부착부는, 상기 제1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제1피부착부로부터 상기 제1수평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피록부와 함께 그 감합상태를 록하는 것이고,
    상기 록부 및 상기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기 록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상기 록스프링부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록부 및 상기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상기 제1수평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제2피부착부와, 변형방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피부착부는, 상기 제2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피부착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변형방지부에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제한부의 상기 이동의 범위는, 상기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스프링부는, 상기 제1피부착부로부터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상기 록스프링부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록부 및 상기 피제한부의 각각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방과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단자를 겸하고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한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제한부의 상기 이동의 범위의 상한은, 상기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피제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收容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한부는,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와 대향(對向)하고 있고,
    상기 피제한부의 상기 이동의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범위는, 상기 제한부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피제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수평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에 인접하고 있는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022157A 2018-03-05 2019-02-26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157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8565A JP6942074B2 (ja) 2018-03-05 2018-03-05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8-038565 2018-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503A true KR20190105503A (ko) 2019-09-17
KR102157703B1 KR102157703B1 (ko) 2020-09-18

Family

ID=6776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157A KR102157703B1 (ko) 2018-03-05 2019-02-26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81186B2 (ko)
JP (1) JP6942074B2 (ko)
KR (1) KR102157703B1 (ko)
CN (1) CN110233394B (ko)
TW (1) TWI7112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45828S (ko) * 2019-03-29 2019-11-18
JP1645829S (ko) * 2019-03-29 2019-11-18
JP1659118S (ko) * 2019-09-27 2020-05-11
JP1656955S (ko) * 2019-11-11 2020-04-06
JP1656956S (ko) * 2019-11-11 2020-04-06
USD941246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USD941245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06A (ja)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1249297A (ja) * 2010-04-27 2011-12-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JP2013232372A (ja) * 2012-05-01 2013-11-14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4199799A (ja) * 2013-03-14 2014-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50027710A (ko) * 2013-09-04 2015-03-1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JP2015130363A (ja) * 2011-02-07 2015-07-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651B2 (ja) * 2009-05-26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タ
JP4954253B2 (ja)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182327B2 (ja) * 2010-06-10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90508B2 (ja) * 2010-08-27 2012-1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58355B2 (ja) 2012-07-19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391398B2 (en)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WO2018025873A1 (ja) * 2016-08-04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2359B2 (ja) *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06A (ja)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1249297A (ja) * 2010-04-27 2011-12-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JP2015130363A (ja) * 2011-02-07 2015-07-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2013232372A (ja) * 2012-05-01 2013-11-14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4199799A (ja) * 2013-03-14 2014-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50027710A (ko) * 2013-09-04 2015-03-1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703B1 (ko) 2020-09-18
US10581186B2 (en) 2020-03-03
TWI711231B (zh) 2020-11-21
US20190273334A1 (en) 2019-09-05
CN110233394B (zh) 2021-04-23
CN110233394A (zh) 2019-09-13
JP6942074B2 (ja) 2021-09-29
TW201939826A (zh) 2019-10-01
JP2019153497A (ja)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5503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6865725B2 (ja) コネクタ
EP2127039B1 (e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0416764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5238481B2 (ja) 電気コネクタ
US10158189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inseparably connecting two other housings
TWI701877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裝體
US10749295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KR20140008444A (ko) 커넥터 유닛
US6074234A (en)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structures disposed in concave exterior corners
US79468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JP2016054064A (ja) コネクタ
CN110416774B (zh) 电连接器
US11189963B2 (en) Connector
CN110336153A (zh) 连接器及防水连接器
US2006003553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1398701B2 (en) Wafer connector and fitting connector
KR101424545B1 (ko) 커넥터
JP6781935B2 (ja) 機器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体
JP5543707B2 (ja) スペーサ付きコネクタ
CN111146651A (zh) 具有用于带罩闩锁的连接器位置保证构件的电连接器
JP6838883B2 (ja) コネクタ装置
JP750711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4220945A (ja) コネクタ
US11276968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