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774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0774A KR20190100774A KR1020180020745A KR20180020745A KR20190100774A KR 20190100774 A KR20190100774 A KR 20190100774A KR 1020180020745 A KR1020180020745 A KR 1020180020745A KR 20180020745 A KR20180020745 A KR 20180020745A KR 20190100774 A KR20190100774 A KR 20190100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hutters
- opening
- protrusion
- genera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와,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며, 복수개의 셔터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궐련이 삽입되는 개구를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킨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분리하여 폐기한 후 다시 새로운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7395호는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다각형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궐련이 삽입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경우, 흡연 후 궐련을 캐비티로부터 분리한 이후에도 궐련의 냄새가 캐비티에 배여 있게 되므로 그 냄새가 사용자의 호주머니와 같은 보관 장소에 확산될 수 있다.
또한, 궐련을 가열하던 열이 캐비티 내에 잔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어 일정 시간 동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를 식혀야 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궐련이 삽입되는 개구를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개구가 닫힌 경우에도 사용 후 내부에 잔류하는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와,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며, 복수개의 셔터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셔터는 제1 회전축을 수용하는 회전구멍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셔터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는 제1 개구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는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은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며, 안내돌기는 복수개의 셔터의 회전과 함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홈은,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고정홈과,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개방하는 경우 안내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안내돌기가 고정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임계치 이상의 힘이 상기 복수개의 셔터에 작용되지 않을 경우 안내돌기는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제2 하우징은 유지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유지홈을 더 포함하며, 유지돌기는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회전과 함께 유지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유지돌기가 유지홈에 수용됨에 따라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기류 흐름을 허용하는 기류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는 제2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은 캠 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캠 구멍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제2 하우징을 회전 조작할 경우, 제2 하우징의 회전 운동은 캠 구멍에 수용된 캠 돌기에 전달되고, 캠 돌기는 캠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는, 각각의 다른 어느 하나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와, 단차를 수용하는 단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폐쇄할 경우, 복수개의 셔터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일부는 단차에 의해 폐쇄되고, 복수개의 셔터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다른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 연통되는 제3 개구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우징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를 가압하여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는 안착홈과, 안착홈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돌출부재를 중심으로 안착홈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되 일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상기 안착홈에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홀과, 복수개의 셔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셔터는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2 회전축과,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하우징의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안내돌기와, 탄성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안내구멍을 포함하며, 탄성돌기는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회전과 함께 안내구멍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안내돌기는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회전과 함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하우징을 회전 조작하지 않을 경우, 복수개의 셔터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돌기는,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폐쇄하도록 안내구멍 내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안내구멍 내에서 제1 지점의 반대측인 제2 지점에 위치하며, 탄성돌기가 제1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돌기는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궐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는 제1 개구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는 궐련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회전축과, 셔터가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지점과 제1 개구를 개방하는 제2 지점 사이에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과 복수개의 셔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설치구멍에 안착되고, 일측이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타측이 복수개의 셔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셔터가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제1 개구의 중심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셔터의 일부는 모따기(chamfering)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쉽게 궐련이 삽입되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별도로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경우 궐련이 삽입되는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가 닫힌 상태에서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틈새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사용 후 내부에 잔류하는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복수개의 셔터가 닫힌 경우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복수개의 셔터가 닫힌 경우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이 삽입되는 제1 개구(11)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10)과,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제1 개구(11)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20)와, 제1 개구(11)와 연통되는 제2 개구(31)를 구비하고,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복수개의 셔터(20)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20)를 회전시키는 제2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므로, 제1 하우징(10)의 내부에 궐련(7)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미표시)이 형성된다.
예컨대, 수용공간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11)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0)은 열 전도율이 낮거나 열을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플라스틱 소재가 코팅된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의 수용공간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궐련(7)이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궐련(7)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궐련(7)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따라서, 제1 하우징(10)의 수용공간은 궐련(7)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수용공간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수용공간의 형상 또한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이나,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수용공간에는 궐련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하우징(10)의 수용공간이 어떠한 형상을 갖는가와 상관 없이, 제1 하우징(10)의 외주면의 절단면은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제2 하우징(30)의 내주면과 제1 하우징(10)의 외주면이 맞물리는 구조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30)이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함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용공간의 직경은 궐련(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1 하우징(10)에 궐련(7)이 수용되면 수용공간과 궐련(7)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과 궐련(7) 사이의 공간은 제1 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됨으로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셔터(20)는 제1 개구(11)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10)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된다. 도 2는 모두 세 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10)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는 것을 묘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셔터(20)는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으나 복수개의 셔터(20)들이 닫힌 상태에서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잔류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조로써, 복수개의 셔터(20)들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제2 하우징(3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제1 하우징(10) 및 복수개의 셔터(20)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하우징(3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므로 제2 하우징(30)의 내부에 전술한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미표시)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개구(31)가 형성되며, 제2 개구(31)는 복수개의 셔터(20)가 열린 상태일 경우 제1 개구(11)와 연통되어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0)은 제1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열 전도율이 낮거나 열을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플라스틱 소재가 코팅된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또한, 제2 하우징(30)의 수용공간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궐련(7)이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궐련(7)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궐련(7)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하우징(30)의 수용공간은 제1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제2 하우징(3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용공간의 형상은 제1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2 하우징(30)의 수용공간이 어떠한 형상을 갖는가와 상관 없이, 제1 하우징(10)의 외주면과 맞닿는 제2 하우징(30)의 내주면의 절단면은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하우징(10)의 외주면과 제2 하우징(30)의 외주면이 맞물리는 구조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30)이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하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함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 하우징(30)은 제2 하우징(30)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34)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제2 하우징(30)을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베이스(50)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조작부(34)를 밀어 제2 하우징(30)을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이러한 회전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20)들은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개방하며,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쥐지 않은 다른 손으로 궐련(7)을 제1 개구(11)와 제2 개구(31)를 통해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된 조작부(34)의 존재 유무나 그 형상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는 조작부(34)가 아닌 제2 하우징(30)의 겉표면을 밀어 제2 하우징(30)을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하우징(30)의 겉표면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하우징(30)의 겉표면에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조작부(34)가 형성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와 연통되는 제3 개구(41)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30)과 결합되는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는 제2 하우징(30)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캠 구멍(33)과, 캠 구멍(33)에 수용되는 캠 돌기(23)를 덮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0)은 복수개의 셔터(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축(12)과, 셔터(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안내홈(13)을 더 포함한다. 제1 회전축(12)은 셔터(20)의 회전구멍(21)에 수용되며, 셔터(20)는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셔터(20)는 제1 하우징(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22)를 포함한다. 안내돌기(22)는 제1 하우징(10)의 안내홈(13)에 수용되어, 셔터(20)의 회전과 함께 안내홈(13)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셔터(20)는 캠 돌기(23)와 단차(24) 및 단차홈(25)을 더 포함하며,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안내홈(13)은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폐쇄하는 경우 안내돌기(22)를 수용하는 고정홈(13f)과,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개방하는 경우 안내돌기(22)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이동홈(13m)을 포함한다. 도 3은 복수개의 셔터(2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므로, 도 3에 도시된 셔터(20)의 안내돌기(22)는 이동홈(13m)에 수용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개의 셔터(20)가 닫힌 상태일 경우에는 셔터(20)의 안내돌기(22)는 고정홈(13f)에 수용된다.
상세히, 고정홈(13f)에 한번 수용된 안내돌기(22)를 고정홈(13f)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임계치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한다. 즉,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계치 이상의 힘으로 제2 하우징(30)을 회전 조작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셔터(20)는 계속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경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31)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평상 시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임계치 이상의 힘으로 제2 하우징(30)을 회전 조작하여 안내돌기(22)를 고정홈(13f)에서 빼낸 이후에는 안내돌기(22)는 이동홈(13m)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3은 안내돌기(22)가 고정홈(13f)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있는 이동홈(13m)에 위치하는 것을 묘사하며, 이는 복수개의 셔터(20)가 최대한 열린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0)은 제2 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14)를 더 포함하고, 제2 하우징(30)은 유지돌기(14)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유지홈(32)을 더 포함한다. 유지돌기(14)는 제1 하우징(10)에 대한 제2 하우징(30)의 회전과 함께 유지홈(3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궐련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10)의 전방의 반대측인 제1 하우징(10)의 후방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회로기판(미도시)과 배터리(미도시)를 수용하는 베이스(50)가 연결된다. 제1 하우징(10)은 베이스(50)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궐련(7)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 일반적으로 베이스(50)를 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 하우징(30)을 회전시키므로 제2 하우징(30)이 제1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14)와, 유지돌기(14)를 수용하도록 제2 하우징(30)의 내주면에 인입 형성되는 유지홈(32)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제2 하우징(30)은 제1 하우징(10)에 대해 제1 개구(11)의 중심축(미표시)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유지홈(32)은 궐련(7)의 폭 방향(수평 방향)으로의 유지돌기(14)의 이동은 허용하나,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지돌기(14)의 이동은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2 하우징(30)은 제1 하우징(10)에 대해 제1 개구(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는 있으나, 궐련(7)의 길이 방향, 즉 도면에서 상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된다. 즉, 제2 하우징(30)은 제1 하우징(10)에 대해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의 외측 표면을 따라 제1 개구(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0)은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30) 사이의 기류 흐름을 허용하는 기류구멍(15)을 더 포함한다. 기류구멍(15)은 제1 하우징(10)의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므로, 외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서도 제1 하우징(1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셔터(20)는 제2 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23)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30)은 캠 돌기(23)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캠 구멍(33)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2 하우징(30)을 회전 조작할 경우, 제2 하우징(30)의 회전 운동은 캠 구멍(33)에 수용된 캠 돌기(23)에 전달되며, 캠 돌기(23)는 캠 구멍(3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복수개의 셔터(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폐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각각의 셔터(20)는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른 셔터(20)들과 접촉하며, 도 5의 경우 세 개의 셔터(20)가 한데 모여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폐쇄하는 구조를 묘사한다.
전술하였으나, 이렇게 복수개의 셔터(20)들이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폐쇄한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제2 하우징(30)에 회전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셔터(20)의 안내돌기(22)(도 3 참조)는 안내홈(13)의 고정홈(13f)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 돌기(23)는 제1 개구(11)의 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후술하겠으나, 복수개의 셔터(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캠 돌기(23)는 셔터(20)의 회전에 따라 제1 개구(1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하우징(30)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2 하우징(30)에 형성된 캠 구멍(33) 또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구멍(33)에 수용된 캠 돌기(23)는 캠 구멍(33)이 허용하는 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개의 셔터(20)는 각각의 다른 어느 하나의 셔터(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24)와, 단차(24)를 수용하는 단차홈(25)(도 3 참조)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31)를 폐쇄할 경우, 복수개의 셔터(2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일부는 단차(24)에 의해 폐쇄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2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다른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20)를 서로 밀착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사용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잔류하는 궐련(7)의 냄새가 외부로 급속히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20)들 사이 소정 공간을 개방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 후 내부에 잔류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제2 하우징(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결과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와 제2 개구(31)를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2 하우징(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 하우징(30)에 형성된 캠 구멍(33)의 위치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캠 구멍(33)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캠 구멍(33)에 수용된 셔터(20)의 캠 돌기(23)의 위치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캠 돌기(23)는 캠 구멍(3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 개구(11)의 중심으로부터 점점 더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캠 돌기(23) 또한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5에 도시된 캠 구멍(33) 내의 캠 돌기(23)의 위치와는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2 하우징(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결과적으로 캠 돌기(23) 또한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셔터(20)들 또한 제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개구(11)와 제2 개구(31)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복수개의 셔터(20)가 제1 개구(11)와 제2 개구(31)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쥐지 않은 손으로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손으로 간편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품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분실의 염려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없을 경우 복수개의 셔터(1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폐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복수개의 셔터(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복수개의 셔터(12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는 안착홈(112)과, 안착홈(112)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셔터(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113)와, 돌출부재(113)를 중심으로 안착홈(112)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되 일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셔터(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114p)가 형성되는 탄성부재(114)와, 탄성부재(114)를 안착홈(112)에 고정하는 고정돌기(115)와, 복수개의 셔터(120)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홀(116)과, 복수개의 셔터(1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안내홈(117)을 더 포함한다.
복수개의 셔터(120)는 제1 하우징(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홀(116)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2 회전축(121)과, 제1 하우징(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하우징(110)의 안내홈(117)에 수용되는 안내돌기(122)와, 탄성돌기(114p)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안내구멍(12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하우징(130)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120)를 가압하여 복수개의 셔터(120)들을 회전시키거나, 복수개의 셔터(120)들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돌기(133)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은 제2 하우징(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118)를 더 포함하고, 제2 하우징(130)은 유지돌기(118)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유지홈(132)을 더 포함한다. 유지돌기(118)는 제1 하우징(110)에 대한 제2 하우징(130)의 회전과 함께 유지홈(132)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궐련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110)의 전방의 반대측인 제1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회로기판(미도시)과 배터리(미도시)를 수용하는 베이스(도 1의 50 참조)가 연결된다. 제1 하우징(110)은 베이스(50)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궐련(7)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 일반적으로 베이스(50)를 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 하우징(130)을 회전시키므로 제2 하우징(130)이 제1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118)와, 유지돌기(118)를 수용하도록 제2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인입 형성되는 유지홈(132)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10)에 대해 제1 개구(111)의 중심축(미표시)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유지홈(132)은 궐련(7)의 폭 방향(수평 방향)으로의 유지돌기(118)의 이동은 허용하나,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지돌기(118)의 이동은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10)에 대해 제1 개구(1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는 있으나, 궐련(7)의 길이 방향, 즉 도면에서 상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된다. 즉,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10)에 대해 궐련(7)의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의 외측 표면을 따라 제1 개구(1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30) 사이의 기류 흐름을 허용하는 기류구멍(119)을 더 포함한다. 기류구멍(119)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므로, 외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서도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한편, 탄성돌기(114p)는 제1 하우징(110)에 대한 제2 하우징(130)의 회전과 함께 안내구멍(12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되, 복수개의 셔터(120)가 폐쇄될 경우 안내구멍(123) 내에서 제1 지점(P1)(도 9 참조)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셔터(120)가 개방될 경우 안내구멍(123) 내에서 제2 지점(P2)(도 10 참조)에 위치한다. 만약 탄성돌기(114p)가 제1 지점(P1)에 위치할 경우, 탄성돌기(114p)는 제1 지점(P1)에서 제2 지점(P2)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탄성돌기(114p)의 복원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안내돌기(122)는 제1 하우징(110)의 안내홈(117)에 수용되어, 셔터(120)의 회전과 함께 안내홈(117)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셔터(120)는 단차(124) 및 단차홈(125)을 더 포함하며,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안내홈(117)은 복수개의 셔터(120)가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하는 경우 안내돌기(122)를 수용하는 고정홈(117f)과, 복수개의 셔터(120)가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개방하는 경우 안내돌기(122)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이동홈(117m)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9는 복수개의 셔터(12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므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셔터(120)의 안내돌기(122)는 고정홈(117f)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10은 복수개의 셔터(12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며,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셔터(120)의 안내돌기(122)는 이동홈(117m)에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고정홈(117f)에 한번 수용된 안내돌기(122)를 고정홈(117f)에서 ?내기 위해서는 임계치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한다. 즉, 복수개의 셔터(120)가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계치 이상의 힘으로 제2 하우징(130)을 회전 조작하여 복수개의 셔터(12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복수개의 셔터(120)들은 지속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120)들이 닫힌 상태에서, 제2 하우징(130)의 가압돌기(133)는 복수개의 셔터(120)들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회전축(121)에서 멀리 떨어진 복수개의 셔터(120)의 단부를 가압하여 셔터(120)들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134)를 조작하여 제2 하우징(1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도 10의 134a에서 134b로), 가압돌기(133)는 탄성부재(114)의 복원력에 의해 복수개의 셔터(120)들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전하도록(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반시계 방향) 복수개의 셔터(120)들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즉, 가압돌기(13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회전축(121)에서 멀리 떨어진 셔터(120)의 단부를 가압하는 위치(도 9의 133a 참조)에서, 제2 회전축(121)에 인접하는 셔터(120)의 일부를 가압하는 위치(도 10의 133b 참조)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셔터(120)들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셔터(12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경우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31)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평상 시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임계치 이상의 힘으로 제2 하우징(130)을 회전 조작하여 안내돌기(122)를 고정홈(117f)에서 빼낸 이후에는 안내돌기(122)는 이동홈(117m)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은 안내돌기(122)가 고정홈(117f)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이동홈(117m)에 위치하는 것을 묘사하며, 이는 복수개의 셔터(120)가 최대한 열린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와 연통되는 제3 개구(141)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130)과 결합되는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40)는 제2 하우징(130)의 상면을 덮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9는 복수개의 셔터(120)가 한데 맞물려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각각의 셔터(120)는 제1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른 셔터(120)들과 접촉하며, 도 9의 경우에도 세 개의 셔터(120)가 한데 모여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하는 구조를 묘사한다.
전술하였으나, 이렇게 복수개의 셔터(120)들이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하는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제2 하우징(130)에 회전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재(114)는 부채꼴 모양의 안착홈(112)의 두 변에 안착되어 도 10에 도시된 탄성부재(114)의 형상과 같이 수축하도록 소정의 복원력을 탄성돌기(114p)를 통해 복수개의 셔터(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탄성돌기(114p)는 셔터(120)의 안내구멍(122) 내에서 제1 지점(P1)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복수개의 셔터(12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돌기(133)가 셔터(120)를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때문이며, 아울러 셔터(120)의 안내돌기(122)가 고정홈(117f)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제2 하우징(130)을 회전 조작하지 않을 경우 복수개의 셔터(120)들은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셔터(120)는 각각의 어느 다른 셔터(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124)와, 단차(124)를 수용하는 단차홈(125)을 더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120)가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폐쇄할 경우, 복수개의 셔터(12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일부는 단차(124)에 의해 폐쇄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12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다른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120)를 서로 밀착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사용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잔류하는 궐련(7)의 냄새가 외부로 급속히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120)들 사이 소정 공간을 개방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 후 내부에 잔류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비교하면 사용자가 조작부(134)를 조작하여 제2 하우징(1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결과(134a에서 134b로) 복수개의 셔터(120)가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31)를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2 하우징(1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 하우징(130)에 형성된 가압돌기(133)의 위치 또한 제2 하우징(130)의 회전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9의 133a에서 도 10의 133b로)하여 셔터(120)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셔터(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셔터(120)의 회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4)의 복원력이 셔터(120)의 안내구멍(123)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탄성돌기(114p)를 통해 셔터(120)에 전달되는 구조에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하우징(1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탄성돌기(114p)는 안내구멍(123)을 따라 제1 회전축(1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착홈(112)의 두 변에 걸쳐진 상태로 최대한 팽창해있던 탄성부재(114)의 두 변들 중 탄성돌기(114p)를 포함하는 한 변은 탄성돌기(114p)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돌출부재(11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셔터(120)들 또한 제1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31)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2 하우징(1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경우, 탄성돌기(114p)는 복수개의 셔터(120)가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31)를 개방하도록 안내구멍(123) 내에서 제1 지점(P1)의 반대측인 제2 지점(P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탄성돌기(114p)가 제1 지점(P1)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돌기(114p)는 제1 지점(P1)에서 제2 지점(P2)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탄성부재(114)의 복원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또 다시 제2 하우징(130)을 시계 방향으로 조작하여 복수개의 셔터(120)들을 닫기 전까지는, 복수개의 셔터(120)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120)들이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31)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하우징(130)을 지속적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복수개의 셔터(120)들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궐련(7)을 편리하게 수용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손으로 간편하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품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분실의 염려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제1 하우징(210)이나 제2 하우징(230)을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에 궐련(7)을 삽입하고, 수용공간에서 궐련(7)을 빼내는 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셔터(220)들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이 삽입되는 제1 개구(211)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210)과, 궐련(7)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제1 개구(211)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22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셔터(220)들은 제1 개구(211)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210)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셔터(220)는 궐련(7)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회전축(221)과, 셔터(220)가 제3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221s)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우징(210)은 제3 회전축(221)을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복수개의 셔터(220)가 제1 개구(211)를 폐쇄하는 제1 지점(도 12의 D1 참조)과 제1 개구(211)를 개방하는 제2 지점(도 12의 D2 참조)의 사이에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210)과 복수개의 셔터(2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13)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하우징(210)은 제2 하우징(2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215)를 더 포함하고, 제2 하우징(230)은 유지돌기(215)를 수용하는 유지홈(232)를 더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30)의 결합 시, 유지돌기(215)는 유지홈(232)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지 돌기(215)의 상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유지 돌기(215)는 제1 하우징(210)이 제2 하우징(230)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제2 하우징(230)과의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유지홈(232)에 간편하게 끼움 결합되어 결합된 이후에는 제1 하우징(210)이 제2 하우징(23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하우징(210)을 제2 하우징(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개구(211) 및 제2 개구(231)와 연통되는 제3 개구(241)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230)과 결합되는 커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40)는 제2 하우징(230)의 상면을 덮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213)는 제1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설치구멍(214)에 안착되고, 일측(213a)이 제1 하우징(210)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타측(213b)이 복수개의 셔터(22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셔터(220)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의 일단부에는 만곡부(213c)가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213c)는 탄성부재(213)가 복수개의 셔터(220)의 내측면과 부드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만곡부(213c)는 복수개의 셔터(220)의 개폐 시 셔터(220)의 내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만약 라운드진 형상 대신 뾰족한 절단면이 그대로 존재할 경우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복수개의 셔터(220)의 내측면이 긁혀 잔여물이 수용공간 내로 침투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셔터(220)의 내측면과 만곡부(213c)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셔터(220)의 내측면이 긁혀 잔여물이 수용공간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13)의 일측(213a)은 셔터(220)의 개폐와 상관 없이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은 셔터(220)의 개폐에 따라 제1 지점(D1) 및 제2 지점(D2) 사이에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즉, 셔터(220)가 폐쇄될 경우,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은 제1 지점(D1)에 위치할 수 있으며, 셔터(220)가 개방될 경우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은 제2 지점(D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으로 궐련(7)이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복수개의 셔터(220)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211)와 제2 개구(231)를 폐쇄하는 위치를 유지하며, 궐련(7)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일시적으로 복수개의 셔터(220)들이 개방되더라도, 사용 후 궐련(7)이 수용공간에서 분리될 경우 복수개의 셔터(220)들이 제1 개구(211)와 제2 개구(231)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원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하우징과 셔터의 결합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셔터(220)는 제1 하우징(210)의 수용부(2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3 회전축(221)과, 복수개의 셔터(220)가 제1 개구(211)를 폐쇄하는 경우 제1 하우징(210)과 접촉하여 제1 개구(2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의 제3 회전축(221)의 회전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셔터(220)가 제1 개구(211)를 개방하는 경우 제1 하우징(210)과 접촉하여 제1 개구(21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제3 회전축(221)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221s)을 포함한다.
도 14는 셔터(220)가 폐쇄된 경우, 걸림턱(221s)의 일측면(221s_a)이 제1 하우징(210)에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렇게 걸림턱(221s)의 일측면(221s_a)이 제1 하우징(210)에 맞물릴 경우, 도 14에 도시된 제3 회전축(221)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회전축(2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셔터(220)가 제1 개구(211)를 폐쇄하는 방향이나, 셔터(220)가 도 13에 도시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회전할 경우 다시 제1 개구(211)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220)는 제3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제1 개구(211)를 폐쇄하는 위치,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2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3 회전축(221)은 걸림턱(221s)을 구비하여, 걸림턱(221s)의 일측면(221s_a)이 제1 하우징(210)과 맞물리는 시점까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걸림턱(221s)의 타측면(221s_b)이 제1 하우징(210)에 맞물릴 경우, 도 14에 도시된 제3 회전축(221)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회전축(2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1 개구(211)를 개방하는 방향이므로, 셔터(220)는 제3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개구(211)를 개방하되, 걸림턱(221s)의 타측면(221s_b)이 제1 하우징(210)에 맞물리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복수개의 셔터가 닫힌 경우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220)가 제1 개구(211)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제1 개구(211)의 중심에 인접하는 복수개의 셔터(220)의 일부(220m)는 모따기(chamfering)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모따기 처리된 셔터(220)의 모서리 부분(220m)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분리할 경우 가장 마지막으로 궐련(7)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만약 이 부분이 뾰족하게 처리될 경우 궐련(7)이 분리될 때 궐련(7)의 외표면을 긁어 궐련(7)을 손상시킬 수 있다. 만약 셔터(220)의 모서리에 의해 궐련(7)이 손상될 경우 궐련(7)을 구성하는 각종 소재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추가적으로 수용공간을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20)의 모서리 부분(220m)을 모따기 처리할 경우에는 궐련(7)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궐련(7)의 잔여물이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220)는 각각의 다른 어느 하나의 셔터(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224)와, 단차(224)를 수용하는 단차홈(225)을 포함한다. 도 15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220)가 제1 개구(211) 및 제2 개구(231)를 폐쇄할 경우, 복수개의 셔터(22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일부는 단차(224)에 의해 폐쇄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220)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다른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구조에 따르면, 복수개의 셔터(220)를 서로 밀착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사용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잔류하는 궐련(7)의 냄새가 외부로 급속히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20)들 사이 소정 공간을 개방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 후 내부에 잔류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복수개의 셔터(220)가 한데 맞물려 제1 개구(211) 및 제2 개구(231)를 폐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각각의 셔터(220)는 제3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각 다른 셔터(220)들과 접촉하며, 도 15의 경우에도 세 개의 셔터(220)가 한데 모여 제1 개구(211) 및 제3 개구(231)를 폐쇄하는 구조를 묘사한다.
전술하였으나, 이렇게 복수개의 셔터(220)들이 제1 개구(211) 및 제2 개구(231)를 폐쇄하는 상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으로 궐련(7)이 삽입되지 않은 평상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D1)에 위치하여 최대한으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하지 않을 경우, 복수개의 셔터(220)들은 제1 개구(211) 및 제2 개구(231)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1에 나타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셔터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7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개구(211)와 제3 개구(231)를 통하여 궐련(7)을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한 결과, 복수개의 셔터(220)들이 제1 개구(211)와 제2 개구(231)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점(D2)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은 제2 지점(D2)에서 제1 지점(D1)으로 회귀하도록 소정의 복원력으로 셔터(220)의 하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궐련(7)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이 셔터(220)의 하측면에 복원력을 가하더라도 셔터(2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셔터(220)는 탄성부재(213)의 타측(213b)이 셔터(220)의 하측면에 가하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3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개구(211)와 제2 개구(231)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제1 하우징(210)이나 제2 하우징(230)을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에 궐련(7)을 삽입하고, 사용 후 다시 수용공간에서 궐련(7)을 빼내는 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셔터(220)들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하고 분리하는 동작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내부의 냄새나 이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셔터(220)를 서로 밀착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사용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잔류하는 궐련(7)의 냄새가 외부로 급속히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복수개의 셔터(220)들 사이 소정 공간을 개방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 후 내부에 잔류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궐련 34, 134, 234: 조작부
10, 110, 210: 제1 하우징 40, 140, 240: 커버
11, 111, 211: 제1 개구 41, 141, 241: 제3 개구
12: 제1 회전축 50: 베이스
13, 117: 안내홈 112: 안착홈
13f: 고정홈 113: 돌출부재
13m: 이동홈 114: 탄성부재
14, 118, 215: 유지돌기 114p: 탄성돌기
15, 119, 216: 기류구멍 115: 고정돌기
20, 120, 220: 셔터 116: 수용홀
21: 회전구멍 121: 제2 회전축
22: 안내돌기 122: 안내구멍
23: 캠 돌기 133: 가압돌기
24, 124, 224: 단차 212: 수용부
25, 125, 225: 단차홈 213: 탄성부재
30, 130, 230: 제2 하우징 214: 설치구멍
31, 131, 231: 제2 개구 221: 제3 회전축
32, 132, 232: 유지홈 221s: 걸림턱
33: 캠 구멍
10, 110, 210: 제1 하우징 40, 140, 240: 커버
11, 111, 211: 제1 개구 41, 141, 241: 제3 개구
12: 제1 회전축 50: 베이스
13, 117: 안내홈 112: 안착홈
13f: 고정홈 113: 돌출부재
13m: 이동홈 114: 탄성부재
14, 118, 215: 유지돌기 114p: 탄성돌기
15, 119, 216: 기류구멍 115: 고정돌기
20, 120, 220: 셔터 116: 수용홀
21: 회전구멍 121: 제2 회전축
22: 안내돌기 122: 안내구멍
23: 캠 돌기 133: 가압돌기
24, 124, 224: 단차 212: 수용부
25, 125, 225: 단차홈 213: 탄성부재
30, 130, 230: 제2 하우징 214: 설치구멍
31, 131, 231: 제2 개구 221: 제3 회전축
32, 132, 232: 유지홈 221s: 걸림턱
33: 캠 구멍
Claims (22)
- 궐련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 및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복수개의 셔터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수용하는 회전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개구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복수개의 셔터의 회전과 함께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고정홈과,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안내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임계치 이상의 힘이 상기 복수개의 셔터에 작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유지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유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지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과 함께 상기 유지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유지돌기가 상기 유지홈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궐련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의 기류 흐름을 허용하는 기류구멍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캠 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캠 구멍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조작할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운동은 상기 캠 구멍에 수용된 상기 캠 돌기에 전달되고,
상기 캠 돌기는 상기 캠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각각의 다른 어느 하나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와,
상기 단차를 수용하는 단차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셔터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일부는 상기 단차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복수개의 셔터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다른 일부는 개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연통되는 제3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안착홈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안착홈에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홀과, 상기 복수개의 셔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탄성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안내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과 함께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과 함께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조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안내구멍 내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안내구멍 내에서 상기 제1 지점의 반대측인 제2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돌기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궐련이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궐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제1 개구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는 상기 궐련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회전축과, 상기 셔터가 상기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3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는 제2 지점 사이에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복수개의 셔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설치구멍에 안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복수개의 셔터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셔터가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의 중심에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셔터의 일부는 모따기(chamfering) 처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0745A KR102135894B1 (ko) | 2018-02-21 | 2018-02-2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PCT/KR2019/000872 WO2019164135A1 (ko) | 2018-02-21 | 2019-01-22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US16/954,294 US11839236B2 (en) | 2018-02-21 | 2019-01-22 | Aerosol generation device |
EP19758241.4A EP3756492B1 (en) | 2018-02-21 | 2019-01-22 | Aerosol generation device |
JP2020536590A JP6901068B2 (ja) | 2018-02-21 | 2019-01-22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CN201980007042.9A CN111526743B (zh) | 2018-02-21 | 2019-01-22 | 气溶胶生成装置 |
US18/255,616 US20240099369A1 (en) | 2018-02-21 | 2021-12-02 |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movable upstream cover and downstream c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0745A KR102135894B1 (ko) | 2018-02-21 | 2018-02-2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0774A true KR20190100774A (ko) | 2019-08-29 |
KR102135894B1 KR102135894B1 (ko) | 2020-07-20 |
Family
ID=6768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0745A KR102135894B1 (ko) | 2018-02-21 | 2018-02-2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1839236B2 (ko) |
EP (1) | EP3756492B1 (ko) |
JP (1) | JP6901068B2 (ko) |
KR (1) | KR102135894B1 (ko) |
CN (1) | CN111526743B (ko) |
WO (1) | WO2019164135A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8971A (ko) * | 2019-12-19 | 2021-06-29 | 주식회사 이엠텍 | 에어로졸 발생장치 |
WO2021183208A1 (en) * | 2020-03-12 | 2021-09-16 | Oaksmith Llc | Vaping apparatus and methods |
KR20220018365A (ko) * | 2020-08-06 | 2022-02-15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20220020045A (ko) * | 2020-08-11 | 2022-02-1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KR20220071694A (ko) * | 2020-11-24 | 2022-05-3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20220166047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
KR20230014450A (ko) * | 2021-07-21 | 2023-01-30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상하 개폐식 커버 모듈을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
KR20230078188A (ko) * | 2021-11-26 | 2023-06-02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
KR20230097546A (ko) * | 2021-12-24 | 2023-07-03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
KR20230114493A (ko) * | 2022-01-25 | 2023-08-01 | 주식회사 이엠텍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 구조 |
WO2024106973A1 (ko) * | 2022-11-17 | 2024-05-23 | 주식회사 이엠텍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궐련 삽입부 도어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22524A1 (en) * | 2020-12-07 | 2022-06-1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movable upstream cover and downstream cover |
TWI816757B (zh) * | 2018-03-09 | 2023-10-01 |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 氣溶膠產生裝置及氣溶膠產生系統 |
KR102167020B1 (ko) * | 2018-04-10 | 2020-10-16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발생원 지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271275B1 (ko) * | 2019-05-14 | 2021-06-30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CN112535320A (zh) * | 2019-09-05 | 2021-03-23 |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 气雾生成装置 |
CN211910553U (zh) * | 2020-01-16 | 2020-11-13 |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 低温烟具 |
CN214903815U (zh) * | 2021-01-29 | 2021-11-30 |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 具有外壳的一体式雾化芯 |
JP2024509994A (ja) * | 2021-03-19 | 2024-03-05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空洞を有するカバー要素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
CN113208174B (zh) * | 2021-06-10 | 2024-04-09 | 宁波依兰雅丝护肤品有限公司 | 烘烤型电子烟 |
CN113876035B (zh) * | 2021-10-26 | 2023-10-24 |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烟支夹紧装置的烟具 |
WO2023148915A1 (ja) * | 2022-02-04 | 2023-08-10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喫煙システムおよび香味吸引器 |
WO2024017794A1 (en) * | 2022-07-20 | 2024-01-25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cover |
WO2024046883A1 (en) * | 2022-08-31 | 2024-03-07 | Imperial Tobacco Limited | Cap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6133A (ko) * | 1997-09-23 | 1999-04-15 | 김진용 | 재떨이 |
KR20010089445A (ko) * | 1998-11-12 | 2001-10-06 | 추후제출 | 흡입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 |
KR20080072076A (ko) * | 2005-12-21 | 2008-08-05 |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 성형용 셔터 장치 및 그 셔터편 |
KR20140117395A (ko) | 2012-01-03 | 2014-10-07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다각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
KR20150129366A (ko) * | 2014-05-12 | 2015-11-20 | 신종수 | 전자담배 |
KR20180014026A (ko) * | 2015-06-26 | 2018-02-07 |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 흡연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7487U (zh) | 1989-01-13 | 1989-11-15 | 关险峰 | 多用组合式自弹烟具 |
JPH0663802A (ja) * | 1992-08-20 | 1994-03-08 | Takamatsu Kikai Kogyo Kk | Nc旋盤におけるローダー用シャッター |
US5934289A (en) * | 1996-10-22 | 1999-08-10 | Philip Morris Incorporated | Electronic smoking system |
KR101177450B1 (ko) | 2005-02-28 | 2012-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용 셔터 장치 |
KR100790156B1 (ko) | 2006-11-06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KR20120124762A (ko) * | 2011-05-04 | 2012-11-14 | 신종수 | 전자담배 |
KR101285225B1 (ko) | 2011-07-21 | 2013-07-11 | 신종수 | 전자담배 |
CN203597398U (zh) | 2013-11-30 | 2014-05-21 | 林勇 | 一种按压旋转式烟灰缸 |
EP3104721B1 (en) * | 2014-02-10 | 2020-10-14 | Philip Morris Products S.a.s. |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fluid-permeable heater assembly |
CN203872987U (zh) | 2014-04-17 | 2014-10-15 |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 烟草加热器 |
US9999255B2 (en) * | 2016-01-21 | 2018-06-19 |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 Electronic cigarette with a blocking module |
-
2018
- 2018-02-21 KR KR1020180020745A patent/KR1021358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22 JP JP2020536590A patent/JP6901068B2/ja active Active
- 2019-01-22 WO PCT/KR2019/000872 patent/WO2019164135A1/ko unknown
- 2019-01-22 CN CN201980007042.9A patent/CN111526743B/zh active Active
- 2019-01-22 US US16/954,294 patent/US11839236B2/en active Active
- 2019-01-22 EP EP19758241.4A patent/EP3756492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12-02 US US18/255,616 patent/US2024009936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6133A (ko) * | 1997-09-23 | 1999-04-15 | 김진용 | 재떨이 |
KR20010089445A (ko) * | 1998-11-12 | 2001-10-06 | 추후제출 | 흡입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 |
KR20080072076A (ko) * | 2005-12-21 | 2008-08-05 |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 성형용 셔터 장치 및 그 셔터편 |
KR20140117395A (ko) | 2012-01-03 | 2014-10-07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다각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 |
KR20150129366A (ko) * | 2014-05-12 | 2015-11-20 | 신종수 | 전자담배 |
KR20180014026A (ko) * | 2015-06-26 | 2018-02-07 |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 흡연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8971A (ko) * | 2019-12-19 | 2021-06-29 | 주식회사 이엠텍 | 에어로졸 발생장치 |
WO2021183208A1 (en) * | 2020-03-12 | 2021-09-16 | Oaksmith Llc | Vaping apparatus and methods |
KR20220018365A (ko) * | 2020-08-06 | 2022-02-15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20220020045A (ko) * | 2020-08-11 | 2022-02-1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KR20220071694A (ko) * | 2020-11-24 | 2022-05-3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20220166047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
KR20230014450A (ko) * | 2021-07-21 | 2023-01-30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상하 개폐식 커버 모듈을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
KR20230078188A (ko) * | 2021-11-26 | 2023-06-02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
KR20230097546A (ko) * | 2021-12-24 | 2023-07-03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
KR20230114493A (ko) * | 2022-01-25 | 2023-08-01 | 주식회사 이엠텍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 구조 |
WO2024106973A1 (ko) * | 2022-11-17 | 2024-05-23 | 주식회사 이엠텍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궐련 삽입부 도어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64135A1 (ko) | 2019-08-29 |
EP3756492A4 (en) | 2021-10-27 |
EP3756492B1 (en) | 2022-10-12 |
US20240099369A1 (en) | 2024-03-28 |
EP3756492A1 (en) | 2020-12-30 |
JP2021509282A (ja) | 2021-03-25 |
CN111526743A (zh) | 2020-08-11 |
KR102135894B1 (ko) | 2020-07-20 |
US11839236B2 (en) | 2023-12-12 |
CN111526743B (zh) | 2023-07-11 |
JP6901068B2 (ja) | 2021-07-14 |
US20210137163A1 (en) | 2021-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00774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JP7239255B2 (ja) | エアロゾル生成源支持組立体、及びそれを具備し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 |
US9089166B1 (en) | Packaging for vaporizing device | |
KR100868394B1 (ko) |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용기 | |
JP2007038403A (ja) | カッティング装置 | |
US8733262B2 (en) | Needle thread passing device | |
GB2553516A (en) | A handheld appliance | |
KR20150014703A (ko) | 렌즈캡 | |
KR100797769B1 (ko) | 원터치 오픈형 화장품케이스 | |
JP3206564U (ja) | 収容ケース | |
US7500850B1 (en) | Lighter with accessory | |
CN111818820A (zh) | 化妆品容器 | |
US3585913A (en) | Camera with a cover for protection of objective and other actuation elements | |
JP6125356B2 (ja) |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 |
KR101413663B1 (ko)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
JP7083688B2 (ja) | 調理器 | |
JP2019190653A (ja) | プラグカバー | |
EP1170845B1 (en) | An electrical mounting element with flap | |
JP2008162612A (ja) | 収納具 | |
KR101576965B1 (ko) | 커버 연동형 인출부가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 |
KR0138839Y1 (ko) | 트레이의 록킹장치 | |
KR101799478B1 (ko) |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 |
JPH11159635A (ja) | 埋設式ガス栓 | |
ITRM950585A1 (it) | Apparecchio per applicare estemporaneamente un involucro di protezione ad ombrelli | |
JP4347109B2 (ja) | 鋏、鋏の組付方法及びケース付き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