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901A - 고무 조성물용 점착제 - Google Patents

고무 조성물용 점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901A
KR20190089901A KR1020197015862A KR20197015862A KR20190089901A KR 20190089901 A KR20190089901 A KR 20190089901A KR 1020197015862 A KR1020197015862 A KR 1020197015862A KR 20197015862 A KR20197015862 A KR 20197015862A KR 20190089901 A KR20190089901 A KR 20190089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urated
weight
sensitive adhesive
pressur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936B1 (ko
Inventor
펠릭스 알렉산더 베스테르하우스
프란크 로이터
디터 로데발트
올리비에 플라이쉘
스테판 슐리터
마르틴 뵐케르트
프리츠 님츠
울리히 아벨
귄터 쉐르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9008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5/02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25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 C08G8/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 C08G8/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of formaldehyde, e.g. of formaldehyde formed in situ with monohydric phenols having only one hydrocarbon substituent ortho on para to the OH group, e.g. p-tert.-butyl phen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5/04Poly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1Side-chains having aliphatic units
    • C08G2261/1412Saturated aliphatic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9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partially conjug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08G2261/34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non-conjugated, e.g. paracyclophanes or 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화학식 I의 반복 단위:
Figure pct00008
화학식
(여기서, R1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기이고, R2는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임)를 갖는 수지, 및 적어도 50 중량%까지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Description

고무 조성물용 점착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I의 반복 단위를 갖는 수지: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기이고, R2는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임,
및 적어도 50 중량%까지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 비-방향족 화합물
을 포함하는 점착제이다.
화학식 I에 따른 널리 공지된 점착제는, 예를 들어 DE 734 493에 기재된 바스프(BASF)에 의해 판매되는 수지, 코레진(Koresin)®이다. 코레진®은, 특히 자동차 또는 트럭용 타이어인 고무 물품의 제조를 위해 고무 조성물에 점착제로서 첨가된다. 코레진®은 파라 3급 부틸 페놀을 아세틸렌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수지이다.
고무 조성물은 점착제와 함께 배합되어야 한다. 균질 조성물을 얻기 위해, 온도는 수지의 용융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각각 높은 유리 전이점, 높은 연화점을 갖는 점착제는 높은 배합 온도를 필요로 한다.
기술 공정은 유리하게는 보다 저온에서 수행된다. 저온 공정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사용되는 물질을 보존하고, 휘발성 화합물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낮은 유리 전이점 또는 연화점을 갖는 점착제가 배합 방법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낮은 유리 전이점 또는 연화점을 갖는 점착제의 사용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생성물의 응용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많은 고무 생성물의 제조를 위해, 고무 조성물의 높은 점착성이 중요하다.
고무 생성물의 제조에서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특정 수의 비-가황 고무 부분을 함께 배치하여 목적한 고무 복합재를 형성한다. 고무 부분들은 높은 접착성을 갖고 서로에게 강하게 점착되어야 한다. 다음 단계에서, 고무 복합재는 고온에서 가황된다. 가황 시에, 고무는 가교되고, 고무 부분들은 서로에게 강하게 접합되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최종 고무 생성물, 예를 들어 타이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낮은 유리 전이점, 낮은 연화점을 갖는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각각 낮은 유리 전이점, 낮은 연화점을 갖는 점착제의 사용은, 고무 조성물의 점착성, 또한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어진 생성물의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단지 낮은 부정적 영향을 주거나 보다 우수하게는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에 정의된 점착제 및 고무 조성물에서 점착제로서의 그의 용도를 밝혀내었다.
수지에 대하여:
수지는 화학식 I의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R1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기이고, R2는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임).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에서 R1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기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에서 R1은 CH2 또는 HC-CH3 또는 H2C-CH2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에서 R2는 4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에서 R2는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2는 파라-3급-부틸이다.
R1= CH2인 수지는, 화학식 R2-C6H4-OH의 페닐 화합물을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포름알데히드가 R2-C6H4-OH의 탄소 원자 (통상적으로 OH 기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의 탄소 원자)에 첨가된 후, 얻어진 메틸올 기가 물의 제거 하에 추가의 R2-C6H4-OH와 반응한다. 얻어진 수지는, 추가의 포름알데히드가 보다 덜 반응성인 메타 위치에 첨가됨에 따라 어느 정도 가교될 수 있다.
R1= HC-CH3 또는 R1= H2C-CH2인 수지는, 화학식 R2-C6H4-OH의 페닐 화합물을 아세틸렌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아세틸렌이 R2-C6H4-OH의 탄소 원자 (통상적으로 OH 기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의 탄소 원자)에 첨가된 후, 얻어진 비닐 기가 추가의 R2-C6H4-OH와 반응한다. 얻어진 수지는, 추가의 아세틸렌이 보다 덜 반응성인 메타 위치에 첨가됨에 따라 어느 정도 가교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수지는 바스프에 의해 시판되는 수지, 코레진®이며, 이는 아세틸렌과 파라 3급 부틸 페놀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코레진®은 화학식 II의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3
반응에서 아세틸렌의 대안적 통합으로 인해, 코레진®은 화학식 III의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화학식 II 및 III에서 R2는 파라 3급 부틸이다.
코레진®의 중합체 분자의 말단 기는 특히 아세틸렌으로부터 유래된 비닐 기일 수 있다.
수지는, 반응에서 추가의 출발 물질로서 공단량체 또는 반응성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혼입되는 추가의 구조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의 적어도 80 중량%는 R2-C6H4-OH 및 포름알데히드 (R1= CH2의 경우) 또는 R2-C6H4-OH 및 아세틸렌 (R1= HC-CH3 또는 R1= H2C-C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경우)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의 적어도 90 중량%, 특히 적어도 95 중량%가 R2-C6H4-OH 및 포름알데히드 (R1= CH2의 경우) 또는 R2-C6H4-OH 및 아세틸렌 (R1= HC-CH3 또는 R1= H2C-C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경우)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R2-C6H4-OH 및 포름알데히드 (R1= CH2의 경우) 또는 R2-C6H4-OH 및 아세틸렌 (R1= HC-CH3 또는 R1= H2C-C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경우) 이외의 다른 출발 물질이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지 않는다.
비-방향족 화합물에 대하여:
점착제는 적어도 50 중량%까지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 비-방향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방향족 화합물은 각각 적어도 60 중량%까지, 특히 적어도 70 중량%까지, 적어도 80 중량%까지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다.
탄화수소 기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적어도 6개의 탄소 원자, 특히 적어도 8개의 탄소 원자, 적어도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기일 수 있다. 수소 이외의 또 다른 원자에 대한 직접 결합을 갖는 탄소 기는 탄화수소 기에 대한 구성원으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탄화수소 기의 탄소 원자의 수는 최대 60개, 특히 최대 40개, 또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최대 20개일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비-방향족 화합물은 적어도 80 중량%까지 10 내지 6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다.
비-방향족 화합물은 임의의 다른 화학적 요소 또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탄화수소일 수 있다.
비-방향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기 및 추가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관능기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추가의 관능기는 알콜 기, 1급, 2급 또는 3급 아미노 기, 카르보닐 기, 예컨대 알데히드 또는 케토 기, 카르복실산 기, 카르복실산 무수물 기, 카르복실 에스테르 기, 카르복실 아미드 기 또는 디카르복실 이미드 기이다.
바람직하게는, 비-방향족 화합물은 단지, 탄소, 수소 및 임의로 산소 및 질소 원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비-방향족 화합물은 단지, 탄소, 수소로, 또는 탄소, 수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비-방향족 화합물은 단지, 탄소, 수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비-방향족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 내지 2,000 g/mol, 특히 200 내지 1,000 g/mol이다.
바람직한 비-방향족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디카르복실산 아미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올리고머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을 포함한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 이외의 알콜의 에스테르 또는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 무수물 또는 아미드.
바람직한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는, 완전 포화된 또는 1 또는 2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6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로서, 옥탄, 옥텐, 데칸, 데센, 도데칸, 도데센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바람직한 올리고머는, PIBSA로서 공지된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이다.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은, 예를 들어, 바스프에 의해 상표명 글리소팔(Glissopal) SA®로 판매된다.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은 폴리이소부틸렌 (이는 2-메틸프로펜 = 이소부텐의 중합체임) 및 말레산 무수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바람직한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은 150 내지 3,000 g/mol, 특히 500 내지 1,5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고, 폴리이소부테닐 숙신산 무수물 1000 g 당 0.1 내지 3 mol 숙신산 무수물의 숙신산 무수물 기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은 6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1 또는 2개의 히드록실 기를 갖고, 완전 포화되거나 1 또는 2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다. 예로서, 옥탄올, 데칸올, 테트라데칸올 (미리스틸 알콜), 헥사데칸올 (세틸 알콜), 옥타데칸올 (스테아릴 알콜)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은 6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1 또는 2개의 카르복실산 기를 갖고, 완전 포화되거나 1 또는 2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다. 예로서, 포화 지방 산, 예컨대 옥탄산, 데칸산, 테트라데칸산, 헥사데칸산, 옥타데칸산 (스테아릴산) 및 불포화 지방 산, 예컨대 올레산 (C18), 리놀레산 (2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C18)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 알콜과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 카르복실산의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상기 언급된 지방 알콜과 아크릴산, 말론산, 말레산, 푸마르산 또는 상기 언급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의 에스테르이다.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 이외의 알콜의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상기 언급된 지방 산과 저분자량 알콜, 예컨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n-부탄올의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 무수물 또는 아미드는 상기 언급된 지방 산의 무수물 또는 아미드이다.
지방 산 및 지방 알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 및 고무에서의 그의 용도에 대하여:
점착제는 상기 화학식 I의 수지 및 상기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화학식 I의 수지 100 중량부 당 적어도 0.1 중량부, 특히 적어도 1 중량부,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2 중량부의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점착제는 화학식 I의 수지 100 중량부 당 100 중량부 이하의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화학식 I의 수지 100 중량부 당 최대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최대 30 중량부의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화학식 I의 수지 100 중량부 당 최대 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최대 10 중량부의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화학식 I의 수지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0 중량부, 또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1 내지 10 중량부의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는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점착제는 화학식 I의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 또는 임의의 종류의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는, 응용에서 요구되거나 요망되는 첨가제 또는 성분, 예를 들어 고무용 안정화제 또는 고무의 가황에 사용되는 가속화제를 이미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적어도 80 중량%까지,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90 중량%까지, 또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97 중량%까지, 단지 화학식 I의 수지 및 비-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단지 화학식 I의 수지 및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임의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점착제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비-방향족 화합물 및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방향족 화합물을 수지의 용융물에 첨가한다. 용융물, 특히 용융된 코레진의 온도는, 150 내지 250℃, 특히 180 내지 230℃이다. 수지 및 비-방향족 화합물의 얻어진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수지 중의 비-방향족 화합물의 균질 분포가 달성될 때까지 교반한다. 바람직하게는, 얻어진 혼합물을 패스틸화(pastillation)에 의해 고체 과립으로 전환시킨다. 과립을 저장하거나 얻어진 점착제의 추가 사용을 위해 수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는 고무 조성물에서 점착제로서 사용된다.
고무 조성물은 고무, 점착제 및 임의로 추가의 성분을 포함한다.
고무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뿐만 아니라 임의의 고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무는 가교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천연 고무는 이소프렌의 중합체이다.
합성 고무는, 예를 들어, 합성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BR), 스티렌 - 부타디엔 공중합체 (SBR),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또는 폴리클로로프렌일 수 있다.
바람직한 고무는 BR 또는 SBR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고무 조성물은 고무 100 중량부 당 적어도 0.1 중량부, 특히 적어도 1 중량부,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2 중량부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고무 조성물은 고무 100 중량부 당 100 중량부 이하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고무 조성물은 고무 100 중량부 당 최대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최대 30 중량부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고무 조성물은 고무 100 중량부 당 최대 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최대 10 중량부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특히 고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0 중량부, 또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1 내지 10 중량부의 점착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은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가황제, 예컨대 원소 황 및 가황을 위한 가속화제, 예컨대 산화아연 또는 벤조티아졸 술폰아미드, 또한 특히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 술폰아미드 (CBS)를 포함한다.
다른 첨가제는 특히 충전제 및 안료,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및 실리카이다.
고무 조성물은 표준 혼합 절차에 따라, 예를 들어 고무, 점착제, 가황제 및 임의로 가속화제, 안료 등과 같은 성분들을 밴버리(Banbury) 혼합기와 같은 표준 장비 내에서 혼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점착제를 고무에 용융물로서 첨가하는 고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첨가 동안,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유지되고, 80 내지 120℃의 고무 온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은 고무 물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고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각각 그로부터 제조된 부분은 통상적으로 가황될 수 있다. 얻어진 바람직한 고무 생성물은 특히 자동차 또는 트럭용 타이어이다. 고무 물품은 최종적으로 가황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통상적으로 승온에서 수행된다.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생성물은 특히, 다른 물질, 예를 들어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재, 특히 가황된 고무 조성물에 의해 커버링된 스틸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각각 낮은 유리 전이점, 낮은 연화점을 갖고, 이는 보다 저온, 예를 들어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의 고무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점착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은 높은 점착성을 갖고, 이는 높은 성능을 갖는, 특히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 예컨대 높은 안정성 및 강성을 갖는 고무 생성물, 특히 타이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코레진 및 비-방향족 화합물의 다양한 혼합물의 제조 절차:
코레진® (200 g) 및 비-방향족 화합물 (표 1에 특정된 양)을, 응축기 및 기계적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에 배치하고, 200℃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냉각시켰다. 용융물을 냉각 및 고화시킨 후, 물질을 제거하고,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DSC 데이터로부터 유리-전이 온도 (Tg)를 유도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5
*사용된 PIBSA는 바스프로부터의 글리소팔® SA였다.
점착성의 측정
하기 조성 (중량부)을 갖는 고무 제제를 사용하였다:
SBR 고무 100
공정 오일 13
카본 블랙 45
활석 17
폴리부타디엔 17
상기 고무 제제를 롤러 밀 상에서 각각 5 중량부의 코레진®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7 (7 중량부의 스테아르산), 실시예 11 (5 중량부의 스테아릴 알콜)에 따른 동일한 양의 혼합물과 배합하였다. 점착제 첨가 후, 혼합물의 온도를 3분 동안 120℃로 상승시켜 수지의 균질한 분산을 보장하였다.
최종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시험 샘플을 23℃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표 2에 기재된 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이한 저장 시간 후에 시험 샘플의 점착성을 측정하였다.
특히, 이들 샘플의 점착성을 "켓젠 택미터(Ketjen Tackmeter)"로 측정하였다. 스트립의 형태를 갖는 두 시험 샘플을 20 N/cm2의 힘으로 30초 동안 함께 가압하였다. 샘플들 사이에는, 한정된 접촉 면적을 보장하도록 윈도우를 갖는 테플론(Teflon) 호일이 존재하였다. 힘의 해제 및 완화를 위한 추가의 10초 후, 스트립을 분리하였다. 두 고무 스트립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힘을 뉴턴 (N) 단위로 측정하였다. 높은 힘은 시험 샘플의 높은 점착성에 상응한다.
표 2: 점착성
Figure pct00006

Claims (13)

  1. 화학식 I의 반복 단위를 갖는 수지:
    Figure pct00007

    여기서, R1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기이고, R2는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임,
    및 적어도 50 중량%까지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 비-방향족 화합물
    을 포함하는 점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R1이 CH2 또는 HC-CH3 또는 H2C-CH2인 점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R2가 4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인 점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가 아세틸렌 및 파라 3급 부틸 페놀을 반응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한 수지, 코레진 ®인 점착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방향족 화합물이 적어도 80 중량%까지 10 내지 6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로 이루어진 것인 점착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방향족 화합물이
    -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를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디카르복실산 아미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올리고머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을 포함한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과,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알콜 이외의 알콜의 에스테르 또는
    -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 산 무수물 또는 아미드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점착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수지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0 중량부의 비-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80 중량%까지 화학식 I의 수지 및 비-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9. 비-방향족 화합물을 수지의 용융물에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패스틸화에 의해 고체 과립으로 전환시키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비-방향족 화합물을 150 내지 250℃의 온도를 갖는 용융된 코레진에 첨가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를 고무에 첨가하는 것인, 고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고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0 중량부의 점착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0197015862A 2016-12-06 2017-11-30 고무 조성물용 점착제 KR10245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2416.0 2016-12-06
EP16202416 2016-12-06
PCT/EP2017/081051 WO2018104151A1 (en) 2016-12-06 2017-11-30 Tackifier for rubb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901A true KR20190089901A (ko) 2019-07-31
KR102457936B1 KR102457936B1 (ko) 2022-10-24

Family

ID=5762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862A KR102457936B1 (ko) 2016-12-06 2017-11-30 고무 조성물용 점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48118B2 (ko)
EP (1) EP3551693B1 (ko)
JP (1) JP7097903B2 (ko)
KR (1) KR102457936B1 (ko)
CN (1) CN110036065B (ko)
ES (1) ES2902756T3 (ko)
WO (1) WO2018104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9597A1 (en) * 2018-02-02 2019-08-08 Basf Se Process for removal of volatile compounds from tackifiers
WO2020109070A1 (en) 2018-11-28 2020-06-04 Basf Se Tackifier for rubber compositions
US20230134713A1 (en) 2020-03-26 2023-05-04 Basf Se Epoxy resin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2170A (en) * 1974-12-20 1978-08-23 Basf Ag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rubber compositions of tack
WO2012165386A1 (ja) * 2011-05-31 2012-12-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2170A (en) * 1923-05-10 1925-01-06 Yurkanin George Game
DE734493C (de) 1939-09-19 1943-04-29 Ig Farbenindustrie Ag Mittel zur Erhoehung der Klebefaehigkeit von Kautschuk und Kautschukmischungen
GB1067093A (en) 1963-05-03 1967-05-03 Gen Tire & Rubber Co Tread end cement for synthetic treads
US3514417A (en) * 1964-10-26 1970-05-26 Mc Donnell Douglas Corp Ethylene - propylene interpolymer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a tackifier mixture containing polybutene as one compound and the preparation of tires from said rubber composition
DE2430352B2 (de) * 1974-06-25 1978-08-03 Basf Ag, 6700 Ludwigshafen Laufflächenmischung
WO2007050236A1 (en) 2005-10-27 2007-05-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nstruction comprising tie layer
US8689846B2 (en) * 2005-10-27 2014-04-08 The Yokohama Rubber Co., Ltd. Construction comprising tie layer
ES2335603T3 (es) * 2006-09-20 2010-03-30 Arizona Chemical Company Composiciones de caucho con formacion adhesiva.
US20090056845A1 (en) * 2007-08-27 2009-03-05 Paul Harry Sandstrom Rubber composition and tire having component containing combination of emulsion sbr and tackifying resin
JP2009108117A (ja) * 2007-10-26 2009-05-21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更生タイヤ用クッションゴム並びに更生タイヤ
CN102131858B (zh) * 2008-06-26 2013-06-12 华奇(张家港)化工有限公司 橡胶配合应用的改性酚醛增粘树脂
US8453694B2 (en) 2010-11-11 2013-06-0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an innerliner of a rubber composition comprised of diene based elastomer and resin
EP3085734B1 (en) 2014-05-15 2023-08-16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CN105733041B (zh) * 2016-04-29 2018-03-16 风神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全钢工程子午线轮胎胎侧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2170A (en) * 1974-12-20 1978-08-23 Basf Ag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rubber compositions of tack
WO2012165386A1 (ja) * 2011-05-31 2012-12-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36065B (zh) 2022-03-15
US11248118B2 (en) 2022-02-15
US20200255654A1 (en) 2020-08-13
WO2018104151A1 (en) 2018-06-14
CN110036065A (zh) 2019-07-19
EP3551693B1 (en) 2021-09-29
JP2020503425A (ja) 2020-01-30
JP7097903B2 (ja) 2022-07-08
KR102457936B1 (ko) 2022-10-24
EP3551693A1 (en) 2019-10-16
ES2902756T3 (es)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936B1 (ko) 고무 조성물용 점착제
JP5702353B2 (ja) 粘着付与剤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変性ノボラック樹脂
JPS6039703B2 (ja) 中和したイオン性ポリマー組成物の製法
EP0469778B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processability of rubber and plastics
JPS6016976B2 (ja) 安定化された架橋エチ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7394833B2 (ja) エポキシ複合配合物
KR20170134719A (ko) 중합체의 관능화 방법
CN111073207A (zh) 一种高阻尼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I794838B (zh) 以二醯胺、官能化聚合物及蠟為主的流變添加劑
EP4029910A1 (en) Self-healing rubber comprising a poly(methacrylic acid) oligomer
JP2022511438A (ja) ゴム組成物用粘着付与剤
JPH0299534A (ja) ゴム配合組成物
US6924320B2 (en) Dry liquid concentrate composition
TW201619301A (zh) 粉體塗料
JPH02296843A (ja) 低い粘度を有する硬化性ゴムブラダー素材
CN111936571A (zh) 可固化液体橡胶组合物及其制造方法
EP4293076A1 (en) Self-healing rubber comprising a poly(glycerolmonomethacrylate) boronic ester complex
JP2012082251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硬化物
KR101442130B1 (ko) 기계적 강도 및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분자간 이온결합형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5085B1 (ko) 방향족 카르복실산을 이용한 분자간 이온 결합형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3070490A (ja) 熱硬化性組成物
JP2000198832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増粘方法
JPH07292154A (ja) ゴム用可塑剤
JP2005239882A (ja) ポリアミド樹脂ペレットの製造法
JPS61185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