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930A -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930A
KR20190085930A KR1020197014242A KR20197014242A KR20190085930A KR 20190085930 A KR20190085930 A KR 20190085930A KR 1020197014242 A KR1020197014242 A KR 1020197014242A KR 20197014242 A KR20197014242 A KR 20197014242A KR 20190085930 A KR20190085930 A KR 20190085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member
adhesive film
folded
body portion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928B1 (ko
Inventor
카츠히로 유메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19008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몸체 부재(10A)가 관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0); 및 반으로 접힌 바닥부재(12A)가, 접힘선을 상측으로 하여 몸체부 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12)를 포함하고, 바닥 부재(12A)의 각각의 측단이 몸체부(10)의 배면부(20)의 내면에 접착되며, 바닥 부재(12A)의 하단이 몸체부의 하단에 몸체부(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되고, 바닥 부재의 몸체부 측에, 바닥 부재의 측단과 몸체부를 접착하는 접착 필름이 바닥 부재 전체를 덮도록 적층되며, 접착 필름의 양 측단이 바닥 부재의 양 측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바닥 부재의 측단의 몸체부의 내면으로의 접착이 접착 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립형 백(1)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립형 백(self-standing bag)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1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26146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질의 포장재로서, 자립성을 갖는 백 소위 자립형 백이 알려져 있다. 바닥부를 형성하며, 상측에 접힘선을 갖는 접혀진 바닥부재가, 몸체부를 형성하는 두개의 몸체 부재의 하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두개의 몸체 부재의 측단을 바닥 부재의 측단과 함께 가열 밀봉하고, 게다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하부를 가열 밀봉하여 형성되는 자립형 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자립형 백에서,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에 형성된 몸체 부재의 측단 사이의 열융착 부(heat-sealed portion)는 칼날(knife edge)로 작용하여 손으로 몸체부를 잡을 때 불편함을 야기한다.
몸체부를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을 해결하는 자립형 백으로서, 하나의 몸체 부재의 양 측단 측을 각각 접어서 상기 양 측단을 배면에서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편평한 튜브 형상(flat tube shape)으로 형성된 몸체부를 갖는 자립형 백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편평한 튜브 형상의 몸체 부재로 형성된 몸체부, 및 반으로 접혀서 상측에 접힘선을 갖는 몸체부의 내측에 부착된 바닥 부재로 형성되고, 바닥 부재의 양 측단이 측단 각각을 덮는 두개의 접착 필름에 의해 몸체부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자립형 백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1-195175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자립형 백에서는, 제조 시 접착 필름의 배치가 어긋나는 경우, 접착 불량이 발생하여, 내용물의 누출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접착 필름의 배치 위치에 대해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고, 특히 작은 크기의 자립형 백인 경우, 자립형 백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자립형 백에서는, 자립한 상태(self-standing state)에서 바닥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기 때문에, 바닥부는 우수한 내핀홀성(pinhole resistance)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으로 몸체부를 잡을 때 불편함을 주지 않고, 크기가 작더라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바닥부에서 우수한 내핀홀성(pinhole resistance)을 가지는,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자립형 백은, 몸체 부재가 관 형상(tubular shape)으로 형성된 몸체부; 및 반으로 접힌 바닥부재가, 그 접힘선을 상측으로 하여 몸체부 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바닥 부재의 각각의 측단이 몸체부의 내면에 접착되며, 바닥 부재의 하단이 몸체부의 하단 측에서 몸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되고, 바닥 부재의 몸체부 측에, 바닥 부재의 측단과 몸체부를 접착하는 접착 필름이 바닥 부재 전체를 덮도록 적층되며, 접착 필름의 양 측단이 바닥 부재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 부재의 측단과 몸체부의 내면의 접착이 접착 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2] [1]에 따른 자립형 백은, (Ⅰ) 필름 형상의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을, 접착 필름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바닥 부재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Ⅱ) 적층체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부재의 접힘선에서 접착 필름이 외측에 놓여지도록 반으로 접는 공정;
(Ⅲ) 필름 형상의 몸체 부재 상에, 반으로 접힌 적층체를 배치하는 공정;
(Ⅳ) 바닥 부재의 측단을 접착 필름에 의해 몸체 부재에 부착하는 공정;
(Ⅴ) 몸체 부재의 바닥 부재를 접착한 면이 내면이 되도록 몸체 부재의 측단을 서로 접착해서 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몸체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Ⅵ) 바닥 부재의 하단과 몸체부의 하단 측을 몸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4] [3]에 따른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은, 공정(Ⅴ)에서, 몸체 부재의 각각의 측단 측을, 바닥 부재를 접착한 면이 내면이 되도록, 각각의 접힘선이 바닥 부재의 양 측단보다 중앙에 가깝게 위치 되도록, 바닥 부재의 측단 측과 함께 접는다.
[5] [3] 또는 [4]에 따른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은, 공정(Ⅰ)에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을, 바닥 부재의 양 측단을 따라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은 몸체부를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을 주지 않고, 크기가 작더라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바닥부에서 우수한 내핀홀성(pinhole resistance)을 가진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자립형 백은 크기가 작더라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용물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고, 바닥부에서 우수한 내핀홀성(pinhole resistance)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일 예의 편평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및 바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및 자립형 백을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배면 연결부의 일 실시예의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배면 연결부의 일 실시예의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배면 연결부의 일 실시예의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자립형 백의 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자립형 백의 II-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립형 백에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의 다른 형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립형 백 제조 방법의 일 예의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립형 백 제조 방법의 다른 일 예의 공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일 예의 공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다른 일 실시예의 일 예의 평면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다른 일 실시예의 일 예의 평면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다른 일 실시예의 일 예의 평면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자립형 백]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일 예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따르기 위한 주출구(spout)가 구비된 자립형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자립형 백(1)은 자립(self-standing)하는 특성을 갖는 백이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몸체부(10) 내에 구비된 바닥부(12), 및 몸체부(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내용물을 따르기 위한 주출구(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자립형 백(1)은 몸체 부재(10A)가 관 형상(tubular shape)으로 형성된 몸체부(10), 및 반으로 접힌(half-folded) 바닥 부재(12A)가 그 접힘선(12a)을 상측으로 하여 몸체부(10)의 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12),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은 몸체부(10)의 내면에 접착되고,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이 몸체부(10)의 하단 측에서 몸체부(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된다. 바닥 부재(12A)의 몸체부(10) 측에는,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과 몸체부(10)를 접착하는 접착 필름(22)이 바닥 부재(12A) 전체를 덮도록 적층되어 있다. 접착 필름(22)의 양 측단(22c, 22d) 및 측단(22e, 22f)은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에서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과 몸체부(10)의 내면의 접착은 접착 필름(2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자립형 백(1)은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내용물을 주출구(14)에서 부을 수 있다. 자립형 백(1)에 내용물이 저장될 때, 자립형 백(1)을 아래에서 보면 원형(circular) 또는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elliptical shape)을 가지며, 또한 완만한 모서리(blunt corner)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관 형상을 가지며, 직사각형의 필름 형상을 갖는 몸체 부재(10A)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 부재(10A)의 양 측단 측은 도 3B에 도시된 접힘선(L1,L2)을 따라 접혀지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10a)과 측단(10b)은 서로 맞닿아 관 형상을 형성한다. 몸체부(10)는 내용물이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편평한 형상이며, 전면부(18) 및 배면부(2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10)에서,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과 접힘선(L2) 사이의 부분(11A)은 전면부(18)를 형성한다. 또한, 몸체 부재(10A)에서 접힘선(L1)과 측단(10a) 사이의 부분(11B) 및 접힘선(L2)과 측단(10b) 사이의 부분(11C)은 배면부(20)를 구성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 및 접힘선(L2)의 부분은 각각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 부재(10A)로서, 적어도 기재 층(a base material layer)과 실란트 층(sealant layer)이 적층되고 실란트 층이 가장 내층인 적층 필름이 바람직하다.
기재 층으로서, 인쇄성(printability)이 우수하고 또한 천공 강도(piercing strength), 인장 강도(tensil strength),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 등을 갖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층의 재료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를 포함하며, 2축 연신 필름(biaxially stretched film) 또는 이의 1축 연신 필름(uniaxially stretched films thereof)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필름에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차단 특성(barrier properties)을 부여하기 위해,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또는 산화 규소와 같은 산화물이 증착된 증기 증착 필름(vapor-deposited film),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과 같은 차단 코팅제(a barrier coating agent)로 코팅된 코팅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 층은 필름의 단일체 일 수 있고, 또는 적층체 일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층은 기재 층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 용융 가능하고, 가열 밀봉(heat-sealed) 가능한 층이다. 상기 실란트 층의 재료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이의 무연신 필름(unstretched films)이 있으며 수지를 층 형상으로 압출하여 얻은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 필름은 필요에 따라 기재 층과 실란트 층 사이에 중간 층(an intermediate layer)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층의 예로는 산소 차단성(oxygen barrier properties), 수증기 차단성(water vapor barrier properties) 및 인열성(tearing properties)과 같은 기능을 갖는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층의 구체적인 예로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호일(metal foil), 전술한 증기 증착 필름, 및 코팅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 층, 실란트 층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중간 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은 접착제를 이용한 건식 적층 방법(dry lamination method) 또는 열 접착 수지를 이용한 압출 적층 방법(extrusion lamination method)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부재(10A)는 가열 밀봉성 필름(heat-sealable film)으로 이루어진 단일 층 필름 일 수 있다.
상기 몸체 부재(10A)가 관 형상을 갖는 형태는, 본 예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0A)의 측단(10a)과 측단(10b)이 그 사이에 틈새 없이 서로 맞닿는 형태이고, 접착 필름(16)이 내면 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가열 밀봉부(HS3)에서 가열 밀봉되어 배면 연결부(15)를 형성한다. 이 경우, 몸체 부재(10A)의 측단(10a) 및 측단(10b)은 약간의 간극 또는 약간의 겹침이 있어도 접착 필름(16)에 의해 틈새 없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16)은 몸체 부재 및 바닥 부재의 실란트 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같은 종류의 필름이고, 양면은 몸체 부재 및 바닥 부재의 실란트 층에 열 접착(thermally fused) 가능한 가열 밀봉성(heat-sealable property)을 가진다. 접착 필름(16)의 예는 양면에 실란트 층을 갖는 적층 필름, 단층 필름(single layer film), 및 공압출 필름(coextruded film)을 포함한다. 특히, 가열 밀봉의 열에 의해 전체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용융되어 두께가 더욱 감소된다는 관점에서 접착 필름(16)으로서, 단층 합성 수지 필름(single layer synthetic resin film)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 연결부(15)의 형태는 접착 필름(16)을 사용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형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0A)의 측단(10a)의 내면과 측단(10b)의 외면이 서로 접착되는 랩 연결부(a lap joint),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0A)의 측단(10a)과 측단(10)의 내면이 서로 접착되는 가장자리 연결부(an edge joint)일 수 있다. 측단(10a)과 측단(10b)의 랩 연결부 또는 가장자리 연결부는 가열 밀봉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12)는, 직사각형의 필름 형상을 갖는 바닥 부재(12A)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2)는 접힘선(12a)을 상측으로 하여 바닥 부재(12A)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몸체부(10)의 내측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면은 접힘선(12a)을 경계로 제1 바닥면 부(12b) 및 제2 바닥면 부(12c)로 구획된다.
반 접힌 상태에서, 제1 바닥면 부(12b)의 측단(12d)과 제2 바닥면 부(12c)의 측단(12e)은 서로 일치하고, 제1 바닥면 부(12b)의 측단(12f)과 제2 바닥면 부(12c)의 측단(12g)은 서로 일치하며, 제1 바닥면 부(12b)의 하부(12h)와 제2 바닥면 부(12c)의 하부(12i)는 서로 일치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립형 백(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바닥 부재(12A)는 반으로 접혀 몸체 부재(10A) 상에 배치된다. 즉, 바닥 부재(12A)의 제2 바닥면 부(12c)는 몸체 부재(10A)의 부분(11A) 측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바닥 부재(12A)의 제2 바닥면 부(12c)는 몸체부(10)의 전면부(18)와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반면에,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바닥 부재(12A)의 제1 바닥면 부(12b)는 몸체부(10)의 배면부(20) 측과 마주하게 위치된다. 몸체부(10)의 배면부(20)는 몸체 부재(10A)의 부분 (11B) 및 부분(11C)에 의해 형성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가 몸체 부재(10A) 상에 배치될 때, 바닥 부재(12A)의 폭 방향의 중심선(a)과 몸체 부재(10A)의 폭 방향의 중심선(b)은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 사이의 길이(D1)는 몸체 부재(11A)의 부분의 폭(D2) 보다 길고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 L2)을 넘어선다. 여기서,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 L2)은 접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몸체 부재(10A)가 관 형상으로 형성될 때, 바닥 부재(12A)는 또한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 L2)에서 접혀진다. 즉, 바닥 부재(12A)의 양측 단부 사이의 길이(D1)는 몸체부(10)의 폭보다 길다.
몸체부와 바닥부를 가지고 몸체부를 측부에 접착하기 위해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 외부에 형성된 측부 시일(side portion seal)을 가지는 일반적인 자립형 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이 자립형 백 내부의 바닥 부재의 측단 부분의 상부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즉, 내용물의 하중은 바닥 부재가 반으로 접혀지는 측단의 모서리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하고 내용물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의 측단은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와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부재의 측단은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의 내측과 일치하고, 내용물의 하중은 특히 바닥 부재의 상부, 즉, 바닥 부재의 반으로 접힌 모서리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바닥 부재의 측단의 상부에서 파손이 발생하고 내용물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 사이의 길이(D1)가 몸체부(10)의 폭보다 긴 경우, 도 1,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측은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에서 접혀지고 배면부(20)의 내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자립형 백(1)에 있어서, 접힘선(12a)에서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모서리를 제외한 바닥 부재(12A)의 접힌 부분이 내용물의 하중을 받아서, 측단(12d, 12e) 측에서 바닥 부재(12A)의 측면 가장자리에 큰 힘이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측단(12d, 12e) 일부가 파단되기 어렵고, 내용물의 누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다.
마찬가지로,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의 측단(12f, 12g) 측은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접혀지고 측단(12f, 12g)은 배면부(20)의 내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측단(12f, 12g)의 일부가 파단되기 어렵고, 내용물의 누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가한다.
상기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12e)과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 사이의 거리, 즉,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과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 사이의 거리(D3)는 바람직하게 1.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3.0mm 이상이다. 거리(D3)가 1.0mm 이상인 경우,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의 일부가 파손되고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쉽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거리(D3)가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경우, 자립형 백이 내용물로 충전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0A)는 접힘선으로서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혀서 완만한 모서리 부분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몸체 부재와 바닥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강성을 갖는 적층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을 갖는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의 거리(D3)의 일정 길이는 자립형 백의 크기에 의존하지만, 적어도 10mm 이상의 거리를 갖는 경우 완만한 모서리는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과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b) 사이 거리의 바람직한 범위, 즉,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과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2) 사이의 거리(D4)는 거리(D3)와 동일하다.
상기 거리(D3)와 거리(D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지만, 양호한 외관의 관점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부재(12A)로서, 적어도 기재층과 실란트 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이 바람직하고, 실란트 층을 바깥 측으로 반으로 접힌다. 자립형 백(1)의 내부에서 몸체부(10)의 내면과 마주하는 측의 가장 안쪽 층은 실란트 층이다. 바닥 부재(12A)의 기재 층 및 실란트 층으로서, 예를 들어, 몸체 부재(10A)에 적용될 수 있는 기재 층 및 실란트 층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12A)가 적층 필름인 경우, 바닥 부재(12A)는 중간층을 가질 수 있다. 바닥 부재(12A)의 중간층으로서, 예를 들면, 몸체 부재(10A)에 적용될 수 있는 동일한 중간층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부재(12A)와 몸체 부재(10A)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의 필름일 수 있지만, 이의 가열 밀봉에 의한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란트 층을 갖는 적층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이 일체화 된 적층 필름이 후술할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의 적층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접착 필름은 또한 바닥 부재의 실란트 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은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몸체부(10)의 내면에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접착 필름(22)은 바닥 부재(12A) 전체를 덮도록 바닥 부재(12A) 상에 적층된다. 접착 필름(22)은 바닥 부재(12A)의 실란트 층의 표면 상에 적층된다. 여기서 “적층되어있다” 는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이 전체 면적에 걸쳐서 서로 접착된 상태 또는 부분적으로만 접착된 상태일 수 있고, 또한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이 서로 접착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필름(22)과 바닥 부재(12A)는 함께 반으로 접혀서 바닥 부재(12A)는 접착 필름 사이에 끼워진다. 반으로 접혀진 접착 필름(22)의 면은 제1 평면 부(22a) 및 제2 평면부(22b)로 구획된다.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평면 부(22a)의 측단(22c)과 제2 평면 부(22b)의 측단(22d)은 서로 일치하고, 제1 평면부(22a)의 측단(22e)과 제2 평면부(22b)의 측단(22f)은 서로 일치하고, 제1 평면부(22a)의 하단(22g)과 제2 평면부(22b)의 하단(22h)은 서로 일치한다. 접착 필름(22)의 제2 평면부(22b)는 몸체 부재(10A)의 부분(11A) 측에 위치된다. 즉,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몸체부(10)의 전면부(18) 측에 위치된다. 반면에, 접착 필름(22)의 제1 평면부(22a)는 자립형 백이 형성될 때 몸체부(10)의 배면부(20) 측에 위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접착 필름(22)의 일측의 측단(22c, 22d)은, 폭 방향으로,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일측의 측단(12d, 12e)에서 돌출된다. 또한, 반으로 접힌 접착 필름(22)의 타측의 측단(22e, 22f)은, 폭 방향으로,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타측의 측단(12f, 12g)에서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필름(22)의 양측의 측단(22c, 22d) 및 측단(22e, 22f)은, 폭 방향으로 바닥 부재(12A)로부터 돌출된다.
도 1, 도 2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립형 백(1)에 있어서, 접착 필름(22)의 측단(22c, 22d) 측과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측이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에서 접혀진 상태에서, 접착 필름(22), 바닥 부재(12A), 및 몸체부(10)는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을 포함하는 가열 밀봉부(HS1)에서 가열 밀봉함으로써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가열 밀봉부(HS1)에서, 접착 필름(22)과 바닥 부재(12A)가 서로 접착되고, 접착 필름(22)과 몸체부(10)의 배면부(20)는 서로 접착되며, 또한, 바닥 부재(12A)로부터 돌출된 접착 필름(22)의 부분은 서로 접착되서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은 접착 필름(22)에 의해 폐쇄되고 접착에 의해 몸체부(10)의 배면부(20)의 내면에 부착된다. 가열 밀봉부(HS1)의 높이방향의 단부는 바닥 부재(12A)의 반으로 접혀진 접힘선(12a)을 넘어서 형성된다. 또한, 가열 밀봉부(HS1)의 폭 방향의 단부는 후술된다.
마찬가지로, 접착 필름(22)의 측단(22e, 22f) 측과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 측은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b)에서 접혀진 상태에서, 접착 필름(22), 바닥 부재(12A), 및 몸체부(10)는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을 포함하는 가열 밀봉부(HS2)에서 가열 밀봉 됨으로써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가열 밀봉부(HS2)에서, 접착 필름(22)과 바닥 부재(12A)는 서로 접착되고, 접착 필름 (22)과 몸체부(10)의 배면부(20)는 서로 접착되며, 또한, 바닥 부재(12A)로부터 돌출된 접착 필름(22)의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은 접착 필름(22)에 의해 폐쇄되고 접착에 의해 몸체부(10)의 배면부(20)의 내면에 부착된다. 가열 밀봉부(HS2)의 높이 방향의 단부는 바닥 부재(12A)의 반으로 접혀진 접힘선(12a)을 넘어서 형성된다. 또한, 가열 밀봉부(HS2)의 폭 방향의 단부는 후술된다.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은 전술 한 바와 같이 적층되고, 접착 필름(22)의 양 측단(22c, 22d) 및 측단(22e, 22f)이 폭 방향에서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접착 필름(22)은 단일 시트이므로,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 사이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립형 백(1)이 작더라도,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접착 불량이 충분히 억제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누출은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필름이 바닥 부재 (12A)의 측 단부 부분에만 적층되어 있는 형태와 비교하여, 바닥부(12) 전체에 대해 우수한 내핀홀성이 얻어진다. 우수한 내핀홀성의 관점에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은 바닥 부재의 양측 단부 부분에서만 접착되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의 양측 단부 부분에서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이 접착되고, 가열 밀봉부(HS1)와 가열 밀봉부(HS2)에서 접착되며,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폭 방향의 중심부는 이중 백(a double bag)과 같고, 자립형 백(1)은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이 전체적으로 서로 접착되는 경우에 비해 바닥부(12)의 내핀홀성이 우수하다.
상기 접착 필름(22)은 바닥 부재(12A)의 양측의 측단(12d 내지 12g)을 몸체부(10)의 내면에 접착함으로써 부착시키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며, 양면에 가열 밀봉성을 갖는 필름이다. 접착 필름(22)으로서, 몸체 부재 및 바닥 부재의 실란트 층에 가열 밀봉 가능한 밀봉성을 가지며, 접착 필름(16)에서 사용되는 필름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가열 밀봉의 열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용융되어 두께가 더 감소하는 관점에서, 단층 합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필름(22)이 단층 합성수지 필름 인 경우, 가열 밀봉부(HS1) 및 가열 밀봉부(HS2)에서, 접착 필름(22)은 가열 밀봉의 열에 의해 용융되고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과 측단(12f, 12g)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부(a stepped part)로 침투하기 쉽기 때문에 가열 밀봉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일 예의 자립 형 백에 있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0A)의 부분(11b, 11C)에서, 가열 밀봉부(HS1)의 폭 방향의 일단은 접힘선(L1)에 닿도록 형성되고, 가열 밀봉부(HS2)의 폭 방향의 일단은 접힘선(L2)에 닿도록 형성된다.
즉, 몸체부(10)의 배면부(20)에서, 가열 밀봉부(HS1)는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13a)에 닿도록 형성되고, 가열 밀봉부(HS2)는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b)에 닿도록 형성된다.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12d, 12g) 및 측단(12f, 12g)이 부착된 부분에서 접착 필름(22)에 접착된 몸체부(10)의 부분은 접힘선(L1,L2)을 넘지 않고 바람직하게 배면부(20)에만 형성된다. 즉, 가열 밀봉부(HS1) 및 가열 밀봉부(HS2)는 전면부(18)에 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닥 부재(12A)의 접힘선(12a)은 몸체부(10)의 전면부(18)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자립형 백(1)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의 근방에서는, 바닥부(12)의 상부가 넓어지기 쉽고, 이에 따라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의 근방이 넓어지기 쉬우며, 자립 안정성이 향상되어 양호한 외관을 얻기 쉽다.
또한, 가열 밀봉부(HS1) 및 가열 밀봉부(HS2)가 배면부(20)에만 형성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밀봉부(HS1)의 폭 방향의 일단은 접힘선(L1)에 닿지 않을 수 있고, 가열 밀봉부(HS2)의 폭 방향의 일단은 접힘선(L2)에 닿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열 밀봉부(HS1) 및 가열 밀봉부(HS2)는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에 닿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립형 백(1)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의 근방에서 바닥부(12)의 상부가 용이하게 넓어지고, 이에 따라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근방이 용이하게 넓어지고, 자립 안정성이 향상되어 양호한 외관을 얻기 쉽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립 안정성 및 설계 가능성이 지나치게 낮은 범위에 있지 않는 한, 가열 밀봉부(HS1) 및 가열 밀봉부(HS2)의 폭 방향의 일단이 각각 접힘선(L1) 및 접힘선(L2)을 넘어서 몸체 부재(10A)의 부분(11A) 즉, 몸체부(10)의 전면부에 도달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가열 밀봉부(HS1) 및 가열 밀봉부(HS2)의 폭 방향의 타단은 각각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을 넘을 수 있다. 가열 밀봉부(HS1, HS2)가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을 넘을 때,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로부터 돌출된 접착 필름의 부분은 서로 접착되고 측단 (12f, 12g)로부터 돌출 된 부분은 서로 접착된다. 따라서,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및 측단(12e)은 폐쇄되고, 측단(12f) 및 측단(12g)은 폐쇄된다.
또한, 가열 밀봉부(HS1,HS2)의 폭 방향의 타단은 접착 필름(22)의 측단(22c, 22d) 및 측단(22e,22f)을 넘을 수 있다. 가열 밀봉부(HS1, HS2)가 접착 필름(22)의 측단(22c, 22d) 및 측단(22e, 22f)을 넘어섬으로써, 측단(22c) 및 측단(22d)이 폐쇄되고, 측단(22e) 및 측단(22f)이 폐쇄된다.
따라서, 측단(22c)과 측단(22d) 사이 및 측단(22e)과 측단(22f) 사이에 내용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도 1, 도2,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과 몸체 부재(10A)의 하단 측은 몸체부(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가열 밀봉 돼서, 띠 형상(band-like)의 가열 밀봉부(HS4)가 형성된다. 띠 형상의 가열 밀봉부(HS4)는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가열 밀봉부(HS4)가 몸체 부재(10A)의 하단 측의 최하단에 도달하면, 자립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립형 백(1)의 하단 측이 폐쇄되고 바닥부(12)가 형성된다. 띠 형상의 가열 밀봉부(HS4)의 폭은 2 내지 30 mm가 바람직하고, 3 내지 10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18)에서의 가열 밀봉부(HS4)의 위쪽 부분은 접착 필름(22)에 접착되지 않는다. 또한, 접착 필름(22)에 접혀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제1 평면부(22a) 및 제2 평면부(22b)는 가열 밀봉부(HS4)에서 서로 접착된다.
몸체부(10)의 상부는 전면부(18)와 배면부(20) 사이에 주출구(14)가 끼어있는 상태에서 가열 밀봉부(HS5)에서 가열 밀봉됨으로써 주출구(14)는 액밀하게(liquid-tightly) 부착된 상태로 밀봉된다.
상기 주출구(14)로서, 공지의 주출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일 예에서의 주출구(14)는 하부가 몸체부(10) 내에 삽입되어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이 부어지는 주출관(24)과, 주출관(24)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주출관(24)의 주출구를 밀폐하는 캡(26)을 포함한다.
상기 주출구(14)의 재질로서, 적어도 몸체부(10)의 내면에 접착되는 주출관(24)의 일부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의 적어도 내면에 접착되는 주출구(14)의 주출관(24)의 부분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의 예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a vinylidene chloride resi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등을 포함한다. 특히, 우수한 가공성 및 저비용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density polyethylene),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high-pressure method low-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와 같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ethylene- α-olefin copolymer)와 같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olefin-based elastomers),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polypropylene-based resins),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a- 올레핀-프로필렌 랜던 공중합체(a-olefin-propylene random copolymer), 및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cyclic polyolefin resins)를 포함한다. 이들 수지는 성능 향상을 위해 배합될 수 있고, 내열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출구(14)는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다양한 수지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성의 관점에서, 몸체부(10)의 적어도 내면에 접착된 주출구(14)의 주출관(24)의 부분을 형성하는 수지는 몸체부(10)의 전면부(18) 및 배면부(20)의 내면 측에 실란트 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은 주출구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고, 식품, 화장품 및 샴푸와 같은 유체, 분말, 고형물 등을 저장하는 봉지(bag)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은 개별의 패키지를 포장(packaging)하기 위한 외장 포장 봉지(an outer packaging bag)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자립형 백에 있어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이 척층된 상태에서, 바닥 부재의 측단이 몸체부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은 접착 필름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체 바닥부에 의해 우수한 내핀홀성이 얻어진다. 또한, 접착 필름의 양 측단은 바닥 부재의 양 측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 사이의 위치 관계는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작은 크기의 자립형 백일지라도, 접착 필름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접착 불량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고, 내용물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립형 백에 있어서, 전면부 및 배면부의 내면끼리 접착된 가열 밀봉부는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손으로 몸체부를 잡더라도 불편함이 없고, 우수한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은 전술한 자립형 백(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12A)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a)과 몸체 부재(10A)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b)은 서로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바닥 부재의 폭 방향에서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이 몸체 부재(10A)의 접힘선(L1, L2)에 도달하는 범위 내에 있으면 바닥 부재(12A)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a)과 몸체 부재(10A)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b)은 실질적으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배면 연결부(15)가 배면부(20)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지만, 배면 연결부(15)가 형성되는 위치는 배면부(20)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은, 배면 연결부(15)가 배면부(20)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측면 가장자리(13a) 또는 측면 가장자리(13b)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자립형 백일 수 있다. 이러한 자립형 백은 몸체 부재(10A)가 접혀지는 접힘선(L1, L2)의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측단(10a) 또는 측단(10b)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게 몸체 부재(10A) 상에 배치된 바닥 부재(12A) 및 접착 필름(22)의 배치 위치는 바닥 부재(12A)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a)과 몸체 부재(10A)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b)이 실질적으로 일치하지 않도록 측단(10a) 또는 측단(10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자립형 백(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는 후술된다.
또한, 접착 필름(16, 22)은 양면에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필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착 필름(16,22)으로서, 가열 밀봉성을 갖지 않고 접착제에 의해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 및 몸체 부(10)의 하단(10c)이 서로 접착되는 가열 밀봉부(HS4)의 형상은 내용물이 채워질 때 바닥부를 느슨함 없이 개방하기 위해 이의 상부 가장자리의 형상은 원호 형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우수한 자립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밀봉부(HS4)의 상부 가장자리의 형상은 가열 밀봉될 수 있어서 접힘선 모양(folded line shape)이 몸체 부재(10)의 측면 가장자리(13a)에서 하단(10c)을 향하여 경사진 측면, 하단(10c)에 대해 평행한 측면, 및 하단(10c)에서 측면 가장자리(13b)를 향하여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는 3개의 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밀봉부(HS4)의 상부 가장자리의 형상은 가열 밀봉될 수 있어서 접힘선 모양이 몸체부(10)의 측면 가장자리(13a)에서 하단(10c)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측면, 하단(10c)의 중심에서 측면 가장자리(13b)를 향하여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는 2개의 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가열 밀봉부(HS4)가 전체 면적을 걸쳐서 접착되는 경우, 주름(wrinkles)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밀봉되지 않은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 밀봉부(HS4)의 경우, 편평한 상태에서, 가열 밀봉부(HS4)의 상부는 바닥 부재(12A)의 접힘선(12a)과 일치하거나 또는 그 아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밀봉부(HS4)의 상단이 바닥 부재(12A)의 접힘선(12a)의 위에 있는 경우, 몸체부(10)의 전면부(18) 및 배면부(20)의 내면은 가열 밀봉부(HS4)의 점힘선(12a)의 위측에서 가열 밀봉에 의해 일체화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은 칼날로 작용하여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열 밀봉부(HS4)의 상단이 바닥 부재(12A)의 접힘선(12a)과 일치하거나 또는 그 아래에 있는 경우, 바닥 부재(12A)는 기재 층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반으로 접혀있기 때문에, 마주하는 면이 서로 접착되지 않고, 몸체부(10)의 전면부(18) 및 배면부(20)는 자립형 백의 측면 가장자리(13a, 13b)에서 일체화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부분은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바닥 부재의(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은 배면부(20)의 내면에 접착된다. 그러나,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이 전면부(18)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 중 하나가 전면부(18)의 내면에 접착되고 다른 하나가 배면부(20)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립형 백(1)에 있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의 최하단(lowermost end)과 몸체 부재(10A)의 하단(10c)의 최하단은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어긋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몸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부재를 관 형상으로 형성해서 배면 연결부를 형성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인플레이션 성형(inflation molding)에 의해 얻어진 관형 필름(tubular film)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은 주출구가 구비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립형 백은 몸체부(10)의 상부가 개구되는 자립형 백일 수 있고, 또는 몸체부(10)의 상단에 본 발명의 바닥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뚜껑부가 형성된 자립형 백일 수 있다.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 (I)~ (VI)을 가진다.
(I) 필름 형상의 바닥 부재와 접착필름을, 접착 필름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바닥 부재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Ⅱ) 적층체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부재의 접힘선에서 접착 필름이 외측에 놓여지도록, 반으로 접는 공정
(Ⅲ) 필름 형상의 몸체 부재 상에 반으로 접힌 적층체를 배치하는 공정
(Ⅳ) 접착 필름에 의해 바닥 부재의 측단을 몸체 부재에 부착하는 공정
(Ⅴ) 바닥 부재가 접착된 몸체 부재의 면이 내면이 되도록 몸체 부재의 측단을 서로 접착해서 관 형상으로 몸체부를 형성하는 공정
(VI) 바닥 부재의 하단과 몸체부의 하단측을 몸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공정
이하, 자립 형 백의 제조 방법의 일 예로서, 몸체 부재(10A) 및 바닥 부재(12A)로서 실란트 층과 기재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 주출구를 갖는 자립형 백(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자립형 백(1)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I)~ (Ⅶ)공정을 가진다.
(I)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을 접착 필름(22)의 폭 방향의 양 측단(22c, 22d) 및 측단(22e, 22f)이 각각 바닥 부재(12A)의 폭 방향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으로부터 돌출되게 적층해서 적층체(40)를 형성하는 공정
(Ⅱ) 적층체(40)를, 접착 필름(22)이 외측에 놓여지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부재(12A)의 접힘선(40a)에서 반으로 접는 공정
(Ⅲ) 필름 형상의 몸체 부재(10A) 상에 반으로 접힌 적층체(40)를 배치하는 공정
(Ⅳ) 접착 필름(22)에 의해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12e) 및 측단(12f,12g)을 몸체 부재(10A)에 부착하는 공정
(Ⅴ) 바닥 부재(12A)가 접착된 몸체 부재(10A)의 면이 내면이 되도록 몸체 부재(10A)의 측단을 서로 접착해서 관 형상으로 몸체부(10)를 형성하는 공정
(VI)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과 몸체부(10)의 하단(10c) 측을 몸체부(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하여 바닥부(12)를 형성하는 공정
(Ⅶ) 몸체부(10)의 상부에 주출구(14)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공정
이하, 각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정(I):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40)는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A)을 접착 필름(22)의 양 측단(22c,22d) 및 측단(22e, 22f)이 바닥 부재(12A)의 폭 방향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바닥 부재(12A)가 실란트 층을 가지는 경우, 바닥 부재(12A) 및 접착 필름(22A)은 바닥 부재(12A)의 실란트 층이 접착 필름(22) 측을 향하도록 적층한다.
공정(I)에 있어서,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을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 각각을 따라 접착해서 적층체(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층체(40)를 형성함으로써,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 사이의 위치 관계의 제어가 더욱 용이하고, 그 크기가 작더라도 내용물의 누출이 억제되는 자립형 백(1)을 보다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 바닥 부재(12B)와 긴 접착 필름(22)이 이송되는 동안, 바닥 부재(12B)의 실란트 층의 면과 접착 필름(22A)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돼서 접착 필름(22A)의 양 측단(22c, 22d) 및 측단(22e, 22f)은 바닥 부재(12B)의 폭 방향에서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에서 각각 돌출된다. 이어서, 바닥 부재(12B)의 양 측단(12d, 12e)을 따라 가열 밀봉을 수행해서 가열 밀봉부(HS7)를 형성하고, 가열 밀봉은 측단(12f, 12g)을 따라 수행해서 가열 밀봉부(HS7)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바닥 부재(12B)와 접착 필름(22A)의 적층체(30)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30)는 길이 방향에서의 소정 간격으로 폭 방향(도 7에서 X 방향)을 따라 절단 해서,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 12g)을 따라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이 접착된 적층체(40)를 얻는다.
상기 적층체(40)를 형성하는 경우,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정(Ⅱ):
이어서, 공정(I)에서 얻은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의 적층체(40)는 적층 필름(20)이 외측에 놓이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접힘선(40a)에서 반으로 접힌다.
상기 적층체(4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접힘선(40a)은 바닥 부재(12A)의 접힘선(12a)과 일치한다. 반으로 접힌 적층체(40) 중 바닥 부재(12A)에서는, 반으로 접힌 접힘선(12a)을 상단으로 하여 제1 바닥면부(12a)의 측단(12d)과 제2 바닥면부(12c) 측단(12e)을 서로 일치시키고, 제1 바닥면부(12a)의 측단(12f)과 제2 바닥면부(12c) 측단(12g)을 서로 일치시키며, 제1 바닥면부(12a)의 하단(12h)과 제2 바닥면부(12c) 하단(12i)을 서로 일치시킨다. 반으로 접힌 적층체(40) 중 접착 필름(22)에서도, 제1 평면부(22a)의 측단(22c)과 제2 평면부(22b)의 측단(22d) 을 서로 일치시키고, 제1 평면부(22a)의 측단(22e)과 제2 평면부(22b)의 측단(22f) 을 서로 일치시키며, 제1 평면부(22a)의 하단(22g)과 제2 평면부(22b)의 하단(22h) 을 서로 일치시킨다.
공정(Ⅲ):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10A)의 실란트 층 위에, 바닥 부재(12A)와 접착 필름(22A)으로 구성된 반으로 접힌 적층체(40)를 배치한다. 이 때,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적층체(40)의 접힘선(40a)에 대향하는 측면, 즉,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과 접착 필름(22)의 하단(22g, 22h)을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몸체 부재(10A)의 하단(10c)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예에서, 적층체(40)는,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이 몸체 부재(10A)가 접히는 접힘선(L1)보다 측단(10a) 측의 부분(11B)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은 몸체 부재(10A)가 접히는 접힘선(L2)보다 측단(10b) 측의 부분(11C)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몸체 부재(10A) 상에 적층체(40)를 배치시켰을 때, 몸체 부재(10A)와 적층체(40)는 일시적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임시고정위치는 가열 밀봉부(HS1,HS2 및 HS4) 중 어느 하나와 겹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Ⅳ):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밀봉부(HS1)는 바닥 부재(20A)의 측단(12d, 12e)이 접힘선(12a)에서 하단(12h, 12i)까지 전체를 걸쳐서 포함되도록 바닥 부재(12A)의 상단을 넘어서 몸체 부재(10A)의 부분(11B)에서 적층체(40)와 몸체 부재(10A)를 가열 밀봉하여 형성된다. 가열 밀봉부(HS1)에서는, 접착 필름(22)과 바닥 부재(12A)가 서로 접착되고, 접착 필름(22)과 몸체 부재(10A)의 부분(11B)이 서로 접착되며, 바닥 부재(20A)로부터 돌출된 접착 필름(22)의 부분은 서로 접착 된다. 이에 따라, 바닥 부재(20A)의 측단(12d, 12e)은 접착 필름(22)에 의해 폐쇄되고, 접착에 의해 몸체 부재(10A) 부분(11B)의 실란트 층 위에 부착된다. 몸체 부재(10A)의 실란트 층 측의 면은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몸체부(10)의 내면이 된다. 바닥 부재의 측단(12d, 12e)은 기재 층이 서로 밀착했기 때문에 서로 접착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 밀봉부(HS2)는 바닥 부재(20A)의 측단(12f, 12g)이 접힘선(12a)에서 하단(12h, 12i)까지 전체를 걸쳐서 포함되도록 바닥 부재(12A)의 상단을 넘어서 몸체 부재(10A)의 부분(11C)에서 적층체(40)와 몸체 부재(10A)를 가열 밀봉하여 형성된다. 가열 밀봉부(HS2)에서는, 접착 필름(22)과 바닥 부재(12A)가 서로 접착되고, 접착 필름(22)과 몸체 부재(10A)의 부분(11C)이 서로 접착되며, 바닥 부재(20A)로부터 돌출된 접착 필름(22)의 부분은 서로 접착 된다. 이에 따라,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은 접착 필름(22)에 의해 폐쇄되고, 접착에 의해 몸체 부재(10A) 부분(11C)의 실란트 층 위에 부착된다. 몸체 부재(10A)의 실란트 층 측의 면은 자립형 백(1)이 형성될 때 몸체부(10)의 내면이 된다.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은 기재 층이 서로 밀착했기 때문에 서로 접착되지 않는다.
공정(Ⅴ)
상기 몸체 부재(10A)의 측단(10a) 측과 측단(10b) 측을 바닥 부재(12A)의 양 측단(12d, 12e) 및 측단(12f,12g) 보다 중심에 가깝게 위치한 접힘선(L1, L2)을 따라 바닥 부재(12A) 및 접착 필름(22)의 측단 측과 함께 접어서 바닥 부재(12A)가 접착된 몸체 부재(10A)의 면이 내면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가열 밀봉부(HS1, HS2)의 폭 방향의 일단을 접힘선(L1, L2)과 일치시킴으로써 쉽게 접을 수 있다. 이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10a)과 측단(10b)을 서로 맞대어 접착 필름(16)을 이의 내면과 겹치게 하여 가열 밀봉을 함으로써 가열 밀봉부(HS3)를 형성해서, 배면 연결부(1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면부(18) 및 배면부(20)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부(10)가 형성된다.
공정(VI)
상기 가열 밀봉부(HS4)는 바닥 부재(12A)의 하단(12h, 12i)과 몸체부(10)의 하단(10c) 측을 몸체부(10)의 전체 둘레를 걸쳐서 가열 밀봉함으로써 형성시켜 바닥부(12)를 형성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밀봉부(HS4)에 위치된 바닥 부재(12A)의 측단(12d, 12e)이 위치하는 영역(c)의 단차 부분(stepped part)에서는, 접착 불량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열 밀봉부(HS4)의 가열 밀봉 뿐만 아니라, 가열 밀봉부(HS4)의 가열 밀봉 보다 강한 포인트 실링(point sealing)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가열 밀봉부(HS4)에 위치된 바닥 부재(12A)의 측단(12f, 12g)이 위치하는 영역의 단차 부분에서도, 접착 불량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열 밀봉부(HS4)의 가열 밀봉 뿐만 아니라, 가열 밀봉부(HS4)의 가열 밀봉 보다 강한 포인트 실링(point sealing)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Ⅶ)
몸체부(10)의 상부에서는, 주출구(14)의 주출관(24)을 전면부(18)와 배면부(20)의 사이에 삽입하고, 주출관(24)이 전면부(18)와 배면부(2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밀봉부(HS5)를 가열 밀봉해서 상부에 주출구(14)를 액밀하게 부착하여 밀봉한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에 내용물을 채우는 방법으로는, 주출관(24)으로부터 채우는 방법, 주출구(14)를 부착 전에 채우는 방법, 가열 밀봉부(HS5)의 가열 밀봉되지 않아 밀봉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채우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내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료, 아이스 크림, 및 주스와 같은 음식, 화장품, 샴푸, 린스, 및 비누와 같은 유체, 분말(powder), 및 고형물(solids)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을 적층해서 접착 필름의 양 측단이 바닥 부재의 폭 방향에서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하여, 바닥 부재의 양 측단이 접착 필름에 의해 몸체부에 부착된다. 적층된 필름은 단일 시트이므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 사이의 위치 관계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은 크기의 자립형 백을 제조하는 경우일지라도, 접착 필름의 위치가 어긋남에 의한 접착 불량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고, 내용물의 누출이 억제 된 자립형 백이 안정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제조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립형 백(10)의 제조 방법 중 공정(Ⅶ)은, 공정(Ⅴ)의 후에 수행될 수 있고, 전술한 순서로 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정 (Ⅴ) 후에 공정(Ⅶ)을 수행하고, 그 후에 공정(VI)을 수행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대신에, 공정(Ⅶ)이 수행되지 않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바닥 부재의 하단(12h, 12i)과 접착 필름(22)의 하단(22g, 22h)을 자립형 백이 형성될 때, 몸체 부재(10A)의 하단(10c)과 일치시키기 위해서, 공정(VI)에서 형성된 가열 밀봉부는 가열 밀봉부(HS4) 보다 폭이 넓게 되고, 넓은 폭을 갖는 가열 밀봉부는 몸체부(10)의 폭 방향에서 절단해서 자립형 백의 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를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이 없고, 크기가 작더라도 제조가 용이하며, 내용물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바닥부에서 우수한 내핀홀성을 갖는 자립형 백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 자립형 백
10 몸체부
10A 몸체 부재
12 바닥부
12A 바닥 부재
12d 내지 12g 측단
18 전면부
20 배면부
22 접착 필름
22c 내지 22f 측단

Claims (6)

  1. 몸체 부재가 관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 및
    반으로 접힌 바닥부재가, 접힘선을 상측으로 하여 몸체부 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바닥 부재의 각각의 측단이 몸체부의 내면에 접착되며,
    바닥 부재의 하단이 몸체부의 하단 측에서 몸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되고,
    바닥 부재의 몸체부 측에, 바닥 부재의 측단과 몸체부를 접착하는 접착 필름이 바닥 부재 전체를 덮도록 적층되며,
    접착 필름의 양 측단이 바닥 부재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폭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 부재의 측단과 몸체부의 내면의 접착이 접착 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립형 백.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전면부 및 배면부를 갖는 편평한 형상이며,
    바닥 부재의 각각의 측단 측이 몸체부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접힌 상태로, 바닥 부재의 각각의 측단이 전면부 또는 배면부의 내면에 접착된 자립형 백.
  3. (Ⅰ) 필름 형상의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을, 접착 필름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가 바닥 부재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Ⅱ) 적층체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부재의 접힘선에서 접착 필름이 외측에 놓여지도록 반으로 접는 공정;
    (Ⅲ) 필름 형상의 몸체 부재 상에, 반으로 접힌 적층체를 배치하는 공정;
    (Ⅳ) 바닥 부재의 측단을 접착 필름에 의해 몸체 부재에 부착하는 공정;
    (Ⅴ) 몸체 부재의 바닥 부재를 접착한 면이 내면이 되도록 몸체 부재의 측단을 서로 접착해서 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몸체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Ⅵ) 바닥 부재의 하단과 몸체부의 하단 측을 몸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공정(Ⅴ)에서, 몸체 부재의 각각의 측단 측을, 바닥 부재를 접착한 면이 내면이 되도록, 각각의 접힘선이 바닥 부재의 양 측단보다 중앙에 가깝게 위치 되도록, 바닥 부재의 측단 측과 함께 접히는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공정(Ⅰ)에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을, 바닥 부재의 양 측단을 따라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공정(Ⅰ)에서, 바닥 부재와 접착 필름을, 바닥 부재의 양 측단을 따라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자립형 백의 제조 방법.

KR1020197014242A 2016-11-21 2017-10-05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5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6146A JP7018704B2 (ja) 2016-11-21 2016-11-21 自立袋の製造方法
JPJP-P-2016-226146 2016-11-21
PCT/JP2017/036360 WO2018092460A1 (ja) 2016-11-21 2017-10-05 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930A true KR20190085930A (ko) 2019-07-19
KR102435928B1 KR102435928B1 (ko) 2022-08-25

Family

ID=6214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242A KR102435928B1 (ko) 2016-11-21 2017-10-05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8020B2 (ko)
EP (1) EP3543161B1 (ko)
JP (1) JP7018704B2 (ko)
KR (1) KR102435928B1 (ko)
CN (1) CN109952254B (ko)
AU (1) AU2017361365B2 (ko)
WO (1) WO2018092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3029B2 (ja) * 2018-09-10 2023-09-29 株式会社細川洋行 自立型包装袋、スパウト付自立型包装袋、内容物入り自立型包装袋及び内容物入りスパウト付自立型包装袋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JP7393507B1 (ja) * 2022-11-24 2023-12-06 株式会社生産日本社 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27Y2 (ja) * 1979-04-10 1984-02-14 凸版印刷株式会社 自立性袋
JP2011195175A (ja) 2010-03-19 2011-10-06 Hosokawa Yoko Co Ltd 自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内容物入り自立袋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27A (ja) * 1982-06-30 1984-01-11 Anritsu Corp パンチプレス機
CA1281982C (en) 1985-11-20 1991-03-26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Laminated sheet material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ontainers and pouches
JPH07100509B2 (ja) * 1986-04-24 1995-11-01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自立袋
US4904093A (en) * 1988-08-24 1990-02-27 The Dow Chemical Comapny Gussetted plastic bags having relief se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59036A (en) * 1990-04-27 1991-10-22 Kapak Corporation Vented pouch arrangement and method
JPH07100509A (ja) 1993-10-05 1995-04-18 Sumitomo Metal Ind Ltd 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US5464969A (en) * 1994-11-10 1995-11-07 Curwood, Inc. Self-venting microwaveabl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744960B2 (ja) * 1995-02-07 2006-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立性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法
US5957584A (en) * 1996-02-20 1999-09-28 Lakey; Michael D. Flexible tamper-evident package with integral fitment
US5971613A (en) * 1997-04-11 1999-10-26 Kapak Corp. Bag constructions having inwardly directed side seal portions
US5937617A (en) * 1998-05-01 1999-08-17 Innoflex Incorporated Pouch with pre-inserted straw
US6375037B1 (en) * 2000-10-10 2002-04-23 Kapak Corporation Bag construction for distributing material
JP2004026251A (ja) 2002-06-27 2004-01-29 Fujimori Kogyo Co Ltd 自立包装袋
US20070211967A1 (en) * 2006-03-07 2007-09-13 Ppi Technologies, Inc. Flexible pouch for an alcoholic beverage and method of forming
WO2007106891A2 (en) * 2006-03-15 2007-09-20 Ppi Technologies, Inc. Package with integrated track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e
US7648023B2 (en) * 2006-04-27 2010-01-19 Cygnus Medical Llc Endoscope pre-clean kit
JP5462565B2 (ja) 2008-10-02 2014-04-02 株式会社細川洋行 自立袋および自立袋の製造方法
JP5624919B2 (ja) * 2011-03-15 2014-11-12 株式会社細川洋行 袋体および内容物入り袋体
JP5992200B2 (ja) * 2012-05-10 2016-09-14 株式会社細川洋行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US9309036B2 (en) * 2012-10-25 2016-04-12 Mark Steele Package with enclosed utensil
US10239664B2 (en) * 2012-12-06 2019-03-26 Innoflex Incorporated Bottom-gusseted package and method
US9272481B2 (en) * 2012-12-06 2016-03-01 Innoflex Incorporated Bottom-gusseted package and method
US20150342403A1 (en) * 2014-05-29 2015-12-03 Eric J. Wangler Self-standing container for pre-soaking grilling plank
US20150360839A1 (en) * 2014-06-17 2015-12-17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20160083161A1 (en) * 2014-09-23 2016-03-24 Scholle Corporation Standup Pouch With Multiple Plies
JP6521744B2 (ja) 2015-05-29 2019-05-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監視装置、ガス絶縁開閉装置監視方法、およびガス絶縁開閉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27Y2 (ja) * 1979-04-10 1984-02-14 凸版印刷株式会社 自立性袋
JP2011195175A (ja) 2010-03-19 2011-10-06 Hosokawa Yoko Co Ltd 自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内容物入り自立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2460A1 (ja) 2018-05-24
AU2017361365B2 (en) 2023-11-23
AU2017361365A1 (en) 2019-05-23
EP3543161B1 (en) 2021-11-24
US20190270564A1 (en) 2019-09-05
JP7018704B2 (ja) 2022-02-14
JP2018083635A (ja) 2018-05-31
KR102435928B1 (ko) 2022-08-25
CN109952254B (zh) 2021-01-01
EP3543161A1 (en) 2019-09-25
EP3543161A4 (en) 2020-06-17
CN109952254A (zh) 2019-06-28
US10968020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465B1 (ko) 자립포대와 그 제조방법
US8834024B2 (en) Self-standing bag,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self-standing bag having content therein
WO2021049385A1 (ja) シート材容器
JP5000168B2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US8360643B2 (en) Package having a resealable pour spout
JP5202814B2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35928B1 (ko)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JP6111537B2 (ja) 紙容器の製造方法
EP3854720A1 (en) Tub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655089B2 (en) Spout-equipped packaging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pout-equipped packaging bag that contains contents
JP2011068367A (ja) 多室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7229320B2 (ja) 自立袋
JP2018167568A (ja) 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
JP5551204B2 (ja) 自立袋
JP2009248986A (ja) ガゼット袋
JP2014005002A (ja) 口栓付き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39569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形成用のガゼット袋体の製造方法
JP3442456B2 (ja) 包装用フィルム
JP2017024786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KR100334481B1 (ko) 척이 부착된 플라스틱 용기
JP6183770B2 (ja) 注出口付き包装袋
JP2004250039A (ja) 複合容器
JP2002273801A (ja) 多重袋の製造方法およびバックインボックス用多重内袋
JPWO2002034643A1 (ja) 包装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