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950A -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950A
KR20190082950A KR1020197017878A KR20197017878A KR20190082950A KR 20190082950 A KR20190082950 A KR 20190082950A KR 1020197017878 A KR1020197017878 A KR 1020197017878A KR 20197017878 A KR20197017878 A KR 20197017878A KR 20190082950 A KR20190082950 A KR 20190082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lay
state
exter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139B1 (ko
Inventor
히라쿠 도요오카
게이타 단죠
가츠요시 구라하시
Original Assignee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3Power supply in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05D1/2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025/040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from the exter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5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ata [RFID]

Abstract

소정의 기한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나 도난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차량을 원격으로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 때,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남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차재기기는,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원격 제어 기능이 있는 차재기기를 탑재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이용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판매나 자동차 리스의 업계에 있어서는, 엄격한 파이낸스 여신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차량을 입수할 수 없었지만, 오늘날에는, 지불 능력은 있지만 종래의 여신 심사에는 통하지 못했던 층에 대해서, 여신 심사를 생략하여 차량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한내에 이용 요금(예를 들면 월액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시키는 것과 함께, 당해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차량에 원격 제어 기능이 있는 차재기기(vehicle-mounted equipment)를 탑재하고, 이 차재기기를 네트워크에 통신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차량을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의 정보를 서버로 수집하거나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차량의 것을, 커넥티드 카라고 칭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유저에 의한 소정 기한내의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차량의 도난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특정의 장소 또는 범위내일 것,
·차량의 엔진이 기동중이 아닐 것,
·차량이 주정차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있을 것, 등
의 조건을 만족했을 때에,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오토론, 오토 리스를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론 대금 또는 리스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 대상 차량의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릴레이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고, 또한, 송수신용의 안테나나 GPS 안테나가 떼어내지면, 상기 릴레이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여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내지 5에는,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원격 조작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능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건설기계용의 도난 방지 시스템으로서, 건설기계가 도난을 당한 것이 판명된 시점에서 건설기계의 관리자의 PC 단말로부터 인공위성을 통해서 건설기계의 위성통신 유닛에 정지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원격지의 건설기계에 대해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기체의 유압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함께, 만일 불법 침입자가 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와 엔진 스타터 모터를 직결하여,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었다고 해도, 각 리모콘 밸브의 유압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도록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것을 할 수 없게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휴대전화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통해서 당해 차량의 통신 ECU에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ECU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받은 리모트 ECU는 당해 차량에 탑재된 기기 중 특정 기기의 사용을 불가능으로 하고, 차량의 키를 도둑맞아 버린 경우여도, 도난에 대해서 유효한 대책을 세울 수 있는 차량 원격 조작 시스템으로서, 리모트 ECU는 차량 LAN에 의해서 도어록 ECU, 이모빌라이저 ECU, 스마트 ECU 등의 각 ECU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휴대전화로부터 도난 방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서 차량의 도난 방지 제어 회로에 도난 통보 신호를 송신하면, 당해 도난 방지 제어 회로는 당해 차량의 속도 "0"인 것을 조건으로 엔진 재시동 금지 지령을 엔진 제어 회로에 공급하여, 엔진을 재시동할 수 없는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WO2016/167350A1 일본 특개 2014-146120호 공보 일본 특허 제359777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34455호 공보 일본 특개 2002-59812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차재기기인 MCCS와 ECU/VCU 사이의 통신 방법에 대해서는, CAN 등의 통신 방식이 예시되어 있을 뿐으로, 그 구체적인 배선 방법까지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FlexRay 등과 함께, 차재 제어 네트워크 중에서 가장 넓게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차량이 대부분 탑재되어 있다. 그런데, CAN은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취약하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CAN으로의 공격 사례로서, 위장 메시지를 주입함으로써, 미터의 표시 조작이나, 브레이크의 무효화와 같은 부정 제어가 가능한 것이 실증되어 있다.
한편, 차량에는 OBD2(On-Board Diagnostics second generation)라고 불리는, 차량의 자기진단기능이 부속되어 있다. 차량의 트러블시에는,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여 OBD2에 접속하는 것으로, 당해 차량의 어디에 상태 불량이 있는지(예를 들면 인젝션 회로의 불량 등)를 판정할 수 있다. 근래, 텔레매틱스 단말에서는, 전술한 OBD2에 접속함으로써, OBD2에 흐르고 있는 CAN 정보(예를 들면, 연비 정보, 속도 정보 등)를 서버로 센싱하는 단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텔레매틱스 단말의 취약성을 발판으로 하여, 무선 통신으로부터 차내 네트워크에 침입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사례가 발견된 것에 의해, OBD2를 사용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의 위험성이 인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텔레매틱스 단말에는 OBD2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정보 센싱을 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기동 제한을 행할 때의 조건으로서, 「차량의 엔진이 기동중이 아닌 것」을 포함하는 (1) 내지 (11)의 조건이 열거되어 있고, 「(1) 내지 (11) 중, 임의의 수의 임의의 종류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AND 조건과 OR 조건은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단락[0029]참조)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 이상의 상세한 조건은 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동 제한을 행하는 조건이 반드시 차량의 안전을 고려한 것으로 되어 있지 않을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에서는, 주행중이나 엔진의 시동중에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지령을 받았을 경우의 안전성까지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 장치의 제어값이 갱신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에러가 발생되었을 경우의 대처까지는 상정되어 있지 않다. 릴레이 스위치의 제어값이 에러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값으로 갱신되어 버렸을 경우에는, 유저의 정당한 이용을 방해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송수신용의 안테나나 GPS 안테나가 떼어내지면, 릴레이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여 반드시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하지만, 관리자에게는 긴급사태가 발생된 경우에, 엔진 시동 갱신 제어 장치의 배선을 떼어냄으로써 차량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요구도 존재하는 바, 특허문헌 2에서는 그와 같은 요구에는 대응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 내지 5에서는, 차량의 운전 금지 상태로부터 재기동하는 것까지는 고려되어 있지 않아, 예를 들면 통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어떻게 해서 원격으로 건설기계를 재기동시키는지 검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 및 4에서는, 주행중이나 엔진의 시동중에 운전 금지의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의 안전성까지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5에서는, 차속 "0"을 조건으로 하여 운전 금지를 행하지만, 차량 주행중인 경우에는 도로상에서 운전 금지 상태로 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타차량의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리모트 ECU는 차량에 탑재된 각 ECU와 차량 LAN의 케이블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어,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취약한 면이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내지 5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과제는, 소정의 기한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나 도난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 때,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재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의도치 않게 기동 불가로 되어 버려, 정당한 이용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재기기의 통신에 있어서의 시큐리티에 대한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재기기를 고의로 떼어내거나, 배선의 떼어냄 또는 절단을 행하거나 했을 경우에,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할지, 혹은,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차재기기는,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이,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온인 경우, 또는,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오프로 되고 나서 미리 정한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이상의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2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이,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오프로 되고 나서 상기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이상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고, 당해 릴레이 제어 지령의 채용 후, 미리 정한 차량 동력 온 오프 상태 재평가 기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차량 동력이 온인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차량은, 제1 양태의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 양태의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가,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차재기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이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차재기기용 프로그램은,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과,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스텝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스텝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의 스텝을 가지는 차재기기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의 스텝에서는, 검출된 상기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차재기기는,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검출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의해 검출된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상기 외부 릴레이의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릴레이 감시부를 가지는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으로 검출된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가 소정의 상태였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소정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가,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가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를 감시하고, 당해 감시에 의해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를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2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가,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일 때, 또는, 초기 상태일 때에, 릴레이 상태가 본래 기동 가능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2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가 추가로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을 이용하여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 양태의 차량은, 제11 양태의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1 양태의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가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9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1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가 추가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기의 검지 수단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이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0 양태의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은,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검출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의해 검출된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상기 외부 릴레이의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릴레이 감시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으로 검출된 릴레이 상태가 소정의 상태였을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를 소정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1 양태의 차재기기의 프로그램은,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스텝과,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감시의 스텝을 가지는 차재기기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의 스텝은, 검출된 릴레이 상태가 소정의 상태였을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를 소정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지령부를 가지는 서버와,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식별선과 접속되는 IGN 입력 검지부와, 상기 차량의 외부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원 입력 검지부와, 상기 차량의 GPS와 접속되는 위치 정보 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과 함께, 추가로, 상기 외부 릴레이와 접속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릴레이 입출력 수단을 통해서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식별선과 상기 IGN 입력 검지부 사이의 접속, 상기 차량의 외부 배터리와 전원 입력 검지부 사이의 접속, 상기 차량의 GPS와 위치 정보 검지부의 접속, 및, 상기 외부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 사이의 접속은, 개별의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가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4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IGN 입력 검지부와, 상기 전원 입력 검지부와, 상기 위치 정보 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이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복수의 차량의 상기 차재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고, 복수의 차량의 상기 차재기기에 대해서,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6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하는 서버와,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외부 릴레이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릴레이 입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차재기기의 탈거, 또는, 상기 차재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릴레이는, 상기 차량과 상기 릴레이 입출력부의 사이에 정상 열림 또는 정상 닫힘으로 되도록 결선되어 있고,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 또는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차재기기가 상기 서버에 상기 이상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9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가 추가로 외부 전원에 접속된 전원 입력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입력 검지부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의 정지를 검지한 것으로 상기 이상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0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 입출력부 사이의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으로 상기 이상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가 결선을 변경함으로써 정상 열림과 정상 닫힘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가 결선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도,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릴레이의 결선을 정상 열림으로 되도록 결선해 두고,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릴레이의 결선을 정상 닫힘으로 되도록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4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가,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가 상기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소정의 기한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나 도난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 때,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재차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량 동력 온 오프 상태 재평가 기간을 마련하고, 동력이 온으로 되고 나서 차재기기가 동력의 온을 인식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이 고려되므로, 차량의 동력이 온일 때에 기동 불가 상태로 되는 결함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채 방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5 양태의 차량에 의하면, 제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7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가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 다음, 차량이 안전한 상황인 경우에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0 양태의 차재기기용 프로그램에 의하면, 제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의도치 않게 기동 불가로 되어 버려, 정당한 이용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외부 릴레이가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 의도치 않게 기동 불가로 되어 버려, 정당한 이용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3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인 것을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제14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을 이용하여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제15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채 방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6 양태의 차량에 의하면,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1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1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19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가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 다음, 차량이 안전한 상황인 경우에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20 양태의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21 양태의 차재기기용 프로그램에 의하면,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제2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재기기의 통신에 CAN 등의 차량 LAN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차재기기의 통신에 있어서의 시큐리티에 대한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다.
제2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24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가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 다음, 차량이 안전한 상황인 경우에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25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는 복수의 차량을 관리할 수 있다.
제26 양태의 차량에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채 방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7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재기기를 고의로 떼어내거나, 배선의 떼어냄 또는 절단을 행하거나 했을 경우에, 관리자의 요구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할지, 혹은,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28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재기기의 이상을 서버로 파악할 수 있다.
제29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재기기의 이상을 전원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제30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재기기의 이상을 릴레이 입출력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제31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출하전에 외부 릴레이의 결선을 변경함으로써, 외부 릴레이의 정상 열림과 정상 닫힘을 변경할 수 있다.
제32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출하전에 외부 릴레이의 결선을 변경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지,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지를 변경할 수 있다.
제33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출하전에 외부 릴레이의 결선을 정상 열림과 정상 닫힘으로 변경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지,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지를 변경할 수 있다.
제34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35 양태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채 방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차재기기와 그 배선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릴레이값의 설명도로서, 도 3의 (A)는 기동 제어선이 1개인 차종의 경우의 설명도이며, 도 3의 (B)는 기동 제어선이 2개인 차종의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릴레이의 배선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메모리내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릴레이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릴레이 감시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엔진 연동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차종마다의 기동 불가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이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 및, 이 차재기기용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것들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도 1~도 8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가솔린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응하여, 외부 릴레이에 의해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절단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이 시스템에 의해, 유저에게 차량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한내에 유저로부터 이용 요금(예를 들면 월액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당해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2는 유저에게 제공된 차량, 1은 차량(2)에 설치되는 차재기기, 3은 차재기기(1)와 통신하여 각 차량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차재기기(1)는 1대의 차량에 1개 설치된다. 차재기기(1)의 차량에의 설치 장소는, 차량의 어느 장소여도 상관없다. 차재기기(1)가 후장착인 경우에는, 조수석의 시트의 아래 등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난 방지의 관점에서, 차재기기(1)를 떼어내기 어려운 장소, 예를 들면 엔진룸의 하부나 계기판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추가로는, 차재기기(1)를 차량(2)의 제조시에 미리 내장해 둘 수도 있다. 차재기기(1)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수집한 차량(2)의 차량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서버에 송신하는 것과 함께, 서버(3)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차량(2)의 외부 릴레이(20)(도 2 참조)를 제어한다.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고(기동중의 엔진을 끊는 것은 아니며, 엔진의 재시동을 금지하는 것임.), 기동 가능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서는 임의의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서버(3)는 차재기기(1)에 대해서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지시부(31), 차재기기(1)로부터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32), 및, 차재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버(3)는 관리자 단말(35), 금융기관(36) 및 유저 단말과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은 예를 들면 PC나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다. 서버(3)는 외부의 금융기관(36)과 접속됨으로써,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지만, 서버(3)에 금융기관(36)의 기능을 마련해도 된다. 송수신부(33)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복수의 차재기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관리자 단말(35)은 관리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관리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PC, 태블릿 단말, 휴대 단말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서버(3)는 차재기기(1)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차량 정보로서는, 차량의 동력의 온·오프 정보, 전원 입력 검지 정보, 외부 릴레이의 상태, 및, GPS에 의한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3)가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인지, 혹은,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 대응하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지 여부의 판단, 후술의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후술의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은, 서버(3)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되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메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판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메뉴얼로 행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서버(3)에 있어서 복잡한 조건 판단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3)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3)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에 상당하는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있고, 차량의 동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오프 상태로는 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유저가 사전 등록한 범위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벗어나 있었을 경우에는,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한다.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유저가 사전에 등록하고 있는 연락처로 그 차량 운행 상황을 통지하는 것과 함께, 도난의 유무의 문의를 행한다. 소정의 기간내에 유저로부터의 회답이 없는 경우, 및, 유저로부터 도난인 취지의 회답이 있었을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도난의 발생을 알리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1)에 대해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도난 발생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또한, 차재기기(1)에는,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 또는, 차재기기(1)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이들 이상을 검출하면 차재기기(1)는 서버(3)에 이러한 이상의 발생을 알린다. 이 알림이 발생되면 서버(3)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림을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이 이상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면, (1)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2)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3)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된다.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과 같이, 외부 릴레이(20)는, 그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시에, 기동 불능 상태로 하는 모드로 할지, 그렇지 않으면,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모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래서, 차재기기(1)가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 및 외부 릴레이(20)의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시에, 관리자가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관리자가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해 두면 된다.
다음으로, 유저의 지불의 유무에 따른 외부 릴레이(20)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출하시에는, 차량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차량의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서버(3)에서는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각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기간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는 때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기 위해,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재기기(1)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받아들이면,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므로,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불가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기간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을 경우에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가능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인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일단,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된 후에, 관리자가 지시한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유저가 요금의 지불을 행했을 경우에는, 서버(3)는 대응하는 차량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재기기(1)가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되어, 대응하는 차량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이용 요금이 월액 요금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지난 달의 25일까지 소정의 금액이 지불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소정의 지불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유저에 대해서 체납인 것 및 1주일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능 상태로 하는 것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1주간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량을 기동 불가능 상태로 한 후, 소정의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해도 유저로부터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당해 차량을 회수하는 절차를 행한다. 한편,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1)에 송신한 후에, 소정의 기간내에 유저에 의한 소정의 금액의 입금이 확인되었을 때에는,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하고, 다시,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응하는 차량은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따라서, 매월 25일까지 소정의 요금의 지불을 완료하고 있으면, 유저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인 채 이용할 수 있다.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할 때에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유저가 차량으로 이동중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있어서 가혹한 상황이 상정되는 것뿐만 아니라, 타차량의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있고, 또한, 후술과 같이, 차량의 동력 온 상태에서의 외부 릴레이의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는 결함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어,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피해야 할 조건이 존재한다. 여기서, 차량의 운행 상태를 서버(3)가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보류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서버(3)는,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GPS에 의한 위치 정보나 차량의 동력의 온·오프 정보에 의해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하고, 차량의 동력이 오프이며, 또한,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주차중이라고 판단하고, 대응하는 차량(2)의 차재기기(1)에 대해서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여,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에는, 차량(2)은 소정의 주차장에 주차중이므로, 타차량의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서버(3)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하고, 차량의 동력이 온이며, 한편,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이 아닌 장소에 있을 때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중이라고 판단하고, 대응하는 차량의 차재기기(1)에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보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후술과 같이 차재기기(1)가 안전성의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3)에 있어서의 판단을 비교적 단순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 유저에게의 메시지의 송신,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기동 불가 상태 및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의 송신의 판단, 및,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을 모두 서버로 자동적으로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 판단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5)로부터 메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작하여 차재기기(1)의 구성과 차량(2)으로의 접속을 설명한다. 도 2는 내연기관 차량에 접속하는 경우의 예이다. 또한, 도 1과 동일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1은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 1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3)의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 13은 릴레이의 상태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구성되어 있고, 14는 차재기기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콘솔, 15는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차재기기 내부의 배터리인 내부 배터리, 16은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을 검지하는 전원 입력 검지부, 17은 차량(2)의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22)에 접속되어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는 IGN 입력 검지부, 18은 외부 릴레이(20)에 접속되는 릴레이 입출력부, 19는 차량(2)의 GPS(24)에 접속되어 차량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입출력부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재기기(1)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차재기기(1)는 차속 펄스나 연료 센서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여기서, 외부 배터리(21)는, 차재기기(1) 내부의 내부 배터리(15)와 구별한 용어로서, 차재 배터리의 것을 의미한다. 외부 릴레이(20)는 차량(2)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에 접속되어 있어, 도 2에서는 외부 릴레이(20)는 차량(2)과 차재기기(1)의 사이에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차량(2)의 엔진룸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 외부 릴레이는 외부로부터 눈으로 볼 수 없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절도자 혹은 유저가 고의로 외부 릴레이(20)를 떼어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릴레이 입출력부(18)는, 외부 릴레이(20)가 기동 불가 상태에 있는지 기동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 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외부 배터리(21), IGN 입력 검출부(17)와 주행 상태 식별선(22), 릴레이 입출력부(18)와 외부 릴레이(20), GPS 입출력부(19)와 GPS(24)는, CAN 등의 차량 LAN을 통하는 일 없이, 각각 직접 개별의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CAN 등의 차량 LAN을 이용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CAN 등의 차량 LAN에 의한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취약하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될 일은 없다.
차재기기(1)는 내부 배터리(15)의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내부 배터리는 항상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있어, 차재기기(1)가 탈거되었을 경우, 충전 라인이 절단 또는 빠졌을 경우 등의 이상시여도, 소정의 시간, 차재기기를 계속 구동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이러한 이상의 발생을 현재지 정보와 함께 서버(3)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최근의 현재지 정보 그 외의 정보는 메모리(13)에 격납되어 있다.
CPU(11)는 무선 통신 모듈(12), 메모리(13), 콘솔(14), 내부 배터리(15),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릴레이 입출력부(18), GPS 입출력부(19), 및, 도시되지 않은 가속도 센서에 접속되어 있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으로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GPS 입출력부(19), 및,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릴레이 입출력부(18)는,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 중 어느 한쪽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도 차량 정보로서 사용 가능하다.
CPU(11)는, 메모리(13)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외부 릴레이(20)의 제어 및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한다. 이하, 차재기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정보의 수집에 대해>
차재기기(1)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등의 특정의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그 양쪽으로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고, 서버(3)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의 차량 정보로서는, 전원 입력 검출부(16)로 검출되는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의 정보, IGN 입력 검지부(17)로 검출되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의 정보, 예를 들면 엔진의 온,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릴레이 입출력부(18)로 검출되는 외부 릴레이(20)의 상태, GPS 입출력부(19)로 검출되는 GPS로부터의 위치 정보,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가속도의 정보, 차속 펄스의 정보, 연료 센서의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취득한 시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GPS의 위치 정보로부터 속도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에서는, 이들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다.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대해>
차재기기(1)가 서버(3)로부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그 제어값을 메모리(13)에 기억하고, 그 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되도록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한다.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CPU(11), 메모리(13), IGN 입력 검지부(17) 및 릴레이 입출력부(18)를 포함하고, 외부 릴레이(20)를 전환할 때에, 후술과 같이, 차량의 동력의 온, 오프 전환 타이밍을 고려하여,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는 경우와, 채용하지 않는 경우(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경우)를 판별한다.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동력의 온, 오프는, 예를 들면 IGN 입력 검지부(17)로 검출되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의 정보, 예를 들면 엔진의 온,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내연기관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외부 릴레이(20)로 커트하는 경우(도 2의 경우)의 릴레이의 제어값(ST선릴레이의 제어값)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엔진 기동 제어선이 1개의 차종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엔진 기동 제어선이 2개의 차종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의 (A)의 엔진 기동 제어선이 1개의 차종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A의 릴레이값은 열림일 때 "0"이고, 닫힘일 때 "1"이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은, "00"과 "01"의 2종류로 된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0"일 때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가능 상태(통상),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한편,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1"일 때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불가 상태, 차량 상태는 기동 불가로 된다.
다음으로 도 3의 (B)의 엔진 기동 제어선이 2개의 차종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A, 릴레이 B 모두, 릴레이값은 열림일 때 "0"이고, 닫힘일 때 "1"이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은, "00"과 "01"과 "10"과 "11"의 4 종류로 된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0"일 때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가능 상태(통상),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1"일 때는, 스테이터스는 의도하지 않은 값,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10"일 때는, 스테이터스는 의도하지 않은 값,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11"일 때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불가 상태, 차량 상태는 기동 불가로 된다.
「릴레이 감시부」는, CPU(11)와 메모리(13)와 릴레이 입출력부(18)를 포함하고, 후술과 같이,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 릴레이 상태를 감시하고, 당해 감시에 의해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상태를 기동 가능 상태, 즉, 외부 릴레이 제어값을 "00"으로 하고,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외부 릴레이(20)의 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릴레이(20)는, 접속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정상 열림과 정상 닫힘을 선택할 수 있다. 41은 전자석의 코일, 42는 스위치, 43과 44는 릴레이 입출력부(18)측의 단자, 45는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측의 한쪽 단자, 46은 정상 닫힘 단자, 47은 정상 열림 단자이다. 스위치(42)는 정상 닫힘 단자(46)측에 스프링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코일(41)에 통전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42)는 정상 닫힘 단자(46)측에 접촉하고 있다. 코일(41)에 통전되었을 때에는, 스위치(42)는 전자석으로 끌어당겨져, 정상 열림 단자(47)에 접촉한다. 따라서, 외부 릴레이(20)를 정상 닫힘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ST선의 다른 쪽 단자를 정상 닫힘 단자(46)에 접속하고, 반대로, 외부 릴레이(20)를 정상 열림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ST선의 다른 쪽 단자를 정상 열림 단자(47)에 접속한다.
도 2를 참작하여, 외부 릴레이(20)를 정상 닫힘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와, 외부 릴레이(20)를 정상 열림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의 차이를 설명한다. 전원 입력 검출부(16), IGN 입력 검지부(17), 릴레이 입출력부(18), 및, GPS 입출력부(19) 중 어느 적어도 하나에는,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하는 수단(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에 수반하는 배선의 전압 변화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공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입력 검지부(16)가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외부 배터리(21)의 사이의 배선에 절단 또는 빠짐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차재기기의 탈거에 대해서도, 이들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후술과 같이,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열림)로 할지, 혹은, 기동 가능 상태(닫힘)로 할지 중 어느 쪽으로 제어하도록 정해 둔다.
또한,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서버(3)에 그 이상을 알린다. 서버(3)가 그 이상의 알림을 수신하면, 서버(3)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림을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이 이상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한편, 차재기기(1)는, 상기 이상을 알리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1)에 탑재된 경보기(도시 생략)에 의해 경보음을 울린다. 또한, 차재기기(1)에 경보기를 탑재하는 대신에, 차량의 경적, 헤드램프, 방향 지시등, 해저드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행할 수 있도록, 이들 제어 회로의 입력 단자에 차재기기(1)의 경보 출력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상의 알림으로서,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차재기기(1)에 추가로 고장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당해 고장 검출 수단이 차재기기(1)의 고장을 검출했을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서버에 대해서 차재기기(1)의 고장을 알리도록 해도 된다. 서버(3)가 차재기기(1)의 고장의 알림을 수신하면, 서버는 이러한 고장의 발생을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이러한 통보를 받은 관리자는 해당하는 차량의 유저에게 연락을 취하고, 차재기기(1)를 수리 또는 교환하도록 준비한다.
릴레이 입출력부(18)와 외부 릴레이(20) 사이의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20)의 코일(41)에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정상 닫힘형의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20)는 닫힘으로 되어, ST선이 접속된 상태로 되고, 정상 열림형의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20)는 열림으로 되어, ST선은 차단(커트)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는, (1)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2)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3)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되는 바,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외부 릴레이(20)로서 정상 열림형을 채용하고,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열림)로 제어하도록 미리 정해 두면 된다. 한편, (3)와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했을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외부 릴레이(20)로서 정상 닫힘형을 채용하고,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닫힘)를 제어하도록 미리 정해 두면 된다.
또한, 차재기기(1)는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로서, 서버(3)로부터의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더라도, 스탠드얼론으로 페일 세이프로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쁜 장소에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기동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차재기기는,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의 리트라이를 반복하여, 통신을 확립하려고 한다. 소정 횟수, 예를 들면 20회 이상, 연속해서 리트라이해도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외부 릴레이(20)의 상태가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 서버(3)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릴레이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능 상태인 채 방치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 통신 불능일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처리를 채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차량의 출하시 등에 전환할 수 있다.
<전력 절약 모드에 대해>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이 오프일 때에는, 엔진이 오프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0분이 경과된 후에는, 외부 배터리(21)의 전력의 소모를 막기 위해서, 차재기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하고, 전원 관리와 같은 최저한의 기능 이외를 정지한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IGN 입력 검지부(17)와 릴레이 입출력부(18)와 계시 회로(도시 생략)는 항상 기동하고 있지만, 그 외의 회로는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는, 차재기기(1)는 서버(3)와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 전원 입력 검출부가 전원 입력의 상실을 검출했을 경우, IGN 입력 검지부(17)가 엔진의 온 상태(ACC 온이나 IG 온)를 검출했을 경우, 및, 계시 회로가 소정의 시간을 계시했을 경우(예를 들면, 1시간 간격으로)에는,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가 CPU에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릴레이 입출력부에는 항상 전력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전술하는 바와 같이 차재기기(1)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그 양쪽으로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고, 서버(3)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가 CPU에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차재기기(1)를 기점으로 하여 서버(3)와 통신을 행하고,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이나 차량 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차재기기(1) 기점의 통신에 더하여, 서버(3) 기점의 통신이 가능하고, 차재기기(1)는 릴레이 제어 지령 등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을 확립하기까지, 복수회, 예를 들면 5회 정도의 통신을 반복하는 일이 있다.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서도, 차재기기(1)는, 최근의 통신에 의해 서버(3)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제어 지령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차재기기(1)는 스탠드얼론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재기기(1)는 수집한 차량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통신회선이 회복했을 때에 그것들을 통합해서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게 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작하여, 메모리(13)내의 구성을 설명한다. 메모리(13)는 통신부(50), 릴레이 제어부(51), 릴레이 감시부(55) 및 엔진 연동 제어부(57)로 이루어지는 4개의 처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릴레이 제어부(51)는 릴레이 설정값(52),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을 포함하고, 릴레이 감시부(55)는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를 포함하고, 엔진 연동 제어부(57)는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 엔진 정지 시각(59) 및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통신부(50)는 서버(3)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차량 정보의 서버(3)로의 송신, 서버(3)로부터의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릴레이 제어부는, 서버(3)로부터의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주어진 릴레이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외부 릴레이(20)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릴레이 감시부(55)는, 후술과 같이 설정된 기동 불가 상태·기동 가능 상태의 릴레이 상태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가 아니면 안되는 상황, 즉, 초기 상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릴레이 변경 요구가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이 감시의 결과, 외부 릴레이(20)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의 릴레이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는,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엔진 연동 제어부(57)는, 서버(3)로부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때, 과거 X분(예를 들면 2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고, 기동 불가 상태로의 릴레이 제어 지령을 실행하고 나서 Y초(예를 들면 5초) 동안에 엔진의 온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여기서, X분을 예를 들면 2분으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엔진 정지 후 10분 정도로 차재기기(1)는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의 소비를 억제한다. 전력 절약 모드의 상태에서 유저가 차량에 탑승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키를 실린더에 꽂아, 이그니션 온 상태로 하면, ING 입력 검지부(17)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22)으로부터 엔진이 온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CPU(11)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차재기기(1)가 통상 모드로 전환된 것을 서버(3)가 인식하기까지는, 전파 상황이 좋을 때에는 1분 정도,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5회 정도 반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분 30초 정도 걸린다. 차량의 동력이 오프로 되고 나서 어느 정도의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는(무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재차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에 있어서 트렁크나 좌석으로부터 짐을 싣고 내릴 때까지 동안,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서 일단 정차시킨 상태로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하여, 짐을 싣고 내린 후,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여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다시 넣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X분이 너무 긴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케이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과거 2분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것으로 했다.
다음으로, Y초를 예를 들면 5초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차재기기(1)는, 차량의 동력이 온일 동안에 릴레이 제어 지령을 받아들였을 경우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릴레이 제어 지령을 접수하지 않는다(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함). 차량의 동력이 온인 동안은, 유저가 차량으로 이동중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이 지연 되어 버렸을 경우 등,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차재기기(1)가 차량의 기동을 인식하기까지는, 실제로 차량이 기동을 하고 나서 3초 정도 걸린다. 차량을 기동한 직후에, 차재기기(1)가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 차재기기(1)는 차가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해 버려, 차량이 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후술과 같이, 이그니션 스위치가 푸시식인 경우,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방법과, 이모빌라이저를 발동(인증용 선을 커트)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중,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것인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을 끌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결함이 발생된다. 한편, 이모빌라이저를 발동하는 방법인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푸시 버튼은 효과가 있으므로, 엔진을 오프시키는 것은 가능한 상태이지만, 기어가 드라이브 D에는 들어가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결함이 발생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Y초로서, 3초보다도 여유를 갖게한 5초를 채용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메모리(13)의 각 변수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설정값(52)은, 현재의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값이다.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은,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 마다의 설정값이다.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마다의 설정값이다.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는 외부 릴레이(20)의 감시를 실행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로서, 초기 상태(차량의 출하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은, 엔진이 정지된 후, 외부 릴레이(20)의 변경을 금지하는 기간(X분, 예를 들면 2분)이다. 엔진 정지 시각은, 전회 엔진 정지를 검출한 시각이다.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제어를 행한 후, 엔진의 온을 재평가하는 기간(Y초, 예를 들면 5초)이다.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차량의 차종에 따라서 1개씩 기억해 두어도 되고, 혹은, 복수 차종의 값을 기억해 두고, 차량의 차종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콘솔(14)로부터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서버(3)로부터 설정하도록 해도 되지만, 노이즈에 의한 페일 세이프의 관점에서는 서버(3)로부터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메모리(13)의 각 처리부의 동작에 대해 도 6~도 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릴레이 제어부(5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11에서 릴레이 제어부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S12에서 릴레이 설정값(52)을 주어진 릴레이값으로 덮어쓰기한다. 다음으로 S13에서 릴레이 상태를 릴레이 설정값(52)의 상태로 변경한다. 이어서 S14에서 릴레이 제어 지령의 릴레이값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는 S15로 진행하여,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를 온으로 하고, S16으로 진행한다. S1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는 S16으로 진행하여, 통신부를 호출하여, 서버(3)에 릴레이 상태 변경 완료를 통지하고, 이어서, S17에서 릴레이 제어부 처리를 종료한다. 릴레이 제어부(51)는, 후술하는 도 7의 릴레이 감시부(55)의 S25, 및, 후술하는 도 8의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S36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S21에서 릴레이 감시부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S22에서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는 외부 릴레이(20)의 감시를 실행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이며, 초기 상태(차량의 출하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S22의 판단이 Yes인 경우에는 S23으로 진행하여, 외부 릴레이(20)의 릴레이 상태를 취득한 후, S24로 진행한다. 한편, S22의 판단이 No인 경우에는 S26으로 진행하고,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S24에서는, S23에서 취득한 릴레이값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 이외의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에는 S25로 진행하고,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여, 릴레이 설정값(52)을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으로 덮어쓰기한 다음,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한 후, S26으로 진행하여, 릴레이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2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그대로 S26으로 진행하여, 릴레이 감시 처리를 종료한다.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서는 30초 마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1시간마다 행해진다. 이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에 의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가 온일 때)에는, 차재기기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메모리(13)가 본래의 수치와 다른 수치로 갱신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항상 차량이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려, 정당한 차량의 이용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재기기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메모리(13)의 릴레이 설정값(52)의 값이 의도하지 않은 값으로 갱신되어 버린 것 같은 경우에서도,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가 온일 때에는, 항상 차량이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작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을 설명한다. S31에서 엔진 연동 제어부 처리가 개시되면, S32로 진행하여, 통신부(50)를 통해 릴레이 제어 지령을 받아들이고, 다음으로 S33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엔진 상태가 오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는 S34로 진행하고, S34에서는 현재 시각과 엔진 정지 시각의 차분이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X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의 판단에서 No인 경우 및 S3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S35로 진행하여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한 후,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S34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36으로 진행하여,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여,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릴레이 제어 지령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S37로 진행한다. S37에서는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 60(Y초)만큼 대기한 후, S38로 진행하고, S38에서는 실행한 릴레이 제어 지령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변경이며, 또한, 현재의 엔진 상태는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8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39로 진행하고, S39에서는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여,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한 후, S40으로 진행한다. S40에서는,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한 후,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38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그대로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서는 30초마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1시간마다 행해진다. S35 및 S40에서는,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하고 있는 바, 서버(3)는 이 릴레이 제어 지령이 무시된 것을 수신하면, 도 6의 S16에서 릴레이 상태 변경 완료가 통지될 때까지, 반복해서,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이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에 의해,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 때,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X분, 예를 들면 2분)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 60(Y초, 예를 들면 5초)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이 온으로 된 직후(Y초 이내)에 차재기기(1)가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받아들였을 경우에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는(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동력이 온시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된다고 하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하여, 외부 릴레이에 의해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절단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했지만,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내연기관 차량 이외의 동력을 이용한 차량,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이하 「EV차량」이라고 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하 「HEV 차량」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ST선 제어 이외의 제어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한다.
도 9는 기동 불가 상태의 제어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도 9는, 차량의 종류로서, 내연기관 차량, EV차량,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으로 분류하는 것과 함께,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로 구분한 다음, 추가로, 기동 방식을 키식과 푸시식으로 구분한 다음, 기동 불가 상태의 제어 방식으로서 A방식, B방식 및 C방식의 3개의 방식 중에서 어느 방식을 채용 가능한지를 정리한 것이다. 3개의 제어 방식으로서는, A방식은 ST선을 커트 하는 것, B방식은 열쇠 인증을 불가로 하는 것, C방식은 푸시 버튼을 무효화하는 것이다.
키식 및 푸시식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 방법으로 구분한 것이다. 키식이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에 키를 꽂아, OFF, ACC, IGN 및 START를 전환하는 방식의 것이다. 푸시식이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방식으로,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력을 온으로 하는 방식의 것이다.
또한, HEV 차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며, 모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시리즈 방식은,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고, 모터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시리즈·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것과 함께,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여기서, 차재기기(1)의 구성은, EV차량 및 HEV 차량에 대해서도 도 2로 나타낸 내연기관 차량용의 것과 공통된 부분이 많지만, EV차량에는 내연기관이 없는 점, 및, HEV 차량에서는 모터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모드가 존재하는 점에서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와 상위하다. EV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17) 대신에, 푸시 버튼이 눌려서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부 릴레이(20)에 대해서는, 후술과 같이, 전자적인 수단으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H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17) 대신에,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부 릴레이(20)에 대해서는, 후술과 같이, 전자적인 수단으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이하, A방식, B방식 및 C방식의 3개의 제어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방식에 의해서, 외부 릴레이(20)를 삽입하는 배선이 다르지만, 어느 방식의 경우에도,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동력을 시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는 동력을 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A방식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외부 릴레이(20)에 의해서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절단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이며,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A방식에서는 ST선에 외부 릴레이(20)가 삽입되어 있어,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셀 모터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엔진의 시동을 저지할 수 있다.
B방식은,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한 차량에서 채용하는 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란, 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로 불리는 IC 칩에 고유한 ID 코드를 기록시켜 두고, 트랜스폰더의 ID 코드를 차량 본체의 전자 제어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ID 코드에 의해 인증하여, 인증이 성립되었을 경우에만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B방식으로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에 대해서 외부 릴레이(20)를 삽입하고,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ID 코드의 인증이 불성립으로 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다. 여기에서는, 외부 릴레이(20)를 이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ID 코드의 인증을 불성립되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릴레이 입출력부(18)(도 2를 참조.)로,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C방식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구비한 차량에 채용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키식의 차량에서는, 동력 시동용의 키 실린더는 없고,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동력을 시동한다. 예를 들면, EV차량에는 키식의 것은 존재하지 않고, 모두 푸시식이다. C방식은, 외부 릴레이(20)를 푸시 버튼의 배선에 삽입하고,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푸시 버튼을 조작해도 동력이 온으로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외부 릴레이(20)를 이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에 전달되지 않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릴레이 입출력부(18)(도 2를 참조.)로,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모빌라이저가 있고, 키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또는 B방식, EV차량은 존재하지 않고,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B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있고, 푸시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B방식 또는 C방식, EV차량에서는 B방식 또는 C방식,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B방식 또는 C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없고, 키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EV차량은 존재하지 않고,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어느 방식도 대응 불가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없고, 푸시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또는 C방식, EV차량에서는 C방식,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C방식이다.
1 차재기기
2 차량
3 서버
11 CPU
12 무선 통신 모듈
13 메모리
14 콘솔 입출력
15 내부 배터리
16 전원 입력 검지부
17 IGN 입력 검지부
18 릴레이 입출력
19 GPS 입출력
20 외부 릴레이
21 외부 배터리
22 주행 상태 식별선
23 엔진 기동 제어선(ST선)
24 GPS
31 차량 정보 수집부
33 송수신부
34 무선 통신 네트워크
35 관리자 단말
36 금융기관
41 코일
42 스위치
43 릴레이 입출력부측의 단자
44 릴레이 입출력부측의 단자
45 엔진 기동 제어선측의 한쪽 단자
46 정상 닫힘 단자
47 정상 열림 단자
50 통신부
51 릴레이 제어부
52 릴레이 설정값
53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
54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
55 릴레이 감시부
56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
57 엔진 연동 제어부
58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59 엔진 정지 시각
60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

Claims (35)

  1.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온인 경우, 또는,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오프로 되고 나서 미리 정한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이상의 시간이 경과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오프로 되고 나서 상기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이상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고, 당해 릴레이 제어 지령의 채용후, 미리 정한 차량 동력 온 오프 상태 재평가 기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차량 동력이 온인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5. 청구항 1에 기재된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청구항 1에 기재된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이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9.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
  10.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과,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스텝과,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스텝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의 스텝을 가지는 차재기기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의 스텝에서는, 검출된 상기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용 프로그램.
  11.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검출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의해 검출된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상기 외부 릴레이의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릴레이 감시부를 가지는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으로 검출된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가 소정의 상태였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소정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가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를 감시하고, 당해 감시에 의해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의 릴레이 상태를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일 때, 또는, 초기 상태일 때에, 릴레이 상태가 본래 기동 가능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을 이용하여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
  16. 청구항 11에 기재된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청구항 11에 기재된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재기기의 검지 수단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이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0.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검출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의해 검출된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에 상기 외부 릴레이의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릴레이 감시부를 가지는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부는,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으로 검출된 릴레이 상태가 소정의 상태였을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를 소정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의 제어 방법.
  21.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스텝과,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상기 외부 릴레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감시의 스텝을 가지는 차재기기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감시의 스텝은, 검출된 릴레이 상태가 소정의 상태였을 경우에는, 외부 릴레이를 소정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재기기의 프로그램.
  22.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지령부를 가지는 서버와,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외부 릴레이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식별선과 접속되는 IGN 입력 검지부와, 상기 차량의 외부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원 입력 검지부와, 상기 차량의 GPS와 접속되는 위치 정보 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과 함께, 추가로, 상기 외부 릴레이와 접속되는 릴레이 입출력 수단,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릴레이 입출력 수단을 통해서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 수단을 가지는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식별선과 상기 IGN 입력 검지부 사이의 접속, 상기 차량의 외부 배터리와 전원 입력 검지부 사이의 접속, 상기 차량의 GPS와 위치 정보 검지부의 접속, 및 상기 외부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 입출력 수단 사이의 접속은, 개별의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IGN 입력 검지부와, 상기 전원 입력 검지부와, 상기 위치 정보 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이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차량의 상기 차재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고, 복수의 차량의 상기 차재기기에 대해서,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7.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하는 서버와,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외부 릴레이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릴레이 입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차재기기의 탈거, 또는, 상기 차재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릴레이는 상기 차량과 상기 릴레이 입출력부의 사이에서 정상 열림 또는 정상 닫힘으로 되도록 결선되어 있고,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 또는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서버에 상기 이상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외부 전원에 접속된 전원 입력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입력 검지부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의 정지를 검지한 것으로 상기 이상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0.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 입출력부 사이의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으로 상기 이상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1.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결선을 변경함으로써 정상 열림과 정상 닫힘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2.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결선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도,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3.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릴레이의 결선을 정상 열림으로 되도록 결선해 두고,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릴레이의 결선을 정상 닫힘으로 되도록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4.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엔진 기동 제어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시동용 푸시 버튼의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5.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97017878A 2016-12-22 2016-12-22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145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8589 WO2018116480A1 (ja) 2016-12-22 2016-12-22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950A true KR20190082950A (ko) 2019-07-10
KR102145139B1 KR102145139B1 (ko) 2020-08-14

Family

ID=6047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878A KR102145139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11254287B2 (ko)
JP (1) JP6238038B1 (ko)
KR (1) KR102145139B1 (ko)
CN (1) CN109641569B (ko)
BR (1) BR112019013002B1 (ko)
MX (1) MX2019007558A (ko)
MY (1) MY182962A (ko)
PH (2) PH12017502327A1 (ko)
TW (1) TWI663571B (ko)
WO (1) WO20181164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5610B2 (en) 2021-01-05 2024-01-1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mote service standby time of a connected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0843A4 (en) 2018-03-20 2021-10-20 Global Mobility Service, Inc. VEHICLE ACTIVATION CONTROL SYSTEM, ON-BOARD DEVICE, VEHICLE, SERVER, VEHICLE ACTIVATION PROCESS, VEHICLE ACTIVATION PROGRAM AND REGISTRATION MEDIA
EP3822131B1 (en) * 2018-07-10 2023-04-26 Global Mobility Service Inc.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server,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vehicle remot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7235777B2 (ja) * 2019-01-31 2023-03-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WO2020157942A1 (ja) 2019-01-31 2020-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両遠隔制御方法、サーバ、端末装置及び通信装置
JP6647509B1 (ja) 2019-04-12 2020-02-14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0001577B (zh) * 2019-04-18 2023-06-02 辽宁科大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远程启动的物理断开保护方法及装置
JP7095008B2 (ja) * 2020-03-18 2022-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JP7013518B2 (ja) * 2020-03-31 2022-0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車両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7050844B2 (ja) * 2020-03-31 202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搭載される制御装置、車両、車両の制御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6841538B1 (ja) * 2020-05-31 2021-03-1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車両用システム、車両用システム制御方法、車両用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DE102020123044A1 (de) * 2020-09-03 2022-03-03 Man Truck & Bus Se Verfahren und Steuervorrichtung zur Reduzierung von Betriebsstunden von elektrischen Verbrauchern eines Bordnetzes
JP7447766B2 (ja) * 2020-11-10 2024-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US11892837B2 (en) * 2021-06-14 2024-02-06 Deere & Company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remote starting of self-propelled work vehicles
EP4249329A1 (en) * 2022-03-22 2023-09-27 Andre Figueiredo Miura Road vehicles anti-theft security device based on automotive embedded systems softwar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72A (ja) 1982-07-07 1984-01-14 Nippon Denso Co Ltd 燃料噴射装置
JP2002059812A (ja) 2000-08-15 2002-02-26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2255014A (ja) * 2001-03-02 2002-09-1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2008080968A (ja) * 2006-09-27 2008-04-10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10143581A (ja) * 2010-01-28 2010-07-01 Komatsu Ltd 移動体の始動ロック装置
JP4534455B2 (ja) 2003-09-22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4146120A (ja) 2013-01-28 2014-08-14 Itako Auto Service Co Ltd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WO2016167350A1 (ja) 2015-04-17 2016-10-2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217A (ja) * 1996-09-17 1998-04-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盗難防止装置
US6351703B1 (en) * 2000-06-06 2002-02-26 Detroit Diesel Corporation Engine control with programmable automatic starting
US7584033B2 (en) * 2000-08-31 2009-09-01 Strategic Design Federation W. Inc. Automobile monitoring for operation analysis
JP3597772B2 (ja) 2000-09-29 2004-1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盗難防止方法
US7071819B2 (en) * 2001-07-05 2006-07-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lock operation system for vehicles
US20040098179A1 (en) * 2002-11-14 2004-05-20 Sokoloski Darren Scott Vehicle security device
US7446644B2 (en) * 2005-01-14 2008-11-04 Secureall Corporation Universal hands free key and lock system
US20060265235A1 (en) 2005-05-12 2006-11-23 The Crawford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ehicle leases
US20070194881A1 (en) 2006-02-07 2007-08-23 Schwarz Stanley G Enforcing payment schedules
US20110270772A1 (en) 2010-04-30 2011-11-03 Hall David R Method of Leasing a Vehicle
US9104537B1 (en) * 2011-04-22 2015-08-11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setting recommendation to user accounts for registered vehicles via cloud systems and remotely applying settings
US9088572B2 (en) * 2011-11-16 2015-07-21 Flextronics Ap, Llc On board vehicle media controller
US20130132268A1 (en) * 2011-11-18 2013-05-23 Global Track GP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vehicular collateral
JP2014085758A (ja) 2012-10-22 2014-05-12 Itako Auto Service Co Ltd エンジン始動更新制御装置付きリースシステム及びリース方法
CN203237208U (zh) * 2013-05-15 2013-10-1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远程控制系统以及能实现远程控制的车辆
US9168893B1 (en) * 2014-04-22 2015-10-27 Ituran Usa System, method, and appartus for remotely disabling or enabling a vehicle
CN107107867B (zh) 2014-09-29 2019-04-12 莱尔德无线技术(上海)有限公司 远程信息处理装置和控制车辆的点火的方法
CN104742858B (zh) * 2015-02-05 2017-06-16 深圳市易流科技股份有限公司 远程锁车的方法及可实现远程锁车的装置
US20170164267A1 (en) * 2015-12-03 2017-06-08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pparatus to inhibit misuse of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US20180121903A1 (en) * 2016-03-11 2018-05-03 Sekurus International Inc. Smart transport solution
US20190147419A1 (en) 2017-11-10 2019-05-16 Kenneth H. Terkel Vehicular Finance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72A (ja) 1982-07-07 1984-01-14 Nippon Denso Co Ltd 燃料噴射装置
JP2002059812A (ja) 2000-08-15 2002-02-26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2255014A (ja) * 2001-03-02 2002-09-1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4534455B2 (ja) 2003-09-22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8080968A (ja) * 2006-09-27 2008-04-10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10143581A (ja) * 2010-01-28 2010-07-01 Komatsu Ltd 移動体の始動ロック装置
JP2014146120A (ja) 2013-01-28 2014-08-14 Itako Auto Service Co Ltd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WO2016167350A1 (ja) 2015-04-17 2016-10-2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5610B2 (en) 2021-01-05 2024-01-1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mote service standby time of a connected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07558A (es) 2019-11-28
US11878652B2 (en) 2024-01-23
BR112019013002B1 (pt) 2020-11-10
US20230030023A1 (en) 2023-02-02
MY182962A (en) 2021-02-05
US20240010163A1 (en) 2024-01-11
US20220134996A1 (en) 2022-05-05
PH12020552056A1 (en) 2021-11-22
US20200369238A1 (en) 2020-11-26
PH12017502327B1 (en) 2018-06-25
CN109641569B (zh) 2020-07-03
BR112019013002A2 (pt) 2019-12-03
JP6238038B1 (ja) 2017-11-29
JPWO2018116480A1 (ja) 2018-12-20
TWI663571B (zh) 2019-06-21
US11254287B2 (en) 2022-02-22
KR102145139B1 (ko) 2020-08-14
TW201824145A (zh) 2018-07-01
PH12017502327A1 (en) 2018-06-25
WO2018116480A1 (ja) 2018-06-28
US20230406261A1 (en) 2023-12-21
CN109641569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139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JP6476407B1 (ja) 車両起動制御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車両起動方法、車両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326501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JP6320647B1 (ja) 車両ドアロック施錠及び解錠用車載器、この車載器を備えた車両、この車載器を備えた車両ドアロック施錠及び解錠用システム
JP6647509B1 (ja)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WO2019193665A1 (ja) 与信審査支援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与信審査支援方法、与信審査支援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1245960A1 (ja) 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方法、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