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285A -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 Google Patents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285A
KR20190082285A KR1020197016480A KR20197016480A KR20190082285A KR 20190082285 A KR20190082285 A KR 20190082285A KR 1020197016480 A KR1020197016480 A KR 1020197016480A KR 20197016480 A KR20197016480 A KR 20197016480A KR 20190082285 A KR20190082285 A KR 2019008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eripheral wall
opening
lid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738B1 (ko
Inventor
다케시 반도
유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8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아도, 내부의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의 제공. 덮개 기구(2)의 오목면부(23)에는 용기 개구(26)를 둘러싸는 환상의 지지 돌기(27)가 위치하며, 분여 구조체(50)는, 오목면부(23)에 고정되는 플랜지(51)와, 플랜지(51)의 내방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공의 둘레벽(52)을 가진다. 분여 구조체(50)를 오목면부(23)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지지 돌기(27)가 둘레벽(52) 내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본 발명은,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웨트 티슈 등의 시트재의 분여 용기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상측 덮개와, 용기 본체의 상면 중 오목면부에 위치하며, 상측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용기 개구를 구비한 시트재의 분여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표 특표2003-529505호 공보(P2003-529505A)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분여 용기에서는, 상측 덮개의 내면에 위치하는 환상(環狀)의 돌기부를, 용기 본체의 오목면부에 있어서 용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홈부에 감합(嵌合)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부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상측 덮개를 덮개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의 운반 중이나 사용 중에 있어서, 상측 덮개나 용기 본체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음으로써, 돌기부가 홈부로부터 약간 빠져서, 외기가 용기 내에 들어가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의 개량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아도, 내부의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재의 분여 용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발명은, 가로 방향과 전후 방향과, 그들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을 가지며,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정상면벽에 위치하며,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전후단(前後端) 가장자리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 기구를 구비한 상기 시트재의 분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분여 구조체가 배치되는 오목면부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분여 개구와 연통하는 용기 개구를 가지며, 상기 오목면부에는 상기 용기 개구를 둘러싸는 환상의 지지 돌기가 위치하고,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오목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방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공(中空)의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분여 구조체를 상기 오목면부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둘레벽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둘레벽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지지 돌기의 측면이 둘레벽의 내측 부분의 내면 또는 외측 부분의 내면에 면형상으로 접촉함으로써, 지지 돌기와 둘레벽에 의한 하방 시일부의 시일 기능이 향상된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둘레벽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외측 부분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 있어서는, 지지 돌기의 측면이 둘레벽의 외측 부분의 내면에 면형상으로 접촉함으로써, 지지 돌기와 둘레벽의 내측 부분의 사이에 이간 부분이 형성되므로, 당해 이간 부분에 있어서 상측 덮개에 가압되어서 둘레벽이 오목상(狀)으로 변형할 수 있어, 보다 하방 시일부의 시일 기능이 향상된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여 구조체의 상기 둘레벽은 정상면을 가지며, 상기 둘레벽 내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과 상기 지지 돌기의 사이에 이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둘레벽의 평탄상(狀)의 정상면에 상측 덮개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하는 부분이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둘레벽이 오목상으로 변형하여 분여 개구와 상측 덮개와의 공간을 기밀하게 하는 상방 시일부가 형성된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정상면이 평탄상이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상측 덮개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하는 부분을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는, 내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상 리브를 가지며, 상기 상측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의 선단부가 상기 둘레벽에 접촉한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환상 리브의 선단이 둘레벽에 접촉함으로써, 상방 시일부의 시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는, 내측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를 둘러싸는 외측 리브를 가지며, 상기 내측 리브가 상기 외측 리브보다도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가 상기 둘레벽의 상기 정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내측 리브가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외측 리브가 둘레벽에 접촉함으로써 상방 시일부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내측 리브가 둘레벽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둘레벽이 내방으로 쓰러져서 하방 시일부의 시일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는, 상기 상측 덮개의 상기 전후단 가장자리측의 부분에 비하여,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양측 부분쪽이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전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외측 리브가 둘레벽에 접촉하여 기밀 상태가 유지되는 한편, 내측 리브가 둘레벽에 접촉되는 일이 없어, 상측 덮개를 열기 쉬워진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여 개구는, 상기 후단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제 1 구멍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이어져서 상기 전단 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멍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제 2 구멍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제 1 구멍부가 비교적 큰 개구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최초의 시트재를 인출할 때에 분여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파단하는 일 없이, 손끝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2매째 이후의 시트재를 취출할 경우에는, 비교적 폭이 좁은 제 2 구멍부로부터 인출함으로써,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할 때의 마찰 저항에 의해, 시트재가 연속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둘레벽의 내방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부와, 상기 내부 덮개부의 내방에 위치하는 내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내측 플랩은 상기 제 2 구멍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고강성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내부 덮개부보다도 강성이 낮으며, 상기 고강성 영역은 상기 내부 덮개부와 동등한 강성을 가진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내측 플랩의 강성이 낮으며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분여 개구로부터 시트재를 취출할 때에 손끝이 접촉하여도 자극을 느낄 일이 없으며, 또한, 제 2 구멍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고강성 영역이 위치함으로써, 시트재에 대한 마찰 저항을 높여서 확실하게 시트재를 1매씩 인출할 수 있다.
제 1 발명과 관련되는 분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내방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 덮개부는 상방으로 융기하는 것 같은 돔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분여 용기에서는, 용기 개구와 분여 개구의 사이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시트재를 인출할 때에, 용기 개구와 분여 개구의 각각에 있어서 시트재에 마찰 저항을 줄 수 있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상기 분여 용기의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장체이다.
제 2 발명과 관련되는 포장체의 실시양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여 용기의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며, 지지면의 내면에 지착(止着) 가능한 시일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장체에서는, 시일부를 개재하여 지지면의 내면에 첩부(貼付)됨으로써, 포장체 개구와 용기 개구가 밀접하고, 시트재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가로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가지며, 그들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을 가지며,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의 정상면벽에 위치하며,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전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 3 발명과 관련되는 덮개 기구는,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분여 구조체가 배치되는 오목면부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분여 개구와 연통하는 기구 개구를 가지며, 상기 오목면부에는 상기 기구 개구를 둘러싸는 환상의 지지 돌기가 위치하고,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오목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방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공의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분여 구조체를 상기 오목면부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둘레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상기 덮개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 본체에 지착 가능한 시일부를 구비한 포장체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는, 분여 구조체를 용기 본체의 오목면부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오목면부의 지지 돌기가 중공의 둘레벽 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둘레벽을 지지하여 그것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 덮개와 둘레벽으로 이루어지는 상방 시일부와 둘레벽과 지지 돌기로 이루어지는 하방 시일부에 의한 환상 시일부에 의해 내부의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 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상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시트재의 분여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상측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분여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분여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일점쇄선 Ⅵ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상측 덮개의 사시도.
도 8은 용기 본체의 오목면부의 사시도.
도 9는 분여 구조체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10(a)는 분여 구조체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 (b)는 도 10(a)에 있어서 나타내는, X(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a)는 부착 전에 있어서의, 계합(engaging) 클로와 계합 구멍에 의한 부착부의 확대 단면도. (b)는 부착 후에 있어서의, 계합 클로와 계합 구멍에 의한 부착부의 확대 단면도.
도 12(1)은 포장체의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사시도. (2)는 포장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시도.
도 13(a)는 포장체 내의 시트재의 적층 양태의 일례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도. (b)는 포장체 내의 시트재의 적층 양태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도.
도 14는 시트재가 포장체 개구, 용기 개구 및 분여 개구를 통과해서 취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도 15는 도 3에 있어서의 일점쇄선 ⅩⅤ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
도 16은 도 2에 있어서 일점쇄선 ⅩⅥ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덮개 기구의 사시도.
도 1-1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로서, 덮개 기구(2), 적층된 시트재(9)를 포함하는 포장체(90) 및 그것을 수용하는 분여 용기(수용 용기)(1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 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시트재(9)는, 물이나 알코올 등의 액체 성분을 함침(含浸)시킨 웨트 티슈 외에, 플로어나 신체를 식정(拭淨)하기 위한 웨트 시트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분여 용기(10)는, 가로 방향 X와 전후 방향 Z와, 그들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 Y를 가지며, 시트재(9)가 적층된 상태로 포장된 포장체(90)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20)와, 용기 본체(20)의 상면에 힌지부(5)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상측 덮개(30)와, 용기 본체(20)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바닥 덮개(7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20)는, 착탈 가능한 바닥 덮개(70)를 떼어냄으로써, 포장체(9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덮개(30)의 전단부는, 래치 기구에 의해 조작 버튼(80)에 계지(係止)되어 있으며, 조작 버튼(80)을 가압함으로써, 래치(31)에 의한 계지가 해제되어서, 방향 P로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용기 본체(20)는, 중공의 박스 형상이며, 외주연(外周緣)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상방으로 완만하게 융기한 형상을 이루는 정상면벽(21)과, 둘레벽(22)을 가진다. 용기 본체(20) 및 바닥 덮개(70)는,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용기 본체(20)의 둘레벽(22)의 내면에는,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 리브(12)가 배치되어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20)의 정상면벽(21)에는, 가로 방향 X의 중앙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면부(23)가 위치한다. 오목면부(23)는, 후기의 분여 구조체(패킹 부재)(50)를 지지하는 지지면(내측 바닥면)(24)과, 지지면(24)을 둘러싸서 정상면벽(21)까지 연장되는 내주벽면(內周壁面)(25)을 가진다. 지지면(24)은, 그 중앙에 위치하는 원형의 용기 개구(26)와, 용기 개구(26)를 둘러싸도록 상방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지지 돌기(27)를 가진다. 내주벽면(25)은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점차 높이 치수(상하 방향 Y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으며, 내주벽면(25)의 전단 부분의 내면측에는, 상측 덮개(30)의 래치를 받아들이는 래치받이부(키퍼)를 구비한 조작 버튼(80)이 배치되어 있다.
오목면부(23)는, 내주벽면(25)보다도 높이 치수가 작은 후단 부분을 가진다. 후단 부분은 단차상이며, 그 가로 방향 X의 중앙부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상 부분(28)이 위치하고, 오목상 부분(28)을 개재하여 가로 방향 X에 대향하는 대향 내측면에는, 상측 덮개(30)의 축부(45)의 양단이 삽입되는 오목상의 베어링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도 11(a),(b)를 참조하면, 지지 돌기(27)의 근방 외측에는, 각 계합 클로(40)가 배치되어 있다. 각 계합 클로(40)는, 서로 이간한 제 1 클로(41) 및 제 2 클로(42)를 가지며, 제 1 클로(41)와 제 2 클로(42)의 사이에는 이간 부분(43)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 클로(40)는, 제 1 클로(41)와 제 2 클로(42)가 외력으로 서로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접촉 가능한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계합 클로(40)의 각 클로(41,42)는, 헤드부(41a,42a)와, 경부(頸部)(4lb,42b)를 가진다.
도 2,3,9,10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20)의 오목면부(23)에는, 용기 본체(20)를 상측 덮개(30)에 의해 기밀하게 덮개 고정하기 위한 분여 구조체(50)가 배치되어 있다. 분여 구조체(50)는, 상하면(50A,50B)과, 외주에 위치하는 강성의 플랜지(51)와, 플랜지(51)의 내방으로 이어지는 가요성의 둘레벽(52)과, 둘레벽(52)의 내주로 이어지는 강성의 내부 덮개부(외측 영역)(53)와, 내부 덮개부(53)의 내주로 이어져 분여 개구(54)를 획정(劃定)하는 가요성의 내측 플랩(내측 영역)(55)을 가지고 있다. 분여 구조체(50)의 하면에 있어서는, 둘레벽(52)과 내부 덮개부(53)의 외주연부의 사이에 있어서 하방으로 환상으로 연장되는 하방 돌기(56)가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여 구조체(50)는, 연질 재료, 예를 들면, 연질 폴리에틸렌, 우레탄,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시트재(9)에 알코올 성분을 함침시켰을 경우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시트재(9)에 포함되는 알코올 성분의 기산(氣散)·증발이나 알코올 성분에 의한 분여 구조체(50)를 형성하는 재료의 변질을 억제하기 위해서, 연질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여 구조체(50)는, 동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두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가요성이 있는 부분과 비교적 강성이 높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질(異質)의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더블 몰딩(2색 성형)에 의해, 1개의 금형 내에 있어서 가요성이 있는 부분에 탄성 재료, 강성이 있는 부분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각각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분여 개구(54)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T자형 내지 대략 은행형이며, 곡상(曲狀) 전단 가장자리(54a)와, 후방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 X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54b)와, 전후단 가장자리(54a,54b) 사이에 있어서,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서로 접근하도록 만곡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양측 가장자리(54c)를 가진다. 분여 개구(54)는, 추가로, 후방에 위치하며 가로 방향 X 및 전후 방향 Z로 넓어지는 제 1 구멍부(손가락 삽입부)(57)와,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제 1 구멍부(57)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이어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멍부(58)를 가진다. 제 2 구멍부(58)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잘록해지는 형상을 가지며, 가장 폭이 좁게 되는 부분으로부터 더 전단 가장자리(54a)까지 연장되는 부분은, 가장 폭이 좁이지는 부분(최협(最狹) 부분)에 비하여 약간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최협 부분이 그보다도 폭이 넓은 부분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최협 부분을 시트재(9)가 통과할 때에 양측 가장자리부(54a)를 상하 방향 Y로 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시트재(9)가 양측 가장자리부(54a)에 걸려서 인출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분여 개구(54)가 슬릿이 아닌 이처럼 비교적 큰 개구로 형성되어 있어도, 후기의 시일부에 의해 내부의 공간을 기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여 개구(54)는, 제 1 구멍부(57)와 제 2 구멍부(58)가 서로 교차하는 한에 있어서, T자상 외에, 십자상이나 방사상이어도 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내부 덮개부(53)의 두께 치수 D1이 내측 플랩(55)의 두께 치수 D2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내부 덮개부(53)는 내측 플랩(55)에 비하여 두껍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플랩(55) 중 제 2 구멍부(58)를 형성하는 개구 가장자리 부분에는, 내측 플랩(55)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꺼우며, 내부 덮개부(53)의 두께 치수 D1과 대략 같은 두께 치수 D3을 가지는 고강성 영역(59)이 위치한다. 또한, 분여 구조체(50)의 내부 덮개부(53)는, 상방으로 융기하는 것 같은 돔형상을 가진다.
플랜지(51)는, 용기 본체(20)의 계합 클로(40)에 계합되는 계합 구멍(51a)을 가지고 있다. 계합 구멍(51a)은, 분여 개구(54)에 대하여 둘레벽(52)의 외측에 4개 배치되어 있다. 각 계합 구멍(51a)은, 상방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대경부(大徑部)(5lb)와, 하방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소경부(小徑部)(51c)를 가진다. 플랜지(51)의 후단 가장자리부의 중앙에는, 컷아웃(51e)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분여 용기(10)는, 덮개 기구(2)를 추가로 가진다. 덮개 기구(2)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둘러싼 영역에 있어서, 상측 덮개(30)와, 내주벽면(25)과 그로 둘러싸여진 지지면(24)과 분여 구조체(50)를 포함하는 기구 본체(3)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구 본체(3)는, 분여 용기(10)의 일부를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도 17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90)에 직접 부착되는 독립한 덮개체(캡)여도 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후기의 마우스 구조, 밀폐 구조 및 힌지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구 본체(3)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용기 본체(20)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기술적 구성 및 그에 의한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밀폐 구조>
도 11(a),(b)를 참조하여, 분여 구조체(50)를 용기 본체(20)의 오목면부(23)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면, 먼저, 가로 방향 X 및 전후 방향 Z에 있어서, 4개의 계합 구멍(51a)의 위치와 4개의 계합 클로(40)의 위치가 각각 합치하도록, 오목면부(23)에 분여 구조체(50)가 배치된다. 계합 구멍(51a)의 소경부(51c)의 직경 방향의 치수 N1은, 계합 클로(4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제 1 클로(41) 및 제 2 클로(42)의 외주면의 직경 방향의 치수 N2보다도 작기 때문에, 분여 구조체(50)가 지지면(24)으로 눌리면, 소경 구멍(51c)을 통과할 때에 제 1 클로(41)의 헤드부(41a)와 제 2 클로(42)의 헤드부(42a)가 소경 구멍(51c)의 내주에 접촉함으로써, 탄성 변형되어 서로 접근한다.
또한, 분여 구조체(50)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켜서 오목면부(23)에 누름으로써, 헤드부(41a,4lb)가 대경 구멍(5lb)으로 이동하고, 대경 구멍(5lb)과 소경 구멍(51c)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차(51d)와 헤드부(41a,42a)의 하단이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대향 위치하고, 계합 클로(41)가 계합 구멍(51)으로부터 이탈하는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계합 클로(41)가 계합 구멍(51)에 계지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돌기(27)가 둘레벽(52)의 내부 공간에 진입하여 둘레벽(52)의 정상면(52a)과 지지 돌기(27)의 사이에는 이간 부분(29)이 형성된다. 이처럼, 계합 클로(40)가 계합 구멍(51a)에 삽입됨으로써, 부착부에 있어서 분여 구조체(50)가 용기 본체(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측 덮개(30)는, 전후단 가장자리(30a,30b)와, 전후단 가장자리(30a,30b)를 잇는 양측 가장자리(30c)에 의하여 외형을 이루는 대략 편평 직사각형상에 있어서, 전단 가장자리부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래치(31)가 위치하고, 후단 가장자리(30b)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연결부(32)가 위치하고 있다. 상측 덮개(30)는, 분여 용기(10)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면과, 용기 본체(20)의 오목면부(23)와 대향하는 내면과, 내면으로부터 오목면부(23)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상 리브(33)를 추가로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측 덮개(30)가 개방된 상태란, 상측 덮개(30)가 용기 본체(20)의 정상면벽(21)에 대하여 약 90도 기립한 상태를 의미하고, 상측 덮개(30)가 폐쇄된 상태란, 상측 덮개(30)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오목면부(23)를 향하여 선회 방향 P로 선회하여, 래치(31)가 버튼 부재(80)에 계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환상 리브(33)는, 원형의 내측 리브(34)와, 내측 리브(34)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원형의 외측 리브(35)를 가진다. 내측 리브(34)는, 외측 리브(35)보다도 그 높이 치수(상하 방향 Y)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측 덮개(30)의 외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점차 내림 구배가 되는 유선 형상을 이루며, 전방 부분은 그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이 하방으로 만곡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덮개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측 덮개(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 버튼(80)의 상면이 중앙을 향하여 약간 들어간 대략 궁(弓)상이며, 상측 덮개(30)와 조작 버튼(80)은 연속한 유선형상을 이루므로, 사용자가 손끝으로 상측 덮개(30) 및 조작 버튼(80)의 외면에 접촉했을 때의 촉감이 양호하다. 또한, 그것들의 외면이 평면상인 경우에 비하여, 의장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유아(乳幼兒) 등의 기저귀를 교환할 시 등에, 모친 등의 사용자는, 유유아가 눈을 뜨지 않도록 비교적 어두운 방에서 분여 용기(10)로부터 시트재(9)를 취출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끝으로 폐쇄된 상태의 상측 덮개(30)의 외면을 덧그리는 것 같이 접함으로써, 전방으로 내림 구배가 된 종착지에 조작 버튼(80)이 위치하는 것을 촉감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작 버튼(80)을 직접 시인할 수 없는 상황하에 있어서도, 스무드하게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상측 덮개(30)를 힌지부(5)를 개재하여 오목면부(23)측으로 선회하여 덮개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측 덮개(30)의 내면에 위치하는 외측 리브(35)가 분여 구조체(50)의 둘레벽(52)의 정상면(52a)에 접촉한다. 이처럼, 서로 접촉하는 외측 리브(환상 리브)(35)와 둘레벽(52)이 일체가 되어, 분여 개구(54)를 위요하는 상방 시일부(7)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 덮개(30)의 내주면이 분여 개구(54)와 대향하는 천정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상방 시일부(7)와 천정 부분에 의하여 분여 개구(54)의 상방에는 기밀성이 있는 공간(S1)이 획성되어, 시트재(9)에 포함되는 액체가 증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면부(23)의 지지 돌기(27)는, 분여 구조체(50)의 중공의 둘레벽(52) 내에 위치하고 있다. 둘레벽(52)은 중공이기 때문에 변형이 용이하며, 상측 덮개(30)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한 것과 함께, 그 내부에 지지 돌기(27)가 위치함으로써, 둘레벽(52)이 완전하게 쓰러질 일이 없으며, 둘레벽(52)이 완전하게 쓰러져서 상측 덮개(30)와 분여 구조체(50)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상방 시일부(7)의 시일 효과가 크게 저하될 일은 없다.
또한, 지지 돌기(27)의 선단은 둘레벽(52)의 정상면(52a)의 내면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둘레벽(52)의 정상면(52a)과 지지 돌기(27)의 선단의 사이에는 이간 부분(이간 스페이스)(29)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52)의 정상면(52a)이 위치하는 상단은, 그에 접촉하는 상측 덮개(30)의 외측 리브(35)에 상방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변형 가능하다. 상방 시일부(7)가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측 덮개(30)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외측 리브(35)가 둘레벽(52)의 상단을 오목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내측 리브(34)가 둘레벽(52)의 정상면(52a)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둘레벽(52)의 상단이 변형됨으로써 상방 시일부(7)의 시일 기능이 향상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상측 덮개(30)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아, 외측 리브(35)에 대하여 분여 구조체(50)의 둘레벽(52)으로부터 그 직경 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 어긋나는 것 같은 힘이 작용되어도, 외측 리브(35)에 의해 둘레벽(52)을 밀어넣으려고 하는 힘이 이간 부분(29)에 의해 해방됨으로써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우며, 또한, 외측 리브(35)가 둘레벽(52)의 상단으로 파고드는 것 같은 양태로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용기 본체(20) 내의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52) 내에 지지 돌기(27)가 위치함으로써, 둘레벽(52)의 정상면(52a)이 외측 리브(35)에 의해 오목상으로 크게 변형되어도, 지지 돌기(27)가 둘레벽(52)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그것을 누르는 외측 리브(35)와 접촉하므로, 둘레벽(52) 전체가 변형하여 시일 기능이 저하될 우려는 없다.
여기에서, 지지 돌기(27)는, 둘레벽(5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측면이 둘레벽(52)의 내측 부분의 내면(52c) 또는 외측 부분의 내면(52d)에 면형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 본체(20) 내를 보다 기밀하게 하여,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돌기(27)가, 둘레벽(5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또한, 둘레벽(52)의 외측 부분의 내면(52d)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태의 경우에는, 지지 돌기(27)와 둘레벽(52)의 내측 부분의 내면(52c)의 사이에 이간 부분이 형성되므로, 외측 리브(35)에 의해 가압되어서 변형되는 둘레벽(52)의 선단이 당해 이간 부분으로 휠 수 있어, 분여 구조체(50)는, 패킹으로서 보다 높은 시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처럼, 덮개 기구(2)는, 분여 구조체(50)의 둘레벽(52)과 상측 덮개(30)의 환상 리브(33)가 접촉함으로써 내부 공간(S1)을 기밀하게 하는 상방 시일부(7)와, 지지 돌기(27)가 둘레벽(52)의 내측 부분의 내면(52c) 또는 외측 부분의 내면(52d)에 면형상으로 접촉함으로써 내부 공간(S1)을 기밀하게 하는 하방 시일부(8)로 이루어지는 환상 시일부를 가진다. 덮개 기구(2)가 양방의 시일부(7,8)를 가짐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내부 공간(S1)을 기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리브(33)의 내측 리브(34)는, 둘레벽(52)의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환상 리브(33)가 2겹의 내외측 리브(34,35)로 형성됨으로써, 환상 리브(33)가 1겹의 리브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측 덮개(30)와 용기 본체(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내의 공기의 흐름이 복잡화되어 공기가 내부에 체류되어 외부에의 유출이 지연되므로, 상방 시일부(7)의 시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리브(34)가 둘레벽(52)의 내측에 위치하며, 그 정상면(52a)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둘레벽(52)의 내방에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리브(33)는, 상측 덮개(30)의 전후단 가장자리(30a,30b)측의 부분에 비하여,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양측 부분쪽이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다. 둘레벽(52)이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힌지부(5)가 위치하는 후단 가장자리(30b)측과 버튼 부재(80)가 위치하는 전단 가장자리(30a)측에 있어서 외측 리브(35)가 둘레벽(52)에 접촉하여 기밀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내측 리브의 상하 방향 Y에 있어서의 치수가 클 경우에는, 상측 덮개(30)는 전방으로 내림 구배가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측 리브(34)가 둘레벽(52)에 접촉해버려 상측 덮개를 열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지만, 전단 가장자리(30a)측에 있어서 비교적 상하 방향 Y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내측 리브(34)가 둘레벽(52)에 접촉할 일이 없어, 상측 덮개(30)를 열기 쉬워진다. 또한, 둘레벽(52)은 후단 가장자리(30b)측으로부터 전단 가장자리(30a)측으로 점차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으며, 상측 덮개(30)를 폐쇄할 때에 최초로 둘레벽(52)에 외측 리브(35)가 접촉하는 후단 가장자리(30b)측에 있어서 외측 리브(3)가 둘레벽(52)과 가장 강하게 접촉하여 그를 변형시키고 있다.
도 12(a),(b)는, 각각, 포장체(90)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체(90)는, 식정용의 웨트 시트나 웨트 티슈 등의 복수의 시트재(9)와, 시트재(9)를 감싸는 포장 시트(91)와, 포장 시트(91)로부터 시트재(9)를 취출하기 위한 포장체 개구(92)와, 포장체 개구(92)를 폐색하며, 포장체(90)의 상면에 첩부한 봉인 시일(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포장체(90)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제이며, 내부의 시트재에 함침된 액체(물, 알코올, 약제 등)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체(90)의 포장체 개구(9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점착제가 도포된 시일부(9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체(90)는, 시일부(93)를 지지면(24)의 내면에 첩부함으로써, 용기 개구(26)와 포장체 개구(92)를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양태에 의해, 포장체(90)가 알코올 성분 등의 액체 성분을 함침한 복수의 시트재(9)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 개구(26)와 포장체 개구(92)가 이간하고 있을 때에 비하여 시트재(9)의 건조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3(a),(b)에는, 포장체(90) 내에 있어서의 시트재(9)의 적층 양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지만, 실제의 시트재는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1매의 시트재(9)는, 가로 방향 X 또는 전후 방향 Z의 어느 일방에서 1회 절곡하여 반으로 접은 V자 형상으로 하고, 반으로 접은 시트재(9)를 상하 방향 Y로 적층하고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1매의 시트재(9)는, 가로 방향 X 또는 전후 방향 Z의 어느 일방에서 2회 절곡하여 삼등분 접기의 Z자 형상으로 하고, 그 삼등분으로 접은 시트재를 상하 방향 Y로 적층하여도 된다. 도시한 적층 양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최상의 시트재(9A)를 포장체 개구(92)로부터 끌어 올림으로써, 다음 시트재(9B)의 일부를 끌어 올릴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한 장씩 시트재(9)를 인출할 수 있다. 이처럼, 시트재(9)가, 포장체 개구(92)를 통과해서 용기 개구(26)로부터 소위 팝업식으로 취출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한에 있어서, 도시한 양태 외에 각종 공지된 적층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재(9)는, 절곡된 단부가 분여 개구(54)에 근접하여 위치한 쪽이 인출하기 쉬우므로, 가로 방향 X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우스 구조>
도 2,4,14를 참조하면, 분여 용기(10)로부터 시트재(9)를 취출할 때에는, 먼저, 포장체(90)의 포장체 개구(92)를 개봉한 상태에서 바닥 덮개(70)의 내면에 재치(載置)하고, 바닥 덮개(70)를 용기 본체(20)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용기 본체(20)의 조작 버튼(80)을 가압하여 상측 덮개(30)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분여 개구(54)의 제 1 구멍부(57)에 엄지 손가락(95)과 검지 손가락(또는 중지 손가락)(96)을 삽입하여, 포장체(90)에 있어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시트재(9A), 즉, 포장체 개구(92)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최상의 시트재(9A)를 집는다.
이 때, 제 1 구멍부(57)는, 가로 방향 X 및 전후 방향 Z로 넓어진 형상에 있어서,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95)과 검지 손가락(96) 등의 적어도 2개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분여 개구(54)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내측 플랩(55)을 무리하게 넓혀서 파단하거나 하는 일 없이, 스무드하게 손가락을 삽입하여 시트재(9A)를 취출할 수 있다. 제 1 구멍부(57)는, 이처럼 소요의 크기의 개구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이대로 시트재(9A)를 인출하면,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한 마찰 저항이 작용하지 않아, 다음 시트재(9B)가 끌려나와서 전부 인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런데, 조작자가, 제 1 구멍부(57)로부터 최초의 시트재(9A)의 일부를 인출함과 동시에, 제 1 구멍부(57)에 비해서 폭이 좁은 제 2 구멍부(58)에 슬라이딩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시트재(9A)가 제 2 구멍부(58)에 의해 협지(挾持)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최초의 시트재(9A)를 끌어 올려서 취출하면, 제 2 구멍부(58)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해, 다음 시트재(9B)의 일부가 제 2 구멍부(58)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된다. 시트재(9)는,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번갈아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 순차적으로, 제 2 구멍부(58)로부터 스무드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구멍부(57)는, 최초의 시트재(9A)를 인출할 때에 적어도 2개의 손끝(95,96)을 삽입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용의 개구로서, 포장체의 2매째 이후의 시트재(9B)를 인출할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분여 구조체(50)가 용기 본체(2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포장체(90)의 포장체 개구(92)의 일부, 용기 개구(26)의 일부 및 분여 개구(54)의 일부는, 서로 상하 방향 Y에 있어서(분여 용기(10)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겹쳐서 위치하고 있다. 포장체(90)의 포장체 개구(92)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 L1은, 용기 본체(20)의 용기 개구(26)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 L2보다도 크고, 용기 개구(26)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 L2는, 분여 구조체(50)의 분여 개구(54)에 있어서의 제 2 구멍부(58)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 L3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개구(26,58,92)는,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연통되어 있으며, 그것들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폭치수) L1-L3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점차 작게 되어 있으며, 각 치수 L1-L3의 크기의 상관 관계는, 포장체(90)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 L1≥용기 개구(26)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 L2≥분여 개구(54)의 제 2 구멍부(58)의 가로 방향 X에 있어서의 치수 L3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개구(26,58,92)는, 도시한 것 이외에,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각종 공지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며, 각 개구(26,58,92)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X의 치수 L1-L3은, 각종 형상에 있어서의 각 개구(26,58,92)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X의 최대 치수를 의미한다.
이처럼, 포장체 개구(92), 용기 개구(26) 및 분여 개구(54)의 제 2 구멍부(58)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점차 그 폭치수 L1-L3이 작아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포장체 개구(92)로부터 인출된 시트재(9)는, 용기 개구(26), 제 2 구멍부(58)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점차 좁아지고 있다. 그에 의해, 각 개구(92,26,58)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드 접촉하여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큰 마찰 저항을 받아, 시트재(9)가 연속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우수한 분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연통하는 각 개구(92,26,58)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해 시트재(9)를 분여하기 위해서는, 각 개구(92,26,54)가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분여 구조체(50)가 용기 본체(2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기 개구(26)와 분여 개구(54)의 사이에 공간(S2)이 형성됨으로써, 용기 개구(26) 후에 추가로 분여 개구(54)에 있어서의 마찰 저항에 의해 시트재(9)를 확실하게 분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분여 구조체(50)의 내부 덮개부(53)는, 상방으로 융기하는 것 같은 돔형상을 가지므로, 그것이 평탄상인 경우에 비하여, 용기 개구(26)와 분여 개구(54)의 사이에 의해 큰 공간(S2)을 형성하여, 분여 개구(54)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마찰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내는 포장체(90)의 경우에는, 포장체 개구(92)의 주연(周緣)에 시일부(93)가 위치하고, 용기 본체(20)의 지지면(24)의 내면에 시일부(93)를 첩부한 상태로 포장체(90)를 용기 본체(20) 내에 수용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포장체 개구(92)와 용기 개구(26)가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이간하지 않고 연속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포장체 개구(92)와 용기 개구(26)가 이간함으로써 시트재(9)의 알코올 성분 등의 액체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 개구(26)의 상방에 그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구멍부(58)가 위치함으로써, 시트재(9)를 분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면(24)이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형성되어서 그 내면이 기복(起伏)한 형상인 경우에는, 포장체(90)의 포장체 개구(92)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시일부를 안정적으로 첩부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20)에 직접적으로 연질 재료로 형성된 개구 가장자리부에 의해 획성된 협착부(분여 개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포장체 개구(92)의 주연에 위치하는 시일부를 경질 재료로 형성하며, 또한, 평활한 지지면(24)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첩부할 수 있다.
분여 용기(10)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포장체 개구(92)는, 분여 개구(54)의 제 1 구멍부(57)측이 아닌, 제 2 구멍부(58)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제 2 구멍부(58)와 상하 방향 Y에 있어서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 개구(92)가, 제 2 구멍부(58)측에 위치함으로써, 2매째 이후의 시트재(9)를 스무드하게 제 2 구멍부(58)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멍부(58)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고강성 영역(59)이 위치하고 있으며, 소요의 강도를 가지므로, 복수회에 있어서 시트재(9)를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인출하였다고 하여도, 그 일부가 변형하거나 파단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얇은 내측 플랩(55)에 비해서 두꺼운 고강성 영역(59)이 위치함으로써, 시트재(9)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마찰 저항을 줄 수 있다.
분여 개구(54)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내측 플랩(55)은, 유연성/가요성을 가지며, 내부 덮개부(53)의 강성보다도 내측 플랩(55)의 강성이 작으므로, 최초의 시트재(9A)를 취출할 때에, 손가락(95,96)이 비교적 강성이 높은 내면부(23)에 맞닿아서 자극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여 구조체(50)의 외주연부에는, 강성이 높은 플랜지(51)가 위치함으로써, 외주연부의 변형이 억제된다.
<힌지 구조>
도 2,7,16을 참조하면, 상측 덮개(30)는, 덮개체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연장하여 돌출하는 연결부(32)에 있어서, 그 하단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축부(선회축의 양단)(45)와, 각 축부(45)가 삽입되는, 오목면부(23)의 후단 부분에 위치하는 베어링부(23a)에 의한 힌지부(힌지 구조)(5)에 의해, 개구(26,54)를 개폐 가능하게 선회할 수 있다. 오목면부(23)와 상측 덮개(30)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 Y로 연장되는 띠형상의 스프링 부재(36)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6)는, 합성 고무나 천연고무로 형성된 탄성 띠편(片)이며, 상측 덮개(30)는 스프링 부재(36)에 의해 그것이 개방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6)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 접어서 겹쳐져 있는 것과 함께,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36A)과 타단(36B)을 가지며, 양단(36A,36B)에는 삽입 통과 구멍이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36)는, 상측 덮개(30)의 내면 중 연결부(32)의 상방에 위치하는 돌기(37)에 일단(36A)의 삽입 통과 구멍을 삽입 통과함으로써 상측 덮개(30)에 부착되고, 타단(36B)의 삽입 통과 구멍을 오목면부(23)의 지지면(2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38)에 삽입 통과함으로써 용기 본체(20)에 부착됨으로써, 축적 상태에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36)의 타단(36B)은, 분여 구조체(50)의 플랜지(51)와 오목면부(23)의 지지면(24)의 사이에 있어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더 안정적으로 용기 본체(20)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측 덮개(30)의 개폐 조작을 반복하여도 용기 본체(20)로부터 빠질 일은 없다. 또한 스프링 부재(36)의 일방단(36A)은, 상측 덮개(30)의 돌기(37)가 위치하는 부분을 피복하는 커버 부재(39)에 의해 상측 덮개(30)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36)에는, 도시예 대신에, 코일스프링 등의 관용의 스프링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분여 용기에 있어서, 상측 덮개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돌기하는 한 쌍의 축부와 그것들에 대향하는 베어링부에 의하여 상측 덮개가 선회 가능하게 축지지된 양태로 이루어지는 힌지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 구조에 있어서는, 분여 용기의 가로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부재로부터 베어링부까지의 이간 거리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의 반발력의 영향을 덮개 자체나 용기 본체가 받아버린다. 따라서, 분여 용기를 비교적 높은 실온을 가지는 실내에 장시간 방치했을 경우, 스프링 부재의 반발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상측 덮개의 일부가 열변형되어 버리고, 그 결과, 선회하였을 때에 분여 용기와 슬라이드 접촉하여 개폐하기 어려워져버리거나, 축부가 베어링부로부터 빠져서 개폐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면부(23)의 후단 부분 중 가로 방향 X의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상 부분(28)에는, 양측에 축부(45)를 가지는 연결부(32)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45) 사이의 가로 방향 X의 치수(이간 치수) L5는, 상측 덮개(30)의 가로 방향의 치수 L4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스프링 부재(36)와 축부(45)의 이간 거리가 비교적 작게 되므로, 스프링 부재(36)의 반발력의 영향을 덮개 자체가 받아서 열변형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분여 용기(10)를 비교적 고온의 실내에 장시간 방치하였다고 하여도, 힌지 기능을 잃어버릴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힌지 구조에 있어서는, 상측 덮개(30)의 개폐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전방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굴곡한 스프링 부재(36)가 경시(經時) 변화(연화)에 의해 점차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그 일부가 연결부(32)의 하단과 오목면부(23)의 사이의 간극(49)에 끼워져 버리는 일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면(24)의 오목상 부분(28)에는, 스프링 부재(36)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이동 규제 수단(98)이 마련되어 있다. 이동 규제 수단(98)은, 오목상 부분(28)에 있어서 돌기(38)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6)의 후방에 이동 규제 수단(98)이 마련됨으로써, 스프링 부재(36)가 경시 변형에 의해 후방으로 굴곡하였다고 하여도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그 일부가 연결부(32)의 하단과 오목면부(23)의 사이의 간극(49)에 들어가버릴 일은 없다.
또한, 상측 덮개(30)는, 그 양측 가장자리부가 용기 본체(2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30a)로부터 하단 가장자리(30b)까지 연장되는 덮개 본체 전체가, 용기 본체(20)의 후면(배면)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의 오목면부(2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상측 덮개(30)와 용기 본체(20)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관에 있어서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의 오목면부(23)의 후면은, 약간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을 가지며, 돌출 부분에 의해 상측 덮개(30)와 용기 본체(20)의 사이의 간극이 피복되므로, 상측 덮개(30)가 폐쇄된 상태여도, 분여 용기(10)는 외관에 있어서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조작 버튼(80)은, 중앙을 향해서 들어가는 상면(손가락이 닿는 면)을 가지는 베이스(81)와, 베이스(8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상의 스프링부(82)를 가진다. 스프링부(82)의 후방에는, 오목면부(23)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는 베어링 구멍(23b)에 삽입되는 축부(부착축)(8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81)의 후방에는 피계지 돌기(84)가 배치되어 있으며, 덮개 개방 상태로부터 상측 덮개(30)를 선회하여 전단 가장자리(30a)에 위치하는 래치(31)가 조작 버튼(80)의 피계지 돌기(84)에 계지된다. 상측 덮개(30)가 폐쇄되어 래치 기구에 의해 록된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부(82)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조작 버튼(80)을 가압함으로써, 래치(31)가 피계지 돌기(84)로부터 빠져서, 상측 덮개(30)가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조작 버튼(80)은, 축부(83)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는 것인 바, 축부(83)의 하방에 스프링부(82)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프링부(82)를 압축할 때에 스프링부(82)에 대하여 하방으로 향하는 힘과 가로 방향 X에 어긋나는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비교적 강한 힘으로 가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부(83)의 하방에 스프링부(82)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전후 방향 Z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가압력이 직접적으로 스프링부(82)에 작용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2,15를 참조하면, 바닥 덮개(70)는, 바닥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외주벽(71)과, 외주벽(71)보다도 상방으로 연장하여 돌출하는 내주벽(72)과, 내외주벽(71,72)의 사이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0)의 하단이 삽입되는 홈(73)과, 내주벽(72)의 네 귀퉁이로부터 더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볼록부(74)를 가진다. 지지 볼록부(74)는, 평탄한 정상면을 가지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용기 본체(20)의 모서리부의 내면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위치 맞춤하여 바닥 덮개(70)를 용기 본체(20)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삽입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90)는, 바닥 덮개(70)의 지지 볼록부(74)에 지지된 상태로 분여 용기(10)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포장체 개구(92)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시일부(93)를 가지는 포장체(90)의 경우에는, 용기 본체(20)의 지지면(24)의 내면에 첩부한 상태로 수용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지지 볼록부(74)에 포장체(90)가 재치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용기 본체(20)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볼록부(74)는, 평탄한 정상면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수용 용기 내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포장체(9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닥 덮개(70)의 모서리부(네 귀퉁이)의 외면(외주벽(71)의 외면)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얇은 판상의 조작 리브(75)가 위치하고 있다. 분여 용기(10)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바닥 덮개(70)의 내주벽(72)의 외주면 전체가 용기 본체(20)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이며, 용기 본체(20) 내가 기밀인 것으로부터, 외기와의 기압차에 의해 바닥 덮개(70)가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곡상의 외주벽(71)의 외면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용기 본체(2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바닥 덮개(70)를 잡아당기려고 하여도 손끝이 미끄러져서 힘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닥 덮개(70)의 모서리부의 외면에 조작 리브(75)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조작 리브(75)를 집어서 또는 거기에 손끝을 걸어서 바닥 덮개(70)를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용기 본체(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와 바닥 덮개(7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지지 볼록부(74) 및/또는 그것과 접하는 용기 본체(20)의 둘레벽(22)의 내면에 활제를 도포하거나,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등하여 마찰을 저감하는 가공을 실시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작 리브(75)를 잡아당겼을 때에 바닥 덮개(70)가 용기 본체(20)로부터 보다 빠지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용기 본체(20)를 겹쳐 쌓은 상태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쉬워진다. 또한, 조작 리브(75)는, 조작의 편의상, 바닥 덮개(70)의 네 귀퉁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지만, 적어도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여 구조체(50)와 용기 본체(2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분여 구조체(50)를 별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부재(36)의 타단(36B)을 지지면(24)과의 사이에 잡아둘 수 있는 것과 함께, 경시 열화에 의해 일부가 파단, 변형하여 마우스 구조, 밀폐 구조가 제대로 기능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새로운 분여 구조체(50)로 교환함으로써, 기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 기구(2)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덮개 기구(2)의 기본 구성은, 도 1-도 16에 기재된 덮개 기구(2)의 기본 구성과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 기구(2)는, 가로 방향 X와 전후 방향 Z와, 그들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 Y를 가지며, 포장체(90)의 상면에 시일부(93)를 개재하여 직접적으로 부착된 기구 본체(3)를 포함한다. 기구 본체(3)는, 그 정상면벽(121)의 오목면부(23)에 배치되며, 시트재(9)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54)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50)와, 전후단 가장자리(30a,30b)와, 후단 가장자리(30b)측에 있어서 기구 본체(3)에 힌지부(5)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분여 개구(54)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분여 구조체(50)의 둘레벽(52)과 상측 덮개(30)에 의한 상방 시일부(7)와 둘레벽(52)과 지지 돌기(27)에 의한 하방 시일부(8)로 이루어지는 환상 시일부에 의해 상측 덮개(30)와 분여 개구(54)의 사이에 있어서의 공간을 기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개구(26)와 분여 개구(54)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분여 개구(54)가 제 1 구멍부(57)와 제 2 구멍부(58)로 이루어지는 마우스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우수한 분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재(9)에 대해서 보충하면, 시트재(9)는, 대상물의 더러움을 닦는 것이나 대상물에 함침한 액체를 부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서, 시트 재료나 함침되는 액체를 적절히 자유롭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물을 주로 한 액체 성분의 경우에는, 물을 포함하여 보지(保持)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로 한 섬유 부직포, 예를 들면, 레이온, 펄프, 코튼의 단체(單體)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섬유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스판레이스 섬유 부직포, 에어레이드 섬유 부직포를 시트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재(9)에 함침되는 액체 성분으로서는, 기제로서, 물, 알코올류 또는 유지 성분, 기제의 보조 성분으로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부제, 더러움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제나 용제 성분, 살균·항균 작용을 부여하기 위한 살균·항균 성분, 피부에 양호한 효과를 주기 위한 보습제나 약효 성분, 향료, 액체 성분을 안정시키기 위한 킬레이트제나 완충제, 가용화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재(9)의 액체 성분의 기제로서 물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시트재(9)끼리가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서로 달라 붙은 상태가 되므로, 인출할 때에 분여 개구(54)에 의해 적정한 마찰 저항을 줄 필요가 있다. 한편, 시트재(9)의 기제로서 알코올 성분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시트재끼리를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그 휘발성을 고려하여, 밀폐된 상태로 보관할 필요가 있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시일부와 같은 내부를 기밀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용기(10)는, 시트재(9)의 기제가 물 또는 알코올 성분의 어느 것이어도 그 분여·수용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덮개 기구(2), 포장체(90) 및 분여 용기(10)를 각각 구성하는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 종류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의 요소, 위치 등을 단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2 덮개 기구
3 기구 본체
5 힌지부
9,9A,9B 시트재
10 분여 용기
20 용기 본체
21 정상면벽
23 오목면부
24 지지면
26 용기 개구
27 지지 돌기
30 상측 덮개
30a 상측 덮개의 전단 가장자리
30b 상측 덮개의 후단 가장자리
32 연결부
33 환상 리브
34 내측 리브
35 외측 리브
50 분여 구조체
51 플랜지
52 둘레벽
52c 둘레벽의 내측 부분의 내면
52d 둘레벽의 외측 부분의 내면
53 내부 덮개부
54 분여 개구
55 내측 플랩
57 제 1 구멍부
58 제 2 구멍부
59 고강성 영역
X 가로 방향
Y 상하 방향
Z 전후 방향

Claims (15)

  1. 가로 방향과 전후 방향과, 그들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을 가지며,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정상면벽에 위치하며,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전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 기구를 구비한 상기 시트재의 분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분여 구조체가 배치되는 오목면부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분여 개구와 연통하는 용기 개구를 가지며,
    상기 오목면부에는 상기 용기 개구를 둘러싸는 환상의 지지 돌기가 위치하고,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오목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방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공의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분여 구조체를 상기 오목면부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둘레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분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둘레벽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는 분여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둘레벽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외측 부분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는 분여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여 구조체의 상기 둘레벽은 정상면을 가지며, 상기 둘레벽 내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과 상기 지지 돌기의 사이에 이간부가 형성되는 분여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상기 정상면은 평탄상인 분여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덮개는, 내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상 리브를 가지며, 상기 상측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의 선단부가 상기 둘레벽에 접촉하는 분여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는, 내측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를 둘러싸는 외측 리브를 가지며, 상기 내측 리브가 상기 외측 리브보다도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가 상기 둘레벽의 상기 정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내측 리브가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분여 용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리브는, 상기 상측 덮개의 상기 전후단 가장자리측의 부분에 비하여,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양측 부분쪽이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되어 있는 분여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여 개구는, 상기 후단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제 1 구멍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이어져서 상기 전단 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멍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제 2 구멍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큰 분여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둘레벽의 내방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부와, 상기 내부 덮개부의 내방에 위치하는 내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내측 플랩은 상기 제 2 구멍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고강성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내부 덮개부보다도 강성이 낮으며, 상기 고강성 영역은 상기 내부 덮개부와 동등한 강성을 가지는 분여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둘레벽의 내방에 위치하는 내부 덮개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 덮개부는 상방으로 융기하는 것 같은 돔형상을 가지는 분여 용기.
  12. 제 1 항에 기재된 상기 분여 용기의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장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여 용기의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며, 지지면의 내면에 지착 가능한 시일부를 구비한 포장체.
  14. 가로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가지며, 그들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을 가지며,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의 정상면벽에 위치하며,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전후단 가장자리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분여 구조체가 배치되는 오목면부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분여 개구와 연통하는 기구 개구를 가지며,
    상기 오목면부에는 상기 기구 개구를 둘러싸는 환상의 지지 돌기가 위치하고,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오목면부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방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공의 둘레벽을 가지며,
    상기 분여 구조체를 상기 오목면부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둘레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덮개 기구.
  15. 제 14 항에 기재된 상기 덮개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 본체에 지착 가능한 시일부를 구비한 포장체.
KR1020197016480A 2016-11-11 2017-08-21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KR102446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0361A JP6822823B2 (ja) 2016-11-11 2016-11-11 蓋機構、包装体及び分与容器
JPJP-P-2016-220361 2016-11-11
PCT/JP2017/029809 WO2018087980A1 (ja) 2016-11-11 2017-08-21 蓋機構、包装体及び分与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285A true KR20190082285A (ko) 2019-07-09
KR102446738B1 KR102446738B1 (ko) 2022-09-23

Family

ID=6211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480A KR102446738B1 (ko) 2016-11-11 2017-08-21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22823B2 (ko)
KR (1) KR102446738B1 (ko)
CN (1) CN109715524B (ko)
TW (1) TWI732929B (ko)
WO (1) WO2018087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898B1 (ko) * 2018-07-31 2019-04-15 (주) 우수컨버팅 물티슈용 인출 브라켓
JP2020040676A (ja) * 2018-09-06 2020-03-19 明星産商株式会社 フェイスパックパッケージ
JP7176688B2 (ja) * 2018-10-24 2022-11-22 ニプロ株式会社 薬液含浸シート
JP7266494B2 (ja) * 2019-08-13 2023-04-28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KR200494136Y1 (ko) * 2019-11-08 2021-08-11 변용필 티슈용기 마개
JP7014833B2 (ja) * 2020-02-14 202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04699B2 (ja) * 2020-03-12 2023-0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容容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193B2 (ja) * 1976-02-13 1983-06-27 ソシエテ・ユレ・エ・セ・フイス 自転車用前部変速装置のチエ−ン案内部
JP2003170949A (ja) * 2001-12-07 2003-06-17 Uni Charm Corp 蓋付き容器
JP2003529505A (ja) 2000-03-30 2003-10-07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の開口部を備えた湿潤拭き材用容器
JP2008137677A (ja) * 2006-11-30 2008-06-19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及び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の梱包構造
KR20110086574A (ko) * 2008-11-14 2011-07-2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개폐 가능한 용기
KR20130110155A (ko) * 2010-08-30 2013-10-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강화 리브를 갖는 광폭의 뚜껑-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JP2016064869A (ja) * 2014-09-17 2016-04-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部開閉構造とその構造を使用した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072A (ja) * 1994-11-22 1996-06-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の取出口構造
TW356128U (en) * 1998-09-14 1999-04-11 Yonyu Plastics Co Ltd Structure for can cap
JP4279028B2 (ja) * 2003-03-31 2009-06-17 大王製紙株式会社 湿潤シート用容器
US20050011906A1 (en) * 2003-07-15 2005-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product
US7806292B2 (en) * 2006-02-28 2010-10-05 Joseph S Kanfer Towelette dispenser
JP5258522B2 (ja) * 2008-11-14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の収納容器
WO2016043188A1 (ja) * 2014-09-17 2016-03-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部開閉構造とその構造を使用した分与容器
JP5830193B1 (ja) * 2015-06-30 2015-1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193B2 (ja) * 1976-02-13 1983-06-27 ソシエテ・ユレ・エ・セ・フイス 自転車用前部変速装置のチエ−ン案内部
JP2003529505A (ja) 2000-03-30 2003-10-07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の開口部を備えた湿潤拭き材用容器
JP2003170949A (ja) * 2001-12-07 2003-06-17 Uni Charm Corp 蓋付き容器
JP2008137677A (ja) * 2006-11-30 2008-06-19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及び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の梱包構造
KR20110086574A (ko) * 2008-11-14 2011-07-2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개폐 가능한 용기
KR20130110155A (ko) * 2010-08-30 2013-10-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강화 리브를 갖는 광폭의 뚜껑-작동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JP2016064869A (ja) * 2014-09-17 2016-04-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部開閉構造とその構造を使用した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738B1 (ko) 2022-09-23
JP2018076109A (ja) 2018-05-17
JP6822823B2 (ja) 2021-01-27
CN109715524B (zh) 2021-07-06
TWI732929B (zh) 2021-07-11
WO2018087980A1 (ja) 2018-05-17
TW201817659A (zh) 2018-05-16
CN109715524A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2285A (ko)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KR102419021B1 (ko) 덮개 기구, 포장체 및 분여 용기
CN109862833B (zh) 调整力的组织间桥、相关工具、套件和方法
US20150296956A1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US7988020B2 (en) Wearable disinfecting gel dispenser
DE60111041T3 (de) Nachfüllbarer spender für tücher
US20200315408A1 (en) Diaphragm for a container assembly
EP2351696A1 (en) Openable and closable container
KR20150126339A (ko) 물티슈 포장체
CN107635888B (zh) 分给容器
JP4953536B2 (ja) 薬剤揮散装置
JP3875376B2 (ja) 蓋装置
JP4377461B2 (ja) 開閉自在容器
US20210330044A1 (en) Sanitizer Bracelet
JP2023175457A (ja) 薬剤揮散器及びホルダー
KR20150118932A (ko) 즉석 물티슈 공급장치
EP3858760A1 (en) Home tissue paper accommodation container
JP2003250414A (ja) 詰替え式衣類用防虫剤容器
RU2574964C2 (ru) Настольный дозатор салфеток
KR101900867B1 (ko) 패드형 화장품
KR101540908B1 (ko) 즉석 물티슈 공급장치
JPH0880981A (ja) ティシュー包装体
KR20170053077A (ko) 물티슈 용기
KR20170053078A (ko) 물티슈 용기
JP2002085519A (ja) 点滴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