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867B1 - 패드형 화장품 - Google Patents

패드형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867B1
KR101900867B1 KR1020160110239A KR20160110239A KR101900867B1 KR 101900867 B1 KR101900867 B1 KR 101900867B1 KR 1020160110239 A KR1020160110239 A KR 1020160110239A KR 20160110239 A KR20160110239 A KR 20160110239A KR 101900867 B1 KR101900867 B1 KR 10190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heet
contents
film
cover memb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300A (ko
Inventor
김용영
Original Assignee
김용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영 filed Critical 김용영
Priority to KR102016011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8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필름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함침부재에 분말타입 또는 액체타입 등의 화장품 내용물을 저장함으로써, 휴대 및 화장시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제1 함침부재를 통해 화장하여 위생적인 화장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 후에는 바로 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패드형 화장품{Pad-type Cosmetic}
본 발명은 패드형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와,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안착부(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용기는 여성들이 휴대하면서 얼굴화장에 사용되는 색조화장품이나 기능성화장품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콤팩트 용기는 내용물 저장부에 색조화장품이나 기능성화장품의 내용물을 수납 보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는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된 버튼을 가압하여 외부뚜껑을 용기 본체에서 힌지 회동에 의해 열고 내부에 수용된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묻혀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682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에 대하여 힌지수단을 통해 열고 닫히는 외부덮개;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고,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부용기; 내부용기의 상부에 결합지지 되고, 화장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공은 메쉬 망으로 가려져 있는 시프터; 및 상기 시프터의 배출공을 기밀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용기를 중심으로 힌지수단을 통해 열고 닫힘과 동시에 바닥 하부면으로는 소프트한 재질의 기밀패킹이 구비되고, 또 화장도구가 수납되는 화장도구 수납부가 일체로 구비된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는 시프터는 틀체의 외주벽면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내부용기에 대한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상기 외주벽면으로는 기밀링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틀체의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이 탄성 결합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지주벽으로는 기밀 결합턱을 각각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지주벽에 대한 시프터의 기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시프터의 틀체 외주벽면으로는 밀림 방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시프터에 대한 리드의 닫음 조작시 상기 외주벽면이 시프터의 배출공을 차단하는 리드의 가압 밀착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리드에 구비된 기밀패킹에 의한 배출공의 기밀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각종 타입의 화장품이 수납되는 내부용기에 대하여 화장품의 배출 사용을 위한 메쉬망이 구비된 시프터의 결합을 신속 용이하게 하면서도 안정된 기밀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장품의 품질을 오래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다양한 구성요소으로 인해 일정한 크기가 정해져 제작되기 때문에 상의 또는 하의에 구비된 주머니에 넣고 다닐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도구를 교체하지 않고 오래 쓰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이 잘 도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피부트러블을 일으켜 피부 건강을 저해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6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필름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함침부재에 분말타입 또는 액체타입 등의 화장품 내용물을 저장함으로써, 휴대 및 화장시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제1 함침부재를 통해 화장하여 위생적인 화장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 후에는 바로 버릴 수 있는 패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내용물저장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기능성 및 편의성을 증가되는 패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1 필름지에 결합홈이 커버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 및 탈거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화장 후 제1 함침부재에 화장품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 커버부재를 제1 필름지에 밀폐시켜 추후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내용물을 절약할 수 있는 패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부재에 또 다른 이종의 내용물이 제2 함침부재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내용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패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는,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와,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안착부(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0) 둘레에 “凹”형상의 결합홈(120)이 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와,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하부에는 상기 제1 함침부재(20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되도록 “凸”형상의 결합돌기(310)가 형성되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돌기(3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310)의 외측면 둘레에는 외측홈(311)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홈(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홈(311)에 삽입되도록 고정가이드돌기(1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0) 둘레에 자력을 발산하는 자성물체로 이루어진 제1 자성체(140)가 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와,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하부 둘레에는 상기 제1 자성체(140)와 반대극으로 형성되는 제2 자성체(340)를 포함하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와,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필름지(100)는, 상기 안착부(110)에 배출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내용물이동로(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지(400)는, 제2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저장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와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이동로(43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이동로(430)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에 저점도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440)의 양측에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는 개방손잡이(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필름지(400)는 상기 손가락끼움부(410), 상기 내용물저장부(420) 및 상기 가이드이동로(430)를 제외한 상기 제2 필름지(400)의 상부면이 상기 제1 필름지(10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는 상기 부착부(440)가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이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공(111)으로 배출되도록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제3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2 함침부재(32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2 함침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3 내용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트지(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미러필름(3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미러필름(330) 사이에는 상기 미러필름(330)에 상기 제1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제1 내용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트지(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중앙에는 개구공(350)이 통공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공(35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공(3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스티커부(8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필름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함침부재에 분말타입 또는 액체타입 등의 화장품 내용물을 저장함으로써, 휴대 및 화장시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제1 함침부재를 통해 화장하여 위생적인 화장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 후에는 바로 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내용물저장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기능성 및 편의성을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필름지에 결합홈이 커버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 및 탈거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화장 후 제1 함침부재에 화장품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 커버부재를 제1 필름지에 밀폐시켜 추후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내용물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에 또 다른 이종의 내용물이 제2 함침부재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내용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단면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구성 중 손가락끼움부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구성 중 내용물저장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안착부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단면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단면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4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단면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5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단면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6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의 분해된 단면의 모습을 보인 분해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는 크게 제1 필름지(100), 제1 함침부재(200), 커버부재(300), 제2 필름지(400), 제3 필름지(5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제1 필름지(100), 커버부재(300), 제2 필름지(400) 및 제3 필름지(500)는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불투수성 폴리계열 재질, 금속재질, 불투수성 수지필름 또는 시트지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1 필름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필름지(100)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께가 얇은 일종의 필름지로서,내측에는 후술할 제1 함침부재(200)가 안착되도록 안착부(110)가 형성된다.
한편,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안착부(110)의 둘레에는 상기 제1 필름지(100)와 후술할 커버부재(300)가 탈착결합이 가능하도록 후술할 커버부재(300)의 결합돌기(310)가 삽입되는 “凹”형상의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2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가이드돌기(121)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홈(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가이드돌기(121)가 후술할 외측홈(311)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돌기(310)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돌기(3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제1 필름지(10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홈(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안착부(110) 둘레에는 자력을 발산하는 자성물체로 이루어진 제1 자성체(14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제1 자성체(140)와 반대극의 제2 자성체(340)를 형성되어, 자력을 통해 상기 제1 필름지(100)와 상기 커버부재(300)가 탈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착부(110)의 중앙에는 후술할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제1 내용물이 상기 안착부(110)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출공(111) 및 상기 배출공(11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내용물이동로(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제1 내용물이 상기 배출공(111)으로 배출되도록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함침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함침부재(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내용물이 함침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다공성 재질인 스펀지, 우레탄, NBP(Nitrile 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플로킹(Flicking), 루비셀(Rubycell), 솜, 폴리부직포, 벌집모양의 나이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커버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저점도 접착제 또는 열접착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1 필름지(1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상기 제1 내용물이 외부로 누액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3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함침부재(20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되도록 “凸”형상의 결합돌기(3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300)를 상기 제1 필름지(10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제1 내용물을 사용자에 피부에 도포한 후 상기 제1 내용물이 남을 경우, 분리되었던 상기 커버부재(300)를 상기 제1 필름지(100)에 결합시켜 추후 제1 내용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310)의 외측면 둘레에는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외측홈(311)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홈(1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가이드돌기(121)가 상기 외측홈(3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돌기(310)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해 준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중앙에는 개구공(350)이 상기 커버부재(300)보다 작게 통공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공(35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공(3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스티커부(800)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제1 필름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커부(800)만 탈거하게 되면, 상기 제1 함침부재(200)의 노출부위가 상기 커버부재(300)를 탈거할 경우의 노출부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의 좁은 범위에 상기 제1 내용물를 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 필름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필름지(4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일종의 필름지로서, 손가락끼움부(410), 내용물저장부(420), 가이드이동로(430), 부착부(440) 및 개방손잡이(450)로 구성된다.
상기 손가락끼움부(410)는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면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뜯어지도록 절취선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절취선을 따라 각각의 상기 손가락끼움부(410)를 절취한 다음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사용자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끼움부(410)을 잡게되면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제1 필름지(100)을 고정시켜 화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내용물저장부(420)는 상기 제2 필름지(400)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을 사용시 상기 제1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상기 제1 내용물이 부족할 경우,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상기 제1 내용물을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를 통해 상기 제1 함침부재(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는 상기 제1 내용물 외에도 상기 제1 내용물과 성분이 다른 제2 내용물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2 내용물이 혼합된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이동로(430)는 상기 제2 필름지(400)의 상부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상기 제1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로 이동시 이동공간을 더욱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착부(440)는 상기 가이드이동로(430)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에 저점도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개방손잡이(450)에 의해 상기 부착부(440)가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를 통해 상기 배출공(111)으로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방손잡이(450)는 상기 부착부(440)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뜯어지도록 절취선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절취선을 따라 각각의 상기 개방손잡이(450)를 절취한 다음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에 부착된 상기 부착부(440)가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를 통해 상기 배출공(111)으로 토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2 필름지(400)는 상기 손가락끼움부(410), 상기 내용물저장부(420) 및 상기 가이드이동로(430)를 제외한 상기 제2 필름지(400)의 상부면이 상기 제1 필름지(10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3 필름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필름지(5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두께가 얇은 일종의 필름지로서, 상기 제3 필름지(500)는 상기 제2 필름지(400)의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접착되어 일측에 손가락삽입부(6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의 구성으로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제3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2 함침부재(3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2 함침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3 내용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트지(7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차단시트지(700)는 상기 커버부재(300)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3 내용물이 외부로 각각 누액되지 않도록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불투수성 폴리계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의 구성으로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거울기능을 가지는 미러필름(33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미러필름(330) 사이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미러필름(330)에 상기 제1 내용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트지(7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차단시트지(700)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불투수성 폴리계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제1 필름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을 사용하기 위해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300)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300)를 상기 제1 필름지(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된 결합돌기(110)가 빠져나와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제1 필름지(10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는 손가락삽입부(60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을 사용할 수 있고, 도 4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손가락끼움부(410)을 절취선을 따라 각각의 상기 손가락끼움부(410)를 절취한 다음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사용자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끼움부(410)을 잡고 사용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화장품(1)의 구성 중 제2 내용물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 상기 제2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상태에서 도 5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개방손잡이(450)를 절취선에 따라 절취한 다음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상기 개방손잡이(45)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 5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부착부(440)가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로부터 떨어져 분리된다.
이후, 도 5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3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1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를 따라 상기 배출공(111)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제1 내용물은 상기 제1 함침부재(200)에 흡수되어 상기 제1 함침부재(200)에 상기 제1 내용물을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패드형 화장품
100: 제1 필름지 110: 안착부
111: 배출공 112: 내용물이동로
120: 결합홈 121: 고정가이드돌기
130: 누름부 140: 제1 자성체
200: 제1 함침부재
300: 커버부재 310: 결합돌기
311: 외측홈 320: 제2 함침부재
330: 미러필름 340: 제2 자성체
350: 개구공
400: 제2 필름지 410: 손가락끼움부
420: 내용물저장부 430: 가이드이동로
440: 부착부 450: 개방손잡이
500: 제3 필름지
600: 손가락삽입부
700: 차단시트지
800: 스티커부

Claims (10)

  1.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안착부(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300);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2.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0) 둘레에 “凹”형상의 결합홈(120)이 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하부에는 상기 제1 함침부재(20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되도록 “凸”형상의 결합돌기(310)가 형성되는 커버부재(300);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돌기(3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310)의 외측면 둘레에는 외측홈(311)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홈(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홈(311)에 삽입되도록 고정가이드돌기(1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4. 내측에 안착부(110)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0) 둘레에 자력을 발산하는 자성물체로 이루어진 제1 자성체(140)가 형성되는 제1 필름지(100);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되, 제1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1 함침부재(200);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하부 둘레에는 상기 제1 자성체(140)와 반대극으로 형성되는 제2 자성체(340)를 포함하는 커버부재(300);
    상기 제1 필름지(100)의 하부에 합지되되,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도록 손가락끼움부(410)가 형성되는 제2 필름지(400);
    상기 제2 필름지(400)의 하부에 합지되는 제3 필름지(500);
    상기 제2 필름지(400) 및 상기 제3 필름지(500) 사이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5.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지(100)는,
    상기 안착부(110)에 배출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내용물이동로(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지(400)는,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저장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와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이동로(43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이동로(430)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내용물이동로(112)에 저점도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440)의 양측에 외력에 의해 일부가 뜯어지는 개방손잡이(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지(400)는 상기 손가락끼움부(410), 상기 내용물저장부(420) 및 상기 가이드이동로(430)를 제외한 상기 제2 필름지(400)의 상부면이 상기 제1 필름지(100)에 고정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지(100)의 상부에는 상기 부착부(440)가 상기 내용물이동로(11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저장부(4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이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공(111)으로 배출되도록 누름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제3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는 제2 함침부재(32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제2 함침부재(320) 사이에는 상기 제1 내용물과 상기 제3 내용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트지(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미러필름(3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10)가 결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함침부재(200)와 상기 미러필름(330) 사이에는 상기 미러필름(330)에 상기 제1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제1 내용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시트지(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10.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0)의 중앙에는 개구공(350)이 통공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공(35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공(3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스티커부(8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화장품(1).











KR1020160110239A 2016-08-29 2016-08-29 패드형 화장품 KR10190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39A KR101900867B1 (ko) 2016-08-29 2016-08-29 패드형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39A KR101900867B1 (ko) 2016-08-29 2016-08-29 패드형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00A KR20180024300A (ko) 2018-03-08
KR101900867B1 true KR101900867B1 (ko) 2018-09-20

Family

ID=6172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39A KR101900867B1 (ko) 2016-08-29 2016-08-29 패드형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8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05Y1 (ko) 2008-06-23 2009-02-10 주식회사 코스웰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KR101210942B1 (ko) 2012-08-23 2012-12-20 이해정 공기배출장치가 구비된 물티슈케이스용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05Y1 (ko) 2008-06-23 2009-02-10 주식회사 코스웰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KR101210942B1 (ko) 2012-08-23 2012-12-20 이해정 공기배출장치가 구비된 물티슈케이스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00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20170127799A1 (en) Compact case having airtight structure refillable with capsule cosmetic
KR200474794Y1 (ko) 내용물 리필이 용이한 콤팩트 용기
WO2009123380A1 (en) Cap for cosmetic container and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2000245529A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200322309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2019507620A (ja) 液状製品、特にクリーム等の化粧用液状製品の圧縮可能なディスペンサ
JP3142399U (ja) 化粧料容器
KR101794511B1 (ko) 하부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900867B1 (ko) 패드형 화장품
JP2008055153A (ja) 交替可能なタッチ部付き化粧品容器
KR20160085060A (ko)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29071B1 (ko) 화장료 배출펌프가 형성되고 손잡이겸용뚜껑이 구비된 퍼프
JP2012200281A (ja) 気密コンパクト
KR101849549B1 (ko)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200477176Y1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170119667A (ko) 이중 화장품 케이스
JP4184048B2 (ja) 塗布栓
KR20200127571A (ko)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
JP2011072711A (ja) 粉状化粧料容器
KR200370149Y1 (ko) 화장용 분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