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107A -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 Google Patents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107A
KR20190081107A KR1020170183425A KR20170183425A KR20190081107A KR 20190081107 A KR20190081107 A KR 20190081107A KR 1020170183425 A KR1020170183425 A KR 1020170183425A KR 20170183425 A KR20170183425 A KR 20170183425A KR 20190081107 A KR20190081107 A KR 20190081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tension
boom frame
p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948B1 (ko
Inventor
정연준
김완수
이바울
장정훈
김두한
김연수
이리중
정희종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2Driving mechanisms, with or without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무와 같이 중량이 크고 줄기가 늘어져 있는 근채작물의 수확이 용이하고 인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Radish Harvester with Improoved Guide Part}
본 발명은 무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무와 같이 중량이 크고 줄기가 늘어져 있는 근채작물의 수확이 용이하고 인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채작물은 잎이나 줄기 및 과실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작물과는 달리 뿌리를 대상으로 하는 작물로서, 당근이나 무우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근채작물은 굴취를 통해 수확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농업용 작업기로는 수확이 어려워 굴취날이 구비된 전용 작업기를 이용하여 수확하고 있다. 하지만, 굴취날을 이용하여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굴취날에 의해 수확대상작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맞물려 이동하며 텐션이 변화되는 한 쌍의 인발벨트를 이용하여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을 잡은 상태로 뽑아 올리는 방식의 작업기로서 인발식 수확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무게가 가벼운 당근 등의 수확에는 용이하지만 무와 같이 중량이 무거운 근채작물의 수확에는 적합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근채작물 중 하나인 당근을 수확하기 위하여 인발식 당근 수확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무와 당근은 크기와 길이 및 무게가 상이하여 기존의 인발식 당근 수확기를 이용하여 무를 수확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발식 수확기를 이용하여 무를 수확할 경우, 무의 줄기를 인발벨트에 물림으로써 인발작업을 하게 되는데, 무의 줄기가 위로 곧게 모아진 것도 있지만 옆으로 쓰러진 것도 있는 등 무의 줄기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므로, 무의 줄기 상태에 따라 인발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0258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043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02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02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붐대의 선단부에 인발 가이드를 설치하여 바닥에 쓰러져 있는 무의 줄기를 모아주도록 함으로써 줄기 상태에 관계없이 무의 인발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는, 인발몸체가 농업용 작업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무 수확기로서, 상기 인발몸체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붐대 및 제2붐대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결합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올리는 한 쌍의 인발벨트;를 포함하며,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는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서 인발벨트 사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인발가이드가 각각 설치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에는 일측에 구비된 유압 구동부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 연결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인발벨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텐션롤러는 텐션 지지대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링크와, 일측 단부가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발가이드는 저면이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확작업시 바닥면에 밀착되며, 선단부에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는 누워있거나 퍼져있는 무 줄기를 붐대의 선단에 구비된 인발 가이드가 모아서 세워주게 되므로 작업 차량의 전진에 따라 무 줄기가 한 쌍의 인발벨트 사이에 확실히 물리게 되어 인발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발벨트가 아이들 롤러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텐션 롤러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맞물리게 되므로 무 줄기를 안정적으로 잡아 효과적으로 인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확작업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인발가이드가 지면에 밀착되어 무 줄기를 모아주고 경사지게 형성된 인발가이드의 형상 특성으로 인해 무 줄기가 세워지게 되므로 무 줄기가 모아져 세워진 상태로 인발벨트 사이로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지지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발가이드 주변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발가이드 주변부의 평면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는, 인발몸체(10)가 농업용 작업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무 수확기로서, 상기 인발몸체(1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3)와; 상기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14)와; 상기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19)와; 상기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9)에 결합되고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올리는 한 쌍의 인발벨트(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선단부에는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서 인발벨트(15) 사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인발가이드(2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후단에는 일측에 구비된 유압 구동부(30)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풀리(14)에 전달하는 구동 연결부(31)가 연결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인발가이드(20)에 의해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이 인발벨트(50) 사이로 모아지게 되고, 한 쌍의 인발벨트(50)가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을 개재한 상태로 인발몸체(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근채작물이 뽑히게 된다.
상기 인발벨트(15)는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9)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14)에 의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인발몸체(10)의 후방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인발벨트(15)가 충분한 텐션을 유지하여야만 근채작물을 뽑아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에 각각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6)와 텐션 롤러(17)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6)가 설치되어 인발벨트(15)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17)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15)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텐션롤러(17)는 텐션 지지대(18)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15)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18)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1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18b)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링크(18a)와, 일측 단부가 회동 링크(18a)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링크(18a)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18d)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18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발가이드(20)는 저면이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확작업시 바닥면에 밀착되며, 선단부에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에 흩어져 있는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이 상기 인발가이드(20)의 경사면에 의해 세워지면서 모아지고, 작업차량이 전진함에 따라 그 후방에 위치한 인발벨트(15) 사이로 근채작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를 이용하여 무를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차량에 인발몸체(10)를 연결하고, 인발몸체(10)의 선단부를 하강시켜 인발가이드(20)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어, 유압 구동부(30)를 작동시키면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9) 사이에서 인발벨트(15)가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차량을 전진시키면, 인발몸체(10)의 선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인발가이드(20)에 의해 무의 줄기가 인발가이드(20) 사이에서 세워지면서 모인 후, 맞물려 회전되는 인발벨트(15) 사이로 공급된다.
한 쌍의 인발벨트(15) 사이로 공급된 근채작물의 줄기부분은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중인 한 쌍의 인발벨트(1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1붐대(11)와 제2붐대(12)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인발벨트(15)의 상향 이동에 따라 근채작물이 뽑히게 되고, 뽑힌 근채작물은 인발몸체(1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인발몸체(10)의 후방에서 두 인발벨트(15)가 멀어지면 근채작물이 하강하여 적재공간(도시 생략)에 적재되어 수확이 완료된다 이때, 한 쌍의 인발벨트(15)는 제1붐대(11)와 제2붐대(12) 사이에서 텐션롤러(18)에 의해 부여된 텐션을 이용하여 근채작물의 줄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인발 몸체 11 : 제1붐대
12 : 제2붐대 13 : 연결부재
14 : 구동풀리 15 : 인발벨트
16 : 아이들 롤러 17 : 텐션롤러
18 : 텐션 지지부 18a : 회동 링크
18b : 지지 브래킷 18c : 텐션 와이어
18d : 텐션 스프링 19 : 종동풀리
20 : 인발가이드 30 : 유압 구동부
31 : 구동 연결부

Claims (4)

  1. 인발몸체가 농업용 작업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무 수확기로서,
    상기 인발몸체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붐대 및 제2붐대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결합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올리는 한 쌍의 인발벨트;를 포함하며,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부에는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서 인발벨트 사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인발가이드가 각각 설치되고,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에는 일측에 구비된 유압 구동부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 연결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인발벨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텐션롤러는 텐션 지지대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링크와, 일측 단부가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링크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발가이드는 저면이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확작업시 바닥면에 밀착되며,
    선단부에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KR1020170183425A 2017-12-29 2017-12-29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KR10202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425A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7-12-29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425A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7-12-29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107A true KR20190081107A (ko) 2019-07-09
KR102027948B1 KR102027948B1 (ko) 2019-10-02

Family

ID=6726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425A KR102027948B1 (ko) 2017-12-29 2017-12-29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70A (ko) * 2019-12-19 2021-06-29 강명수 밭 작물 수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044B1 (ko) 2021-08-04 2023-07-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주식 무 수확기의 인발 성능이 향상된 전처리부
KR102418741B1 (ko) 2021-12-16 2022-07-1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
KR102439042B1 (ko) 2021-12-22 2022-09-0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KR102439036B1 (ko) 2021-12-22 2022-09-01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KR102489318B1 (ko) 2022-07-04 2023-01-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KR102489321B1 (ko) 2022-07-04 2023-01-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무 수확기의 인발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025A (ja) * 1991-11-07 1993-05-21 Matsuyama Plow Mfg Co Ltd 根菜類搬送装置
KR19990002585A (ko) 1997-06-20 1999-01-15 김동태 무, 당근 수확장치
JP2000041453A (ja) * 1998-07-29 2000-02-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根菜収穫機
KR200170432Y1 (ko) 1999-09-03 2000-02-15 송병우 당근수확기
JP2001346424A (ja) * 2000-06-06 2001-12-18 Iseki & Co Ltd 根菜類収穫機の振動掘起装置
JP3450187B2 (ja) * 1998-06-09 2003-09-22 株式会社クボタ 作物の収穫機
KR20040040214A (ko) 2002-11-06 2004-05-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인발식 당근 수확기
KR20040040213A (ko) 2002-11-06 2004-05-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무 수확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025A (ja) * 1991-11-07 1993-05-21 Matsuyama Plow Mfg Co Ltd 根菜類搬送装置
KR19990002585A (ko) 1997-06-20 1999-01-15 김동태 무, 당근 수확장치
JP3450187B2 (ja) * 1998-06-09 2003-09-22 株式会社クボタ 作物の収穫機
JP2000041453A (ja) * 1998-07-29 2000-02-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根菜収穫機
KR200170432Y1 (ko) 1999-09-03 2000-02-15 송병우 당근수확기
JP2001346424A (ja) * 2000-06-06 2001-12-18 Iseki & Co Ltd 根菜類収穫機の振動掘起装置
KR20040040214A (ko) 2002-11-06 2004-05-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인발식 당근 수확기
KR20040040213A (ko) 2002-11-06 2004-05-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무 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670A (ko) * 2019-12-19 2021-06-29 강명수 밭 작물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48B1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1107A (ko)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JP4469413B1 (ja) スイートコーン収穫機
JP6233098B2 (ja) 農作物収穫機
WO2013163693A1 (en) Improvements to selective tea plucking
CN109328708B (zh) 一种手扶式嫁接桑收获机
US2313670A (en) Pickup attachment for harvesting implements
JP2018164411A (ja) 作物引抜機
JP5565940B2 (ja) 地下茎作物の収穫機
JP3140952U (ja) 地下茎作物の収穫機
JP6688028B2 (ja) 地下茎作物収穫機の茎葉引起し装置
JP2009125022A (ja) 作物収穫機
KR102489318B1 (ko) 무 수확기의 리프팅 장치
RU143876U1 (ru) Машина для теребления льна
KR102555044B1 (ko) 자주식 무 수확기의 인발 성능이 향상된 전처리부
JP6927175B2 (ja) 作物引抜機
JP4377503B2 (ja) 根菜類の収穫方法と収穫機
JP6209819B2 (ja) 農作物収穫機
JP3863899B2 (ja) 根菜収穫機
CA2631888A1 (en) Guide and agricultural machine incorporating same
JP3863897B2 (ja) 根菜収穫機
JP6131782B2 (ja) 農作物収穫機
US3418791A (en) Roller compressing apparatus for mechanical pickers
RU2296450C1 (ru) Подборщик плодов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JP2017148023A (ja) 作物引抜機
JP2005065621A (ja) 茎葉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