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670A - 밭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밭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670A
KR20210078670A KR1020190170337A KR20190170337A KR20210078670A KR 20210078670 A KR20210078670 A KR 20210078670A KR 1020190170337 A KR1020190170337 A KR 1020190170337A KR 20190170337 A KR20190170337 A KR 20190170337A KR 20210078670 A KR20210078670 A KR 2021007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crops
pressing
rotating body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253B1 (ko
Inventor
강명수
Original Assignee
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수 filed Critical 강명수
Priority to KR102019017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2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0Digging machines with potato-picking implements
    • A01D21/04Digging machines with potato-picking implements with rotating 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 A01D89/001Pick-up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심어진 작물을 주행 중에 한쪽으로 모으는 가이딩 모으개와, 상기 모으개에 의해 가이딩되어 모이는 복수의 밭 작물의 줄기에 측방에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당겨 흙속에 심겨진 뿌리를 밭 표면 위로 당기는 프레싱 회전체와,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일면에 접촉하여 회전체 내부로 가이딩된 작물에 압력을 전달하는 회전체 압착부와, 상기 회전체에 의해 당겨진 밭 작물을 후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일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동력부와 바퀴를 포함하는 밭 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밭 작물 수확기 {REAPING MACHINE FOR FARM PRODUCTS}
본 발명은 밭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마늘이나 양파 등 토양에 뿌리가 심겨진 작물을 회전체에 의해 잡아당겨 수확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안한다.
밭 작물은 경작이 비교적 용이하고 작물을 파종 후 수확시기가 빠르기 때문에 경작 시기별로 동일한 토양에 여러 종의 작물을 교대로 순환하여 윤작하거나 돌려짓기가 가능하다. 밭에서 경작을 통해 대부분의 채소를 얻을 수 있으며, 대량으로 작물을 얻을 수 있는 농업의 핵심 분야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밭 작물인 마늘, 양파, 대파, 등 뿌리가 토양 아래에 묻혀있고 줄기는 토양 위로 노출되어 길게 성장하는 작물로서 수확 시 줄기를 당겨 뿌리 부분을 토양으로부터 제거하여 수확하게 된다. 이러한 밭 작물들은 수확 시기에 사람이 손으로 직접 수확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고 투입 인력 대비 작업이 비능률적이어서 해당 작물의 고가 출하에도 한계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채소 중의 하나인 마늘은 수확 시기가 되면, 줄기인 마늘종이 지면 밖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알뿌리는 지중에 묻힌 상태이어서 알뿌리인 마늘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지중에 묻힌 마늘을 뽑아서 수확해야 하는데, 사람이 일일이 마늘을 뽑아서 수확하는 경우에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마늘밭에서 마늘을 수확하는 경우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오랜 작업 시간이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경운기나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의 후미에 부착하여 견인하면서 선두에 선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다수 개의 굴토날과 검불제거구 및 배출기를 구비한 견인형 마늘 수확기가 개발된 바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7350호에 따르면 마늘 수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마늘수확기가 제안되었는데, 마늘이 심어진 밭을 깊이 약 15cm 정도로 채굴할 수 있는 절단날과 마늘이송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20-2015-0000232호에 따르면, 동력 주행이 가능한 농기계의 후미에 연결되어 농기계에 의한 견인이 가능하도록 본체 전방에 형성되는 연결부와; 선두의 농기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입력받은 입력축과, 입력축의 동력을 다수의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내부에 기어장치를 설치한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돌출되어 하단부에 굴토날을 설치한 회전축과; 본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5)의 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지지축을 설치하여 그 지지축(6) 하단부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미륜으로 구성되는 견인형 마늘 수확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늘수확기는 경운기 또는 트랙터 등 동력 견인체에 고정되어 있어 견인체의 한쪽 바퀴가 진흙에 빠진 상태로 주행하거나 고랑이나 이랑으로 운행하면 마늘수확기의 채굴부가 함께 좌우로 기울어져 채굴 삽날의 채굴 깊이 차이가 발생하여 올바른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아 마늘에 상처가 생겨 수확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늘수확기는 주행 중에 마늘이 심어진 밭을 채굴하는 형식으로 마늘을 수확하게 되는데, 마늘밭에 수분을 유지하고 병충해 및 잡초를 막기 위해 멀칭된 필름이 덮여져 있는 경우 마늘수확기에 멀칭필름이 감기고 꼬이게 되어 수확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마늘 등의 밭 작물의 안전하고 빠른 수확을 위해서는 해당 작물의 경작 상태나 경작지 토양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작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수확 작업이 능률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밭 작물 수확 시 해당 작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굴 방식이 아닌 인력에 의해 작물을 수확하는 방식과 동일한 동작으로 작물을 수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의 경작 상태에 따라 멀칭 필름 등 경작 조건이 상이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수확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심어진 작물을 주행 중에 한쪽으로 모으는 가이딩 모으개와, 상기 모으개에 의해 가이딩되어 모이는 복수의 밭 작물의 줄기에 측방에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당겨 흙속에 심겨진 뿌리를 밭 표면 위로 당기는 프레싱 회전체와,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일면에 접촉하여 회전체 내부로 가이딩된 작물에 압력을 전달하는 회전체 압착부와, 상기 회전체에 의해 당겨진 밭 작물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일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동력부와 바퀴를 포함하는 밭 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회전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대향된 한 쌍의 가요성 원판과, 원판 중심을 관통하여 두 원판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회전력을 가하는 제2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마주보는 두 원판의 내면에는 밭 작물의 줄기에 마찰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압력이 가해질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밭 작물 수확기는 또한,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반지름은 수확되는 밭 작물의 줄기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모으개와 프레싱 회전체는 수확기 전방으로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력에 의해 마늘이나 양파를 수확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밭 작물을 수확하게 되므로, 수확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확기의 이동 간에 밭 작물의 빠른 수확이 가능하고, 밭에 여러 열로 심어져 성장한 작물을 한 번에 수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밭 작물 수확기는 밭 표면에 비닐 등의 필름이 멀칭된 상태에서도 작물 수확 중에 필름이 수확기에 걸리거나 간섭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 수확 효율이 높고 수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밭 작물 수확기를 모식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a 및 2b는 밭 작물 수확기의 프레싱 회전체의 구조 및 동작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가이딩 모으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복수의 가이딩 모으개와 프레싱 회전체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a 및 5b는 프레싱 회전체의 압착부의 일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회전체 압착부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프레싱 회전체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8a 내지 8c는 밭 작물의 수확 과정을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밭 작물 수확기로서 종래의 토양 채굴 방식이 아닌 '당겨 뽑는' 방식의 새로운 밭작물 수확기를 제안한다.
마늘, 양파, 대파, 등 뿌리가 토양 아래에 묻혀있고 줄기는 토양 위로 노출되어 길게 성장하는 작물은 수확 시 줄기를 손으로 당겨 뿌리 부분을 토양으로부터 제거하여 수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확기는 이러한 인력에 의한 작물 수확 방식을 모방하여 동일한 동작이 가능한 기계적 구성을 포함하며, 수확 작업에서 작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확이 진행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채굴 방식에 의해 토양을 파내는 과정에서 밭에 설치한 멀칭 비닐 등이 채굴기나 장치 동력부 등에 엉겨붙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작물만을 간단히 뽑아내는 방식으로 수확이 진행되기 때문에 비닐 등이 멀칭된 밭에서도 효과적으로 수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밭 작물 수확기 전체 모습을 모식적으로 보인 것이다. 수확기(100)는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싱 회전체(200)와, 본체 앞부분 상면에 장착되는 컨베이어부(130) 및 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부(제1동력부, 120) 및 본체 주행용 바퀴(122)를 포함한다. 본체 상면에는 운전자의 착석을 위한 운전석(112)이 마련되어 있고, 수확기의 주행과 프레싱 회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동력부는 엔진이나 구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터가 구비되는 경우 야외에서 수확기의 주행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터리를 본체에 내장할 수 있다.
프레싱 회전체(200)는 복수의 밭 작물의 줄기에 측방에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당겨 흙속에 심겨진 뿌리를 밭 표면 위로 당기는 역할을 하며, 수확기 본체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회전체가 위로 올려진 상태에 있다가 밭에 심겨진 작물의 수확을 위해서 회전체를 토양 지면에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내릴 수 있다(200a 참조). 프레싱 회전체는 지지 역할을 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부(230)에 의해 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체 후방이 본체의 컨베이어부가 가깝도록 배치되어 회전체로부터 수확되는 작물이 컨베이어부를 통해 수확기의 후방이나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동력부와 바퀴는 수확기 본체를 일방향으로 주행하도록 하는 한편, 프레싱 회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앞에 위치하는 작물들이 회전체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싱 회전체는 본체에 결합되어 고정된 채로 회전하면서 작물의 줄기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회전력에 의해 작물을 토양으로부터 당겨 뽑아내는 역할을 한다. 프레싱 회전체의 전방으로는 밭 작물을 회전체 내부로 안내하는 모으개가 배치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2a 및 2b는 밭 작물 수확기의 프레싱 회전체의 구조 및 동작을 보인 평면도이다. 프레싱 회전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대향된 한 쌍의 가요성(可撓性) 원판(201, 202)을 포함하며, 회전축(220)이 원판 중심을 관통하여 두 원판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전술한 제2동력부(230)가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제2동력부는 회전축에만 동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동력장치이거나, 제1동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일 수 있다. 제2동력부는 제1동력부와 구분되는 별개의 엔진 또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프레싱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일 경우 다수의 기어와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싱 회전체의 마주보는 두 원판의 내면에는 밭 작물의 줄기에 마찰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압력이 가해질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체(210)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체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폼이나 고무 재질의 디스크형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싱 회전체는 일면에 접촉하여 회전체 내부로 가이딩된 작물에 압력을 전달하는 회전체 압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는 두 개의 원판 외면에 각각 부착되며 원판의 일부분을 원판의 대향된 방향으로 각각 압력을 가함으로써(250' 참조) 원판의 소정 영역이 도 2b에서와 같이 만곡되도록 하며, 그 결과 두 원판 사이의 최초 간격(도 2a의 W1)이 줄어들어 회전체에 인입된 작물의 줄기에 압력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도 2b의 W2)이 유지된다. 회전체의 두 원판 사이의 간격 변화는 원판 전체 면적이 아닌 소정 영역에 국한되며, 만곡된 영역은 원판의 가요성의 의하여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밭 작물 수확기는 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심어진 마늘이나 양파 등의 작물을 주행 중에 한쪽으로 모으는 가이딩 모으개를 포함한다. 도 3은 가이딩 모으개를 보인 평면도이다. 가이딩 모으개(150)는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판상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고, 프레싱 회전체 전방에 인접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배치되며, 모으개 앞 부분은 넓게 개방형으로 벌려진 상태이고 후방은 좁게 닫혀지는 상태로 형성된다. 밭 작물 수확기가 동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밭에 심겨진 작물들이 순차적으로 가이딩 모으개를 통해 프레싱 회전체로 안전하게 진입하게 된다. 프레싱 회전체는 모으개에 의해 가이딩되어 모이는 복수의 밭 작물의 줄기에 측방에서 압력을 가하게 된다.
밭에 심겨진 많은 작물은 파종 당시 대부분 열을 맞추어 심겨지며, 수확 시기에도 최초 상태를 유지하여 복수의 열로 배치된다. 이러한 작물의 경작 상태를 감안하여 가이딩 모으개 및 프레싱 회전체를 복수로 이격되어 배치하는 것이 밭 작물 수확의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4는 복수의 가이딩 모으개와 프레싱 회전체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수확기가 전진하면서 여러 열로 심어진 작물들을 동시에 가이딩 모으개로 안내하고 프레싱 회전체로 유입된 작물들에 압박을 가하여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가이딩 모으개(150)는 하나의 고정부(152)로 연결하여 수확기 본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레싱 회전체(200)도 하나의 회전축(220)에 연결된 채로 수확기 본체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싱 회전체의 동작에 있어서, 가이딩 모으개와 더불어 회전체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여 회전체에 유입되는 작물 줄기를 당겨 뽑는 기능을 수행하는 압착부가 매우 중요하다 도 5a 및 5b는 프레싱 회전체의 압착부의 일례를 보인 측면도이다.
압착부(250)는 판상의 구조물로서 일부분이 압착부 지지체(254)에 고정된 채로 회전체의 원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압착부 내면에는 회전체의 원판에 직접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베어링(252) 등의 압박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은 예를 들어 면베어링 내지 평베이링 등을 사용하여 일면은 압착부에 고정되고 다른 면은 원판에 접촉한 채로 압박을 가하면서도 원판의 회전 동작에 대해 접촉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a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부채꼴 형상의 압착부(250) 내면에 총 5개의 베어링(252)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의 압박에 의해 원판에 대략 압착부보다 큰 면적의 '압박 영역'(PA1)이 발생하며, 이들 압박 영역은 전술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판의 만곡 형상을 만들어낸다.
프레싱 회전체를 구성하는 원판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압착부 베어링의 압박에 의해서 부분적인 휨 내지 일부 면의 만곡이 발생하고, 회전이 진행되면서 압착부를 벗어나는 부분은 원래의 평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압착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두 원판 사이의 거리가 좁아졌다가 다시 원래의 간격으로 회복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 경우, 압착부의 베어링의 배치 형태 및 수에 따라 압착부에 의해 형성되는 압박 영역의 '압박력', 즉 회전판에 유입되는 작물 줄기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지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동일한 압박 영역(PA1) 내에서도 베이링이 많이 배치된 f2 영역에서 압박력이 최대가 되며, 앞 부분(f1)과 뒷 부분(f3)은 상대적으로 작은 압박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 조절을 통해 회전체로 유입되는 작물의 줄기가 조여졌다가 풀리는 과정이 발생되고,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작물 줄기가 위로 당겨지며, 이후에는 회전체로부터 풀려 컨베이어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체의 회전 동작에도 작물의 줄기가 안정적으로 회전체에 유입되고 줄기 및 뿌리가 위로 당겨지는 수확 동작이 발생하기 위해서, 프레싱 회전체의 반지름(r)은 수확되는 밭 작물의 줄기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회전체 압착부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로서, 압착부(250) 내에 베어링(252)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압박 영역(PA2)은 전술한 도 5a의 실시예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도 회전체의 원판에 압박을 가하게 되면 회전체의 원판의 가요성으로 인하여 실제로 발생하는 압박 영역은 베어링이 위치한 지점 뿐만 아니라 인근 부분까지 압력이 전달되고, 결과적으로 압박 영역이 좀더 넓게 확장된다. 압착부의 형태, 압박 수단의 종류 및 배치 위치와 개수는 수확되는 작물의 성질이나 성장 크기, 파종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프레싱 회전체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밭 작물 수확기는 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추진력으로 차륜이 동작하면서 수확기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M)과 더불어 프레싱 회전체의 회전 동작(C)이 병행된다.
밭에 심겨진 작물, 예를 들어 마늘(300)의 경우 뿌리에 해당하는 마늘은 토양(G) 안에 심겨져 있고 줄기가 토양 위로 노출되어 수직으로 길게 성장해있다. 전술한 가이딩 모으개는 수확기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밭에 심겨진 마늘 줄기가 프레싱 회전체로 전달되도록 안내한다. 프레싱 회전체는 모으개에 의해 가이딩되어 모이는 마늘 줄기에 측방에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당겨 흙속에 심겨진 뿌리를 밭 표면 위로 당긴다. 이 과정을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작물의 수확 메카니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가이딩 모으개와 수확기 본체 등은 생략하였다. 프레싱 회전체가 이동과 함께 회전하면서 밭에 심겨진 마을 줄기가 회전체의 두 원판 사이로 안내된다. 최초 진입 이후 회전체 측면의 압착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회전체 원판의 특정 부위가 만곡된다. 이 만곡된 부위에 마늘 줄기가 진입하면서 줄기와 원판의 탄성체가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도 8a의 f1 부분). 이후 회전체의 회전이 계속 진행되고 마늘 줄기가 좀더 심한 압박 부분(도 8b의 f2 부분)으로 유입되면서 줄기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그 결과 줄기 하단의 마늘 뿌리 부분에도 강한 인장력이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마늘 줄기가 원판에 압박된 채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위로 당겨지면서 토양에 숨겨져 있던 마늘 뿌리가 토양 위로 노출되어 상승하게 된다(도 8c). 이후, 마늘은 뿌리가 토양에서 제거된 상태로 수확기 후방에 전달되며, 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수확기의 후방이나 측방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밭에 심겨진 마늘 등의 작물을 순차적으로 수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확기는 기존에 인력에 의해 마늘이나 양파를 수확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밭 작물을 수확하게 되므로, 종래의 채굴 방식의 수확기가 흙 속에 채굴기를 삽입하여 수확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소상을 가하는 것과 달리, 빠른 수확 작업 중에도 작물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밭 표면에 비닐 등의 필름이 멀칭된 상태에서도 흙 속을 채굴하지 않고 작물을 위로 당겨 뽑기 때문에 작물 수확 중에 필름이 수확기에 걸리거나 간섭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수확기는 마늘이나 양파 등의 수확은 물론, 유사한 밭 작물의 수확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밭 작물 수확기 110:본체
112:운전석 120:제1동력부
122:바퀴 130:컨베이어부
150:가이딩 모으개 152:고정부
200:프레싱 회전체 201,202:원판
210:탄성체 220:회전축
230:제2동력부 250:압착부
252:베어링 254: 압착부 지지체

Claims (4)

  1. 밭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심어진 작물을 주행 중에 한쪽으로 모으는 가이딩 모으개와,
    상기 모으개에 의해 가이딩되어 모이는 복수의 밭 작물의 줄기에 측방에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방으로 당겨 흙속에 심겨진 뿌리를 밭 표면 위로 당기는 프레싱 회전체와,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일면에 접촉하여 회전체 내부로 가이딩된 작물에 압력을 전달하는 회전체 압착부와,
    상기 프레싱 회전체에 의해 당겨진 밭 작물을 후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 및
    일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동력부와 바퀴를 포함하는
    밭 작물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회전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대향된 한 쌍의 가요성 원판과, 원판 중심을 관통하여 두 원판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회전력을 가하는 제2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 작물 수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마주보는 두 원판의 내면에는 밭 작물의 줄기에 마찰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압력이 가해질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 작물 수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회전체의 반지름은 수확되는 밭 작물의 줄기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 작물 수확기.
KR1020190170337A 2019-12-19 2019-12-19 밭 작물 수확기 KR10237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337A KR102377253B1 (ko) 2019-12-19 2019-12-19 밭 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337A KR102377253B1 (ko) 2019-12-19 2019-12-19 밭 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70A true KR20210078670A (ko) 2021-06-29
KR102377253B1 KR102377253B1 (ko) 2022-03-21

Family

ID=7662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337A KR102377253B1 (ko) 2019-12-19 2019-12-19 밭 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179A1 (ko) 2021-06-17 2022-12-22 대홍테크뉴(주) 선형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58B1 (ko) * 2002-11-06 2005-01-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인발식 당근 수확기
KR20060071427A (ko) * 2003-10-03 2006-06-26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근채 작물 수확기
KR20160069072A (ko) * 2014-12-05 2016-06-1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KR20190081107A (ko) * 2017-12-29 2019-07-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58B1 (ko) * 2002-11-06 2005-01-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인발식 당근 수확기
KR20060071427A (ko) * 2003-10-03 2006-06-26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근채 작물 수확기
KR20160069072A (ko) * 2014-12-05 2016-06-16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예취장치
KR20190081107A (ko) * 2017-12-29 2019-07-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179A1 (ko) 2021-06-17 2022-12-22 대홍테크뉴(주) 선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253B1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8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ling and chopping plant stalks
CN202603209U (zh) 一种牵引式双行马铃薯收获机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US4051902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US3033135A (en) Agricultural implement
US4267783A (en) Seed bed pr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258230A (zh) 一种秸秆粉碎双轴反转灭茬还田机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CN108738631A (zh) 花生挖掘与残膜回收联合作业机
US4397136A (en) Agricultural slasher
KR102377253B1 (ko) 밭 작물 수확기
US4117889A (en) Apparatus for guiding row crop processing implements
WO2019231340A1 (en) An agricultural implement
US5303662A (en) Minimum tillage tool bar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0809832B1 (ko) 땅속작물 수확기
US20140196430A1 (en) Implement for extraction and decimation of plant stalks
CN217957659U (zh) 一种垄作玉米机械化中耕除草装置
US4682658A (en) Tilling apparatus for preparing a ridge and furrowed field
CN109937675B (zh) 一种改进的土豆拔秧除草机
CN209330543U (zh) 一种新型整地机
CN208624114U (zh) 花生挖掘与残膜回收联合作业机
WO2019145373A1 (en) Apparatus for tilling agricultural soils, particularly for preparing for sowing or transplantation, vibrating frame and toothed disk for such apparatus
CN204761992U (zh) 一种秸秆粉碎双轴反转灭茬还田机
US9451739B2 (en) Agricultural undercut implements and methods
US2712785A (en) Rotary culti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