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089A -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089A
KR20190081089A KR1020170183395A KR20170183395A KR20190081089A KR 20190081089 A KR20190081089 A KR 20190081089A KR 1020170183395 A KR1020170183395 A KR 1020170183395A KR 20170183395 A KR20170183395 A KR 20170183395A KR 20190081089 A KR20190081089 A KR 2019008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al oxide
display
meth
treatm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민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to KR102017018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089A/ko
Publication of KR2019008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5/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필름 등의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산화물 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은,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표면처리제; 카르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표면처리제; 및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이 용매에 분산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SOL DISPERSION FOR DISPLAY DEVICE COMPRISING SURFACE TREATMENTED METAL OXID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필름 등의 제조에 이용되는 금속 산화물 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류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디스플레이용 필름 등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필름 중 일 예로 휘도(輝度)향상 필름 (brightness enhancing film)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필름은 전자발광 패널, 랩탑 컴퓨터 디스플레이, 워드프로세서, 데스크탑 모니터,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및 자동차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 액정 모니터 (LCD)등의 백라이트식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휘도(輝度)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이용하면, 굴절율을 포함하는 특정한 패널 표면에서의 광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바람직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휘도 향상 필름 등을 구비할 경우, 휘도(輝度)의 개선에 의해,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해서 디스플레이를 조명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전력 소비를 저감하고, 발열의 정도가 저하되고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어, 전자제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소재에 대한 개발은 여전히 미미한 상황이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면서 고굴절율을 유지할 수 있고, 조성물 내에서 금속 산화물의 높은 분산성을 담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분산액의 조성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필요에 부응하고, 조성물 내에서 금속 산화물의 높은 분산성을 담보하면서, 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 개질 시 금속 산화물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하고 고굴절율을 유지할 수 있는 표면 처리제를 개발하고, 그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분산액의 조성 및 그 분산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은,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표면처리제; 카르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표면처리제; 및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이 용매에 분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산화물은,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는, 1 : 9 내지 9 : 1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는, 3 : 7 내지 7 : 3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인산 에스터(phosphoric acid ester), 공중합체의 인산 에스터염(Phosphoric acid ester salt of a copolymer),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인산염(Polyether phosphate), 양이온성 지방산족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및 인산염 에스터(phosphate esters)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카르본산계 화합물은, 카복실산 에스터(carboxylic acid ester), 폴리실록산공중합체를 가지는 불포화산 폴리카복실산 폴리에스터(unsaturated acidic polycarboxylic acid polyester with a polysiloxane copolymer), 불포화 폴리카복실산 폴리머와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혼합물(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 polymer and a polysiloxane copolymer) 및 폴리에테르 카복실레이트(yether carboxylat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르코니아는 1 ㎛ 이하의 입자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알콜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아세테이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톨루엔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CHN,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n-헥산,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p-메톡시 스티렌,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디페닐아크릴레이트, 바이페닐아크릴레이트, 2-바이페닐릴아크릴레이트, 2-([1,1'-바이페닐]-2-릴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3-페녹시벤질-3-(1-나프틸)아크릴레이트, 에틸(2E)-3-히드록시-2-(3-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바이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오쏘-페닐페놀에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다이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에틸렌글릴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트리에틸렌디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사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2 중량부 내지 4 중량부의 실란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실란, 비리실란, 에폭시실란, 메타크릴실란, 알킬실란, 페닐실란, 클로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클로로실란, 디클로로디페닐실란,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2-아미노에틸아미노) 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톡시비닐실란,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클로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에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페녹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메톡시실란 및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산화물은, 실리카, 티타니아, SrTiO2, MgO, Ta2O5, ZrO2-TiO2 및 SiO2-Fe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은, 굴절율이 1.6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은, 590 nm 파장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60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은, 점도가 2000 cP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코팅 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의 높은 분산성을 담보하면서, 고굴절율을 유지할 수 있는 졸 분산액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 개질 시 금속 산화물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하고 고굴절율을 유지할 수 있는 표면 처리제를 개발하고 그를 이용하여 졸 분산액을 제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졸 분산액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 개질 시 금속 산화물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한 표면처리제를 포함하면서 고굴절율 및 높은 분산성을 가지는 금속 산화물의 졸 분산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은,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표면처리제; 카르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표면처리제; 및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이 용매에 분산된 것이다.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는,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을 형성함에 있어서, 높은 굴절율, 필름을 형성하기에 적절히 낮은 정도의 점도 수준과 효과적인 광투과율을 유지하면서 금속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분산액 속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분산액은 고농도의 금속 산화물(무기 입자)를 충진하더라도 안정적인 분산성이 확보됨으로써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금속 산화물 분산액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산계 화합물과 카르본산계 화합물을 함께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산계 화합물 또는 카르본산계 화합물 중 하나 만을 표면처리제로 포함하는 경우 까지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제는,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는, 1 : 9 내지 9 : 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가 위에서 제시한 범위를 벗어나게 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다양한 화합물 간의 혼용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굴절율 및 투과율이 저하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표면처리제의 중량비가 지나치게 적을 경우, 점도가 높아져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상기 제2 표면 처리제의 중량비가 지나치게 적을 경우, 금속 산화물 입자의 단분산을 방해하여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 처리제와 상기 제2 표면 처리제의 중량비는 본 발명의 분산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물성을 결정하게 되는 요소일 수 있으며 적절한 비율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상기 제1 표면처리제와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을 기준으로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무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르코니아 외에 본 발명의 금속 산화물은 실리카, 티타니아, SrTiO2, MgO, Ta2O5, ZrO2-TiO2 및 SiO2-Fe2O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금속 산화물은 상기 분산액 내에서, 굴절율을 증가시키고 고휘도의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금속 산화물이 15 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굴절률이 낮아지고 경화성 조성물의 휘도가 저하되어 후공정에서 제조되는 경화막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25 중량부 초과 포함될 경우 금속 산화물 입자간 분산 간격이 극도로 낮아져 분산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금속 산화물 입자간 응집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처리제와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는 3 : 7 내지 7 : 3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 : 6 내지 6 : 4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인산 에스터(phosphoric acid ester), 공중합체의 인산 에스터염(Phosphoric acid ester salt of a copolymer),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인산염(Polyether phosphate), 양이온성 지방산족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및 인산염 에스터(phosphate esters)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카르본산계 화합물은, 카복실산 에스터(carboxylic acid ester), 폴리실록산공중합체를 가지는 불포화산 폴리카복실산 폴리에스터(unsaturated acidic polycarboxylic acid polyester with a polysiloxane copolymer), 불포화 폴리카복실산 폴리머와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혼합물(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 polymer and a polysiloxane copolymer) 및 폴리에테르 카복실레이트(yether carboxylat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르코니아는 크기가 1 ㎛ 이하의 입자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졸 분산액의 제조 과정에서 잘 분산되지 않고 서로 엉겨붙어 1 ㎛ 를 초과하는 지르코니아 덩어리는 1 ㎛ 실린지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1 ㎛를 초과하는 지르코니아는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제작할 경우 불균질한 필름이 형성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용매는,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용매는, 알콜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아세테이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톨루엔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CHN,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n-헥산,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p-메톡시 스티렌,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디페닐아크릴레이트, 바이페닐아크릴레이트, 2-바이페닐릴아크릴레이트, 2-([1,1'-바이페닐]-2-릴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3-페녹시벤질-3-(1-나프틸)아크릴레이트, 에틸(2E)-3-히드록시-2-(3-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바이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오쏘-페닐페놀에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다이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에틸렌글릴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트리에틸렌디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사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2 중량부 내지 4 중량부의 실란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처리제와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을 기준으로 하여, 실란계 화합물은 2 중량부 내지 4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 때, 실란계 화합물은 상기 졸 분산액 내에서 금속 산화물이 고투명성 및 고굴절율을 유지하여 용매에 분산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란계 화합물이 2 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분산액 내에서 금속 산화물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백탁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4 중량부 초과 포함될 경우, 금속 산화물 입자 표면에 실란 화합물이 과하게 결합하여 입자 간에 응집이 발생하여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실란, 비리실란, 에폭시실란, 메타크릴실란, 알킬실란, 페닐실란, 클로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클로로실란, 디클로로디페닐실란,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2-아미노에틸아미노) 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톡시비닐실란,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클로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에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페녹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메톡시실란 및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실리카, 티타니아, SrTiO2, MgO, Ta2O5, ZrO2-TiO2 및 SiO2-Fe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은, 굴절율이 1.6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굴절율을 1.65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필름, 디스플레이용 경화막, 프리즘 필름 및 경화용 코팅액 등의 제품 제조를 위해 후공정 진행시 본 발명의 분산액 조성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화합물 및 경화성 조성물과의 상용성 및 혼용성이 우수하고, 낮은 점도 및 헤이즈 특성을 제공하며, 고휘도 효율, 고투과율 및 고굴절률의 광학적 특성을 지니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은, 590 nm 파장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60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590 nm 파장 영역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며, 이 영역에서의 광투과율 값은 제품의 투명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590 nm 파장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이 60 %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졸 분산액을 이용할 경우 투명한 디스플레이용 필름의 제조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은, 점도가 2,000 cP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점도가 2,000 cP를 초과할 경우, 점성이 너무 높아져서 유기물과의 조액이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디스플레이용 필름을 제조할 경우 균질한 필름층의 형성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분산액 내에 굴절율이 높은 페닐기를 포함하는 분산제를 도입함으로써 금속 산화물의 굴절율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코팅 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로서, 인산계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AL(phosphoric acid ester, Daiichi 社) 1 중량부 및 실란 화합물 3 중량부, 금속 산화물로 지르코니아 20 중량부 및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액에 0.05mm 비드 50 중량부를 넣고 페인트쉐이커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분산하여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이 후, 1 ㎛ 실린지 필터를 이용하여 분산이 되지 않은 1 ㎛ 이상의 지르코니아 입자를 걸러줌으로써 최종적으로 AL과 실란으로 표면이 개질된 지르코니아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
실시예 2: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carboxylic acid ester, BYK 社)를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3: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1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4: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2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5: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3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6: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4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7: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5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8: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6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9: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7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0: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8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7: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AL과 카르본산계 표면처리제로서 LPC 를 9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비교예 1: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올리고머 폴리에스터인 Hypermer KD2(CRODA 社)를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2: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액시딕 그룹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DISPERBYK-140(BYK 社)를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3: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올리고머 폴리에스터인 Hypermer KD57을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4: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Hypermer KD2과 AL을 1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5: 인산계 표면처리제인 AL 대신에, DISPERBYK-140과 AL을 1 : 1 중량으로 혼합하여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산화물 분산액을 획득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대한 굴절률, 투과율 및 점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제1표면처리제 제2표면처리제 굴절률 투과율(%) 점도(cP)
실시예 1 AL 1 0 1.672 67 1,118
실시예 2 0 LPC 1 1.665 65 1,169
실시예 3 AL 1 LPC 1 1.668 66 1,376
실시예 4 AL 2 LPC 1 1.671 69 1,468
실시예 5 AL 3 LPC 1 1.675 68 1,573
실시예 6 AL 4 LPC 1 1.668 69 1,676
실시예 7 AL 5 LPC 1 1.678 70 1,433
실시예 8 AL 6 LPC 1 1.683 69 936
실시예 9 AL 7 LPC 1 1.686 71 872
실시예 10 AL 8 LPC 1 1.69 69 1,065
실시예 11 AL 9 LPC 1 1.69 68 996
비교예 1 Hypermer KD2 1 0 1.657 46 3,645
비교예 2 DISPERBYK-140 1 0 1.661 54 4,219
비교예 3 Hypermer KD57 1 0 1.639 49 3,572
비교예 4 Hypermer KD2 1 AL 1 1.678 61 2,373
비교예 5 DISPERBYK-140 1 LPC 1 1.673 60 2,184
위의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들과는 달리 본 발명의 일 측에서 의도한 1.65 이상의 굴절율과 590 nm 파장 영역에서 60 % 이상의 광투과율, 2000 cP 이하의 점도 특성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표면처리제;
    카르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표면처리제; 및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이 용매에 분산된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는, 1 : 9 내지 9 : 1인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상기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비는, 3 : 7 내지 7 : 3인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인산 에스터(phosphoric acid ester), 공중합체의 인산 에스터염(Phosphoric acid ester salt of a copolymer),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인산염(Polyether phosphate), 양이온성 지방산족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및 인산염 에스터(phosphate esters)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카르본산계 화합물은, 카복실산 에스터(carboxylic acid ester), 폴리실록산공중합체를 가지는 불포화산 폴리카복실산 폴리에스터(unsaturated acidic polycarboxylic acid polyester with a polysiloxane copolymer), 불포화 폴리카복실산 폴리머와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혼합물(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 polymer and a polysiloxane copolymer) 및 폴리에테르 카복실레이트(yether carboxylat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니아는 1 ㎛ 이하의 입자인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알콜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아세테이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톨루엔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CHN,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n-헥산,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p-메톡시 스티렌,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디페닐아크릴레이트, 바이페닐아크릴레이트, 2-바이페닐릴아크릴레이트, 2-([1,1'-바이페닐]-2-릴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3-페녹시벤질-3-(1-나프틸)아크릴레이트, 에틸(2E)-3-히드록시-2-(3-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바이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2-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4-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2-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4-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오쏘-페닐페놀에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다이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에틸렌글릴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트리에틸렌디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사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처리제 및 제2 표면처리제의 중량의 합 1 중량부 기준으로, 2 중량부 내지 4 중량부의 실란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실란, 비리실란, 에폭시실란, 메타크릴실란, 알킬실란, 페닐실란, 클로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클로로실란, 디클로로디페닐실란,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2-(2-아미노에틸아미노) 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톡시비닐실란,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클로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에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페녹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메톡시실란 및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실리카, 티타니아, SrTiO2, MgO, Ta2O5, ZrO2-TiO2 및 SiO2-Fe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은,
    굴절율이 1.65 이상인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은,
    590nm 파장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60 % 이상인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은,
    점도가 2000 cP 이하인 것인,
    표면 개질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용 졸 분산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코팅 필름.
KR1020170183395A 2017-12-29 2017-12-29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1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95A KR20190081089A (ko) 2017-12-29 2017-12-29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95A KR20190081089A (ko) 2017-12-29 2017-12-29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89A true KR20190081089A (ko) 2019-07-09

Family

ID=6726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395A KR20190081089A (ko) 2017-12-29 2017-12-29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0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155B1 (ko) * 2019-11-07 2021-02-25 주식회사 케이씨텍 광학 투명 점착제용 복합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CN114249956A (zh) * 2020-09-24 2022-03-29 凯斯科技股份有限公司 经表面改性的金属氧化物纳米粒子分散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薄膜组合物和光学薄膜
KR20220040702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KR20220053217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KR20220079035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무기입자 분산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9056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케이씨텍 투명도가 개선된 무기입자 분산액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155B1 (ko) * 2019-11-07 2021-02-25 주식회사 케이씨텍 광학 투명 점착제용 복합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CN114249956A (zh) * 2020-09-24 2022-03-29 凯斯科技股份有限公司 经表面改性的金属氧化物纳米粒子分散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薄膜组合物和光学薄膜
KR20220040702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KR20220041274A (ko) * 2020-09-24 2022-04-01 주식회사 케이씨텍 표면개질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분산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3217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KR20220079035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케이씨텍 디스플레이용 무기입자 분산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9056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케이씨텍 투명도가 개선된 무기입자 분산액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1089A (ko)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TWI609783B (zh) 包含硬塗層之光特性優良的抗反射膜
US10338276B2 (en)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cover glass,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ireflective film
KR101748025B1 (ko) 소프트 몰드를 사용하는 프리즘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7602A (ko) 무기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당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US9430071B2 (en) Resin composition, and transparent membrane for touch panel sensors and touch panel using same
WO2009131104A1 (ja) 透明膜形成用組成物及び積層透明膜
CN106886065A (zh)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JP6131284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カバーガラス、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78646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物品、偏光板、画像表示装置、モジュール、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90081088A (ko)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분산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082814B2 (ja) 無機酸化物含有透明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1555A (ja) ハードコート膜と光学機能膜及び光学レンズ並びに光学部品
KR20210085446A (ko)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졸(sol)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JP2023031304A (ja) 金属酸化物分散液、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組成物、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部材
JP2003183586A (ja) 透明ハードコート層、透明ハードコート材、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56605B1 (ko)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JP2005275214A (ja) 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画像表示装置
KR102671382B1 (ko) 중공실리카 입자 분산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광학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KR102450394B1 (ko) 디스플레이용 금속 산화물 분산액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KR102091310B1 (ko) 표면 개질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분산액
JP2009144011A (ja) 帯電防止皮膜形成用樹脂組成物、帯電防止基材、液晶装置
KR102551649B1 (ko) 투명도가 개선된 무기입자 분산액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JP2005275226A (ja) 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画像表示装置
WO2019107928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