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7928A1 -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7928A1
WO2019107928A1 PCT/KR2018/014848 KR2018014848W WO2019107928A1 WO 2019107928 A1 WO2019107928 A1 WO 2019107928A1 KR 2018014848 W KR2018014848 W KR 2018014848W WO 2019107928 A1 WO2019107928 A1 WO 20191079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panel
visibility
metal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8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광석
이한나
변진석
장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8884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02818B1/en
Priority to CN201880075977.6A priority patent/CN111386480B/zh
Priority to JP2020528443A priority patent/JP6995427B2/ja
Priority to US16/767,742 priority patent/US11525048B2/en
Publication of WO20191079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7928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1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경화성 수지층 내에 분산된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여, 특히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019/107928 1»(:1^1{2018/014848
【발명의 명칭】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분야】
관련출원(들)과의 상호인용
본출원은 2017년 11월 28알자한국특허 출원 제 10-2017-0160的 6호에 기초한우선권의 이익을주장하며,해당한국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모든 내용은본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것이다.
보다상세하게는, 특정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형태의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여, 특히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휘도와 명암비 등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과,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을포함하는디스들레이 장치에 관한것이다.
【배경기술】
강의나, 회의, 발표 등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로, 자료 화상을 재생하고, 자료 화상 위에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스크린등을가리키면서 프레젠테이션을실시하는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빔 프로젝터를 스크린이나 벽에 투영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경우가많았다.그러나,프로젝터 방식의 경우,명암비와화질이 좋지 않은단점이 있었다.최근에는,
Figure imgf000002_0001
다양한구동방식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많이 공급되어, 디스플레이 자체에 직접 화상을 표시하고 프리젠테이션을진행하는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특성이 있고, 특정 각도의 정반사 이외에 레이저 광을산란시킬 수 있는 인자가 없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되는단점이 있다. 2019/107928 1»(그1'/10{2018/014848
따라서 과도한 추가 공정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개선하는방법에 대해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있다.
【발명의 상세한설명】
【기술적 과제】
Figure imgf000003_0001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나타낼 수 있는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를제공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발명은,
기재;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일면에 구비된광경화성 수지층을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10_인,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를분산된형태로포함하며;
하기 계산식 1로표시되는상대시인성 평가값이 4이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을제공한다.
[계산식 1]
시인성 평가값 = 81 /시
상기 계산식 1에서,
시은, X 7361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 !<: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20내지 25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광을 조사하였을때정면에서측정되는휘도값이고,
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블랙 아크릴판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동일한 8 광을 조사하였을때 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다.
또한본발명은,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술한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을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를제공한다. 2019/107928 1»(:1^1{2018/014848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저하된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현저히 향상시킬수있다.
또한, 이러한효과는디스플레이 구동방식이나,패널 내부의 컬러필터, 적층 구조 등에 대한 변경 없이 디스플레아 패널 외부에 필름의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므로, 과도한 공정 변경이나 비용 증가를 필요로 하지 않아생산비용을절감할수있다. 【발명의 실시를위한형태】
본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은,
기재;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일면에 구비된광경화성 수지층을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10_인,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를분산된형태로포함하며;
하기 계산식 1로표시되는상대 시인성 평가값이 4이상이다.
[계산식 1]
시인성 평가값 = 81 /시
상기 계산식 1에서,
시은, 7361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께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20내지 25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Figure imgf000004_0001
광을 조사하였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고,
미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동일한
Figure imgf000004_0002
조사하였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을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이라는 용어는 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2019/107928 1»(:1^1{2018/014848
장착되었을 때 시청자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을 의미하며, ’상부’는 시청자 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반대로,’하면’또는’하부’는 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 시청자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헤이즈 값, 혹은 전체 헤이즈 값이라 함은, 필름에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그 자체에 대해 측정한 헤이즈 값 ( )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체 헤이즈 값 (¾)은, 필름의 표면 요철로부터 기인하는 헤이즈값과필름내부에 포함된 입자등으로부터 기인하는헤이즈값의 합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단계,구성 요소또는 이들을조합한 것이 존재함을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층 또는 요소가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 또는 요소가 직접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 또는 요소가각층사이,대상체,기재상에 추가적으로형성될수있음을의미한다. 본발명은다양한변경을가할수있고여러 가지 형태를가질수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본발명을특정한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이해되어야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보다상세히 설명한다. 2019/107928 1»(:1^1{2018/014848
본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기재;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일면에 구비된광경화성 수지층을포함하고;
5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10_인,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를분산된형태로포함하며;
하기 계산식 1로표시되는상대 시인성 평가값이 4이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이 제공된다.
[계산식 1]
10 시인성 평가값 =묘1 /시
상기 계산식 1에서,
시은,끄 X 7361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 !<: 7136 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20내지 25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광을 15 조사하였을때 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고,
미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Figure imgf000006_0001
조사하였을때 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다.
20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레이저 포인터에 사용되는 파장 영역의 빛에 대하여 특징적인 반사/산란특성을보일수있어,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높이는데 기여할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광경화성 관능기를 25 포함하는 바인더의 경화물, 및 상기 광경화성 바인더의 내부에 분산된 금속 코팅 무기산화물미립자를포함한다.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라 함은, 일종의 코어-쉘 형태로, 유리 등,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중심부에 포함하고, 이를둘러싼 형태로 금속 코팅이 이루어져,유리 성분이 외부로노출되지 않은형태의 입자를의미한다.
30 2019/107928 1»(:1^1{2018/014848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으로는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alate,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polyester),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thylene vinyl acetate, EVA)와 같은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 PEEK), 물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 (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 (polyimide, PI), MMA(methyl methacrylate), 불소계 수지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riacetylcellulose, TAC) 등으로이루어진기재를들수있다.
상기 기재 중에서도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필름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많이사용되고있다.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기재의 일면혹은 양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특히,상기 수지층이, 기재의 상부,즉 시청자 방향을 바라보게 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지층은 하드코팅층의 역할을 겸하게 될수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 상에 코팅 및 자외선 경화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적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코팅 조성물은,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 상기 바인더 내에 분산되어 있으며, 1 내지 10/zrn인금속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광중합개시제;및 용매 등을포함할수있다.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포함하는바인더는,자외선에 의해중합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불포화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2019/107928 1»(:1^1{2018/014848
않으나, 광경화성 관능기로 (메트)아크릴레이트기, 알릴기, 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일수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아크릴레이트계란, 아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에 치환기가 도입된 유도체를모두의미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를 2개 이상으로 포함하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Figure imgf000008_0006
Figure imgf000008_0001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
Figure imgf000008_0002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핵사아크릴레이
Figure imgf000008_0003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서로 가교되어 보호필름에 일정한연필강도와내마모성을부여하는역할을한다.
상기 다관능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단독으로또는서로다른종류를 조합하여사용할수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2개 이상으로 포함하는 올리고머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0,000 ^01,또는약 1,000내지 약 5,000 ^01,또는약 1,000내지 약 3,000 파이의 범위를가질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우레탄(파 1 116), 에틸렌 옥사이
Figure imgf000008_0004
(^( ), 프로필렌 옥 이드( 매 에。 0인( ), 또는 카프로
Figure imgf000008_0005
중 1종 이상으로 변성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변성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경우 변성에 의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에 유연성이 더욱 부여되어 보호 필름의 컬 특성 및 2019/107928 1»(:1^1{2018/014848
가요성이 증가할수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종류를조합하여사용할수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는유연성과탄성이 우수하며,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고분자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0내지 약 800,000^01,또는 약 150,000내지 약 700,000^01,또는 약 180,000내지 약 650, 000^1X1이의 범위를가질수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보호 필름은,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높은 탄성 또는 유연성을확보할수있고,컬 (0^1)또는크랙 (아 均발생도최소화할수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의 또 다른 예로는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는 아크릴폴리머의 주쇄에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가곁가지로연결되어 있는형태를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여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특징적인 광 산란 특성을나타낼수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포함할 때, 이를 이용하여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층은 레이저 포인터에 사용되는 레이저 광을 효과적으로반사및산란시켜,시인성을높일수있다.
일반적으로,디스플레이 패널용필름등을제조하는경우,코팅 조성물 등에 유기 입자혹은산화금속등의 무기 미립자를사용하는 경우가많은데, 이는해당입자들이 높은투과율을가지고있기 때문이다.
이러한투과형 입자등은,주로굴절과회절에 의해광산란을일으키는 반면,금속 입자는광을반사시킨다.더 구체적으로,투과형 입자의 경우,빛이 지나는가는경로를따라회절과굴절에 의한광산란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빛의 퍼지게 되어, 뿌연 형태의 빛이 나타나게 되지만, 금속 입자의 경우에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반사에 의해 광 산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빛의 경로에 따라 산란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으며, 빛의 퍼짐 2019/107928 1»(:1^1{2018/014848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바인더와의 굴절률 차이가큰 이산화티타늄(끄02)입자등의 금속 산화물계 무기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높은 광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입자들의 높은투과율로인하여,명암비가크게 저하되는단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명암비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나오는 화상의 밝기와 필름에 의한 밝기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것인데, 투과형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입자들에 의해 필름 내 밝기가 증가하게 되며, 결국 패널과 필름간의 밝기 차가작아지기 때문에,명암비가저하되는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은,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사용하여, 레이저 포인터 빛의 시인성을향상시킬 수있으면서도,동시에 높은명암비를구현할수있게되는것이다.
특히,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경우, 금속 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시인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내부에 포함된유리 등,무기 산화물미립자의 형상에 따라, 입자자체의 형상을 쉽게 조절하여, 필름의 헤이즈 값 등 다른 광학적 물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시인성을높일수있다는장점이 있다.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빛의 산란 효과를 최적화하는측면에서 \iirn이상이 될수 있고,헤이즈및코팅 두께를적절하게 하기 위한 측면에서 10/^ 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7_,또는약 4내지 약 6im인 입자일수있다.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너무 작은 경우, 빛의 산란으로 인한 레이저 포인터 광에 대한시인성 개선 효과가미미할수 있으며,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너무 큰 경우, 필름의 표면에 돌출을형성하여,투명도,투과도등,광학적 물성을저하시키는 요인이 될수있다.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상기 수지층에 포함되는 전체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입경을 확인하여 구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입경은 상기 수지층의 단면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상기 수지층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전체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2019/107928 1»(:1^1{2018/014848
미립자의 입경이나이들의 평균입경을통하여도확인가능하다.
상기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는 1 내지 10/페의 평균입경을갖는 개별 미립자의 군( 0111))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군( 0111))에 포함되는 개별 미립자는 0.05 내지 50 /패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군( 0伴)에 포함되는 개별 미립자의 95%, 또는 99%가 0.05 내지 50_의 입경을가질수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미립자는, 보다 구체적인 예로, 알루미늄, 금, 은, 마그네슘, 백금, 구리, 티타늄, 지르코늄, 니켈, 주석, 실리콘,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금속이 무기 산화물코어를 둘러싼형태로 형성된 입자등을들수있으나,본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것은아니다. 그리고,상기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는,금속성분을 약 5내지 약 50\ %로포함하는형태일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총중량을 100중량부로할때,상기 금속코팅 무기산화물미립자를, 약 1 내지 약 20중량부,또는약 1내지 약 10중량부,바람직하게는,약 1 내지 약 5중량부,가장바람직하게는,약 1.15내지 약 3중량부로포함할수있다. 상기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가너무 적게 포함되면, 이에 의한 해당 파장에서의 광 반사 효과가 미미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많이 포함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재현성 및 휘도가저하되고코팅 조성물의 다른물성이 저하될수 있으므로, 이러한관점에서 상기 범위로포함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이 때,상기 금속코팅 무기산화물미립자는,평균입경이 약 1 내지 약 7_이고, 편평률이 약 0.5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7 이상, 또는 약 0.9이하인,판상입자일수있다.
편평률 이라 함은, 타원율(신 功로도 일컬어지는 것으로,
3차원 회전 타원체의 편평한 정도를 나타내는 양이며, 긴 지름을 짧은 반지름을 15라하였을때, 小) 로나타내어지는값이다.구의 편평률은 0이며, 평면의 편평률은 1이다.
편평률이 너무 작은 경우,상기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함량 대비 산란 효율이 저하되어,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2019/107928 1»(:1^1{2018/014848
발생할수있다.
한편, 이러한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광경화성 수지층에 혼합되었을 때,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측면에서, 분산액에 미리 분산되어 있는형태로사용하는것이 더욱바람직할수있다. 본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상기 광중합개시제로는 1 -히드록시 - 시클로핵실-페닐 케톤, 2 -하이드록시 -2 -메틸- 1 -페닐- 1 -프로판온, 2 -하이드록시 -1 -[4- (2 -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 2 -메틸- 1 -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디메톡시 - 페닐아세토페논, 2 -벤조일- 2-(디메틸아미노)- 1 -[4-(4 -모포린일)페닐]- 1- 부타논, 2 -메틸- 1 -[4-(메틸씨오)페닐]- 2-(4 -몰포린일)- 1 -프로판온 디페닐公4,6- 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현재
Figure imgf000012_0001
다른 2종이상을혼합하여사용할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광중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총 중량을 100중량부로할때,상기 광중합개시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부로, 포함할수있다. 본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상기 유기 용매로는메탄올,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2 -메톡시에탄올, 2- 에톡시에탄올, 1 -메톡시- 2 -프로판올과 같은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사이클로핵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매,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2019/107928 1»(:1^1{2018/014848
디에틸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2 -에틸핵실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톨루엔,자일텐과 같은 방향족용매 등을단독으로또는 혼합하여사용할수있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상기유기 용매의 함량은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50내지 약 200중량부로,바람직하게는약 100내지 약 20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가 상기 범위에 있을 때 적절한 유동성 및 도포성을가질수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외에도,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1; 안정제,레벨링제,방오제 등본발명이 속하는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전체 코팅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약 0.1내지 약 10중량부로포함될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은건조및 경화후약 2내지 20썬의 두께를가질수 있으며, 상기와같은두께 범위 내에서 적절한광학물성 및 물리적 특성을나타낼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코팅 조성물을도포하고광경화시켜 형성할수있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예시는,상술한바와같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코팅 방식, 나이프 코팅방식 , 롤 코팅방식 , 블레이드 코팅방식 , 다이 코팅방식 ,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방식, 콤마코팅 방식, 슬롯다이 코팅방식, 립 코팅방식, 또는 2019/107928 1»(:1^1{2018/014848
솔루션캐스팅방식 등을이용할수있다.
다음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형성할수 있다. 상기 자외선을조사하기 전,코팅 조성물의 도포면을평탄화하고,코팅 조성물에 포함된용매를휘발시키기 위해 건조하는과정을더 수행할수있다.
상기 자외선의 조사량은,예를들면 약 20내지 약 6001 / 11 2일수있다. 자외선 조사의 광원으로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블랙
Figure imgf000014_0001
사용할수있다. 상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의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며,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효과적으로 반사 및 산란시킬 수 있어,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높일 수 있으면서도, 휘도와 명암비가 높고,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수있다. 구체적으로,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하기 계산식 1로표시되는상대시인성 평가값이 4이상이다.
[계산식 1]
시인성 평가값 =비/시
상기 계산식 1에서,
시은, 118도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도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값이 20내지 25인 필름,더욱바람직하게는, 투과도가 90내지 95이고,해이즈값이 22내지 25인필름,가장바람직하게는, 투과도가약 90이고,헤이즈값이 약 22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광을 조사하였을 때 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고,
81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블랙 아크릴판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동일한 2019/107928 1»(:1^1{2018/014848
조사하였을때 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일반적인
Figure imgf000015_0001
경화형 코팅층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에 의한산란/반사광으로, 일반적인 광경화성 코팅층 대비, 레이저 포인터 광산란에 의한휘도가약 50%이상,바람직하게는약 60%이상 상승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현저하게향상시킬수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하기 계산식 2로 표시되는, 휘도 비 값이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5 내지 약 95%로, 우수한광학적 특성을가지는것일수있다.
[계산식 2]
휘도비 =田2 /쇼2) * 100
상기 계산식 2에서,
쇼2는 118 K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
Figure imgf000015_0002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값이 20내지 25인 필름,더욱바람직하게는, 투과도가 90내지 95이고,헤이즈값이 22내지 25인 필름,가장바람직하게는, 투과도가약 90이고,헤이즈 값이 약 22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백라이트면에 놓았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고,
8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백라이트면에 놓았을때,정면에서측정되는휘도값이다. 또한,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은,하기 계산식 3으로 표시되는백탁도비 값이 10이하,바람직하게는약 5이하인것일수있다.
[계산식 3]
백탁도비 =:83/쇼3
상기 계산식 3에서,
쇼3는 118도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 K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값이 20내지 25인 필름,더욱바람직하게는, 투과도가 90내지 95이고,헤이즈값이 22내지 25인 필름,가장바람직하게는, 투과도가약 90이고,헤이즈값이 약 22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2019/107928 1»(:1^1{2018/014848
블랙 아크릴판위에 놓고, 9뇨의 조건에 두었을때,정면 7( 높이에서 측정된 휘도값( /111 2)이고,
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91표의 조건에 두었을 때, 정면 7011 높이에서 측정된휘도값 2)이다.
그리고,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은, 118 !<: 7361에 의해 측정된투과도값(ᄁ)이 약 80%이상,바람직하게는 약 80내지 90%으로,높은 광투과도를나타내는것일수있다. 또한,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은,끄5 7136에 의해 측정된헤이즈값이,약 15%이하,또는,약 1내지 약 11%일수있다. 광학필름등에 있어서,필름내부에포함되는도입 입자에 따라투과율 및 헤이즈특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비슷한광학특징을가지는 광 산란 입자가 많이 포함될수록, 투과도가 낮아지며 헤이즈가 증가하는 경향을보일수있다.
그러나,사용하는 입자의 종류에 따라서는,투과도와헤이즈의 특징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는, 수지층에 포함되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 특성으로, 빛에 대한 투과율을 낮추면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산화물 미립자에 비해 낮은
Figure imgf000016_0001
값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투과형 광 산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 투과율 값을 보이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헤이즈값을가질수있는특징이 있다.
특히, 광 투과율 값은, 입자 함량에 따라 변화하는데 투과율이 너무 높은경우,빛을산란또는반사시키기 위한입자의 양이 절대적으로부족하여, 적절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투과율이 너무 낮은 경우, 시인성은 좋지만 명암비 및 휘도 저하 문제가 발생하며 디스플레이로 구현하고자 하는 화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투과율(竹)의 범위 및,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0 2019/107928 1»(그1^1{2018/014848
사용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특징적인 헤이즈 값을 한정하여, 레이저 포인터 사용에 대해 우수한시인성을가지면서도,동시에 우수한명암비를 구현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형성되는 기재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용으로사용되는 유리, 또는,투명성 플라스틱 수지를사용할수 있다.보다구체적으로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alate, PET)와같은 들리에스테르 (polyester),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thylene vinyl acetate, EVA)와 같은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줄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 PEEK), 풀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 (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 (polyimide, PI), MMA(methyl methacrylate), 불소계 수지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riacetylcellulose, TAC) 등을들수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를 포함하는 필름일수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필름의 경도 및 다른 물성을만족시킬수 있는범위로써, 약 20내지 약 100/패,또는 약 20내지 약 60/zm의 두께를갖는기재를사용할수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500g 하중에서의 연필경도가 HB이상,또는 1H이상,또는 2H이상일수있다.
또한,마찰시험기에스틸울 (steel wool) #0을장착한후 200g의 하중,또는 300g 하중, 또는 400g 하중으로 10회 왕복시킬 경우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내마모성을나타낼수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2019/107928 1»(:1^1{2018/014848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는,반사방지층및 방현성 층중어느하나이상의 기능성 코팅층을더 포함하는형태일수도있다.
반사 방지층은,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에서의 반사 방지 효과에 더불어, 레이저 포인터 사용 시, 정반사를 방지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 빛이 정반사되어,화상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눈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층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름, 혹은 편광판용광학필름등에서 사용되던, 일반적인 반사방지층,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굴절율이 다른 다수의 층을 형성시켜 빛의 간섭을 이용하는 반사 방자층이나반사방지 코팅 (Anti reflection, AR)등을,특별한제한없이 사용할 수있다.
또한,상기 방현성 층은,표면의 요철로,레이저 포인터 사용시,레이저 포인터 빛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역시, 화상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눈에 직접 정반사광이 입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줄수 있다. 이러한방현성 층은, 수지에 무기 미립자등의 필러를분산시켜 표면에 요철을부여하는방법 (Anti- glare,AG)등을특별한제한없이사용할수있다.
상술한반사방지층 및 방현성 층등을구비하는 경우, 이러한기능성 코팅층은,필름의 최상부에 위치하는것이 바람직할수있다. 한편,본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을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가제공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 방식이나 구조 등에 특별한 제한을받지 않으며,구체적으로, LCD패널, PDP패널,혹은, OLED 패널에도 모두적용될수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과디스플레이 패널은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접착시킬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 (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에폭시계 접착제,스티렌부타디엔고무계 (SBR계)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2019/107928 1»(:1^1{2018/014848
아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이 점착층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으며, 수지층이 점착층의 역할을 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기재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 쪽에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수지층은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적층하여, 레이저 포인터가 입사되는 쪽을 바로대면하게 되는구조가되는것이 바람직할수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한다.다만,이러한실시예는발명의 예시로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정해지는것은아니다.
<실시예>
광경화성 관능기를가지는바인더 성분으로,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이하, PETA);
6관능지방족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인, EBECRYL 1290 (Allnex 사)(이하, 6UA);
광중합개시제로, Irgacure 184(이하개시제);
첨가제로, T270(제조사: TEGO,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이하 첨가제);
유기용매로써 2-BuOH와메틸에틸케톤(이하 MEK)를혼합하여,하기 표
1의 조성비에 따라,코팅 조성물을제조하였다. 실시예에서,금속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로는, Potters Industries Inc사의 thin glass flake silver입자인, SG05TF40(silver함량: 40wt%,평균입경: 5fm, specific gravity 3.5 g/cc)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하, S-G, 고형분 10wt%인 톨루엔 분산액으로사용)
비교예 1내지 3의 경우 Ames Advanced Materials사의은입자인, SFTP- 0010(평균 입경: 0.7_, 편평률: 0.5이하) 제품을, 초음파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S,고형분 10w%인톨루엔분산액으로사용)
비교예 4내지 6의 경우, Chemours사의 티타니아입자인, TS-6200(평균 2019/107928 1»(:1^1{2018/014848
입경: 0.39/mi)를사용하였다.(이하, T,고형분 6.3w%인 부틸 셀로솔브분산액으로 사용)
비교예 8 및 9의 경우,금속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로, Potters Industries Inc사의 thin glass flake silver 입자인, SG05TF40(silver함량: 40wt%, 평균 입경: 5쌔!, specific gravity 3.5 g/cc)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하, S-G, 고형분 10w%인 톨루엔 분산액으로사용) bar를 이용하여 기재인 TAC (두께: 80_)상에 코팅하고, 90°C에서 2분 30초간 건조한 후, 수은 램프로 경화시켜(약 200 mj/cm2), 평균 건조 두께가 약 4내지 약 5/mi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로는, JIS K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 Tt값이 약 90이고, JIS K
7136 기준에 따라 측정된 헤이즈 값이 약 22인, LG Chem 의 A25 필름을 준비하였다.
【표 1】
Figure imgf000020_0001
2019/107928 1»(:1^1{2018/014848
Figure imgf000021_0001
*함량단위:중량부
Tt값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대해, Murakami사의 HM-150 haze meter를이용하여, JIS K 7361 기준에 따라,투과도 (Tt)값을측정하였다. 헤이즈값측정:
Murakami사의 HM-150 haze meter를 이용하여, JIS K 7136기준에 따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의 헤이즈값을측정하였다. 백탁도비측정:
상기 비교예 7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하고,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91x의 조건에 두었을때,정면 7cm높이에서 휘도값을측정하고, (A3)
실시예 및 비교예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에 대해,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한 휘도 값을 구한후, (B3)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된 휘도 값을 매칭하여, 백탁도 비를 계산하였다. (측정장비 : Konica Minolta사, CA-210) 휘도비측정:
상기 비교예 7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하고, 전원이 들어온 LCD 패널 상면에 놓고, 정면 5.5cm높이에서 측정한휘도값을구하고, (A2) 2019/107928 1»(:1^1{2018/014848
실시예 및 비교예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에 대해,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한 휘도 값을 구한후, (B2)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된 휘도 값을 매칭하여, 휘도 비를 계산하였다. (측정장비: Konica Minolta사, CA-210, LCD패널: 4.7인치, Gray scale 255, 297.2cd/m2)
측정은, 3.51x이하의,암실에서 진행되었다. 레이저포인터시인성 평가:
상기 비교예 7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하고,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535nm laser를조사하였을때,정면에서 측정한휘도값을구하곤, (A1) 실시예 및 비교예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에 대해,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한 휘도 값을 구한후, (B1)
각실시예 및비교예에서 측정된휘도값을매칭하여,시인성 평가값을 계산하였다. (측정장비: Konica Minolta사, CA-210, 레이저 포인터: 3M사, LP- 7000)
측정은, 3.51x이하의,암실에서 진행되었다. 상기 측정 값을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
Figure imgf000022_0001
2019/107928 1»(:1^1{2018/014848
Figure imgf000023_0001
상기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금속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일정 범위로사용하여, 필름의 헤이즈 값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도, 투과도 값이 매우 높고, 또한, 비교예 필름등에 비해 백탁도값이 상대적으로낮으면서도휘도비 값이 높아, 전체적으로 광학적 물성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레이저 포인터 광에 대한 선택적인시인성을향상시킬수있는점을명확히 확인할수있다.
한편, 비교예의 경우, 레이저 포인터 광에 대한 선택적인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비교예 8 및 9의 경우,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종류의 입자를 사용하였음에도, 시인성 향상효과가본원실시예에 이르지 못하는것을알수있다.
한편, 그 외 다른 비교예의 경우 역시, 레이저 포인터 광에 대한 선택적인 시인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성분의 함량을조절하는 경우,투과도 값이 크게 저하되거나, 헤이즈 값이 크게 증가하는등,다른 광학물성에서 손해보는부분이 오히려 더 많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 광에 대한 선택적인 시인성,투과도,헤이즈,백탁도,휘도비 등의 물성을동시에 향상시키기는매우 어렵다는사실을명확히 확인할수있다.

Claims

2019/107928 1»(:1^1{2018/014848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기재;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일면에 구비된광경화성 수지층을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10_인,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를분산된형태로포함하며;
하기 계산식 1로표시되는상대시인성 평가값이 4이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계산식 1]
시인성 평가값 = 81 /시
상기 계산식 1에서,
시은, 118 K 7361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도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20내지 25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Figure imgf000024_0001
광을 조사하였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고,
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법선의 45° 방향에서 동일한
Figure imgf000024_0002
광을 조사하였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다.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7_이고, 편평률이 0.5이상인,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계산식 2로 표시되는, 휘도 비 값이 80% 이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계산식 2]
휘도 비 = 2 /쇼2) * 100 2019/107928 1»(:1^1{2018/014848
상기 계산식 2에서,
쇼2는 118도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 X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20내지 25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백라이트면에 놓았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고,
묘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후,백라이트면에 놓았을때,정면에서 측정되는휘도값이다.
【청구항 4】
저 11항에 있어서,
하기 계산식 3으로 표시되는 백탁도 비 값이 10 이하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계산식 3]
백탁도비 =:83/쇼3
상기 계산식 3에서,
쇼3는 118 K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투과도가 80내지 100이고, 118 !<:
7136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20내지 25인 필름을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9뇨의 조건에 두었을 때, 정면 7011 높이에서 측정된휘도값( /111 2)이고,
묘3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유리 슬라이드에 접합한 후, 블랙 아크릴판 위에 놓고, 9 의 조건에 두었을 때, 정면 70X1 높이에서 측정된휘도값(선/111 2)이다.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는,알루미늄,금,은,마그네슘,백금, 구리, 티타늄, 지르코늄, 니켈, 주석, 실리콘,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금속을포함하는,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6]
제 1항에 있어서, 2019/107928 1»(:1^1{2018/014848
상기 금속 코팅 무기 산화물 미립자는, 금속 성분을 5 내지 50^%로 포함하는,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팅 무기 산화물미립자는,상기 광경화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내지 20중량부로포함되는,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의 두께는, 2 내지 20 III 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9]
제 1항에 있어서,
118도 7136 기준에 따라측정된 헤이즈 값이 15% 이하인, 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10】
제 1항에 있어서,
118 7361 기준에 따라측정된 광투과도값이 80이상인,디스플레이 패널용시인성 개선 필름.
【청구항 11】
제 1항에 있어서,
50¾ 하중에서 묘묘 이상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필름.
【청구항 12】
제 1항에 있어서, 2019/107928 1»(:1/10公018/014848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alate, PET),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thylene vinyl acetate, EVA),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cyclic olefin copolymer, COC), 몰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 PEEK),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 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 (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 (polyimide, PI), MMA(methyl methacrylate), 불소계 수지,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riacetylcellulose, TA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청구항 13】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 1항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8/014848 2017-11-28 2018-11-28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9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84235.5A EP3702818B1 (en) 2017-11-28 2018-11-28 Film with improved visibility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201880075977.6A CN111386480B (zh) 2017-11-28 2018-11-28 用于显示面板的可见性改善膜和包括其的显示装置
JP2020528443A JP6995427B2 (ja) 2017-11-28 2018-11-28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視認性改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6/767,742 US11525048B2 (en) 2017-11-28 2018-11-28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0636 2017-11-28
KR10-2017-0160636 2017-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928A1 true WO2019107928A1 (ko) 2019-06-06

Family

ID=6666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848 WO2019107928A1 (ko) 2017-11-28 2018-11-28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25048B2 (ko)
EP (1) EP3702818B1 (ko)
JP (1) JP6995427B2 (ko)
KR (1) KR102166847B1 (ko)
CN (1) CN111386480B (ko)
TW (1) TWI685673B (ko)
WO (1) WO20191079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582A1 (ja) * 2020-08-07 2022-02-10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983A (ko) * 2009-06-30 2011-01-06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도전성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KR101107532B1 (ko) * 2008-03-11 2012-01-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WO2015030428A1 (ko) * 2013-08-27 2015-03-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KR20150057474A (ko) * 2013-11-19 2015-05-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KR20160143677A (ko) * 2014-04-10 2016-12-14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2773B (en) * 2001-05-09 2008-01-21 Merck Patent Gmbh Effect pigments based on coated glass flakes
CN100556687C (zh) * 2002-09-12 2009-11-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覆发光膜产品
JP2004302223A (ja) * 2003-03-31 2004-10-28 Daicel Chem Ind Ltd 表示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JP4859128B2 (ja) 2007-03-15 2012-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4958609B2 (ja) 2007-04-06 2012-06-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5601B2 (ja) 2008-03-31 2012-08-22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大型の液晶表示装置用レーザ・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11033812A (ja) 2009-07-31 2011-02-17 Kopeck Japan:Kk フラットパネ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874303B1 (ko) * 2013-08-07 2018-07-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19163B1 (ko) 2013-08-30 2018-1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KR101856795B1 (ko) * 2013-09-11 2018-05-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KR20150050698A (ko) 2013-10-30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86663A (ko) 2014-01-20 2015-07-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JP6138363B2 (ja) 2014-12-22 2017-05-31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シート状透明成型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6266844B2 (ja) * 2015-06-16 2018-01-24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シート状透明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CN108292090B (zh) 2015-12-02 2019-04-26 Jxtg能源株式会社 反射型透明屏幕和具有该反射型透明屏幕的图像投影装置
US20190224942A1 (en) 2016-07-13 2019-07-25 Jxtg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80087958A (ko) * 2017-01-26 2018-08-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응성 발광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532B1 (ko) * 2008-03-11 2012-01-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KR20110001983A (ko) * 2009-06-30 2011-01-06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도전성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WO2015030428A1 (ko) * 2013-08-27 2015-03-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KR20150057474A (ko) * 2013-11-19 2015-05-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KR20160143677A (ko) * 2014-04-10 2016-12-14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02818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582A1 (ja) * 2020-08-07 2022-02-10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4749A (ja) 2021-02-15
CN111386480A (zh) 2020-07-07
CN111386480B (zh) 2022-03-01
EP3702818A4 (en) 2020-12-23
TWI685673B (zh) 2020-02-21
KR20190062314A (ko) 2019-06-05
EP3702818A1 (en) 2020-09-02
TW201937203A (zh) 2019-09-16
JP6995427B2 (ja) 2022-01-14
KR102166847B1 (ko) 2020-10-16
EP3702818B1 (en) 2023-02-22
US11525048B2 (en) 2022-12-13
US20210070963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3804B2 (en)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107928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932418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視認性改善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JP7015618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視認性改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N111788072B (zh) 用于显示面板的可视性改善膜和包括其的显示装置
KR2019000323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66579A9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923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924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72731A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42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2844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42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