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556A -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556A
KR20190079556A KR1020180169079A KR20180169079A KR20190079556A KR 20190079556 A KR20190079556 A KR 20190079556A KR 1020180169079 A KR1020180169079 A KR 1020180169079A KR 20180169079 A KR20180169079 A KR 20180169079A KR 20190079556 A KR20190079556 A KR 2019007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mperature
heater
amoun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757B1 (ko
Inventor
요시타카 오이카와
야스요시 세토
류이치 신카이
히데유키 무라사토
히로타카 하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7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차량에 마련된 창부의 내측에 배치하여 마련되고 또한 창부를 투과한 촬영광을 수광하는 촬영 장치와, 창부의 근방에 배치하여 마련되고 또한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과, 차량 외측의 차 밖 온도를 검출하는 차 밖 온도 검출 수단과, 촬영 장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수단과, 차 밖 온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차 밖 온도와 제 2 검출 수단이 검출한 촬영 장치의 온도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에 있어서 가열 수단에 공급할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연산하고, 목표값에 상당하는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VEHICLE PHOTOGRAPHY DEVICE AND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프론트 윈드실드의 차 내측에 마련되는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프론트 윈드실드의 차 내측에 카메라를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 카메라는 차량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예를 들면, 차량)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피사체상)을 촬상 소자에 의해 촬상 데이터(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촬상 데이터를 차량의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그런데, 차량의 외기의 온도인 차 밖 온도가 낮은 경우에 차량 내에서 난방을 사용하면, 프론트 윈드실드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차 밖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프론트 윈드실드의 차 밖 측면에 얼음 및/또는 서리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프론트 윈드실드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카메라의 촬상 소자가 생성하는 촬상 데이터가 불선명한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되거나, 촬상 소자가 차량 전방의 물표(物標)를 촬상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차량의 프론트 윈드실드의 차 내측에는, 전열선인 히터와, 히터가 고정되고 또한 히터로부터 받은 열을 프론트 윈드실드에 복사열로서 미치게 하는 피가열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히터는 급전선을 개재하여 차량의 전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전원의 전력이 히터에 공급되면 히터가 열을 발생시키고, 그 히터가 발생시킨 열에 의해 피가열부가 가열되며, 피가열부가 발생시킨 복사열이 프론트 윈드실드에 미친다. 그리고 히터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면, 프론트 윈드실드가 노점 온도 이상의 온도가 된다. 이 때문에, 프론트 윈드실드에 발생하고 있던 결로가 소실된다. 또한 프론트 윈드실드의 차 밖 측면에 부착되어 있던 얼음 및 서리가 소실된다. 따라서, 히터 및 피가열부에 의해 프론트 윈드실드를 가열하면, 촬상 소자가 불선명한 피사체상을 촬상하거나, 피사체상을 촬상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185896호 공보
차 밖 온도 및 차속은, 히터의 가열 대상인 프론트 윈드실드의 온도와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 때문에, 히터의 온도를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 내의 값으로 하기 위한 히터의 발열량은, 예를 들면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전의 시점의 차 밖 온도 및 차속에 의거하여 연산 가능하다.
그러나 히터의 온도는 차 밖 온도 및 차속 이외의 요소의 영향도 받는다. 즉, 히터는 카메라에 근접하여 마련되므로, 히터는 카메라가 발생시키는 열을 받아, 이 열에 의해 히터의 온도는 상승한다. 이 때문에, 카메라가 발생시키는 열을 고려하지 않고 히터에 발생시키는 발열량을 연산한 경우에는, 히터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품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즉,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촬영 장치가 가열 수단에 미치는 열을 고려하면서 가열 수단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창부(85)의 내측에 배치하여 마련되고 또한 상기 창부를 투과한 촬영광을 수광하는 촬영 장치(30)와,
상기 창부의 내측에 배치하여 마련되고 또한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41a, 43b)과,
상기 차량 외측의 차 밖 온도를 검출하는 차 밖 온도 검출 수단(101)과,
상기 차 밖 온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차 밖 온도와 상기 촬영 장치의 온도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T)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할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Etc)을 연산하고, 상기 목표값에 상당하는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제어 장치(10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창부의 내측에 촬영 장치와 함께 배치하여 마련되는 가열 장치(95)로서,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차량 외측의 차 밖 온도와 상기 촬영 장치의 온도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할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연산하고, 상기 목표값에 상당하는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 수단의 온도는 소정 시간 내의 발열량과 상관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가열 수단의 온도는, 차 밖 온도뿐만 아니라, 촬영 장치의 온도의 영향도 받는다. 즉, 촬영 장치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가열 수단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가 촬영 장치의 온도에 대응하는 양만큼 가열 수단이 발생시켜야 할 발열량을 작게 하고 이 열량을 가열 수단이 발생시키도록 가열 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가열 수단이 과잉한 열을 발생시킬 우려는 작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이,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전열선인 히터(43b)와,
상기 히터가 고정되며,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받음으로써 상기 창부에 복사열을 미치게 하는 피가열부(41a)를 구비한다.
이 일 양태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가열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의 온도인 차내 온도를 검출하는 차내 온도 검출 수단(103)과,
상기 차내 온도에 대응하는 양(ΔTi)만큼 상기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크게 한 전력량을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상기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마련된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태 검출 수단(104)과,
상기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양(ΔSc)만큼 상기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크게 한 전력량을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상기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가열 수단의 온도(발열량)는, 차내 온도 및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태의 영향도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수단의 온도(발열량)는, 차내 온도 또는/및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태의 영향에 의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가 차내 온도 또는/및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양만큼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크게 한 전력량을 가열 수단에 공급하면, 가열 수단이 과잉한 열을 발생시킬 우려가 보다 작아진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발명의 구성에 대해, 그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명칭 및/또는 부호를 괄호로 첨부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는, 상기 부호에 의해 규정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다른 특징 및 부수되는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촬영 장치 및 프론트 윈드실드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차량용 촬영 장치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촬영 장치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차광 가열 유닛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차광 가열 유닛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피가열부, 히터 모듈, 퓨즈 모듈 및 케이블 모듈의 하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8의 (a)는 퓨즈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차광 가열 유닛의 단면도이며, (b)는 봉지재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차광 가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전기 회로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루틴이다.
도 11은 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때의 Duty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루틴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촬영 장치(가열 장치를 포함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촬영 장치(10)(이하, 「촬영 장치(10)」라고 칭한다.)는, 차량의 프론트 윈드실드(85)의 차 내측에 마련된다. 프론트 윈드실드(85)는 투광성의 유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윈드실드(85)는 투광성을 가지고 있으면 유리 이외의 재료(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윈드실드(85)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양태로 차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윈드실드(85)의 후면(즉, 차 내측의 면)의 상측 가장자리부 및 그 근방부에는, 전체 형상이 대략 T자형을 이루는 차광 시트(86)가 부착되어 있다. 차광 시트(86)의 중앙부에는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연장 돌출부(86a)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연장 돌출부(86a)의 전단 근방부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광 투과 구멍(86b)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윈드실드(85)의 광 투과 구멍(86b)과 대향하는 부위는 광 투과부(85a)를 구성하고 있다. 촬영 장치(10)는, 프론트 윈드실드(85)의 차 내측에 광 투과부(85a)와 대향하는 양태로 배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는, 주된 구성 요소로서, 브래킷(20), 카메라 유닛(30), 차광 가열 유닛(40) 및 커버(50)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20)은 경질 수지제(製)이다. 브래킷(20)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관통 구멍이 지지부(21)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0)의 상면에는 복수의 접착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유닛(30)은, 하우징(31) 및 촬상부(32)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은,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고 또한 카메라 유닛(30)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31)의 상면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후드 장착용 오목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촬상부(32)는, 후드 장착용 오목부(31a)의 후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부(32)는, 렌즈(32a)와, 렌즈(32a)의 직후에 위치하는 촬상 소자(32b)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32b)는 복안(複眼) 타입의 소자이다. 촬상 소자(32b)는, 카메라 유닛(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해물에 의해 후방으로 반사되고 또한 렌즈(32a)를 투과한 반사광(촬영광)을 수광한다. 카메라 유닛(30)은, 그 상부가 브래킷(20)에 계지(係止)되어 브래킷(2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카메라 유닛(30)의 내부에는,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를 검출 가능한 서미스터(30a)(도 9를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특히, 도 5)에 나타난 차광 가열 유닛(40)은, 주된 구성 요소로서 차광 후드(41), 양면 테이프(42), 히터 모듈(43), 퓨즈 모듈(44), 단열재(45) 및 케이블 모듈(46)을 구비하고 있다.
차광 후드(41)는 경질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다. 차광 후드(41)는, 피가열부(41a)와 측벽부(41b)를 구비하고 있다. 피가열부(41a)는, 정삼각 형상의(즉,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정삼각형 형상을 이룸) 판 형상체이다. 피가열부(41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L1)에 관하여 좌우 대칭이다. 측벽부(41b)는, 피가열부(41a)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이다. 측벽부(41b)의 높이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크게 되어 있다.
히터 모듈(43)은, PET 시트(43a) 및 히터(43b)를 가지고 있다.
PET 시트(43a)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PET 시트(43a)의 외형은 피가열부(41a)와 대략 동(同)형상이다. 즉, PET 시트(43a)는 중심선(L1)에 관하여 좌우 대칭인 정삼각형이다. PET 시트(43a)의 절연성은 양호하다.
히터(43b)는, 통전 시에 발열되는 금속(예를 들면, 황동)으로 구성된 전열선이다. 히터(43b)는, PET 시트(43a)의 상면의 대략 전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히터(43b)의 양 단부는, 그 밖의 부분과 비교해 면적이 큰 한 쌍의 랜드(43c, 43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랜드(43c, 43d)는, PET 시트(43a)의 상하 양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랜드(43c)는 PET 시트(43a)의 후방의 모서리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랜드(43d)는 PET 시트(43a)의 전방의 우측의 모서리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PET 시트(43a)의 상면에는, 히터(43b)를 덮도록 양면 테이프(42)의 하면이 붙여져 있다. 양면 테이프(42)는, 피가열부(41a) 및 PET 시트(43a)와 대략 동형상이다. 양면 테이프(42)의 상면은 피가열부(41a)의 하면에 대하여 부착된다. 이 결과, 히터 모듈(43)이 차광 후드(41)에 고정된다. 양면 테이프(42)의 열전도성은 양호하다. PET 시트(43a)의 주연부는 양면 테이프(42) 및 피가열부(41a)의 주연부와 겹쳐져 있다.
퓨즈 모듈(44)은, 양면 테이프(44a), 퓨즈(44b) 및 2개의 리드선(44c, 44d)을 가지는 일체물이다.
양면 테이프(44a)는 도 5에 나타내는 형상의 시트 형상 부재이며, 그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다. 양면 테이프(44a)의 열전도성은, 차광 후드(41), 양면 테이프(42) 및 PET 시트(43a) 중 어느 것보다 낮다.
퓨즈(44b)는 전류 제한 소자이며, 원통 형상의 절연 케이스와, 절연 케이스 내에 고정된 도전성을 가지는 가용(可溶) 금속을 가지고 있다. 퓨즈(44b)의 절연 케이스는, 양면 테이프(44a)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2개의 리드선(44c, 44d)은, 도시의 양태에서 양면 테이프(44a)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2개의 리드선(44c, 44d)의 일단은, 모두 퓨즈(44b)의 절연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또한 가용 금속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한편, 2개의 리드선(44c, 44d)의 타단인 접속단(44c1, 44d1)은 모두 양면 테이프(44a)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양면 테이프(44a)의 상면이 PET 시트(43a)의 하면에 대하여 부착된다. 이에 따라, 퓨즈 모듈(44)은 히터 모듈(43)에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모듈(44) 전체가 PET 시트(43a)의 외주연부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히터 모듈(43)의 한 쌍의 랜드(43c, 43d)는, 모두 양면 테이프(44a)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모듈(44)의 퓨즈(44b)가, 피가열부(41a)의 무게 중심(G) 위치와 피가열부(41a)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무게 중심(G)을 지나고 또한 피가열부(41a)의 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퓨즈(44b)가 배치되어 있다.
퓨즈(44b) 및 리드선(44c, 44d)(단, 접속단(44c1, 44d1)을 제외함)은 PET 시트(43a)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즉, 퓨즈(44b) 및 리드선(44c, 44d)(단, 접속단(44c1, 44d1)을 제외함)과, 히터(43b)의 랜드(43c, 43d)를 제외하는 부분은, 양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PET 시트(43a)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44d)의 접속단(44d1)은, PET 시트(43a)의 랜드(43d)의 하면에 대하여 납땜되어 있다(도시 생략).
단열재(45)는 절연성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지고, 피가열부(41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즉, 단열재(45)는 정삼각형 형상의 시트 형상 부재이다. 단열재(45)의 후단 모서리부 근방에는 한 쌍의 관통 구멍(45a, 45b)이 형성되어 있다. 단열재(45)의 열전도성은, 차광 후드(41), 양면 테이프(42), PET 시트(43a) 및 양면 테이프(44a) 중 어느 것보다 낮다.
단열재(45)의 상면은, 양면 테이프(44a)의 하면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단열재(45)의 상면의 양면 테이프(44a)와 대향하지 않는 부위는, PET 시트(43a)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단열재(45)의 주연부는, 피가열부(41a) 및 PET 시트(43a)의 주연부의 외주측에 있어서 차광 후드(41)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피가열부(41a)의 판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단열재(45)의 관통 구멍(45a, 45b)은 모두 중심선(L1) 상에 위치한다. 단열재(45)가 양면 테이프(44a)에 고정되면, 관통 구멍(45a)이 PET 시트(43a)의 랜드(43c)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또한 관통 구멍(45b)이 리드선(44c)의 접속단(44c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케이블 모듈(46)은,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급전용 케이블(60)과, 제 2 급전용 케이블(63)과, 제 1 급전용 케이블(60) 및 제 2 급전용 케이블(63)의 일단에 접속된 커넥터(66)(도 4, 도 9 참조)와, 결속 튜브(67)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급전용 케이블(60)은,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선에 의해 구성된 전선(61)과, 전선(61)의 양단부를 제외한 외주면을 덮는 피복 튜브(62)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급전용 케이블(63)은,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선에 의해 구성된 전선(64)과, 전선(64)의 양단부를 제외한 외주면을 덮는 피복 튜브(65)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66)의 내부에는 2개의 금속제의 콘택트(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콘택트의 일방은 양극이며, 타방은 음극이다. 제 1 급전용 케이블(60) 및 제 2 급전용 케이블(63)의 일단은 커넥터(66)에 접속되어 있다. 전선(61)의 일단은 양극인 콘택트에 접속되고 또한 전선(64)의 일단은 음극인 콘택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튜브(62) 및 피복 튜브(65)의 전후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단일의 결속 튜브(67) 내에 삽입되어 있다. 즉, 결속 튜브(67)가 피복 튜브(62) 및 피복 튜브(65)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다발로 묶고 있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급전용 케이블(60)의 전선(61)의 타단은 단열재(45)의 관통 구멍(45a)에 삽입되고, 또한, 땜납(70)에 의해 전선(61)의 타단이 랜드(43c)의 하면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제 2 급전용 케이블(63)의 전선(64)의 타단은 단열재(45)의 관통 구멍(45b)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64)의 타단과 리드선(44c)의 접속단(44c1)이 서로 납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재(45)의 하면 및 제 1 급전용 케이블(60)의 피복 튜브(62)의 관통 구멍(45a)측의 단부 근방인 피고정부(62a)(도 5, 도 8 참조)에는 절연성의 봉지재(7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봉지재(71)에 의해 관통 구멍(45a)이 덮여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재(45)의 하면 및 제 2 급전용 케이블(63)의 피복 튜브(65)의 관통 구멍(45b)측의 단부 근방인 피고정부(65a)(도 5 참조)에는 절연성의 봉지재(7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봉지재(72)에 의해 관통 구멍(45b)이 덮여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가열 유닛(40)의 차광 후드(41)가, 카메라 유닛(30)의 후드 장착용 오목부(31a)에 감입되고, 또한 촬상부(32)의 전부(前部)가 좌우의 측벽부(41b)의 후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피가열부(41a)의 후단부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20)의 지지부(21)에 차광 가열 유닛(40)의 차광 후드(41)가 감합되고, 커버(50)가, 카메라 유닛(30) 및 차광 가열 유닛(40)을 덮도록, 그 상면에 의해 브래킷(20)에 고정된다.
케이블 모듈(46)의 커넥터(66)는, 커버(50)의 후단 개구를 통하여 커버(50)의 후방으로 인출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일체화된 촬영 장치(10)는, 브래킷(20)의 각 접착면(22)에 도포된 접착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차광 시트(86)의 전방 연장 돌출부(86a)의 차 내측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러면 차광 시트(86)의 광 투과 구멍(86b)과 대향하는 위치에, 브래킷(20)의 지지부(21), 차광 가열 유닛(40)의 피가열부(41a) 및 카메라 유닛(30)의 촬상부(32)가 위치한다. 따라서, 프론트 윈드실드(85)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고 또한 광 투과부(85a) 및 차광 시트(86)의 광 투과 구멍(86b)을 후방으로 투과한 촬영광은, 촬상부(32)의 렌즈(32a)를 투과한 후에 촬상 소자(32b)에 의해 수광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은 전기 제어 장치(도시 생략. 이하, 「제어 장치」라고 칭함)(10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00)는 ECU이다. ECU는, Electric Control Unit의 약어이며, CPU, ROM 및 RAM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다. CPU는 ROM에 저장된 인스트럭션(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100)의 기억 장치(ROM)에는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 및 「Duty비 보정용 맵(MapD)」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차량은, 차량 밖의 온도(Tair)를 측정하기 위한 차 밖 온도 센서(101)를 구비하고 있다. 차 밖 온도 센서(101)는 차량의 프론트 그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차량은, 차속 센서(102), 실내 온도 센서(103), 및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황 검출 장치(104)를 구비하고 있다. 차 밖 온도 센서(101), 차속 센서(102), 실내 온도 센서(103), 및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황 검출 장치(104)는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황 검출 장치(104)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값인 작동 상황값(Sc)(후술)을 발생시킨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가열 유닛(40)의 커넥터(66)는, 차체측에 마련된 차체측 커넥터(66a)에 접속된다. 실제로는, 커넥터(66) 및 차체측 커넥터(66a)의 각각은 일체물이지만, 도 9에 있어서는 결선 관계가 명확해지도록, 커넥터(66) 및 차체측 커넥터(66a)의 각각은 둘로 분할된 상태로 그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급전용 케이블(60)은, 커넥터(66), 차체측 커넥터(66a), 급전선(EL1) 및 이그니션 스위치(IG·SW)를 개재하여 차량 탑재 전원(IG 전원)(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IG 전원의 음극은 접지되어 있다. 제 2 급전용 케이블(63)은, 커넥터(66) 및 차체측 커넥터(66a)를 개재하여 스위치 소자(89)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89)의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이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는, 제어 장치(100)에 의해 ON 상태(도통 상태, 접속 상태)와 OFF 상태(비도통 상태, 차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89)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이지만, 릴레이식 스위치여도 된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IG·SW)에는 급전선(EL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급전선(EL2)의 타단은 카메라 제어 ECU(106)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제어 ECU(106)의 도시하지 않은 어스 라인은 접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 ECU(106)는 IG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추가해, 카메라 유닛(30)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 라인은 급전선(EL2)에 접속되고, 카메라 유닛(30)의 도시하지 않은 어스 라인은 접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유닛(30)은 IG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 제어 ECU(106)와 카메라 유닛(30)은 각종의 신호를 서로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 장치(100)도 IG·SW를 개재하여 IG 전원에 접속되고, IG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와 카메라 제어 ECU(106)는 도시하지 않은 CAN을 개재하여 서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제어 ECU(106)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Vh)(급전선(EL2)의 전위)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전압(Vh)은, IG 전원의 전압(Vp)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또한, 스위치 소자(89)의 상태가 도통 상태에 있을 때, 히터(43b)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Vh)은 IG 전원의 전압(Vp)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 ECU(106)가 검출하는 전압(Vh)은, 히터(43b)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히터 전압)(Vh)으로서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차광 가열 유닛(40) 및 제어 장치(100)는 가열 장치(95)의 구성 요소이다.
(작동)
계속해서 차량 및 촬영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를 생략한 이그니션 키가 조작되면, 이그니션 스위치(IG·SW)가 폐쇄되고, IG 전원의 양극이 급전선(EL1), 급전선(EL2), 및 제어 장치(100)에 접속된다. 그 결과, 카메라 ECU(106)는 카메라 유닛(30)에 대해 촬상을 개시시킨다. 카메라 유닛(30)은,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촬상부(32)를 이용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촬상부(32)의 촬상 소자(32b)는, 촬영 장치(10)를 탑재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표(예를 들면, 다른 차량)에 의해 후방으로 반사되고 또한 프론트 윈드실드(85)의 광 투과부(85a), 차광 시트(86)의 광 투과 구멍(86b) 및 렌즈(32a)를 투과한 반사광을 촬상하여 촬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카메라 유닛(30)은, 그 촬상 데이터를 카메라 ECU(106)에 송신한다. 카메라 ECU(106)는, 카메라 유닛(30)으로부터 수취한 촬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100)는, 수취한 촬상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전방에 존재하는 물표(타차량 및 장해물 등)에 대한 정보(전방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전방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전방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브레이크 제어, 레인 키핑 어시스트 제어(레인 트레이싱 어시스트 제어) 및 어뎁터 하이 빔 제어」 등을 실행하거나, 자동 운전을 실시하거나, 경보를 발하거나 한다. 이하, 전방 정보에 의거한 이러한 제어는 운전 지원 제어라고 호칭된다.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가 폐쇄되면, 차 밖 온도 센서(101), 차속 센서(102), 실내 온도 센서(103), 및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황 검출 장치(104)의 검출 동작, 서미스터(30a)에 의한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의 검출 동작, 그리고 카메라 제어 ECU(106)에 의한 전압 검출 동작이, 엔진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 소정 시간마다 반복 실행된다. 차 밖 온도 센서(101), 차속 센서(102), 실내 온도 센서(103),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황 검출 장치(104) 및 카메라 제어 ECU(106)(서미스터(30a))는 검출 결과에 관한 신호를, 엔진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제어 장치(100)에 계속해서 송신한다.
그런데, 차 밖 온도가 낮은 경우, 프론트 윈드실드(85)의 광 투과부(85a)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결로는 차 실내에서 난방을 사용하면 보다 발생하기 쉽다. 또한, 차 밖 온도가 낮은 경우, 광 투과부(85a)에 얼음 및/또는 서리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촬상 소자(32b)가 생성하는 촬상 데이터가 불선명한 피사체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되거나, 촬상부(32)가 차량 전방의 물표를 촬상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100)가 촬상 데이터를 이용한 상기의 운전 지원 제어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00)는, 도 10에 플로우 차트에 의해 나타내는 처리(루틴)를 실행함으로써,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이그니션·키·스위치가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로 변경된 직후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FF 상태로 설정하고 있다.
제어 장치(100)의 CPU(이하, 단순히 「CPU」라고 부름.)는, 소정 시간(T)(도 11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3분)이 경과할 때마다 도 10에 나타내는 루틴의 처리를 단계 1000에서부터 개시하여 단계 1001로 진행되고, 본 루틴의 처리의 개시 직전의 소정 시각에 차 밖 온도 센서(101)가 검출한 차 밖 온도(Tair)가 소정의 임계값 차 밖 온도(Tath)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 밖 온도(Tair)가 소정의 임계값 차 밖 온도(Tath) 이상인 경우, 「투과부(85a)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얼음 및/또는 서리가 부착되거나 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따라서, 이 경우, CPU는 단계 1001에서 「No」로 판정하여 단계 1207로 진행되어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FF 상태로 설정한다(히터(43b)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 후, CPU는 단계 1095로 직접 진행되며,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이 결과, 스위치 소자(89)의 상태가 OFF 상태로 유지되므로, 히터(43b)가 발열하는 경우는 없다.
이에 비하여, 차 밖 온도(Tair)가 소정의 임계값 차 밖 온도(Tath)보다 낮은 경우, CPU는 단계 1001에서 「Yes」로 판정하여 단계 1002로 진행되고, 본 루틴의 처리의 개시 직전의 소정 시각에 차속 센서(102)가 검출한 차속(SPD)이 소정의 임계값 속도(SPDth)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100)는, 차속(SPD)이 임계값 속도(SPDth) 이상인 경우에 카메라 유닛(30)이 생성한 촬상 데이터에 의거한 운전 지원 제어를 실행한다. 따라서, 차속(SPD)이 임계값 속도(SPDth) 미만인 경우, 촬상 데이터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히터(43b)에 통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차속(SPD)이 임계값 속도(SPDth) 미만인 경우, CPU는 단계 1002에서 「No」로 판정하고, 단계 1007을 경유하여 단계 1095로 직접 진행된다. 이 결과, 스위치 소자(89)의 상태가 OFF 상태로 유지되므로, 히터(43b)가 발열되는 경우는 없다.
이에 비하여, 차속(SPD)이 임계값 속도(SPDth) 이상인 경우, CPU는 단계 1002에서 「Yes」로 판정하여 단계 1003으로 진행된다. 또한, 단계 1002는 생략되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임계값 속도(SPDth)는 「0km/h」여도 된다. 이 경우, CPU는 차속(SPD)에 관계없이 반드시 단계 1003으로 진행된다. CPU는, 단계 1003에 있어서, 본 루틴의 처리의 개시 직전의 소정 시각에 서미스터(30a)에 의해 검출된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가 소정의 정상 온도의 범위(카메라 유닛(30)의 동작이 보증되는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메라 유닛 온도(Tc)가 정상 온도 범위 내에 없는 경우, CPU는 단계 1003에서 「No」로 판정하고, 단계 1007을 경유하여 단계 1095로 직접 진행된다. 이 결과, 스위치 소자(89)의 상태가 OFF 상태로 유지되므로, 히터(43b)가 발열되는 경우는 없다.
이에 비하여, 카메라 유닛 온도(Tc)가 정상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CPU는 단계 1003에서 「Yes」로 판정하고, 이하에 서술하는 단계 1004 내지 단계 1006의 처리를 차례로 행하며, 단계 1095로 진행하여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또한, 단계 1001 내지 단계 1003의 전체에 있어서 「Yes」로 판정된 경우, 소정의 제어 개시 조건이 성립한다.
단계 1004: CPU는, 먼저, 상기 소정 시각에 차속 센서(102)가 검출한 차속(SPD)이, 소정의 저속 영역과 고속 영역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저속 영역의 범위는 0 이상 또한 50km/h 미만이며, 또한, 고속 영역의 범위는 50km/h 이상이다.
차속(SPD)이 저속 영역에 포함되는 차속인 경우, CPU는 Duty비 연산용 맵(룩업 테이블)으로서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을 선택한다. 그리고, CPU는 하기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맵에 상기 소정 시각의 히터 전압(Vh), 차 밖 온도(Tair) 및 차속(SPD)을 인수로서 적용함으로써, Duty비를 산출한다.
Duty비=MaPLo(Vh, Tair, SPD)
Duty비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소자(89)의 상태가 ON 상태인 시간(전압 인가 시간)을 Ton으로 규정하고, 스위치 소자(89)의 상태가 OFF 상태인 시간(전압 인가 정지 시간)을 Toff로 규정할 때, 하기 식에 의해 나타나는 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Ton+Toff를 1주기 ΔT로 하면, 상기 소정 시간(T)은 ΔT의 3배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T=3·ΔT). Duty비가 클수록, 소정 시간(T)에 있어서 히터(43b)에 의해 공급되는(히터(43b)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총 전력량)은 커지고, 따라서, 소정 시간(T)에 있어서의 히터(43b)의 발열량(총 발열량[J])은 커진다.
Duty비=[Ton/(Ton+Toff)]·100 (%)
한편, 차속(SPD)이 고속 영역에 포함되는 차속인 경우, CPU는 Duty비 연산용 맵으로서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을 선택한다. 그리고, CPU는 하기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맵에 히터 전압(Vh), 차 밖 온도(Tair) 및 차속(SPD)을 인수로서 적용함으로써, Duty비를 산출한다.
Duty비=MaPHi(Vh, Tair, SPD)
또한, 차 밖 온도(Tair) 및 차속(SPD)에 의거하여 목표 발열량(발열량의 목표값)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목표 발열량 및 전압(Vh)에 의거하여 Duty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실험에 의하면, 히터(43b)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이하, 「적절 온도 범위」라고 호칭한다.) 내에 유지할 수 있으면, 「광 투과부(85a)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 및, 광 투과부(85a)에 대한 얼음 및 서리 등의 부착」이 회피 가능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히터(43b)의 온도가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되면, 광 투과부(85a)의 온도가 「노점 온도 이상의 소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한편, 히터(43b)의 온도는, 히터(43b)의 소정의 시간(본 예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T))에 있어서의 발열량 및 히터(43b)로부터 빼앗기는 열의 양과 강한 상관을 가진다. 또한, 히터(43b)로부터 빼앗기는 열의 양은 광 투과부(85a)의 방열량에 강한 상관을 가진다. 광 투과부(85a)의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방열량은 「차 밖 온도(Tair) 및 차속(SPD)」에 강한 상관을 가진다. 이 때문에, 상기 소정 시각의 히터 전압(Vh), 상기 소정 시각의 차 밖 온도(Tair) 및 상기 소정 시각의 차속(SPD)은,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및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의 인수로서 이용된다.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및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은, 하나의 Duty비 연산용 맵(MapCo(Vh, Tair, SPD))에 통합되어도 된다. 이하,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및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 맵은 Duty비 연산용 맵이라고 호칭된다. Duty비 연산용 맵에 따라 산출되는 Duty비는,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시간(T)에 있어서의 히터(43b)의 발열량(공급 전력량)」의 목표값에 대응하는 값이다. 따라서, Duty비 연산용 맵은, 히터 전압(Vh), 차 밖 온도(Tair) 및 차속(SPD)과,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Duty비간의 실험에 의해 미리 구해진 관계에 의거하여 작성되며, ROM에 저장되어 있다.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및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 중 어느 것이 이용된 경우라도, 히터 전압(Vh)이 높을수록 Duty비는 작아진다.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및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 중 어느 것이 이용된 경우라도, 차 밖 온도(Tair)가 높을수록 Duty비는 작아진다.
히터 전압(Vh) 및 차 밖 온도(Tair)가 각각 소정의 일정값인 경우,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에 의해 구해지는 Duty비는,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에 의해 구해지는 Duty비보다 커진다. 또한, 저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Lo) 및 고속 시 Duty비 연산용 맵(MapHi) 중 어느 것이 이용된 경우라도, 차속(SPD)이 높을수록 Duty비는 커진다.
단계 1005: CPU는, Duty비 보정용 맵(MapD)에, 상기 소정 시각의 카메라 유닛 온도(Tc) 및 단계 1004에 있어서 산출된 Duty비를 적용함으로써, Duty비의 보정값인 보정 Duty비를 연산한다(하기 식을 참조.). Duty비 보정용 맵(MapD)은, Duty비 및 카메라 유닛 온도(Tc)와,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정 Duty비간의 실험에 의해 미리 구해진 관계에 의거하여 작성되며, ROM에 저장되어 있다. Duty비 보정용 맵(MapD)에 의하면, Duty비는, 카메라 유닛 온도(Tc)가 높을수록 보다 작아지도록 보정되고, 그 보정된 값이 보정 Duty비로서 산출된다.
보정 Duty비=MapD(Duty비, Tc)
단계 1006: CPU는, 보정 Duty비에 따라 히터(43b)의 통전 제어(발열량 제어)를 소정 시간(T)에 걸쳐 실행한다. 즉, CPU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Duty비에 의해 규정되는 전압 인가 정지 시간(Toff)에 걸쳐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FF 상태로 설정하고, 이어서, 보정 Duty비에 의해 규정되는 전압 인가 시간(Ton)에 걸쳐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N 상태로 설정하는 동작을, 3회 반복한다(시각 t0 내지 t6을 참조.). 그 후, 단계 1001의 처리를 개시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T)이 경과하면, CPU는 단계 1000에서부터 본 루틴을 재개한다.
그런데, 단계 1004에서 산출된 Duty비(즉, Duty비 연산용 맵에 의거하여 산출된 Duty비)에 따라 히터(43b)의 통전 제어를 소정 시간(T)에 걸쳐 실행한 경우라도, 히터(43b)의 온도가 적절 온도 범위보다 높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하나의 요인은, 카메라 유닛(3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카메라 유닛(3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피가열부(41a) 및 양면 테이프(42)를 통하여 히터(43b)에 미친다. 따라서, 히터(43b)의 온도는 카메라 유닛(30)으로부터 히터(43b)로 전달되는 열량의 영향을 받는다. 바꿔 말하면, 히터(43b)의 온도는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와 강한 상관을 가진다. 따라서,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유닛 온도(Tc)에 의해 나타나는 「카메라 유닛(30)으로부터 히터(43b)로 전달되는 열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CPU는 단계 1005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각의 카메라 유닛 온도(Tc)에 의거하여 Duty비를 보정함으로써, 최종적인 통전 제어에 사용하는 보정 Duty비를 구하고, 이 보정 Duty비에 의거하여 히터(43b)의 통전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촬영 장치는, 카메라 유닛(30)이 발생시키는 열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차량용 촬영 장치는, 「광 투과부(85a)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 및, 광 투과부(85a)에 대한 얼음 및 서리 등의 부착」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히터(43b)의 온도가 적절 온도 범위를 크게 초과하여 과도하게 높은 온도가 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43b)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품(예를 들면, PET 시트(43a))이 열 변형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회로가 퓨즈(44b)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전기 회로에 도 9의 「쇼트」의 양태로 쇼트(접지)가 발생하면, 제어 장치(100)가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FF 상태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IG 전원의 전력이 히터(43b)에 공급된다. 즉, 이 경우에는, IG 전원의 전력이 장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히터(43b)에 공급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히터(43b), 피가열부(41a) 및 이들의 주변부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어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촬영 장치(10)는 상기 전기 회로 상에 마련된 퓨즈(44b)를 구비하고 있다. 퓨즈(44b)의 가용 금속은, 히터(43b)로부터 리드선(44c, 44d)를 통하여 전달된 열 및 피가열부(41a)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다.
도 9의 「쇼트」의 양태로 상기 전기 회로에 쇼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히터(43b) 및 피가열부(41a)가 고온이 된다. 그러면, 퓨즈(44b)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의 온도가 되고, 그 결과 이 퓨즈(44b)가 용단된다. 그러면, IG 전원의 전력이 히터(43b)에 흐르지 않게 되므로, 히터(43b), 피가열부(41a) 및 이들의 주변부가 과잉하게 고온이 되는 것이 저지된다.
<실시 형태의 변형예>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된 제어 장치(100)의 CPU는, 도 10의 플로우 차트 대신에 도 12의 플로우 차트에 의해 나타나는 루틴을 상기 소정 시간(T)이 경과할 때마다 실행해도 된다. 이 플로우 차트의 단계 1201, 1202, 및 1203은, 단계 1001, 1002, 및 1003과 각각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의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CPU는, 단계 1203에서 「Yes」로 판정하면, 이하에 서술하는 단계 1204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1204: CPU는, 하기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의 ROM에 기억시키고 있는 목표 발열량 연산용 맵(룩업 테이블)(MaPEt)에 소정 시각의 차 밖 온도(Tair) 및 차속(SPD)을 인수로서 적용함으로써, 목표 발열량(Et)을 산출한다. 목표 발열량(Et)은,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시간(T)에 있어서의 히터(43b)의 발열량(공급 전력량)」의 목표값이다.
목표 발열량(Et)=MaPEt(Tair, SPD)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히터(43b)의 온도는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목표 발열량 연산용 맵(MaPEt)은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카메라 유닛(30)이 히터(43b)에 미치는 열량)를 고려하지 않고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CPU는, 이하에 서술하는 단계 1205 및 단계 1206의 처리를 차례로 행하며, 단계 1295로 진행되어 본 루틴을 일단 종료한다.
단계 1205: CPU는, 목표 발열량 보정용 맵(MaPEtc)에, 상기 소정 시각의 카메라 유닛 온도(Tc) 및 단계 1204에 있어서 산출된 목표 발열량(Et)을 적용함으로써, 목표 발열량(Et)의 보정값인 보정 목표 발열량(Etc)을 연산한다(하기 식을 참조.). 목표 발열량 보정용 맵(MaPEtc)은, 목표 발열량(Et) 및 카메라 유닛 온도(Tc)와, 히터(43b)의 온도를 적절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정 목표 발열량(Etc)간의 실험에 의해 미리 구해진 관계에 의거하여 작성되며, ROM에 저장되어 있다. 목표 발열량 보정용 맵(MaPEtc)에 의하면, 목표 발열량(Et)은, 카메라 유닛 온도(Tc)가 높을수록 작아지도록 보정되고, 그 보정된 값이 보정 목표 발열량(Etc)으로서 산출된다.
보정 목표 발열량(Etc)=MapEtc(Et, Tc)
단계 1206: CPU는, 보정 목표 발열량(Etc)에 따라 히터(43b)의 통전 제어(발열량 제어)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CPU는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IG 전원으로부터 히터(43b)로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43b)로부터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CPU는,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N 상태로 변경한 시점에서부터 하기의 식 (1)에 의거하여 히터(43b)가 실제로 발생시킨 실제 발열량(총 열량, 열량의 적산값) E(t)을 연산한다. 또한, t는 시간, R은 히터(43b)의 저항값, V는 히터(43b)의 전압이다. V로서 상기 서술한 히터 전압(Vh)이 사용된다.
[식 1]
Figure pat00001
또한 CPU는, 단계 1206에 있어서, 식 (1)에 의거하여 산출한 실제 발열량(E(t))이 보정 목표 발열량(Etc)에 도달하였는지(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하고, 실제 발열량(E(t))이 보정 목표 발열량(Etc)에 도달하였을 때에 스위치 소자(89)의 상태를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변경한다. 그 후, 단계 1201의 처리를 개시한 시점에서부터 소정 시간(T)이 경과하면, CPU는 단계 1200에서부터 본 루틴을 재개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는, 카메라 유닛(30)의 발열량 및 광 투과부(85a)를 통하여 카메라 유닛(30)에 부여되는 자연광의 일사량과 상관 관계가 있다. 이 때문에, 서미스터(30a)에 의해 카메라 유닛(30)의 발열량을 추정하고 또한 카메라 유닛(30) 내에 마련한 광량 검출 센서에 의해 렌즈(32a)를 투과한 자연광의 광량(일사량)을 검출하고, 카메라 제어 ECU(106)가 이 발열량 및 일사량에 의거하여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를 연산해도 된다.
또한 히터(43b)의 온도는, 카메라 유닛(30)의 온도(Tc)에 더해, 차량의 실내 온도(Ti)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 온도(Ti)를 고려하여 히터(43b)의 통전 제어를 실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내 온도 센서(103)가 검출한 실내 온도(Ti)가 기준 온도(T0)에 대하여 온도(dT)만큼 낮은 경우, 그 온도(dT)에 따른 소정량만큼 히터(43b)의 온도는 저하된다. 이 때문에, 이 소정량 분만큼 히터(43b)의 목표 발열량(Et)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실내 온도(Ti)에 기인하는 목표 발열량(Et)의 증가 필요분을 ΔTi=f(Ti)라고 하면, 최종적인 보정 목표 발열량(Etc)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이 경우의 기준 온도(T0)는, 목표 발열량 연산용 맵(MaPEt) 및 목표 발열량 보정용 맵(MaPEtc)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구했을 때의 실내 온도이다. CPU는, 하기의 식에 따라 보정 목표 발열량(Etc)을 구하고, 그 보정 목표 발열량(Etc)에 의거하여 히터(43b)의 통전 제어를 행하면 된다.
보정 목표 발열량(Etc)=단계 1205에서 산출한 보정 목표 발열량(Et)+ΔTi
혹은, CPU는, 단계 1005에서 이용하는 Duty비 보정용 맵(MapD)의 인수에 실내 온도(Ti)를 더해도 된다. 즉, 하기의 식에 의해 보정 Duty비를 구해도 된다.
보정 Duty비=MapD(Duty비, Tc, Ti)
또한 히터(43b)의 온도는,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값인 작동 상황값(Sc)의 영향도 받는다. 따라서, 작동 상황값(Sc)을 고려하여 히터(43b)의 통전 제어를 실행하면 된다. 작동 상황값(Sc)은, 에어컨디셔너의 설정 온도, 풍량 및 풍향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며, 히터(43b)의 온도를 낮추는 영향 정도가 클수록 커진다. 예를 들면, 작동 상황값(Sc)은, 설정 온도가 낮을수록 커지고, 풍량이 클수록 커지며, 풍향이 히터(43b)를 향하는 경우에는 히터(43b)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 비해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상황값(Sc)이 기준 작동 상황값(Sc0)에 비하여 소정값(dSc)만큼 큰 경우, 그 소정값(dSc)에 따른 소정량만큼 히터(43b)의 온도는 저하된다. 이 때문에, 이 소정량 분만큼 히터(43b)의 목표 발열량(Et)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작동 상황값(Sc)에 기인하는 목표 발열량(Et)의 증가 필요분을 ΔSc=g(Sc)라고 하면, 최종적인 보정 목표 발열량(Etc)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이 경우의 기준 작동 상황값(Sc0)은, 목표 발열량 연산용 맵(MaPEt) 및 목표 발열량 보정용 맵(MaPEtc)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구했을 때의 실내 온도이다.
보정 목표 발열량(Etc)=단계 1205에서 산출한 보정 목표 발열량(Et)+ΔSc
혹은, CPU는, 단계 1005에서 이용하는 Duty비 보정용 맵(MapD)의 인수에 작동 상황값(Sc)을 더해도 된다. 즉, 하기의 식에 의해 보정 Duty비를 구해도 된다.
보정 Duty비=MapD(Duty비, Tc, Sc)
또한, CPU는, 단계 1005에서 이용하는 Duty비 보정용 맵(MapD)의 인수에, 실내 온도(Ti) 및 작동 상황값(Sc)을 가해도 된다. 즉, 하기의 식에 의해 보정 Duty비를 구해도 된다.
보정 Duty비=MapD(Duty비, Tc, Ti, Sc)
이와 같이 실내 온도(Ti) 또는/및 작동 상황값(Sc)을 고려하여 히터(43b)에 통전한 경우에는, 히터(43b)가 피가열부(41a)를 통하여 광 투과부(85a)에 부여하는 열량이 과소해질 우려가 저감된다. 이 때문에, 광 투과부(85a)의 결로, 얼음, 및 서리가 소실되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대신에, 룩업 테이블의 인수를 변수로서 가지는 계산식에 의해, Duty비, 보정 Duty비, 목표 발열량(Et) 및 보정 목표 발열량(Etc)을 구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의 CPU는, 단계 1004 및 단계 1005의 처리를 행하는 대신에, 이하의 룩업 테이블 MaP1 내지 MaP4 중 어느 것에 의해 보정 Duty비를 직접 산출해도 된다.
보정 Duty비=MaP1(Vh, Tair, SPD, Tc)
보정 Duty비=MaP2(Vh, Tair, SPD, Tc, Ti)
보정 Duty비=MaP3(Vh, Tair, SPD, Tc, Sc)
보정 Duty비=MaP4(Vh, Tair, SPD, Tc, Ti, Sc)
마찬가지로, 상기 서술한 변형예의 CPU는, 단계 1204 및 단계 1205의 처리를 행하는 대신에, 이하의 룩업 테이블 MaP5 내지 MaP8 중 어느 것에 의해 보정 목표 발열량(Etc)을 직접 산출해도 된다.
보정 목표 발열량(Etc)=MaP5(Vh, Tair, SPD, Tc)
보정 목표 발열량(Etc)=MaP6(Vh, Tair, SPD, Tc, Ti)
보정 목표 발열량(Etc)=MaP7(Vh, Tair, SPD, Tc, Sc)
보정 목표 발열량(Etc)=MaP8(Vh, Tair, SPD, Tc, Ti, Sc)
상기 소정 시각이, 스위치 소자(89)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한 시각이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IG 전원의 전압(Vp)과 히터(43b)의 전압(Vh)이 동등해진다.
차량용 촬영 장치를, 프론트 윈드실드와는 다른 창부에 장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해물을 검출 가능해지도록, 차량의 백 윈드실드에 차량용 촬영 장치를 장착해도 된다.
10…차량용 촬영 장치, 30…카메라 유닛, 30a…서미스트, 43b…히터, 85…프론트 윈드실드(창부), 85a…광 투과부, 89…스위치 소자, 95…가열 장치, 100…제어 장치, 101…차 밖 온도 센서.

Claims (5)

  1. 차량에 마련된 창부의 내측에 배치하여 마련되고 또한 상기 창부를 투과한 촬영광을 수광하는 촬영 장치와,
    상기 창부의 내측에 배치하여 마련되고 또한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차량 외측의 차 밖 온도를 검출하는 차 밖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차 밖 온도 검출 수단이 검출한 상기 차 밖 온도와 상기 촬영 장치의 온도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할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연산하고, 상기 목표값에 상당하는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이,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전열선인 히터와,
    상기 히터가 고정되며,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받음으로써 상기 창부에 복사열을 미치게 하는 피가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촬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의 온도인 차내 온도를 검출하는 차내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차내 온도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기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크게 한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상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촬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마련된 에어컨디셔너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에어컨디셔너 작동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기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크게 한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상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촬영 장치.
  5. 차량에 마련된 창부의 내측에 촬영 장치와 함께 배치하여 마련되는 가열 장치로서,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차량 외측의 차 밖 온도와 상기 촬영 장치의 온도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할 전력량의 목표값에 상당하는 양을 연산하고, 상기 목표값에 상당하는 전력량을 상기 가열 수단에 공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열 장치.
KR1020180169079A 2017-12-27 2018-12-26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 KR102160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0526A JP6939535B2 (ja) 2017-12-27 2017-12-27 車両用撮影装置及び加熱装置
JPJP-P-2017-250526 201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56A true KR20190079556A (ko) 2019-07-05
KR102160757B1 KR102160757B1 (ko) 2020-09-28

Family

ID=6383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079A KR102160757B1 (ko) 2017-12-27 2018-12-26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44957B2 (ko)
EP (1) EP3506618B1 (ko)
JP (1) JP6939535B2 (ko)
KR (1) KR102160757B1 (ko)
CN (1) CN109969137B (ko)
BR (1) BR102018077118A2 (ko)
RU (1) RU271236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5261B2 (ja) * 2017-12-12 2022-08-2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撮影装置
JP6904242B2 (ja) * 2017-12-27 2021-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撮影装置及び加熱装置
JP7044692B2 (ja) * 2018-12-20 2022-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撮影システム
JP2020117070A (ja) * 2019-01-23 2020-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制御装置
JP6877604B1 (ja) * 2020-02-20 2021-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カメラ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部品温度推定方法
US11323624B2 (en) * 2020-09-01 2022-05-03 Lineage Logistics, LLC Image sensing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004A (ja) * 2012-11-20 2014-06-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センサ搭載構造及びシステム連携方法
JP2015517649A (ja) * 2012-05-04 2015-06-22 アンスティテュ・パストゥール マルチプレックス免疫スクリーニングアッセイ
JP2017144937A (ja) * 2016-02-19 2017-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JP2017185896A (ja) 2016-04-06 2017-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2625B2 (en) * 2002-10-03 2006-11-07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article having a configured heating member
US9301343B2 (en) * 2008-02-19 2016-03-29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Window-glass heating device
US9796359B2 (en) * 2012-02-23 2017-10-24 The Raymon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preventing lens surface contamination on a vehicle lens
JP6274049B2 (ja) * 2014-08-06 2018-0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撮像装置
JP6439471B2 (ja) * 2015-02-05 2018-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防曇解氷装置
US10222575B2 (en) * 2015-02-06 2019-03-05 Flir Systems, Inc. Lens heater to maintain thermal equilibrium in an infrared imaging system
KR101924061B1 (ko) * 2016-01-07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보조 장치 및 차량
JP6555190B2 (ja) * 2016-05-18 2019-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撮影装置
JP6402866B2 (ja) * 2016-08-29 2018-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ガラス加熱装置
DE102016223709A1 (de) * 2016-11-29 2018-05-3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Kamerasystem in oder für ein Kraftfahrzeug, Fahrerassistenzsystem
JP6939536B2 (ja) * 2017-12-27 202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7649A (ja) * 2012-05-04 2015-06-22 アンスティテュ・パストゥール マルチプレックス免疫スクリーニングアッセイ
JP2014101004A (ja) * 2012-11-20 2014-06-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センサ搭載構造及びシステム連携方法
JP2017144937A (ja) * 2016-02-19 2017-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JP2017185896A (ja) 2016-04-06 2017-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39535B2 (ja) 2021-09-22
RU2712360C1 (ru) 2020-01-28
BR102018077118A2 (pt) 2019-07-16
EP3506618B1 (en) 2020-07-15
US10744957B2 (en) 2020-08-18
US20190193647A1 (en) 2019-06-27
CN109969137A (zh) 2019-07-05
CN109969137B (zh) 2022-06-03
JP2019116146A (ja) 2019-07-18
EP3506618A1 (en) 2019-07-03
KR102160757B1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556A (ko) 차량용 촬영 장치 및 가열 장치
US10397982B2 (en) Photographing device for vehicle
JP6904242B2 (ja) 車両用撮影装置及び加熱装置
US10953853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heating device
CN107444343B (zh) 车辆用拍摄装置
JP7006258B2 (ja) 車両用撮影装置及び加熱装置
JP6583651B2 (ja) 加熱装置
US20210190924A1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JP6958415B2 (ja) 車両用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