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844A -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844A
KR20190076844A KR1020180139140A KR20180139140A KR20190076844A KR 20190076844 A KR20190076844 A KR 20190076844A KR 1020180139140 A KR1020180139140 A KR 1020180139140A KR 20180139140 A KR20180139140 A KR 20180139140A KR 20190076844 A KR20190076844 A KR 2019007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conductive film
sputter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명
문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10714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28278B/zh
Publication of KR2019007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2Oxides of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8Oxides of the type ABO3 with A represent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 or Pb and B representing a refractory or rare earth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23C14/3414Metallurgical or chemical aspects of target preparation, e.g. casting, powder metallurg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5Sputtering by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e.g. magnetron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by physical means, e.g.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상기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본 출원은 2017년 12월 22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177885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전도성막은 빛의 투과성이 높으면서 전기가 통하는 성질을 가지는 얇은 박막을 의미하며,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ECD), 유기 전계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ce), 태양 전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전자페이퍼, 터치패널 등의 전압 인가형 공통 전극이나 화소 전극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투과시키면서, 동시에 높은 전도성을 갖도록 재료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가시광선 영역(400nm ~ 700nm 파장)에서 투명하기 위해서는 전자 에너지 밴드 갭(electronic energy bandgap)이 400nm 파장의 전자기파 에너지인 3.1eV 이상 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는 산화물 반도체들은 ZnO(3.3eV), In2O3(3.7eV), SnO2(3.6eV)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TCO는 가시광 영역에서 80%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지며, 전기적 특성으로서, 고유저항(resistivity)이 약 10-4 Ωcm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TCO에 사용되는 물질을 찾아내기 위하여, 지금까지 여러 가지 물질에 도핑(doping), 합금(alloying) 등을 수행하는 방식의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In2O3의 경우 SnO2나 ZnO보다 낮은 고유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가장 먼저 상용화되었고,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는 것이 ITO(Sn doped In2O3)이다.
ITO는 현재, LED,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전극과, 태양전지 등에 적용되고 있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10-4 Ωcm 정도, 실험실 수준에서는 10-5 Ωcm 정도로서 금속에 가까운 수준의 낮은 고유저항값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ITO는 In이 희귀원소로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산소 플라즈마에 노출되면 In이나 Sn이 산화되어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더군다나, ITO는 n-타입 반도체로써 p-타입 반도체로의 변환이 불가능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사실 때문에 ITO 만으로는 호모 접합 회로소자를 구성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4093호
당 기술분야에서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제조공정이 간단한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BapLaqSnmOn
상기 화학식 1에서,
p, q, m 및 n은 원자 함량비로서,
p,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초과 6 이하이고,
q는 0 내지 1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전도도, 광학투과도 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은, RF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250℃ 이하의 저온증착이 가능하고, 대면적, 고속증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BaSnO3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의 광학투과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의 밴드 갭 에너지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의 XPS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은 LCD, PDP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산업은 물론이고, 차세대 플렉시블 디바이스, 투명 AMOLED, OLED 조명, 태양 전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메탈옥사이드 물질의 불안정성(instability) 문제와 실리콘(silicon) 기반 반도체의 전기이동도와 같은 광전성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난 30여년간 있어 왔다. 특히, 메탈옥사이드의 상태 불안정성이 어디에서 오는가 하는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학문적 의구심 혹은 실효적 증거를 볼 수 있었던 것은 비교적 근래에 들어서야 가능했다.
조금 자세히 살펴보자면, 메탈 양이온이 옥시전 음이온(2-)에 의해 둘러 쌓여 있는 이들의 구조는 정육면체(cubic) 혹은 헥사고날(hexagonal)이며, 금속 싸이트는 전형적인 옥타헤드랄(6 coordinate) 혹은 테트라헤드랄(4 coordinate)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다양한 결정학적 형태(rocksalt, corundum, rutile, wurtzite, fluorite, perovskite and spinel)는 전기적, 광학적 변이를 유발하기도 한다. 전자구조적으로 옥시전의 2p 오비탈과 메탈의 3d 오비탈로 구성된 가전자대역에서 4s, 5s 등으로 이루어진 전도대역으로의 전이에서 그 원천적인 문제를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로 d 오비탈의 존재가 원하지 않는 비탄성산란(inelastic scattering)의 원인이며, 이는 에너지 대역간 포논발생을 유발해서 에너지 손실을 동반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d 오비탈이 없는 메탈옥사이드 물질을 찾거나 합성하는 것이 우리가 원하는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광전자 기술영역에서 원하는 고이동도 혹은 마그네티즘 디바이스의 제작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메탈옥사이드로 Ruddlesden-Popper (RP) type 초격자 물질을 떠올릴 수 있다.
일반적인 이원계 메탈옥사이드 물질보다 한단계 더 복잡한 물질인 페롭스카이트는 초전도체로서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를테면 4d 혹은 5d 오피탈 물질의 도펀트를 이용하면 다양한 마그네티즘 성질을 확보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RP type 초격자 물질은 페롭스카이트 중에서도 한층 더 추가되는 모듈레이션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전기광학적인 기능과 마그네티즘을 위한 스핀의 커플링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메탈옥사이드 보다 훨씬 질서화(ordered) 된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서는 페롭스카이트 구조의 물질로서 바륨 주석 산화물(barium tin oxide, BSO)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바륨 주석 산화물로서 BaSnO3의 구조를 하기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1에서는 디펙트를 고려한 hydrogen이 격자 내 옥시전 사이트에 4가지 각기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것까지 보여주고 있다.
상기 BSO와 ITO를 이용하여 제조한 박막(두께 약 120nm ~ 140nm 기준)의 물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BSO는 상온에서 고이동도(high mobility)를 가지는 페롭스카이트 물질임과 동시에 광학투과도가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BapLaqSnmOn
상기 화학식 1에서,
p, q, m 및 n은 원자 함량비로서,
p,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초과 6 이하이고,
q는 0 내지 1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 기술분야의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일 수 있으니,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COP(cyclo-olefin polymer), PI(polyimide) 등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고, 1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바륨 주석 산화물(barium tin oxide, BSO) 또는 란타넘 도핑된 바륨 주석 산화물(La doped barium tin oxide, BLSO)의 제조시에는, 분자빔 에피텍시법(molecular beam epitaxy), 펄스 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등을 이용하였고, 550℃ 이상의 고온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서는, 250℃ 이하의 저온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BSO 또는 BLSO를 포함하는 박막을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플라스틱(PET, COP, PEN 등) 기재 위에 BLSO를 증착하기 위해서는 약 200℃ 또는 과도하게는 250℃ 이하의 온도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이 온도 이상에서는 플라스틱 기재가 변형을 유발하여 형태와 광학투과도 등의 물성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타 증착법과는 다르게 기재의 온도를 높이지 않은 상태에서 물리적인 타격으로 BLSO 타겟의 원자를 떼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고온에서 이루어진 타 증착법과 같은 수준의 고이동도 BLSO 투명전도박막을 스퍼터링을 이용한 저온에서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발명의 중요한 장점이다. 이로써 기재의 종류와 사용범위에 제한받지 않고 고이동도 박막을 만들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은 챔버 내(평상시 10-3 ~ 10-8 torr 유지)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타켓을 장착하여, Ar 등의 작용가스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롤투롤(Roll-to-Roll) 프로세스로 적용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의 두께는 200nm ~ 1,000nm로 조정 가능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은 0.5 Å/sec 내지 1.5 Å/sec의 증착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타겟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의 면저항은 10 Ω/sq 내지 14 Ω/sq 일 수 있고, 상기 박막의 광학투과도는 350nm 내지 1,000nm의 두께에서 9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의 면저항은 접촉식(예, 4-probe point measurement) 또는 비접촉식 측정기(당 발명에서는 EP-80P noncontact resistivity tester, NAPSON Corp.)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광학투과도는 UV-Visible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학밴드갭 측정은 파장별 광학투과도 값을 Tauc Relationship equation을 사용하여 도 3과 같이 hv에 대한 (αhv)n n=1/2~2 플롯팅을 하고 이에 대한 외삽근사(extrapolation)를 통해 얻어낼 수 있다.
상기 특성 면저항과 광학투과도 등은 BLSO 박막만의 특성이다.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에 대한 면저항은 무한대로 높지만, BLSO 박막을 형성한 후 측정하였을 때 10 내지 14 Ω/sq 이하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학투과도는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을 베이스라인으로 보정한 후 BLSO만의 투과도를 추출한 것으로 이는 투명박막 광학투과도 측정법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랐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 제조되는 투명 전도성막은 전자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을 하기 도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투명 전도성막은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ECD), 유기 전계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ce), 태양 전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전자페이퍼, 터치패널 등의 공통 전극, 화소 전극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래 BLSO가 주목하는 부분은 페롭스카이트 솔라셀의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으로 쓰일 경우 전체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액체 상태의 콜로이드 BLSO를 사용한 경우에도 그 도막 상태가 매우 조악할 수준이지만 페롭스카이트 솔라셀의 에너지 효율이 19.7%에서 21.2%로 약 1.5% 정도 개선되었다는 학술논문(shin et al., science v356, 167-171, 2017)이 있으며, 만약 본 발명과 같이 결정성이 높고 화학정량식이 보다 정확한 박막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페롭스카이트 솔라셀의 에너지 효율은 적게는 2배 ~ 3배, 많게는 4배 ~ 5배 이상 증가하게 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콜로이드 박막, 비정질 박막, 혼합정질 박막, 그리고 단결정 박막의 수준으로 전기저항값이 낮아지는 범용 지식의 범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4에도 표기되어 있듯이, 550℃ 이상, 10- 5torr 이하의 고온 및 고진공 상태에서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던 BLSO 박막증착이 당 발명과 같은 저온, 고속 스퍼터링 조건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을 화학정량식으로 알 수 있다. 가장 이상적으로는 Ba/Sn/O의 비율(도펀트인 La은 Ba 대비 10% 이하 치환이 바람직함)이 1/1/3으로 구성된 것이 페롭스카이트 결정이지만 현실적인 원소의 비율은 어떤 증착방법이라 할 지라도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의 화학정량식은 이러한 의미에서 이상적인 La doped BaSnO3 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다.
이하,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실시예 1>
0.5mm 두께의 유리 기판 상에, La 5% 도핑된 BaSnO3 타겟을 이용하고 RF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La 5% 도핑된 BaSnO3 타겟은 3inch의 원형 타겟(태원과학)을 이용하였고,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의 조건은 아래와 같다.
RF power control: gun#3 set 150W, forward power: 148W, reflected power 1W, Bias: 66V, RF matching load indicate 508, tune indicate -154,
Setting Temp.: 107℃, sputter time: 1,200sec, vac. annealing 5min
Deposition rate: 0.7 Å/sec
Gas: Ar 5 mTorr ~ 10 mTorr
제조된 박막의 두께는 360nm 였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의 조건 중 sputter time을 3,000sec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된 박막의 두께는 912nm 였고, 박막의 조성은 Ba1 . 0La0 . 087Sn2 . 22O4 . 83 이었다.
상기 박막의 두께 측정은 엘립소미터(Elipsometer)와 같은 광학적인 방법이나 전자현미경(FE-SEM)과 같은 이미지측정으로 가능하며, 혹은 마이크로미터와 같은 간이식 도구로도 측정이 가능하다. 박막의 조성은 Monochromatic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ESCA)로 측정한 원소별 스펙트럼 면적을 chemical sensitivity factor로 각각 나눈 후 그 비율을 통해 구해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투명 전도성막의 광학투과도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의 결과와 같이, 유리 기판 상의 La-doped BaSnO3는 550nm 파장에서 약 94%, 그리고 650nm 파장에서 92% 이상의 광학투과도를 가졌다.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그래프가 물결치는 것은 유리 기판과 박막간 굴절율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박막의 두께가 2.5배 정도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도는 대동소이한 것을 보였다.
상기 광학투과도는 아래 도 2와 같은 UV-Visible Spectrum에서 x축 wavelength에 대한 y축 % transmittance 값을 대입하여 구해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의 투명 전도성막의 밴드 갭 에너지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Tauc relationship을 적용하여 direct gap을 도출하면 Eg=3.85eV에 근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투명 전도성막이 투명한 전도체 물질(Eg > 3.1eV)로써 손색이 없다는 것이 밴드갭 측정으로도 증명되고 있다.
광학밴드갭 측정은 파장별 광학투과도 값을 Tauc Relationship Equation을 사용하여 도 3과 같이 hv에 대한 (αhv)n n=1/2~2 플롯팅을 하고 이에 대한 외삽근사(extrapolation)를 통해 얻어낼 수 있다. 여기서 h는 planck constant, v는 wave number, α는 optical absorption coefficient, n은 외삽근사 기울기에서 알 수 있는 direct bandgap(1 or 2) 혹은 indirect bandgap(0.5 or 1.5)에 대한 값이다.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유리 기판 대신에 보론 도핑된 실리콘 (100) 단결정 기판을 이용하고, RF 스퍼터링 공정의 조건 중 Setting Temp.을 250℃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된 박막의 두께는 약 1,000nm 였고, 박막의 조성은 Ba1 . 0La0 . 11Sn2 . 18O5 . 43 이었다.
<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La 5% 도핑된 BaSnO3 타겟 대신에 La 도핑되지 않은 BaSnO3 타겟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된 박막의 두께는 약 1,000nm 였고, 박막의 조성은 Ba1 . 0Sn1 . 54O3 . 96 이었다.
상기 실시예 3 및 4의 투명 전도성막의 XPS 분석 결과를 하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4에서는 BSO와 BLSO의 survey scan 스펙트럼들을 보여주고 있다. 두 BSO와 BLSO의 결정성을 보기 위해 다소간 높은 두께인 1000nm로 증착 되었다. BSO 필름은 p-type doping의 효과를 보기 위해 O2 가스를 Ar 가스 대비 50 : 1로 흘려주며 플라즈마를 발생시킨 것이다. 비접촉 면저항 측정기(EP-80P noncontact resistivity tester, NAPSON Corp.)를 통해 약 11 Ω/sq를 얻었다.
하기 도 5의 위쪽 도면의 원자내각에 위치하는 오비탈 전자들의 스펙트럼을 보면 O1s와 겹치는 부분에 Sb3d5 /2가 있어 구분이 쉽지 않지만, 539eV 지점에 Sb3d3 /2 오비탈 스펙트럼의 존재로서 불순물 안티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아래쪽 도면에서는 La 5% 도핑된 BSO의 내각 오비탈과 valence band 스펙트럼을 볼 수 있으며, 특히 n-type 도펀트인 La의 존재를 확실히 나타내고 있다. La3d5 /2와 La3d3/2 스펙트럼이 각각 2개로 분리되어 부반응 물질인 La2O3와 LaH2의 존재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전자전이 후 안정화 과정의 LaO shake-up satellite에서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BSO와 BLSO의 valence band 스펙트럼을 나타내었고, valence band edge 값을 extrapolation을 이용해서 La doping 후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가늠하였다. 평균 0.1eV 정도 VBM이 좌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때 La이 n-type doping의 인자로써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비교예 1>
비교예로서 분자빔 에피텍시는 미국 Bell Lab에서 시작한 반도체 에피텍시 방법의 대표적인 고진공(10- 9torr on idle, 10-5~10- 6torr on working) 단결정 박막성장의 한 기술로서 실리콘 기판이나 YSZ, Al2O3 단결정 기판의 온도를 최저 550℃, 최대 800℃ 내지 900℃까지도 올려서 BLSO 박막성장을 하였다. 이 때 사용되는 소스 물질은 Ba 99.99% 이상, Sn 99.99% 이상, Oxygen Plasma(산소 기체를 10- 5torr 정도 주입 유지한 상태에서 13.56MHz RF source로 동조시켜 플라즈마 발생) 등이다. 도펀트 물질인 La(혹은 LaO or La2O3) 또한 99.99% 이상의 그레이드를 사용하였다. 기판의 크기는 Si Wafer 크기인 4인치 내지 12인치 정도까지 쓰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그룹으로는 미국 Cornell University의 Schlom, Yale University의 Ahn 등이 있다.
< 비교예 2>
펄스 레이저 데포지션 기술을 사용하여 BLSO를 증착하는 기술은 증착챔버의 수준은 고진공(10-7~10- 8torr on idle, 10-4~10- 5torr on working), 기판은 Al2O3 단결정 혹은 Si 단결정 기판을 쓰고 그 크기는 2inch~3inch까지 가능하다. 타겟물질은 BaSnO3:La 형태로 solid state synthesis기반의 펠렛(BaCo3, SnO2, La2O3 파우더를 고열처리하여 제작)으로 준비하여, 챔버 내에서 Nd-YAG와 같은 레이저 빔으로 플라즈마불꽃(plumb)을 생성시켜 기판에 데포지션을 수행하였다. 분자빔 에피텍시와는 다르게 펄스레이저에 사용되는 BLSO 타겟의 화학시성식이 정확하게 맞춰지기 어렵다는 것은 스퍼터링 타겟과 함께 겪는 아쉬운 점이다. 정확한 화학시성식의 타겟이 최종 데포지션 되는 박막의 시성식에 도움을 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증착조건의 최적화가 증착기술의 핵심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로는 저온 고속 Roll to roll 증착이 가능한 RF 마그네트론을 적용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550mm 기폭 이상의 대면적 증착이 가능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혹은 대형 솔라셀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일반적인 ITO, ZnO와 같은 투명전극 물질과 같은 수준의 케리어 밀도 1018~1020cm-3에서는 mobility가 200 cm2/Vsec 정도로 2배 이상이며, 케리어 밀도 1011cm-3에서는 최대 3,000 cm2/Vsec 정도까지 mobility를 보여준다. 면저항 또한 10 Ω/sq 내지 14 Ω/sq으로 매우 우수하다. 광학투과도는 평균 92% 이상으로 기존의 어떤 투명 전극 물질보다 뛰어난 것으로 측정된다. 밴드갭이 3.1eV 내지 최대 3.85eV에 이를 정도로 가시광 파장대역의 빛을 잘 투과시켜 투명 전극 물질로써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한가지 더 언급하자면, 수분이나 가혹한 온도 조건에서의 경시변화가 거의 없는 물질임은 학계에서도 이미 인정한 사실이다. 고려청자를 구울 때 2,500℃의 가혹조건에서도 변하지 않는 물질일 정도로 안정적인 물질로 유명하며, 이는 반도체 기술의 산화를 방지하는 물질에도 부합하는 큰 장점을 내세울 수 있다.

Claims (8)

  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RF 스퍼터링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1]
    BapLaqSnmOn
    상기 화학식 1에서,
    p, q, m 및 n은 원자 함량비로서,
    p,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초과 6 이하이고,
    q는 0 내지 1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인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은 1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은 0.5 Å/sec 내지 1.5 Å/sec의 증착속도로 수행되는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스퍼터링 공정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타겟을 이용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막의 두께는 200nm 내지 1,000nm인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막의 면저항은 10 Ω/sq 내지 14 Ω/sq인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막의 광학투과도는 350nm 내지 1,000nm의 두께에서 92% 이상인 것인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KR1020180139140A 2017-12-22 2018-11-13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KR20190076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40737A TWI728278B (zh) 2017-12-22 2018-11-16 製造透明導電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85 2017-12-22
KR20170177885 2017-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844A true KR20190076844A (ko) 2019-07-02

Family

ID=6699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140A KR20190076844A (ko) 2017-12-22 2018-11-13 투명 전도성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24109B2 (ko)
EP (1) EP3730669A4 (ko)
JP (1) JP2020537321A (ko)
KR (1) KR20190076844A (ko)
CN (1) CN111225993B (ko)
TW (1) TWI728278B (ko)
WO (1) WO2019124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7505B2 (ja) 2020-03-31 2024-02-0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薄膜
CN112695380B (zh) * 2020-11-19 2021-12-28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透明导电氧化物薄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93A (ko) 2016-04-04 2017-10-13 한국화학연구원 BaSnO3 박막 및 이의 저온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7411A (en) * 1991-02-19 1997-01-28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Method of forming a single crystal material
JP3770194B2 (ja) * 2001-04-27 2006-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1705B2 (ja) * 2006-01-20 2010-1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ーゲット材料
US20080153280A1 (en) * 2006-12-21 2008-06-26 Applied Materials, Inc. Reactive sputter deposition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W200927972A (en) 2007-10-03 2009-07-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Method for making indium oxide tranparent conductive film
US20100259466A1 (en) * 2007-12-26 2010-10-14 Osamu Inoue Plasma display panel
WO2009153870A1 (ja) * 2008-06-18 2009-12-23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相変化メモリ素子、相変化メモリセル、真空処理装置及び相変化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JP5296468B2 (ja) * 2008-09-19 2013-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JP2010245366A (ja) 2009-04-08 2010-10-28 Fujifilm Corp 電子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US8221909B2 (en) * 2009-12-29 2012-07-17 Ut-Battelle, Llc Phase-separated, epitaxial composite cap layers fo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10308580A1 (en) * 2010-01-22 2011-12-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erroic materials having domain walls and related devices
KR101672346B1 (ko) 2010-12-02 201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전도성 물질의 설계 방법 및 안티몬이 도핑된 바륨 주석 산화물 단결정의 제조방법
KR101348271B1 (ko) * 2012-04-05 2014-01-09 (주)알에프트론 투명 화합물 반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37297B1 (ko) 2012-09-14 2013-1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은 전하 이동도를 갖는 산화물 반도체 제조 시스템 및 방법
WO2014174811A1 (ja) * 2013-04-26 2014-10-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素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に用いられる水素生成デバイス
KR101463234B1 (ko) 2013-07-29 2014-1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TWI631721B (zh) * 2013-08-06 2018-08-01 新南革新股份有限公司 高效率堆疊太陽電池
CN103762227B (zh) 2014-01-22 2016-05-04 北京大学 一种氧化物薄膜、含有该薄膜的晶体管及其制备方法
US9927667B2 (en) * 2014-08-11 2018-03-27 Sci Engineered Materials, Inc. Display having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comprising metal doped zinc oxide applied by sputtering
KR20160115076A (ko) 2015-03-25 2016-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를 가지는 BaSnO3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5489270B (zh) * 2016-01-20 2017-07-25 东莞理工学院 一种夹层结构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
JP6657992B2 (ja) * 2016-01-22 2020-03-04 富士通株式会社 薄膜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水分解システム
CN109312478B (zh) * 2016-06-07 2020-10-16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催化剂电极、人工光合作用模块及人工光合作用装置
JP6880404B2 (ja) * 2017-06-29 2021-06-02 富士通株式会社 酸素発生電極及び酸素発生装置
KR101912735B1 (ko) * 2017-11-06 2018-10-30 한국화학연구원 BaSnO3 박막 및 이의 저온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093A (ko) 2016-04-04 2017-10-13 한국화학연구원 BaSnO3 박막 및 이의 저온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27695A (zh) 2019-07-16
CN111225993B (zh) 2022-04-01
US11624109B2 (en) 2023-04-11
US20210040598A1 (en) 2021-02-11
WO2019124743A1 (ko) 2019-06-27
EP3730669A1 (en) 2020-10-28
JP2020537321A (ja) 2020-12-17
CN111225993A (zh) 2020-06-02
EP3730669A4 (en) 2020-12-23
TWI728278B (zh)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Transparent conducting F-doped SnO2 thin films grown by pulsed laser deposition
Joseph et 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inc oxide film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Jun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Al-doped ZnO and Ga-doped ZnO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hin films
US10366803B2 (en) Metal oxide thin film, method for depositing metal oxide thin film and device comprising metal oxide thin film
TWI543195B (zh) 透明導電膜及其製備方法以及包括其的電子元件及薄膜電晶體
Ni et al.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type transparent conducting SnO 2: Zn film
Jeyadheepan et al.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RF magnetron sputtered cadmium tin oxide (Cd2SnO4) thin films for CdS/CdTe thin film solar cell applications
Hussein et al. Enhancements of p-Si/CdO thin films solar cells with doping (Sb, Sn, Se)
Alias et al. Investigation the effect of thickness on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nano ZnO films prepar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Farahamndjou The study of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 ITO thin films prepared by e-beam evaporation
Weng et al. Structur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nO thin films on the flexible substrate by cathodic vacuum arc technology with different arc currents
US1162410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Spaggiari et al. Growth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Sb2Se3 solar cells with vertical Sb4Se6 ribbon alignment by RF magnetron sputtering
Das et al. The growth of ZnO: Ga: Cu as new TCO film of advanced electrical, optical and structural quality
Wang et al. Effect of annealing on the properties of N-doped ZnO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Silva et al. High optoelectronic quality of AZO films grown by RF-magnetron sputtering for organic electronics applications
US9546415B2 (en) Composite transparent electrodes
Oh et al. Low-temperature growth and electronic structures of ambipolar Yb-doped zinc tin oxide transparent thin films
Chu et al. Effect of annealing conditions on the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Li-doped NiO thin films
Tabassum et al. Stability of al doped zno thin film formed under different rf power and atmosphere
Erkan et al. Enhance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silicon-based solar cell through optimization of Ga-doped ZnO layer
Kim et al. Influence of Substrate Temperature on the Properties of Titanium Indium Zinc Oxide Films Prepar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Kim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films
KR101807957B1 (ko) 산화물 기반 고 전도성 유연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W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ZnS films on different substrates by pulsed laser de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