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234B1 -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 Google Patents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234B1
KR101463234B1 KR1020130089522A KR20130089522A KR101463234B1 KR 101463234 B1 KR101463234 B1 KR 101463234B1 KR 1020130089522 A KR1020130089522 A KR 1020130089522A KR 20130089522 A KR20130089522 A KR 20130089522A KR 101463234 B1 KR101463234 B1 KR 10146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no
semiconductor film
solar cell
dye
oxid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국선
신성식
석재호
김동회
김주성
박익재
이찬우
성원모
조인선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234B1/ko
Priority to PCT/KR2013/006811 priority patent/WO20150163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Abstract

Ba-Sn-O 기반의 신규한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구비한 광전극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반도체막의 조성은 BaSnO3 : M (여기서, M은 BaSnO3에 도핑되며, Sr, Ca, Mg, Zn, Pb, Ti, Mn, Sb, K, In, Zr, Te, Fe, Y, Sm, Sc, Co, La 및 Rh로 이루어진 금속 원소 중 최소한 1종의 금속)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BaSnO3 반도체 산화막의 광전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켜 고효율의 태양전지 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광전극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Opto-electronic Electrode for Solar Cell Comprising Ba-Sn-M-O Semiconductor Film}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Ba-Sn-M-O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관한 것이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표면에 염료분자가 화학적으로 흡착된 반도체 산화물 전극에 태양빛이 흡수되면 염료 분자가 전자를 내놓게 되는데 이 전자가 여러 경로를 통하여 투명 전도성 기판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한 전지로서,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며 안정성이 매우 높고,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비교했을 때 일광량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음극은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과 TiO2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 나노 입자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는 염료 고분자가 흡착 등의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기 염료 감응 태양 전지의 양극(상대전극 또는 대향전극)으로는 통상적으로 백금과 같은 물질이 사용되며 유리기판상에 제공된다. 음극과 상대전극이 합착된 사이에는 전해질이 제공되게 된다.
일반적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태양광이 전지에 입사하여 염료고분자를 여기시켜서 전자-홀 쌍을 형성하고, 생성된 전자가 반도체 산화물의 전도띠로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는 반도체 산화물을 지나 외부로 전달된다. 외부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한 전자는 상대전극에서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염료 고분자의 홀과 결합하게 된다.
염료에 의한 광전현상에 관해서는 1887년 비엔나 대학의 모세르(Moser) 박사에 의해 보고된 이후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현재는 1991년 에콜 폴리테크 페데랄(Ecole Polytechnique Federale)의 그라첼(Gratzel) 교수의 연구팀에 의해 보고된 Ru계 염료와 I-/I3 - 전해질을 사용한 11 % 대의 최고 효율을 지닌 통칭 그라첼(Gratzel) 전지가 주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염료가 흡착되는 광전극은 많은 염료를 흡착하기 위해 비표면적이 높은 광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광전극 물질로 TiO2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최고 효율이 10%에 머물러 새로운 광전극 물질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TiO2 막을 대체할 수 있는 Ba-Sn-O 기반의 신규한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 에너지 변환 효율이 증가된 Ba-Sn-O 기반의 신규한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화학식>
BaSnO3 : M (여기서, M은 BaSnO3에 도핑되며, Sr, Ca, Mg, Zn, Pb, Ti, Mn, Sb, K, In, Zr, Te, Fe, Y, Sm, Sc, Co, La 및 Rh로 이루어진 금속 원소 중 최소한 1종의 금속)
상기 M은 Sr, Ca 및 Mg이고, 상기 BaSnO3의 결정 구조에서 Ba 자리의 최소한 일부를 치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Sb이고, 상기 BaSnO3의 결정 구조에서 Sn 자리의 최소한 일부를 치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상기 BaSnO3의 밴드 구조에서 전도대를 상승시키는 금속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M은 상기 BaSnO3의 전자 농도 또는 홀 농도를 증가시키는 금속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SnO3의 Ba 또는 Sn 대비 0.01~5 at%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SnO3의 Ba 또는 Sn 대비 0.01~1 at%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 염료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화학식>
(Ba1 -x, Srx)SnO3 (여기서, 0.05<x≤0.5)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화학식>
(Ba1 -x, Srx)SnO3 : M (여기서, M은 Ca, Mg, Zn, Pb, Ti, Mn, Sb,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금속이고, 0.05<x≤0.5)
상기 화학식에서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 또는 Sn 대비 0.01~5 at%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 또는 Sn 대비 0.01~1 at%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 염료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BaSnO3 반도체 산화막의 광전 에너지 변환 효율을 향상시켜 고효율의 태양전지 셀의 제조를 가능하는 광전극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Sr 도핑된 BaSnO3 분말의 X선 회절 패턴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절 패턴을 확대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Sr 도핑 BaSnO3 분말의 UV 흡수율(Absorbance)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Sr 도핑 BaSnO3 분말의 모트-쇼트키 분석(Mott Schottky Analysi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Sr 도핑 BaSnO3 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광전극을 제공한다.
<화학식 1>
BaSnO3 : M (여기서, M은 BaSnO3에 도핑되며, Sr, Ca, Mg, Zn, Pb, Ti, Mn, Sb, K, In, Zr, Te, Fe, Y, Sm, Sc, Co, La 및 Rh로 이루어진 금속 원소 중 최소한 1종의 금속)
또한, 본 발명에서 화학식1의 금속 원소 M은 Ba 자리를 치환하거나 Sn 자리를 치환할 수 있다. 이 때, 도핑된 금속 원소들은 BaSnO3의 결정 구조를 유지하면서 밴드 구조를 변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핑된 금속 원소들은 BaSnO3의 밴드 구조에서 전도대(conduction band)를 상승시켜, 태양전지의 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Sr, Ca 및 Mg은 Ba 자리를 치환하여 전도대를 향상시킬 수 있고, Sb는 Sn 자리를 치환하여 전도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핑된 금속 원소들은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태양전지의 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핑된 금속 원소는 막 내의 전자 농도 및 홀 농도를 증가시켜 태양전지의 셀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도핑된 Zn, Pb, Ti, Mn, Sb, In, Zr, Te, Fe, Y, Sm, Sc, La 및 Rh은 전자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주된 메커니즘으로 태양전지 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핑된 Co 및 K는 홀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주된 메커니즘으로 태양전지 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도핑 원소들에 의한 셀 특성 향상 메커니즘은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Sr 도핑의 경우 BaSnO3의 결정 구조 내에서 Ba을 치환하며, 결과적인 광전극의 반도체 산화막의 조성은 다음의 화학식2로 표현할 수 있다.
<화학식 2>
(Ba1 -x, Srx)SnO3
유사하게 Ca, Mg, Zn 등의 금속 원소도 고용 한계 내에서 Ba 자리를 치환할 수 있으며, 위 화학식2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화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화학식 3>
(Ba1 -x, M1x)SnO3 (여기서, M1은 Sr, Ca 및 Mg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
한편, BaSnO3 결정 구조 내의 Sn 자리를 다른 금속 원소가 치환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밴드 구조의 변화가 발생한다.
<화학식 4>
(Ba)(Sn1 -y, M2y)O3
상기 M2로 기능하기 위한 도핑 원소로는 Sb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 도핑되 금속 원소는 Ba이나 Sn 자리를 치환하는 것이 아니라 결정 구조 내부에 침입 고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술한 도핑 가능한 금속 원소들은 1종 이상이 동시에 도핑될 수 있다.
A. 액상법에 의한 BaSnO3 : M 분말의 제조
<제조예 1>
SnCl4-5H2O와 BaCl2-2H2O, Sr(NO3)2를 원료 분말로 사용하였다. 혼합 분말의 조성이 (Ba+Sr) : Sn의 몰비를 1:1로 유지하면서, Sr : (Ba+Sr)의 몰비가 0~0.5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각 원료 분말을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을 30% 과산화수소수(물과 과산화수소 부피비 70:30)에 용해하여, 상기 혼합 용액에 pH가 9~11가 되도록 암모니아수를 투입하여 침전 반응시키고 12 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침전물을 세척한 후 동결 건조하고, 건조된 분말을 90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어닐링하여 BaSnO3 : Sr 분말을 합성하였다.
도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Sr 도핑된 BaSnO3 분말의 X선 회절 패턴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r이 Ba 대비 30 몰%까지 도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BaSnO3의 결정 구조를 잘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회절 패턴을 확대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Ba 첨가량에 따라 30.5도 부근의 회절 피크기 우측으로 쉬프트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첨가된 Sr이 이차상의 형성 없이 BaSnO3 격자 구조 내에 온전히 고용되머, (Ba, Sr)SnO3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합성된 분말의 UV 흡수율(Absorbance) 측정 결과이고, 도 4는 모트-쇼트키 분석(Mott Schottky Analysi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UV 흡수율은 LAMBDA650(Perkinelmer)로 250~600 nm 영역에서 스캔하여 측정하였고, 모트 쇼트키는 Potentiostat(CHI 608C, CH Instrument)으로 1M KCl 전해질(pH 7)에서 작동 전극, 상대전극, 기준 전극의 3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Sr의 도핑에 따라 밴드 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로부터 Sr의 도핑에 따라 전도대(conduction band)가 상승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즉 밴드갭의 증가는 전도대(conduction band) 상승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Sr 도핑은 BaSnO3의 밴드 구조를 바꾸어 태양전지의 Voc 및 FF 등의 특성을 증가시키게 될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도 5는 Sr이 도핑된 BaSnO3 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으로부터 Sr의 첨가에 따라 분말 입자의 형상이나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핑에 따른 셀 효율 등의 특성에 분말의 형상이나 크기에 의한 효과는 무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Ba-Sn-Ca-O
제조예 1의 Sr 소스를 Ca(NO3)2-4H2O로 대체한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BaSnO3 : Ca 분말을 합성하였다.
B. 고상법에 의한 BaSnO3 : M 분말의 제조
<제조예 3>
원료분말로 BaCO3, SnO2 및 MgCO3를 원료 분말로 사용하였다. 이 때, 혼합 분말의 조성이 (Ba+Mg) : Sn의 몰비를 1:1로 유지하면서, Mg : (Ba+Mg)의 몰비가 0~0.05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각 원료 분말을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혼합 분말과 분산제(폴리카복실산, MALIALIM AFB-1521)를 에탄올 용매 내에서, 12시간 볼 밀링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된 슬러리를 건조하고, 1100도의 대기 분위기에서 2 시간 열처리 하여 BaSnO3 : Mg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BaSnO3 : Mg 분말은 Mg의 도핑 농도(Ba+Mg에 대한 Mg의 몰비)가 낮은 도핑 농도에서는 1차 입자의 형상이 큐빅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도핑 농도가 증가하면서 1차 입자의 형상이 사라지면서 응집으로 인한 조대 입자의 생성이 두드러졌다.
<제조예 4>
원료분말로 MgCO3를 CaCO3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BaSnO3 : Ca 분말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5>
원료분말로 MgCO3를 SrCO3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BaSnO3 : Sr 분말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6>
원료분말로 MgCO3를 ZnO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BaSnO3 : Zn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BaSnO3 : Zn 분말은 Zn의 도핑 농도(Ba+Zn에 대한 Zn의 몰비)가 증가할수록 1차 입자의 형상이 변함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7>
원료분말로 BaCO3, SnO2 및 Sb2O3를 원료 분말로 사용하였다. 이 때, 혼합 분말의 조성이 Ba : (Sn+Sb)의 몰비를 1:1로 유지하면서, Sb : (Sn+Sb)의 몰비가 0~0.05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각 원료 분말을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밀링, 건조 및 열처리 조건은 제조예 4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하여, BaSnO3 : Sb 분말을 합성하였다.
C. 광전극의 제조
<실시예 1>
유기물인 터피놀(terpineol)과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가 섞인 용액에, 앞서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BaSnO3 : Sr 분말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고 형성된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FTO 기판 상에 도포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막의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500℃에서 1시간 열처리를 하여 BaSnO3 : Sr 막을 형성한다. 형성된 막의 두께는 약 10~15 마이크로미터였다.
기판 상에 소정 두께의 BaSnO3 : Sr 막을 형성한 후, 제조된 막을 염료(루테늄 계열의 N719 dye (cis-diisothiocyanato-bis(2,2-bipyridyl-4,4-dicarboxylato)
ruthenium(II) bis(tetrabutylammonium)를 에탄올에 0.05nM 농도로 용해한 용액)에 소정 시간 딥핑하여 염료를 흡착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BaSnO3 : Ca 분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aSnO3 : Ca 막을 형성하고 염료를 흡착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BaSnO3 : Mg 분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aSnO3 : Mg 막을 형성하고 염료를 흡착하였다.
<실시예 4>
제조예 4에 의해 제조된 BaSnO3 : Ca 분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aSnO3 : Ca 막을 형성하고 염료를 흡착하였다.
<실시예 5>
제조예 5에 의해 제조된 BaSnO3 : Sr 분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aSnO3 : Sr 막을 형성하고 염료를 흡착하였다.
<실시예 6>
제조예 6에 의해 제조된 BaSnO3 : Zn 분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aSnO3 : Zn 막을 형성하고 염료를 흡착하였다.
<실시예 7>
제조예 7에 의해 제조된 BaSnO3 : Sb 분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BaSnO3 : Sb 막을 형성하고 염료를 흡착하였다.
C. 광전극의 특성 평가
반도체막이 형성된 FTO 기판을 작동 전극으로 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이 때,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양극(상대전극 또는 대향전극)은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Pt를 유리 기판상에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이렇게 형성된 상대전극과 BaSnO3막이 형성된 작동 전극을 샌드위치 타입의 형태로 패킹하여 셀을 제조한 후, 요오드 계열의 전해질을 사용하여 패킹된 셀에 주입하였다.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셀의 I-V 특성을 측정하여, 전류밀도(Jsc), Voc, FF(fill factor), 전지 효율(Efficiency)을 구하였다.
도 6은 실시예 1의 Sr이 도핑된 광전극을 작동 전극으로 하여 측정한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Sr 도핑 농도가 0~20%까지 증가하면서 Jsc가 소폭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Sr 도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Voc가 증가하며 대략 도핑 농도 30%에서 최대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핑 농도 5~20% 범위에서 Fill Factor가 양호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6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지 효율은 도핑 농도 5~20% 범위에서 가장 좋은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1은 Sr이 20% 도핑된 광전극으로 구성된 태양전지 셀(Sr20)과 도핑되지 않은 광전극으로 구성된 태양전지 셀(Bare1, Bare2)의 특성을 대비하여 도시한 표이다.
구분 Jsc Voc FF Efficiency
Bare1 10.11 0.62 0.67 4.18
Bare1 10.23 0.62 0.67 4.22
Sr20 11.55 0.67 0.69 5.32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r이 20% 도핑된 셀의 효율은 도핑되지 않은 셀에 비해 대략 26% 정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 셀의 효율은 분말의 제조 방법이나 셀의 구성 등의 다른 요인에 영향을 받는데, 본 실시예는 고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효율의 절대값이 낮다. 그러나,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된 도핑되지 않은 BaSnO3 광전극 셀과 대비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광전극이 매우 높은 효율을 나타냄은 잘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1에 비해 막 두께를 35~40 마이크로미터로 증가시켜 측정한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 두께의 증가에 따라 효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 2의 Ca가 도핑된 광전극을 작동 전극으로 하여 측정한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량의 Ca 예컨대 Ca 농도 2~3%까지 Jsc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위 그래프로부터 Ca 첨가의 경우 Ba 자리를 치환하여 BaSnO3 막의 밴드 구조를 바꾸고 태양전지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2는 실시예 3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광전극을 작동 전극으로 하여 측정한 태양전지 셀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비교를 위해 도핑되지 않은 광전극으로 된 셀(Bare)의 특성 측정 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68539627-pat00001
위 표로부터 전반적인 도핑 범위에서 향상된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모든 도핑 원소들은 1.0 at%의 도핑 농도 범위 내에서는 전반적인 셀 특성의 향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Mg나 Ca의 경우 5.0 at%의 도핑 농도에서 전반적인 특성 향상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 내지 6은 고상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을 사용한 것으로, 액상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실시예 7에 의해 제조된 광전극으로 된 셀의 전류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로부터 Sb의 첨가에 의해서도 전류밀도의 증가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Sb 첨가량이 Sn 대비 0.1 at%인 경우 전류밀도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는데, 이 때 도핑된 Sb는 BaSnO3의 Sn 자리 일부를 치환하고 밴드 특성을 바꾸는 메커니즘에 의해 셀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Sb 첨가에 따른 셀 특성의 향상은 다른 메커니즘, 즉 전자 농도나 홀 농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언급되는 도핑 금속들 중 2 종 이상의 금속 원소가 동시에 도핑되는 경우에도 결과적인 전지의 특성이 향상될 것임은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2종 이상의 금속 원소는 BaSnO3의 결정 구조 내에서 Ba 자리와 Sn 자리를 모두 치환하는 원소들일 수도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자리만 치환하는 금속 원소들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금속 원소들은 결정 구조 내의 Ba 또는 Sn 자리를 치환하는 것이 아니라 격자 구조 내에 침입하여 고용되는 금속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화학식>
    BaSnO3 : M (여기서, M은 BaSnO3에 도핑되며, Sr, Ca, Mg, Zn, Pb, Ti, Mn, Sb, K, In, Zr, Te, Fe, Y, Sm, Sc, La, Co 및 Rh로 이루어진 금속 원소 중 최소한 1종의 금속)
  2. 제1항에 있어서,
    M은 Sr, Ca 및 Mg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금속이고,
    상기 BaSnO3의 결정 구조에서 Ba 자리의 최소한 일부를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3. 제1항에 있어서,
    M은 Sb이고,
    상기 BaSnO3의 결정 구조에서 Sn 자리의 최소한 일부를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상기 BaSnO3의 밴드 구조에서 전도대를 상승시키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상기 BaSnO3의 전자 농도 또는 홀 농도를 증가시키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6. 제1항에 있어서,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La, Co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SnO3의 Ba 또는 Sn 대비 0.01~5 at%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7. 제1항에 있어서,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SnO3의 Ba 또는 Sn 대비 0.01~1 at%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 염료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9.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화학식>
    (Ba1 -x, Srx)SnO3 (여기서, 0.05<x≤0.5)
  10. 도전성 투명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화학식>
    (Ba1 -x, Srx)SnO3 : M (여기서, M은 Ca, Mg, Zn, Pb, Ti, Mn, Sb, K, In, Zr, Te, Fe, Y, Sm, Sc, Co, La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금속이고, 0.05<x≤0.5)
  11. 제10항에 있어서,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 또는 Sn 대비 0.01~5 at%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12. 제10항에 있어서,
    M은 Mg, Zn, Pb, Ti, Mn, K, In, Zr, Te, Fe, Y, Sm, Sc 및 R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원소이고, 그 함량은 상기 Ba 또는 Sn 대비 0.01~1 at%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계 산화물 반도체막 상에 염료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KR1020130089522A 2013-07-29 2013-07-29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KR10146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22A KR101463234B1 (ko) 2013-07-29 2013-07-29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PCT/KR2013/006811 WO2015016399A1 (ko) 2013-07-29 2013-07-30 Ba-Sn-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22A KR101463234B1 (ko) 2013-07-29 2013-07-29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234B1 true KR101463234B1 (ko) 2014-11-25

Family

ID=5229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522A KR101463234B1 (ko) 2013-07-29 2013-07-29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3234B1 (ko)
WO (1) WO20150163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714A (ko) * 2017-03-20 2019-10-30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광발광 철-도핑된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보안 잉크 조성물 및 이의 보안 피처
US11624109B2 (en) 2017-12-22 2023-04-11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344A1 (ja) * 2015-08-04 2017-02-09 日本碍子株式会社 蛍光体微粒子、蛍光体微粒子の製造方法、蛍光体薄膜、波長変換膜、波長変換デバイス及び太陽電池
KR101804173B1 (ko) 2016-04-04 2017-12-05 한국화학연구원 BaSnO3 박막 및 이의 저온 제조 방법
KR101912735B1 (ko) 2017-11-06 2018-10-30 한국화학연구원 BaSnO3 박막 및 이의 저온 제조 방법
CN113066858A (zh) * 2021-05-07 2021-07-02 深圳戴尔蒙德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BaSnO3基透明导电薄膜和薄膜晶体管及其制备技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9870A1 (en) * 2005-10-12 2007-04-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hotoelectrochemical cell with bipolar dye-sensitized electrodes for electron transfer
US20120160326A1 (en) * 2010-12-24 2012-06-28 Samsung Sdi Co., Ltd. Photoelectrod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solar cell including photo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electrode
WO2012157773A1 (ja) * 2011-05-18 2012-11-22 ソニー株式会社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用光電極
WO2013036052A2 (ko) * 2011-09-06 2013-03-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238B1 (ko) * 2007-10-09 2008-02-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리분말이 함유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9870A1 (en) * 2005-10-12 2007-04-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hotoelectrochemical cell with bipolar dye-sensitized electrodes for electron transfer
US20120160326A1 (en) * 2010-12-24 2012-06-28 Samsung Sdi Co., Ltd. Photoelectrod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solar cell including photo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electrode
WO2012157773A1 (ja) * 2011-05-18 2012-11-22 ソニー株式会社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用光電極
WO2013036052A2 (ko) * 2011-09-06 2013-03-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714A (ko) * 2017-03-20 2019-10-30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광발광 철-도핑된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보안 잉크 조성물 및 이의 보안 피처
KR102547276B1 (ko) * 2017-03-20 2023-06-23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광발광 철-도핑된 바륨 스타네이트 재료, 보안 잉크 조성물 및 이의 보안 피처
US11624109B2 (en) 2017-12-22 2023-04-11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399A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va et al. Improving the photovoltaic conversion efficiency of ZnO based dye sensitized solar cells by indium doping
Bashir et al. Cu-doped nickel oxide interface layer with nanoscale thickness for efficient and highly stable printable carbon-based perovskite solar cell
KR101463234B1 (ko) Ba-Su―M―O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광전극
Wang et al. The photoelectrochemistry of transition metal-ion-doped TiO2 nanocrystalline electrodes and higher solar cell conversion efficiency based on Zn2+-doped TiO2 electrode
Guo et al. Highly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nitrogen-doped titania with excellent stability
Tanyi et al. Enhanced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Mg and La co-doped TiO2 photoanodes
Ganesan et al. Performance of a new polymer electrolyte incorporated with diphenylamine in nanocrystalline dye-sensitized solar cell
Sindhu α-Bi 2 O 3 photoanode in DSSC and study of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Radecka et al.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undoped and Ti-doped WO3
Sadhu et al. Growth of oriented single crystalline La-doped TiO 2 nanorod arrays electrode and investigation of optoelectronic properties for enhanced photoelectrochemical activity
Pan et al. Enhanced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by high surface area anatase-TiO2-modified P25 paste
Ako et al. DSSCs with ZnO@ TiO2 core–shell photoanodes showing improved Voc: Modification of energy gradients and potential barriers with Cd and Mg ion dopants
Yu et al. An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a promising material of Bi4Ti3O12 nanofibers/graphene
Xie et al. Photoelectrodes modification by N doping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Jaafar et al. The use of carbon black-TiO2 composite prepared using solid state method as counter electrode and E. conferta as sensitiz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applications
Jaculine et al. Zinc stannate nanoflower (Zn2SnO4) photoanodes for efficient dye sensitized solar cells
Kumar et al. Cetyltriammonium bromide assisted synthesis of lanthanum containing barium stannate nanoparticles for application in dye sensitized solar cells
Cai et al. Application of TiO2 hollow microspheres incorporated with up-conversion NaYF4: Yb3+, Er3+ nanoparticles and commercial available carbon counter electrode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He et al. Integrated heterostructure of PZT/CdS containing the synergistic effect between heterojunction structure and ferroelectric polarization for photoelectrochemical applications
Ganesan et al. The use of 2, 6-bis (N-pyrazolyl) pyridine as an efficient dopant in conjugation with poly (ethylene oxide) for nanocrystalline dye-sensitized solar cells
Zhong et al. Low-cost platinum-free counter electrode of La0. 67Sr0. 33MnO3 perovskite for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Xiang et al. Aqueous p-type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a tris (1, 2-diaminoethane) cobalt (II)/(III) redox mediator
Hou et al. Titanium dioxide/zinc indium sulfide hetero-junction: An efficient photoanode for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ou et al. Improving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Zn2SnO4 solar cells by doping Sr2+/Ba2+ ions: Efficient electron injection and transfer
Shahroosvand et al. Dye-sensitized nanocrystalline ZnO solar cells based on Ruthenium (II) phendione comple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