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710A -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710A
KR20190071710A KR1020197011037A KR20197011037A KR20190071710A KR 20190071710 A KR20190071710 A KR 20190071710A KR 1020197011037 A KR1020197011037 A KR 1020197011037A KR 20197011037 A KR20197011037 A KR 20197011037A KR 20190071710 A KR20190071710 A KR 20190071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operating
unit
operating elemen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897B1 (ko
Inventor
브루노 뤼세어
안드레아스 쭈어브뤼크
다비드 비니스퇴르퍼
알렉산더 뷘쉐
마르쿠스 슐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7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8Angl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0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for mounting or securing saw blades or saw spindles
    • B27B5/32Devices for securing circular saw blades to the saw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Manipulator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12)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퀵 클램핑 장치는 인서트 공구 유닛(18)을 출력 샤프트(12)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20, 22)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에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 2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요소(26), 특히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적어도 클램핑 요소(20, 22)의 해제 위치로 클램프 요소(20, 22)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 요소(26)는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 22)의 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면(28)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면은 조작 요소(26)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30)이 조작 요소(26)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과의 협동시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따라 접촉 면(32)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DE 100 17 458 A1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로서, 인서트 공구 유닛을 출력 샤프트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에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요소를 구비하고 적어도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퀵 클램핑 장치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편이성이 구현될 수 있고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라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퀵 크램핑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로서, 인서트 공구 유닛을 출력 샤프트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력을 인서트 공구 유닛에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요소, 특히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적어도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퀵 클램핑 장치로부터 출발한다.
클램핑 요소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면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상기 작동 면은 조작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이 조작 유닛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요소의 접촉 면과의 협동시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라 접촉 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의 협동시,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 사이의 선 접촉이 이루어진다. 조작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의 접촉 선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 사이의 선 접촉은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의 접촉 선을 따라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의 협동시, 점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고, 점 접촉은 조작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 상에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은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의 협동시 작동 요소의 접촉 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의 접촉 점에 의해 형성된다. "제공되는"은 특히 특별히 프로그램되고, 설계되고 및/또는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요소 및/또는 하나의 유닛이 특정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은 상기 요소 및/또는 상기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적용 상태 및/또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완수하거나 및/또는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은 특히 하나의 요소 및/또는 하나의 유닛의 장착을 의미하고, 상기 요소 및/또는 상기 유닛은 특히 상기 요소 및/또는 상기 유닛의 탄성 변형으로부터 디커플링되어, 5㎜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0mm 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보다 큰 이동 축을 따르는, 및/또는 1°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5°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큰 각 범위를 따르는 이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 가능성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은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라 및 작동 면과 접촉 면의 협동에 의해 작동 면 상에서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의 고정 점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작동 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위치는 조작 요소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및 작동 면과 접촉 면의 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 특히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은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의 협동시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편심부 상에 배치된다.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볼록한 외부 면으로서 형성된다. 조작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편심부 내에 원호형 외부 윤곽을, 특히 조작 요소의 이동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서 갖는다. 조작 요소는 특히 5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30mm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최대 길이 방향 길이를 갖는다. 조작 요소의 최대 길이 방향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이동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퀵 클램핑 장치는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을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디커플링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유닛은 100rpm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00rpm 보다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0rpm 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rpm 보다 큰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을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디커플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가 특히 1000r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rp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rpm 미만인 경우, 디커플링 유닛은 특히 조작 유닛에 의한 조작자 힘의 작용에 의한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조작 유닛을 클램핑 유닛과 커플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유닛은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작동력을 조작 유닛으로부터 클램프 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차단하기 위해, 및/또는 상기 작동력을 디커플링 요소의 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디커플링 유닛은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과 클램핑 유닛 사이의 힘 전달 연결을 저지 및/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유닛이 기계적 디커플링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디커플링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클램핑 유닛 및/또는 디커플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을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디커플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디커플링 유닛은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을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디커플링 할 수 있는 커플링 요소, 원심력 요소, 마찰 요소 또는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커플링 유닛이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디커플링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커플링 유닛이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디커플링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가 예를 들어 디커플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에 의해 또는 구동 유닛 특성의 전자적 평가에 의해 전자적으로 검출 가능한 것도 고려될 수 있고, 이 경우 디커플링 유닛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의 작동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시키는 디커플링 유닛의 바아가 작동될 수 있고, 및/또는 디커플링 유닛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작 유닛과 클램핑 유닛 사이의 힘 전달 연결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커플링 유닛의 커플링이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디커플링 유닛의 다른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유닛이 출력 샤프트 상에 및/또는 출력 샤프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디커플링 유닛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의 회전수에 따른 조작 유닛의 조작 요소의 작동으로 인한 클램핑 요소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적어도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특히 공차 및/또는 유격에 기인한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제외한,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은, 적어도 조작 유닛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로부터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하는"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요소를, 특히 상기 요소의 위치에서, 이동에 대해 고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요소의 고정된 위치에서 공차 및/또는 유격에 기인한 요소의 이동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고정된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와 인서트 공구 유닛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은 클램핑 유닛으로부터의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다.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유닛에 의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은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선회 운동을 적어도 최대한, 특히 공차 및/또는 유격으로 인한 선회 운동을 제외하여, 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유닛은 자기적 고정 유닛, 기계적 고정 유닛, 전자적 고정 유닛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이 자기적 고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은 자기력의 작용에 의해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이 기계적 고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이 전자적 고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은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고정하고 및/또는 클램핑 요소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클램핑 위치에 도달시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에 고정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고정 유닛의 다른 형태들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조작 유닛에 의한, 조작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와 클램핑 요소 사이의 기계적 연결에 의해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가 조작 레버,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조작 유닛의 조작 요소에 의해 전기 신호가 생성 가능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액추에이터가 제어될 수 있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조작 유닛은 조작자의 조작 명령 및/또는 조작자의 조작자 힘에 의해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계적,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조작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은 적어도 2 개의 이동 가능하게,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유닛이 2 개 이외의 다른 수의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의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특히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은 조작 유닛에 의해 클램핑 요소들의 클램핑 위치로 및/또는 클램핑 요소들의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이 조작 유닛에 의해 함께 이동 가능하고, 특히 함께 클램핑 위치로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이 조작 유닛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클램핑 위치로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가 출력 샤프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는 출력 샤프트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클램핑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가 출력 샤프트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은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축"은 특히 클램핑 유닛의 축을 의미하고,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클램핑 유닛의 축 방향 고정력이 인서트 공구 유닛을 출력 샤프트 상에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 공구 유닛에 가해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클램핑 유닛의 전달 요소가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위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는 특히 한 기준 방향에 대한 한 방향의 정렬을 정의하고, 특히 하나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방향과 상기 기준 방향은 90°의 각도를 형성하고, 각은 8°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미만의 최대 편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클램핑 조(jaw)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인서트 공구 유닛을 출력 샤프트 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 내로, 특히 인서트 공구 유닛의 고정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적어도 인서트 공구 유닛이 클램핑 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의 클램핑 연장부의 뒤에 맞물린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요소는 작동 요소의 이동 축에 대해 오프셋되게, 특히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이동 축, 특히 선회 축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이동 축은 조작 요소의 이동 축 및 작동 요소의 이동 축이 투영된 투영 평면에서 볼 때 작동 요소의 이동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작동 요소의 이동 축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 및/또는 출력 샤프트의 회전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연장된다. 작동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의 이동 축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작동 볼트로서 형성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요소의 작동 면과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의 협동시 작동 요소의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이 구조적으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요소가 이동 축, 특히 선회 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축은 조작 요소의 이동 축 및 힘 도입 점을 통해 연장되는 직선이 조작 요소의 작동 위치에 따라 조작 요소의 이동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작동 요소의 접촉 면과 35°내지 85°의 각 범위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축 및 힘 도입 점을 통해 연장되는 직선은, 조작 요소가 조작 요소의 휴지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의 접촉 위치로 이동된 조작 요소의 작동 위치에서, 작동 요소의 접촉 면과 35°보다 크고 50°보다 작은 각, 특히 40°의 각을 형성한다. 조작 요소의 접촉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작동 면이 접촉 면에 접촉하고, 작동 요소는 작동 요소의 이동 축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축 및 힘 도입 점을 통해 연장된 직선은, 조작 요소가 휴지 위치로부터 또는 접촉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의 끝 위치로 이동된 조작 요소의 작동 위치에서, 작동 요소의 접촉 면과 7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 특히 80°의 각을 형성한다. 조작 요소의 끝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작동 면이 접촉 면에 접촉하고, 작동 요소는 조작 요소에 의해 작동 요소의 이동 축을 따라 최대로 이동된다. 조작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휴지 위치로부터 끝 위치로 90°의 최대 이동 각을 갖는다. 조작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휴지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의 이동시 최대 무부하 행정 각을 스쳐 지나간다. 휴지 위치에서 조작 요소는 바람직하게 정지 영역으로 휴대용 전동 공구의 기어 하우징에 접촉한다. 조작 요소의 정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편심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조작 요소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유닛의 컴팩트한 형태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힘 도입 점은 조작 요소의 이동에 의해 접촉 면 상에서 하나의 직선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힘 도입 점이 조작 요소의 이동에 의해 접촉 면 상에서 하나의 직선을 따라 조작 요소의 접촉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의 끝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는 조작 요소의 이동에 의해, 특히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의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위해, 조작 요소의 접촉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의 끝 위치로 작동 요소의 이동 축을 따라 병진 이동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힘 도입 점이 조작 요소의 이동에 의해 접촉 면 상에서 하나의 직선을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접촉 면의 최대 폭에 걸쳐 이동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힘 도입 점이 조작 요소의 이동에 의해 접촉 면 상에서 하나의 직선을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접촉 면의 최대 폭에 걸쳐 조작 요소의 접촉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의 끝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힘 도입 점이 조작 요소의 이동에 의해 접촉 면의 하나의 가장자리로부터 접촉 면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져 있는 접촉 면의 다른 가장자리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힘 도입 점이 작동 요소의 단부 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조작 요소를 향하는 작동 요소의 단부 면은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의 접촉 면을 형성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요소와 작동 요소 사이의 바람직한 힘 전달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요소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5°보다 큰 최소 무부하 행정 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가 20°미만, 특히 18°미만의 최대 무부하 행정 각을 갖는다. "무부하 행정 각"은 특히 조작 요소가 휴지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의 이동시 스쳐 지나가는 각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가 휴지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의 이동시 작동 요소에 대한 접촉 없이 이동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적은 조작자 힘의 작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휴지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의 조작 요소의 편리한 이동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요소가 조작 요소의 최대 이동, 특히 최대 행정 각을 한정하고 작동 면에 인접하게 조작 요소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면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정지 면은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전동 공구의 기어 하우징 상에 배치된 조작 유닛의 정지 요소와의 협동에 의해 조작 요소의 최대 이동을 한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의 작동 면이 조작 요소의 정지 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요소의 최대 이동이 구조적으로 간단히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요소는 이동 축, 특히 선회 축, 및 조작 요소의 이동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조작 요소의 서로 떨어져 있는 측면들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 면이 특히 상기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 중 하나의 조작 면에 대한 조작자의 압력의 작용으로 인해 조작 요소를 휴지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 면이 특히 상기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 면에 대한 조작자의 인장력의 작용으로 인해 조작 요소를 접촉 위치로부터 끝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편리한 작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도록 제안된다. "휴대용 전동 공구"는 특히 조작자에 의해 운반 기계 없이 운반될 수 있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전동 공구를 의미한다. 휴대용 전동 공구는 특히 40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kg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kg 미만의 질량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전동 공구가 앵글 그라인더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휴대용 전동 공구가 당업자가 의미 있는 것으로 여기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원형 톱, 연삭 기계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는 출력 샤프트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가 출력 샤프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가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다. 특히 휴대용 전동 공구는 퀵 클램핑 장치에 의해 출력 샤프트 상에 고정될 수 있는 인서트 공구 유닛과 함께 전동 공구 시스템을 형성한다. 휴대용 공구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의 이동으로 인해, 조작 요소의 이동에 따른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위한 레버 암의 변화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조작 요소의 작동을 위한 적은 작동력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동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조작 요소는 상기 기어 하우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어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 개구의 근처에 배치되고, 조작 요소는 적어도 비작동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기 개구를 덮지 않게 기어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가 적어도 조작 요소의 휴지 위치에서 환기 개구를 덮지 않게 기어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근처"는 하나의 요소 및/또는 하나의 유닛에 대해 특히 10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0mm 미만의 최대 거리를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휴대용 공구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 편의성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 상에 조작 유닛의 컴팩트한 배치가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는 상기에 설명된 적용 및 실시예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여기에 언급된 개수 이외의 다른 개수의 개별 요소들, 부재들 및 유닛들 그리고 방법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값 범위에 있어서, 제시된 한계치 내에 있는 값들도 개시된 것으로 그리고 임의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장점들은 아래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청구항들은 다수의 특징들을 조합하여 포함한다. 당업자는 이 특징들을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의미 있는 다른 조합들로 결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 및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조작 요소가 조작 요소의 접촉 위치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의 조작 유닛의 개략적 상세도이고,
도 4는 조작 요소가 조작 요소의 끝 위치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의 조작 유닛의 개략적 상세도이며,
도 5는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으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의 기어 하우징 상에 배치된 조작 요소의 개략적 상세도이고,
도 6은 조작 요소의 개략적 분해도이며,
도 7은 조작 요소의 조작 요소 힘의 힘 다이어그램의 개략도이다.
도 1에는 퀵 클램핑 장치(10)를 포함한 앵글 그라인더로서 형성된 휴대용 전동 공구(14)가 도시된다. 그러나 휴대용 전동 공구(14)가 예를 들어 원형 톱, 연삭 기계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14)는 휴대용 전동 공구(14)의 기어 유닛(58)을 수용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기어 하우징(54)을 포함한다. 기어 하우징(54)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기어 하우징(54)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기어 유닛(58)은 바람직하게는 앵글 기어로서 형성된다. 기어 유닛(58)은 특히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12)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18)이 특히 퀵 클램핑 장치(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는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중공 스핀들로서 형성된다(도 2). 기어 하우징(54) 상에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보호 후드 유닛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어 하우징(54) 상에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핸들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14)는 휴대용 전동 공구(14)의 구동 유닛(62)을 수용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60)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62)은 바람직하게는 기어 유닛(58)과의 협동에 의해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을 중심으로 출력 샤프트(1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제공된다.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은 구동 유닛(62)의 구동 축(6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구동 유닛(62)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구동 유닛(62)이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연소 구동 유닛, 하이브리드 구동 유닛, 공압 구동 유닛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2에는 특히 기어 하우징(54)의 영역에서의 휴대용 전동 공구(14) 및 퀵 클램핑 장치(1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적어도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12)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14)용 퀵 클램프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16)은 인서트 공구 유닛(18)을 출력 샤프트(12)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20, 22)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에 클램핑력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 22)를 포함한다. 또한, 퀵 클램핑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요소(26), 특히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클램핑 요소(20, 22)를 클램핑 요소(20, 22)의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을 포함한다. 클램핑 유닛(16)은 적어도 2 개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들(20, 22)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유닛(16)이 2 개 이외의 다른 수의 클램핑 요소(20, 22)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클램핑 요소들(20, 22) 중 하나에 대해 개시된 특징은 다른 클램핑 요소(20, 22)에 대해서도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의 선회 축(68)은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은 클램핑 유닛(16) 및/또는 출력 샤프트(1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을 출력 샤프트(12) 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은 출력 샤프트(12)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은 출력 샤프트(12)와 함께 회전 축(64)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6)은 인서트 공구 유닛(18)으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 종동 요소(70)를 포함한다. 회전 종동 요소(70)가 클램핑 유닛(16) 및/또는 출력 샤프트(1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종동 요소(70)는 인서트 공구 유닛(18)의 수용 리세스(도시되지 않음) 내로 맞물리고 토크 전달을 위해 수용 리세스를 한정하는 인서트 공구 유닛(18)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클램핑 유닛(16) 상에 및/또는 출력 샤프트(12) 상에 배치된 인서트 공구 유닛(18)과 출력 샤프트(12) 사이의 토크 전달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종동 요소(70)와 인서트 공구 유닛(18)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종동 요소(70)는 출력 샤프트(12) 상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종동 요소(70)는 출력 샤프트(12)와 함께 회전 축(64)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조작 유닛(24)은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을 인서트 공구 유닛(18)이 클램핑 유닛(16) 및/또는 출력 샤프트(12)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해제 위치로 적어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조작 유닛(24)은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 22)을 인서트 공구 유닛(18)이 클램핑 유닛(16)에 의해 출력 샤프트(12) 상에 고정될 수 있는 클램핑 위치로 적어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조작 유닛(24)은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조작 요소(26)를 포함한다. 조작 요소(26)는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다. 조작 요소(26)는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동 축(36), 특히 선회 축을 포함한다. 조작 요소(26)는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 특히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작 요소(26)는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디커플링된다. 조작 요소(26)는 기어 하우징(54)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어 하우징(54)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 개구(56)의 근처에 배치되고, 조작 요소(26)는 적어도 비작동 상태에서, 특히 조작 요소(26)의 휴지 위치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기 개구를 덮지 않게 기어 하우징(54) 상에 배치된다. 조작 요소(26)는 기어 하우징(54)의 리세스(76) 내로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조작 요소(26)에 의해 작동 및/또는 이동될 수 있는 조작 유닛(24)의 작동 요소(34)는 리세스(7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리세스(76)를 세정하기 위해, 오염물이 조작 요소(26)의 편심부(72)에 의한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조작 요소(26)의 이동으로 인해 리세스(7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조작 요소(26)는, 편심부(72) 상에 배치되며 조작 요소(26)의 이동으로 인해 리세스를 쓸어 내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환기 개구(56)는 환기 개구(56)로부터 나오는 공기 흐름이 리세스(76)를 세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기어 하우징(54) 상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은 출력 샤프트(12) 상에, 특히 출력 샤프트(12) 내에 이동,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의 선회 축(68)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78)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은 클램핑 유닛(16)의 링크 맞물림 요소와 협동하도록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링크 요소를 포함한다. 링크 맞물림 요소는 클램핑 유닛(16)의 전달 요소(100) 상에 고정된다. 링크 맞물림 요소는 전달 요소(100) 상에, 특히 전달 요소(100)의 2 개의 포크 단부들 사이에 고정되는 볼트로서 형성된다. 링크 맞물림 요소와 이동 링크 요소의 협동으로 인해,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은 특히 전달 요소(100)에 대한 클램핑 유닛(16)의 클램핑 스프링 요소(102)의 스프링력의 작용으로 인해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은 특히 조작 유닛(24)에 의한 조작자 힘의 작용의 제거 후, 클램핑 스프링 요소(102)의 스프링력의 작용으로 인해 자동으로 클램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10)는 조작 유닛(24)을 출력 샤프트(12)의 회전수에 따라 클램핑 유닛(16)으로부터 디커플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유닛(86)을 포함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출력 샤프트(12)의 회전수에 따라 디커플링 유닛(86)의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요소(94)와 조작 유닛(24)의 적어도 작동 요소(34) 사이의 상대 이동이 조작 유닛(24)을 클램핑 유닛(16)으로부터 디커플링하기 위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출력 샤프트(12)의 회전수에 따라 조작 유닛(24)이 클램핑 유닛(16)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디커플링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적어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디커플링 요소(94)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바람직하게는 마찰 디커플링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디커플링 요소(94)와 조작 유닛(24)의 작동 요소(34)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출력 샤프트(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디커플링 요소(94)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을 따라 및/또는 회전 축(64)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게 출력 샤프트(12) 내에 장착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디커플링 요소(94)를 적어도 포함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적어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디커플링 요소(94), 및 디커플링 요소에 조작 유닛(24)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6)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유닛(86)은 적어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디커플링 유닛(94), 및 출력 샤프트(12)에 대한 디커플링 요소(94)의 상대 이동시 디커플링 요소(94)의 안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링크 요소(98)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요소(94)는 작동 요소(34)와의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접촉 가능하거나 또는 디커플링 요소(94)는 작동 요소(34)와의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접촉된다. 디커플링 요소(94)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64)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특히 출력 샤프트(12) 내에 또는 클램핑 유닛(16)의 전달 요소(100) 내에 장착된다. 디커플링 요소(94)는 작동 요소(34)의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특히 원추형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34)와 디커플링 요소(94) 사이의 마찰 작용은 특히 원추형 연결 영역의 형태 및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6)의 스프링력에 의존한다.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6)는 디커플링 요소(94)에 작동 요소(34)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기 위해 제공된다.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6)는 클램핑 유닛(16)의 전달 요소(100) 내에 배치된다. 전달 요소(100)는 클램핑 포크로서 형성된다. 전달 요소(100)는 출력 샤프트(12)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 요소(100)는 클램핑 유닛(16)의 클램핑 축(78)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다. 전달 요소(100)는 출력 샤프트(1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달 요소(100)에는 적어도 클램핑 유닛(16)의 클램핑 스프링 요소(102)에 의해 클램핑 축(78)을 따라, 특히 조작 유닛(24)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디커플링 유닛(86)은 특히 적어도 출력 샤프트(12)의 저속 상태 또는 출력 샤프트(12)의 정지 상태에서 디커플링 요소(94)와 전달 요소(100)를 운동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104)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104)는 볼트로서 형성된다. 연결 요소(104)는 디커플링 요소(94) 상에 배치되고, 특히 고정된다. 연결 요소(104)는 디커플링 요소(94)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연결 요소(104)는 디커플링 유닛(86)의 홈 링크 요소(98) 내로 연장된다(도 2). 홈 링크 요소(98)는 홈 링크 안내 트랙으로서 형성된다. 홈 링크 요소(98)는 전달 요소(100) 상에 배치되고, 특히 전달 요소(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출력 샤프트(12)의 회전시 디커플링 요소(94) 및 연결 요소(104)는 작동 요소(34)의 작동에 의한 제동으로 인해 연결 요소(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연결 요소(104)는 홈 링크 안내 트랙으로서 형성된 홈 링크 요소(98) 내에서 이동 가능하므로, 디커플링 요소(94)가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6)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전달 요소(100)의 안내 리세스(106)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운동 동안 조작 요소(26)의 작동은 전달 요소(100)에 대한 작동 요소(34) 및 디커플링 요소(94)의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운동 동안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의 전환을 위한 조작 유닛(24)에 의한 조작자 힘의 작용으로 인한 전달 요소(36a)의 이동이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가 저속인 경우 또는 출력 샤프트(12)의 정지 상태에서, 작동 요소(34)로부터 디커플링 요소(94)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은 연결 요소(104)와 홈 링크 안내 트랙으로서 형성된 홈 링크 요소(98)의 협동에 의해 전달 요소(10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요소(100)는 조작 유닛(24)에 의해 클램핑 스프링 요소(102)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이동 가능하다. 전달 요소(100)는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을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조작 요소(26)는 조작 유닛(24)의 작동 요소(34)를 작동시키기 위한 편심부(72)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34)는 회전 축(64)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특히 출력 샤프트(12) 내에 및/또는 기어 하우징(54) 내에 장착된다. 작동 요소(34)는 축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 운동을 저지하는 특히 작동 요소(3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평탄부에 의해 기어 하우징(54) 내에서 기어 하우징(54)에 대한 회전에 대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34)는 작동 요소(34)의 2 개의 서로 떨어져 있는 측면들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작동 요소(34)가 작동 요소(34)를 기어 하우징(54)에 대한 회전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다각형 횡단면, 톱니부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태를 갖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작동 요소(34)의 영역에 예를 들어 고무 시일 등과 같은 밀봉 요소(74)가 바람직하게 배치되므로, 특히 기어 하우징(54) 및/또는 클램핑 유닛(16) 내로의 오염물의 침투를 적어도 최대한으로 방지한다. 밀봉 요소(74)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34)에 접촉한다. 작동 요소(34)는 특히 밀봉 요소(74)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요소(34)는 밀봉 요소(74)에 대한 이동시 밀봉 요소(74)의 적어도 하나의 밀봉 면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조작 요소(26)는 클램핑 요소(20, 22), 특히 클램핑 요소들(20, 22)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면(28)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면은 조작 요소(26)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30)이 조작 유닛(24)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과의 협동시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따라 접촉 면(32)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편심부(72)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과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의 협동시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과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 사이의 선 접촉이 이루어진다. 조작 요소(26)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30)은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의 접촉 선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과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의 협동시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과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 사이의 선 접촉이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의 접촉 선을 따라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과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의 협동시 점형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고, 점 접촉은 조작 요소(26)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30) 상에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30)은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의 접촉 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촉 점은 조작 요소(26)의 작동 면(28)과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의 협동시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에 접촉하도록 제공된다(도 3 및 도 4).
조작 요소(26)는 작동 요소(34)의 이동 축(38)에 대해 오프셋되게, 특히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이동 축(36), 특히 선회 축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34)의 이동 축(38)은 클램핑 유닛(16)의 클램핑 축(78) 및/또는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축(78)은 출력 샤프트(12)의 회전 축(64)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연장된다. 조작 요소(26)는 이동 축(36)을 포함하고,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 및 힘 도입 점(30)을 통해 연장되는 직선(40)은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과, 조작 요소(26)의 작동 위치 및/또는 이동 위치에 따라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35°내지 85°의 각 범위의 각(42)을 형성한다(도 3 및 도 4 참조).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 및 힘 도입 점(30)을 통해 연장되는 직선(40)은 조작 요소(26)가 조작 요소(26)의 휴지 위치(도 2)로부터 조작 요소(26)의 접촉 위치(도 3)로 이동된 조작 요소(26)의 작동 위치 및/또는 이동 위치에서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과 35°보다 크고 50°보다 작은 각(42), 특히 40°의 각(42)을 형성한다(도 3). 조작 요소(26)의 접촉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작동 면(28)이 접촉 면(32)에 접촉하고, 작동 요소(34)는 조작 요소(26)에 의해 작동 요소(34)의 이동 축(38)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 및 힘 도입 점(30)을 통해 연장되는 직선(40)은 조작 요소(26)가 휴지 위치(도 2 및 도 5)로부터 또는 접촉 위치(도 3)로부터 조작 요소(26)의 끝 위치로 이동된(도 4) 조작 요소(26)의 작동 위치 및/또는 이동 위치에서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과 7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42), 특히 80°의 각(42)을 형성한다. 조작 요소(26)의 끝 위치에서 작동 면(28)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면(32)에 접촉하고 작동 요소(34)는 조작 요소(26)에 의해 작동 요소(34)의 이동 축(38)을 따라 최대로 이동된다.
힘 도입 점(30)은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의해, 특히 조작 유닛(26)의 접촉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26)의 끝 위치로의 조작 요소(26)의 이동시, 하나의 직선을 따라 접촉 면(32)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힘 도입 점(30)은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의해, 특히 조작 유닛(26)의 접촉 위치로부터 조작 요소(26)의 끝 위치로의 조작 요소(26)의 이동시, 적어도 실질적으로 접촉 면(32)의 최대 폭(44)에 걸쳐 하나의 직선을 따라 접촉 면(32)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조작 요소(26)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5°보다 큰 최소 무부하 행정 각(46)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는 20°보다 작은, 특히 18°의 최대 무부하 행정 각(46)을 갖는다. 최대 무부하 행정 각(46)은 휴지 위치(도 2 및 도 5)로부터 접촉 위치(도 3)로의 조작 요소(26)의 선회 운동시 조작 유닛이 이동 가능한 각이다. 조작 요소(26)는 조작 요소(26)의 최대 이동, 특히 최대 행정 각을 한정하고 작동 면(28)에 인접하게 조작 요소(26)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면(48)을 포함한다. 정지 면(48)은 조작 유닛(26)의 끝 위치에서 기어 하우징(54)에 접촉하므로 조작 요소(26)의 최대 이동, 특히 최대 행정 각을 한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조작 요소(26)는 이동 축(36), 특히 선회 축, 및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조작 요소(26)의 서로 떨어져 있는 측면들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50, 52)을 포함한다.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50, 52) 중 하나의 조작 면은 특히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50, 52) 중 하나의 조작 면에 대한 조작자의 압력의 작용으로 인해, 휴지 위치(도 2 및 도 5)로부터 접촉 위치(도 3)로의 조작 요소(26)의 이동을 위한 조작자 힘의 작용을 위해 제공된다.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50, 52) 중 하나의 조작 면은 특히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50, 52) 중 하나의 조작 면에 대한 조작자의 인장력의 작용으로 인해, 접촉 위치(도 3)로부터 끝 위치(도 4)로의 조작 요소(26)의 이동을 위한 조작자 힘의 작용을 위해 제공된다.
조작 유닛(24)은 조작 요소(26)에 조작 요소(26)의 휴지 위치(도 2 및 도 5)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80)를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스프링 요소(80)는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스프링, 특히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80)의 하나의 단부는 조작 요소(26) 상에 지지되고 스프링 요소(80)의 다른 단부는 기어 하우징(54) 상에 지지된다(도 6). 스프링 요소(80)는 조작 요소(26)에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 주위에 스프링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스프링 요소(80)는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26)의 베어링 리세스(82)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80)는 조작 요소(26)의 조립시 조작 요소(26)의 편심부(72)를 조작 요소(26)의 베이스 바디(84) 상에 예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조작 요소(26) 및 스프링 요소(80)가 기어 하우징(54)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는 휴지 위치로의 조작 요소(26)의 복귀를 위해, 및/또는 휴지 위치로 조작 요소(26)의 홀딩을 위해 제공된다. 베이스 바디(8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편심부(7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조작 면들(50, 52)은 베이스 바디(84) 상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바디(84)는 휴지 위치(도 2 및 도 5)에서 기어 하우징(54)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휴대용 공구 장치(14)의 작동 동안 조작 요소(26)의 진동에 대한 댐핑이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조작 요소(26)의 이동 축(36)을 중심으로 하는 조작 요소(26)의 이동 동안 클램핑 스프링 요소(102)의 스프링력에 대한 조작 요소(26)의 조작 요소 힘의 힘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힘 다이어그램은 힘이 경로에 걸쳐 표시되는 힘 경로(각) 다이어그램으로서 형성된다. 힘 다이어그램의 상부 그래프(88)는 휴지 위치(도 2 및 도 5)로부터 끝 위치(도 4)로의 이동시 조작 요소(26)의 조작 요소 힘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중간 그래프(90)는 끝 위치(도 4)로부터 휴지 위치(도 2 및 도 5)로의 이동시 조작 요소(26)의 조작 요소 힘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하부 그래프(92)는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따른 클램핑 스프링 요소(102)의 스프링력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12: 출력 샤프트
16: 클램핑 유닛
18: 인서트 공구 유닛
20, 22: 클램핑 요소
24: 조작 유닛
26: 조작 요소
28: 작동 면
30: 힘 도입 점
32: 접촉 면
34: 작동 요소
36: (조작 요소의) 이동 축
38: (작동 요소의) 이동 축
40: 직선
42: 각
48: 정지 면
50, 52: 조작 면
54: 기어 하우징
56: 환기 개구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12)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로서, 인서트 공구 유닛(18)을 상기 출력 샤프트(12)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 22)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인서트 공구 유닛(18)에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요소(20, 2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요소(26), 특히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클램핑 요소(20, 22)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을 포함하는, 상기 퀵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26)는 상기 클램핑 요소(20, 22)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 요소(26)의 적어도 하나의 힘 도입 점(30)이 상기 조작 유닛(24)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요소(34)의 접촉 면(32)과의 협동시 상기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촉 면(3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면(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26)는 상기 작동 요소(34)의 이동 축(38)에 대해 오프셋되게, 특히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이동 축(36), 특히 선회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26)는 이동 축(36), 특히 선회 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요소(26)의 상기 이동 축(36) 및 상기 힘 도입 점(30)을 통해 연장되는 직선(40)이 상기 조작 요소(26)의 작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작 요소(26)의 상기 이동 축(3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상기 작동 요소(34)의 상기 접촉 면(32)과 35°내지 85°의 각 범위의 각(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힘 도입 점(30)은 상기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 면(32) 상에서 하나의 직선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힘 도입 점(30)은 상기 조작 요소(26)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 면(32) 상에서 하나의 직선을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접촉 면(32)의 최대 폭(44)에 걸쳐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26)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5°보다 큰 최소 무부하 행정 각(4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26)는, 상기 조작 요소(26)의 최대 이동, 특히 최대 행정 각을 한정하며 상기 작동 면(28)에 인접하게 상기 조작 요소(26)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면(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26)는 이동 축(36), 특히 선회축, 및 상기 조작 요소(26)의 상기 이동 축(3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 요소(26)의 서로 떨어져 있는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2 개의 조작 면들(50, 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하우징(54)을 포함하고, 조작 요소(26)는 상기 기어 하우징(54)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기어 하우징(54)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 개구(56)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요소(26)는 적어도 비작동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기 개구를 덮지 않게 상기 기어 하우징(54)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KR1020197011037A 2016-10-18 2017-10-04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KR102431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0362.2A DE102016220362A1 (de) 2016-10-18 2016-10-18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zumindest eine rotierend antreibbare Abtriebswelle aufweisend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
DE102016220362.2 2016-10-18
PCT/EP2017/075111 WO2018072996A1 (de) 2016-10-18 2017-10-04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zumindest eine rotierend antreibbare abtriebswelle aufweisend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710A true KR20190071710A (ko) 2019-06-24
KR102431897B1 KR102431897B1 (ko) 2022-08-16

Family

ID=6001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037A KR102431897B1 (ko) 2016-10-18 2017-10-04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07772B2 (ko)
EP (1) EP3529004B1 (ko)
JP (1) JP6802918B2 (ko)
KR (1) KR102431897B1 (ko)
CN (1) CN109843506B (ko)
DE (1) DE102016220362A1 (ko)
WO (1) WO2018072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777B1 (ko) * 2021-01-29 2021-08-27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진단용 슈미트해머 타점위치의 면정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8622A1 (de) * 2017-04-12 2018-10-18 Robert Bosch Gmbh Schleifmittelvorrichtung, insbesondere Schleiftellervorrichtung oder Stütztellervorrichtung
DE102017214118A1 (de) * 2017-08-11 2019-02-14 Robert Bosch Gmbh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insbesondere zumindest eine rotierend antreibbare Abtriebswelle aufweisend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
US10906153B2 (en) * 2018-06-01 2021-02-02 Makita Corporation Work tool
CN112008566B (zh) * 2019-05-29 2024-01-19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电动工具
JP7314676B2 (ja) * 2019-07-19 2023-07-26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動力工具
EP3769913A1 (de) * 2019-07-24 2021-01-27 Hilti Aktiengesellschaft Werkzeugmaschine
JP7330914B2 (ja) * 2020-02-13 2023-08-22 株式会社マキタ 振動工具
DE102022203059A1 (de) 2021-11-30 2023-06-0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erkzeugaufnahmevorrichtungen für tragbare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0416A2 (de) * 2000-08-16 2002-02-20 C. & E. FEIN GmbH & Co.KG Elektrowerkzeug mit Schnellspanneinrichtung
EP1182019A1 (de) * 2000-08-17 2002-02-27 HILTI Aktiengesellschaft Elektrowerkzeug mit Schnellspanneinrichtung zur Aufnahme eines Werkzeuges
JP2007533472A (ja) * 2004-04-23 2007-11-22 ツェー ウント イー フェイン ゲーエムベーハー 工具用クランプ機器を有するハンドヘルド電動工具
US20100236806A1 (en) * 2009-03-18 2010-09-23 Mark Heilig Oscillating Tool With Vibration Damping System
US20140327215A1 (en) * 2013-05-06 2014-11-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Oscillating multi-to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2874A1 (de) * 1989-02-01 1990-08-09 Fein C & E Adapter zum befestigen eines zusatzwerkzeugs
DE59101383D1 (de) 1991-01-16 1994-05-19 Fein C & E Tragbare Schleifmaschine mit Schnellspanneinrichtung.
US5158331A (en) * 1991-02-25 1992-10-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reloaded latching device
DE4336620C2 (de) * 1993-10-27 1997-07-03 Fein C & E Elektrowerkzeug mit einer nur bei ausgeschaltetem Motor betätigbaren Spannvorrichtung
DE10017458A1 (de) 2000-04-07 2001-10-18 Bosch Gmbh Robert Schleifmaschinenwerkzeugaufnahme
US7856724B2 (en) * 2000-08-17 2010-12-28 Hilti Aktiengesellschaft Electrical power tool with a rotatable working tool
DE202009001440U1 (de) * 2009-01-30 2010-07-01 C. & E. Fein Gmbh Kraftgetriebenes Handwerkzeug mit Spanneinrichtung für ein Werkzeug
CN101890671B (zh) * 2009-02-17 2014-05-28 C.&E.泛音有限公司 用于振动驱动装置的磨削或磨光的工具
DE202011110131U1 (de) * 2011-06-06 2013-02-11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nspannvorrichtung
EP3090839A1 (en) * 2011-09-29 2016-11-09 Positec Power Tools (Suzhou) Co., Ltd Oscillatory power tool
JP5746645B2 (ja) * 2012-02-03 2015-07-08 株式会社マキタ 作業工具
DE102012210133A1 (de) * 2012-06-15 2013-12-19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nbremsvorrichtung
JP2014131824A (ja) * 2013-01-07 2014-07-17 Makita Corp 作業工具
US10682736B2 (en) * 2016-09-29 2020-06-16 Black & Decker Inc. Accessory clamp and spindle lock mechanism for power to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0416A2 (de) * 2000-08-16 2002-02-20 C. & E. FEIN GmbH & Co.KG Elektrowerkzeug mit Schnellspanneinrichtung
EP1182019A1 (de) * 2000-08-17 2002-02-27 HILTI Aktiengesellschaft Elektrowerkzeug mit Schnellspanneinrichtung zur Aufnahme eines Werkzeuges
JP2002126944A (ja) * 2000-08-17 2002-05-08 Hilti Ag 電動工具
JP2007533472A (ja) * 2004-04-23 2007-11-22 ツェー ウント イー フェイン ゲーエムベーハー 工具用クランプ機器を有するハンドヘルド電動工具
US20100236806A1 (en) * 2009-03-18 2010-09-23 Mark Heilig Oscillating Tool With Vibration Damping System
US20140327215A1 (en) * 2013-05-06 2014-11-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Oscillating multi-to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777B1 (ko) * 2021-01-29 2021-08-27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진단용 슈미트해머 타점위치의 면정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3506A (zh) 2019-06-04
KR102431897B1 (ko) 2022-08-16
WO2018072996A1 (de) 2018-04-26
EP3529004A1 (de) 2019-08-28
EP3529004B1 (de) 2023-02-01
CN109843506B (zh) 2022-01-11
BR112019006396A2 (pt) 2019-06-25
US11607772B2 (en) 2023-03-21
JP6802918B2 (ja) 2020-12-23
DE102016220362A1 (de) 2018-04-19
US20190262970A1 (en) 2019-08-29
JP2019534797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1710A (ko)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EP2688715B1 (en) Hand held power tool with locking rotatable handle
US8104544B2 (en) Hand machine tool
US20100018734A1 (en) Electric machine tool
US20140191481A1 (en) Power tool having improved tool accessory securing mechanism
US9855649B2 (en) Spindle locking device
CN109843486B (zh) 用于便携式工具机的快速夹紧装置和便携式工具机
US8961272B2 (en) Grinding device with protective hood
RU2010110958A (ru) Уда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KR102436086B1 (ko) 휴대용 공작 기계용, 특히 앵글 그라인딩 머신용 신속 인장 장치
CN109483486B (zh) 手持式工具机
CN108367409B (zh) 具有至少一个位于机器侧的接触元件的手持式工具机
CN109862998B (zh) 用于具有至少一个可旋转地驱动的从动轴的便携式工具机、尤其是角磨机的快速夹紧装置
US20080196539A1 (en) Lever arrangement and operating unit for handlebar-steered vehicles
US20070151114A1 (en) Hand-guided power tool rotating knob adjusting device
EP2366496B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Handgriff
JP2017039178A (ja) 作業工具
ATE546246T1 (de) Spindelkopf fur werkzeugmaschinen mit werkzeug- spanneinrichtung
CN112262020B (zh) 手持式工具机
EP2366495A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Exzentergetriebe und einer Sperre
KR20130137789A (ko) 에어 그라인더
BR112019006396B1 (pt) Dispositivo de aperto rápido para uma máquina-ferramenta portátil que apresenta pelo menos um eixo de saída de movimento acionável rotativamente, especialmente uma retífica angu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