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619A -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619A
KR20190071619A KR1020180161304A KR20180161304A KR20190071619A KR 20190071619 A KR20190071619 A KR 20190071619A KR 1020180161304 A KR1020180161304 A KR 1020180161304A KR 20180161304 A KR20180161304 A KR 20180161304A KR 20190071619 A KR20190071619 A KR 2019007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heet
superabsorbent resin
meth
monom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189B1 (ko
Inventor
윤기열
최현
주효숙
김기철
김주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6/772,47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57946B2/en
Priority to CN201880079708.7A priority patent/CN111465636B/zh
Priority to PCT/KR2018/015932 priority patent/WO2019117670A1/ko
Priority to JP2020528959A priority patent/JP7020723B2/ja
Priority to EP18889354.9A priority patent/EP370860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89B1/ko
Priority to US18/514,061 priority patent/US202400828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5Addition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e.g.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 e.g. for forming pores
    • B01J20/3064Addition of pore forming agents, e.g. pore inducing or porogen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22Expandable microspheres, e.g. Expanc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Open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op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공성의 유연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PREPARATION METHOD FOR SUPER ABSORBENT POLYMER SHEET AND SUPER ABSORBENT POLYMER SHEET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란 자체 무게의 5백 내지 1천 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로서, 개발업체마다 SAM(Super Absorbency Material), AGM(Absorbent Gel Material) 등 각기 다른 이름으로 명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흡수성 수지는 생리용구로 실용화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어린이용 종이기저귀나 생리대 등 위생용품 외에 원예용 토양보수제, 토목, 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식품유통분야에서의 신선도 유지제, 및 찜질용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저귀, 생리대 또는 실금용 패드 등의 위생용품에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한 흡수체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흡수체는 주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와,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적절히 고정하면서도 상기 흡수체 및 위생용품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플러프 펄프(fluff pulp)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플러프 펄프의 존재로 인해, 흡수체 및 위생용품의 슬림화 및 박형화가 어려웠고, 사용자의 피부와 위생용품의 사이에 땀이 차는 등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주로 목재를 원료로 얻어지는 상기 플러프 펄프의 다량 사용 필요성으로 인해, 최근의 환경보호 시류에 역행하는 점이 있었고, 상기 흡수층 및 위생용품의 제조 단가를 높이는 주원인 중에 하나가 되었다.
이 때문에, 상기 흡수층 및 위생용품에 있어서, 플러프 펄프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플러프 펄프를 사용하지 않은 소위 펄프리스(pulpless) 기저귀 등의 위생용품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현재의 고흡수성 수지는 대부분 분말(powder)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말 형태의 고흡수성 수지는 위생재를 제조할 때나 실제 사용 시 비산되거나 누출될 수 있는 부분이 있고, 특정 형태의 기질(substrate)과 함께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 범위의 제한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고흡수성 수지를 섬유(fiber) 또는 부직포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흡수 성능의 저하가 없고 펄프리스 흡수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유연성을 나타내는 고흡수성 수지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미흡하여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높은 가요성 및 빠른 흡수 속도를 나타내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산성기를 가지며 상기 산성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아크릴산계 단량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공단량체,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는 내부 가교제, 캡슐화된 발포제,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함수겔 중합체를 건조하여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는 분말 상태의 통상의 고흡수성 수지와는 달리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얻어지며, 제품으로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비산되거나 누출될 우려가 없고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는 공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열린 기공 채널(open pore channel)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모세관 압력(capillary pressure)에 의한 물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흡수 속도 및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유연성과 가요성을 가지면서 고흡수성 수지 본연의 물성으로 빠른 흡수 속도를 나타내어, 가요성 및 높은 흡수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는 펄프리스 흡수체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표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표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산성기를 가지며 상기 산성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아크릴산계 단량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공단량체,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는 내부 가교제, 캡슐화된 발포제,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함수겔 중합체를 건조하여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고흡수성 수지의 원료 물질인 모노머 조성물은 산성기를 가지며 상기 산성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아크릴산계 단량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공단량체,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는 내부 가교제, 캡슐화된 발포제, 및 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R1-COOM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M1은 수소원자, 1가 또는 2가 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 아민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1가 금속염, 2가 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 아민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산성기를 가지며 상기 산성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등과 같은 알킬리 물질로 부분적으로 중화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중화도는 40 내지 95 몰%, 또는 40 내지 80 몰%, 또는 45 내지 75 몰%일 수 있다. 상기 중화도의 범위는 최종 물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중화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중화된 단량체가 석출되어 중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반대로 중화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고분자의 흡수력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취급하기 곤란한 탄성 고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농도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의 원료 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에 대해 약 20 내지 약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0 중량%로 될 수 있으며, 중합 시간 및 반응 조건 등을 고려해 적절한 농도로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량체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고흡수성 수지의 수율이 낮고 경제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반대로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단량체의 일부가 석출되거나 중합된 함수겔상 중합체의 분쇄 시 분쇄 효율이 낮게 나타나는 등 공정상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머 조성물은 공단량체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중합 과정에서 아크릴산계 단량체와 함께 공중합되어 유연성있는 고분자 구조의 고흡수성 수지의 중합을 가능케 한다.
최적화된 고분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있어 에틸렌글리콜 반복 단위수는 3 내지 100, 또는 3 내지 80, 또는 3 내지 5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아크릴산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유연성 개선의 효과가 없을 수 있고, 너무 많이 포함되는 경우, 흡수 속도, 및 흡수능의 저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함량 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머 조성물은 내부 가교제로 폴리올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은,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 및 공단량체와 가교 반응하여 유연성 있는 고분자 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흡습성으로 인해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함수율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폴리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5-헥산디올, 2-메틸-1,3-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함수율 향상의 효과가 없을 수 있고, 너무 많이 포함되는 경우, 흡수 속도, 및 흡수능의 저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함량 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머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 외에 다른 내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가교제로는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예를 들어, 탄소수 2 내지 10의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머 조성물은 캡슐화된 발포제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모노머 조성물의 중합시에는 캡슐화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후술하는 건조 공정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발포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흡수성 수지의 고분자 구조 사이사이에 적절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여 고흡수성 수지 시트가 열린 기공 채널(open pore channel)의 구조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쉘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캡슐화된 발포제는 상기 코어와 쉘을 이루는 성분과 각 성분의 중량, 직경에 따라 팽창 특성이 달라지며 이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크기로 팽창이 가능하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다공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원하는 크기의 기공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캡슐화된 발포제의 팽창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고흡수성 수지 내에서 캡슐화된 발포제가 발포된 형태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형태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먼저 캡슐화된 발포제를 공기 중에서 발포시켜 팽창 비율 및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기공을 형성하기에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페트리 접시 위에 캡슐화된 발포제를 도포한 뒤 공기 중에서 150 ℃의 열을 10 분 동안 가하여 캡슐화된 발포제를 팽창시킨다. 이때, 캡슐화된 발포제가 3 내지 15 배, 5 내지 15 배 혹은 8.5 내지 10 배의 공기 중에서의 최대 팽창 비율을 나타낼 때, 본 발명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 적절한 열린 기공 구조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평균 직경이 5 내지 50 ㎛, 또는 5 내지 30 ㎛, 또는 5 내지 20 ㎛, 또는 7 내지 17 ㎛일 수 있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가 상기와 같은 평균 직경을 나타낼 때 적절한 공극률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가 공기 중에서의 20 내지 190 ㎛, 또는 50 내지 190 ㎛, 또는 70 내지 190 ㎛, 또는 75 내지 190 ㎛의 최대 팽창 직경을 나타낼 때 본 발명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 적절한 열린 기공 구조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캡슐화된 발포제의 공기 중에서의 최대 팽창 비율 및 최대 팽창 직경은 후술하는 제조예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의 코어를 구성하는 탄화수소는 n-프로판, n-부탄, iso-부탄, 사이클로부탄, n-펜탄, iso-펜탄, 사이클로펜탄, n-헥산, iso-헥산, 사이클로헥산, n-헵탄, iso-헵탄, 사이클로헵탄, n-옥탄, iso-옥탄 및 사이클로옥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탄소수 3 내지 5의 탄화수소(n-프로판, n-부탄, iso-부탄, 사이클로부탄, n-펜탄, iso-펜탄, 사이클로펜탄)가 상술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기에 적합하고, iso-부탄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의 쉘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방향족 비닐, 초산 비닐, 할로겐화 비닐 및 할로겐화 비닐리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형성되는 폴리머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가 상술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기에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전체 캡슐화된 발포제 중량에 대하여 탄화수소를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열린 기공 구조를 형성하는데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상용화된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의 함량은 아크릴산계 단량체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열린 기공 구조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많이 포함되는 경우, 다공성이 너무 높아 고흡수성 수지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함량 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 중합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방법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 또는 UV 조사에 따른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광중합 방법에 의하더라도, 자외선 조사 등의 조사에 의해 일정량의 열이 발생하고, 또한 발열 반응인 중합 반응의 진행에 따라 어느 정도의 열이 발생하므로, 추가적으로 열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 디알킬아세토페논(dialkyl acetophenone), 하이드록실 알킬케톤(hydroxyl alkylketone),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아실포스핀(acyl phosphine) 및 알파-아미노케톤(α-amino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아실포스핀의 구체예로, 상용하는 lucirin TPO, 즉, 2,4,6-트리메틸-벤조일-트리메틸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trimethyl phosphine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다양한 광개시제에 대해서는 Reinhold Schwalm 저서인 "UV Coatings: Basics, Recent Developments and New Application(Elsevier 2007년)" p115에 잘 명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1.0 중량%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중합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광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고흡수성 수지의 분자량이 작고 물성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염계 개시제,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수소 및 아스코르빈산으로 이루어진 개시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황산염계 개시제의 예로는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Na2S2O8),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2S2O8),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NH4)2S2O8) 등이 있으며, 아조(Azo)계 개시제의 예로는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티라마이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2-azobis-(N,N-dimethylene)isobutyramidine dihydrochloride), 2-(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2-(carbamoylazo)isobutylonitril),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2-azobis[2-(2-imidazolin-2-yl)propane] dihydrochloride),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 산)(4,4-azobis-(4-cyanovaleric acid)) 등이 있다. 보다 다양한 열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는 Odian 저서인 'Principle of Polymerization(Wiley, 1981)', p203에 잘 명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는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대하여 약 0.001 내지 약 0.5 중량%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열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추가적인 열중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열중합 개시제의 추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열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고흡수성 수지의 분자량이 작고 물성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모노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증점제(thickener), 가소제, 보존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아크릴산계 불포화 단량체, 공단량체, 내부 가교제, 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와 같은 원료 물질은 용매에 용해된 모노머 조성물 용액의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모노머 조성물의 총 함량에 대하여 상술한 성분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용매는 상술한 성분들을 용해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아밀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톨루엔, 크실렌, 부틸로락톤, 카르비톨,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한다.
한편, 이와 같은 모노머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고흡수성 수지 제조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중합 방법이면, 특별히 구성의 한정이 없다.
구체적으로, 중합 방법은 중합 에너지원에 따라 크게 열중합 및 광중합으로 나뉠 수 있다. 통상 열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니더(kneader)와 같은 교반축을 가진 반응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반면, 광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반응기에서 진행될 수 있으나, 상술한 중합 방법은 일 예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중합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함수겔 중합체의 통상 함수율은 약 40 내지 약 80 중량%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함수율"은 전체 함수겔 중합체 중량에 대해 차지하는 수분의 함량으로 함수겔 중합체의 중량에서 건조 상태의 중합체의 중량을 뺀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가열을 통해 중합체의 온도를 올려 건조하는 과정에서 중합체 중의 수분증발에 따른 무게감소분을 측정하여 계산된 값으로 정의한다. 이때, 건조 조건은 상온에서 약 18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뒤 180℃에서 유지하는 방식으로 총 건조시간은 온도상승단계 5분을 포함하여 20분으로 설정하여, 함수율을 측정한다.
다음에 상기 함수겔 중합체를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건조하여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건조 단계의 건조 온도는 약 12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건조 온도가 약 120℃ 미만인 경우,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최종 형성되는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건조 온도가 약 250℃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중합체 표면만 건조되어, 최종 형성되는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는 약 12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건조 시간의 경우에는 공정 효율 등을 고려하여, 약 20 내지 약 90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건조 단계의 건조 방법 역시 함수겔 중합체의 건조 공정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 공급, 적외선 조사, 극초단파 조사,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으로 건조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 단계 진행 후의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함수율은 약 10 중량% 이상으로,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15 내지 약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함수율이 상술한 범위에 있을 때 시트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두께는 약 100㎛ 이상, 또는 1,000㎛, 또는 5,000㎛이면서 약 10cm 이하, 또는 약 5cm 이하, 또는 약 1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강도가 낮아 시트가 찢어질 수 있으며, 너무 두꺼울 경우 건조 및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술한 두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 있어, 공극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열린 기공 채널(open pore channel) 구조의 시트 상태이기 때문에 모세관 압력(capillary pressure)에 의한 물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흡수 속도 및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펄프리스 흡수체로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는 공극(pore)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된, 열린 기공 채널(open pore channel)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모세관 압력(capillary pressure)에 의한 물의 흡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분말 형태의 고흡수성 수지보다 흡수 속도 및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 있어서 EDANA 법 WSP 241.2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원심분리 보수능(CRC)은 약 10 내지 약 40 g/g,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 g/g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 있어 EDANA 법 WSP 242.2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0.7 psi의 가압 흡수능(AUP)은 약 5 내지 약 20 g/g,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5 g/g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시트는 우수한 흡수 특성 및 투과성을 가져 펄프리스 흡수체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실시예 1
아크릴산 35.3 g, 가성소다(NaOH, 30 중량% 용액) 43.5g 및 물 7.7 g을 혼합하여 상기 아크릴산의 약 70 몰%가 중화된 중화액(고형분 함량: 56 중량%)을 준비하였다.
상기 중화액에 공단량체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상품명: FA-401, 제조사: 한농화성) 7.1 g, 글리세롤(glycerol) 10 g,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MW=330 제조사: aldrich사) 0.06 g, 캡슐화된 발포제(matsumoto사, 36D grade) 0.51 g을 첨가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메케니컬 믹서(mechanical mixer)를 이용하여 500 rpm의 속도로 약 10 분간 고전단 혼합하였다.
이후, 중합기의 공급부를 통해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하였다. 이때 중합기의 온도는 100℃로 유지하였으며, 중합의 최고 온도는 110℃, 중합 시간은 10분이었다.
이어서, 상기 함수겔 중합체에 대하여 140℃ 온도의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하고, 이를 재단기를 이용하여 시트 형태(두께: 5,000 ㎛)로 절단하였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서, EDANA 법 WSP 241.2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원심분리 보수능(CRC)은 22.7 g/g이고, EDANA 법 WSP 242.2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0.7 psi의 가압 흡수능(AUP)은 11.0 g/g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을 20g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캡슐화된 발포제를 2.5g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캡슐화된 발포제와 글리세롤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에서, EDANA 법 WSP 241.2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원심분리 보수능(CRC)은 26.0g/g이고, EDANA 법 WSP 242.2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0.7 psi의 가압 흡수능(AUP)은 12.7g/g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롤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글리세롤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캡슐화된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상품명: FA-401, 제조사: 한농화성) 7.1 g를 제외하고, Poly(ethylene oxide)(PEO, sigma-aldrich사, Mw=300,000 g/mol)를 7.1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특성 평가
(1)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단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시트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교예 1 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시트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하면,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시트 표면에는 열린 기공 채널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도 2에서는 그러한 구조를 관찰할 수 없었다.
(2) 유연성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반으로 접은 후 다시 펼쳤을 때 원래의 시트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를 O로 하고, 접었을때 접은 부분이 갈라지거나 부서져서 원래의 시트 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 X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특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두께(㎛) 5,000㎛ 5,000㎛ 5,000㎛ 4,000 ㎛ 5,000㎛ 5,000㎛ 5,000 ㎛ 4,000 ㎛
함수율 (%) 24.80% 21.10% 20.30% 27.00% 22.30% 8.50% 25.1% 28.5%
SEM에서 기공 구조 관찰 O O O X O O X X
유연성 O O O O X X X X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는, 열린 기공 채널 구조를 가지며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한 고흡수성 수지에서는 열린 기공 채널 구조가 관찰되지 않거나, 유연성이 부족하여 시트 형태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3)

  1. 산성기를 가지며 상기 산성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된 아크릴산계 단량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공단량체, 폴리올(polyol)을 포함하는 내부 가교제, 캡슐화된 발포제,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함수겔 중합체를 건조하여 고흡수성 수지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는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5-헥산디올, 2-메틸-1,3-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은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평균 직경이 2 내지 50 ㎛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공기 중 팽창 비율이 3 내지 15 배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쉘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는 n-프로판, n-부탄, iso-부탄, 사이클로부탄, n-펜탄, iso-펜탄, 사이클로펜탄, n-헥산, iso-헥산, 사이클로헥산, n-헵탄, iso-헵탄, 사이클로헵탄, n-옥탄, iso-옥탄 및 사이클로옥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방향족 비닐, 초산 비닐, 할로겐화 비닐 및 할로겐화 비닐리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형성되는 폴리머인,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발포제는,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11.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열린 기공 채널(open pore channel) 구조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시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두께는 100㎛ 내지 10cm인, 고흡수성 수지 시트.
KR1020180161304A 2017-12-14 2018-12-13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KR10223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72,473 US11857946B2 (en) 2017-12-14 2018-12-14 Preparing method of super absorbent polymer sheet and super absorbent polymer sheet prepared therefrom
CN201880079708.7A CN111465636B (zh) 2017-12-14 2018-12-14 超吸收性聚合物片的制备方法和由其制备的超吸收性聚合物片
PCT/KR2018/015932 WO2019117670A1 (ko) 2017-12-14 2018-12-14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JP2020528959A JP7020723B2 (ja) 2017-12-14 2018-12-14 高吸水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高吸水性樹脂シート
EP18889354.9A EP3708608B1 (en) 2017-12-14 2018-12-14 Method for manufacturing super absorbent resin sheet and super absorbent resin sheet manufactured thereby
US18/514,061 US20240082819A1 (en) 2017-12-14 2023-11-20 Preparing Method of Super Absorbent Polymer Sheet and Super Absorbent Polymer Sheet Prepar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2269 2017-12-14
KR1020170172269 2017-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619A true KR20190071619A (ko) 2019-06-24
KR102230189B1 KR102230189B1 (ko) 2021-03-19

Family

ID=6705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304A KR102230189B1 (ko) 2017-12-14 2018-12-13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857946B2 (ko)
EP (1) EP3708608B1 (ko)
JP (1) JP7020723B2 (ko)
KR (1) KR102230189B1 (ko)
CN (1) CN11146563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01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94202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94203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CN115066332A (zh) * 2020-09-08 2022-09-16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膜、其制备方法和包括其的聚合物膜层合体
WO2022240199A1 (ko) * 2021-05-11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수성 물품
WO2023018295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제조용 모노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520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수성 물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741A (ko) * 2004-12-10 2007-09-21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흡수성 수지의 표면 처리 방법
KR20120043165A (ko) * 2009-04-07 2012-05-03 에보닉 스톡하우젠 게엠베하 수분 흡수성 폴리머 구조 제조용 할로우체의 사용
KR20160063956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하 흡수 속도가 빠른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766A (en) * 1993-03-26 1994-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foam
JP4261853B2 (ja) 2001-09-19 2009-04-30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吸水性樹脂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03812B1 (en) 2002-05-01 2007-09-26 Basf Aktiengesellschaft Plasticized superabsorbent polymer sheets and use thereof in hygienic articles
US7163966B2 (en) 2003-12-19 2007-01-1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increased rate of water absorption
WO2005097313A1 (en) 2004-03-31 2005-10-20 Nippon Shokubai Co., Ltd. An aqueous-liquid-absorbing ag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BRPI0610075B8 (pt) * 2005-04-22 2021-06-22 Evonik Degussa Gmbh estruturas de poliméro de absorção de água, seus usos, processos para tratamento da superfície das mesmas, compostos, processos para produção dos mesmos, produtos compreendendo as estruturas poliméricas e usos de combinações de óxidos de metal e sais de metal de cátion de metal bivalente ou trivalente
US7335713B2 (en) 2005-12-02 2008-02-26 Stockhausen, Inc. Method for preparing a flexible superabsorbent binder polymer composition
US8318306B2 (en) 2008-01-30 2012-11-27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a triggering composition
US7977531B2 (en) 2008-01-30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bsorbent materials exhibiting deswell/reswell
EP2371869A1 (en) 2010-03-30 2011-10-05 Evonik Stockhausen GmbH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uperabsorbent polymer
DE102011007723A1 (de) * 2011-04-20 2012-10-25 Evonik Stockhaus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absorbierenden Polymeren mit hoher Absorptionsgeschwindigkeit
KR101604272B1 (ko) 2013-05-09 2016-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632058B1 (ko) 2013-06-14 2016-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684649B1 (ko) 2014-06-13 2016-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JP6425439B2 (ja) 2014-07-11 2018-11-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吸水シート
JP6455065B2 (ja) 2014-10-15 2019-01-2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吸水性ポリマーシート
KR101752384B1 (ko) * 2014-11-27 2017-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WO2016158975A1 (ja) 2015-03-31 2016-10-06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アクリル酸(塩)系吸水性樹脂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評価方法
KR101966927B1 (ko) 2015-07-0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1278B1 (ko) 2015-12-23 2018-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9996B1 (ko) 2016-01-28 2019-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86058B1 (ko) 2017-01-24 2020-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418916B1 (ko) 2017-09-05 2022-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WO2019216592A1 (ko)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WO2019216591A1 (ko)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WO2020067662A1 (ko)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741A (ko) * 2004-12-10 2007-09-21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흡수성 수지의 표면 처리 방법
KR20120043165A (ko) * 2009-04-07 2012-05-03 에보닉 스톡하우젠 게엠베하 수분 흡수성 폴리머 구조 제조용 할로우체의 사용
KR20160063956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하 흡수 속도가 빠른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9786B (zh) * 2020-03-23 2024-02-23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及其制备方法
WO2021194202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94203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CN114929786A (zh) * 2020-03-23 2022-08-19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及其制备方法
CN114945624A (zh) * 2020-03-23 2022-08-26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的制备方法
CN114981342A (zh) * 2020-03-23 2022-08-30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及其制备方法
WO2021194201A1 (ko) * 2020-03-23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945624B (zh) * 2020-03-23 2024-05-14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的制备方法
EP4074763A4 (en) * 2020-03-23 2023-01-25 Lg Chem, Ltd. SUPER-ABSORBENT RESIN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IT
CN114981342B (zh) * 2020-03-23 2024-05-14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及其制备方法
CN115066332A (zh) * 2020-09-08 2022-09-16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膜、其制备方法和包括其的聚合物膜层合体
WO2022240199A1 (ko) * 2021-05-11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수성 물품
WO2023018295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필름 제조용 모노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4441A1 (en) 2020-12-10
CN111465636A (zh) 2020-07-28
JP7020723B2 (ja) 2022-02-16
JP2021504530A (ja) 2021-02-15
EP3708608A4 (en) 2020-12-23
US20240082819A1 (en) 2024-03-14
EP3708608B1 (en) 2023-04-12
US11857946B2 (en) 2024-01-02
KR102230189B1 (ko) 2021-03-19
EP3708608A1 (en) 2020-09-16
CN111465636B (zh)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189B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KR20190047607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10118762A (ko) 고흡수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457232B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276342B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202059B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WO2019216592A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WO2019216591A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WO2019117670A1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시트
KR20210018689A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KR20200138531A (ko) 고흡수성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KR20230147430A (ko)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3689A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888197A (zh) 超吸收性聚合物的制备方法
KR20240072926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30144357A (ko) 고흡수성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