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345A -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345A
KR20190069345A KR1020187033692A KR20187033692A KR20190069345A KR 20190069345 A KR20190069345 A KR 20190069345A KR 1020187033692 A KR1020187033692 A KR 1020187033692A KR 20187033692 A KR20187033692 A KR 20187033692A KR 20190069345 A KR20190069345 A KR 20190069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opening
transverse
glass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 모리
코지 니시지마
히로키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1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specially adapted for bent sheets or 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4Advancing webs by direct action on web of moving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1Forming glass sheets by lateral drawing or extrusion
    • C03B17/062Forming glass sheets by lateral drawing or extrusion combined with flowing onto a solid or gaseous support from which the sheet is draw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5Forming profiled, patterned or corrugated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7Forming glass sheets combined with thermal conditioning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22Scoring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03B33/091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using at least one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 C03B35/2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on a gas support bed
    • C03B35/246Transporting continuous glass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for handling material along preferably rectilinear path, e.g. nozzle bed fo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3Details of the part distributing the air cushion
    • B65H2406/1131Por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25/0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during their manufacture
    • C03B2225/02Means for positioning, aligning or orientating the sheets during their travel, e.g. st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띠상 유리 필름(1)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띠상 유리 필름(1)을 만곡 반송 경로(R1)를 따라 반송하고, 그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과, 띠상 유리 필름(1)을 횡 반송 경로(R2)를 따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횡 반송 공정을 포함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띠상 유리 필름(1)으로부터 일부의 구간을 폐기할 때에 횡 반송 경로(R2) 상에서 띠상 유리 필름(1)으로부터 폐기 유리부(1x)를 분단하는 분단 공정과, 분단한 폐기 유리부(1x)를 횡 반송 경로(R2)로부터 하방으로 이탈시켜서 폐기하는 폐기 공정의 양 공정을 실행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히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PC 등의 모바일 단말은 박형, 경량인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들 단말에 장착되는 유리 기판에 대해서는 박판화로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이러한 현상황하, 필름상으로까지 박판화(예를 들면, 두께가 300㎛ 이하)된 유리 기판인 유리 필름이 개발, 제조되는 것에 도달해 있다.
그런데 유리 필름의 제조 공정에는 이것의 근본이 되는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이 포함되는 것이 통례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슬롯다운드로우법 등으로 대표되는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하여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개시된 방법은 성형 장치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을 종 방향 하방으로 인출하면서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 장치의 연직 하방에 배치한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성형 후의 띠상 유리 필름을 만곡한 만곡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으로써 그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과,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 띠상 유리 필름을 횡 반송 경로를 따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횡 반송 공정과, 레이저 절단 장치에 의해 횡 방향으로 반송 중의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폭 방향 양단에 존재하는 비유효부(후육(厚肉)한 엣지부를 포함하는 부위)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 제거 공정과, 비유효부가 절단 제거된 띠상 유리 필름을 권취 코어의 둘레로 권취하여 유리 롤로 하는 권취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법을 사용한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 중에는 성형 공정에서 성형한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른 일부의 구간을 분단하여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A) 소망의 길이의 띠상 유리 필름을 권취한 유리 롤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다음의 유리 롤을 제작하기 위해 권취 코어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경우나, (B)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비유효부를 절단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 절단 장치의 조절을 행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A)의 경우, 권취 코어의 교환이 완료될 때까지는 새롭게 띠상 유리 필름의 권취를 개시할 수 없기 때문에 권취 코어의 교환 중에 성형한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한다. 한편, 상기 (B)의 경우, 레이저 절단 장치의 조절이 완료될 때까지는 비유효부가 제거된 띠상 유리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즉, 유리 롤로서 권취해야 하는 상태가 된 띠상 유리 필름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절단 장치의 조절 중에 성형한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한다.
또한, 폐기 유리부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권취 코어의 교환 중이나 레이저 절단 장치의 조절 중에 띠상 유리 필름의 성형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대응을 취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을 취한 경우, 다시 성형을 개시했을 때에 띠상 유리 필름의 성형 조건을 원래대로 복구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 점에서 권취 코어의 교환 중이나 레이저 절단 장치의 조절 중에 있어서도 띠상 유리 필름의 성형을 계속하고, 그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하는 대응을 취하고 있다.
폐기 유리부를 폐기하는 실시형태의 일례로서는 성형 후에 종 방향 하방으로 반송 중의 띠상 유리 필름을 반복하여 폭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폐기 유리부를 다수 장의 폐기 유리 필름으로서 잘라내고, 각 폐기 유리 필름을 연직 하방으로 낙하시켜서 폐기하는 실시형태를 들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폐기 유리부의 폐기를 개시하기 전에 롤러 컨베이어를 성형 장치의 연직 하방으로부터 일단 퇴피시켜 반송 방향 전환 공정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그리고 권취 코어의 교환이나 레이저 절단 장치의 조절이 완료되면 폐기 유리부의 폐기를 종료함과 아울러, 롤러 컨베이어를 성형 장치의 연직 하방으로 복귀시키고, 폐기 유리부에 후속하는 띠상 유리 필름에 롤러 컨베이어 상(만곡 반송 경로 상)을 통과시켜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을 횡 반송 경로로 인입함으로써 반송 방향 전환 공정의 실행을 재개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5-44709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폐기 유리부를 폐기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폐기 유리부를 폐기하는데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를 성형 장치의 연직 하방으로부터 퇴피시키는 것, 복귀시키는 것, 및 띠상 유리 필름에 롤러 컨베이어 상을 통과시키고, 이것을 횡 반송 경로로 인입하는 것이 필요해져 그 작업이 극히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입 작업의 난이도 자체가 높아 작업 중의 띠상 유리 필름에 갈라짐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갈라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갈라짐이 띠상 유리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 중의 부위에까지 진전되어버려 띠상 유리 필름의 성형을 중단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빠져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들 문제는 상기 방법을 사용한 띠상 유리 필름의 제조 중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폐기 유리부를 폐기할 때에만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밖에 다운드로우법에 의한 성형 후에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형태로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할 경우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폐기 유리부를 폐기할 때에는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한 성형 후에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형태로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할 경우에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하는데에 따라 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하는 것, 및 폐기 유리부의 폐기에 있어서 띠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갈라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을 종 방향 하방으로 인출하면서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한 띠상 유리 필름을 만곡한 만곡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으로써 만곡 반송 경로를 통과 후의 띠상 유리 필름의 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띠상 유리 필름의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과,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 띠상 유리 필름을 횡 반송 경로를 따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횡 반송 공정을 포함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른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할 때에 횡 반송 경로 상에서 띠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폐기 유리부를 분단하는 분단 공정과, 분단한 폐기 유리부를 횡 반송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이탈시켜서 폐기하는 폐기 공정의 양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본 방법에서는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폐기 유리부를 분단하는 분단 공정이 횡 반송 경로 상에서 실행된다. 이 점에서 분단 공정이 실행되어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폐기 유리부가 분단된 시점에 있어서 이 폐기 유리부에 후속하는 띠상 유리 필름의 선두부는 이미 횡 반송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즉, 후속의 띠상 유리 필름이 이미 횡 반송 경로에 인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방법에서는 분단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횡 반송 경로 상에서 폐기 공정이 실행되어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분단된 폐기 유리부가 폐기된다. 따라서, 본 방법에 의하면 폐기 유리부를 폐기하는데에 따라 폐기 유리부에 후속하는 띠상 유리 필름을 횡 반송 로 인입할 필요 자체가 없어진다. 그 결과, 폐기 유리부를 폐기하는데에 따라 작업을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 작업 중에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운 횡 반송 경로로의 띠상 유리 필름의 인입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띠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갈라짐의 발생에 대해서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방법에 의하면 부차적으로 하기와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폐기 유리부를 횡 반송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이탈시키므로, 예를 들면 상방으로 이탈시킨 경우와 같이 횡 반송 경로로부터 일단 이탈한 폐기 유리부가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하여 횡 반송 경로 상에 잔존해버리는 바와 같은 우려를 정확하게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폐기 공정에서는 폐기 유리부를 횡 반송 경로로부터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단 공정의 실행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분단된 폐기 유리부의 최후부와, 폐기 유리부에 후속하는 띠상 유리 필름의 선두부의 양쪽 부분은 분단 공정의 실행 직후에 있어서는 극히 근접한 상태에 놓아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 놓이면 폐기 유리부를 횡 반송 경로로부터 이탈시킴과 아울러, 후속의 띠상 유리 필름이 횡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바와 같이 양자의 진로를 나누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폐기 유리부를 횡 반송 경로로부터 낙하시키도록 하면 낙하에 따라 폐기 유리부의 이동 속도가 가속되어 폐기 유리부는 후속의 띠상 유리 필름보다 고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폐기 유리부의 최후부와, 후속의 띠상 유리 필름의 선두부의 상호 간의 간격을 확장할 수 있어 양쪽 부분이 근접한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우려를 제거할 수 있고, 폐기 유리부와 후속의 띠상 유리 필름의 양자의 진로를 확실하게 나누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횡 반송 경로의 하방에 띠상 유리 필름의 전체 폭보다 폭넓게 개구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를 설치하고, 개폐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기 유리부에 개구부를 통과시킴으로써 폐기 공정을 실행함과 아울러, 개폐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폐쇄하고, 띠상 유리 필름에 개폐 부재 위를 통과시킴으로써 횡 반송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개폐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폐기 공정의 실행과 횡 반송 공정의 실행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폐기 유리부를 폐기하는데에 따르는 작업을 더 간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개폐 부재에 개구부의 폐쇄 시에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과 대향하는 반송면부와, 반송면부에 형성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를 형성하고, 개폐 부재에 의해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분사구로부터 반송면부 상을 통과하는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을 향해서 가스를 분사하고, 띠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중앙에 존재하는 유효부를 반송면부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개폐 부재에 개구부를 폐쇄시켜서 횡 반송 공정을 실행할 때에 개폐 부재와 띠상 유리 필름의 유효부의 양자의 접촉에 기인하여 유효부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의 유효부를 바탕으로 제조되는 유리 필름에 대해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가스의 분사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의 전체 폭을 반송면부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반송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개폐 부재와 띠상 유리 필름의 접촉을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띠상 유리 필름의 반송에 따르는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분사구가 유효부를 향해서 가스를 분사하는 제 1 분사구와, 유효부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를 향해서 가스를 분사하는 제 2 분사구를 갖고, 반송면부 중 제 1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이 제 2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보다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상 유리 필름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그 이면을 향해서 가스를 분사했다고 해도 폭 방향 중앙부에 존재하는 유효부가 하방으로 휘기 쉬워지고, 휜 유효부와 반송면부의 접촉에 기인하여 유효부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그러나 반송면부 중 제 1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이 제 2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보다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해두면 유효부와 반송면부의 접촉을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우려를 정확하게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개폐 부재에 개구부의 폐쇄 시에 유효부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띠상 유리 필름의 비유효부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엣지부가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유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해 두면 다른 부위보다 중량이 큰 엣지부를 요동시키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반송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띠상 유리 필름을 안정된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볼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지지 부재로서 볼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지지 부재와 비유효부의 접촉으로부터 유래되어 띠상 유리 필름의 반송에 따르는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 롤러는 자신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제약을 받지 않는 점에서, 예를 들면 반송 중의 띠상 유리 필름이 폭 방향으로 어긋난 것 같은 경우이어도 어긋남에 따라 자신의 회전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띠상 유리 필름을 반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폐기 유리부를 복수의 폐기 유리 필름으로 분할하여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폐기 유리부를 복수의 폐기 유리 필름으로 분할하여 폐기하므로 폐기된 폐기 유리부의 취급을 용이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횡 반송 경로 상이며, 또한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위치보다 하류측의 위치에서 띠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중앙에 존재하는 유효부와, 유효부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의 양쪽 부분의 경계를 따라 띠상 유리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레이저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횡 반송 경로 상이며, 또한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위치보다 하류측의 위치에서 띠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 절단을 실행하므로 횡 반송 경로 상에 있어서의 레이저 절단의 실행 위치를 폐기 유리부가 통과하는 것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본래적으로 레이저 절단을 실행하는 대상이 아닌 폐기 유리부에 대하여 부당하게 레이저 절단이 실행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제조상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운드로우법에 의한 성형 후에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형태로 띠상 유리 필름을 제조할 경우에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하는데에 따르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폐기 유리부의 폐기에 있어서 띠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갈라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횡 반송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성형되는 띠상 유리 필름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1)을 종 방향 하방으로 인출하면서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한 띠상 유리 필름(1)을 만곡한 만곡 반송 경로(R1)를 따라 반송함으로써 그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과,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 띠상 유리 필름(1)을 횡 반송 경로(R2)를 따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횡 반송 공정과, 횡 방향으로 반송 중의 띠상 유리 필름(1)으로부터 비유효부(1a)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 제거 공정과, 비유효부(1a)가 제거되어 유효부(1b)만으로 이루어지는 띠상 유리 필름(1)을 권취 코어(2) 둘레로 롤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3)로 하는 권취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성형 공정]
성형 공정의 실행에는 주로 쐐기상으로 형성된 성형체(4)와, 성형체(4)로부터 유하하는 유리 리본(5)을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것이 가능한 상하 복수 단에 배치된 롤러 쌍(6)을 사용한다.
성형체(4)는 용융 유리(7)를 유입시키기 위한 정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4a)과, 오버플로우 홈(4a)으로부터 양측방으로 흘러넘친 용융 유리(7)를 각각 유하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부(4b, 4b)와, 양 측면부(4b, 4b)를 따라 유하한 용융 유리(7)를 융합 일체화시키기 위한 하단부(4c)를 갖는다. 이 성형체(4)는 하단부(4c)에서 융합 일체화한 용융 유리(7)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리본(5)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하 복수단에 배치된 롤러 쌍(6) 중에는 상단측으로부터 순번으로 냉각 롤러 쌍(6a)과, 어닐러 롤러 쌍(6b)과, 지지 롤러 쌍(6c)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롤러 쌍(6) 각각은 유리 리본(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후에 띠상 유리 필름(1)의 비유효부(1a)가 되는 부위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각 롤러 쌍(6a)은 성형체(4)의 바로 아래에서 유리 리본(5)을 협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5)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을 억제하기 위한 롤러 쌍이다. 어닐러 롤러 쌍(6b)은 서냉로(8) 내에서 변형점 이하의 온도까지 서랭되는 유리 리본(5)을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롤러 쌍이다. 또한, 어닐러 롤러 쌍(6b)은 유리 리본(5)을 협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협지하는 일 없이 유리 리본(5)의 두께 방향을 따른 요동을 규제하고 있을 뿐인 경우도 있다. 지지 롤러 쌍(6c)은 서냉로(8)의 하방에 배치된 냉각실(도시 생략) 내에서 실온 부근까지 온도가 저하된 유리 리본(5)을 지지함과 아울러, 유리 리본(5)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속도(판 당김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롤러 쌍이다.
이들 상하 복수단에 배치된 롤러 쌍(6)을 통과한 유리 리본(5)이 띠상 유리 필름(1)으로서 성형된다. 여기에서 띠상 유리 필름(1)은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성형한다. 또한, 띠상 유리 필름(1)에는 폭 방향(도 1에서는 지면에 연직된 방향)의 중앙에 존재하여 후에 제품이 되는 유효부(1b)와, 유효부(1b)에 대하여 폭 방향의 외측에 존재하여 제거의 대상이 되는 한 쌍의 비유효부(1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비유효부(1a) 중 띠상 유리 필름(1)의 폭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큰 엣지부(1a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하여 띠상 유리 필름(1)을 성형하고 있지만, 물론 슬롯다운드로우법이나 리드로우법 등을 이용하여 띠상 유리 필름(1)을 성형해도 좋다.
[반송 방향 전환 공정]
반송 방향 전환 공정의 실행에는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롤러(9a)로 이루어지는 롤러 컨베이어(9)를 사용한다. 롤러 컨베이어(9)는 띠상 유리 필름(1)을 이면(1c)측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만곡 반송 경로(R1)를 따라 반송함으로써 만곡 반송 경로(R1)를 통과 후의 띠상 유리 필름(1)의 표면(1d)이 상방을 향하도록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다.
[횡 반송 공정]
횡 반송 공정의 실행에는 횡 반송 경로(R2)를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순번으로 배열된 벨트 컨베이어(10), 3체로 분할된 판상체(11, 12, 13), 벨트 컨베이어(14), 및 벨트 컨베이어(15)를 사용한다.
벨트 컨베이어(10)는 띠상 유리 필름(1)의 이면(1c)에 대하여 가스(G)(예를 들면,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띠상 유리 필름(1)은 벨트 컨베이어(10) 상을 폭 방향 중앙(주로 유효부(1b))만이 부상한 상태로 반송되어 간다. 이 벨트 컨베이어(10)는 띠상 유리 필름(1)의 비부상부(주로 비유효부(1a))를 반송하기 위한 무단상의 벨트(10a)와, 벨트(10a)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해서 가스(G)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기(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10a)에는 다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가스(G)가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띠상 유리 필름(1)의 이면(1c)에 도달한다. 또한, 벨트(10a)의 내주측에 배치된 가스 분사기는 벨트(10a)의 폭 방향 중앙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체로 분할된 판상체(11, 12, 13) 각각은 띠상 유리 필름(1)의 이면(1c)과 대향하는 반송면부(16)를 갖는다. 반송면부(16)에는 상기 반송면부(16) 상을 통과하는 띠상 유리 필름(1)의 유효부(1b)를 향해서 가스(G)(예를 들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면부(16)에는 띠상 유리 필름(1)의 비유효부(1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의 복수의 볼 롤러(16b)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횡 반송 공정의 실행 중에 유효부(1b)가 가스(G)의 압력에 의해 반송면부(16)로부터 부상한 상태이며, 또한 비유효부(1a)가 볼 롤러(16b)에 의해 지지된 상태하 띠상 유리 필름(1)이 각 판상체(11, 12, 13) 상을 통과하도록 반송해 간다.
반송면부(16)는 띠상 유리 필름(1)의 전체 폭보다 폭이 넓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분사구(16a) 각각은 각 판상체(11, 12, 1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사구(16a)는 유체 압축 장치(예를 들면, 에어 컴프레서)로부터 공간(17)으로 공급된 가스(G)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볼 롤러(16b)는 띠상 유리 필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볼 롤러(16b)는 비유효부(1a)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구체상의 로드 볼(16ba)과, 로드 볼(16ba)이 삽입되는 구멍부(16bb)와, 구멍부(16bb) 내에서 로드 볼(16b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볼(16bc)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체로 분할된 판상체(11, 12, 13) 중 판상체(12)는 판상체(11)와 판상체(13) 상호 간에 형성된 개구부(18)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개구부(18)는 횡 반송 경로(R2)의 하방에 있어서 띠상 유리 필름의 전체 폭보다 폭넓게 개구하고 있다. 판상체(12)는 상기 판상체(12)에 대하여 횡 반송 경로(R2)의 상류측에 배치된 판상체(11)와 연결 부재(19)(예를 들면, 경첩)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9)는 판상체(11)와 고정된 제 1 플레이트(19a)와, 판상체(12)와 고정된 제 2 플레이트(19b)와, 양 플레이트(19a, 19b)를 유지하고, 또한 양 플레이트(19a, 19b)의 선회축이 되는 축부(19c)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9c)는 띠상 유리 필름(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판상체(12)는 연결 부재(19)의 축부(19c)를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초기 위치(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선회 위치(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상호 간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동에 따라 개구부(18)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판상체(12)에 의해 개구부(18)를 개폐시킴으로써 횡 반송 공정의 실행과, 후술하는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실행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판상체(12)가 초기 위치에 위치해서 개구부(18)를 폐쇄했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부(1b)를 가스(G)에 의해 부상시킴과 아울러, 비유효부(1a)를 볼 롤러(16b)에 의해 지지한 상태로 띠상 유리 필름(1)에 판상체(12) 상을 통과시켜서 횡 반송 공정을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판상체(12)가 선회 위치에 위치해서 개구부(18)를 개방했을 때에는 가스(G)의 분사 및 볼 롤러(16b)에 의한 지지를 해제한 상태로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실행한다.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
이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도 5d에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개략을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내는 폐기 유리부(1x)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두부(1xa)를 선행하는 띠상 유리 필름(1(G1))의 최후부(G1a)로부터 최초로 분리한다. 이것으로 분단 공정이 개시된다. 그 후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 유리부(1x)를 복수의 폐기 유리 필름(1xx)으로서 연속적으로 분할해 감과 아울러, 폐기 공정의 개시에 따라 각 폐기 유리 필름(1xx)을 횡 반송 경로(R2)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탈시켜 폐기해 간다. 최후에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 유리부(1x)의 최후부(1xb)를 후속의 띠상 유리 필름(1(G2))의 선두부(G2a)로부터 분리한다. 이것으로 폐기 유리부(1x)의 전체 길이를 띠상 유리 필름(1)으로부터 분단하여 분단 공정을 완료시킨다. 또한, 폐기 유리부(1x)의 최후부(1xb)를 포함한 폐기 유리 필름(1xx)을 폐기함으로써 폐기 공정을 완료시킨다.
이하,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의 상세에 대해서 도 6~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준비로서 띠상 유리 필름(1)의 표면(1d)측에 절단의 기점이 되는 절단 기점(20)을 형성한다. 이 절단 기점(20)의 형성은 띠상 유리 필름(1)의 반송 경로 상에 있어서 판상체(12)보다 상류측의 위치에서 행한다. 또한, 절단 기점(20)을 형성하는 위치는 횡 반송 경로(R2) 상이어도 좋고, 만곡 반송 경로(R1) 상이어도 좋다. 절단 기점(20)은, 예를 들면 휠 커터 등을 사용해서 띠상 유리 필름(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한 스크라이브 라인이어도 좋고, 숫돌 등을 사용해서 띠상 유리 필름(1)의 엣지부(1aa)를 폭 방향을 따라 손상시킨 스크래치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절단 기점(20)은 띠상 유리 필름(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복수개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절단 기점(20) 중 횡 반송 경로(R2) 상에서 가장 하류측에 위치한 절단 기점(20(20a))이 판상체(12)까지 도달하면 판상체(12)를 초기 위치로부터 선회 위치까지 이동시켜 개구부(18)를 개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기점(20(20a))이 판상체(12)까지 도달하고 나서 개구부(18)를 개방하고 있지만, 절단 기점(20(20a))이 판상체(12)에 도달하기 전부터 개구부(18)를 개방해두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판상체(11)와 판상체(13) 사이에 가교된 띠상 유리 필름(1)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휜다. 그리고 이 휨에 따라 절단 기점(20(20a))의 형성부는 그 표면(1d)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유리 필름(1)을 굽힘 응력에 의해 절단 기점(20(20a))을 기점으로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띠상 유리 필름(1)의 절단에 따라 폐기 유리부(1x)의 선두부(1xa)를 선행하는 띠상 유리 필름(1(G1))의 최후부(G1a)로부터 분리한다.
절단 기점(20(20a))을 기점으로 띠상 유리 필름(1)을 절단한 후에는 상기 절단 기점(20(20a))에 후속하는 복수의 절단 기점(20) 각각이 이미 개방된 개구부(18)에 도달할 때에 반복 절단 기점(20)을 기점으로 폐기 유리부(1x)를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것에 따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 유리부(1x)를 복수의 폐기 유리 필름(1xx)으로서 분할함과 아울러, 각 폐기 유리 필름(1xx)을 횡 반송 경로(R2)로부터 낙하시켜 개구부(18)를 통과시킴으로써 폐기한다. 그리고 이 폐기 유리 필름(1xx)의 폐기를 폐기 유리부(1x)의 최후부(1xb)를 포함한 폐기 유리 필름(1xx)을 폐기할 때까지 속행한다. 이상에 의해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이 완료된다.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 유리부(1x)의 최후부(1xb)에 후속하는 띠상 유리 필름(1(G2))의 선두부(G2a)가 판상체(12) 상에 도달한 시점에서 판상체(12)를 선회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이동시켜서 개구부(18)의 폐쇄를 개시한다. 그리고 판상체(12)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이것에 따라 개구부(18)가 판상체(12)에 의해 폐쇄되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 유리부(1x)에 후속하는 띠상 유리 필름(1(G2))을 횡 반송 경로(R2)를 따라 반송하는 횡 반송 공정을 실행한다.
[절단 제거 공정]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제거 공정에 있어서는 횡 반송 경로(R2) 상이며, 또한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위치보다 하류측의 위치에서 레이저 할단법을 이용하여 띠상 유리 필름(1)으로부터 비유효부(1a)를 절단 제거한다. 절단 제거 공정의 실행에는 벨트 컨베이어(14)의 상방에서 정점에 고정되어 설치된 레이저 조사기(21) 및 냉매 분사기(22)를 사용한다. 레이저 조사기(21)는 자신의 하방을 통과하는 띠상 유리 필름(1)의 유효부(1b)와 비유효부(1a)의 경계를 따라 레이저(21a)를 연속적으로 조사한다. 냉매 분사기(22)는 띠상 유리 필름(1)에 있어서의 레이저(21a)가 조사된 부위에 대하여 냉매(22a)(예를 들면, 미스트상의 물)를 연속적으로 분사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21a)에 의해 가열된 부위와, 냉매(22a)에 의해 냉각된 부위 간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띠상 유리 필름(1)에 열응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열응력에 의해 유효부(1b)와 비유효부(1a)의 경계를 따라 할단부(유효부(1b)와 비유효부(1a)가 분리된 부위)를 연속적으로 형성해 간다. 이렇게 해서 띠상 유리 필름(1)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단해 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 할단법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1)을 절단하고 있지만, 레이저 용단법이나, 레이저 용단과 동시에 용단을 따라 형성된 단부를 사상 박리물로서 제거하는 소위 필링법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1)을 절단하도록 해도 좋다.
비유효부(1a)가 절단 제거된 띠상 유리 필름(1)(유효부(1b)만으로 이루어지는 띠상 유리 필름(1))은 벨트 컨베이어(14)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5)로 이승시킨다. 한편, 띠상 유리 필름(1)으로부터 제거된 비유효부(1a)는 벨트 컨베이어(15)에 이승시키지 않고, 띠상 유리 필름(1)의 반송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이탈시킨 후 폐기한다.
[권취 공정]
권취 공정의 실행에는 주로 권취 코어(2)와 시트 롤(23)을 사용한다. 권취 공정에서는 벨트 컨베이어(15)로부터 반출된 띠상 유리 필름(1)을 시트 롤(23)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출한 보호 시트(23a)와 중합한 후 권취 코어(2)의 둘레에 롤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3)로 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의 전체 공정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이미 설명이 완료된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 2~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는 점은 모두 판상체(11, 12, 13)의 구성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각 판상체(11, 12, 13)가 갖는 반송면부(16)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볼 롤러(16b)가 구비되어 있던 영역에 띠상 유리 필름(1)의 비유효부(1a)를 향해서 가스(G)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 반송 공정의 실행 중에 띠상 유리 필름(1)의 전체 폭이 가스(G)의 압력에 의해 반송면부(16)로부터 부상한 상태하 띠상 유리 필름(1)이 각 판상체(11, 12, 13) 상을 통과하도록 반송해 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성형하는 띠상 유리 필름(1)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각 판상체(11, 12, 13)가 갖는 반송면부(16)에 있어서 유효부(1b)를 향해 가스(G)를 분사하기 위한 제 1 분사구(16aa)와, 비유효부(1a)를 향해 가스(G)를 분사하는 제 2 분사구(16a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면부(16) 중 제 1 분사구(16aa)가 형성된 영역이 제 2 분사구(16ab)가 형성된 영역보다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 반송 공정의 실행 중에 띠상 유리 필름(1)의 전체 폭이 가스(G)의 압력에 의해 반송면부(16)로부터 부상한 상태이며, 또한 유효부(1b)가 비유효부(1a)보다 반송면부(16)로부터 이간된 상태하 띠상 유리 필름(1)이 각 판상체(11, 12, 13) 상을 통과하도록 반송해 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성형하는 띠상 유리 필름(1)의 두께가 50㎛ 이상일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형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각 판상체(11, 12, 13)가 갖는 반송면부(16)에 있어서 복수의 볼 롤러(16b)가 부착된 영역이 다수의 분사구(16a)가 형성된 영역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 반송 공정의 실행 중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의 비교에 있어서 유효부(1b)가 가스(G)의 압력에 의해 반송면부(16)로부터 상방으로 더 부상한 상태이며, 또한 비유효부(1a)가 볼 롤러(16b)에 의해 지지된 상태하 띠상 유리 필름(1)이 각 판상체(11, 12, 13) 상을 통과도록 반송해 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성형하는 띠상 유리 필름(1)의 두께가 50㎛ 이상일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8)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로서 판상체(12)를 사용하고 있지만, 개폐 부재로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의 반송면이 수평면이 되는 자세(벨트 컨베이어의 반송면이 횡 방향과 평행이 되는 자세)하에서 횡 반송 공정을 실행하고, 반송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기운 경사 평면이 되는 자세하에서 분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세의 변화가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서 롤러 컨베이어(9)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 컨베이어(9)를 사용하는 일 없이 종 방향 하방으로 반송 중의 띠상 유리 필름을 직접 벨트 컨베이어(10)(횡 반송 경로(R2))에 반입함으로써 반송 방향 전환 공정을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만곡 반송 경로(R1) 상의 띠상 유리 필름은 조금도 외물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는 상태하 만곡 반송 경로(R1)를 따라 만곡한 상태가 된다.
1: 띠상 유리 필름 1a: 비유효부
1b: 유효부 1c: 이면
1d: 표면 1x: 폐기 유리부
1xx: 폐기 유리 필름 12: 판상체
16: 반송면부 16a: 분사구
16aa: 제 1 분사구 16ab: 제 2 분사구
16b: 볼 롤러 18: 개구부
G: 가스 R1: 만곡 반송 경로
R2: 횡 반송 경로

Claims (9)

  1.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띠상 유리 필름을 종 방향 하방으로 인출하면서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한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을 만곡한 만곡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으로써 상기 만곡 반송 경로를 통과 후의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반송 방향을 종 방향 하방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과,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을 횡 반송 경로를 따라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횡 반송 공정을 포함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른 일부의 구간을 폐기 유리부로서 폐기할 때에 상기 횡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띠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상기 폐기 유리부를 분단하는 분단 공정과, 분단한 상기 폐기 유리부를 상기 횡 반송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이탈시켜서 폐기하는 폐기 공정의 양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반송 경로의 하방에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전체 폭보다 폭넓게 개구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폐기 유리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폐기 공정을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띠상 유리 필름에 상기 개폐 부재 상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횡 반송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에 상기 개구부의 폐쇄 시에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과 대향하는 반송면부와, 상기 반송면부에 형성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분사구로부터 상기 반송면부 상을 통과하는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을 향해서 상기 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중앙에 존재하는 유효부를 상기 반송면부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분사에 의해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전체 폭을 상기 반송면부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가 상기 유효부를 향해서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제 1 분사구와, 상기 유효부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를 향해서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제 2 분사구를 갖고,
    상기 반송면부 중 상기 제 1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이 상기 제 2 분사구가 형성된 영역보다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에 상기 개구부의 폐쇄 시에 상기 유효부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볼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공정에서는 상기 폐기 유리부를 복수의 폐기 유리 필름으로 분할하여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반송 경로 상이며, 또한 상기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위치보다 하류측의 위치에서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중앙에 존재하는 유효부와, 상기 유효부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의 양쪽 부분의 경계를 따라 상기 띠상 유리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레이저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87033692A 2016-10-11 2017-09-21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069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0033 2016-10-11
JP2016200033A JP2018062432A (ja) 2016-10-11 2016-10-11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PCT/JP2017/034160 WO2018070209A1 (ja) 2016-10-11 2017-09-21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45A true KR20190069345A (ko) 2019-06-19

Family

ID=6190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692A KR20190069345A (ko) 2016-10-11 2017-09-21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94055A1 (ko)
JP (1) JP2018062432A (ko)
KR (1) KR20190069345A (ko)
CN (1) CN109311720A (ko)
TW (1) TW201827361A (ko)
WO (1) WO2018070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8418B1 (en) * 2016-04-06 2017-09-1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producing glass ribbon
CN112739633B (zh) * 2018-08-29 2023-04-11 康宁公司 用于支撑物体的装置及方法
JP7342663B2 (ja) * 2019-11-29 2023-09-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384046B2 (ja) * 2020-01-20 2023-11-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450851B2 (ja) * 2020-02-25 2024-03-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30109179A (ko) * 2020-11-24 2023-07-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
JP2022151004A (ja) * 2021-03-26 2022-10-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23173666A (ja) * 2022-05-26 2023-12-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4709A (ja) 2013-08-28 2015-03-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1996B2 (ja) * 2007-04-24 2011-02-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設備
CN102770379B (zh) * 2010-02-18 2015-06-24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玻璃薄膜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US20150345996A1 (en) * 2014-05-29 2015-12-03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 angle between a web of material and a conveyance di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4709A (ja) 2013-08-28 2015-03-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ロ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1720A (zh) 2019-02-05
US20190194055A1 (en) 2019-06-27
WO2018070209A1 (ja) 2018-04-19
JP2018062432A (ja) 2018-04-19
TW201827361A (zh)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345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46033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4077117A1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924379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634086B (zh)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JP2012096936A (ja) ガラスリボンの耳切断装置および耳切断方法と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9311736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KR102220060B1 (ko) 유리 롤의 제조 방법
US2021018869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TWI722249B (zh) 帶狀玻璃膜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JP6929525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342663B2 (ja)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1149519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070814A1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TWI842974B (zh) 玻璃膜的製造方法
JP7450851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9182690A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