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571A -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571A
KR20190068571A KR1020197013166A KR20197013166A KR20190068571A KR 20190068571 A KR20190068571 A KR 20190068571A KR 1020197013166 A KR1020197013166 A KR 1020197013166A KR 20197013166 A KR20197013166 A KR 20197013166A KR 20190068571 A KR20190068571 A KR 20190068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expiration date
puncture repair
notify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134B1 (ko
Inventor
다이스케 카네나리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07C3/02Registering or indicating working or idle time only
    • G07C3/06Registering or indicating working or idle time only in graph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2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6Indicating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12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in graphical form

Abstract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유저(user)에 대하여 확실하게 주지(周知)시키고, 나아가서는,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차량(1)에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 용기(容器)(2)에 수용(收容)된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11)과, 당해 기억 수단(11)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통지 조건 설정 수단(12)과,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13)과, 통지 조건 설정 수단(12)의 설정에 기초하여 통지 수단(13)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4)을 가지는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를 기동(起動)하고,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이 끝나는 전후의 미리 설정된 통지의 기간에 미리 설정된 통지의 방식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차량(1)의 유저에게 통지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통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유저(user)에 대하여 확실하게 주지(周知)시키고, 나아가서는,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타이어 밸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內)에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보수하는 것과 동시에 타이어 내에 공기를 충전(充塡)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3 참조).
이와 같은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는, 대별(大別)하여, 손짜기 타입과 압송 타입이 있다. 손짜기 타입의 경우, 펑크 수리액은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용기(容器)에 수용(收容)되고, 그 용기를 손으로 짜는 것으로 펑크 수리액을 타이어 내에 주입한다. 한편, 압송 타입의 경우, 펑크 수리액은 내압성을 가지는 용기에 수용되고, 타이어 공기압 충전용의 컴프레서(compressor)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펑크 수리액을 타이어 내에 주입한다. 어느 경우도, 펑크 수리액은 용기 내에 수용된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차량에 탑재된다.
펑크 수리액은 라텍스(latex) 등(等)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타이어 내에 주입되는 것으로 펑크 구멍을 막도록 기능한다. 펑크 수리액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 가능하기는 하지만, 당연한 것이지만 유효 기한을 가지고 있고, 그 유효 기한이 끝나면 유효 성분이 응고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있고, 그 경우,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현념(懸念)이 있다. 그렇지만, 유저는 차량에 탑재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이 길기 때문에, 그 유효 기한을 실질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상(現狀)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2025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8213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361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유저에 대하여 확실하게 주지시키고, 나아가서는,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 용기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당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통지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 용기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당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통지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유효 기한 통지 장치를 기동(起動)하고,
상기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이 끝나는 전후의 미리 설정된 통지의 기간에 미리 설정된 통지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상기 차량의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이 끝나는 전후의 미리 설정된 통지의 기간에 미리 설정된 통지의 방식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차량의 유저에게 통지하기 때문에,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유저에 대하여 확실하게 주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의 유저는 펑크 수리액을 적의(適宜) 교환하고, 항상 양호한 상태에 있는 펑크 수리액을 보유(保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는, 펑크 수리액의 용기에 기재된 유효 기한을 읽어내는 판독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펑크 수리액의 용기에 기재된 유효 기한을 판독 장치에 의하여 읽어내는 것으로, 읽어내진 유효 기한을 기억 수단에 간단하게 또한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독 장치는 광학식 판독 장치이면 된다.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은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정을 행하는 것으로, 펑크 수리액의 교환의 필요성을 유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은 갱신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새로운 통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이 갱신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새로운 통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그때까지 행하여지고 있었던 통지 수단에 의한 통지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flow chart)이다.
도 3은 교환 시기의 통지의 방식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는, 용기(2)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3)을 포함하는 펑크 수리 키트(kit)를 구비한 차량(1)에 탑재된 장치이다. 이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는, 독립한 전용 장치여도 무방하지만, 차량(1)의 엔진 컨트롤 유닛(ECU)이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짜 넣어진 것, 혹은, 그것들의 일부를 이용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는,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는 기억부(11)(기억 수단)와, 기억부(11)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통지 조건 설정부(12)(통지 조건 설정 수단)와,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부(13)(통지 수단)와, 통지 조건 설정부(12)의 설정에 기초하여 통지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4)(제어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펑크 수리액(3)의 용기(2)에 기재된 유효 기한을 읽어내는 판독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1)는,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하여 구성되고, 외부(外部)로부터 입력된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유효 기한은, 유효 기한일 또는 유효 기한까지의 기간으로서 등록된다. 유효 기한일로서는, 반드시 일자는 필요하지 않고, 연월(年月)만을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효 기한까지의 기간으로서는, 예를 들어 「5년간」이라든지 「7년간」이라고 하는 시간적인 길이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효 기한은 갱신 가능하다.
통지 조건 설정부(12)는, 기억부(11)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이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지의 기간으로서는, 유효 기한을 기준으로 하는 임의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효 기한의 1개월 전(前)부터 유효 기한의 1개월 후(後)까지의 2개월간을 통지의 기간으로 하거나, 유효 기한의 60일 전부터 유효 기한의 60일 후까지의 120일간을 통지의 기간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통지의 방식으로서는,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효 기한의 전후로 통지의 방식이 같아도 상관없다.
통지부(13)는,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한다. 통지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경고음의 발생, 경고등의 점등, 디스플레이로의 경고의 표시 및 그것들의 조합이 가능하다. 유효 기한의 전후로 통지의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통지의 간격, 경보음의 음색이나 간격, 경고등의 색이나 점멸(點滅) 간격, 수치의 대소(大小), 표시하는 장소, 표시의 크기, 합성 음성에 의한 경고문의 내용 등을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지부(13)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오디오나 디스플레이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통지부(13)는 독립한 경고등이나 경보음 발생 장치로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장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어부(14)는, 통지 조건 설정부(12)의 설정에 기초하여 통지부(13)를 제어하는 것이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부(14)는 현재의 일시(日時)가 통지의 기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일시가 통지의 기간 내인 경우에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도록 통지부(13)에 명령을 보낸다. 또한, 통지 조건 설정부(12)가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14)는 현재의 일시가 유효 기한 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일시가 유효 기한 전인 경우와 그 이외의 경우에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으로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도록 통지부(13)에 명령을 보낸다.
판독 장치(15)는, 펑크 수리액(3)의 용기(2)에 기재된 유효 기한을 읽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독 장치(15)는, 광학식 문자 판독 장치(OCR)나 1차원 바코드 리더나 2차원 바코드 리더와 같은 광학식 판독 장치이다.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3)의 용기(2)에 기재된 숫자로 이루어지는 유효 기한을 OCR로 읽어내거나, 바코드로 이루어지는 유효 기한을 바코드 리더로 읽어내거나 하는 것으로, 입력 시의 수고를 간략화하고, 입력 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를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것을 유효 기한의 데이터로서 활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와 같이 읽어내진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은 유선 회로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의 기억부(11)에 입력된다.
덧붙여,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의 기억부(11)에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입력하는 것에 있어서, 판독 장치(15)의 대신에, 키패드를 구비한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상술(上述)한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를 이용하여,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통지하는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기억부(11)에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입력한다(스텝(S1)). 이와 같은 입력 작업은 차량의 제조 시, 출하 시, 판매 시 중 어느 단계에서도 무방하다. 또한, 입력 작업은 판독 장치(15)를 이용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의 기동 상태에 있어서, 통지 조건 설정부(12)는 기억부(11)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한다(스텝(S2)). 그리고, 제어부(14)는 현재의 일시가 통지 조건 설정부(12)에 설정된 통지의 기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일시가 통지의 기간 내인 경우에 통지부(13)에 대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도록 명령을 보낸다(스텝(S3)). 여기에서, 통지 조건 설정부(12)가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4)는 현재의 일시가 유효 기한 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4)), 현재의 일시가 유효 기한 전인 경우는 예를 들어 설정(A)에 기초하는 통지를 행하도록 명령을 보내고, 그 명령에 의하여 통지부(13)가 설정(A)에 기초하는 통지를 행하고(스텝(S5-1)), 현재의 일시가 유효 기한 전이 아닌 경우는 예를 들어 설정(B)에 기초하는 통지를 행하도록 명령을 보내고, 그 명령에 의하여 통지부(13)가 설정(B)에 기초하는 통지를 행한다(스텝(S5-2)).
도 3은 교환 시기의 통지의 방식을 예시하는 것이고, 유효 기한(Tx)을 포함하는 시계열(T)에 있어서 경고등(13A)의 점멸이 행하여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상단의 점등 패턴에 있어서, 유효 기한(Tx)보다도 전은 설정(A)에 기초하여 제1 점등 간격으로 경고등(13A)이 점멸하고, 유효 기한(Tx)보다도 후는 설정(B)에 기초하여 제1 점등 간격보다도 짧은 제2 점등 간격으로 경고등(13A)이 점멸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하단의 점등 패턴에 있어서, 유효 기한(Tx)보다도 전은 설정(A)에 기초하여 제1색(예를 들어, 황색)으로 경고등(13A)이 점멸하고, 유효 기한(Tx)보다도 후는 설정(B)에 기초하여 제1색과는 다른 제2색(예를 들어, 적색)으로 경고등(13A)이 점멸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에 탑재된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이 끝나는 전후의 미리 설정된 통지의 기간에 미리 설정된 통지의 방식에 의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차량(1)의 유저에게 통지하기 때문에,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유저에 대하여 확실하게 주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량(1)의 유저는 펑크 수리액(3)을 교환 시기의 가까이에서 적의 교환하고, 항상 양호한 상태에 있는 펑크 수리액(3)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차량(1)의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는 양호한 상태에 있는 펑크 수리액(3)을 이용하여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통지 조건 설정부(12)가 유효 기한의 전후로 통지의 방식을 변경하는 형태를 채용한 경우, 펑크 수리액(3)의 교환의 필요성을 유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유효 기한 후의 통지를 보다 눈에 띄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유효 기한이 끝난 상태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조건 설정부(12)는 갱신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새로운 통지의 기간을 설정한다. 그 때문에, 펑크 수리액(3)을 교환한 후, 새로운 유효 기한을 기억부(11)에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통지 조건 설정부(12)가 갱신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새로운 통지의 기간을 설정하고, 그때까지 행하여지고 있었던 통지부(13)에 의한 통지가 해제된다. 그 후, 새로운 유효 기한에 기초하는 기한 관리가 계속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이 예는, 통지 조건 설정부(12)가 유효 기한의 전후로 일양(一樣)한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기억부(11)에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입력한다(스텝(S1)). 유효 기한 통지 장치(10)의 기동 상태에 있어서, 통지 조건 설정부(12)는 기억부(11)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한다(스텝(S2)). 그리고, 제어부(14)는 현재의 일시가 통지 조건 설정부(12)에 설정된 통지의 기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일시가 통지의 기간 내인 경우에 통지부(13)에 대하여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도록 명령을 보낸다(스텝(S3)). 이것에 의하여, 통지부(13)가 펑크 수리액(3)의 교환 시기를 통지한다(스텝(S5)). 이 경우도, 전술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펑크 수리액(3)의 유효 기한을 유저에 대하여 확실하게 주지시킬 수 있다.
1: 차량
2: 용기
3: 펑크 수리액
10: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11: 기억부(기억 수단)
12: 통지 조건 설정부(통지 조건 설정 수단)
13: 통지부(통지 수단)
14: 제어부(제어 수단)
15: 판독 장치

Claims (10)

  1. 차량에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 용기(容器)에 수용(收容)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당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통지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 수리액의 용기에 기재된 유효 기한을 읽어내는 판독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장치가 광학식 판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이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이 갱신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새로운 통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6. 차량에 탑재된 장치에 있어서, 용기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당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의 기간 및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통지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유효 기한 통지 장치를 기동(起動)하고,
    상기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이 끝나는 전후의 미리 설정된 통지의 기간에 미리 설정된 통지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펑크 수리액의 교환 시기를 상기 차량의 유저(user)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 수리액의 용기에 기재된 유효 기한을 판독 장치에 의하여 읽어내고, 읽어내진 유효 기한을 상기 기억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장치가 광학식 판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이 유효 기한의 전후로 서로 다른 통지의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조건 설정 수단이 갱신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새로운 통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방법.
KR1020197013166A 2017-03-27 2018-01-22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 KR102185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1770 2017-03-27
JP2017061770A JP6880903B2 (ja) 2017-03-27 2017-03-27 パンク修理液の有効期限通知装置及び方法
PCT/JP2018/001825 WO2018179719A1 (ja) 2017-03-27 2018-01-22 パンク修理液の有効期限通知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571A true KR20190068571A (ko) 2019-06-18
KR102185134B1 KR102185134B1 (ko) 2020-12-01

Family

ID=6367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166A KR102185134B1 (ko) 2017-03-27 2018-01-22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63855B2 (ko)
JP (1) JP6880903B2 (ko)
KR (1) KR102185134B1 (ko)
CN (1) CN110382215A (ko)
DE (1) DE112018001610B4 (ko)
WO (1) WO2018179719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338B2 (ja) * 1994-03-14 1999-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二次元コード
JP2003040090A (ja) * 2001-07-27 2003-02-13 Yazaki Corp 車両部品のメンテナンス時期報知方法及び報知装置
JP2010120250A (ja) 2008-11-19 2010-06-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JP2013082137A (ja) 2011-10-11 2013-05-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液の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JP2013136176A (ja) 2011-12-28 2013-07-11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5207070A (ja) * 2014-04-18 2015-11-19 凸版印刷株式会社 薬剤交換リマインドシステム
JP2016002929A (ja) * 2014-06-18 2016-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通知システム、車載器および情報通知方法
JP2016510269A (ja) * 2013-01-25 2016-04-07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タイヤシール剤を吐出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608A (ja) * 1998-10-27 2000-05-12 Aru Fuoomiyureeto Kk タイム・マネージヤー法による自動車の保守サービス管理における次回メンテナンス時期の自動予測手段
JP2002183337A (ja) * 2000-12-12 2002-06-28 Kashiwa Sharyo:Kk 自動車保守管理システム及び保守管理方法
ITTO20040117A1 (it) * 2004-02-27 2004-05-27 Tek Srl Kit per il gonfiaggio e la riparazione di articoli gonfiabili, in particolare pneumatici
JP2006021570A (ja) * 2004-07-06 2006-01-26 Fujitsu Ten Ltd 消耗劣化品管理装置および消耗劣化品管理方法
DE202005017071U1 (de) * 2005-10-28 2007-03-15 Stehle, Michael Einfüllsystem zum Abdichten und Aufpumpen von Reifen
US7798183B2 (en) * 2006-10-26 2010-09-21 Illinois Tool Works Inc. Integrated compressor-tire sealant injection device with large mouth sealant container
JP5376754B2 (ja) * 2006-12-21 2013-1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リング装置
BRPI1006045A2 (pt) * 2009-01-07 2018-04-24 Trydel Res Pty Ltd aparelho para conserto e inflação de artigos inflaveis danificados.
US8297321B2 (en) * 2010-07-02 2012-10-30 Wen San Chou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TWI482908B (zh) * 2011-03-07 2015-05-0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WO2015112267A1 (en) 2014-01-24 2015-07-30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338B2 (ja) * 1994-03-14 1999-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二次元コード
JP2003040090A (ja) * 2001-07-27 2003-02-13 Yazaki Corp 車両部品のメンテナンス時期報知方法及び報知装置
JP2010120250A (ja) 2008-11-19 2010-06-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装置
JP2013082137A (ja) 2011-10-11 2013-05-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液の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JP2013136176A (ja) 2011-12-28 2013-07-11 Yokohama Rubber Co Ltd:The パンク修理キット
JP2016510269A (ja) * 2013-01-25 2016-04-07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タイヤシール剤を吐出する装置
JP2015207070A (ja) * 2014-04-18 2015-11-19 凸版印刷株式会社 薬剤交換リマインドシステム
JP2016002929A (ja) * 2014-06-18 2016-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通知システム、車載器および情報通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1610T5 (de) 2020-01-16
CN110382215A (zh) 2019-10-25
JP2018161861A (ja) 2018-10-18
DE112018001610B4 (de) 2024-01-11
JP6880903B2 (ja) 2021-06-02
KR102185134B1 (ko) 2020-12-01
US11663855B2 (en) 2023-05-30
WO2018179719A1 (ja) 2018-10-04
US20200009810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4511B1 (de) Verfahren für die konfigurierung eines reifendrucksensors
DE102015105885B4 (de) Verfahren zum Verwenden und Einrichten eines Bluetooth-basierten Reifendrucküberwachungssystems
DE602006004933D1 (de) Entferntes Endgerät für programmierbare Steuerung
WO2006066035A3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ntrolling ophthalmic surgical devices and components
KR20190068571A (ko) 펑크 수리액의 유효 기한 통지 장치 및 방법
JP6315104B2 (ja) Plc機能内蔵型ドライブ制御装置
EP2927186B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betrieb eines flurförderzeugs
US9805153B2 (en) PLD editor and method for editing PLD code
KR102030801B1 (ko) 백라이트 수명 관리 lcd 장치
JP6320025B2 (ja) 需要管理システム及び需要管理方法
JP7140467B2 (ja) パンク修理液の有効期限通知方法
CN105180369A (zh) 机组配置方法
US20170140680A1 (en) Electronic placard
US20200039212A1 (en) Group reference
EP3001348A1 (de) Unterstützung von Bedienern eines technischen Gerätes
KR100923781B1 (ko) 단말기의 시간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3109461A1 (de) Individuelles Zu-, Be- oder Abschneiden (Cropping) eines Anzeigebildschirmbereichs einer Anzeigeeinheit einer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DE102009002086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as Umprogrammieren einer programmierbaren Einheit in einem Kraftfahrzeug
JP2014075316A (ja) ランプ及び光源装置
CN113505901B (zh) 防止生产中车体异常流出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387559Y1 (ko) 실시간 입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모터보호 제어장치
KR102368640B1 (ko) Ecm의 차량 인식 방법
DE202020101460U1 (de) Tragbarer gewerblicher Trockensauger
JP2008197898A (ja) サーボドライバ
EP3045839A1 (de) Solarbefüll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