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40B1 - Ecm의 차량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Ecm의 차량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40B1
KR102368640B1 KR1020150179841A KR20150179841A KR102368640B1 KR 102368640 B1 KR102368640 B1 KR 102368640B1 KR 1020150179841 A KR1020150179841 A KR 1020150179841A KR 20150179841 A KR20150179841 A KR 20150179841A KR 102368640 B1 KR102368640 B1 KR 10236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m
fuel
type
bifu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768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CM의 차량 인식 방법{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엔진제어모듈(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CM이 차량에 장착될 때 상기 ECM이 모노퓨얼 차량인지 바이퓨얼 차량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개발할 때, 단일 연료만을 사용하는 모노퓨얼 차량을 먼저 개발하고, 제1 연료와 제2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바이퓨얼 차량을 상기 모노퓨얼 차량과 동시에 개발하거나 나중에 개발하게된다.
상기 바이퓨얼 차량의 ECM은 상기 모노퓨얼 차량의 ECM이 가지는 연료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과 출력기능에 추가하여 상기 제2의 연료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과 출력을 더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상기 바이퓨얼 차량의 ECM은 상기 제1 연료 및 제2 연료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이퓨얼 차량의 ECM은 상기 제1 연료용 ECM인 상기 모노퓨얼 차량의 ECM과 상기 제2 연료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 및 상기 모노퓨얼 ECM과 통신 기능을 갖는 제2 연료용 보조 EC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모노퓨얼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없으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과 상기 제2 연료용 ECM 사이의 통신이 불필요하다. 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바이퓨얼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있으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과 상기 제2 연료용 ECM 사이의 통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기능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기능을 변경한 후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ECM이 차량에 장착될 때 상기 ECM이 모노퓨얼 차량인지 바이퓨얼 차량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은 별도의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 입력 시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 ECM 인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따르면, 제1 연료용 ECM을 모노퓨얼 차량, ODB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 및 ODB 적용 바이퓨얼 차량 중 어느 차량에 장착하더라도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기본 신호 및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의 종류에 맞게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조작없이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잇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연료용 ECM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연료용 ECM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한다.(S1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한다. 상기 차량은 모노퓨얼 차량, OBD(On-Board Diagnotics, 배출가스 자기진단장치)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 OBD 적용 바이퓨얼 차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자신의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의 특정 영역을 읽는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S120)
구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모드가 결정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모드는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이다.
이때,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은 상기 모노퓨얼 차량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은 상기 OBD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은 상기 OBD 적용 바이퓨얼 차량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값은 00, 01, 11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00은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 상기 01은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상기 11은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을 의미한다.
한편, 공장 출고시에는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상기 값이 00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이 들어와 있는 동안 상기 EEPROM의 특정영역의 값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EEPROM의 특정영역의 값을 RAM에 복사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통신을 통한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한다.(S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제1 연료 제어만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검출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연료 제어를 위한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지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같이 송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모두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 및 상기 ODB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임시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면서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연료용 ECM와의 통신이 재개되어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인식되기를 기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제1 연료 제어만을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모두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 및 상기 ODB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임시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면서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연료용 ECM와의 통신이 재개되어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인식되기를 기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제1 연료 제어만을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즉,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OBD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모두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 및 상기 ODB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
한편,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을 별도의 진단통신장치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은 별도의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 입력 시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인식하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다시 변경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동작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상적으로 정지한 후에,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자신에게 인가된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RAM 에 임시 기록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으로 옮겨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에 대한 정보는 00, 01, 11 중 어느 하나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 ECM 인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에 다시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 활성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따르면, 제1 연료용 ECM이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조작없이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잇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은 별도의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 입력 시에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 ECM 인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
KR1020150179841A 2015-12-16 2015-12-16 Ecm의 차량 인식 방법 KR10236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41A KR102368640B1 (ko) 2015-12-16 2015-12-16 Ecm의 차량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41A KR102368640B1 (ko) 2015-12-16 2015-12-16 Ecm의 차량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68A KR20170071768A (ko) 2017-06-26
KR102368640B1 true KR102368640B1 (ko) 2022-02-25

Family

ID=5928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841A KR102368640B1 (ko) 2015-12-16 2015-12-16 Ecm의 차량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92B1 (ko) 2000-04-12 2002-12-3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자동차용 엔진시험 시스템 및 방법
KR100815149B1 (ko) 2007-04-03 2008-03-19 (주)모토닉 연료공급 펌프 컨트롤러의 자가진단 장치
KR100859407B1 (ko) 2007-05-31 2008-09-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판단 방법
KR100860463B1 (ko)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KR100865233B1 (ko) 2007-06-21 2008-10-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KR101383751B1 (ko) 2012-12-13 2014-04-17 (주)모토닉 바이 퓨얼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200A (ja) * 2006-05-18 2007-11-29 Nikki Co Ltd ガソリン代替燃料噴射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101325501B1 (ko) * 2011-10-21 2013-11-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바이-퓨엘 차량에서의 점화각 제어 방법
KR20130075564A (ko) * 2011-12-27 2013-07-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KR101354315B1 (ko) * 2012-06-11 2014-01-23 김재기 이중 연료 엔진용 연료전환 제어장치
KR101879210B1 (ko) * 2013-02-21 2018-07-1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퓨얼 차량의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92B1 (ko) 2000-04-12 2002-12-3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자동차용 엔진시험 시스템 및 방법
KR100815149B1 (ko) 2007-04-03 2008-03-19 (주)모토닉 연료공급 펌프 컨트롤러의 자가진단 장치
KR100859407B1 (ko) 2007-05-31 2008-09-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판단 방법
KR100860463B1 (ko)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KR100865233B1 (ko) 2007-06-21 2008-10-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KR101383751B1 (ko) 2012-12-13 2014-04-17 (주)모토닉 바이 퓨얼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68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7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vehicle settings in a vehicle
US7865281B2 (en) Failure diagnosis system, and vehicle-mounted ECU for use in the failure diagnosis system
US7783398B2 (en) Program rewriting system and program rewriting method
PH12020551988A1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vehicle device or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server,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vehicle remot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WO2006118788A3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commands based on command signals and operating state
WO2009024706A3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un systeme d'arret/relance moteur apte a equiper un vehicule automobile
US20100299023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system
CN107351789B (zh) 整车低压上下电的控制方法、整车控制器及车辆
KR102368640B1 (ko) Ecm의 차량 인식 방법
US7360013B2 (en) Method of rewriting flash EEPROM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using same
JP6205214B2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US108469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option misjudgment of control unit
US6864788B2 (en) Actuator controller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language
US201903154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in vehicle
KR20160121920A (ko) 전자제어장치의 보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74474B1 (ko) 차량용 데이터 관리방법 및 장치
JP5182583B2 (ja) 車両用通信制御装置
JP6181011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488345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の通信装置
JP2004040649A (ja) 車載通信装置
JP6459282B2 (ja) 車載電動装置の検査方法
CN107015822B (zh) 用于对控制设备进行更新的方法和设备
CN104217578A (zh) 车辆管理系统和方法
JP4581718B2 (ja) イモビライザ機能設定装置およびイモビライザ機能設定方法
JP6887277B2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